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219B1 -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7219B1 KR101987219B1 KR1020170116647A KR20170116647A KR101987219B1 KR 101987219 B1 KR101987219 B1 KR 101987219B1 KR 1020170116647 A KR1020170116647 A KR 1020170116647A KR 20170116647 A KR20170116647 A KR 20170116647A KR 101987219 B1 KR101987219 B1 KR 1019872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conveyor
- crop
- unit
- hopp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호퍼 바닥부 및 공급 조절부를 포함하는 호퍼 유닛; 제2 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이송 바닥부를 포함하는 이송 유닛; 및 이송 유닛의 하측 단부에 위치하는 송풍 유닛을 포함하고, 공급 조절부는 제1 컨베이어로부터 이격되어 소정의 높이를 갖는 제1 롤러 및 제2 롤러를 포함하여, 투입되는 농작물은 제1 컨베이어 및 제1 롤러 사이 공간과 제1 롤러 및 제2 롤러 사이 공간을 통과하여 제2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에 의하면 농작물이 이송 유닛 상에 고르게 펼쳐진 후 낙하함으로써 꽃, 잎, 등의 불순물이 더 철저하고 신속하게 선별될 수 있으며, 선별작업 유닛의 높이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작업자가 편하게 앉은 자세에서 근골격계 부담없이 최종 선별 및 포장을 할 수 있고, 이송 유닛 상에 투입될 농작물은 일정량으로 투입이 가능하여 일정 속도로 선별 및 포장 작업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작물 수확 후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확물로부터 불순물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농작물을 선별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별/포장작업은 대부분의 농가에서 20kg 이상의 수확물을 바닥에 펼쳐놓고는 쪼그려 앉은 자세로 재선별/포장작업을 하고 있다. 이러한 20kg이상의 중량물을 들거나 불안정한 쪼그린 자세로 장시간 지속되는 작업은 혈액순환을 어렵게 하고, 다리, 어깨 등의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꽃, 잎 등 불순물이 자동 선별되고 작업자가 앉아서 선별 포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선별/포장 작업대의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의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의 한 예시로서 특허문헌 1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농작물 선별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고정프레임과, 이 고정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농작물이 투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 전방에 방사상으로 벌어지도록 설치되어 농작물이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배출안내바를 형성하고 있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의 하방에 근접 설치되어 상기 배출안내바 사이에 언혀진 농작물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이송바를 포함하는 이송부 및 상기 작업대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의 이송바 사이 간격을 점차적으로 벌어지도록 유도하는 선별가이드로 구성된다.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이송바가 이동되면서 배출안내바에 얹혀진 상태로 하방으로 노출된 농작물을 밀어내어 농작물이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농작물의 직경 크기와 비례하는 이송바와 배출안내바 사이 공간에서 농작물이 하방으로 낙하되어 농작물이 크기별로 선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농작물 선별장치에 의하면 농작물이 크기별로 선별될 수는 있으나, 수확물로부터 꽃, 잎, 벌레 등의 불순물이 용이하게 걸러질 수 없다. 예를 들면, 수확된 꽈리 고추와 같은 농작물을 특허문헌 1의 선별장치에 투입할 경우에, 배출안내바 하방으로 농작물이 노출되는 정도에 따라 이송바가 농작물에 닿지 못해 농작물이 밀려나가지 못하며, 농작물이 배출안내바 사이의 정해진 위치에 장시간 잔류되어 또 다른 농작물의 이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문제로 인해 복수의 농작물이 하나의 라인상에 언혀져 이송바가 농작물을 밀어내는데 큰 어려움이 있고, 이에 따라 구동기어 및 피동기어와 이송괘도간의 마찰로 구동기어 및 피동기어가 마모되며, 농작물을 밀어내는 이송바에 과도한 압력이 부가되어 구동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는 농작물이 원활하게 이동되면서 이로부터 꽃, 잎 등 불순물이 자동 선별되고, 구동부에 무리가 안 가도록 구성되고, 실질적인 사용성에 있어서 작업자가 앉아서 용이하게 선별 포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농작물 수확 후 처리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꽃, 잎 등 불순물이 자동 선별되고, 구동부에 무리가 안 가도록 구성되고, 실질적인 사용성에 있어서 작업자가 앉아서 용이하게 선별 포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농작물 수확 후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제1 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호퍼 바닥부 및 공급 조절부를 포함하는 호퍼 유닛; 제2 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이송 바닥부를 