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445B1 - 다이어리의 투명창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이어리의 투명창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445B1
KR101987445B1 KR1020170123510A KR20170123510A KR101987445B1 KR 101987445 B1 KR101987445 B1 KR 101987445B1 KR 1020170123510 A KR1020170123510 A KR 1020170123510A KR 20170123510 A KR20170123510 A KR 20170123510A KR 101987445 B1 KR101987445 B1 KR 101987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film
transparent
sensitive adhesive
film shee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4915A (ko
Inventor
조영철
조정민
조수민
Original Assignee
조영철
조정민
조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철, 조정민, 조수민 filed Critical 조영철
Priority to KR1020170123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445B1/ko
Publication of KR20190034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2Book covers made of special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8Other accessori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를 위해 사용되는 수첩, 다이어리 및 바인더 등의 겉표지 내부에 명함이나 카드 등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에 형성되는 부착식 투명창을 간단히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한 다이어리의 투명창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형지와 부착된 제1투명필름지로부터 이형지를 분리하는 이형지 분리단계; 이형지가 분리된 제1투명필름지의 일측면로부터 투명창을 구성할 홀의 크기에 대응시켜 점착제를 제거하는 점착제 제거단계; 및 분리된 이형지와 점착제가 제거된 제1투명필름지를 합지한 후 기(旣) 설정된 형상으로 톰슨가공하는 도무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의 투명창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이어리의 투명창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TRANSPARENT WINDOW FOR DIARY}
본 발명은 다이어리의 투명창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모를 위해 사용되는 수첩, 다이어리 및 바인더 등의 겉표지 내부에 명함이나 카드 등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에 형성되는 부착식 투명창을 간단히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한 다이어리의 투명창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모를 위해 사용되는 수첩, 다이어리 및 바인더 등(이하, '다이어리'라 통칭함)에는 카드나 명함 등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홀과, 상기 수납홀을 통해 수납된 카드나 명함 등을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한 소정 크기의 투명창이 구비된다.
이러한 투명창은 통상 투명판에 부착할 부위, 즉, 사각형상의 테두리 부위에만 점착제를 도포하여 부착하였다.
그러나, 수작업에 의한 일반적인 점착제 도포작업은 투명창 부착시 부착면에 공기가 유입되거나 밀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기계에 의한 점착제 도포 작업 역시 투명판의 부착될 테두리 부위에만 점착제를 도포한다는 것이 기술적으로 쉽지 않은 작업이기에 작업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PU, PP 및 PE 등의 재질로 구성된 투명판을 도무송 작업 후 수작업에 의한 점착제 도포 후 부착하기도 하였으나, 이 역시 작업이 난해하여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한편, 투명창 작업시 작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투명창 제조방법은 전무한 실정이며,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서만 실시중이고, 필름지와 관련된 기술은 포장용 필름지 등에만 소개되어 있는 실정이다.
(0001) 국내등록특허 제10-1117362호(포장용 다층 필름지 제조방법 및 포장용 다층 필름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이어리에 부착되는 투명창 제조시 제조상에서의 작업효율성은 물론, 투명창 부착 작업상에서의 작업효율성을 함께 높일 수 있는 다이어리의 투명창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다이어리의 투명창 제조방법은, 일측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형지와 부착된 제1투명필름지로부터 상기 이형지를 분리하는 이형지 분리단계; 상기 이형지가 분리된 상기 제1투명필름지의 일측면로부터 투명창을 구성할 홀의 크기에 대응시켜 점착제를 제거하는 점착제 제거단계; 및 분리된 상기 이형지와 점착제가 제거된 상기 제1투명필름지를 합지한 후 기(旣) 설정된 형상으로 톰슨가공하는 도무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다이어리의 투명창 제조방법은, 일측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형지와 부착된 제1투명필름지로부터 상기 이형지를 분리하는 이형지 분리단계; 제2투명필름지의 일측면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점착제 도포단계; 상기 이형지가 분리된 상기 제1투명필름지 일측면으로부터 투명창을 구성할 홀의 크기에 대응시켜 점착제를 제거하는 점착제 제거단계; 및 점착제가 제거된 상기 제1투명필름지의 