KR101987849B1 - 내충격성 및 복원력이 우수한 양면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내충격성 및 복원력이 우수한 양면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849B1
KR101987849B1 KR1020170160059A KR20170160059A KR101987849B1 KR 101987849 B1 KR101987849 B1 KR 101987849B1 KR 1020170160059 A KR1020170160059 A KR 1020170160059A KR 20170160059 A KR20170160059 A KR 20170160059A KR 101987849 B1 KR101987849 B1 KR 101987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weight
double
parts
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1555A (ko
Inventor
김동우
김영광
남승웅
임회득
이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우
Priority to KR1020170160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849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rubbers
    • C09J2201/128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미립자 2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적층된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착층은 고무계 점착제 100 중량부에 미립자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내충격성, 탄성, 복원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충격성 및 복원력이 우수한 양면 점착 테이프{Adhesive tape with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nd resilience}
본 발명은 양면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우수한 점착성, 복원력, 탄성 특성, 응력 완화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다.
최근에는 TV, PDA, 휴대폰단말기 또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등과 전자 기기들이 고급화되면서 경량화, 박막화, 저전력화, 고휘도화 및 대화면화 등을 위해 끊임없는 기술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의 본체는 각종 플라스틱뿐만 아니라 금속 재질까지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분야에서 양면 점착 테이프는 서로 다른 재질의 표면을 부착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데, 최근 전자 기기의 대화면화 및 박막화의 동향에 따라 양면테이프의 부착 면적 또한 좁아지게 되었다.
따라서, 부착 면적 폭이 좁아지고 얇아진 두께에도 부착제와 피착제의 고정 기능 외에 고점착, 내충격 및 방수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성 양면테이프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는 같은 두꺼운 강직한 필름의 양면에 점착제 층을 도입하여 사용하거나 할 때 전자 기기가 외부에서 충격을 받을 경우에, 전자 기기의 하우징과 부속품이 서로 분리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였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한국특허출원 제10-2012-0076528호(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에 기재된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발포체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이 양면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층의 점착 부여제로 로진 에스테르 30중량부를 사용하고 있다.
이외에도, 다이이씨 가부시끼가이샤가 출원한 양면 점착 테이프는 소정의 조성을 가진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중합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 부여제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 조성물을 게재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 들은 발포체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구비하는데, 발포체의 특성이 오픈 셀(Open cell) 즉,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에 발포제를 넣고 가열 발포시킨 스펀지 같은 형태의 공극으로 이루어진 기재를 만들어 내충격성과 방수기능을 실현하려 했으나, 내충격 자유낙하 실험 시 발포층의 수많은 공극으로 인해 기재의 밀도와 인열강도가 낮아 기재층의 중간이 찢겨지게 되어 내구적인 내충격성을 이룰 수 없다. 방수기능 또한, 올레핀 발포체의 수많은 공극으로 테이프 컷팅 타발 시 타발면 즉, 테이프 점착면의 측면으로 방수 실험시 물이 기재의 수많은 공극으로 침투하기 시작하여 공극과 공극으로 이동하면서 물이 스며들게 되어 방수기능을 이룰 수도 없게 된다.
따라서 내충격성, 탄성 복원력, 인장강도가 우수한 점착 테이프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12-0076528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따른 양면 점착 테이프에 나타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 및 복원력이 개선되어 우수한 내충격성 및 형태안정성을 가지는 양면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미립자 2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적층된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착층은 고무계 점착제 100 중량부에 미립자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미립자는 활석, 실리콘 비드, 글래스 비스, 탈크, 탄산칼슘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미립자를 구성하는 실리카와 탄산칼슘의 중량비가 1:1 내지 3: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무계 점착제는 니트릴 고무, 천연 고무, 스타렌-부타디엔 고부, 부틸 고무,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스타렌-이소프렌-스타렌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무계 점착제를 구성하는 스타렌-이소프렌-스타렌 고무와 스타렌-부타디엔의 혼합비율이 7:3 내지 5:5의 중량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20 내지 10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우수한 탄성, 내충격성, 형태안정성 및 방수성을 나타낸다.
