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486B1 - Step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tep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486B1
KR101987486B1 KR1020130078680A KR20130078680A KR101987486B1 KR 101987486 B1 KR101987486 B1 KR 101987486B1 KR 1020130078680 A KR1020130078680 A KR 1020130078680A KR 20130078680 A KR20130078680 A KR 20130078680A KR 101987486 B1 KR101987486 B1 KR 101987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oot plate
door
vehicl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6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84281A (en
Inventor
최회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8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486B1/en
Publication of KR20130084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2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4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의 안전한 승ㆍ하차를 위해 승합 차량 등에 설치되는 스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작동시 이와 연계적으로 수납 및 인출 작동되면서 승객의 안전한 승ㆍ하차는 물론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텝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최근 승객의 안전한 승ㆍ하차를 위해 점차 강화되고 있는 관련 법규에 대한 대응 및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고, 시스템 단순화를 통해 기존 시스템 대비 투자비, 중량, 원가절감 및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스텝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p system installed on a passenger's vehicle for safely raising and lowering a passenger.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a new type of step system capable of securing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as well as safely raising and lowering the passenger while receiving and pulling out the slide door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lide door, We also provide a step system for automobiles that can secure investment safety, safety of passengers, and simplify the system to improve investment cost, weight, cost, and durability compared to existing systems.

Description

차량용 스텝 시스템{Step system for vehicl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p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객의 안전한 승ㆍ하차를 위해 승합 차량 등에 설치되는 스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p system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p system installed in a passenger's car for safely raising and lowering the passenger.

일반적으로 승합 차량이나 오프로드 및 RV 차량은 차량의 용도에 따른 특성이나 크기 등으로 인해 승용차에 비해 높은 지상고를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승하차 과정에서 승객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도어의 하부에 발판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 스텝이 구비된다.Generally, a passenger car, an off-road and an RV vehicle have a higher ground clearance than a passenger car due to the characteristics and size of the vehicle. Thus, a pedestal function is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door Is provided.

예를 들면, 승합 차량, RV(Recreational Vehicle), SUV(Sports Utility Vehicle) 등의 차량은 승용차에 비하여 차고가 높고 오프 로드를 주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플로어의 지상고를 높게 설계한다. For example, a vehicle such as a multipurpose vehicle, an RV (Recreational Vehicle), and an SUV (Sports Utility Vehicle) often has a higher garage than a passenger car and travels off-road, so that the floor height of the floor is designed to be high.

따라서, 승객의 승ㆍ하차 및 화물의 적재나 하역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노약자나 어린이와 같이 키가 작아 높은 탑승 위치로 오를 경우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해 보조 스텝이 갖추어져 있다. Accordingly, auxiliary steps are provided to facilitate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passengers and loading and unloading of cargo, and to provide convenience when a person is taller such as an elderly person or a child and arrives at a higher boarding position.

보통 보조 스텝은 사이드 실 패널과 내측 프레임 등에 용접 또는 볼트로 조립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러한 보조 스텝은 차실내 바닥과 지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높은 지상고에 따른 승하차시의 불편을 완화시키고, 이와 함께 보조 발판의 상면에 고무재로 이루어진 마감재를 부착시켜 승하차 과정에서 미끄럼을 방지하여 안전한 승하차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Usually, the auxiliary step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is welded or bolted to the side seal panel and the inner frame. Such an auxiliary step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loor of the car and the ground so as to alleviate the inconvenience of getting on and off due to high ground clearance,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footrest is attached with a finishing material made of rubber material so as to prevent slipping during the getting on and off, thereby allowing a safe getting on and off.

이와 같은 보조 스텝은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276207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308678호, 한국 등록특허 10-0761914호 등에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개시되어 있다. Such auxiliary steps are disclosed in various forms such as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76207,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08678,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761914, and the like.

그러나, 종래의 보조 스텝은 사용유무에 관계없이 항상 차량 외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보행자 및 돌출물과 부딪칠 수 있는 등 차량의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auxiliary step is alway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auxiliary step is used,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can be hindered, for example, by colliding with an external pedestrian and a protrusion.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한국 공개특허 10-2002-0015525호, 한국 공개특허 10-2005-0047637호, 한국 공개특허 10-2005-0113959호 등에서는 도어 열림시 인출되어 승객이 용이하게 승하차 할 수 있고, 도어 닫힘시에는 원래 위치로 수납되도록 할 수 있는 보조 스텝을 제시하고 있다.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15525, Korean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5-0047637,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113959, etc., are drawn out when the door is opened, And an auxiliary step that can be stored in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door is closed.

