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840B1 -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and knitted fabric - Google Patents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and knitted fabric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5840B1 KR101985840B1 KR1020180078085A KR20180078085A KR101985840B1 KR 101985840 B1 KR101985840 B1 KR 101985840B1 KR 1020180078085 A KR1020180078085 A KR 1020180078085A KR 20180078085 A KR20180078085 A KR 20180078085A KR 101985840 B1 KR101985840 B1 KR 1019858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itch
- knitting
- stitches
- knitted fabric
- ne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과제)본 발명은, 편성시작부에 계속되는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의 적어도 일방이 리브조직이더라도, 편성시작부를 플랫하게 할 수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편성시작부(101)는, 일측 니들베드(BD)에 제1스티치(1)를 편성하고, 타측 니들베드(FD)에 제2스티치(2)를 편성하는 공정A를 한 후에, 제1스티치(1)보다 형성방향(LS)측에, 제1스티치(1)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제1스티치(3)를 편성하는 공정B와, 새로운 제1스티치(3) 근방의 공침에 일측 늘림 스티치(4)를 편성하는 공정C와, 제2스티치(2)보다 형성방향(LS)측에, 제2스티치(2)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제2스티치(5)를 편성하는 공정D와, 새로운 제2스티치(5) 근방의 공침에 타측 늘림 스티치(6)를 편성하는 공정E를 반복함으로써 편성한다. 공정B, D의 새로운 스티치(3, 5)는, 공정C, E의 걸림 스티치(4, 6)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편성포부의 스티치와는 표리가 반대인 스티치로 한다.[PROBLEMS] To provide a knitting fabric knitting method capable of flattening a knitting start portion even if at least one of the one side knitting surrounding portion and the other knitting surrounding portion following the knitting start portion is a rib structure.
The knitting start portion 101 performs a step A in which a first stitch 1 is knitted on one needle bed BD and a second stitch 2 is knitted on the other needle bed FD A step B of knitting a new first stitch 3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first stitch 1 at a side of the forming direction LS from the first stitch 1, A step C of knitting one side stretch stitch 4 on the coping needle and a new second stitch 5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econd stitch 2 on the forming direction LS side from the second stitch 2, And the step E for knitting the other stretching stitches 6 in the vicinity of the new stitches 5 in the vicinity of the new stitches 5 are repeatedly knitted. The new stitches 3 and 5 of the steps B and D are stitches whose front and back sides are opposite to those of the stitches of the knitting stitches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engaging stitches 4 and 6 of the steps C and E.
Description
본 발명은, 편성시작부를 편성하고, 그 편성시작부를 기점(起點)으로 하여 편성시작부로부터 분기(分岐)되는 일측 편성포부(一側 編成布部)와 타측 편성포부(他側 編成布部)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시작부로부터 분기되는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를 갖는 편성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knitting start portion is knitted and one knitted fabric portion (one-side knitted fabric portion) and the other-side knitted fabric portion (another side knitted fabric portion) branched from the knitting start portion with the knitting start portion as a starting point, And a knitted fabric having one side knitted fabric portion and the other side knitted fabric portion which branch from the knitting start portion.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전후로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needle bed)에 결합되는 편성시작부를 편성하고, 그 편성시작부를 기점으로 하여 전후로 대향하는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1에서는, 최초에 일측 스티치(一側 stitch)와 타측 스티치(他側 stitch)를 편성한 후에, 이하의 편성을 반복함으로써 편성시작부를 편성하고 있다.A knitting start portion coupled to a needle bed facing forward and backward is knitted using a weft knitting machine and the one knitted fabric portion and the other knitting fabric portion opposed to each other with the knitting start portion as the starting point As a method of knitting a knitted fabric to be knitted, for example, a method described in
·일측 스티치보다 편성시작부의 형성방향측에, 그 일측 스티치에 계속되는 새로운 일측 스티치를 편성하고, 일측 스티치의 이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침(空針)에 일측 늘림 스티치(一側 widening stitch)를 형성한다.A new one side stitch succeeding one side stitch is knitted on the forming direction side of the knitting start portion than the one side stitch, and one side widening stitch is formed on the coin needle formed by the movement of one side stitch .
·타측 스티치보다 편성시작부의 형성방향측에, 그 타측 스티치에 계속되는 새로운 타측 스티치를 편성하고, 타측 스티치의 이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침에 타측 늘림 스티치(他側 widening stitch)를 형성한다.A new stitch succeeding to the other stitch is knitted on the forming direction side of the knitting start portion than the other stitch and the other stitching stitch is formed on the coping stitch formed by the movement of the other stitch.
특허문헌1의 기술은, 편성시작부에 계속되는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가 플레인 스티치 조직(plain stitch structure)인 경우에는 편성시작부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의 적어도 일방이 리브조직(rib structure)이면, 편성시작부가 구부러진 것처럼 되기 쉬워서, 편성시작부가 눈에 띄게 되어 버린다. 이러한 현상은, n×m의 리브조직에서 n, m이 작아질수록 현저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도10(A)에 나타내는 사진은, 편성시작부에 계속하여 2×2의 리브조직의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를 편성한 편성포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사진의 하단에 배치되는 편성시작부가 구부러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수축되기 쉬운 리브조직에 비하여 편성시작부가 수축되기 어려워서, 편성포부의 수축량과 편성시작부의 수축량에 차이가 생기기 때문이다. 또한 도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시작부를 편성폭방향으로 넓히면, 편성시작부의 굴곡은 눈에 띄지 않게 되지만, 편성포부의 리브조직과 편성시작부의 편성조직의 차이가 분명하게 되어, 편성시작부가 눈에 띄게 되어 버린다.In the technique of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 중 하나는,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의 적어도 일방이 리브조직이더라도, 편성시작부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의 적어도 일방이 리브조직이고, 또한 편성시작부가 눈에 띄지 않는 편성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One of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itting method of a knitting fabric capable of making the knitting start portion unnoticeable even if at least one of the one knitted fabric portion and the other knitting fabric portion is a rib structur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itted fabric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ortion and the other-side knitting fabric portion has a rib structure and the knitting start portion is not conspicuous.
본 발명의 제1편성포의 편성방법은,A method of knitting a first knitted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서로 대향하는 일측 니들베드와 타측 니들베드, 및 이들의 니들베드에 편사를 급사하는 급사부재를 갖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양 니들베드에 교대로 결합되는 편성시작부를 편성하고, 그 편성시작부를 기점으로 하여 전후로 대향하는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A knitting start portion alternately joined to both needle beds is knitted by using a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one needle bed and another needle bed opposed to each other and a yarn feeding member that feeds a knitting yarn to these needle beds, And knitting the one-side knitted embossed portion and the other-side knitted embossed portion facing each oth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상기 편성시작부를 형성하여 가는 방향을 형성방향, 그 반대방향을 시단방향으로 하였을 때에,When forming the knitting start portion and forming the knitting start portion in the forming direction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tarting end direction,
상기 일측 니들베드에 제1스티치를 편성하고, 상기 타측 니들베드에 제2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A를 한 후에,After a step A of knitting a first stitch on one needle bed and knitting a second stitch on the other needle bed,
상기 제1스티치보다 상기 형성방향측에, 상기 제1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제1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B와,A step B of knitting a new first stitch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first stitch on the forming direction side of the first stitch,
상기 새로운 제1스티치 근방의 상기 일측 니들베드의 공침에 일측 늘림 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C와,A step C of knitting a one-side stretch stitch on the coping of the one side needle bed in the vicinity of the new first stitch,
상기 제2스티치보다 상기 형성방향측에, 상기 제2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제2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D와,A step D of knitting a new second stitch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econd stitch on the forming direction side of the second stitch,
상기 새로운 제2스티치 근방의 상기 타측 니들베드의 공침에 타측 늘림 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E를And a step E of knitting a second stretch stitch to the other needle bed near the new second stitch
반복함으로써 상기 편성시작부를 편성하고,Knitting the knitting start portion by repeating,
상기 편성시작부에 있어서의 복수의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상기 일측 편성포부를 편성함과 아울러, 복수의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상기 타측 편성포부를 편성하는Knitting the one-side knitted fabric part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titch row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he one-side stitch stitches at the knitting start part and knitting the other side knitted fabric part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titch row made up of the plurality of the other-side stitch stitches
편성포의 편성방법이다.A method of knitting a knitted fabric.
단, 상기 일측 편성포부와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적어도 일방은 리브조직이고,At least one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art and the other-side knitted fabric part has a rib structure,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B의 상기 새로운 제1스티치는 백 스티치로 하고,In the case where the front stitch is used as the stitch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side stretch stitch, the new first stitch in the step B is a back stitch,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백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B의 상기 새로운 제1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로 하고,In the case where the stitch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side stretch stitch is a back stitch, the new first stitch in the step B is a front stitch,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D의 상기 새로운 제2스티치는 백 스티치로 하고,In the case where the stitch of the other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side stretching stitch is used as the front stitch, the new second stitch in the step (D)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백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D의 상기 새로운 제2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로 하고,In the case where the stitches of the other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side stretch stitch are made to be white stitches, the new second stitches of the step (D)
또한 상기 공정B 및 상기 공정D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이동은, 그 이동시키는 스티치보다 상기 급사부재를 상기 형성방향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한다.The movement of the stitches in the process B and the process D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yarn feeding member is arranged closer to the forming direction than the stitch to be moved.
여기에서 프론트 스티치는, 일측 니들베드측(타측 니들베드측)에서 보았을 때에, 타측 니들베드측(일측 니들베드측)으로부터 일측 니들베드측(타측 니들베드측)을 향하여 구스티치로부터 인출되는 스티치이다. 또한 백 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와 역방향으로 인출되는 스티치이다. 또한 공정B(D)에서는, 제1스티치(제2스티치)를 형성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제1스티치(제2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제1스티치(제2스티치)를 편성하여도 좋고, 제1스티치(제2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제1스티치(제2스티치)를 편성한 후에, 그 새로운 제1스티치(제2스티치)를 형성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좋다. 또한 공정C(E)에 있어서의 새로운 제1스티치(새로운 제2스티치) 근방의 공침이라는 것은, 제1스티치(새로운 제2스티치)로부터 편성폭방향으로 3바늘 이내의 공침이다. 공침에 형성되는 일측 늘림 스티치(타측 늘림 스티치)는 걸림 스티치이다. 공정B∼E의 반복에 의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새로운 제1스티치(제2스티치) 및 일측 늘림 스티치(타측 늘림 스티치)는, 그 형성순서대로 형성방향을 향하여 배열되도록 배치된다.Here, the front stitch is a stitch pulled out from the stitch stitch from the other needle bed side (one needle bed side) toward the one needle bed side (the other needle bed side) when viewed from the one needle bed side (the other needle bed side) . The back stitch is a stitch drawn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he front stitch. In step B (D), after the first stitch (second stitch) is moved in the forming direction, a new first stitch (second stitch) continu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first stitch (second stitch) A new first stitch (second stitch) may be moved in the forming direction after a new first stitch (second stitch)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first stitch (second stitch) is knitted. Further, co-processing in the vicinity of the new first stitch (new second stitch) in the step C (E) is coprecipitation within three stitches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from the first stitch (new second stitch). One side stretch stitch (the other side stretch stitch) formed on coin is a stitch stitch. A plurality of new first stitches (second stitches) and one-side stitching stitches (second stitching stitches) formed by repeating steps B to E are arranged so as to be arranged in the forming direction in the order of formation.
