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775B1 -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775B1
KR101986775B1 KR1020120114697A KR20120114697A KR101986775B1 KR 101986775 B1 KR101986775 B1 KR 101986775B1 KR 1020120114697 A KR1020120114697 A KR 1020120114697A KR 20120114697 A KR20120114697 A KR 20120114697A KR 101986775 B1 KR101986775 B1 KR 101986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
location
terminal
information
based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8577A (ko
Inventor
손대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4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775B1/ko
Priority to PCT/KR2013/006191 priority patent/WO2014030842A1/ko
Publication of KR20140048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3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mobile advert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자가 아닌 사용자가 지도에 임의의 POI를 추가할 수 있으며, 추가된 POI를 통해서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1 단말기가 지도에 표시되는 POI에 대한 등록을 요청하고, POI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세 정보를 제공하면,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가 제1 단말기의 POI 등록 요청에 따라서, 제1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 및 상세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POI를 지도 데이터에 추가하고, POI가 추가된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2 단말기로 제공하고, 제2 단말기의 POI와 관련된 서비스 이용 정보를 제1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구현된다.

Description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단말기{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and method, apparatus and device supporting thereof}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가 아닌 사용자가 지도에 임의의 POI(Point of Interest)를 추가할 수 있으며, 추가된 POI를 통해서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발달하면서 목적하는 특정 지역으로의 이동 시간이 매우 단축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차량에 장착하고 사용자가 현재위치 및 목적지를 입력하면 현재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이미지 및 음성으로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가 대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하여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센터에 접속하고 현재위치 및 목적지를 입력하면, 정보센터에서 사용자의 현재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지도정보, 교통상황 등을 참조하여 최적의 이동 경로 정보를 산출한 후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동 경로 정보를 수신한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수신한 각 데이터 코드에 해당하는 음성, 이미지, 지도 등을 추출하여 음성으로 송출하거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경로 안내를 수행한다.
한편 POI는 주요 시설물, 역, 공항, 터미널, 호텔 등 지도 상에 특정 위치의 건물, 장소의 좌표로 전자 수치 지도에 표시하는 데이터로서, 보통 목적지 검색에 사용되는 검색 데이터와 바탕 화면에 표시만 되는 바탕 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 목적지 검색에서 사용자가 목적지에 대한 정보, 즉 목적지의 주소나 전화번호 또는 정확한 명칭을 알고 있는 경우는 그 데이터를 직접 입력함으로써 직접 목적지를 검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POI는 전자 지도의 제작자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서, 지도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는 일정 주기 또는 지리적 변경에 따라서 지도 데이터를 변경하면서, POI를 새로 추가하거나 필요 없는 POI를 제거하거나, POI 정보를 변경한다.
따라서, 이러한 POI의 갱신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특히 일반 사용자가 자유롭게 POI를 추가/변경/삭제할 수 없었다.
한국등록특허 10-1162373호, 2012년 06월 27일 공개 (명칭: 개인별 POI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
이에 본 발명은, 지도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가 아닌 사용자가 지도에 임의의 POI를 추가할 수 있으며, 추가된 POI를 통해서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술한 과제의 수단으로서, POI(Point Of Interest) 등록을 요청하고, 등록할 POI의 위치 정보, POI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정보, 및 POI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제1 단말기; 제1 단말기의 등록 요청에 따라서, 위치 정보, 상세 정보 및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POI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POI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에 추가하고,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되, POI의 선택 시, 링크 정보를 통한 부가 서비스로의 접근을 지원하며, 부가 서비스에 대한 이용 정보를 확인하여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여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POI에 매핑된 링크 정보를 통해 POI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상기 제2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서 사용자의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통신부; 장치 통신부를 통해 제1 단말기로부터 POI(Point Of Interest)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제1 단말기로부터 등록할 POI에 대한 위치 정보, 상기 POI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정보, POI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 상세 정보 및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POI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POI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에 추가하고,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되, POI의 선택 시, 링크 정보를 통한 부가 서비스로의 접근을 지원하며, 부가 서비스에 대한 이용 정보를 확인하여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장치 제어부; 및 POI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의 장치 제어부는, 제1 단말기로부터 POI에 대한 변경 또는 삭제 요청을 수신하여, 지도 데이터에 추가된 POI 데이터의 위치 정보, 상세 정보 및 링크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변경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링크 정보는 POI와 관련된 이벤트 정보, 예약 서비스, 할인 쿠폰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대한 링크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POI의 상세 정보는 명칭, 설명, 아이콘, 주소, 상기 POI와 관련된 이벤트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도 데이터 및 위치 기반 서비스는 자바스크립트, CSS, XML, HTML, XHTML, dHTML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웹 브라우저 기반으로 구현되고, 상기 POI 데이터는 HTML 태그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위치 