그러나, 종래의 수납/인출식 보조 스텝은 별도의 동력원(모터 등)을 사용하여 보조 스텝을 작동시키는 방식으로서, 모터 및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투자비가 별도로 발생하며, 이에 따른 중량 및 원가 상승이 불가피한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orage / withdrawable auxiliary step, a separate power source (such as a motor) is used to operate the auxiliary step, and investment costs for developing the motor and the control system are separately generated. There are inevitable disadvantages.

또한, 외부에 노출되어야 하는 시스템 특성상 모터의 내구성이 취약하며, 모터 및 링키지 구조를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보호하고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수단 등을 필요로 하는 등 이 또한 중량 및 원가 상승의 또 다른 원인이 된다.
In addition, the durability of the motor is poo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separate cover means for protecting the motor and the linkage structure from external impacts and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is required. Another cause of.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작동시 이와 연계적으로 수납 및 인출 작동되면서 승객의 안전한 승ㆍ하차는 물론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텝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최근 승객의 안전한 승ㆍ하차를 위해 점차 강화되고 있는 관련 법규에 대한 대응 및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고, 시스템 단순화를 통해 기존 시스템 대비 투자비, 중량, 원가절감 및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스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type of stepping device capable of securely lifting and lowering a passenger, By implementing the system,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by responding to th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hat have been gradually strengthened for the safe waging and getting off of the passengers in recent years and to improve the investment cost, weight, cost and dur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step system for a vehic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용 스텝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tep system for a vehicl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상기 차량용 스텝 시스템은 차체측 서포터에 의한 슬라이드 지지를 받으면서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한 발판과, 차체측과 발판측 사이에 설치되어 발판의 인출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댐퍼와, 슬라이드 도어측에 지지되어 함께 움직임과 더불어 발판측과 접촉하면서 도어 열림시 댐퍼에 의해 밀려나는 발판이 인출되도록 해주고 도어 닫힘시 발판을 밀어서 수납시켜주는 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vehicle step system includes a foot plate capable of being received and drawn out while being supported by a slide by a vehicle body supporter, a damper provided between the vehicle body side and the foot plate side to provide power for drawing out the foot plate, And a roller assembly for moving the foot plate in contact with the foot plate and allowing the foot plate pushed by the damper to be pulled out when the door is opened and pushing the foot plate when the door is closed.

따라서, 상기 차량용 스텝 시스템은 슬라이드 도어 개폐시 이와 연동되면서 발판이 수납 및 인출되는 방식을 통해 승객에게 승ㆍ하차시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refore, the step system for a vehicle has a feature that it can provide convenience to the passengers when the slide door is opened and closed through a method in which the footrest is stored and taken out while being interlocked with the slide door.

여기서, 상기 롤러 어셈블리측과 접촉하는 발판의 선단부는 발판 길이방향의 한쪽 끝에서 반대쪽 끝으로 갈수록 차체 내측으로 휘어져 들어오는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도어 열림시 발판이 점차적으로 서서히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contacting the roller assembly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that curves toward the inside of the vehicle body from one end to the opposit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otstool, so that the footstep can be gradually drawn out .

그리고,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슬라이드 도어측에 일단부가 지지되는 롤러 암과, 상기 롤러 암의 타단부에 그 일단부가 힌지구조로 연결되는 롤러 홀더와, 상기 롤러 홀더의 타단부에 장착됨과 더불어 발판측과 접촉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 암과 롤러 홀더 사이에 탄력적으로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roller assembly includes a roller arm having one end on the side of the slide door, a roller hold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ller arm by a hinge structure, and a roller holder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roller holder, And a spring elastically interposed between the roller arm and the roller holder.