본 발명의 제2편성포의 편성방법은,In the method of knitting a second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로 대향하는 일측 니들베드와 타측 니들베드, 및 이들의 니들베드에 편사를 급사하는 급사부재를 갖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양 니들베드에 교대로 결합되는 편성시작부를 편성하고, 그 편성시작부를 기점으로 하여 전후로 대향하는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A knitting start portion alternately joined to both needle beds is knitted by using a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one needle bed and another needle bed opposed to each other and a yarn feeding member that feeds a knitting yarn to these needle beds, And knitting the one-side knitted embossed portion and the other-side knitted embossed portion facing each oth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상기 편성시작부를 형성하여 가는 방향을 형성방향, 그 반대방향을 시단방향으로 하였을 때에,When forming the knitting start portion and forming the knitting start portion in the forming direction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tarting end direction,
상기 일측 니들베드에 제1스티치를 편성하고, 상기 타측 니들베드에 제2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A를 한 후에,After a step A of knitting a first stitch on one needle bed and knitting a second stitch on the other needle bed,
상기 제1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3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B와,A step B of knitting a third stitch continu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first stitch,
상기 제3스티치에 스플릿 편성을 실시하여, 상기 제3스티치로부터 인출되는 제1신규 스티치를 형성하고, 상기 제3스티치와 상기 제1신규 스티치 중 어느 일방을 상기 형성방향측으로 이동시켜서 새로운 제1스티치로 규정함과 아울러, 타방을 일측 늘림 스티치로 규정하는 공정C와,A first stitch is formed on the third stitch to form a first new stitch drawn out from the third stitch, and either one of the third stitch and the first new stitch is moved toward the forming direction, , Step C for defining the other side as a one-side stretch stitch,
상기 제2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4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D와,A step D of knitting a fourth stitch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econd stitch,
상기 제4스티치에 스플릿 편성을 실시하여, 상기 제4스티치로부터 인출되는 제2신규 스티치를 형성하고, 상기 제4스티치와 상기 제2신규 스티치 중 어느 일방을 상기 형성방향측으로 이동시켜서 새로운 제2스티치로 규정함과 아울러, 타방을 타측 늘림 스티치로 규정하는 공정E를Split knitting is performed on the fourth stitch to form a second new stitch drawn out from the fourth stitch and either one of the fourth stitch and the second new stitch is moved toward the forming direction, And a step E for defining the other side as the other stretching stitches
반복함으로써 상기 편성시작부를 편성하고,Knitting the knitting start portion by repeating,
상기 편성시작부에 있어서의 복수의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상기 일측 편성포부를 편성함과 아울러, 복수의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상기 타측 편성포부를 편성하는Knitting the one-side knitted fabric part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titch row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he one-side stitch stitches at the knitting start part and knitting the other side knitted fabric part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titch row made up of the plurality of the other-side stitch stitches
편성포의 편성방법이다.A method of knitting a knitted fabric.
단, 상기 일측 편성포부와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적어도 일방은 리브조직이고,At least one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art and the other-side knitted fabric part has a rib structure,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B의 상기 제3스티치는 백 스티치로 하고,In the case where the front stitch is used as the stitch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side stretch stitch, the third stitch in the step B is a back stitch,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백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B의 상기 제3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로 하고,In the case where the stitch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side stretch stitch is a back stitch, the third stitch in the step B is a front stitch,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D의 상기 제4스티치는 백 스티치로 하고,In the case where the stitches of the other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side stretching stitch are used as the front stitches, the fourth stitches of the step (D)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백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D의 상기 제4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로 한다.And the fourth stitch in the step D is a front stitch when the stitches of the other stitching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 stitching stitch is a back stitch.
본 발명의 제1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공침에 편사를 걸치는 걸림 스티치에 의하여 늘림 스티치를 형성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제2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늘림 스티치를 형성하고 있다. 제2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도, 프론트 스티치, 백 스티치의 정의에 대해서는 제1편성포의 편성방법의 정의에 준한다.In the method of knitting the first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tch stitch is formed by the stitching thread that stitches the knitting yarn on the coin needle. In the knitting method of the second knit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 Also in the method of knitting the second knitted fabric, the definition of the front stitch and the back stitch is based on the definition of the knitting method of the first knitted fabric.
본 발명의 제2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하나의 형태로서,As one form of the knitting method of the second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C에서는 상기 제3스티치를 상기 새로운 제1스티치, 상기 제1신규 스티치를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로 규정하고,In the case where the stitch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side stretch stitch is used as the front stitch, in the step C, the third stitch is defined as the new first stitch and the first new stitch as the one- and,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백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C에서는 상기 제1신규 스티치를 상기 새로운 제1스티치, 상기 제3스티치를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로 규정하고,In the case where the stitches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side stretch stitch are set as white stitches, in the step C, the first new stitches are defined as the new first stitches and the third stitches as the one- and,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E에서는 상기 제4스티치를 상기 새로운 제2스티치, 상기 제2신규 스티치를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로 규정하고,In the case where the stitches of the other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side stitching stitch are used as the front stitches, in the step E, the fourth stitches are defined as the new stitches and the second new- and,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백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E에서는 제2신규 스티치를 상기 새로운 제2스티치, 상기 제4스티치를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로 규정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stitches of the other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side stretching stitch are set as white stitches, in the step E, the second new stitches are defined as the new stitches and the fourth stitches as the other- .
본 발명의 제1 및 제2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하나의 형태로서,As one form of the knitting method of the first and second knitted fabric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공정A의 상기 제1스티치 및 상기 제2스티치의 적어도 일방을 비틀림 스티치로 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stitch and the second stitch in the step A may be a torsion stitch.
본 발명의 제1편성포는,In the first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편성시작부와, 이 편성시작부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기되는 일측 편성포부 및 타측 편성포부를 구비하고,A knitting start portion and a knitting and other knitting needles branched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knitting start portion,
상기 편성시작부는, 단수의 편사 또는 복수의 편사로 연속적으로 편성된 복수의 스티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편성포에 있어서,Wherein the knitting start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titch units continuously knitted with a single knitting yarn or a plurality of knitting yarns,
각 스티치 유닛은,Each stitch unit includes: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에 대하여 경사진 제1스티치와,A first stitch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titch of the one-side knitting needles,
상기 제1스티치보다 후에 편성되고, 또한 상기 제1스티치보다 상기 제1스티치가 경사지는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걸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일측 늘림 스티치와,A side stitch stitch formed of a stitch stitch knitted later than the first stitch and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titch is inclined than the first stitch,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보다 후에 편성되고, 또한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에 대하여 경사진 제2스티치와,A second stitch knitted after the one-side stitch stitch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titch of the other stitch-like stitch,
상기 제2스티치보다 후에 편성되고, 또한 상기 제2스티치보다 상기 제2스티치가 경사지는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걸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타측 늘림 스티치를And a second stitching stitch comprising a stitching stitch knitted later than the second stitch and disposed on a side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stitch is inclined than the second stitching,
구비하고,Respectively,
n을 임의의 자연수로 하였을 때에,When n is an arbitrary natural number,
n+1번째의 상기 스티치 유닛의 상기 제1스티치는, n번째의 상기 스티치 유닛의 상기 제1스티치에 대하여 형성되고,the first stitch of the (n + 1) -th stitch unit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titch of the n-th stitch unit,
n+1번째의 상기 스티치 유닛의 상기 제2스티치는, n번째의 상기 스티치 유닛의 상기 제2스티치에 대하여 형성되고,the second stitch of the (n + 1) -th stitch unit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stitch of the n-th stitch unit,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형성되는The stitches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ortion are form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side stretch stitch, and the stitches of the other-side knitted fabric portion are form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 side stretch stitch
편성포이다.It is a knitting fabric.
단, 상기 일측 편성포부 및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적어도 일방이 리브조직이고,Wherein at least one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art and the other-side knitted fabric part has a rib structure,
각 스티치 유닛에 있어서,In each stitch unit,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프론트 스티치인 경우에, 상기 제1스티치는 백 스티치이고,When the stitches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side stretch stitch are front stitches, the first stitch is a back stitch,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백 스티치인 경우에, 상기 제1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이고,The first stitch is a front stitch, and the first stitch is a front stitch if the stitch of the one-side knitting stitch continu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프론트 스티치인 경우에, 상기 제2스티치는 백 스티치이고,When the stitches of the other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 stretch stitch are front stitches, the second stitch is a back stitch,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백 스티치인 경우에, 상기 제2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이다.And the second stitch is a front stitch when the stitches of the other stitching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 stitching stitch are white stitches.
본 발명의 제2편성포는,In the second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편성시작부와, 이 편성시작부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기되는 일측 편성포부 및 타측 편성포부를 구비하고,A knitting start portion and a knitting and other knitting needles branched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knitting start portion,
상기 편성시작부는, 단수의 편사 또는 복수의 편사로 연속적으로 편성된 복수의 스티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편성포에 있어서,Wherein the knitting start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titch units continuously knitted with a single knitting yarn or a plurality of knitting yarns,
각 스티치 유닛은,Each stitch unit includes: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스티치와 신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제1그룹의 일방의 스티치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에 대하여 경사진 제1스티치와,A first stitch constituted by one stitch of a first group consisting of a stitch and a new stitch formed by split knitting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titch of the one stitching canvas,
상기 제1그룹의 타방의 스티치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스티치보다 상기 제1스티치가 경사지는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일측 늘림 스티치와,Side stitching stitches constituted by the other stitches of the first group and arrang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titches are inclined than the first stitches,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보다 후에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스티치와 신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제2그룹의 일방의 스티치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에 대하여 경사진 제2스티치와,A second stitch comprising a pair of stitches formed by split knitting later than the one-side stitching stitches and a second stitch of a second group consisting of new stitches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titches of the other stitching cloth,
상기 제2그룹의 타방의 스티치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2스티치보다 상기 제2스티치가 경사지는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타측 늘림 스티치를And the other stitching stitch constituted by the other stitches of the second group and arrang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stitches are inclined than the second stitches
구비하고,Respectively,
n을 임의의 자연수로 하였을 때에,When n is an arbitrary natural number,
n+1번째의 상기 스티치 유닛의 상기 제1스티치는, n번째의 상기 스티치 유닛의 상기 제1스티치에 대하여 형성되고,the first stitch of the (n + 1) -th stitch unit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titch of the n-th stitch unit,
n+1번째의 상기 스티치 유닛의 상기 제2스티치는, n번째의 상기 스티치 유닛의 상기 제2스티치에 대하여 형성되고,the second stitch of the (n + 1) -th stitch unit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stitch of the n-th stitch unit,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형성되는The stitches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ortion are form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side stretch stitch, and the stitches of the other-side knitted fabric portion are form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 side stretch stitch
편성포이다.It is a knitting fabric.
단, 상기 일측 편성포부 및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적어도 일방이 리브조직이고,Wherein at least one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art and the other-side knitted fabric part has a rib structure,
각 스티치 유닛에 있어서,In each stitch unit,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프론트 스티치인 경우에, 상기 제1스티치 또는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는 백 스티치이고,The first stitch or the one-side stitch stitch is a back stitch when the stitch of the one-side stitch weft continu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side stitch stitch is the front stitch,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백 스티치인 경우에, 상기 제1스티치 또는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이고,Wherein the first stitch or the one-side stitch is a front stitch when the stitch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side stretch stitch is a back stitch,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프론트 스티치인 경우에, 상기 제2스티치 또는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는 백 스티치이고,The second stitch or the other stitching stitch is a back stitch when the stitch of the other stitching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 stitching stitch is a front stitch,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백 스티치인 경우에, 상기 제2스티치 또는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이다.And the second stitch or the other stitching stitch is a front stitch when the stitch of the other stitching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 stitching stitch is a back stitch.
