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436B1 -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 Google Patents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436B1
KR101356436B1 KR1020120059045A KR20120059045A KR101356436B1 KR 101356436 B1 KR101356436 B1 KR 101356436B1 KR 1020120059045 A KR1020120059045 A KR 1020120059045A KR 20120059045 A KR20120059045 A KR 20120059045A KR 101356436 B1 KR101356436 B1 KR 101356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tch
knitting
knitted fabric
knitted
n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0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2259A (en
Inventor
가즈야 우에미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30002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2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4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6Non-run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commencing goods, e.g. with non-run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과제) 적절하게 신축성이 억제된 편성 시작부를 편성하기 위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다음의 공정(α~δ)을 반복함으로써 편성 시작부를 형성한다. 일방의 니들베드(BB)에 결합되는 일측 스티치(11)를 형성방향(RS)측에 있는 편침으로 코이동한 뒤에, 그 이동시킨 일측 스티치(11)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일측 스티치(11)를 형성하는 공정α. 공정α에서 형성된 새로운 일측 스티치(11)보다도 시단방향(LS)으로 있는 공침에 일측 늘림코(13)를 형성하는 공정β. 공정β보다도 뒤에, 타방의 니들베드(FB)에 결합되는 타측 스티치(12)를 형성방향(RS) 측에 있는 편침으로 코이동한 뒤에, 그 이동시킨 타측 스티치(12)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타측 스티치(12)를 형성하는 공정γ. 공정γ에서 형성된 새로운 타측 스티치(12)보다도 시단방향(LS)에 있는 공침에 타측 늘림코(14)를 형성하는 공정δ.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nitting method of knitting fabric for knitting a knitting start portion with appropriately suppressed elasticity.
(Solution means) The knitting start portion is formed by repeating the following steps (?-?). After the one side stitch 11 coupled to one needle bed BB is moved with the knitting needle on the forming direction RS side, the new one side stitch 11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moved one side stitch 11. Forming a step α. Process β which forms one side extension nose 13 in the coprecipitation which exists in the starting-end direction LS rather than the new one side stitch 11 formed in process (alpha). After the step β, the other stitch 12 coupled to the other needle bed FB is moved with the knitting needle on the forming direction RS side, and then the new stitch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moved other stitch 12. Process γ of forming the other stitch 12. A step δ for forming the other side extension nose 14 in the co-precipitation in the starting direction LS than the new other side stitch 12 formed in step γ.

Description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일방의 니들베드에서 주로 편성되는 일측 편성포부(一側 編成布部)와, 타방의 니들베드에서 주로 편성되는 타측 편성포부(他側 編成布部)로 분기(分岐)되는 편성 시작부(編成 始作部)를 편성하기 위한 편성포(編成布)의 편성방법, 및 그 편성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편성 시작부를 구비하는 편성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one knitted fabric portion mainly knit in one needle bed using a flat knitting machine, and the other knitted fabric portion mainly knit in the other needle bed. A knitted fabric comprising a knitting method for knitting a knitting start section branched into sections, and a knitting start section obtained by the knitting method.

종래부터,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 시작부를 형성하고, 그 편성 시작부로부터 분기되는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를 형성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편성 시작부는 일반적으로, 횡편기의 앞쪽 니들베드(needle bed)의 편침(編針)과 뒤쪽 니들베드의 편침에 교대로 편사(編絲)를 걸침으로써 형성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전후 교대로 편사를 걸치는 데 있어서, 각 편침에 비틀림 루프(twisted loop)를 형성함으로써, 팽팽하게 조여진 편성 시작부로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Conventionally, the knitting start part is formed using a flat knitting machine, and the one knitted fabric part and the other knitted fabric part which branch off from the knitting start part are formed. The knitting start is generally formed by alternately knitting the knitting needle of the front needle bed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and the knitting needle of the rear needle bed. For example, 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 technique for forming a tightly knitted starting portion by forming a twisted loop on each knitting needle in order to alternately knit the yarn back and forth.