또한, 상기 롤러 어셈블리에는 롤러 암에 형성되어 롤러 홀더의 회전반경을 규제하는 스톱퍼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발판에는 차체측 서포터에 끼워져 슬라이드되면서 발판의 수납 및 인출 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바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ller assembly may be provided with a stopper formed on the roller arm and regulating a radius of rotation of the roller holder, and a guide bar may be provided on the footplate to guide the storage and extraction operations of the footplat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body- have.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용 스텝 시스템은 댐퍼와 발판의 결합 구조 및 롤러 어셈블리와 발판의 매칭 구조를 통해 슬라이드 도어 개폐작동시 보조 스텝이 연동되면서 인출 및 수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전체적인 시스템을 단순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투자비, 중량, 원가절감 및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vehicle step system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such a manner that the auxiliary step is interlocked and stored in the slide door opening / closing operation through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damper and the foot plate and the matching structure of the roller assembly and the foot pl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investment cost, weight, cost, and dur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텝 시스템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텝 시스템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텝 시스템의 롤러 어셈블리를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텝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p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p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ller assembly of a step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tep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텝 시스템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텝 시스템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p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p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용 스텝 시스템은 승합 차량 등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작동시 발판이 연계적으로 수납 및 인출 작동되면서 승객에게 승차 및 하차시의 편의를 제공해줄 수 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tep system for a vehicle provides a convenience for a passenger to get on and off while the pedestal is stored and pulled out in conjunction with the slide door when the slide door is opened or closed .

이를 위하여, 승차 및 하치시 승객이 실제 발로 밟을 수 있는 수단으로 발판(11)이 마련되고, 상기 발판(11)은 슬라이드 도어의 하단부와 접하는 위치의 차체측에 배치되어, 다수 개의 차체측 서포터에 의해 지지되면서 차실내 내외측으로 수납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To this end, a footrest (11) is provided as a means by which passengers can be stepped on their feet, and the footrest (11) is disposed on the vehicle body side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lide door, So that it can be stored and taken out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ar.

예를 들면, 차체측에는 발판(11)의 상부 및 측부에 위치됨과 더불어 차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되는 2개의 차체측 서포터(10a,10b)가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측부의 차체측 서포터(10a)에는 발판(11)의 한쪽 측단부가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며, 상부의 차체측 서포터(10b)에는 발판(11)에 구비되는 가이드 바(19)를 통해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For example, on the vehicle body side, two body-side supporters 10a and 10b, which are positioned on the upper and side portions of the foot plate 11 and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re provided. On the vehicle body side supporter 10a, Side supporter 10b is slidable by being inserted through a guide bar 19 provided on the foot plate 11. The upper end of the vehicle body side supporter 10b is slidable.

이때, 측부에 설치되는 차체측 서포터(10a)의 경우 "ㄷ"자형 단면을 갖는 레일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또 상부에 설치되는 차체측 서포터(10b)의 경우에는 아래쪽이 개방되어 있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레일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vehicle body side supporter 10a provided on the side portion, it can be made of the rail member having the "C" shaped cross section and in the case of the vehicle body side supporter 10b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And a rail member having a cross section.

그리고, 상기 발판(11)은 직사각형의 판체를 기본 형태로 하면서 후술하는 롤러 어셈블리(13)측과 접촉하는 선단부가 호(弧) 형상을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The pedestal 11 has a rectangular shape as a basic shape, and has a distal end contacting the roller assembly 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n arc shape.

즉, 상기 발판(11)의 선단부는 발판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한쪽 끝에서 반대쪽 끝으로 갈수록 차체 내측으로 완만하게 휘어져 들어오는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11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gradually ben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vehicle body from one end to the opposite end along the foot length direction.

이에 따라, 상기 발판(11)은 호(弧) 형상을 이루는 선단부로 인해 갖게 되는 폭 차이를 이용하여 도어 열림시 그 열림 정도에 따라 점차적으로 밖으로 인출 또는 안으로 수납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footstep 11 can be gradually taken out or housed in the door according to the degree of opening thereof when the door is opened, using the width difference due to the arc-shaped front end portion.

