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556A - 소형 전기차 - Google Patents

소형 전기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556A
KR20220085556A KR1020200175716A KR20200175716A KR20220085556A KR 20220085556 A KR20220085556 A KR 20220085556A KR 1020200175716 A KR1020200175716 A KR 1020200175716A KR 20200175716 A KR20200175716 A KR 20200175716A KR 20220085556 A KR20220085556 A KR 20220085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frame
sub
chassis
reinforc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9189B1 (ko
Inventor
이경순
박종한
김재혁
엄준호
쩐두이꾸앙
최동근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5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18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5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60K17/24Arrangements of mountings for shaf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소형 전기차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변속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변속기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등속 조인트; 상기 각각의 등속 조인트에 연결되는 바퀴; 상기 바퀴를 샤시에 연결하는 서스펜션; 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형 전기차{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모터로 주행하는 소형 전기차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각광받는 전기차는 기존의 화석연료로 주행하는 자동차의 샤시를 공유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전기차에는 고유의 특성에 맞는 독자적인 샤시 플랫폼을 새롭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
전기차에 최적화된 샤시 설계는 구동부의 연결 구조, 바퀴의 연결 구조, 배터리의 연결 구조 등을 감안하여 경량화와 무게 중심 배분에 있어서, 화석 연료 자동차와 다른 설계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필요성을 감안하여 전기차에 특화된 샤시 및 구동부의 체결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소형 전기차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변속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변속기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등속 조인트; 상기 각각의 등속 조인트에 연결되는 바퀴; 상기 바퀴를 샤시에 연결하는 서스펜션; 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직교하는 가상의 제1 축, 제2 축, 및 제3 축을 정의할 때, 상기 모터의 회전축, 상기 변속기의 회전축 및 상기 바퀴의 회전축은 상기 제1 축을 따라 연장되며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2 축 또는 제3축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의 경량화와 차체 강성 확보를 위하여 모터의 회전축, 변속기의 회전축 및 바퀴의 회전축은 제1 축을 따라 연장되며 서로 평행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변속기의 회전축과 바퀴의 회전축도 평행한 구조를 취하므로 등속 조인트의 회동 각도 범위가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부품 교환 주기가 짧아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구동부의 회전축이 평행 구조이므로 샤시와 구동부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모멘트가 대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경량화 구조로서 제1 서브 프레임과 제2 서브 프레임을 이용하여 구동부를 샤시에 고정시킬 수 있다.
각 서브 프레임을 샤시에서 분리하면 구동부의 유지 보수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샤시의 변경시에도 동일한 구동부를 사용할 수 있고, 심지어 서브 프레임의 형상만 변경하면 다른 형상의 샤시에 동일한 구동부를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서브 프레임 구조는 구동부 및 샤시의 호환성 및 범용 사용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으면서 최소 부피 및 최소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경량화를 위하여 모노코크 타입의 샤시를 취하지 않고, 연장봉이 육면체를 이루면서 연결되는 늑골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복잡한 형상의 모노코크 샤시는 대량 생산에 적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늑골 구조는 다품종 소량 생산에 적합하며, 소형 전기차의 크기, 길이, 하중, 형상에 설계 가변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형 전기차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동부를 중심으로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동부는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동부, 바퀴, 서스펜션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연장봉과 서브 프레임의 연결 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서브 프레임 또는 제2 서브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전기차는 구동부를 샤시(230)에 간단한 구조로 체결한 경량화된 전기차이다. 적은 인원을 탑승시키거나 소량의 화물을 배달할 때 최적화된 소형 전기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소형 전기차는 샤시(230), 구동부, 등속 조인트(130), 바퀴(150), 서스펜션(1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10) 및 모터(110)에 연결되는 변속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첨부 도면에서 생략되었다. 배터리에서 공급된 전원은 모터(110)로 공급되며, 모터(110)의 회전력을 1단 및 2단으로 변속하는 전기차용 변속기(120)가 장착될 수 있다. 내연 기관용 변속기(120)와 달리 전기차용 변속기(120)는 복잡한 단수를 요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변속기(120)는 전기차에 최적화된 2단 변속기(120)가 바람직하다.