기반 서비스는,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정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여 제공하는 경로 탐색 서비스,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2 단말기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및 제2 단말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 지도를 제공하는 지도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해서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 통신부를 통해,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입력 신호에 따라서 지도 데이터에 추가하고자 하는 POI에 대한 위치 정보, POI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정보, 및 POI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여 등록을 요청하고,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로부터 등록 요청한 POI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에 대한 다른 단말기의 이용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지도 및 다른 단말기의 서비스 이용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은,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가, 제1 단말기로부터 지도에 표시될 POI에 대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제1 단말기로부터 등록할 POI에 대한 위치 정보, POI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정보, 및 POI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위치 정보, 상세 정보 및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POI 데이터를 생성하고, POI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에 추가하는 단계; 제2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서,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제2 단말기의 선택에 따라서 링크 정보를 통한 부가 서비스로의 접근을 지원하는 단계; 및 POI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제2 단말기의 이용 정보를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단말기는, 지도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이용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임의의 POI를 자유롭게 추가 요청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사용자가 추가 요청한 POI를 포함하는 지도를 기반으로 다른 사용자에게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상기 다른 사용자의 POI 관련 서비스 이용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와 연동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상기 사용자가 제공할 수 있으며, 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중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장치 제어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메시지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10)은 위치 기반 서비스에 임의의 POI를 추가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제1 단말기(100),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 및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 다른 사용자의 제2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단말기(100)와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 및 제2 단말기(300) 간은 통신망(400)을 통해서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10)은 내장된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되, 임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지도 데이터의 임의 위치에 새로운 POI를 추가하고, 이러한 POI가 추가된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다른 사용자의 상기 추가된 POI와 관련된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필요에 따라서 지도 데이터를 POI를 자유롭게 추가하고 위치 기반 서비스와 연계된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단말기(100)는 상기 임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하여, POI 등록을 요청하며, 아울러, 상기 등록할 POI에 대한 위치 정보, 상기 POI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정보 및 상기 POI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기(100)는 상기 등록을 요청한 POI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정보, 예를 들어, 상기 링크 정보를 통한 부가 서비스로의 접근 정보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하여 제1 단말기(100)의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상기 POI가 표시될 지도 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도 및 경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세 정보는, 상기 POI를 지도에 추가 등록하는데 필요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명칭, 설명, 아이콘, 주소, POI와 관련된 이벤트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명칭은 상기 지도에 표시된 POI에 대한 명칭으로, 상점명이나 지명, 장소명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콘은 상기 POI가 지도 위에 표시되는 이미지로 이용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상술한 명칭 및 아이콘은 선택과 관계없이 지도상에 표시되고, 나머지 설명, 주소, 이벤트 정보는, 해당 POI를 선택하는 경우, 팝업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 정보는, 상기 POI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로서, 예를 들어, 이벤트 정보, 예약 서비스, 할인 쿠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단말기(100)는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제1 단말기(100)로부터의 POI 등록 요청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POI를 지도에 추가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는 특정 제1 단말기(100)로부터 POI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POI 등록에 필요한 정보, 즉, POI에 대한 위치 정보, 상세 정보 및 링크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 정보, 상세 정보 및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POI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POI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에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한 제2 단말기(300)로 상기 POI가 추가된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제2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POI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링크 정보를 통해서 상기 POI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는 제2 단말기(300)에 의해 선택된 POI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POI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페이지를 상기 제2 단말기(300)로 제공한다. 