타측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상기 제2투명필름지의 일측면을 부착하고, 분리된 상기 이형지와 점착제가 제거된 상기 제1투명필름지를 합지한 후 기(旣) 설정된 형상으로 톰슨가공하는 도무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제1투명필름지는 유광투명필름지와 무광투명필름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제1투명필름지 및 상기 제2투명필름지는 유광투명필름지와 무광투명필름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투명창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홀에 부착시, 상기 제1투명필름지의 타측면에 부착 기준선을 나타내도록 가이드라인을 인쇄하는 가이드라인 인쇄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이어리의 투명창 제조방법에 의해 작업 공정 자체가 간소화되며, 이로 인한 작업비용 절감 및 제조상의 작업 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투명창 제공시 작업자는 손쉽게 투명창 부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투명필름지 및 제2투명필름지를 유광 또는 무광필름지로 구성함으로써,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가이드라인을 통해 투명창을 신속 정확히 부착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의 투명창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작업 공정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업 공정에 따른 작업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의 투명창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작업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작업 공정에 의해 투명창이 제작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작된 투명창의 부착 상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도면상에는 각각의 층을 구분하여 보여주기 위해 두께를 도시한 것으로, 형상, 크기 및 두께 등은 실제 적용되는 투명창과 다름을 감안하여 이해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의 투명창(100)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작업 공정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업 공정에 따른 작업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다이어리의 투명창(100)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각의 공정 자체는 당업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공정 자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론적인 부분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이어리의 투명창(100) 제조방법은, 도 1을 참조하면 이형지 분리단계(S120), 점착제 제거단계(S130) 및 도무송 단계(S140)로 구성되며, 가이드라인 인쇄단계(S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제1투명필름지(110)와 이형지(200)가 분리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이형지 분리단계(S120)에서는 일측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이형지(200)와 부착되어 제작된 제1투명필름지(110)로부터 이형지(200)를 분리하는 단계이다. 이는 제1투명필름지(110)에 도포된 점착제를 제거하기 위한 사전 공정이다.
도 4는 제1투명필름지(1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점착제를 가이드라인(130) 내측만 제거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점착제 제거단계(S130)에서는 이형지(200)가 분리된 제1투명필름지(110)의 일측면으로부터 투명창(100)을 부착할 홀의 크기에 대응시켜 점착제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점착제 제거단계(S130)에서는 액상의 투명잉크액을 투명창(100)을 형성하는 부위에 인쇄(도포) 후 건조시킴으로써 점착제의 끈적임을 제거한다. 즉, 점착제에 끈적임이 없는 얇은 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액상의 투명잉크액은 메디움(medium)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제1투명필름지(110)에서 제작된 투명창(100) 이외의 부분을 제거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도무송 단계(S140)에서는 분리된 이형지(200)와 점착제가 제거된 제1투명필름지(110)를 합지한 후 기(旣) 설정된 형상으로 톰슨가공한다. 이때, 톰슨가공으로 절단과 동시에 제작된 투명창(100)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제1투명필름지(110) 부분은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라인 인쇄단계(S110)를 추가하여 제1투명필름지(110)의 점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타측면에 부착 기준선을 나타내도록 가이드라인(130)을 인쇄할 수 있으며, 가이드라인 인쇄단계(S110)는 이형지 분리단계(S120) 이전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라인 인쇄단계(S110)는 일반적인 인쇄공정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인쇄 후 건조 공정을 거친다.
가이드라인(130)을 기준으로 제1투명필름지(110), 즉, 가이드라인(130) 내부에 도포된 점착제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이드라인(130)은 투명창(100)이 형성되는 홀의 크기보다 일정 간격 크게 구성된다.
가이드라인(130)을 통해 작업자는 투명창(100) 부착시, 손쉽고 신속한 부착이 가능하다.