도 1은 표준 샘플의 충격 흡수성 테스트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7의 테이프에 대한 충격 흡수성 테스트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표준 샘플의 충격 에너지 거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충격 에너지 거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비교예 7의 충격 에너지 거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성 및 복원력을 가지는 양면 테이프는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미립자 2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적층된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착층은 고무계 점착제 100 중량부에 미립자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층은 양면 테이프의 기재가 되는 층으로 외부 응력이나 충격으로부터 양면 테이프의 형태를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기재층은 2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5 ㎛의 두께를 나타낼 수 있다. 기재층의 두께가 20 ㎛ 미만이며, 내충격성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기재층의 두께가 100㎛를 초과하면 양면 테이프의 두께가 두꺼워져, 최근 소형화 및 박막화 추세에 있는 전자 기기에 적용하기가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상기 기재층을 구성하는 소재는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및 에틸렌-메타아클릴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탄성 신장회복률 등의 특성의 관점에서 폴리우레탄이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은, 일반적으로, 폴리올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소프트 세그먼트(soft segment)와,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나 저분자 글리콜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하드 세그먼트(hard segment)를 포함하는 수지이다.
폴리우레탄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올은, 수산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이다. 예를 들면, 고무 탄성 신장회복률 등의 특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폴리올의 수산기 수는 2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올의 수산기 수는, 바람직하게는 2∼3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이다. 폴리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피마자유계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2종 이상의 폴리올을 병용해도 된다.
폴리우레탄의 제조에 사용되는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다관능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다관능 지환족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다관능 방향족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화합물의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체, 물과 반응한 뷰렛체, 이소시아눌레이트환을 가지는 3량체도 사용할 수 있다. 2종 이상의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병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은 이상 설명한 폴리올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탄성과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미립자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미립자의 함량은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대해 2 내지 2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2 중량부이다. 상기 미립자 분말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기재층의 탄성 부여 효과가 미미하여 점착 테이프의 인장강도 및 신율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미립자 분말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기재층의 중량 및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양면 테이프를 구성하는 점착층은 상/하면 각각 30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기재층과 마찬가지로 고무계 점착성 수지 외에 미립자를 포함한다. 고무계 점착층에 포함되는 미립자의 함량은 1 내지 1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기재층 및 점착층에 포함되는 미립자는 활석, 실리콘 비드, 글래스 비스, 탈크, 탄산칼슘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이 중 실리카와 탄산칼슘의 혼합물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때 실리카와 탄산칼슘의 혼합비율은 1:1 내지 2:1이 바람직하다.
점착층을 구성하는 고무계 점착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무계 점착제는 니트릴 고무, 천연 고무, 스타렌-부타디엔 고부, 부틸 고무,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스타렌-이소프렌-스타렌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중 스타렌-이소프렌-스타렌 고무와 스타렌-부타디엔을 선택해, 이들의 혼합비율이 7:3 내지 5:5의 중량비일 때에, 탄성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가장 잘 나타난다.