등속 조인트(130)는 변속기(12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연결되고, 한 쌍이 마련될 수 있고, 바퀴(150)에 변속기(120)의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바퀴(150)는 각각의 등속 조인트(130)에 연결되며, 서스펜션(140)에 의하여 샤시(230)에 연결될 수 있다. 샤시(230)는 전기차의 골격을 형성하며, 구동부 등이 장착되는 지지부 역할을 할 수 있다. 서스펜션(140)은 스프링과 유압 완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서로 직교하는 가상의 제1 축(x축), 제2 축(y축), 및 제3 축(z축)을 정의할 때, 샤시(230)는 제2 축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전기차의 길이 방향은 제2 축이다. 제1 축은 바퀴(150)가 좌우로 배열되는 방향이다. 제3 축은 높이 방향일 수 있다.
구조의 경량화와 차체 강성 확보를 위하여 모터(110)의 회전축(C1), 변속기(120)의 회전축(C2) 및 바퀴(150)의 회전축(C3)은 제1 축을 따라 연장되며 서로 평행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들 회전축은 제2 축 또는 제3축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각각의 회전축이 평행하게 배열되면 임의 각도로 휘어지며 동력을 전달하는 유니버설 조인트 등이 생략될 수 있다. 변속기(120)와 바퀴(150)는 바퀴(150)의 수직 변위를 고려하여 불가피하게 등속 조인트(130)가 장착되지만, 모터(110)와 변속기(120) 사이는 평행축 구조를 이루므로 유니버셜 조인트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변속기(120)의 회전축(C2)과 바퀴(150)의 회전축(C3)도 평행한 구조를 취하므로 등속 조인트(130)의 회동 각도 범위가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부품 교환 주기가 짧아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구동부의 회전축이 평행 구조이므로 샤시(230)와 구동부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모멘트가 대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경량화 구조로서 제1 서브 프레임(210)과 제2 서브 프레임(220)을 이용하여 구동부를 샤시(2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동부는 샤시(230)에 제1 서브 프레임(210) 및 제2 서브 프레임(22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서브 프레임(210) 및 제2 서브 프레임(220)은 모터(110)의 회전축(C1), 변속기(120)의 회전축(C2) 및 바퀴(150)의 회전축(C3)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인 제2축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반력이 제1 축 중심 회전 모멘트에 특별히 강한 특성을 보이면서 얇고 작은 판 형태의 지지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제1 서브 프레임(210) 및 제2 서브 프레임(220)은 제1 축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각 서브 프레임을 샤시(230)에서 분리하면 구동부의 유지 보수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샤시(230)의 변경시에도 동일한 구동부를 사용할 수 있고, 심지어 서브 프레임의 형상만 변경하면 다른 형상의 샤시(230)에 동일한 구동부를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서브 프레임 구조는 구동부 및 샤시(230)의 호환성 및 범용 사용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으면서 최소 부피 및 최소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샤시(230)에는 수평 브라켓(240)이 마련되며, 샤시(230) 입장에서는 수평 브라켓(240)이 구동부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구동부 입장에서는 제1 서브 프레임(210) 또는 제2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제1 보강판(216a) 및 제2 보강판(216b)이 구동부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보강판(216a)과 수평 브라켓(240) 사이 및 제2 보강판(216b)과 수평 브라켓(240) 사이에 댐퍼(250)가 삽입되고, 댐퍼(250)는 구동부의 진동을 흡수하며, 샤시(230)와 구동부 사이의 에너지 전달을 차단하고, 샤사의 진동이 구동부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댐퍼(250)의 교체시에 수평 방향 공간을 이용하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정비성도 향상될 수 있고, 댐퍼(250)의 파손 정도를 샤시(230)의 측면에서 수시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보강판(216a) 및 제2 보강판(216b)의 수평한 부분은 수평 브라켓(240)의 수평한 부분과 평행하고, 여기에 댐퍼(250)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경량화를 위하여 모노코크 타입의 샤시(230)를 취하지 않고, 연장봉이 육면체를 이루면서 연결되는 늑골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복잡한 형상의 모노코크 샤시(230)는 대량 생산에 적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늑골 구조는 다품종 소량 생산에 적합하며, 소형 전기차의 크기, 길이, 하중, 형상에 설계 가변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샤사의 늑골 구조를 위하여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다수의 연장봉을 사용할 수 있다. 서로 이웃한 연장봉은 육면체의 모서리에 대응되며, 비틀림 하중과 벤딩 하중에 잘 견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축을 따라 연장되며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제1축 제1 연장봉(231a) 및 제1축 제2 연장봉(231b)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축을 따라 연장되며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제2축 제1 연장봉(232a) 및 제2축 제2 연장봉(232b)이 마련될 수 있다. 제3 축을 따라 연장되며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제3축 제1 연장봉(233a) 및 제3축 제2 연장봉(233b)이 마련될 수 있다.