공정A를 실시한 후에, 공정B∼공정E를 1유닛으로 하는 편성을 반복하는 본 발명의 제1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의 각 스티치의 각각을 프론트 스티치로 할지 백 스티치로 할지에 따라, 편성시작부를 구성하는 제1스티치와 제2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로 할지 백 스티치로 할지를 결정하고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편성포부의 리브조직의 형상에 따라, 리브조직의 수축에 추종하는 편성시작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1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편성포에서는, 리브조직으로 구성되는 편성포부의 수축에 편성시작부가 추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의 적어도 일방이 리브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편성시작부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In the knitting method of the first knitting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knitting is performed in which one knitting process from step B to step E is repeated after the step A is performed, each of the knitting stitches of the one knitting shoulder and the other knitting shoulder is set as a front stitch,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stitch and the second stitch constituting the knitting start portion are front stitches or back stitches, depending on the stitches.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knit the first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knitting start portion following the contraction of the rib structur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ib structure of the knitting aseptic portion. In the first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knitting start portion follows the contraction of the knitting asept formed by the rib structure, even if at least one of the one knitted shoulder and the other knitting shoulder is constituted by a rib structure, You can make your wealth not noticeable.
공정A를 실시한 후에, 공정B∼공정E를 1유닛으로 하는 편성을 반복하는 본 발명의 제2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의 각 스티치의 각각을 프론트 스티치로 할지 백 스티치로 할지에 따라, 편성시작부를 구성하는 제3스티치와 제4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로 할지 백 스티치로 할지를 결정하고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편성포부의 리브조직의 형상에 따라, 리브조직의 수축에 추종하는 편성시작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2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편성포에서는, 리브조직으로 구성되는 편성포부의 수축에 편성시작부가 추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의 적어도 일방이 리브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편성시작부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늘림 스티치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편성시작부의 스티치가 타이트한 상태로 되어, 편성시작부에 구멍이 생기기 어려워서, 편성시작부의 미려함이 좋다.In the knitting method of the second knitting cloth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knitting is performed in which one knitting process from step B to step E is repeated after the step A is performed, each of the knitting stitches of the one knitting shoulder and the other knitting shoulder is set as a front stitch,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hird stitch and the fourth stitch constituting the knitting start portion are to be front stitch or back stitch, depending on the stitch.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knit the second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knitting start portion following the contraction of the rib structur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rib structure of the knitting aseptic portion. In the second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knitting start portion follows the contraction of the knitting asept formed by the rib structure, even if at least one of the one knitted shoulder and the other knitting shoulder is constituted by a rib structure, You can make your wealth not noticeable. Further, in the method of knitting a second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etching stitch is formed by the split knitting, the stitches of the knitting start portion are tight, and no holes are formed in the knitting start portion.
스플릿 편성을 사용한 제2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프론트 스티치인 경우에,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형성되는 신규스티치를 늘림 스티치로 하고,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백 스티치인 경우에, 신규스티치가 인출되는 구스티치(제3스티치 또는 제4스티치)를 늘림 스티치로 함으로써, 편성시작부의 미려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knitting method of the second knitting cloth using the split knitting, in the case where the stitches of the one knitted cloth portion and the other knitted cloth portion are front stitches, a new stitch formed by the split knitting is set as an extension stitch, When the stitch of the aspiration portion is a back stitch, the old stitch (the third stitch or the fourth stitch) from which the new stitch is pulled out is made to be the stitching stitch,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beauty of the stitching start portion.
본 발명의 제1 및 제2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공정A에서 편성하는 제1스티치 및 제2스티치의 적어도 일방을 비틀림 스티치로 함으로써, 편성시작부를 풀어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공정A의 제1스티치와 제2스티치는, 편성시작부의 시단이 되는 스티치이기 때문에, 제1스티치 및 제2스티치의 적어도 일방을 풀어지기 어려운 비틀림 스티치로 구성함으로써, 편성시작부가 풀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제1스티치를 비틀림 스티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스티치와 제2스티치의 양방을 비틀림 스티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method of knitting the first and second knitted fabr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titch and the second stitch knitted in the step A is made into a twisted stitch, thereby making it difficult to disengage the knitting start part. Since the first stitch and the second stitch of the step A are stitches serving as the starting ends of the knitting start por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titch and the second stitch is constituted by torsion stitches which are unlikely to be loosened, can do.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titch is a torsion stitch,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both the first stitch and the second stitch are torsion stitches.
도1은,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편성포(스커트)의 개략도이다.
도2는, 실시형태1에 나타내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편성공정의 전반부분을 나타내는 편성공정 제1도이다.
도3은, 실시형태1에 나타내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편성공정의 후반부분을 나타내는 편성공정 제2도이다.
도4는, 드로스레드를 뽑기 전의 실시형태1의 편성포의 편성시작부 근방의 부분을, 편성포의 내측에서 보았을 때의 루프도이다.
도5는, 드로스레드를 뽑은 후의 실시형태1의 편성포의 편성시작부 근방의 부분을, 편성포의 내측에서 보았을 때의 루프도이다.
도6에 있어서, (A)는 실시형태1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사용하여 편성된 편성포의 편성시작부 근방의 사진을, (B)는 (A)의 편성포를 편성폭방향으로 넓혔을 때의 편성시작부 근방의 사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실시형태2에 나타내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편성공정의 전반부분을 나타내는 편성공정 제1도이다.
도8은, 실시형태2에 나타내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편성공정의 후반부분을 나타내는 편성공정 제2도이다.
도9는, 드로스레드를 뽑은 후의 실시형태2의 편성포의 편성시작부 근방의 부분을, 편성포의 내측에서 보았을 때의 루프도이다.
도10에 있어서, (A)는 특허문헌1의 종래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의 편성시작부 근방의 사진을, (B)는 (A)의 편성포를 편성폭방향으로 넓혔을 때의 편성시작부 근방의 사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knitted fabric (ski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first step of the knitting process showing the first half of the knitting process related to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ing fabric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Fig.
Fig. 3 is a second knitting process showing the latter part of the knitting process related to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ing fabric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Fig.
Fig. 4 is a loop diagram showing a portion near the knitting start portion of the knitting fabric of
Fig. 5 is a loop diagram showing a portion near the knitting start portion of the knitting fabric of
6 (A) is a photograph of the vicinity of the knitting start portion of the knitted fabric knitted using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ing fabric of
Fig. 7 is a first step of the knitting process showing the first half of the knitting process related to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ing fabric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Fig. 8 is a second diagram of the knitting process showing the latter part of the knitting process related to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ing fabric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Fig. 9 is a loop diagram showing a portion of the knitted fabric in the vicinity of the knitting start portion of the knitted fabric of the second embodiment after drawing the draw thread, from the inside of the knitted fabric. Fig.
10 (A) is a photograph of the vicinity of the knitting start portion of the knitted fabric knitted by the knitting method of the conventional knitting fabric of
<실시형태1>≪
실시형태1에서는, 도1에 나타내는 스커트(skirt)(편성포)(100)를 편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이 스커트(100)는, 앞쪽 편성포(타측 편성포부(他側 編成布部))(20F)와 뒤쪽 편성포(일측 편성포부(一側 編成布部))(20B)가 통모양으로 연결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그 편성시작부(101)와 편성종료부(102)는 모두 스커트(100)의 측면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이 스커트(100)는, 그 측면방향에서부터 편성을 시작하여, 도1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하여 편성을 하여, 반대측의 측면방향에서 편성을 종료함으로써 얻어진다. 편성시작부(101)를 플랫하게 형성하여 눈에 띄지 않게 함으로써, 스커트(100)의 상품가치가 올라간다. 여기에서 본 예의 편성시작부(101)를 형성하는 대상이 되는 편성포는 의복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가방 등의 소품이나 가구의 커버 등이더라도 좋다.In