스타렌-이소프렌-스타렌 고무 및 스타렌-부타디엔 고무는 유리전이온도(Tg)가 낮고, 비닐 결합등의 혼합적인 구조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며, 표면에너지가 매우 낮은 특성을 가지는바, 기존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비하여 기재에 웨팅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타렌-이소프렌-스타렌(SIS) 고무는 이소프렌 고무의 일종으로, 다른 고무들에 비해, 탄성(elasticity)과 연성(softness)이 모두 우수하다. 상기 스타렌-이소프렌-스타렌 고무 및 스타렌-부타디엔 고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0 내지 2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000~170,00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미만인 경우 내열에 약한 문제가 있고,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을 초과하는 경우 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종래 사용되는 스타렌-이소프렌-스타렌 고무 및 스타렌-부타디엔 고무는 경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경화된 스타렌-이소프렌-스타렌 고무 및 스타렌-부타디엔 고무의 경화도(겔 함량)는 약 80% 내지 약 99%이다. 이러한 경화된 스타렌-이소프렌-스타렌 고무 및 스타렌-부타디엔 고무는 높은 경화도(겔 함량)으로 인하여, 탄성이 낮아 웨팅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스타렌-이소프렌-스타렌 고무 및 스타렌-부타디엔 고무는 비경화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층에는 점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교제 또는 점착 부여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과산화물계 가교제 외에, 요소계 가교제, 금속 알콕사이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금속염계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아민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고,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점착 부여 수지는 점착제와 상용성이 우수한 것이라면, 그 종류가 한정되지 않으나, 로진 유래의 로진 수지류, 피넨 등의 테르펜으로부터 유도된 테르펜 수지류, 석유 증류에서 유래하는 지방족 계 탄화수소 수지나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등이 사용 가능한데, 로진페놀이나 테르펜페놀 등의 페놀기를 공중합한, 테르펜 페놀계 수지나 로진 페놀계 수지의 점착 부여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점착층의 형성은 예를 들어, 상기 고무계 점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재료를 상기 기재층 상에 도포하는 방식(코팅법), 상기 고무계 점착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을 상기 기재 상에 접착하는 방식(드라이 라미네이팅법) 등의 적당한 방식으로 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의 구체적인 예들은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의 조성물 제조
기재층은 중량평균분자량이 580,000, 25℃의 점도가 3,000 내지 4,000cps인 폴리우레탄(노루페인트 NEM-390) 100 중량부에 마이크로스페어 5 중량부를 혼합하고 어플리케이터로 도포하여 제조되는데, 상기 마이크로스페어는 실리카와 탄산칼슘을 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고무계 점착층의 조성물 제조
고무계 점착제로써, 스타렌-이소프렌-스타렌 고무(중량평균분자량은 170,000, 점도 200cps, 상품명: 하나이화 RB745)와 스타렌-부타디엔 고무(중량평균분자량은 120,000, 점도 800cps)가 6: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준비하고, 상기 고무계 점착제 100 중량부 대비 마이크로스페어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마이크로스페어는 실리카와 탄산칼슘을 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고탄성 테이프의 제작
한쪽의 면이 실리콘계 이형 처리제로 이형 처리된 두께 50㎛의 폴리에스테르 필름(도레이社, 상품명 XP-3BR)의 박리 처리면에, 위에서 기술한 폴리우레탄계 조성물을, 최종적인 두께가 40㎛가 되도록 어플리케이터로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도포된 폴리우레탄계 조성물의 상면에, 고무계 점착층 조성물을 30㎛가 되도록 어플리케이터로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 하였다. 폴리우리텐계 조성물의 하면에 고무계 점착층 조성물을 30㎛가 되도록 어플리케이터로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최종적으로 100㎛ 두께의 양면 테이프를 제조 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의 조성물을 제조할 때에 마이크로스페어의 함량을 10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의 조성물을 제조할 때에 마이크로스페어의 함량을 15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의 조성물을 제조할 때에 마이크로스페어의 함량을 20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2에서, 고무계 점착층의 조성물 제조시, 고무계 점착제로써, 스타렌-이소프렌-스타렌 고무와 스타렌-부타디엔 고무가 7:3의 중량비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2에서, 고무계 점착층의 조성물 제조시, 고무계 점착제로써, 스타렌-이소프렌-스타렌 고무와 스타렌-부타디엔 고무가 5:5의 