제1투명필름지(110)는 사용자의 기호에 맞춰 유광투명필름지를 사용하거나 무광투명필름지를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작업은 회전거치롤러를 포함한 이송(인쇄)수단을 통해 수행되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의 투명창(100)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작업 공정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작업 공정에 의해 투명창(100)이 제작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이어리의 투명창(100) 제조방법은, 도 6을 참조하면 이형지 분리단계(S220), 점착제 도포단계(S230), 점착제 제거단계(S240) 및 도무송 단계(S250)로 구성되며, 마찬가지로 가이드라인 인쇄단계(S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투명필름지를 제1투명필름지(110)와 제2투명필름지(120)로 구성하는 것으로써, 이형지 분리단계(S220), 점착제 제거단계(S240), 도무송 단계(S250) 및 가이드라인 인쇄단계(S210)는 전술한 일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
먼저, 제1투명필름지(110) 및 제2투명필름지(120) 역시 각각 유광투명필름지나 무광투명필름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투명필름지(110)는 유광투명필름지를 사용하고, 제2투명필름지(120)는 무광투명필름지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며, 이는 사용자가 무광을 선호할 경우와 내구성을 높이는 경우에 적용된다.
제1투명필름지(110)는 일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며, 제2투명필름지(120)는 무광투명필름지로써 점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상태로 제공된다. 제2투명필름지(120)는 제1투명필름지(110)에 비해 두께가 얇게 제공된다. 따라서, 점착제 도포단계(S230)에서는 제2투명필름지(120)의 일측면에 점착제를 도포하며, 점착제 용액에 제2투명필름지(120)의 일측면을 침지하여 도포할 수 있다.
도 7은 합지된 제1투명필름지(110)와 제2투명필름지(120)에서 제조된 투명창(100) 이외의 부분을 제거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도무송 단계(S250)에서는 점착제가 제거된 제1투명필름지(110)의 타측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제2투명필름지(120)의 일측면을 부착하고, 제2투명필름지(120)가 부착된 제1투명필름지(110)와 분리된 이형지(200)를 합지한 후 기(旣) 설정된 형상으로 톰슨가공한다. 이때,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톰슨가공으로 절단과 동시에 제조된 투명창(100)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제1투명필름지(110)와 제2투명필름지(120) 부분은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작된 투명창(100)의 부착 상태 도면이다.
전술한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투명창(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어리에 부착되는 수납부에 형성된 투명창 부착 홀(도면부호 미기재)에 가이드라인(130)을 기준으로 부착하게 되며, 도면상에는 종이 재질로 구성된 수납부 용지(10)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미도시 하였으나, 도 8과 같이 부착 후 점선을 기준으로 수납부 용지(10)를 접어 수납부를 구성한 뒤 다이어리의 겉표지 내측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 : 수납부 제작용지
100 : 투명창
110 : 제1투명필름지 120 : 제2투명필름지
130 : 가이드라인
200 : 이형지
S100 : 가이드라인 인쇄단계
S120 : 이형지 분리단계
S130 : 점착제 제거단계
S140 : 도무송 단계
S210 : 가이드라인 인쇄단계
S220 : 이형지 분리단계
S230 : 점착제 도포단계
S240 : 점착제 제거단계
S250 : 도무송 단계

Claims (5)

  1. 투명창을 형성하기 위해 제1투명필름지의 점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일측면에 부착 기준선을 나타내도록 가이드라인을 인쇄하는 가이드라인 인쇄단계;
    점착제가 도포된 일측면에 이형지와 부착된 상기 제1투명필름지로부터 상기 이형지를 분리하는 이형지 분리단계;
    상기 이형지가 분리된 상기 제1투명필름지의 점착제가 도포된 일측면에 투명창을 구성할 홀의 크기에 대응시켜 액상의 투명 잉크액을 인쇄 후 건조시킴으로써 점착제에 끈적임이 없는 얇은 막을 형성하여 점착제의 끈적임을 제거하는 점착제 제거단계; 및
    분리된 상기 이형지와 점착제가 제거된 상기 제1투명필름지를 합지한 후 기(旣) 설정된 형상으로 톰슨가공하는 도무송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투명필름지는,
    유광투명필름지와 무광투명필름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액상의 투명 잉크액은 메디움(medium)을 이용하며,
    상기 도무송 단계에서 톰슨가공으로 절단과 동시에 제작된 투명창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제1투명필름지 부분은 제거하며,
    상기 점착제 제거단계는 상기 가이드라인 내부에 도포된 점착제를 제거하며, 상기 가이드라인은 투명창이 형성되는 홀의 크기보다 일정 간격 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의 투명창 제조방법.