일본국 특허 제4203414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4420414

도8에 나타내는 스커트(편성포)(100)를 편성함에 있어서, 그 한편의 측단(側端)에서부터 편성시작하여 타방의 측단에서 편성종료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우선 편성 시작부(101)를 형성하고, 그 편성 시작부(101)로부터 분기되는 앞측 편성포부(20F)와 뒤측 편성포부(20B)를 편성한다. 그리고 스커트(100)의 또 하나의 측단이 되는 위치에서, 앞측 편성포부(20F)와 뒤측 편성포부(20B)를 코빼기 처리에 의하여 접합하여 스커트(100)의 편성 종료부(102)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편성 시작부는, 전후의 니들베드에 교대로 편사를 급사(給絲)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편성 시작부에 계속하여 형성되는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에서도 신축성이 뛰어나다. 이에 대하여 편성 종료부(102)의 코빼기 처리에서는 더블루프(double loop)가 형성되고, 그 더블루프가 편성포의 신장(伸張)을 구속하기 때문에, 편성 종료부(102)의 신축성은 편성 시작부(101)의 신축성에 비하여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다.In knitting the skirt (knitting fabric) 100 shown in FIG. 8, knitting may start from the other side end, and knitting may end at the other side end. In this case, first, the knitting start portion 101 is formed, and the front knitted fabric portion 20F and the rear knitted fabric portion 20B branched from the knitted starting portion 101 are knitted. And at the position which becomes another side end of the skirt 100, the front knitted fabric part 20F and the rear knitted fabric part 20B are joined by the puffing process, and it is set as the knitting end part 102 of the skirt 100. FIG. Here, since the knitting start part is formed by alternately knitting yarns on the front and rear needle beds, the one knitting fabric part and the other knitting fabric part which are formed continuously at the knitting start part are also excellent in elasticity. On the other hand, in the puffing process of the knitting end 102, a double loop is formed, and since the double loop restrains the elongation of the knit fabric, the elasticity of the knitting end 102 is knitted. It tends to be inferior to the elasticity of (101).

상기 편성 시작부(101)와 편성 종료부(102)의 신축성의 불균형을 보정하는 경우, 편성 종료부(102)의 신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성방법, 혹은 편성 시작부(101)의 신축성을 억제할 수 있는 편성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후자의 편성방법은 현재 충분하게 검토되어 있지 않다.When correcting the unbalanced elasticity of the knitting start portion 101 and the knitting end portion 102, the knitting method that can improve the elasticity of the knitting end portion 102, or the elasticity of the knitting start portion 101 is suppressed It is conceivable to use a knitting method that can be done. However, the latter method of organizing has not been fully studied at present.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 중 하나는, 적절하게 신축성이 억제된 편성 시작부를 편성하기 위한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하여 편성된 편성 시작부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one of the objects thereof is a knitted fabric having a knitting method for knitting a knitting start portion with an appropriately suppressed elasticity, and a knitting start portion knitted by applying the method. Is to provide.

본 발명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적어도 전후(前後)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의 적어도 일방이 좌우로 래킹(racking) 가능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코이동이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일방의 니들베드에서 주로 편성되는 일측 편성포부(一側 編成布部)와, 타방의 니들베드에서 주로 편성되는 타측 편성포부(他側 編成布部)로 분기(分岐)되는 편성 시작부(編成 始作部)를 편성하기 위한 편성포(編成布)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편성 시작부를 순차적으로 형성해 가는 방향을 형성방향(形成方向), 그 역방향을 시단방향(始端方向)으로 했을 때에, 이하의 공정(α~δ)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편성 시작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by this invention is equipped with at least one pair of front and rear needle beds,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back needle beds can be racked left and right, and the front and rear needle beds One side knitted fabric mainly knitted in one needle bed using a flat knitting machine that can be stitched in between, and the other side knitted mainly in the other needle b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knitting a knitted fabric for knitting a knitted start section branched into a knitted fabric section. In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knitting start portion is sequential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 is set as the forming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thereof is as follows. The knitting start portion is formed by repeating the processes (α to δ).

[공정α] …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일측 스티치를 상기 형성방향 측에 있는 편침으로 코이동한 후에, 그 이동시킨 일측 스티치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일측 스티치를 형성한다.[Process alpha] ... After the one side stitch coupled to one needle bed is moved with the knitting needle on the side of the formation direction, a new one side stitch that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moved one side stitch is formed.

[공정β] … 공정α에서 형성한 새로운 일측 스티치보다도 시단방향 측에 있는 공침에 일측 늘림코를 형성한다.[Process beta] ... One side elongated nose is formed in the coprecipitation which is in the start direction direction side rather than the new one side stitch formed in process (alpha).

[공정γ] … 상기 공정β보다도 뒤에, 타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타측 스티치를 상기 형성방향 측에 있는 편침으로 코이동한 후에, 그 이동시킨 타측 스티치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타측 스티치를 형성한다.[Process γ] ... After the above step β, the other stitch coupled to the other needle bed is moved with the knitting needle on the side of the forming direction, and then a new other stitch is formed that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moved other stitch.