그리고, 이렇게 이루어지는 부가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이용 정보를 해당 POI를 등록한 제1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는 지도 데이터에 등록된 POI와 상기 POI를 등록 요청한 제1 단말기(100)의 사용자를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기(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등록된 POI 데이터에 대한 변경/삭제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제1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서 POI 등록/변경/삭제를 수행하기에 앞서, 상기 제1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상기 POI의 등록/변경/삭제에 대한 권한을 갖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검증되지 않은 사용자의 무분별한 POI 등록/변경/삭제 행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 단말기(300)는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로서, 제2 단말기(300)가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하여, 상기 POI가 추가된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제2 단말기(300)는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기반 서비스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서비스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지도를 기반으로 위치와 연관되어 이루어지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는, 예를 들어,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정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여 제공하는 경로 탐색 서비스, 상기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2 단말기(300)의 실시간 이동 위치를 안내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및 상기 제2 단말기(3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 지도를 제공하는 지도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2 단말기(100, 300)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통해 이벤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단말기로서, 임의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으며 통신 및 정보 처리 기능을 갖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2 단말기(100, 3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기(100)와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와 제2 단말기(300)를 연결하는 통신망(400)은, 상기 제1 단말기(100)와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와 제2 단말기(300) 간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매체로서,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및 그들의 조합에 따른 통합망까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망(400)은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망, 아이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 Wibro(Wireless Broadband)망과, Wi-Fi망을 포함하는 무선랜(Wireless LAN), 유선통신망,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위성통신망 등과 같이 기존에 알려져 있는 다양한 방식의 통신망뿐만 아니라, 향후 개발 예정인 차세대 통신망이 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1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10)의 구성 중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를 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는 장치 통신부(210)와, 장치 저장부(250)와, 장치 제어부(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지도에 특정 POI를 추가하고, POI가 추가된 지도를 기반으로 제2 단말기(300)에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되, 상기 제2 단말기(300)의 상기 POI 관련 서비스 이용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장치 통신부(21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POI 등록 요청, 상기 POI에 관한 위치 정보, 상세 정보 및 링크 정보를 수신하고, 아울러 상기 제1 단말기(100)로 상기 POI에 관한 제2 단말기(300)의 서비스 이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 통신부(210)는 제2 단말기(300)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서, 상기 POI가 추가된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요청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2 단말기(300)로 제공하며, 아울러, 상기 제2 단말기(300)의 서비스 이용 후, 특히 상기 POI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에 대한 이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장치 통신부(210)는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300)의 접속 및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도록 구현된다.
그리고, 장치 저장부(260)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운용을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 저장부(260)는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의 운용을 위한 운용 프로그램 및 위치 기반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장치 저장부(260)는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운용하는데 필요하건 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특히, 위치 기반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지도 데이터(251) 및 상기 지도 데이터(251)에 연결되어 표시되는 POI 정보(2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OI 정보(253)는 특히, 상기 제1 단말기(100)의 요청에 의하여 등록된 POI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POI 정보(253)는, 상기 지도 데이터(251)의 지도상에서 표시될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예를 들어, 위도, 경도)와, 지시하는 대상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정보들(예를 들어, 명칭, 설명, 아이콘, 주소, POI와 관련된 이벤트 정보), 및 상기 POI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페이지에 대한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POI 정보(253)는 등록을 요청한 제1 단말기(100)의 식별 정보와 매핑되어 관리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말기(100)의 식별 정보는, 제1 단말기(100)와 관련된 고유 정보, 상기 제1 단말기(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ID, 및 고유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에 저장되는 지도 데이터(251)는, 웹 기반으로 구현되는 지도 데이터로서, 특히, 자바스크립트, CSS, XML, HTML, XHTML, dHTM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언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구현된 지도 데이터(251)는 제1,2 단말기(100, 200)의 브라우저를 통해서 처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POI 정보(253)는 HTML 태그로 구현되어, 상기 지도 데이터(251)에 대해 추가/변경/삭제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에서 상기 지도 데이터(251)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위치 기반 서비스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HTML5를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POI는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상의 위치에 상기 상세 정보를 이용하여 POI의 이미지 및 명칭이 표시되도록 구현되며, 아울러, 상기 POI를 선택할 경우 상기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페이지가 접속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중에, 지도 상에 표시된 특정 POI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와 관련된 페이지를 링크로 연결하여, 바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를 통해서 특정 위치의 식당을 검색한 후, 상기 식당의 예약 서비스 사이트에 바로 접속하여, 상기 식당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장치 제어부(260)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장치 통신부(210)를 통해 제1 단말기(100)로부터 POI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1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POI에 대한 위치 정보, 상세 정보 및 링크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 상세 정보 및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POI를 지도 데이터(251)에 연결하여 등록한다. 