  2. 투명창을 형성하기 위해 제1투명필름지의 점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일측면에 부착 기준선을 나타내도록 가이드라인을 인쇄하는 가이드라인 인쇄단계
    점착제가 도포된 일측면에 이형지와 부착된 상기 제1투명필름지로부터 상기 이형지를 분리하는 이형지 분리단계;
    제2투명필름지의 일측면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점착제 도포단계;
    상기 이형지가 분리된 상기 제1투명필름지의 점착제가 도포된 일측면에 투명창을 구성할 홀의 크기에 대응시켜 액상의 투명 잉크액을 인쇄 후 건조시킴으로써 점착제에 끈적임이 없는 얇은 막을 형성하여 점착제의 끈적임을 제거하는 점착제 제거단계; 및
    점착제가 제거된 상기 제1투명필름지의 타측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상기 제2투명필름지의 일측면을 부착하고, 분리된 상기 이형지와 점착제가 제거된 상기 제1투명필름지를 합지한 후 기(旣) 설정된 형상으로 톰슨가공하는 도무송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투명필름지 및 상기 제2투명필름지는,
    유광투명필름지와 무광투명필름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제2투명필름지는 상기 제1투명필름지에 비해 두께가 얇게 제공되며,
    상기 액상의 투명 잉크액은 메디움(medium)을 이용하며,
    상기 도무송 단계에서 톰슨가공으로 절단과 동시에 제작된 투명창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제1투명필름지와 상기 제2투명필름지 부분은 제거하며,
    상기 점착제 제거단계는 상기 가이드라인 내부에 도포된 점착제를 제거하며, 상기 가이드라인은 투명창이 형성되는 홀의 크기보다 일정 간격 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의 투명창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23510A 2017-09-25 2017-09-25 다이어리의 투명창 제조방법 KR101987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510A KR101987445B1 (ko) 2017-09-25 2017-09-25 다이어리의 투명창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510A KR101987445B1 (ko) 2017-09-25 2017-09-25 다이어리의 투명창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915A KR20190034915A (ko) 2019-04-03
KR101987445B1 true KR101987445B1 (ko) 2019-06-12

Family

ID=66165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510A KR101987445B1 (ko) 2017-09-25 2017-09-25 다이어리의 투명창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44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8370B2 (ja) * 1993-12-22 2000-10-16 津田 明直 ポケットシ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91845B1 (ko) * 2002-08-30 2005-05-31 한숙희 점착물질의 정렬라인이 형성된 매트지
KR101117362B1 (ko) 2009-10-30 2012-03-08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포장용 다층 필름지 제조방법 및 포장용 다층 필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915A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0183B2 (en) Cover for a three-dimensional printer build surface
EP343222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rfid inlet
KR101987445B1 (ko) 다이어리의 투명창 제조방법
JP4639106B2 (ja) 被印字媒体
JP2007286462A (ja) プリンター用ラベル連続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8519411U (zh) 多类标签的同步打印组件
JP2013086315A5 (ko)
JP6453320B2 (ja) 金張りの前に基板を準備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4084246B2 (ja) ラミネートカード作成用台紙
JPH1173109A (ja) 円筒体用貼着ラベル
KR20100030519A (ko) 프린터 출력용 점착메모지 및 그 제조방법
JP5217879B2 (ja) 荷札の製造方法
JP2009059153A (ja) 書籍および書籍の製造方法
JP2008163155A (ja) 粘着剤転写シート
JP3116666U (ja) 両面ラミネートカード作成用のラミネート用紙
EP4287167A1 (en) Rfid label, rfid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fid label
EP3012114A1 (en) Multiple layer decalcomania and method of application / removal of the same
CN210667504U (zh) 可热转移打印覆膜标签
JP6587315B2 (ja) 台紙付き製本テープ及びその使用方法
US20140145424A1 (en) Form for Duplex Card
JP2003050547A (ja) ラベル付き商品明細書
JP2001249617A (ja) ラベルとそのラベルの製造装置および貼付装置
JP6664052B2 (ja) Rfid記録媒体シートの製造方法
JP3131030U (ja) 箔熱転写神札
JP5239013B2 (ja) 孔版印刷装置の圧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