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150B1 -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150B1
KR101987150B1 KR1020120142059A KR20120142059A KR101987150B1 KR 101987150 B1 KR101987150 B1 KR 101987150B1 KR 1020120142059 A KR1020120142059 A KR 1020120142059A KR 20120142059 A KR20120142059 A KR 20120142059A KR 101987150 B1 KR101987150 B1 KR 101987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dule
power
electronic component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5035A (ko
Inventor
김원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2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150B1/ko
Publication of KR20140075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4Joining preassembled modular units composed of sub-units performing diverse functions, e.g. engine and bonn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60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means for production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 자동차와 전기자동차의 혼류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모듈화 부품은, 배터리 및 모터를 구비하고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전기자동차에 장착되는 모듈화 부품으로서,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제어하는 인버터, 컨버터, 정션 박스, 및 충전기를 포함하는 전력전자부품이 모듈화된 전력전자부품 모듈; 상기 모터, 및 상기 모터로부터 입력된 회전속도를 변경하여 구동축에 출력하는 변속기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장치가 모듈화된 동력전달장치 모듈; 및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 및 동력전달장치 모듈이 장착되도록 형성되고, 차체와 결합하는 프레임;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은 상기 프레임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및 그 조립방법 {MODULARIZED COMPONENT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전력전자부품 모듈화 부품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연기관 자동차와 전기자동차의 혼류생산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에는 모터, 변속기 및 전력전자부품(PE: power electronics)이 장착된다. 여기서, 전기자동차는 전기가 동력으로 사용되는 자동차의 총칭이다.
전력전자부품은 인버터, DC-DC converter, 정션 박스(junction box),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VESS: virtual engine Sound System) 및 충전기 등을 포함한다. 인버터는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이고, DC-DC converter는 어떤 전압의 직류전원에서 다른 전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자회로 장치이다. 또한, 정션 박스는 여러 개의 단독 커넥터와 멀티커넥터를 상호 변환시키기 위한 상자이고, 충전기는 전기자동차의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구비된 장치이다.
한편, 전기자동차의 조립공정에서 전력전자부품의 장착 및 배선작업 등이 다른 부품의 조립공정과 독립적으로 그리고 추가적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내연기관 자동차와 전기자동차가 혼류생산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다. 여기서, 혼류생산은 하나의 생산라인에서 여러 가지 차종을 생산하는 방식을 말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전기자동차의 조립공정은 내연기관 자동차의 조립공정에 비하여 모터 및 변속기를 장착하기 위한 크로스 멤버의 장착, 모터 및 변속기 장착, 전력전자부품의 장착, 배선 작업 및 배관 작업 공정이 추가된다.
이러한 추가적인 조립공정이 각각 수행됨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조립공정이 복잡해지고 작업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연기관 자동차와 전기자동차의 혼류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키는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모듈화 부품은, 배터리 및 모터를 구비하고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전기자동차에 장착되는 모듈화 부품으로서,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제어하는 인버터, 컨버터, 정션 박스, 및 충전기를 포함하는 전력전자부품이 모듈화된 전력전자부품 모듈; 상기 모터, 및 상기 모터로부터 입력된 회전속도를 변경하여 구동축에 출력하는 변속기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장치가 모듈화된 동력전달장치 모듈; 및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 및 동력전달장치 모듈이 장착되도록 형성되고, 차체와 결합하는 프레임;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은 상기 프레임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는 롤 마운터가 구비되고, 상기 롤 마운터가 장착되도록 브라켓이 형성되며,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에는 상기 롤 마운터와 결합되는 서포트 브라켓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과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은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진동이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롤 마운팅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차체의 사이드 멤버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멤버에는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멤버의 브라켓은 상기 프레임이 상방 및 측방에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섀시 메리지 공정에서 차체의 프론트 엔드 모듈과 함께 데킹하여 상기 사이드 멤버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조립방법은, 전력전자부품 및 동력전달장치가 모듈화된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모듈화된 전력전자부품 및 동력전달장치가 장착되도록 형성된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을 장착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에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을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을 차체의 사이드 멤버에 장착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 및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이 동시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은 상기 프레임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은 상기 프레임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 및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이 장착된 상기 프레임이 상기 사이드 멤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차체의 프론트 엔드 모듈과 함께 데킹하여 상기 사이드 멤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 및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을 장착하는 단계는 전기자동차의 조립공정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변속기 및 전력전자부품을 모듈화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내연기관 자동차와 전기자동차가 혼류생산 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의 추가적인 생산라인이 불필요해지고 생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의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이 차체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차체에 장착된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차체에 장착된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조립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10)은 전력전자부품 모듈(20), 동력전달장치 모듈(30), 및 프레임(40)을 포함한다.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20)은 인버터(22), 컨버터(24), 정션 박스(26), 및 충전기(28)를 포함한다.