[공정δ] … 상기 공정γ에서 형성한 새로운 타측 스티치보다도 시단방향 측에 있는 공침에 타측 늘림코를 형성한다.[Process δ] ... The other side nose is formed in the co-precipitation on the side of the starting direction rather than the new other stitch formed in the step γ.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 중, 공정α, β의 구체적인 순서를 도1(A)~(D)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1에 있어서의 단선(短線)은 일방의 니들베드의 편침(1~3)을 나타낸다. 또, 공정 γ, δ의 순서는, 공정α, β의 순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which concerns on the said invention, the specific procedure of process (alpha), (beta) is demonstrated easily using FIG. 1 (A)-(D). The disconnection in FIG. 1 shows the needle needles 1-3 of one needle bed. In addition, since the order of process (gamma) and (delta) is the same as that of the process (alpha) and (beta),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우선, 도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방의 니들베드의 편침(1)에 일측 스티치(11)가 결합되어 있다. 이 일측 스티치(11)를 형성방향(RS) 측의 편침(2)(편침(2)에 한정되지 않는다)으로 이동시키고(도1(B) 참조), 그 이동시킨 일측 스티치(11)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일측 스티치(11)를 형성한다(도1(C) 참조). 이러한 일련의 편성이 공정α이다. 다음에 도1(C)에서 형성한 새로운 일측 스티치(11)보다도 시단방향(LS) 측에 있는 공침(이 도면에서는, 공정α에서 기존의 일측 스티치(11)를 이동시킴으로써 생기는 공침(편침(1))에 일측 늘림코(13)를 형성한다(도1(D) 참조). 이 편성이 공정β이다. First, as shown in Fig. 1A, one side stitch 11 is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1 of one needle bed. The one stitch 11 is moved in the knitting needle 2 (not limited to the knitting needle 2) on the formation direction RS side (see FIG. 1 (B)), and the wale of the moved one stitch 11 is moved. A new one side stitch 11 which continues in the direction is formed (see Fig. 1 (C)). This series of knitting is step α. Next, the co-precipitation is located at the start end direction LS side than the new one-stitch 11 formed in FIG. 1C (in this figure, the co-precipitation caused by moving the existing one-side stitch 11 in step α) (1) is formed (see Fig. 1 (D)).

여기서 공정α에서 새롭게 형성하는 일측 스티치(11)와 제1늘림코(13)(도1에 나타내지 않은 타측 스티치, 타측 늘림코도 같음)는, 도1(D)와 다르게, 지면 뒤쪽에서 앞쪽으로 인출되는 스티치라도 좋고, 비틀림 스티치(twisted stitch)라도 좋다. 또한 공정α에서 형성하는 일측 스티치(11)와 공정β에서 형성하는 제1늘림코(13)는, 형성방향(RS)으로 급사부재를 이동시키는 사이에 형성하여도 좋고 그 반대방향으로 급사부재를 이동시키는 사이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공정α의 일측 스티치(11)로부터 일측 늘림코(13)와의 사이의 편사의 연결도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단지, 이들을 적합하게 선택함으로써 완성되는 편성포의 외관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Here, the one side stitch 11 and the first lining nose 13 newly formed in step α (the other stitches not shown in FIG. 1 and the other side stretching noses) are different from FIG. The stitch to be drawn out may be sufficient, or a twisted stitch may be used. In addition, the one side stitch 11 formed in process (alpha) and the 1st elongate nose 13 formed in process (beta) may be formed between moving the yarn feeding member in the formation direction RS, or the yarn feeding member in the opposite direction may be formed. You may form in between moving. Moreover, the connection of the knitting yarn between the one side stitch 11 of the process (alpha) and the one side extension nose 13 is not specifically limited, either. However, the beauty of the appearance of the knitted fabric can be improved by selecting these suitably.

본 발명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1형태로서, 하기 공정α'와 공정γ'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one aspect of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by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comprise following process (alpha) 'and process (gamma)'.

[공정α'] … n회째의 공정α와 공정β와의 사이, 또는 n회째의 공정β 후에, n-1회째의 공정β에서 형성한 일측 늘림코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일측 추가스티치를 형성한다.[Process α ']... Between the n-th process (alpha) and the process (beta), or after the n-th process (beta), the one side further stitch which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 side elongate nose formed in the n-1th process (beta) is formed.