또한, 상기 발판(11)의 인출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댐퍼(12)가 마련되고, 이때의 댐퍼(12)는 몸체부분을 통해 차체측에 고정되는 동시에 로드부분을 통해 발판(11)측에 연결된다. A damper 12 is provided as a means for providing power for pulling out the foot plate 11. The damper 12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side through the body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

즉, 상기 댐퍼(12)는 차폭방향으로 움직이는 발판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그 몸체부는 차체측 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되고, 이와 더불어 로드부는 댐퍼 브라켓(20)를 매개로 하여 발판(11)의 저면에 연결된다. That is, the damper 12 is disposed in parallel to the foot moving direction that moves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the body portion thereof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side frame (not shown), and the rod portion is fixed to the foot plate 11 As shown in FIG.

이러한 댐퍼(12)는 가스식, 유압식 등의 일반 댐퍼를 적용할 수 있으며, 발판(11)을 항상 바깥쪽으로 밀어내려는 작동특성을 가지게 된다. The damper 12 can be a general damper such as a gas type or a hydraulic type, and has an operating characteristic of always pushing the foot plate 11 outwardly.

이에 따라, 상기 댐퍼(12)는 도어 닫힘시 롤러 어셈블리(13)에 의해 밀려서 압축된 상태로 있다가, 도어 열림시에는 팽창 복원되면서 발판(11)을 밖으로 밀어내어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door is closed, the damper 12 is pushed by the roller assembly 13 and is in a compressed state. When the door is opened, the damper 12 is expanded and restored, and the footplate 11 can be pushed out and taken out.

그리고, 상기 발판(11)의 수납 및 인출시 이를 안내하는 수단으로 가이드 바(19)가 마련된다. A guide bar 19 is provided as means for guiding the footrest 11 when it is stored and withdrawn.

상기 가이드 바(19)는 발판(11)의 폭 후단부의 길이 중간쯤 위치에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하단을 통해 발판측에 고정되고, 상단을 통해 상부측의 서포터(10b)에 슬라이드 결속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guide bar 19 is vertically installed at a position about the middle of the width of the width of the foot plate 11 and is fixed to the foot plate side through the lower end and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supporter 10b through the upper end do.

즉, 상기 가이드 바(19)의 상단부는 원형의 봉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측의 서포터(10b)가 가지는 원형의 단면 내에 동심원상으로 끼워지게 되고, 이렇게 끼워진 상태에서 원형의 단면이 이루는 홈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발판(11)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guide bar 19 is formed in the form of a circular rod, and is inserted concentrically in a circular cross section of the upper supporter 10b. In this state, It is possibl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foot plate 11 while sliding.

이에 따라, 상기 발판(11)은 측부측의 서포터(10a)에 끼워지는 측단부, 그리고 상부측의 서포터(10b)를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 바(19)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수납 및 인출 작동될 수 있게 된다. Thus, the footrest 11 can be stably stored and drawn out by using the side end portions of the side portions that are fitted to the side supporters 10a and the guide bars 19 that are guided along the upper side supporter 10b .

특히, 슬라이드 도어와 함께 움직이면서 발판(11)의 수납 및 인출 작동을 적절히 규제하는 수단으로 롤러 어셈블리(13)가 마련된다. In particular, the roller assembly 13 is provided as means for appropriately regulating the storage and retrieval operations of the footstep 11 while moving together with the slide door.

상기 롤러 어셈블리(13)는 슬라이드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 개폐시 함께 움직일 수 있게 되고, 이와 더불어 발판(11)측과 접촉하면서 발판(11)의 인출 및 수납 작동을 적절하게 규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roller assembly 13 is installed on the slide door so that the roller assembly 13 can be moved together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In addition, the roller assembly 13 is in contact with the foot plate 11 and appropriately regulates the drawing and storing operations of the foot plate 11.

즉, 상기 롤러 어셈블리(13)는 도어 열림시의 경우에 발판(11)의 한쪽 끝으로 물러나면서 댐퍼(12)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려나는 발판(11)이 인출되도록 해주고, 또 도어 닫힘시의 경우에는 다른 한쪽으로 발판(11)을 밀어주면서 강제로 발판(11)을 수납시킬 수 있게 된다. That is, in the case of opening the door, the roller assembly 13 is retracted to one end of the foot plate 11, thereby allowing the foot plate 11 to be pulled out by the damper 12 to be pulled out. The foot plate 11 can be forcibly accommodated while pushing the foot plate 11 to the other side.