중량비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2에서, 고무계 점착층의 조성물 제조시, 고무계 점착제로써, 스타렌-이소프렌-스타렌 고무와 스타렌-부타디엔 고무가 8:2의 중량비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2에서, 고무계 점착층의 조성물 제조시, 고무계 점착제로써, 스타렌-이소프렌-스타렌 고무와 스타렌-부타디엔 고무가 4:6의 중량비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의 조성물을 제조할 때에 마이크로스페어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의 조성물을 제조할 때에 마이크로스페어의 함량을 30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2에서, 고무계 점착층의 조성물 제조시, 마이크로스페어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2에서, 고무계 점착층의 조성물 제조시, 마이크로스페어의 함량을 15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상기 실시예 1의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로 기재층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스타렌-이소프렌-스타렌 고무와 스타렌-부타디엔 고무를 5: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고무계 점착층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이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테이프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험예 1> 인장강도 및 신장률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6의 양면 점착테이프 각각을 폭 10mm, 길이 200mm로 잘라내고, 척 간격을 100mm로 설정한 인장시험기에 고정하고, 300mm/분의 속도로 인장하고, 파단시의 강도(N/10mm)와 신장(%)을 측정해,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내충격성 실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6의 양면 테이프를 폭 0.8mm에서 50吩의 테두리 형상으로 재단하고, 한쪽의 이형지를 박리하여 2mm 두께의 유리판에 첩합하고, 다른 한쪽의 박리지를 박리하여 3mm 두께의 폴리카보네이트판에 첩합했다. 그리고 오토클레이브(autoclave)를 이용하여, 23℃, 0.5MPa로 1시간의 가압처리를 실시했다. 또한 SUS판을 이용하여 전체의 무게를 250g이 되도록 조정하고, -20℃의 환경하에 1시간 이상 두었다. 그리고, 1.5m의 높이로부터 시험판이 수직방향이 되도록 통 안을 통과하면서 콘크리트 바닥에 떨어뜨려, 유리판이 벗겨지는지 깨지는지 까지(A) 혹은 기재의 층간 파괴가 발생되기까지(B)의 낙하 회수를 측정해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복원력 실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상에 두께가 38 ㎛인 이형 필름을 덮고, TA(Texture analyzer XT-2i, micro stable system(제))를 사용하여, 직경이 1mm인 라운드형(round type) 프로브(probe)를 0.05 mm/sec의 조건으로 눌렀을 때, 깊이 50 ㎛의 변형에 드는 힘을 측정해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인장강도(N/mm) 신장률
(%)
내충격성
(회)
복원력
( gf )
실시예 1 14.73 428 50이상 66
실시예 2 16.88 357 50이상 65
실시예 3 19.89 347 50이상 64
실시예 4 21.43 340 50이상 63
실시예 5 18.42 422 50이상 65
실시예 6 16.38 436 50이상 58
비교예 1 14.78 431 45 54
비교예 2 13.48 438 40 50
비교예 3 10.47 455 30 40
비교예 4 22.48 334 49 49
비교예 5 15.44 371 42 43
비교예 6 16.98 346 36 45
상기 표 1에 의하면, 실시예 1 내지 6은 비교예 1 내지 6과 비교해 인장강도 및 신장률이 동등하거나 더 우수한 수준임에도, 내충격성 및 복원력이 훨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충격 흡수성 실험
실시예 1 및 비교예 7의 양면 테이프에 대하여 내충격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충격 흡수성 실험을 도 1, 도 2와 같이 실시하였다. 표준 샘플이 되는 SUS 기판에 충격 에너지 측정 장치를 연결한 후, SUS 기판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30cm의 높이에서 무게 16g의 스틸 볼(Steel ball)을 떨어뜨려, 상기 스틸 볼이 표준 샘플을 충격할 때의 충격 표준 샘플의 충격 에너지를 측정하였다(도 1 참조). 다음으로 SUS 기판에 실시예 1의 고탄성 테이프를 부착하여 SUS 기판-테이프 적층체에 충격 에너지 측정 장치를 연결한 후, 상기 적층체로부터 수직방향으로 30cm의 높이에서 무게 16g의 스틸 볼을 떨어뜨려, 상기 스틸 볼이 상기 실시예 1의 고탄성 테이프가 부착된 적층체를 충격할 때의 충격 에너지를 측정하였다(도 2 참조). 표준 샘플의 충격 에너지 거동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고, 실시예 1의 고탄성 테이프가 부착된 적층체의 충격 에너지 거동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 및 도 4의 그래프에서 점 충격 에너지는 Max Peak의 면적 계산 값이고, 면 충격 에너지는 Peak의 전체 면적 계산 값이다. 그리고 충격 흡수 에너지는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계산한다. 아래의 식에 의해 실시예 1의 테이프에 대한 점 충격 에너지 및 면 충격 에너지를 계산해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충격 흡수에너지 = 표준 샘플의 충격 에너지 - 테이프의 충격 에너지
비교예 7의 테이프에 대해서도 실시예 1의 테이프에 대해 실시했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충격 에너지를 측정해 그 거동을 도 5에 나타내었고, 도 5를 바탕으로 점 충격 에너지 및 면 충격 에너지를 계산해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점 흡수 에너지 값 및 면 흡수 에너지 값이 클수록 내충격성이 양호한 것을 의미한다.