포함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의 하측 단부에 위치하는 송풍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 조절부는 상기 제1 컨베이어로부터 이격되어 소정의 높이를 갖는 제1 롤러 및 제2 롤러를 포함하여, 투입되는 농작물은 상기 제1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롤러 사이 공간과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 사이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 후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선별작업 유닛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컨베이어로 이송된 상기 농작물은 상기 제2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이송 유닛의 상기 단부로부터 낙하하여 상기 선별작업 유닛에 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별작업 유닛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별작업 유닛은 출구 조절부를 포함하여 출구의 폭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컨베이어는 제1 호퍼 회전축 및 제2 호퍼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 유닛을 향하여 투입된 상기 농작물을 이송하며,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 각각은 제1 롤러 회전축 및 제2 롤러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2 호퍼 회전축, 상기 제1 롤러 회전축 및 상기 제2 롤러 회전축은 일렬로 배열되어 벨트로 연결되어 연동하며, 상기 일렬은 상기 제1 컨베이어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여, 상기 호퍼 유닛에 투입되는 농작물은 1차적으로 상기 제1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롤러 사이 공간을 통과하고, 상기 제1 롤러의 높이 이상으로 투입된 상기 농작물이 쌓였을 경우에, 상기 농작물은 2차적으로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 사이 공간을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컨베이어는 제1 이송 회전축 및 제2 이송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상기 선별작업 유닛을 향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로 이송된 상기 농작물을 이송하며,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제2 이송 회전축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 회전축은 상기 제2 호퍼 회전축과 연동하며, 상기 제1 이송 회전축은 상기 제2 이송 회전축의 피동축이고, 상기 제1 호퍼 회전축은 상기 제2 호퍼 회전축의 피동축으로서, 상기 구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이송 회전축과 상기 제1 및 제2 호퍼 회전축 모두가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축과 상기 제2 이송 회전축의 회전 속도비는 1:3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구동축, 상기 제2 이송 회전축과 상기 제2 호퍼 회전축을 덮는 제1 커버, 및 상기 제1 롤러 회전축과 상기 제2 롤러 회전축을 덮는 제2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농작물이 이송 유닛 상에 고르게 펼쳐진 후 낙하함으로써 꽃, 잎, 등의 불순물이 더 철저하고 신속하게 선별될 수 있다.
또한, 선별작업 유닛의 높이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작업자가 편하게 앉은 자세에서 근골격계 부담없이 최종 선별 및 포장을 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유닛 상에 투입될 농작물은 일정량으로 투입이 가능하여 일정 속도로 선별 및 포장 작업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의 호퍼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의 기어부 커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의 선별작업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의 호퍼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의 기어부 커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의 선별작업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는 크게 호퍼 유닛(100), 이송 유닛(200), 송풍 유닛(300), 및 선별작업 유닛(400)을 포함한다.
호퍼 유닛(100)은 호퍼 바닥부(110), 호퍼 바닥부(110)의 프레임에 연결된 호퍼 가이드부(120), 호퍼 가이드부(120)와 연결된 공급 조절부(130)를 포함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호퍼 유닛(100)은 공급 조절부(130)에 연결된 커버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호퍼 바닥부(110)는 제1 컨베이어(111), 제1 컨베이어(111)가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1 호퍼 회전축(112) 및 제2 호퍼 회전축(113)을 포함한다. 제1 호퍼 회전축(112) 및 제2 호퍼 회전축(113)이 회전함으로써 제1 컨베이어(111)는 이동하여 투입된 농작물을 이송 유닛(200) 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여기서 호퍼 바닥부(110)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호퍼 바닥부(110)는 이송 유닛(200) 측으로 향할수록 올라가는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추와 같은 농작물이 호퍼 바닥부(110)에 쌓인 상태로 일시에 많이 이송되지 않으며, 공급 조절부(130)에 적당량이 이송될 수 있다.