이때, 상기 롤러 어셈블리(13)의 경우에는 발판(11)의 인출 및 수납 작동을 규제하면서도 후술하는 스프링(17)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도어 작동시의 충격을 적절히 흡수하는 역할도 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roller assembly 13, the pulling and storing operation of the foot plate 11 is regulated, but also the function of appropriately absorbing the impact at the door operation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7 described later.

이러한 롤러 어셈블리(1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 역할을 하는 롤러 암(14)과 롤러(16)를 잡아주는 롤러 홀더(15)와 발판(11)측과 접촉하면서 굴러가는 롤러(16)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3, the roller assembly 13 includes a roller arm 14 serving as a support, a roller holder 15 for holding the roller 16, (16), and the like.

여기서, 상기 롤러 암(14)의 일단부는 슬라이드 도어에 장착되어 있는 도어 암(21)에 고정되고, 이렇게 고정되는 도어 암(21)의 타단부에는 상기 롤러 홀더(15)의 한쪽 단부가 힌지구조, 예를 들면 핀(미도시)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렇게 연결되는 롤러 홀더(15)의 다른 한쪽 단부에 롤러(16)가 장착된다. One end of the roller arm 14 is fixed to the door arm 21 mounted on the slide door and the other end of the door arm 21 is fixed to one end of the roller holder 15 by a hinge structure For example, a pin (not shown), and the roller 16 is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roller holder 15 to which the roller holder 15 is connected.

이에 따라, 상기 롤러(16)를 포함하는 롤러 홀더(15) 전체는 롤러 암(15)측의 힌지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entire roller holder 15 including the roller 16 can be rotated about the hinge portion on the roller arm 15 side.

그리고, 상기 롤러 암(14)과 롤러 홀더(15) 사이에는 스프링(17)이 탄력적으로 개재되어, 롤러(16)를 포함하는 롤러 홀더(15) 전체를 항상 일방향, 예를 들면 화살표 방향과 같이 롤러 홀더(15)가 펴지려고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이때의 스프링 힘에 의해 롤러(16)는 발판(11)측에 안정적으로 상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 spring 17 is elastically interposed between the roller arm 14 and the roller holder 15 so that the entire roller holder 15 including the roller 16 is always moved in one direction, The roller holder 15 can exert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oller holder 15 is going to expand. As a result, the roller 16 can be stably and always stuck on the foot plate 11 by the spring force at this time.

이때, 상기 스프링(17)은 일종의 판 스프링으로서, 롤러 암(14)의 이면부 및 힌지부위 둘레를 거쳐 롤러 홀더(15)의 이면부를 따라 밀착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spring 17 is a kind of plate spring, and can be install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spring 17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back portion of the roller holder 15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roller arm 14 and the hinge portion.

또한, 상기 롤러 어셈블리(13)에는 롤러 홀더(15)의 회전반경을 규제하는 스톱퍼(18)가 구비되는데, 이때의 스톱퍼(18)는 롤러 암(14)의 타단부 위치(힌지부위)에서 바깥면에 돌출 형성되어, 롤러 홀더(15)가 일정각도 이상 뒷쪽으로 젖혀지는 것, 예를 들면 롤러 홀더(15)가 완전히 펴지는 것을 구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roller assembly 13 is provided with a stopper 18 for regulating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roller holder 15. The stopper 18 at this time is located outside the roller arm 14 at the other end So as to restrain the roller holder 15 from being bent rearward beyond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to completely unfold the roller holder 15. [

이렇게 상기 스톱퍼(18)에 의해 롤러 홀더(15)가 규제되므로서, 스프링(17)의 힘을 받아 펴지려는 롤러 홀더(15)는 롤러 암(14)과의 일직선을 이루는 상태까지 완전히 펴지지 않고 일정각도 꺽여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roller holder 15 is restricted by the stopper 18 as described above, the roller holder 15, which receives the force of the spring 17 and is intended to be unfolded, does not fully expand to a state of being in line with the roller arm 14,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in an angle-bent state.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스텝 시스템의 작동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ccordingly, the operating state of the step system for a vehic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텝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tep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a)는 슬라이드 도어(100)와 발판(11)의 클로즈 상태로서, 이때의 댐퍼(12)는 발판(11)을 바깥쪽으로 밀어내려는 힘을 유지하고 있게 되고, 롤러 어셈블리(13)는 접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4A shows a state in which the slide door 100 and the footrest 11 are closed and the damper 12 at this time maintains the force to push the footrest 11 outwardly, The roller assembly 13 remains in a folded state.