이하, 스커트(100)에 있어서 특히 편성시작부(101)의 편성방법을 도2, 도3에 나타내는 편성공정도 및 도4에 나타내는 루프도(loop diagram)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스커트(100)의 편성에 사용되는 횡편기(橫編機)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2조(2組) 갖는 4베드 횡편기이다. 횡편기는 2베드 횡편기이더라도 좋으며, 그 경우에 인접하는 스티치(stitch)의 사이에 공침(空針)을 형성하는 하프 게이지 편성(half gauge knitting)을 하면 좋다.Hereinafter, the knitting method of the
도2, 도3의 작은 칸에 기재되어 있는 「S+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나타내고, 작은 칸의 우측에 있는 큰 칸에는 각 편성공정에 있어서의 편성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큰 칸 내의 흑점은 편침을, 역삼각형 마크는 급사부재(給絲部材)를 나타내고, 칸 외부의 대문자 알파벳은 편침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큰 칸 내부의 5각형 마크는 드로스레드(draw thread)의 스티치(stitch)를, 원형의 마크는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를, 다이아몬드형 마크는 백 스티치(back stitch)를, 2중 마크는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를, 검게 칠한 마크는 그 편성공정에서 편성한 스티치를 나타낸다. 또한 칸 외부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지면(紙面)의 좌측방향 및 우측방향을 각각 형성방향(形成方向)(LS) 및 시단방향(始端方向)(RS)이라고 한다. 형성방향(LS)이라는 것은 편성시작부(101)를 편성하여 가는 방향, 시단방향(RS)이라는 것은 형성방향(LS)과는 역방향이다.The "S + number" shown in the small box in FIG. 2 and FIG. 3 indicates the number of the knitting process, and the large box on the right side of the small box shows the knitting status in each knitting process. The black spots in the large cell denote the knitting needle, the reverse triangular mark denotes the yarn feeding member, and the uppercase alphabet outside the box denotes the position of the knitting needle. The pentagon mark inside the large compartment represents the stitch of the draw thread, the circular mark represents the front stitch, the diamond mark represents the back stitch, the double mark represents the double stitch, The stitch (double stitch) and the black mark indicate stitches knitted in the knitting process. The left direction and the right direction of a paper surface indicated by an arrow outside the box are referred to as a forming direction LS and a starting end direction RS, respectively. The forming direction LS is a direction in which the
한편 도4는, 도2, 도3의 편성공정도를 따라 편성된 스커트(100)를 그 내측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편성시작부(101) 근방의 스티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루프도이다. 도4에서는, 도면이 지나치게 복잡하게 되지 않도록 드로스레드를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 4 is a loop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stitch in the vicinity of the
도2의 S1에서는, 하부 뒤쪽 니들베드(lower back needle bed)(일측 니들베드(一側 needle bed)이며 이하 BD라고 표기한다)의 편침(A∼H)에 제1드로스레드 스티치열(第1draw thread stitch列)(30B)이 결합되고, 하부 앞쪽 니들베드(lower front needle bed)(타측 니들베드(他側 needle bed)이며 이하 FD라고 표기한다)의 편침(A∼H)에 제2드로스레드 스티치열(30F)이 결합된 상태로부터 편성시작부(101)(도1)의 편성을 시작한다. 편성시작부(101)는, 드로스레드 스티치열(30B, 30F)의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연속하여, BD와 FD의 편침(A∼H)에 형성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편성시작부(101)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2×2의 리브조직(rib組織)의 편성포부(20B, 20F)(도1을 참조)를 편성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편성시작부(101)를 편성한다. 구체적으로는, BD(FD)의 편침(A, B, E, F)에는 뒤쪽 편성포(20B)(앞쪽 편성포(20F))의 프론트 스티치를, BD(FD)의 편침(C, D, G, H)에는 뒤쪽 편성포(20B)(앞쪽 편성포(20F))의 백 스티치를 편성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편성시작부(101)를 편성한다.In S1 of FIG. 2, a first draw thread stitch row (first draw thread) is stuck to knitting needles A to H of a lower back needle bed (one needle b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BD) thread stitch row) 30B are joined and knitted needles A to H of a lower front needle bed (the other needle b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FD) The knitting of the knitting start portion 101 (Fig. 1) starts from the state in which the
편성시작부(101)의 편성은, 하나의 급사부재에 의하여 연속하여 실시된다. 또한 편성시작부(101)를 구성하는 스티치 및 걸림 스티치(pickup stitch)에는, 그 형성순서대로 부호 1∼18을 붙인다. 이들의 스티치 및 걸림 스티치는, 그 형성순서대로 연결되어 있다.The
도2에 나타내는 S1에서는, BD의 편침(A)에 드로스레드의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1스티치(1)를 편성함과 아울러, FD의 편침(A)에 드로스레드의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2스티치(2)를 편성한다(제1편성포의 편성방법의 공정A에 상당). 또한 S1에서는, 제1스티치(1)를 상부 앞쪽 니들베드(upper front needle bed)(타측 니들베드이며 이하 FU라고 표기한다)의 편침(B)으로 이동시킨다(공정B의 일부에 상당). 편침(B)은 제1스티치(1)가 결합되어 있던 편침(A)보다 형성방향(LS)측에 있으며, 또 제1스티치(1)가 이동할 때에 급사부재는 제1스티치(1)보다 형성방향(LS)측에 배치되어 있다.In S1 shown in Fig. 2, a
제1스티치(1)와 제2스티치(2)는, 편성시작부(101)의 시단(始端)이 되는 스티치로서, 드로스레드를 빼내었을 때에 풀어지지 않도록 편성한다. 예를 들면 급사부재를 형성방향(LS)으로 이동시켜서 제1스티치(1)를 편성한 후에, 급사부재를 시단방향(RS)으로 이동시켜서 제2스티치(2)를 편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급사부재의 왕복에 따른 스티치(1, 2)의 편성은, 편성효율을 중시한 편성으로서, 드로스레드를 빼내기 전의 스티치(1, 2)는 비틀리지 않으며, 비틀리지 않은 상태라서 풀어지기 쉽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티치(1, 2)는, 드로스레드를 빼내었을 때에 반회전(半回轉)되어 비틀린 상태가 되기 때문에, 풀어지지 않는다. 물론, 스티치(1, 2)가 풀어지지 않도록 제1스티치(1) 및 제2스티치(2)의 적어도 일방을 미리 비틀어 둘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스티치(1)를 비틀림 스티치(twisted stitch)로 하는 것이라면, 급사부재를 형성방향(LS)으로 이동시켜서, FU에서 제1스티치(1)를 편성하고, 급사부재를 시단방향(RS)으로 이동시킨 후에 제1스티치(1)를 BD로 이동시키면 좋다. 제2스티치(2)도 비틀림 스티치로 하는 것이라면, 급사부재를 시단방향(RS)으로 이동시켜서, 상부 뒤쪽 니들베드(upper back needle bed)(일측 니들베드이며 이하 BU라고 표기한다)에서 제2스티치(2)를 편성한 후에 제2스티치(2)를 FD로 이동시키면 좋다. 본 예에서는,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스티치(1)를 비틀림 스티치로 하고 있다.The
여기에서 본 예에서는 드로스레드 스티치열(30B, 30F)의 편성을 하고 있지만, 니들베드(BD, FD)에 드로스레드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부터 편성시작부(101)의 편성을 시작할 수도 있다. 단, 드로스레드 스티치열(30B, 30F)을 형성하여 둠으로써, 편성시작부(101)의 편성이 안정되어, 편성시작부(101)를 말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Here, although the draw
S2에서는, BD의 편침(B)에 결합되는 드로스레드 스티치열(30B)의 스티치를 FU의 편침(B)으로 이동시킨다. 즉 드로스레드의 스티치와 제1스티치(1)가 포개진 더블 스티치(지면에서는 부호 1로 나타내고 있다)를 형성한다. FD에 드로스레드 스티치열(30B)을 편성하지 않는 것이라면, 이 S2는 실시할 필요가 없다.In S2, the stitch of the draw
S3에서는, 급사부재를 시단방향(RS)으로 이동시켜서, 제1스티치(1)의 웨일방향(본 예에서는, 제1스티치(1)와 드로스레드의 스티치를 포갠 더블 스티치)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제1스티치(3)를 편성한다(공정B의 잔부(殘部)에 상당). 이 새로운 제1스티치(3)는, BD와 대향하는 FU에서 편성되기 때문에, BD측으로부터 보아서 백 스티치이다. 제1스티치(3)는 급사부재를 형성방향(LS)으로 이동시켜서 편성할 수도 있다.In step S3, the yarn feeding member is moved in the starting direction RS so that a new
S4에서는, 급사부재를 형성방향(LS)으로 이동시켜서, 공침인 BD의 편침(A)에 걸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일측 늘림 스티치(一側 widening stitch)(4)를 편성한다(공정C에 상당).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BD의 편침(A)에는 뒤쪽 편성포(20B)(도1)의 프론트 스티치를 형성할 예정이며, 따라서 일측 늘림 스티치(4)의 웨일방향에는 프론트 스티치가 형성될 예정이다. S3에 있어서 새로운 제1스티치(3)를 백 스티치로 한 것은, 일측 늘림 스티치(4)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스티치가 프론트 스티치이기 때문이다.In step S4, the yarn feeding member is moved in the forming direction LS to knit a one-side widening stitch 4 (corresponding to step C) formed of the stitching stitch on the knitting needle A of the coin-fed BD.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stitch of the back knitted
S5에서는, 제1스티치(3)보다 형성방향(LS)측에 급사부재가 있는 상태에서, 제1스티치(3)를 BD의 편침(B)으로 이동시킨다.In S5, the
S6에서는, FD의 편침(A)에 결합되는 제2스티치(2)를 BU의 편침(B)으로 이동시킨다(공정D의 일부에 상당). 편침(B)은, 제2스티치(2)가 결합된 편침(A)보다 형성방향(LS)측에 있으며, 또 제2스티치(2)가 이동할 때에 급사부재는 제2스티치(2)보다 형성방향(LS)측에 배치되어 있다.In step S6, the
S7에서는, FD의 편침(B)에 결합되는 드로스레드 스티치열(30F)의 스티치를 BU의 편침(B)으로 이동시킨다. 즉 드로스레드의 스티치와 제2스티치(2)가 포개진 더블 스티치(부호 2를 참조)를 형성한다. BD에 드로스레드 스티치열(30F)을 편성하지 않는 것이라면, 이 S7은 실시할 필요가 없다.In S7, the stitch of the draw
S8에서는, 급사부재를 시단방향(RS)으로 이동시켜서, 제2스티치(2)의 웨일방향(본 예에서는, 제2스티치(2)와 드로스레드의 스티치를 포갠 더블 스티치)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제2스티치(5)를 편성한다(공정D의 잔부에 상당). 이 새로운 제2스티치(5)는, FD와 대향하는 BU에서 편성되기 때문에, FD측으로부터 보아서 백 스티치이다. 제2스티치(2)는 급사부재를 형성방향(LS)으로 이동시켜서 편성할 수도 있다.In step S8, the yarn feeding member is moved in the starting direction RS, and a new second yarn is f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econd stitch 2 (in this example, the double stitch covering the stitches of the
S9에서는, 급사부재를 형성방향(LS)으로 이동시켜서, 공침인 FD의 편침(A)에 걸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타측 늘림 스티치(6)를 편성한다(공정E에 상당).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FD의 편침(A)에는 앞쪽 편성포(20F)(도1)의 프론트 스티치를 형성할 예정이며, 따라서 타측 늘림 스티치(6)의 웨일방향으로는 프론트 스티치가 형성될 예정이다. S8에 있어서 새로운 제2스티치(5)를 백 스티치로 한 것은, 타측 늘림 스티치(6)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스티치가 프론트 스티치이기 때문이다.In S9, the yarn feeding member is moved in the forming direction LS to knit the
S10에서는, 제2스티치(5)보다 형성방향(LS)측에 급사부재가 있는 상태에서, 제2스티치(5)를 FD의 편침(B)으로 이동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S1∼S10에 의하여, 공정A와, 1사이클의 공정B∼공정E가 실시된다. 그 결과,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정A에서 편성되는 편성시작부(101)의 시단이 되는 스티치(1, 2)와, 공정B∼E에서 편성되는 제1스티치(3), 일측 늘림 스티치(4), 제2스티치(5) 및 타측 늘림 스티치(6)가 형성된다.In S10, the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편침(B)에 형성되는 편성포부(20B, 20F)(도4)의 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가 될 예정이기 때문에, S1∼S10의 편성을 다시 반복한다. 단, S1의 스티치(1, 2)의 편성은 실시할 필요가 없다. 다시 S1∼S10을 실시함으로써, 도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제1스티치(7), 일측 늘림 스티치(8), 제2스티치(9) 및 타측 늘림 스티치(10)가 편성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titches of the