호퍼 바닥부(110)의 경사(각도 α)는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으며, 이송 바닥부(210)의 경사(각도 β)보다는 작은 각도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퍼 바닥부(110) 및 이송 바닥부(210)의 경사는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호퍼 가이드부(120)는 호퍼 바닥부(110)의 프레임에 연결된 것으로서, 농작물의 안정적인 투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호퍼 가이드부(120)는 호퍼 바닥부(110) 측으로 수렴하는 세 개의 테이퍼진 면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더 참조하여 공급 조절부(130)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의 호퍼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공급 조절부(130)는 제1 컨베이어(111)로부터 이격되어 소정의 높이를 갖는 제1 롤러(131) 및 제2 롤러(132)를 포함한다. 투입되는 농작물은 제1 컨베이어(111) 및 제1 롤러(131) 사이 공간과 제1 롤러(131) 및 제2 롤러(132) 사이 공간을 통과하여 제2 컨베이어(211)로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롤러(131) 및 제2 롤러(132) 각각은 제1 롤러 회전축(133) 및 제2 롤러 회전축(134)에 의해 회전한다. 농작물, 예를 들면 고추의 크기와 형상이 다양하여 제1 컨베이어(111)와 제1 롤러(131) 사이를 통과 시 걸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1 컨베이어(111) 및 제1 롤러(131) 사이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이격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롤러(131) 및 제2 롤러(132)는 돌기형 2단 롤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농작물은 롤러들(131, 132)의 사이 공간 및 제1 롤러(131)와 제1 컨베이어(111)의 사이 공간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도 3을 더 참조하여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커버부(140)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의 기어부 커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커버부(140)는 구동축(230), 제2 이송 회전축(213)과 제2 호퍼 회전축(113)을 덮는 제1 커버(141), 및 제1 롤러 회전축(133)과 상기 제2 롤러 회전축(134)을 덮는 제2 커버(14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다수의 회전축에 동력이 제공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들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다음은 이송 유닛(200)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송 유닛(200)은 이송 바닥부(210), 이송 바닥부(210)의 프레임에 연결된 이송 가이드부(220), 및 이송 유닛(200)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축(230)을 포함한다.
이송 바닥부(210)는 제2 컨베이어(211), 제2 컨베이어(211)가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1 이송 회전축(212) 및 제2 이송 회전축(213)을 포함한다. 제1 이송 회전축(212) 및 제2 이송 회전축(213)이 회전함으로써 제2 컨베이어(211)는 이동하여 이송 유닛(200)으로 이송된 농작물을 선별작업 유닛(400)으로 이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 바닥부(210)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 바닥부(210)는 선별작업 유닛(400) 측으로 향할수록 올라가는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추와 같은 농작물이 적정 높이의 이송 바닥부(210)의 단부에서 선별작업 유닛(400) 측으로 낙하하면서 송풍 유닛(300)으로부터의 풍압에 의해 농작물로부터 꽃, 잎 등 불순물이 분리되어 선별될 수 있다.