상기 인버터(22)는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이고, 상기 컨버터(24)는 신호 또는 에너지의 모양을 바꾸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컨버터(24)는 어떤 전압의 직류전원을 다른 전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DC-DC converter이다.
상기 정션 박스(26)는 박스는 여러 개의 단독 커넥터와 멀티커넥터를 상호 변환시키기 위한 상자이다.
상기 충전기(28)는 전기자동차의 고전압 배터리(도시하지 않음)를 충전하도록 구비된 장치이다.
한편,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20)은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VESS, 도시하지 않음) 등의 전자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30)은 모터(32), 및 변속기(34)와 같은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32)는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모터(electric motor)이다.
상기 변속기(34)는 상기 모터(32)로부터 회전속도를 입력받고, 변경된 회전속도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변속기(34)는 입력받은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출력하는 감속기이다. 또한, 상기 변속기(34)는 변속단에 따라 입력받은 회전속도를 변경없이 그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0)은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20) 및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30) 장착되도록 설정된 폭, 길이, 및 두께를 갖는다. 도 1에는 중공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상기 프레임(40)이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프레임(40)에는 롤 마운터(42)가 구비되고,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30)에는 서포트 브라켓(3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롤 마운터(42)가 상기 서포트 브라켓(36)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프레임(40)과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30)은 직접 연결된다. 즉,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30)은 상기 프레임(40)에 직접 롤 마운팅(roll mounting)된다. 나아가,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30)이 상기 프레임(40)에 롤 마운팅됨으로써, 상기 동력전달장치(32, 34)의 진동이 상기 프레임(40) 및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20)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롤 마운터(42)와 상기 서포트 브라켓(36)은 마운트 볼트(mount bolt)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40)에는 복수개의 상기 롤 마운터(4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트 브라켓(36)은 상기 롤 마운터(42)에 대응되는 수 및 위치를 갖도록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30)에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의 조립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20)은 상기 인버터(22), 컨버터(24), 정션 박스(26), 충전기(28), 및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등과 같은 전자부품들의 모듈화가 완료된 후에 상기 프레임(40)의 상단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30)은 상기 모터(32), 및 변속기(34) 등과 같은 동력전달장치들의 모듈화가 완료된 후에 상기 프레임(40)의 하단에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이 차체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화 부품(10)은 섀시 메리지(chassis marriage) 공정에서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 60)과 함께 차체의 하측에서 상방향으로 데킹(decking)하여 차체에 조립된다. 또한, 상기 모듈화 부품(10)은 상기 프레임(40)이 차체의 사이드 멤버(50)에 결합됨으로써 차체에 장착된다.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60)은 자동차의 전면부에 배치된 여러 부품들을 모듈화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의 골격을 형성하는 캐리어, 헤드램프(Head Lamp), 라이에이터 어셈블리(Radiator Assembly), 및 프론트 범퍼 빔(Beam-Front Bumper)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60)은 프론트 범퍼 어셈블리(Front Bumper Assembl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60) 구조는 자동차의 모델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멤버(50)에는 사이드 브라켓(5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 브라켓(52)은 상기 모듈화 부품(10)이 측방 및 하방에서 상기 사이드 멤버(5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즉, 측방 및 하방에서 상기 모듈화 부품(10)이 결합될 때, 상기 사이드 브라켓(52)과 상기 모듈화 부품(10) 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사이드 브라켓(52)의 형상 및 배치가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모듈화 부품(10)은 내연기관의 엔진 및 변속기와 동일한 개념(concept)으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 모듈화 부품(10)은 내연기관의 엔진 및 변속기와 동일한 방향으로 차체에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30)은 상기 프레임(40)에 롤 마운팅됨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30)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기 사이드 멤버(50)를 통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4는 차체에 장착된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의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브라켓(52)과 상기 프레임(40)은 결합부재(54)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54)는 핀(pin) 또는 볼트(bolt)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이드 브라켓(52)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적어도 상기 사이드 브라켓(52)에 대응되는 수의 상기 결합부재(54)에 의해 결합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모듈화 부품(10)은 상, 하, 및 측방으로부터 상기 사이드 멤버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베이스(base)가 되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서포트 브라켓이 체결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모듈화 부품(10)의 조립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생산라인에서 혼류생산되는 전기자동차와 내연기관 자동차는 동일한 개념의 조립공정에 의해 조립된다.