다음에, 편침(C)에 형성되는 편성포부(20B, 20F)(도4)의 스티치는 백 스티치가 될 예정이기 때문에, 도3에 나타내는 S11∼S16을 한다.Next, the stitches of the
도3의 S11에서는, BD의 편침(C)에 결합되는 제1스티치(7)를 BD의 편침(D)으로 이동시켜서, 편침(D)상에서 드로스레드 스티치열(30B)의 스티치에 포개고(공정B의 일부), S12에서는, 급사부재를 시단방향(RS)측으로 이동시켜서, 새로운 제1스티치(11)를 편성한다(공정B의 잔부). 새로운 제1스티치(11)는 BD에서 편성되기 때문에, BD측으로부터 보아서 프론트 스티치이다.3, the
S13에서는, 급사부재를 형성방향(LS)으로 이동시켜서, BD의 편침(C)에 일측 늘림 스티치(12)를 편성한다(공정C). 이 일측 늘림 스티치(12)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스티치는 백 스티치가 될 예정이다.In step S13, the yarn feeding member is moved in the forming direction LS to knit the one-side stretching stitches 12 on the knitting needles C of the BD (step C). A stitch continu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
S14에서는, FD의 편침(C)에 결합되는 제2스티치(9)를 FD의 편침(D)으로 이동시켜서, 편침(D)상에서 드로스레드 스티치열(30F)의 스티치에 포개고(공정D의 일부), S15에서는, 급사부재를 시단방향(RS)측으로 이동시켜서, 새로운 제2스티치(13)를 편성한다(공정D의 잔부). 새로운 제2스티치(13)는 FD에서 편성되기 때문에, FD측으로부터 보아서 프론트 스티치이다.In step S14, the
S16에서는, 급사부재를 형성방향(LS)으로 이동시켜서, FD의 편침(C)에 타측 늘림 스티치(14)를 편성한다(공정E). 이 타측 늘림 스티치(14)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스티치는 백 스티치가 될 예정이다. S11∼S16에 의하여, 1사이클의 공정B∼공정E가 실시되고, 그 결과, 도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제1스티치(11), 일측 늘림 스티치(12), 제2스티치(13) 및 타측 늘림 스티치(14)가 편성된다.In S16, the yarn feeding member is moved in the forming direction LS to knit the other-
본 예에서는 다시, BD의 편침(E)과 FD의 편침(E)의 드로스레드의 스티치에 대해서도 S11∼S16과 동일한 편성을 반복한다. 그 결과, 도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제1스티치(15), 일측 늘림 스티치(16), 제2스티치(17) 및 타측 늘림 스티치(18)가 편성된다. 이후에는, S1(비틀림 스티치의 편성을 제외한다)∼S10을 2회 실시하는 것과, S11∼S16을 2회 실시하는 것을 반복하여, 편성시작부(101)를 완성시킨다.In this example, the same knitting operations as S11 to S16 are repeated for the knitting needle E of the BD and the stitch of the draw thread of the knitting needle E of the FD. As a result, the
도2, 도3에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에 따라 편성시작부(101)를 편성한 후에, 편성시작부(101)에 연속하여 일측 편성포부(20B)와 타측 편성포부(20F)를 편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시작부(101)에 있어서의 일측 늘림 스티치(4, 8, 12, 16 … )로 구성되는 제1스티치열(50B)의 웨일방향으로 일측 편성포부(20B)를 편성한다. 또한 일측 편성포부(20B)와는 다른 급사부재를 사용하여, 타측 늘림 스티치(6, 10, 14, 18 … )로 구성되는 제2스티치열(50F)의 웨일방향으로 타측 편성포부(20F)를 편성한다. 어느 하나의 편성포부(20B(20F))는, 편성시작부(101)에서 사용한 급사부재를 이용하여 편성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편성포(100)에 있어서의 실 넣기부(yarn in portion)의 수를 줄일 수 있다.The one
도4에 나타내는 편성시작부(101)에서는, m+1번째(m은 1 이상의 자연수)의 제1스티치(예를 들면 제1스티치(3)를 참조)의 일방의 싱커루프(sinker loop)가, m번째의 제1스티치(제1스티치(1)를 참조)에 감겨지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m+1번째(m은 1 이상의 자연수)의 제2스티치(예를 들면 제2스티치(5)를 참조)의 일방의 싱커루프도, m번째의 제2스티치(제2스티치(2)를 참조)에 감겨지도록 되어 있다. 이들 싱커루프의 감김은, 공정B 및 공정D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이동을, 그 이동시키는 스티치보다 급사부재를 형성방향(LS)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하기 때문에 생긴다. 이들 싱커루프의 감김에 의하여, 제1스티치(1, 3, 7, 11, 15)와 제2스티치(2, 5, 9, 13, 17)에는, 이들 스티치를 지면 좌측의 원호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드로스레드를 뽑아서 드로스레드에 의한 각 스티치의 구속을 해제함으로써, 제1스티치(1, 3, 7, 11, 15)와 제2스티치(2, 5, 9, 13, 17)가 원호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도5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 시에 비틀림 스티치였던 제1스티치(1)와 제2스티치(2)는,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더 반회전(半回轉) 비틀린 상태가 된다.In the
도5는, 스커트(100)를 그 내측에서 보았을 때의 편성시작부(101) 근방의 루프도이다. 스커트(100)의 내측에서 각 스티치를 보고 있기 때문에, 지면의 전방측(스커트(100)의 내측)으로부터 후방측(스커트(100)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스티치가 프론트 스티치이고, 그 반대가 백 스티치이다. 이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커트(100)는, 편성시작부(101)와, 이 편성시작부(101)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기되는 일측 편성포부(뒤쪽 편성포)(20B) 및 타측 편성포부(앞쪽 편성포)(20F)를 구비한다.5 is a loop diagram near the
편성시작부(101)는, 단수의 편사로 연속적으로 편성된 복수의 스티치 유닛(Q1∼Q4)(Q4 이후는 부호를 생략)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단이 되는 제1스티치(1)와 제2스티치(2)에 계속하여 복수의 스티치 유닛(Q1∼Q4)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첫번째의 스티치 유닛(Q1)은, 제1스티치(3), 일측 늘림 스티치(4), 제2스티치(5) 및 타측 늘림 스티치(6)로 구성되고, 두번째의 스티치 유닛(Q2)은, 제1스티치(7), 일측 늘림 스티치(8), 제2스티치(9) 및 타측 늘림 스티치(1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세번째의 스티치 유닛(Q3)은, 제1스티치(11), 일측 늘림 스티치(12), 제2스티치(13) 및 타측 늘림 스티치(14)로 구성되고, 네번째의 스티치 유닛(Q4)은, 제1스티치(15), 일측 늘림 스티치(16), 제2스티치(17) 및 타측 늘림 스티치(18)로 구성되어 있다.The
각 스티치 유닛(Q1∼Q4)을 구성하는 스티치·걸림 스티치의 형성순서와 위치관계는 공통이다. 스티치 유닛(Q1)을 예로 하여 설명하면, 제1스티치(3)는, 일측 편성포부(20B)의 스티치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도2, 도3의 형성방향(LS))으로 경사진다. 일측 늘림 스티치(4)는, 제1스티치(3)보다 후에 편성되고 또한 제1스티치(3)보다 제1스티치(3)가 경사지는 방향과는 반대측(도2, 도3의 시단방향(RS)측)에 배치되는 비틀림 스티치이다. 제2스티치(5)는, 일측 늘림 스티치(4)보다 후에 편성되고 또한 타측 편성포부(20F)의 스티치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도2, 도3의 형성방향(LS))으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타측 늘림 스티치(6)는, 제2스티치(5)보다 후에 편성되고 또한 제2스티치(5)보다 제2스티치(5)가 경사지는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비틀림 스티치이다.The order of formation of the stitch / engagement stitches constituting each of the stitch units (Q1 to Q4)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are common. The stitch unit Q1 is taken as an example. The first stitches 3 are inclined in a direction (the forming direction LS in Figs. 2 and 3)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titches of the knitted
첫번째의 스티치 유닛(Q1)의 제1스티치(3)와 제2스티치(5)는 각각, 시단의 제1스티치(1)와 제2스티치(2)에 대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n+1번째(n은 1 이상의 자연수)의 스티치 유닛의 제1스티치는, n번째의 스티치 유닛의 제1스티치에 대하여 형성되어 있고, n+1번째의 스티치 유닛의 제2스티치는, n번째의 스티치 유닛의 제2스티치에 대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스티치 유닛(Q1∼Q4)은 연결되어 있다.The first stitches 3 and the
상기 편성시작부(101)의 일측 늘림 스티치(4, 8, 12, 16)의 웨일방향으로 일측 편성포부(20B)의 스티치가 형성되고, 타측 늘림 스티치(6, 10, 14, 18)의 웨일방향으로 타측 편성포부(20F)의 스티치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일측 편성포부(20B) 및 타측 편성포부(20F)는 모두 리브조직(rib structure)이며, 도2, 도3의 편성공정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스티치 유닛(Q1∼Q4)은 다음 조건을 충족시킨다.The stitches of the one
·일측 늘림 스티치(4, 8)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일측 편성포부(20B)의 스티치가 프론트 스티치인 경우에, 제1스티치(3, 7)는 백 스티치이다.The first stitches 3 and 7 are back stitches when the stitches of the one side knitted
·일측 늘림 스티치(12, 16)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일측 편성포부(20B)의 스티치가 백 스티치인 경우에, 제1스티치(11, 15)는 프론트 스티치이다.The first stitches 11 and 15 are front stitches when the stitches of the one side knitted embossed
·타측 늘림 스티치(6, 10)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타측 편성포부(20F)의 스티치가 프론트 스티치인 경우에, 제2스티치(5, 9)는 백 스티치이다.The second stitches 5 and 9 are back stitches when the stitches of the other side knitted
·타측 늘림 스티치(14, 18)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타측 편성포부(20F)의 스티치가 백 스티치인 경우에, 제2스티치(13, 17)는 프론트 스티치이다.The second stitches 13 and 17 are front stitches when the stitches of the other knitted
도5에 나타내는 편성포(100)의 편성시작부(101) 근방의 사진을 도6에 나타낸다. 도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시작부가 구부러지지 않고 곧게 형성되어 있어, 매우 미려함이 좋은 편성포로 되어 있다. 또한 도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포(100)의 편성시작부(101)를 편성폭방향으로 넓혀도, 편성시작부(101)의 위치에서 전후의 리브조직 상호간이 말끔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10에 나타내는 특허문헌1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사용한 편성포에서는, 편성시작부가 그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리브조직에 대하여 확장되어 있기 때문에 편성시작부가 다소 구부러져 있어, 이 도10에 나타내는 종래의 편성포와 비교하면, 도6에 나타내는 본 예의 편성포의 미려함의 장점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Fig. 6 shows a photograph of the vicinity of the
<실시형태2>≪
실시형태2에서는, 스플릿 편성(split knitting)을 이용하여 편성시작부의 늘림 스티치를 형성하는 예를 도7, 도8의 편성공정도 및 도9의 루프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7, 도8을 보는 방법 및 도9를 보는 방법은 각각 도2, 도3 및 도5와 동일하다. 여기에서 도7의 S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드로스레드를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다. 드로스레드의 사용·불사용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In
본 예에서는, 도7, 도8의 BD(FD)의 편침(A, B, E, F)에 뒤쪽 편성포(20B)(앞쪽 편성포(20F))의 프론트 스티치를, BD(FD)의 편침(C, D, G, H)에 뒤쪽 편성포(20B)(앞쪽 편성포(20F))의 백 스티치를 편성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편성시작부(101)의 편성을 시작한다. 구체적으로는, BD의 편침(A)에 제1스티치(1)를 편성함과 아울러, FD의 편침(A)에 제2스티치(2)를 편성한다(제2편성포의 편성방법의 공정A에 상당). 제1스티치(1) 및 제2스티치(2)는 실시형태1과 동일하게 편성할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front stitches of the back knitted
S2에서는, BD의 편침(A)에 결합되는 제1스티치(1)를 FU의 편침(A)으로 이동시킨 후에, 급사구를 시단방향(RS)으로 이동시켜서, 제1스티치(1)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3스티치(30)를 편성한다(공정B에 상당). 제3스티치(30)는 FU에서 편성되기 때문에, BD측에서 보아서 백 스티치이다.The
S3에서는, 제3스티치(30)를 일단 BD의 편침(A)으로 되돌린다. 그리고 S4에서는, 제3스티치(30)에 스플릿 편성을 한다. 스플릿 편성을 함으로써, 구스티치인 제3스티치(30)는 FU의 편침(A)으로 이동되고, 그 제3스티치(30)로부터 인출되는 신스티치인 제1신규 스티치(31)가 BD의 편침(A)에 형성된다(공정C의 전반부분).In S3, the
여기에서 S3의 제3스티치(30)의 이동은, 상부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에 대하여 스플릿 편성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하고 있다. 단순한 횡편기의 기구상의 문제이므로, 상부의 니들베드의 스티치에 스플릿 편성을 할 수 있는 횡편기이면, S3을 실시할 필요는 없다.Here, the movement of the
S5에서는, 제3스티치(30)를 형성방향(LS)측으로 이동시켜서 새로운 제1스티치(3)로 규정함과 아울러, 제1신규 스티치(31)를 일측 늘림 스티치(4)로 규정한다(공정C의 후반부분). 구체적으로는, 제3스티치(30)를 BD의 편침(B)으로 이동시키고, 제1신규 스티치(31)는 BD의 편침(A)에 결합시킨 상태로 한다.In S5, the