이송 가이드부(220)는 농작물이 제2 컨베이어(211)상에서 이송될 시에 제2 컨베이어(211) 외측으로 탈락하지 않도록 제2 컨베이어(211)의 양측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축(230)은 구동 모터와 같은 동력 제공 수단과 연결된 것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축(230)이 회전함으로써 이와 연동하는 제2 이송 회전축(213)에 동력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이송 회전축(212)은 제2 이송 회전축(213)의 피동축이고, 제1 호퍼 회전축(112)은 제2 호퍼 회전축(113)의 피동축으로서, 구동축(230)이 회전함에 따라 제1 및 제2 이송 회전축(212 및 213)과 제1 및 제2 호퍼 회전축(112 및 113) 모두가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회전축(112, 113, 212, 213)과 구동축(230)의 회전 속도비는 각각의 회전축(112, 113, 212, 213)과 연결된 기어와 같은 구성의 크기 및 각각의 기어들의 연결관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축(230)과 제2 이송 회전축(213)의 회전 속도비는 1:3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축(230)과 제2 이송 회전축(213)의 회전 속도비가 1:2 또는 1:1와 같이 더 클 경우에는 농작물 공급량 과다로 선별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1:3보다 작을 경우에는 수확 후 처리속도가 느려져 효율성이 떨어진다.
제2 이송 회전축(213)과 연동하는 제2 호퍼 회전축(113), 및 제2 호퍼 회전축과 벨트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제1 롤러 회전축(133) 및 제2 롤러 회전축(134) 모두에 동력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호퍼 회전축(113), 제1 롤러 회전축(133) 및 제2 롤러 회전축(134)은 일렬로 배열되고, 상기 일렬은 제1 컨베이어(111)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호퍼 유닛(100)에 농작물이 투입되면 농작물은 1차적으로 제1 컨베이어(111) 및 제1 롤러(131) 사이 공간을 통과하고, 제1 롤러(131)의 높이 이상으로 농작물이 쌓였을 경우에는 농작물이 제1 롤러(131) 및 제2 롤러(132) 사이 공간을 통과하여, 이송 유닛(200)으로 농작물의 정량 공급이 가능하다.
송풍 유닛(300)은 이송 유닛의 하측 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꽃과 잎을 농작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충분한 풍압을 위해 2대의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송풍 유닛(300)에 구비되는 송풍기의 개수 또는 풍압은 조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도 4를 더 참조하여 선별작업 유닛(400)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의 선별작업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선별작업 유닛(400)은 작업대 바닥부(410), 작업대 바닥부(410)에 연결된 작업대 가이드부(420)를 포함하며, 작업대 가이드부(420)는 작업대 바닥부(410)의 테두리에 연결된 가이드벽(421), 가이드벽(421)에 연결되어 형성된 경사부(422), 및 가이드벽(421) 일부에 연결된 출구 조절부(423)를 포함한다.
선별작업 유닛(400)은 농작물의 선별포장 작업시 필요한 충분한 적재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2 컨베이어(211)로 이송된 농작물은 제2 컨베이어(211)에 의해 이송되어 이송 유닛(200)의 단부로부터 낙하하여 선별작업 유닛(400)에 도달한다.
선별작업 유닛(400)은 높이(H)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하면, 작업자는 의자에 앉은 상태로 선별작업 유닛(400) 상에 도달한 농작물의 재선별 및 포장 작업을 할 수 있다. 이때 선별작업 유닛(400)의 높이(H) 조절은 선별작업 유닛(400)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지지대의 길이 조절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길이 조절 수단은 어느 한가지로 한정되지 않는다. 길이 조절 수단의 한 예시로서는 다수 개의 지지대 내부에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의 지지대는 서로 일부가 겹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 외측관 및 내측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구 조절부(423)는 가이드벽(421) 일부인 연결부(424)에 힌지 연결되어 출구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농작물의 포장 작업시에 농작물을 선별작업 유닛(400) 외측으로 배출할 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선별작업 유닛(400)의 크기는 길이가 1,800mm, 폭이 800mm인 것이 바람직하며, 높이가 900±400mm로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가 1,800보다 짧을 경우에는 충분한 선별 및 포장 작업이 이루어지는 데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보다 길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공간을 차지하여 비효율적이며, 폭이 800mm보다 클 경우에는 작업자가 농작물을 잡기 위해 닿을 수 있는 거리가 너무 멀고, 이보다 작을 경우에는 많은 양의 농작물 적재를 위한 공간 충분히 확보될 수 없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에 의하면, 농작물이 이송 유닛 상에 고르게 펼쳐진 후 낙하함으로써 꽃, 잎, 등의 불순물이 더 철저하고 신속하게 선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신체에 맞추어 선별작업 유닛(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의자에 바르게 앉아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자의 신체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효율적인 투입, 이송, 송풍에 의한 선별, 및 재선별 포장 작업 동선을 축소시켜 작업시간을 20% 정도까지 단축시킬 수 있어 이에 따른 비용절감효과도 발생한다.