이렇게 등록된 POI는 POI 정보(253)에 추가된다. 그리고, 상기 장치 제어부(260)는 상기 POI 정보가 추가된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2 단말기(300)로 제공하고, 상기 제2 단말기(300)의 상기 POI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 이용 정보(예를 들어, 상기 링크 정보로의 접근 여부)를 수집하여 상기 제1 단말기(100)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장치 제어부(2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OI 정보 관리부(261)와, 위치 기반 서비스부(2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OI 정보 관리부(261)는, POI 등록 요청에 따라서 해당 POI에 대한 등록을 수행하는데, 구체적으로 제1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등록할 POI에 대한 위치 정보, 상세 정보 및 링크 정보를 획득하여 POI 정보(253)로서 추가 등록하되, 획득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POI를 지도 데이터(251)와 연결한다. 더하여, 상기 POI 정보 관리부(261)는 상기 POI를 등록 요청한 제1 단말기(100)의 식별 정보를 더 획득하고, 획득한 제1 단말기(100)의 식별 정보를 상기 POI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POI 정보 관리부(261)는, 상기 제1 단말기(100)로부터의 상기 POI에 대한 변경 또는 삭제 요청에 따라서, 상기 등록한 POI의 위치 정보 및 상세 정보를 변경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이러한 POI의 변경 및 삭제를 수행할 때, 상기 POI 정보 관리부(261)는 해당 요청자가 상기 POI의 등록을 요청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함에 의해 변경/삭제에 대한 권한이 있는 지를 확인하고, 권한이 있는 경우에만 상기 변경 및 삭제 요청을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사용자가 임의의 POI를 변경하거나 삭제할 수 없도록 한다. 또 다른 경우, 상기 POI 정보 관리부(261)는 POI의 등록/변경/삭제가 가능한 사용자를 미리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사용자에 한하여, 상기 POI의 등록/변경/삭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된 사용자가 POI를 등록/변경/삭제하도록 함으로써, POI의 무분별한 등록이나 악의적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부(263)는, 장치 저장부(25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251)를 기반으로 제2 단말기(300)에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도 데이터(251)는 상기 제1 단말기(100)에서 등록한 POI가 추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POI가 함께 제2 단말기(300)로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단말기(300)는 상기 지도 데이터(251)를 기반으로 상기 POI를 목적지로 하는 경로 탐색을 요청하거나, 지도에 표시된 상기 POI를 선택하여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거나, 연결된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부(26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300)에 의해 발생된 상기 POI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 이용 정보를 수집하여 제1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부(263)는 상기 제2 단말기(300)에서 지도에 표시된 상기 POI를 선택한 경우,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POI의 상세 정보 중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를 상기 제2 단말기(300)에 제공하고,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제2 단말기(300)의 참여 여부를 수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10)에 있어서, 제1 단말기(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1 단말기(100)는 위치 기반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지도에 POI를 추가 등록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로서, 여기서, POI의 등록을 요청하는 사용자는, 상기 POI와 관련된 사용자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POI가 특정 오프라인 상점인 경우, 상기 오프라인 상점의 운영자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단말기(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0)와, 입력부(120)와, 출력부(130)와, 저장부(140)와,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통신망(400)을 통해서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통신망(40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통신부(110)는 통신망(400)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하여 POI 등록 요청, 위치 정보, 상세 정보 및 링크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등록 요청한 POI와 관련된 다른 제2 단말기(300)의 부가 서비스 이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명령, 선택, 데이터,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키 및 기능키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키 입력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는, 상기 POI 등록 요청 명령, 상기 POI와 관련된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로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0)는 제1 단말기(100)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또는, 촉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출력부(13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 청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 촉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햅틱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다양한 종류의 표시 패널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제조 형태에 따라 표시 패널과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구조,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형태로 표시 장치가 형성된 경우, 표시 장치는 입력부(12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는 대표적으로 스피커를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햅틱 장치는 진동을 출력하는 모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130)는 POI 등록 요청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고, 아울러, 등록 처리 후,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POI에 대한 제2 단말기(300)의 서비스 이용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자신이 등록 요청한 POI와 관련된 다른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POI 관련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와 상기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사용자와 구분하여 특정 이벤트, 예를 들어, 쿠폰이나 할인권 제공, 포인트 적립 등의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등록한 POI를 목적지로 경로를 탐색하여 찾아온 사용자를 대상으로 쿠폰이나 할인권 등의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저장부(140)는 제1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50)는 제1 단말기(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운영 체제를 실제로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혹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MPU)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단말기(100)의 전원이 켜지면, 운영 체제를 저장부(140)의 보조 기억 장치로부터 주 기억 장치로 이동시킨 후, 운영 체제를 구동하는 부팅(booting)을 수행한다. 