여기에서 S5와는 달리, S4의 제1신규 스티치(31)를 형성방향(LS)측으로 이동시켜서 새로운 제1스티치(3)로 규정함과 아울러, 제3스티치(30)를 일측 늘림 스티치(4)로 규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측 늘림 스티치(4)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도7의 S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는 것이, 편성시작부(101)가 말끔하게 마무리된다.The first
S6에서는, FD의 편침(A)에 결합되는 제2스티치(2)를 BU의 편침(A)으로 이동시키고, S7에서는, 급사구를 시단방향(RS)으로 이동시켜서, 제2스티치(2)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4스티치(40)를 편성한다(공정D에 상당). 제4스티치(40)는 BU에서 편성되기 때문에, FD측에서 보아서 백 스티치이다.In step S6, the
S8에서는, 제4스티치(40)를 일단 FD의 편침(A)으로 되돌린다. 그리고 S9에서는, 제4스티치(40)에 스플릿 편성을 한다. 스플릿 편성을 함으로써, 구스티치인 제4스티치(40)는 BU의 편침(A)으로 이동되고, 그 제4스티치(40)로부터 인출되는 신스티치인 제2신규 스티치(41)가 FD의 편침(A)에 형성된다(공정E의 전반부분).In S8, the
S10에서는, 제4스티치(40)를 형성방향(LS)측으로 이동시켜서 새로운 제2스티치(5)로 규정함과 아울러, 제2신규 스티치(41)를 타측 늘림 스티치(6)로 규정한다(공정E의 후반부분). 구체적으로는, 제4스티치(40)를 FD의 편침(B)으로 이동시키고, 제2신규 스티치(41)는 FD의 편침(A)에 결합시킨 상태로 한다. S10과는 달리, 제2신규 스티치(41)를 새로운 제2스티치(5), 제4스티치(40)를 타측 늘림 스티치(6)로 규정할 수도 있지만, S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는 것이, 편성시작부(101)가 말끔하게 마무리된다.In S10, the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편침(B)에 형성되는 편성포부(20B, 20F)(도9)의 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로 할 예정이기 때문에, S2∼S10의 편성을 다시 반복한다. 그 결과, 도9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제1스티치(7), 일측 늘림 스티치(8), 제2스티치(9) 및 타측 늘림 스티치(10)가 편성된다.As already described, since the stitches of the
다음에, 편침(C)에 형성되는 편성포부(20B, 20F)(도9)의 스티치는 백 스티치로 할 예정이기 때문에, 도8에 나타내는 S11∼S18을 실시한다. 여기에서 도9는 편성포(100)(도1)를 그 내측에서 본 루프도이기 때문에, 지면의 전방측으로 인출되는 스티치(예를 들면 스티치(12)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스티치)는, 편성포(100)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에 백 스티치이다.Next, since the stitches of the
도8의 S0에는, 제2스티치(9)와 타측 늘림 스티치(10)의 배치가 완료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S0에 계속되는 S11에서는, 급사구를 시단방향(RS)으로 이동시켜서, BD의 편침(C)에 결합되는 제1스티치(7)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3스티치(33)를 편성한다(공정B에 상당). 제3스티치(33)는 BD에서 편성되기 때문에, BD측에서 보아서 프론트 스티치이다.8 shows a state in which the arrangement of the
S12에서는, 제3스티치(33)에 스플릿 편성을 함으로써, 구스티치인 제3스티치(33)가 FU의 편침(C)으로 이동되고, 그 제3스티치(33)로부터 인출되는 신스티치인 제1신규 스티치(34)가 BD의 편침(C)에 형성된다(공정C의 전반부분).In step S12, the
S13, S14에서는, 트랜스퍼(transfer)와 래킹(racking)을 사용하여, 제1신규 스티치(34)를 형성방향(LS)측으로 이동시켜서 새로운 제1스티치(11)로 규정함과 아울러, 제3스티치(33)를 일측 늘림 스티치(12)로 규정한다(공정C의 후반부분). 구체적으로는, S13에서 제1신규 스티치(34)를 FU의 편침(D)으로 이동시키고, S14에서 제1신규 스티치(34)와 제3스티치(33)를 각각 BD의 편침(D)과 편침(C)으로 이동시킨다.The first
S15에서는, 급사구를 시단방향(RS)으로 이동시켜서, FD의 편침(C)에 결합되는 제2스티치(9)(도9를 참조)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4스티치(44)를 편성한다(공정D에 상당). 제4스티치(44)는 FD에서 편성되기 때문에, FD측에서 보아서 프론트 스티치이다.In S15, the yarn feeder is moved in the starting direction RS to knit a
S16에서는, 제4스티치(44)에 스플릿 편성을 함으로써, 구스티치인 제4스티치(44)가 BU의 편침(C)으로 이동되고, 그 제4스티치(44)로부터 인출되는 신스티치인 제2신규 스티치(45)가 FD의 편침(C)에 형성된다(공정E의 전반부분).In step S16, the
S17, S18에서는, 트랜스퍼와 래킹을 사용하여, 제2신규 스티치(45)를 형성방향(LS)측으로 이동시켜서 새로운 제2스티치(13)로 규정함과 아울러, 제4스티치(44)를 타측 늘림 스티치(14)로 규정한다(공정E의 후반부분). 구체적으로는, S17에서 제2신규 스티치(45)를 BU의 편침(D)으로 이동시키고, S18에서 제2신규 스티치(45)와 제4스티치(44)를 각각 FD의 편침(D)과 편침(C)으로 이동시킨다.S17 and S18, the second
본 예에서는 다시, BD의 편침(D)과 FD의 편침(D)에 대해서도 S11∼S18과 동일한 편성을 반복한다. 그 결과, 도9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제1스티치(15), 일측 늘림 스티치(16), 제2스티치(17) 및 타측 늘림 스티치(18)가 편성된다. 이후에는, 도7의 S2∼S10을 2회 실시하는 것과, 도8의 S11∼S16을 2회 실시하는 것을 반복하여, 편성시작부(101)를 완성시킨다.In this example, the knitting needle D of the BD and the knitting needle D of the FD are repeated in the same manner as S11 to S18. As a result, the
도7, 도8에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에 따라 편성시작부(101)를 편성한 후에, 편성시작부(101)에 연속하여 일측 편성포부(20B)와 타측 편성포부(20F)를 편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시작부(101)에 있어서의 일측 늘림 스티치(4, 8, 12, 16 … )로 구성되는 제1스티치열(50B)의 웨일방향으로 일측 편성포부(20B)를 편성한다. 또한 일측 편성포부(20B)와는 다른 급사부재를 사용하여, 타측 늘림 스티치(6, 10, 14, 18 … )로 구성되는 제2스티치열(50F)의 웨일방향으로 타측 편성포부(20F)를 편성한다. 어느 하나의 편성포부(20B(20F))는, 편성시작부(101)에서 사용한 급사부재를 이용하여 편성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편성포(100)에 있어서의 실 넣기부의 수를 줄일 수 있다.After knitting the
도9는, 스커트(100)를 그 내측에서 보았을 때의 편성시작부(101) 근방의 루프도이다. 스커트(100)의 내측에서 각 스티치를 보고 있기 때문에, 지면의 전방측(스커트(100)의 내측)으로부터 후방측(스커트(100)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스티치가 프론트 스티치이고, 그 반대가 백 스티치이다. 이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커트(100)는, 편성시작부(101)와, 이 편성시작부(101)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기되는 일측 편성포부(뒤쪽 편성포)(20B) 및 타측 편성포부(앞쪽 편성포)(20F)를 구비한다.9 is a loop diagram near the
편성시작부(101)는, 단수의 편사로 연속적으로 편성된 복수의 스티치 유닛(Q1∼Q4)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단이 되는 제1스티치(1)와 제2스티치(2)에 계속하여 복수의 스티치 유닛(Q1∼Q4)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첫번째의 스티치 유닛(Q1)은, 제1스티치(3), 일측 늘림 스티치(4), 제2스티치(5) 및 타측 늘림 스티치(6)로 구성되어 있고, 두번째의 스티치 유닛(Q2)은, 제1스티치(7), 일측 늘림 스티치(8), 제2스티치(9) 및 타측 늘림 스티치(1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세번째의 스티치 유닛(Q3)은, 제1스티치(11), 일측 늘림 스티치(12), 제2스티치(13) 및 타측 늘림 스티치(14)로 구성되어 있고, 네번째의 스티치 유닛(Q4)은, 제1스티치(15), 일측 늘림 스티치(16), 제2스티치(17) 및 타측 늘림 스티치(18)로 구성되어 있다. 본 예에 있어서의 스티치 유닛(Q1∼Q4)의 각 스티치의 형성순서는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2 → 11 → 14 → 13 → 16 → 15 → 18 → 17로 되어 있고, 이들 스티치는 그 형성순서대로 연결되어 있다.The
본 예의 스티치 유닛(Q1, Q2)에서는, 제1스티치(3, 7)는,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스티치(30)와 신스티치(31)로 이루어지는 제1그룹 중에서 구스티치(30)로 구성되고, 또한 일측 편성포부(20B)의 스티치에 대하여 형성방향(LS)측(도7, 도8)으로 경사져 있다. 일측 늘림 스티치(4, 8)는, 제1그룹의 신스티치(31)로 구성되고, 또한 제1스티치(3, 7)보다 제1스티치(3, 7)가 경사지는 방향과는 반대측(도7, 도8의 시단방향(RS)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스티치(5, 9)는, 일측 늘림 스티치(4, 8)보다 후에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스티치(40)와 신스티치(41)로 이루어지는 제2그룹 중에서 구스티치(40)로 구성되고, 또한 타측 편성포부(20F)의 스티치에 대하여 형성방향(LS)측(도7, 도8)으로 경사져 있다. 타측 늘림 스티치(6, 10)는, 제2그룹의 신스티치(41)로 구성되고, 또한 제2스티치(5, 9)보다 제2스티치(5, 9)가 경사지는 방향과는 반대측(도7, 도8의 시단방향(RS)측)에 배치되어 있다.In the stitch units Q1 and Q2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예의 스티치 유닛(Q3, Q4)에서는, 제1스티치(11, 15)는,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스티치(33)와 신스티치(34)로 이루어지는 제1그룹 중에서 신스티치(34)로 구성되고, 또한 일측 편성포부(20B)의 스티치에 대하여 형성방향측으로 경사져 있다. 일측 늘림 스티치(12, 16)는, 제1그룹의 구스티치(33)로 구성되고, 또한 제1스티치(11, 15)보다 제1스티치(11, 15)가 경사지는 방향과는 반대측(시단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스티치(13, 17)는, 일측 늘림 스티치(12, 16)보다 후에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스티치(44)와 신스티치(45)로 이루어지는 제2그룹 중에서 신스티치(45)로 구성되고, 또한 타측 편성포부(20F)의 스티치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타측 늘림 스티치(14, 18)는, 제2그룹의 구스티치(44)로 구성되고, 또한 제2스티치(13, 17)보다 제2스티치(13, 17)가 경사지는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In the stitch units Q3 and Q4 of this embodiment, the
첫번째의 스티치 유닛(Q1)의 제1스티치(3)와 제2스티치(5)는 각각, 시단의 제1스티치(1)와 제2스티치(2)에 대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n+1번째(n은 1 이상의 자연수)의 스티치 유닛의 제1스티치는, n번째의 스티치 유닛의 제1스티치에 대하여 형성되어 있고, n+1번째의 스티치 유닛의 제2스티치는, n번째의 스티치 유닛의 제2스티치에 대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스티치 유닛(Q1∼Q4)은 연결되어 있다.The first stitches 3 and the
상기 편성시작부(101)의 일측 늘림 스티치(4, 8, 12, 16)의 웨일방향으로 일측 편성포부(20B)의 스티치가 형성되고, 타측 늘림 스티치(6, 10, 14, 18)의 웨일방향으로 타측 편성포부(20F)의 스티치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일측 편성포부(20B) 및 타측 편성포부(20F)는 모두 리브조직이며, 도7, 도8의 편성공정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스티치 유닛(Q1∼Q4)은 다음 조건을 충족시킨다.The stitches of the one
·일측 늘림 스티치(4, 8)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일측 편성포부(20B)의 스티치가 프론트 스티치인 경우에, 제1스티치(3, 7) 또는 일측 늘림 스티치(4, 8)는 백 스티치이다.The first stitches 3 and 7 or the one side stitching stitches 4 and 8 are white stitches when the stitches of the one
·일측 늘림 스티치(12, 16)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일측 편성포부(20B)의 스티치가 백 스티치인 경우에, 제1스티치(11, 15) 또는 일측 늘림 스티치(12, 16)는 프론트 스티치이다.The first stitches 11 and 15 or the one side stitching stitches 12 and 16 are front stitches when the stitches of the one
·타측 늘림 스티치(6, 10)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타측 편성포부(20F)의 스티치가 프론트 스티치인 경우에, 제2스티치(5, 9) 또는 타측 늘림 스티치(6, 10)는 백 스티치이다.The second stitches 5, 9 or the other stitching stitches 6, 10 are the back stitches when the stitches of the
·타측 늘림 스티치(14, 18)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타측 편성포부(20F)의 스티치가 백 스티치인 경우에, 제2스티치(13, 17) 또는 타측 늘림 스티치(14, 18)는 프론트 스티치이다.The second stitches 13 and 17 or the other stitching stitches 14 and 18 are front stitches when the stitches of the
실시형태2의 편성포(100)는, 실시형태1의 편성포와 마찬가지로 편성시작부(101)가 구부러지지 않고 곧게 형성되어 있어, 매우 미려함이 좋은 편성포가 된다. 그 때문에, 편성포(100)의 편성시작부(101)를 편성폭방향으로 넓혀도, 편성시작부(101)의 위치에서 전후의 리브조직 상호간이 말끔하게 연결된다. 또한 편성시작부(101)를 구성하는 제1스티치(3)와 일측 늘림 스티치(4)가 스플릿 편성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2스티치(5)와 타측 늘림 스티치(6)가 스플릿 편성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편성시작부(101)의 스티치가 타이트한 상태로 되어, 편성시작부(101)에 구멍이 생기기 어려워서, 편성시작부(101)의 미려함이 좋다.The
<변형예><Modifications>
실시형태1의 편성시작부(101)를 편성하는 급사부재는 복수의 급사구를 갖는 플레이팅 캐리어(plating carrier) 등이더라도 좋다. 그 경우에, 편성시작부(101)를 구성하는 각 스티치 유닛(Q1∼Q4)은, 복수의 편사로 연속적으로 편성된 스티치 유닛이 된다. 그 외에 편성포부(20B, 20F)의 리브조직은, 2×2 이외의 리브조직, 예를 들면 1×1이나 1×2의 리브조직이더라도 좋다.The yarn feeding member for knitting the