100: 호퍼 유닛
110: 호퍼 바닥부
111: 제1 컨베이어
112: 제1 호퍼 회전축
113: 제2 호퍼 회전축
120: 호퍼 가이드부
130: 공급 조절부
131: 제1 롤러
132: 제2 롤러
133: 제1 롤러 회전축
134: 제2 롤러 회전축
140: 커버부
141: 제1 커버
142: 제2 커버
200: 이송 유닛
210: 이송 바닥부
211: 제2 컨베이어
212: 제1 이송 회전축
213: 제2 이송 회전축
220: 이송 가이드부
230: 구동축
300: 송풍 유닛
400: 선별작업 유닛
410: 작업대 바닥부
420: 작업대 가이드부
421: 가이드벽
422: 경사부
423: 출구 조절부
424: 연결부
110: 호퍼 바닥부
111: 제1 컨베이어
112: 제1 호퍼 회전축
113: 제2 호퍼 회전축
120: 호퍼 가이드부
130: 공급 조절부
131: 제1 롤러
132: 제2 롤러
133: 제1 롤러 회전축
134: 제2 롤러 회전축
140: 커버부
141: 제1 커버
142: 제2 커버
200: 이송 유닛
210: 이송 바닥부
211: 제2 컨베이어
212: 제1 이송 회전축
213: 제2 이송 회전축
220: 이송 가이드부
230: 구동축
300: 송풍 유닛
400: 선별작업 유닛
410: 작업대 바닥부
420: 작업대 가이드부
421: 가이드벽
422: 경사부
423: 출구 조절부
424: 연결부
Claims (8)
- 제1 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호퍼 바닥부 및 공급 조절부를 포함하는 호퍼 유닛;
제2 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이송 바닥부를 포함하는 이송 유닛;
상기 이송 유닛의 하측 단부에 위치하는 송풍 유닛; 및
선별작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 조절부는 상기 제1 컨베이어로부터 이격되어 소정의 높이를 갖는 제1 롤러 및 제2 롤러를 포함하여,
투입되는 농작물은 상기 제1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롤러 사이 공간과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 사이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로 이송되고,
상기 제2 컨베이어로 이송된 상기 농작물은 상기 제2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이송 유닛의 상기 단부로부터 낙하하여 상기 선별작업 유닛에 도달하고,
상기 제1 컨베이어는 제1 호퍼 회전축 및 제2 호퍼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 유닛을 향하여 투입된 상기 농작물을 이송하며, 상기 호퍼 유닛에 투입되는 농작물은 1차적으로 상기 제1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롤러 사이 공간을 통과하고,
상기 제1 롤러의 높이 이상으로 투입된 상기 농작물이 쌓였을 경우에, 상기 농작물은 2차적으로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 사이 공간을 통과하고,
상기 제2 컨베이어는 제1 이송 회전축 및 제2 이송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상기 선별작업 유닛을 향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로 이송된 상기 농작물을 이송하며,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제2 이송 회전축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 회전축은 상기 제2 호퍼 회전축과 연동하며,
상기 제1 이송 회전축은 상기 제2 이송 회전축의 피동축이고, 상기 제1 호퍼 회전축은 상기 제2 호퍼 회전축의 피동축으로서,
상기 구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이송 회전축과 상기 제1 및 제2 호퍼 회전축 모두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작업 유닛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작업 유닛은 출구 조절부를 포함하여 출구의 폭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 각각은 제1 롤러 회전축 및 제2 롤러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2 호퍼 회전축, 상기 제1 롤러 회전축 및 상기 제2 롤러 회전축은 일렬로 배열되어 벨트로 연결되어 연동하며,
상기 일렬은 상기 제1 컨베이어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과 상기 제2 이송 회전축의 회전 속도비는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구동축, 상기 제2 이송 회전축과 상기 제2 호퍼 회전축을 덮는 제1 커버, 및 상기 제1 롤러 회전축과 상기 제2 롤러 회전축을 덮는 제2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6647A KR101987219B1 (ko) | 2017-09-12 | 2017-09-12 |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6647A KR101987219B1 (ko) | 2017-09-12 | 2017-09-12 |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9271A KR20190029271A (ko) | 2019-03-20 |