(b)는 슬라이드 도어(100)를 약 1/2 정도(약 400mm) 오픈한 상태로서, 승객이 슬라이드 도어(100)를 열게 되면 발판(11)은 댐퍼(12)의 반발력에 의해 일정거리, 예를 들면 약 50mm 정도 밖으로 인출된다. when the passenger opens the slide door 100, the foot plate 11 is moved to a certain distance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damper 12, For example, about 50 mm.

이때, 상기 롤러 어셈블리(13)의 롤러(16)는 발판(11)의 호(弧) 형상 구면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고, 내측의 스프링(17)의 힘에 의해 각도가 펴지면서 도어측과 발판측 간의 거리를 조절해주게 된다. At this time, the roller 16 of the roller assembly 13 is moved along the arc-shaped spherical surface of the foot plate 11, and the angle of the roller 16 is increased by the force of the spring 17 on the inner sid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m.

(c)는 슬라이드 도어(100)가 완전히(약 800mm) 오픈된 상태를 나타낸다. (c) shows a state in which the slide door 100 is completely opened (about 800 mm).

승객이 슬라이드 도어(100)를 완전히 오픈하게 되면 댐퍼(12)의 반발력에 의해 발판(11)은 밖으로 완전히(약 200mm) 인출된다. When the passenger fully opens the slide door 100, the foot plate 11 is completely pulled out (about 200 mm)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damper 12.

이때, 상기 롤러 어셈블리(13)의 롤러(16)는 발판(11)의 호(弧) 형상 구면의 끝단에 위치하게 되고, 내측의 스프링(17)의 힘에 의해 각도가 펴지면서 도어측과 발판측 간의 거리를 조절해주게 된다. At this time, the roller 16 of the roller assembly 13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arcuate spherical surface of the foot plate 11, and the angle is expanded by the force of the inner spring 17, There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s.

물론, 슬라이드 도어를 닫게 되면 발판의 호(弧) 형상 구면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에 의해 발판이 안쪽으로 밀리면서 원래 위치로 복귀(수납)될 수 있게 된다. Of course, when the slide door is closed, the foot plate is pushed inwardly by the roller moving along the arc-shaped spherical surface of the foot plate, so that the foot plate can be returned (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작동과 연계되면서 수납 및 인출 작동되는 새로운 스텝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승객의 안전한 승ㆍ하차는 물론, 시스템 단순화를 통한 투자비, 중량, 원가절감 및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new step system that is stored and pulled out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lide door, the passenger can safely raise and lower the passenger, and also can improve the investment cost, weight, cost, and durability by simplifying the system can do.

10a,10b : 서포터 11 : 발판
12 : 댐퍼 13 : 롤러 어셈블리
14 : 롤러 암 15 : 롤러 홀더
16 : 롤러 17 : 스프링
18 : 스톱퍼 19 : 가이드 바
20 : 댐퍼 브라켓 21 : 도어 암
10a, 10b: supporter 11: footrest
12: damper 13: roller assembly
14: roller arm 15: roller holder
16: roller 17: spring
18: Stopper 19: Guide bar
20: damper bracket 21: door arm

Claims (5)