구분 표준샘플 점 충격 에너지 표준샘플 면 충격에너지 점 충격 에너지 면 충격 에너지 점 흡수 에너지 면 흡수 에너지
실시예 1 201N 4874N 145N 4493N 56N 381N
비교예 7 160N 4604N 41N 270N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테이프는 비교예 7의 테이프보다 점 흡수 에너지 값 및 면 흡수 에너지 값이 큰 바, 충격 흡수가 잘되어 내충격성이 보다 우수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10: 스틸 볼(Steel ball)
20: SUS 기판
30: 충격 에너지 측정장치 센서
40: 양면 테이프

Claims (6)

  1.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미립자 2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적층된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착층은 고무계 점착제 100 중량부에 미립자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립자는 실리카와 탄산칼슘이 1:1 내지 3: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이며,
    상기 고무계 점착제는 스타렌-이소프렌-스타렌 고무 및 스타렌-부타디엔 고무가 7:3 내지 5: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및 복원력이 우수한 양면 점착 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는 활석, 실리콘 비드, 글래스 비스, 탈크, 탄산칼슘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및 복원력이 우수한 양면 점착 테이프.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계 점착제는 니트릴 고무, 천연 고무, 스타렌-부타디엔 고부, 부틸 고무,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스타렌-이소프렌-스타렌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및 복원력이 우수한 양면 점착 테이프.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20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및 복원력이 우수한 양면 점착 테이프.
KR1020170160059A 2017-11-28 2017-11-28 내충격성 및 복원력이 우수한 양면 점착 테이프 KR101987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059A KR101987849B1 (ko) 2017-11-28 2017-11-28 내충격성 및 복원력이 우수한 양면 점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059A KR101987849B1 (ko) 2017-11-28 2017-11-28 내충격성 및 복원력이 우수한 양면 점착 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555A KR20190061555A (ko) 2019-06-05
KR101987849B1 true KR101987849B1 (ko) 2019-09-24

Family

ID=66845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059A KR101987849B1 (ko) 2017-11-28 2017-11-28 내충격성 및 복원력이 우수한 양면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84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0991A (ja) * 1996-10-17 1998-05-12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テープ
KR101489533B1 (ko) 2010-11-29 2015-02-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용송전용량 선정방법
KR20170097562A (ko) * 2016-02-18 2017-08-28 최성균 터치스크린 패널용 피지 내성과 방수 및 충격 흡수 양면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555A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0884B1 (ko) 양면 접착 테이프, 이의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및 이를 통해 조립된 물품
KR102292340B1 (ko) 양면 점착 테이프 및 전자기기
TWI490306B (zh) 黏著帶
CN107109148B (zh) 具有发泡树脂基材的粘着带及其制造方法
CN105555894B (zh) 粘着胶带及电子器件
KR101078353B1 (ko)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충격흡수 및 실링용 시트의 제조 방법
CN110023439B (zh) 双面粘合带
TWI472429B (zh) 用於吸收衝擊與密封且具有黏性之片狀物及其製造方法
KR101884944B1 (ko) 양면 점착 테이프 및 터치패널 부착 표시장치
JP2006028416A (ja) 粘着テープ類
KR101961674B1 (ko)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
KR102132851B1 (ko) 디스플레이 기기용 내충격성 양면테이프
CN104321398A (zh) 粘合带
KR101993799B1 (ko)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및 제조방법
KR101550095B1 (ko) 점착 테이프
KR20150058242A (ko) 백 그라인드 시트
KR101598796B1 (ko) 자가복원 기능을 갖는 양면테이프
JP2013067737A (ja) 透明粘着シート
JP2017226757A (ja) 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物品及び携帯電子端末
KR101987849B1 (ko) 내충격성 및 복원력이 우수한 양면 점착 테이프
JP2017014333A (ja) 粘着テープ、その製造方法、物品及び電子機器
KR20170011569A (ko) 충격 흡수용 금속 테이프
CN111108162A (zh) 含固化性接合材料的层叠体的制造方法
KR101672467B1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모바일 기기용 점착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49505A (ko) 충격흡수용 점착성 시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