그 외에, 어느 일방의 편성포부(20B(20F))를 플레인 스티치 조직(plain stitch structure), 타방의 편성포부(20F(20B))를 리브조직(예를 들면 4×2의 리브조직)으로 할 수도 있다. 일측 편성포부(20B)(타측 편성포부(20F))를 플레인 스티치 조직으로 하는 경우에, 실시형태1에서는 제1스티치(3, 7, 11, 15 … )(제2스티치(5, 9, 13, 17 … ))를 백 스티치로 하고, 실시형태2에서는 제3스티치(33)(제4스티치(44))를 백 스티치로 한다. 이러한 편성은, 니트제품의 백(bag) 등과 같이 표면측과 이면측에서 디자인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일측 편성포부(20B)와 타측 편성포부(20F)의 양단부를 연결시키도록 편성하면, 편성시작부(101)를 바닥으로 하는 백과 같은 자루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편성시작부(101)와 양 편성포부(20B, 20F)를 하나의 급사부재로 편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is, the
Q1, Q2, Q3, Q4 : 스티치 유닛
1, 3, 7, 11, 15 : 제1스티치
2, 5, 9, 13, 17 : 제2스티치
4, 8, 12, 16 : 일측 늘림 스티치
6, 10, 14, 18 : 타측 늘림 스티치
30, 33 : 제3스티치(구스티치)
31, 34 : 제1신규 스티치(신스티치)
40, 44 : 제4스티치(구스티치)
41, 45 : 제2신규 스티치(신스티치)
100 : 스커트(편성포)
101 : 편성시작부
102 : 편성종료부
20B : 뒤쪽 편성포(일측 편성포부)
20F : 앞쪽 편성포(타측 편성포부)
30B : 제1드로스레드 스티치열
30F : 제2드로스레드 스티치열
50B : 제1스티치열
50F : 제2스티치열Q1, Q2, Q3, Q4:
1, 3, 7, 11, 15: first stitch
2, 5, 9, 13, 17: the second stitch
4, 8, 12, 16: One side stretch stitch
6, 10, 14, 18: other stretch stitch
30, 33: Third stitch (old stitch)
31, 34: First new stitch (new stitch)
40, 44: Fourth stitch (old stitch)
41, 45: second new stitch (new stitch)
100: Skirt (knitted fabric)
101:
102:
20B: rear knitted fabric (one knitted aspiration)
20F: front knitted fabric (other knitted fabric portion)
30B: 1st draw thread stitch row
30F: second draw thread stitch row
50B: first stitch row
50F: second stitch row
Claims (6)
상기 편성시작부를 형성하여 가는 방향을 형성방향(形成方向), 그 반대방향을 시단방향(始端方向)으로 하였을 때에,
상기 일측 니들베드에 제1스티치(第1stitch)를 편성하고, 상기 타측 니들베드에 제2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A를 한 후에,
상기 제1스티치보다 상기 형성방향측에, 상기 제1스티치의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제1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B와,
상기 새로운 제1스티치 근방의 상기 일측 니들베드의 공침(空針)에 일측 늘림 스티치(一側 widening stitch)를 편성하는 공정C와,
상기 제2스티치보다 상기 형성방향측에, 상기 제2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제2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D와,
상기 새로운 제2스티치 근방의 상기 타측 니들베드의 공침에 타측 늘림 스티치(他側 widening stitch)를 편성하는 공정E를
반복함으로써 상기 편성시작부를 편성하고,
상기 편성시작부에 있어서의 복수의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스티치열(stitch列)의 웨일방향으로 상기 일측 편성포부를 편성함과 아울러, 복수의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상기 타측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단, 상기 일측 편성포부와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적어도 일방은 리브조직(rib structure)이고,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B의 상기 새로운 제1스티치는 백 스티치(back stitch)로 하고,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백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B의 상기 새로운 제1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로 하고,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D의 상기 새로운 제2스티치는 백 스티치로 하고,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백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D의 상기 새로운 제2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로 하고,
또한 상기 공정B 및 상기 공정D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이동은, 그 이동시키는 스티치보다 상기 급사부재를 상기 형성방향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한다.
A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a needle bed (one side needle bed), a needle bed on the other side (another side needle bed), and a yarn feeding member for feeding yarn to these needle beds, facing each other, (One side knitted fabric portion) and the other side knitted fabric portion (the other side (the other side) of the knitting needle portion are used as the starting point, A knitting fabric knitting method of knitting a knitted fabric,
(Forming direction) in which the knitting start portion is formed and the thinning direction is the forming direc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the starting end direction (starting end direction)
After a step A of knitting a first stitch on the one needle bed and knitting a second stitch on the other needle bed,
A step B of knitting a new first stitch continued in the wale direction (wale direction) of the first stitch on the forming direction side of the first stitch,
A step C of knitting a one-side widening stitch on a needle of the one side needle bed near the new first stitch,
A step D of knitting a new second stitch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econd stitch on the forming direction side of the second stitch,
And a step E of knitting a second side stitch (another side widening stitch) on the copulation of the other side needle bed in the vicinity of the new second stitch
Knitting the knitting start portion by repeating,
And a knitting process of knitting the one-side knitted fabric part in a wale direction of a stitch row (stitch row)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e one-side stitch stitches at the knitting start portion, Knitting
Method of knitting a knitted fabric.
At least one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art and the other-side knitted fabric part is a rib structure,
Wherein the stitch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side stretch stitch is a front stitch, the new first stitch in the step B is a back stitch,
In the case where the stitch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side stretch stitch is a back stitch, the new first stitch in the step B is a front stitch,
In the case where the stitch of the other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side stretching stitch is used as the front stitch, the new second stitch in the step (D)
In the case where the stitches of the other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side stretch stitch are made to be white stitches, the new second stitches of the step (D)
The movement of the stitches in the process B and the process D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yarn feeding member is arranged closer to the forming direction than the stitch to be moved.
상기 편성시작부를 형성하여 가는 방향을 형성방향, 그 반대방향을 시단방향으로 하였을 때에,
상기 일측 니들베드에 제1스티치를 편성하고, 상기 타측 니들베드에 제2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A를 한 후에,
상기 제1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3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B와,
상기 제3스티치에 스플릿 편성(split knitting)을 실시하여, 상기 제3스티치로부터 인출되는 제1신규 스티치를 형성하고, 상기 제3스티치와 상기 제1신규 스티치 중 어느 일방(一方)을 상기 형성방향측으로 이동시켜서 새로운 제1스티치로 규정함과 아울러, 타방(他方)을 일측 늘림 스티치로 규정하는 공정C와,
상기 제2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4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D와,
상기 제4스티치에 스플릿 편성을 실시하여, 상기 제4스티치로부터 인출되는 제2신규 스티치를 형성하고, 상기 제4스티치와 상기 제2신규 스티치 중 어느 일방을 상기 형성방향측으로 이동시켜서 새로운 제2스티치로 규정함과 아울러, 타방을 타측 늘림 스티치로 규정하는 공정E를
반복함으로써 상기 편성시작부를 편성하고,
상기 편성시작부에 있어서의 복수의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상기 일측 편성포부를 편성함과 아울러, 복수의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상기 타측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단, 상기 일측 편성포부와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적어도 일방은 리브조직이고,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B의 상기 제3스티치는 백 스티치로 하고,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백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B의 상기 제3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로 하고,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D의 상기 제4스티치는 백 스티치로 하고,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백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D의 상기 제4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로 한다.
A knitting start portion alternately joined to both needle beds is knitted by using a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one needle bed and another needle bed opposed to each other and a yarn feeding member that feeds a knitting yarn to these needle beds, And knitting the one-side knitted embossed portion and the other-side knitted embossed portion facing each oth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en forming the knitting start portion and forming the knitting start portion in the forming direction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tarting end direction,
After a step A of knitting a first stitch on one needle bed and knitting a second stitch on the other needle bed,
A step B of knitting a third stitch continu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first stitch,
A split knitting is performed on the third stitch to form a first new stitch drawn out from the third stitch, and either one of the third stitch and the first new stitch is formed in the forming direction To define a new first stitch and to define the other as a one-side stitch,
A step D of knitting a fourth stitch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econd stitch,
Split knitting is performed on the fourth stitch to form a second new stitch drawn out from the fourth stitch and either one of the fourth stitch and the second new stitch is moved toward the forming direction, And a step E for defining the other side as the other stretching stitches
Knitting the knitting start portion by repeating,
Knitting the one-side knitted fabric part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titch row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he one-side stitch stitches at the knitting start part and knitting the other side knitted fabric part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titch row made up of the plurality of the other-side stitch stitches
Method of knitting a knitted fabric.