모든 연장봉은 샤시(230)의 일부이며, 서로 직교하고, 육면체가 반복되는 늑골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구동부 주위는 제1 서브 프레임(210) 및 제2 서브 프레임(220)이 장착되며, 제1 서브 프레임(210) 및 제2 서브 프레임(220)은 6개의 연장봉 중 어느 2개를 연결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이에 따라 육면체를 이루는 두 개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형태로 구동부가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브 프레임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서브 프레임(210) 및 제2 서브 프레임(220)은, 제2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판부(214)와, 평판부(214)의 일부를 절곡시킨 절곡부(212)와, 평판부(214)에 돌출되는 제1 보강판(216a) 및 제2 보강판(216b)을 구비할 수 있다. 평판부(214)가 서브 프레임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평판을 이용하여 판금 형식으로 서브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고 보강판도 평판을 절곡하여 만들수 있으며 보강판과 평판부(214)는 볼트 체결 또는 용접에 의하여 간단히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평판부(214)의 길이나 두께만 변경하면 보강판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그 반대로 평판부(214)를 그대로 두고 보강판의 두께나 길이만 변경하면 하중 지지력을 증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설계 자유도에 이바지한다.
제1 보강판(216a) 및 제2 보강판(216b)에는 댐퍼(250)를 체결하는 댐퍼 삽입 구멍(218)이 형성되고, 댐퍼(250)의 수평 방향 이탈이 방지되며 소형 전기차의 하중 및 구동부의 하중을 댐퍼 삽입 구멍(218)의 축방향으로 집중시켜 댐퍼(250)가 일정한 하중 수명을 갖도록 유도할 수 있다.
평판부(214)에는 구동부를 체결하는 체결 구멍(215)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 구멍(215)의 볼트를 풀면 구동부를 소형 전기차에서 분리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서브 프레임을 샤시(230)에서 분리해도 구동부의 용이한 착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구동부의 유지 보수 및 교체 용이성을 위하여 조립 분리 수단을 체결 구멍(215) 및 댐퍼(250) 연결부로 이원화시킨 특징이 있다.
110...모터 120...변속기
130...등속 조인트 140...서스펜션
150...바퀴 210...제1 서브 프레임
220...제2 서브 프레임 230...샤시
231a...제1축 제1 연장봉 231b...제1축 제2 연장봉
232a...제2축 제1 연장봉 232b...제2축 제2 연장봉
233a...제3축 제1 연장봉 233b...제3축 제2 연장봉
240...수평 브라켓 250...댐퍼
C1...모터의 회전축 C2...변속기의 회전축
C3...바퀴의 회전축 212...절곡부
214...평판부 215...체결 구멍
216a...제1 보강판 216b...제2 보강판
218...댐퍼 삽입 구멍

Claims (5)

  1.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변속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변속기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등속 조인트;
    상기 각각의 등속 조인트에 연결되는 바퀴;
    상기 바퀴를 샤시에 연결하는 서스펜션; 을 포함하고,
    서로 직교하는 가상의 제1 축, 제2 축, 및 제3 축을 정의할 때, 상기 모터의 회전축, 상기 변속기의 회전축 및 상기 바퀴의 회전축은 상기 제1 축을 따라 연장되며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2 축 또는 제3축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는 소형 전기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샤시에 제1 서브 프레임 및 제2 서브 프레임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및 제2 서브 프레임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 상기 변속기의 회전축 및 상기 바퀴의 회전축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인 상기 제2축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축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는 소형 전기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샤시에 제1 서브 프레임 및 제2 서브 프레임으로 연결되고,
    상기 샤시에는 수평 브라켓이 마련되며,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단부에 제1 보강판 및 제2 보강판이 마련되며,
    상기 제1 보강판과 상기 수평 브라켓 사이 및 상기 제2 보강판과 상기 수평 브라켓 사이에 댐퍼가 삽입되고,
    상기 제1 보강판 및 제2 보강판의 수평한 부분은 상기 수평 브라켓의 수평한 부분과 평행한 소형 전기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을 따라 연장되며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제1축 제1 연장봉 및 제1축 제2 연장봉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축을 따라 연장되며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제2축 제1 연장봉 및 제2축 제2 연장봉이 마련되며,
    상기 제3 축을 따라 연장되며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제3축 제1 연장봉 및 제3축 제2 연장봉이 마련되고,
    상기 모든 연장봉은 상기 샤시의 일부이며, 서로 직교하고, 상기 6개의 연장봉 중 어느 2개를 연결하는 제1 서브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에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는 소형 전기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샤시에 제1 서브 프레임 및 제2 서브 프레임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및 제2 서브 프레임은,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일부를 절곡시킨 절곡부와, 상기 평판부에 돌출되는 제1 보강판 및 제2 보강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보강판 및 제2 보강판에는 댐퍼를 체결하는 댐퍼 삽입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평판부에는 상기 구동부를 체결하는 체결 구멍이 형성되는 소형 전기차.