차체측 서포터에 의한 슬라이드 지지를 받으면서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한 발판;
차체측과 발판측 사이에 설치되어 발판의 슬라이드 인출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댐퍼;
슬라이드 도어측에 지지되어 함께 움직임과 더불어 상기 발판측과 접촉하면서 도어 열림시 댐퍼에 의해 밀려나는 발판이 슬라이드 인출되도록 해주고 도어 닫힘시 발판을 밀어서 슬라이드 수납시켜주는 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 어셈블리측과 접촉하는 발판의 선단부는 발판 길이방향의 한쪽 끝에서 반대쪽 끝으로 갈수록 차체 내측으로 휘어져 들어오는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져 도어 열림시 발판이 점차적으로 슬라이드 인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슬라이드 도어측에 일단부가 지지되는 롤러 암과, 상기 롤러 암의 타단부에 그 일단부가 힌지구조로 연결되는 롤러 홀더와, 상기 롤러 홀더의 타단부에 장착됨과 더불어 발판측과 접촉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 암과 롤러 홀더 사이에 탄력적으로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텝 시스템.
A footrest capable of being stored and withdrawn while receiving slide support by a body-side supporter;
A damper installed between the vehicle body side and the foot plate side to provide power for slide-out of the foot plate;
And a roller assembly which is supported on the slide door and moves together with the foot so as to slide the foot plate pushed by the damper when the door is opened while sliding on the foot plate side and slide the foot plate when the door is closed,
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contacting with the roller assembly is formed in an arc shape which is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vehicle body from one end to the opposit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otstool so that the footrest can be gradually pulled out when the door is opened.
The roller assembly includes a roller arm having one end on a side of the slide door, a roller hold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ller arm by a hinge structure, and a roller holder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roller holder, A roller, and a spring elastically interposed between the roller arm and the roller hold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롤러 암에 형성되어 롤러 홀더의 회전반경을 규제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ller assembly further comprises a stopper formed on the roller arm and regulating the turning radius of the roller hold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차체측 서포터에 끼워져 슬라이드되면서 발판의 수납 및 인출 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ot plate includes a guide bar for guiding the storage and withdrawal operation of the foot plate while being slidably inserted in the supporter on the vehicle body side.
KR1020130078680A 2013-07-05 2013-07-05 Step system for vehicle KR1019874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680A KR101987486B1 (en) 2013-07-05 2013-07-05 Step syste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680A KR101987486B1 (en) 2013-07-05 2013-07-05 Step system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281A KR20130084281A (en) 2013-07-24
KR101987486B1 true KR101987486B1 (en) 2019-06-10

Family

ID=48994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680A KR101987486B1 (en) 2013-07-05 2013-07-05 Step system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48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9503B2 (en) * 2016-07-22 2020-06-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Automatic step control method and automatic step control device
KR101975877B1 (en) * 2017-09-26 2019-05-07 양성욱 Sliding step device of electric rail ca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6926B2 (en) * 1989-08-08 1997-05-0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Car auto step device
JP2606927B2 (en) 1989-08-08 1997-05-0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Car auto step device
JP2662890B2 (en) 1989-02-27 1997-10-15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Car step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9341U (en) * 1986-02-12 1987-08-15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2890B2 (en) 1989-02-27 1997-10-15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Car step equipment
JP2606926B2 (en) * 1989-08-08 1997-05-0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Car auto step device
JP2606927B2 (en) 1989-08-08 1997-05-0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Car auto step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281A (en) 201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16701B (en) Hinge apparatus, hood apparatus, vehicle, and method of using hinge apparatus
US7621586B2 (en) Sliding door roller bracket track extension with interlock
KR20040034241A (en) Side step for a car
US8490736B2 (en) Active hood system for vehicle
US5409262A (en) Vehicle safety system
KR101987486B1 (en) Step system for vehicle
US20030098592A1 (en) Seat arrangement
US3542417A (en) Rear entry door for automobiles
JP6285722B2 (en) Front flapper device for platform in vehicle lifting device
JPH07205733A (en) Vehicle safety mechanism
KR102002973B1 (en) Rear low-profile truck
KR100552164B1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side step of recreation vehicle
JP5077677B2 (en) Elevating device for vehicle
KR101599151B1 (en) A Tow truck
KR100581167B1 (en) Seat tray for automobile
KR101936464B1 (en) Hood hinge device for vehicle
KR102670565B1 (en) Bolster lifting device for seat cushions of vehicle
US20240058187A1 (en) In-floor ramp assembly with overhead rail, lateral guides, and energy absorbing end stops
JPH08268140A (en) Vehicle equipped with cargo resting stand
KR102131636B1 (en) Disabled lift entry platform
KR101955965B1 (en) Car door protector
US20230043284A1 (en) Ramp assembly for a passenger vehicle
JP4982152B2 (en) Elevating platform car stop device and elevating device
ITTO990640A1 (en) REAR SEAT OF VEHICLE WITH BACKREST INCLUDING AT LEAST A ROTABLE PORTION AROUND A LATERAL VERTICAL AXLE.
KR20230164390A (en) Bolster lifting device for seat cushions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