아울러, 부팅된 상태에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를 통해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서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로 POI 등록을 요청하고, 이어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의 지도 데이터에 추가하고자 하는 POI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세 정보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0)는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상기 등록 요청한 POI와 관련된 제2 단말기(300)의 서비스 이용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 및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였으나, 여기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어서 상술한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10)을 기반으로 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메시지 흐름도이다. 참고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위치 기반 서비스로서 경로 탐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위치 기반 서비스는 상기 경로 탐색 서비스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종류의 위치 기반 서비스도 유사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도 5를 참조하면, S101 단계에서, 제1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하여 POI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단말기(100)는 S105 단계에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로 등록할 POI에 대한 위치 정보, 상기 POI에 대한 상세 정보, 및 상기 POI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는 제1 단말기(100)에서 상기 위치 정보를 보다 쉽게 획득할 수 있도록, 제1 단말기(100)로부터 POI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S103 단계에서, 지도 데이터(251)를 상기 제1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제1 단말기(100)는 상기 수신한 지도 데이터(251)를 파싱하여, 지도 이미지를 출력부(140)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부(140)에 표시된 지도 이미지를 확인한 사용자가 지도 상의 특정 지점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한 지점의 위치 정보(위도 및 경도)를 추출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단말기(100)는 상세 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로부터의 지원에 따라서 출력부(140)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입력한 상세 정보, 즉, POI를 나타낼 아이콘, POI의 명칭, 주소, 설명, 이벤트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획득하여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OI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단말기(100)로부터 등록할 POI에 대한 위치 정보, 상세 정보 및 링크 정보를 획득한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는 S107 단계에서,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 상세 정보 및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POI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POI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에 추가 등록한다. 이후 상기 POI 데이터의 추가 등록은, POI를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 데이터(251)의 특정 위치에 상기 상세 정보를 표시하고, 아울러 상기 POI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하는 소정 영역의 선택시 상기 링크 정보에 따라서 부가 서비스가 실행되도록 구현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단말기(100)에서 요청한 POI가 등록된 상태에서, S109 단계에서 임의의 제2 단말기(300)가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하면,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는 S111 단계에서, 제2 단말기(300)로 지도 데이터(251)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도 데이터(251)는 앞서 S107 단계에서 추가 등록된 제1 단말기(100)의 POI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2 단말기(300)에는 상기 제1 단말기(100)가 추가한 POI를 포함하는 지도가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POI를 포함하는 지도를 표시할 때, 상기 POI와 관련된 상세 정보, 특히 이벤트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2 단말기(300)가 지도를 검색하여 경로 탐색을 요청할 수 있는데, 상기 제1 단말기(100)가 추가한 POI를 목적지로 선택하여 경로 탐색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는 S113 단계에서, 제2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100)가 추가 등록한 POI를 목적지로 하는 경로 탐색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POI로 가기 위한 경로를 탐색하여 제2 단말기(300)로 제공하면서, S115 단계에서, 상기 제1 단말기(100)로 상기 제2 단말기(300)의 상기 POI에 대한 부가 서비스 이용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2 단말기(3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POI에 대한 부가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링크 정보를 통해서 제2 단말기(300)가 상기 POI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는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부가 서비스 페이지를 제2 단말기(300)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2 단말기(300)가 상기 페이지를 통해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는, 할인 쿠폰 제공, 해당 POI와 관련된 상점에 대한 서비스 예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2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상기 POI로 등록된 식당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하여 상기 식당의 위치를 검색하여, 경로 안내 등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경로 안내를 통해 목적지인 식당으로 찾아가는 중에 예약 혹은 할인 쿠폰 다운등의 부가 서비스를 바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부가 서비스의 이용 정보를 확인하여 제1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 단말기(100)는 S117 단계에서, 상기 제2 단말기(300)의 상기 POI에 대한 서비스 이용 정보를 출력부(140)를 통해 표시하여, 제1 단말기(100)의 사용자에게 알린다.