도 5는 차체에 장착된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의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40)에는 프레임 브라켓(4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 브라켓(44)은 상기 롤 마운터(42)가 장착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 브라켓(44)이 상기 프레임(40)에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롤 마운터(42)가 상기 프레임(4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듈화 부품(10)이 차체에 장착되면, 상기 변속기의 출력축(도시하지 않음)은 구동축(drive axle, 70)과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의 조립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40)이 준비되면(S100), 상기 프레임(40)에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20)을 장착한다(S110). 또한, 상기 프레임(40)에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30)을 장착한다(S120).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20)의 장착과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30)의 장착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S110, S120). 또한,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20)과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30)은 상기 프레임(40)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20)과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30)이 상기 프레임(40)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모듈화 부품(10)이 완성된다.
상기 모듈화 부품(10)이 완성되면, 전기자동차의 조립공정이 시작된다(S130).
전기자동차의 조립공정이 시작되면(S130), 상기 모듈화 부품(10)은 상기 차체의 프론트 엔드 모듈(60)과 함께 차체의 하측에 데킹(decking)된다(S140).
또한, 상기 모듈화 부품(10)은 상기 차체의 프론트 엔드 모듈(60)과 함께 차체의 하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모듈화 부품(10)의 프레임(40)이 상기 차체의 사이드 멤버(50)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전기자동차 조립공정에서 모터 및 변속기를 장착하기 위한 크로스 멤버의 장착, 모터 및 변속기 장착, 전력전자부품의 장착, 배선 작업 및 배관 작업 공정이 삭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32), 변속기(34) 및 전력전자부품(20)을 모듈화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내연기관 자동차와 전기자동차가 혼류생산 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의 추가적인 생산라인이 불필요해지고 생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모듈화 부품 20: 전력전자부품 모듈
22: 인버터 24: 컨버터
26: 정션 박스 28 충전기
30: 동력전달장치 모듈 32: 모터
34: 변속기 36: 서포트 브라켓
40: 프레임 42: 롤 마운터
44: 프레임 브라켓 50: 사이드 멤버
52: 사이드 브라켓 54: 결합부재
60: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
70: 구동축(drive axle)

Claims (14)

  1. 배터리 및 모터를 구비하고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전기자동차에 장착되는 모듈화 부품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제어하는 인버터, 컨버터, 정션 박스, 및 충전기를 포함하는 전력전자부품이 모듈화된 전력전자부품 모듈;
    상기 모터, 및 상기 모터로부터 입력된 회전속도를 변경하여 구동축에 출력하는 변속기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장치가 모듈화된 동력전달장치 모듈; 및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 및 동력전달장치 모듈이 장착되도록 형성되고, 차체와 결합하는 프레임;
    을 포함하되,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은 상기 프레임에 직접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은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진동이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롤 마운팅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롤 마운터가 구비되고, 상기 롤 마운터가 장착되도록 브라켓이 형성되며,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에는 상기 롤 마운터와 결합되는 서포트 브라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차체의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멤버에는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멤버의 브라켓은 상기 프레임이 상방 및 측방에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섀시 메리지 공정에서 차체의 프론트 엔드 모듈과 함께 데킹하여 상기 사이드 멤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8. 전력전자부품 및 동력전달장치가 모듈화된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듈화된 전력전자부품 및 동력전달장치가 장착되도록 형성된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을 장착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에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을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을 차체의 사이드 멤버에 장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진동이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은 롤 마운팅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조립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 및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이 동시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조립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은 상기 프레임에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조립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은 상기 프레임에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조립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 및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이 장착된 상기 프레임이 상기 사이드 멤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조립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차체의 프론트 엔드 모듈과 함께 데킹하여 상기 사이드 멤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조립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전력전자부품 모듈 및 상기 동력전달장치 모듈을 장착하는 단계는 전기자동차의 조립공정 이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조립방법.