[공정γ']… n회째의 공정γ와 공정δ와의 사이, 또는 n회째의 공정δ의 후에, n-1회째의 공정δ에서 형성한 타측 늘림코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타측 추가스티치를 형성한다. [Process γ ']... Between the n-th process (gamma) and the process (delta), or after the nth process (delta), the other additional stitch which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 extension nose formed in the n-th process (delta) is formed.

또, 당연하지만, n은 2이상의 정(正)의 자연수이다.Naturally, n is a positive natural number of two or more.

상기 공정α'에 대하여 도1(E)~(G)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설명은 생략하지만, 공정γ'는 공정α'와 동일하게 수행한다). 우선, 도1(D)의 상태로부터 2회째의 공정α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일측 스티치(11)를 형성방향(RS) 측으로 이동시키고(도1(E)), 이동시킨 일측 스티치(11)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일측 스티치(11)를 형성한다(도1(F)). 이어서 공정α'로서, 1회째의 공정β에서 형성한 일측 늘림코(13)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일측 추가스티치(17)를 형성한다(도1(G)). 마지막으로, 2회째의 공정β로서, 도1(E)에 있어서의 일측 스티치(11)의 이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침(편침(2))에 일측 늘림코(13)를 형성한다(도1(H)). 또, 이 공정α'는 2회째의 공정β 뒤에 수행해도 상관없다.The process α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E) to (G). First, the second process α is perform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1D. Specifically, one side stitch 11 is moved to the formation direction RS side (FIG. 1 (E)), and the new one side stitch 11 which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moved one side stitch 11 is formed (FIG. 1). (F)). Subsequently, as the step α ', one side additional stitch 17 extend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side elongated nose 13 formed in the first step β is formed (Fig. 1 (G)). Finally, as the second process beta, one side extension nose 13 is formed on the co-precipitator (fragment needle 2) formed by the movement of one side stitch 11 in Fig. 1E (Fig. 1 ( H)). The step α 'may be performed after the second step β.

본 발명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1형태로서, 상기 공정α(공정γ)에서 기존의 일측 스티치(타측 스티치)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일측 스티치(타측 스티치)를 형성할 때, 니들베드에 편사를 급사하는 급사부재를, 상기 기존의 일측 스티치(타측 스티치)를 통과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급사부재로부터 연장되는 편사가 상기 기존의 일측 스티치(타측 스티치)를 가로지르는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후에 상기 급사부재를 반전(反轉)시켜서, 상기 편사가 기존의 일측 스티치(타측 스티치)를 가로지르는 측과는 반대측에서부터 당해 가로지르는 측으로 상기 편사를 인출함으로써 새로운 일측 스티치(타측 스티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of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forming a new one side stitch (the other side stitch) that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existing one side side stitch (the other side stitch) in the step α (step γ),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yarn feeding member cross the existing one side stitch (the other side stitch) by moving the yarn feeding member for yarn knitting to the position passing the existing one side stitch (the other side stitch). Do. Then, the yarn is then inverted so that the new yarn is pulled from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crossing the existing one side stitch (the other side stitch) to the side crossing the side. It is preferable to form.

본 발명에 의한 편성포는, 편성 시작부와, 이 편성 시작부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기되는 일측 편성포부 및 타측 편성포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의 적어도 일방이 좌우로 래킹 가능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의 코이동이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된 편성포에 관한 것이다. 편성 시작부는, 단수의 편사, 혹은 나란하게 배열되어 공급되는 복수의 편사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편성된 복수의 유닛으로부터 이루어진다. 각 유닛은,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에 대하여 경사진 일측 스티치와, 일측 스티치보다도 뒤에 편성되고 또한 일측 스티치보다도 일측 스티치가 경사진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일측 늘림코와, 일측 늘림코보다도 뒤에 편성되고 또한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에 대하여 경사진 타측 스티치와, 타측 스티치보다도 뒤에 편성되고 또한 타측 스티치보다도 타측 스티치가 경사진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타측 늘림코를 구비한다. 또한 n번째의 일측 스티치(타측 스티치)는, n-1번째의 일측 스티치(타측 스티치)에 대하여 형성된다. 또한 일측 늘림코(타측 늘림코)의 웨일 방향으로 일측 편성포부(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형성되어 있다.The knitted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nitting start portion, one knitting fabric portion and another knitting fabric portion branching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knitting starting portion, and having at least one pair of front and rear needle beds, and a front and rear needle bed. It relates to a knitted fabric knitted using a flat knitting machine, at least one of which can be racked from side to side and capable of nose movement between the front and rear needle beds. The knitting start section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units continuously knitted by a single knitting yarn or a plurality of knitting yarns which are supplied side by side. Each unit is knitted after one sid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titch of one side knitted fabric part, one side stretched nose which is knitted behind one side stitch, and one side stitch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direction which inclined one side than one stitch, and one side stretched nose. And the other stitch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titch of the other knitted fabric portion, and the other side stretching nose which is knitted after the other stitch and arranged in the opposite sid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stitch is inclined than the other stitch. In addition, the n-th one side stitch (the other side stitch)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n-1th one side stitch (the other side stitch). Moreover, the stitch of one knitted fabric part (the other knitted fabric part) is formed in the wale direction of one stretched nose (the other stretched nose).