KR1020200175716A 2020-12-15 2020-12-15 소형 전기차 KR102479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716A KR102479189B1 (ko) 2020-12-15 2020-12-15 소형 전기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716A KR102479189B1 (ko) 2020-12-15 2020-12-15 소형 전기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556A true KR20220085556A (ko) 2022-06-22
KR102479189B1 KR102479189B1 (ko) 2022-12-23

Family

ID=8221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716A KR102479189B1 (ko) 2020-12-15 2020-12-15 소형 전기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18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742B1 (ko) * 2004-09-09 2010-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솔리드 롤 스톱퍼
KR20110053854A (ko) * 2009-11-16 2011-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모듈의 진동 절연성이 향상되는 연료전지 자동차
US20170305253A1 (en) * 2014-10-08 2017-10-26 Interactive Fully Electrical Vehicles S.R.L. Electric car with pre-assembled modular structure
KR101987150B1 (ko) * 2012-12-07 2019-06-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및 그 조립방법
KR102051322B1 (ko) * 2019-03-28 2019-12-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크래들 장착구조
JP2020085187A (ja) * 2018-11-29 2020-06-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742B1 (ko) * 2004-09-09 2010-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솔리드 롤 스톱퍼
KR20110053854A (ko) * 2009-11-16 2011-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모듈의 진동 절연성이 향상되는 연료전지 자동차
KR101987150B1 (ko) * 2012-12-07 2019-06-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모듈화 부품 및 그 조립방법
US20170305253A1 (en) * 2014-10-08 2017-10-26 Interactive Fully Electrical Vehicles S.R.L. Electric car with pre-assembled modular structure
JP2020085187A (ja) * 2018-11-29 2020-06-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駆動装置
KR102051322B1 (ko) * 2019-03-28 2019-12-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크래들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189B1 (ko)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3288B2 (en) Electric machine integrated axle assemblies for electrified vehicles
US9045163B2 (en) Universal chassis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US8651217B2 (en) Structure of engine mount for vehicle
JP5924692B2 (ja) 車両の車軸の近傍に配設された電動パワートレーンおよびその電源モジュールを備える自動車車両
US8496268B2 (en) Universal chassis
CN100544981C (zh) 扭杆螺旋弹簧复合悬架装置
CN108349537A (zh) 前副车架结构
US20120168599A1 (en) Assembly for Hanging a Vibration-Generating Member Attached Inside an Axle of an Automobile Running Gear
US20080179870A1 (en) Universal chassis
JP7477686B2 (ja) 電動トラック用フレーム
JP3809583B2 (ja) ステアリングギヤフレームを利用した前輪懸架装置
EP3950468A1 (en) Car provided with a rear subframe
KR102479189B1 (ko) 소형 전기차
US20220185383A1 (en) Vehicle Body
CN106004290B (zh) 一种车辆后桥
US11760151B2 (en) Suspension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N114701318A (zh) 一种扭力梁式半独立悬架电驱动后桥总成
CN114435103A (zh) 一种电动轻卡底盘
CN106043465B (zh) 一种长轴距低地板轻量化全独立悬架客车
CN209870077U (zh) 一种纯电动汽车动力总成后悬置结构
CN114786979A (zh) 电驱动单元
CN205801275U (zh) 长轴距低地板轻量化全独立悬架客车
CN114829176A (zh) 逆变器外壳上的安装件
CN219172097U (zh) 用于车辆的电驱动桥总成以及车辆
CN221114257U (zh) 电动滑板车的电机传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