At least one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art and the other-side knitted fabric part has a rib structure,
In the case where the front stitch is used as the stitch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side stretch stitch, the third stitch in the step B is a back stitch,
In the case where the stitch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side stretch stitch is a back stitch, the third stitch in the step B is a front stitch,
In the case where the stitches of the other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side stretching stitch are used as the front stitches, the fourth stitches of the step (D)
And the fourth stitch in the step D is a front stitch when the stitches of the other stitching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 stitching stitch is a back stitch.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C에서는 상기 제3스티치를 상기 새로운 제1스티치, 상기 제1신규 스티치를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로 규정하고,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백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C에서는 상기 제1신규 스티치를 상기 새로운 제1스티치, 상기 제3스티치를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로 규정하고,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E에서는 상기 제4스티치를 상기 새로운 제2스티치, 상기 제2신규 스티치를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로 규정하고,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백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E에서는 제2신규 스티치를 상기 새로운 제2스티치, 상기 제4스티치를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로 규정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case where the stitch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side stretch stitch is used as the front stitch, in the step C, the third stitch is defined as the new first stitch and the first new stitch as the one- and,
In the case where the stitches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side stretch stitch are set as white stitches, in the step C, the first new stitches are defined as the new first stitches and the third stitches as the one- and,
In the case where the stitches of the other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side stitching stitch are used as the front stitches, in the step E, the fourth stitches are defined as the new stitches and the second new- and,
In the case where the stitches of the other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side stretching stitch are set as white stitches, in the step E, the second new stitches are defined as the new stitches and the fourth stitches as the other-
Method of knitting a knitted fabric.
상기 공정A의 상기 제1스티치 및 상기 제2스티치의 적어도 일방을 비틀림 스티치(twisted stitch)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titch and the second stitch of the step A is a twisted stitch.
상기 편성시작부는, 단수의 편사 또는 복수의 편사로 연속적으로 편성된 복수의 스티치 유닛(stitch unit)으로 이루어지는 편성포에 있어서,
각 스티치 유닛은,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에 대하여 경사진 제1스티치와,
상기 제1스티치보다 후에 편성되고, 또한 상기 제1스티치보다 상기 제1스티치가 경사지는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걸림 스티치(pickup stitch)로 이루어지는 일측 늘림 스티치와,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보다 후에 편성되고, 또한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에 대하여 경사진 제2스티치와,
상기 제2스티치보다 후에 편성되고, 또한 상기 제2스티치보다 상기 제2스티치가 경사지는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걸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타측 늘림 스티치를
구비하고,
n을 임의의 자연수로 하였을 때에,
n+1번째의 상기 스티치 유닛의 상기 제1스티치는, n번째의 상기 스티치 유닛의 상기 제1스티치에 대하여 형성되고,
n+1번째의 상기 스티치 유닛의 상기 제2스티치는, n번째의 상기 스티치 유닛의 상기 제2스티치에 대하여 형성되고,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형성되는
편성포.
단, 상기 일측 편성포부 및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적어도 일방이 리브조직이고,
각 스티치 유닛에 있어서,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프론트 스티치인 경우에, 상기 제1스티치는 백 스티치이고,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백 스티치인 경우에, 상기 제1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이고,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프론트 스티치인 경우에, 상기 제2스티치는 백 스티치이고,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백 스티치인 경우에, 상기 제2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이다.
A knitting start portion, and a knitting and branching portion that branches (branches)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knitting start portion,
Wherein the knitting start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titch units continuously knitted with a single knitting yarn or a plurality of knitting yarns,
Each stitch unit includes:
A first stitch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titch of the one-side knitting needles,
A side stitch stitch formed of a stitch that is knitted after the first stitch and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titch is inclined than the first stitch;
A second stitch knitted after the one-side stitch stitch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titch of the other stitch-like stitch,
And a second stitching stitch comprising a stitching stitch knitted later than the second stitch and disposed on a side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stitch is inclined than the second stitching,
Respectively,
When n is an arbitrary natural number,
the first stitch of the (n + 1) -th stitch unit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titch of the n-th stitch unit,
the second stitch of the (n + 1) -th stitch unit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stitch of the n-th stitch unit,
The stitches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ortion are form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side stretch stitch, and the stitches of the other-side knitted fabric portion are form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 side stretch stitch
Organizat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art and the other-side knitted fabric part has a rib structure,
In each stitch unit,
When the stitches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side stretch stitch are front stitches, the first stitch is a back stitch,
The first stitch is a front stitch, and the first stitch is a front stitch if the stitch of the one-side knitting stitch continu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
When the stitches of the other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 stretch stitch are front stitches, the second stitch is a back stitch,
And the second stitch is a front stitch when the stitches of the other stitching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 stitching stitch are white stitches.
상기 편성시작부는, 단수의 편사 또는 복수의 편사로 연속적으로 편성된 복수의 스티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편성포에 있어서,
각 스티치 유닛은,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스티치(舊stitch)와 신스티치(新stitch)로 이루어지는 제1그룹의 일방의 스티치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에 대하여 경사진 제1스티치와,
상기 제1그룹의 타방의 스티치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스티치보다 상기 제1스티치가 경사지는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일측 늘림 스티치와,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보다 후에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스티치와 신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제2그룹의 일방의 스티치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에 대하여 경사진 제2스티치와,
상기 제2그룹의 타방의 스티치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2스티치보다 상기 제2스티치가 경사지는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타측 늘림 스티치를
구비하고,
n을 임의의 자연수로 하였을 때에,
n+1번째의 상기 스티치 유닛의 상기 제1스티치는, n번째의 상기 스티치 유닛의 상기 제1스티치에 대하여 형성되고,
n+1번째의 상기 스티치 유닛의 상기 제2스티치는, n번째의 상기 스티치 유닛의 상기 제2스티치에 대하여 형성되고,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형성되는
편성포.
단, 상기 일측 편성포부 및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적어도 일방이 리브조직이고,
각 스티치 유닛에 있어서,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프론트 스티치인 경우에, 상기 제1스티치 또는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는 백 스티치이고,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백 스티치인 경우에, 상기 제1스티치 또는 상기 일측 늘림 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이고,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프론트 스티치인 경우에, 상기 제2스티치 또는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는 백 스티치이고,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백 스티치인 경우에, 상기 제2스티치 또는 상기 타측 늘림 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이다.A knitting start portion and a knitting and other knitting needles branched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knitting start portion,
Wherein the knitting start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titch units continuously knitted with a single knitting yarn or a plurality of knitting yarns,
Each stitch unit includes:
A first stitch composed of one stitch of a first group consisting of a stitch and a new stitch formed by split knitting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titch of the one stitching cloth,
Side stitching stitches constituted by the other stitches of the first group and arrang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titches are inclined than the first stitches,
A second stitch comprising a pair of stitches formed by split knitting later than the one-side stitching stitches and a second stitch of a second group consisting of new stitches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titches of the other stitching cloth,
And the other stitching stitch constituted by the other stitches of the second group and arrang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stitches are inclined than the second stitches
Respectively,
When n is an arbitrary natural number,
the first stitch of the (n + 1) -th stitch unit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titch of the n-th stitch unit,
the second stitch of the (n + 1) -th stitch unit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stitch of the n-th stitch unit,
The stitches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ortion are form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side stretch stitch, and the stitches of the other-side knitted fabric portion are form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 side stretch stitch
Organizat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art and the other-side knitted fabric part has a rib structure,
In each stitch unit,
The first stitch or the one-side stitch stitch is a back stitch when the stitch of the one-side stitch weft continu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side stitch stitch is the front stitch,
Wherein the first stitch or the one-side stitch is a front stitch when the stitch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ortion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side stretch stitch is a back stitch,
The second stitch or the other stitching stitch is a back stitch when the stitch of the other stitching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 stitching stitch is a front stitch,
And the second stitch or the other stitching stitch is a front stitch when the stitch of the other stitching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 stitching stitch is a back st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132971 | 2017-07-06 | ||
JPJP-P-2017-132971 | 2017-07-06 | ||
JPJP-P-2017-245464 | 2017-12-21 | ||
JP2017245464A JP6738791B2 (en) | 2017-07-06 | 2017-12-21 | Knitting method and knitting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5768A KR20190005768A (en) | 2019-01-16 |
KR101985840B1 true KR101985840B1 (en) | 2019-06-04 |
Family
ID=6466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8085A KR101985840B1 (en) | 2017-07-06 | 2018-07-05 |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and knitted fabric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5840B1 (en) |
CN (1) | CN109208161B (en) |
DE (1) | DE102018210887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88834B (en) * | 2020-06-11 | 2021-11-12 | 东华大学 | Loopworm-imitating soft robot based on knitted fabric actuato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025159A (en) | 2012-07-25 | 2014-02-06 | Shima Seiki Mfg Ltd |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56087A (en) * | 2008-12-29 | 2010-07-15 | Shima Seiki Mfg Ltd | Method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formed of 2×2 rib structure |
JP2010248636A (en) * | 2009-04-10 | 2010-11-04 | Shima Seiki Mfg Ltd | KNITTING METHOD FOR INTERNALLY INCREASING AND INTERNALLY REDUCING STITCHES OF 2x1 RIB KNIT FABRIC |
JP2012251262A (en) * | 2011-06-03 | 2012-12-20 | Shima Seiki Mfg Ltd |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
JP5736250B2 (en) | 2011-06-28 | 2015-06-17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
JP5856783B2 (en) * | 2011-09-07 | 2016-02-10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How to create a knitted fabric |
JP5940411B2 (en) * | 2012-08-08 | 2016-06-29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
TWI585254B (en) * | 2013-04-23 | 2017-06-01 | 島精機製作所股份有限公司 |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
JP2014227611A (en) * | 2013-05-17 | 2014-12-08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Method for knitting fabric having rib pattern appearance and knitted fabric having rib pattern appearance |
CN103866479A (en) * | 2014-03-04 | 2014-06-18 | 江苏金龙科技股份有限公司 | Method for knitting 2*1 rib stitch textile through two-needle bar flat knitting machine |
JP6347678B2 (en) * | 2014-06-25 | 2018-06-27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Preparation method |
JP6526554B2 (en) * | 2015-12-25 | 2019-06-05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
-
2018
- 2018-07-03 DE DE102018210887.0A patent/DE102018210887A1/en active Pending
- 2018-07-05 CN CN201810729697.4A patent/CN109208161B/en active Active
- 2018-07-05 KR KR1020180078085A patent/KR10198584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025159A (en) | 2012-07-25 | 2014-02-06 | Shima Seiki Mfg Ltd |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208161B (en) | 2020-07-10 |
KR20190005768A (en) | 2019-01-16 |
DE102018210887A1 (en) | 2019-01-10 |
CN109208161A (en) | 2019-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138431B1 (en) | Shoe upper and method for knitting shoe upper | |
JP5306997B2 (en) | Knitting method and knitting fabric | |
CN104164737B (en) | The weaving method of rib-loop style knitted fabric and rib-loop style knitted fabric | |
KR101347667B1 (en) |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 |
KR20120135046A (en) |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 |
KR101577287B1 (en) |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 |
KR101356436B1 (en) |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 |
KR101329124B1 (en) | Partial knitting method and fabric | |
KR102168787B1 (en) |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 |
JP6541621B2 (en) |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and tubular knitted fabric | |
KR100872362B1 (en) | Knitting fabric having novel set up structure and method of knitting it | |
CN105143537B (en) | The weaving method of knitted fabric | |
KR101985828B1 (en) | Knitted fabric joining method | |
KR101324524B1 (en) | Knitting method for a knitted fabric having a hole, and the knitted fabric | |
CN101395312A (en) | Iwai makoto; shimodaira takanao; higashihara shuhei; sasaki takatomo; mori yusuke; kawamura fumio; yamasaki shiro; hirata koji | |
KR101813857B1 (en) | Method for fixing knitting yarn | |
KR101985840B1 (en) |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and knitted fabric | |
CN102995267A (en) | Method of joining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 |
EP2418310B1 (en) | Joining method of adjacent knitted fabric parts, and knitted fabric | |
KR101903584B1 (en) |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 |
KR101934257B1 (en) |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 |
JP7204414B2 (en) | Knitted fabric joining method and joined knitted fabric | |
JP6738791B2 (en) | Knitting method and knitting method | |
KR20200041266A (en) | Tubular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and tubular knitted fabric | |
KR102247706B1 (en) |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and knitted fabric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