KR1020120142059A 2012-12-07 2012-12-07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및 그 조립방법 KR101987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059A KR101987150B1 (ko) 2012-12-07 2012-12-07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059A KR101987150B1 (ko) 2012-12-07 2012-12-07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035A KR20140075035A (ko) 2014-06-19
KR101987150B1 true KR101987150B1 (ko) 2019-06-11

Family

ID=5112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059A KR101987150B1 (ko) 2012-12-07 2012-12-07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1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5556A (ko) * 2020-12-15 2022-06-2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 전기차
US11713080B2 (en) 2020-08-13 2023-08-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uble subframes with isolation couplin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095A (ko)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이지트로닉스 자동차용 통합 구동 모듈
DE102017218868A1 (de) * 2017-10-23 2019-04-25 Audi Ag Antriebseinrichtung
JP7070249B2 (ja) * 2018-08-28 2022-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構造
KR102051322B1 (ko) * 2019-03-28 2019-12-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크래들 장착구조
KR102017593B1 (ko) 2019-03-28 2019-09-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용 트레이와 크래들의 마운팅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3658A (ja) * 2004-10-27 2006-05-18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車両の電子機器取付構造
KR20090050117A (ko) * 2007-11-15 2009-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 구조
KR101481185B1 (ko) * 2009-11-16 2015-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모듈의 진동 절연성이 향상되는 연료전지 자동차
KR101154305B1 (ko) * 2010-11-15 2012-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진동 절연성이 향상된 연료전지 자동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3080B2 (en) 2020-08-13 2023-08-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uble subframes with isolation couplings
KR20220085556A (ko) * 2020-12-15 2022-06-2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 전기차
KR102479189B1 (ko) * 2020-12-15 2022-12-23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 전기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035A (ko)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150B1 (ko)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및 그 조립방법
CN102161349B (zh) 机动车辆的车架
US10160328B2 (en) Electric vehicle
US9724993B2 (en) Hybrid vehicle
JP2009286287A (ja) 取り付け構造
US7948112B2 (en) Electric equipment mounting structure and electric vehicle
US20170028849A1 (en) On-vehicle structure
WO2015181620A1 (en) Electric power converter for electromotive vehicle
CN100415561C (zh) 电动车辆的电源装置
CN102387928A (zh) 具有结构性集成部件的电动车辆
US9108502B2 (en) Cable routing structure
JP5098840B2 (ja) 車両搭載機器の固定構造
JP2009029275A (ja) 車両搭載機器の固定構造
JP2009023528A (ja) 電動車両
JP5082668B2 (ja) 電気機器の固定構造
CN109600052A (zh) 电力变换器的车载构造
CN108162952B (zh) 一种新型四驱混合动力系统及其驱动方法
KR102051322B1 (ko) 전기자동차의 크래들 장착구조
CN204340634U (zh) 一种汽车动力系统布置结构
KR102017593B1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용 트레이와 크래들의 마운팅 구조
CN105083166A (zh) 用于电动汽车的集成式动力控制单元
CN104442343A (zh) 电动车辆蓄电池附接总成和方法
CN101683827A (zh) 使用专用集成电路的功率逆变器动态操作的控制模块
JP2016055701A (ja) 車両
CN201808438U (zh) 一种插电式混合动力车的动力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