더하여, 상기 제1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20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251)에 임의의 POI를 추가 등록할 뿐만 아니라, 등록한 POI에 대한 변경이나 삭제까지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단말기는, 지도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이용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임의의 POI를 자유롭게 추가 요청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사용자가 추가 요청한 POI를 포함하는 지도를 기반으로 다른 사용자에게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위치 기반 서비스와 연계하여 POI 별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0: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100: 제1 단말기
200: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 300: 제2 단말기
400: 통신망

Claims (10)

  1. 삭제
  2. 통신망을 통해서 사용자의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통신부;
    상기 장치 통신부를 통해 제1 단말기로부터 POI(Point Of Interest)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등록할 POI에 대한 위치 정보, 상기 POI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정보, 상기 POI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링크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 상세 정보 및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POI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POI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에 추가하고, 상기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되,
    상기 POI의 선택 시, 상기 링크 정보를 통한 상기 부가 서비스로의 접근을 지원하는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며, 상기 부가 서비스에 대한 이용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장치 제어부;
    상기 POI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POI에 대한 변경 또는 삭제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에 추가된 상기 POI 데이터의 위치 정보, 상세 정보 및 링크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변경하거나,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통신망을 통해서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서 상기 지도 데이터에 추가하고자 하는 POI(Point Of interest)에 대한 위치 정보, 상기 POI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정보, 및 상기 POI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링크 정보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여 등록을 요청하고,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등록 요청한 POI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에 대한 다른 단말기의 이용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지도 및 상기 다른 단말기의 서비스 이용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삭제
  10. 삭제
KR1020120114697A 2012-08-20 2012-10-16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단말기 KR101986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697A KR101986775B1 (ko) 2012-10-16 2012-10-16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단말기
PCT/KR2013/006191 WO2014030842A1 (ko) 2012-08-20 2013-07-11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697A KR101986775B1 (ko) 2012-10-16 2012-10-16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577A KR20140048577A (ko) 2014-04-24
KR101986775B1 true KR101986775B1 (ko) 2019-06-07

Family

ID=50654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697A KR101986775B1 (ko) 2012-08-20 2012-10-16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7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32692A (zh) * 2019-12-25 2021-06-2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poi信息采集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883B1 (ko) * 2011-05-06 2012-04-13 팅크웨어(주) 오픈형 poi를 등록하는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373B1 (ko) 2005-07-14 2012-07-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개인별 poi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
KR20100050322A (ko) * 2008-11-05 2010-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883B1 (ko) * 2011-05-06 2012-04-13 팅크웨어(주) 오픈형 poi를 등록하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577A (ko) 201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0229B2 (ja) 経路探索システム及び経路探索方法
JP5984685B2 (ja) 表示システム、サーバ、端末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200912360A (en) Locatio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importing location information
JP2013065313A (ja) 個人ウェブページでの地理情報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WO2010049579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expedited navigation
JP2009265771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提供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提供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録媒体等
JP2014519606A (ja) 短距離において複数の曲がり角を曲がるための支援を備える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8225889A (ja)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等
KR101986775B1 (ko)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단말기
WO2017033301A1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を用いた情報提示方法
JP5491608B1 (ja) 測位方法決定装置及び測位方法決定方法
JP6175668B2 (ja) メッセージ共有システム、端末装置、中間サーバ、メッセージサーバ、メッセージ共有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72652A (ko) 다중 id를 이용한 공간 정보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5505320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20090008847A (ko) 여행정보 제공시스템 및 여행정보 제공방법
JP631305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2220306A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JP2014122837A (ja) 情報共有システム
JP5498323B2 (ja) 周辺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周辺情報表示プログラム
JP2005149230A (ja) 表示連動システム
JP2007048106A (ja) 街頭情報提供システム
JP6288308B2 (ja) 情報処理装置、ルート登録方法およびルート登録プログラム
WO2014162612A1 (ja) 情報提供システム、端末、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2005172524A (ja) 位置情報登録検索システム、位置情報登録検索サーバ及び位置情報登録検索方法
JP202212277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