KR101987219B1 true KR101987219B1 (ko) | 2019-06-10 |
Family
ID=66036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6647A KR101987219B1 (ko) | 2017-09-12 | 2017-09-12 |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721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5742B1 (ko) * | 2021-08-18 | 2021-12-30 | 이수균 | 균등한 분산과 분포가 이루어져 선별력이 향상되는 농산물용 선별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6784B1 (ko) * | 2006-11-13 | 2008-03-25 | 장영복 | 고추 선별기 |
JP2010005603A (ja) * | 2008-06-30 | 2010-01-14 | Iseki & Co Ltd | 作物選別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6759B1 (ko) | 2009-07-01 | 2012-07-19 | 윤운배 | 농작물 선별장치 |
KR20120051514A (ko) * | 2010-11-12 | 2012-05-22 | 대건산업(주) | 투척방식의 재활용품 선별장치 |
KR200466264Y1 (ko) * | 2011-02-21 | 2013-04-05 | 김대근 | 오징어 자동 확장기 |
-
2017
- 2017-09-12 KR KR1020170116647A patent/KR1019872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6784B1 (ko) * | 2006-11-13 | 2008-03-25 | 장영복 | 고추 선별기 |
JP2010005603A (ja) * | 2008-06-30 | 2010-01-14 | Iseki & Co Ltd | 作物選別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9271A (ko) | 2019-03-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342474B2 (ja) | シンギュレータのコンベヤ | |
US3240311A (en) | Conveyer for articles such as confections | |
CN105899328B (zh) | 棒材送料机 | |
DE19835233A1 (de) | Vorrichtung zum Entleeren von Sendungsbehältern | |
KR101987219B1 (ko) | 농작물 수확 후 처리장치 | |
CN111332558B (zh) | 一种衬衫折叠打包装置 | |
US20180348047A1 (en) | Weighing machine for products in a packaging assembly | |
US3214001A (en) | Unscrambler | |
KR101309833B1 (ko) |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 | |
NL2012909B1 (nl) | Verdeelsysteem voor het aan een verenkelaar aanvoeren van onregelmatig gevormde producten, zoals peren, en transportsysteem en werkwijze daarvoor. | |
CN209038409U (zh) | 一种倾斜输送机 | |
JP2009057088A (ja) | 餃子のトレー詰めのための起立姿勢保持装置 | |
KR102322317B1 (ko) | 프리트레이 투입기 | |
US20090090255A1 (en) | Agricultural product peeling apparatus | |
KR100958150B1 (ko) | 이송대상물의 간격유지장치 | |
JPS61229710A (ja) | コンベヤシステム | |
JP5856388B2 (ja) | 収穫玉葱処理装置 | |
KR101738752B1 (ko) | 물품 자동 선별기 | |
US6899664B2 (en) | Device for returning folded paper and folding apparatus including same | |
EP3315434A1 (en) | System for feeding objects to a multi-entrance work group | |
CN218344562U (zh) | 一种货物翻转搬运装置 | |
JP2009159871A (ja) | 玉葱処理装置 | |
JP2001287710A (ja) | 複合インライン集卵に於ける原卵振り分け装置 | |
CA2969323C (en) | Weighing machine for products in a packaging assembly | |
US20100025192A1 (en) | Lifting arm system for convey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