또, 당연하지만, n은 2이상의 정의 자연수이다.Naturally, n is a positive natural number of two or more.

본 발명에 의한 편성포의 1형태로서, 각 유닛은 또한 일측 늘림코와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일측 추가스티치와, 타측 늘림코와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타측 추가스티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one aspect of the knitted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unit is further formed between one side stitch which is formed between one side stretch nose and one side knitted fabric portion stitch, and the other side stretch nose and stitch on the other side knitted fabric por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other additional stitch.

본 발명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종래보다 억제된 신축성을 가지는 편성 시작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의한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이 편성 시작부의 신축성이 적절하게 억제될 수 있는 것은, 당해 편성 시작부의 유닛을 구성하는 일측 스티치, 일측 늘림코, 타측 스티치, 및 타측 늘림코가 소정의 순서로 형성되고, 상호 움직임을 적절하게 서로 구속하기 때문이다. 또한 각 스티치와 늘림코가 소정의 순서로 형성됨으로써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의 사이에 걸치는 교차사(交叉絲)가 스티치처럼 보이기 때문에, 편성 시작부의 외관의 미려(美麗)함이 좋아진다. 또한 교차사에 의하여 편성 시작부에 구멍이 쉽게 생기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by this invention, the knitted fabric by this invention provided with the knitted start part which has elasticity suppressed compared with the past can be knitted. The elasticity of this knitting start portion can be appropriately suppressed because one stitch, one stretching nose, the other stitch, and the other stretching nose constituting the unit of the knitting starting portion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order, and mutual movements are mutually appropriate. Because of redemption. Also, since the stitches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order so that the cross yarns between the one knitted fabric portion and the other knitted fabric portion look like a stitch, the beauty of the appearance of the knitted start portion is improved. In addition, the cross yarn does not easily form a hole at the beginning of the knitting.

일측 늘림코(타측 늘림코)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일측 추가스티치(타측 추가스티치)를 형성하는 본 발명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단순히 일측 늘림코와 타측 늘림코를 형성하는 경우보다도 조여진 편성 시작부를 형성할 수 있다. 추가스티치를 형성함으로써 각 스티치의 움직임이 더욱 구속되어,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의 사이가 넓어지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According to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forming one side additional stitch (the other side additional stitch) which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one side stretching nose (the other side stretching nose), it is tightened more than the case of simply forming one side stretching nose and the other side stretching nose. A knitting start can be formed. This is because the movement of each stitch is further restrained by forming additional stitches, making it difficult to widen between one knitted fabric portion and the other knitted fabric portion.

기존의 일측 스티치(타측 스티치)에 편사를 가로지르게 하고 나서 그 기존의 일측 스티치(타측 스티치)에 계속되는 새로운 일측 스티치(타측 스티치)를 편성하는 본 발명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일측 스티치(타측 스티치)에 휘감기도록 편사를 배치할 수 있다. 휘감긴 편사는, 일측 스티치(타측 스티치)를 편성포의 내측으로 반회전(半回轉)시켜서, 편성포의 외측에서 보이기 어렵게 한다. 또, 본 구성을 채용하지 않고 일측 스티치와 타측 스티치가 편성포의 외측에 배치될 경우에도, 이들 일측 스티치와 타측 스티치를 편성포의 디자인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편성포의 전체적인 디자인을 조정하면, 일측 스티치와 타측 스티치가 편성포의 외관의 미려함을 손상하는 일이 없다.
According to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knitting a knitting yarn to an existing one side stitch (the other side stitch) and then knitting a new one side stitch (the other side stitch) following the existing one side stitch (the other side stitch), the one side stitch The knitting yarn can be arranged so as to be wound around (the other side stitch). The twisted knitting yarn rotates one side stitch (the other side stitch) to the inside of the knit fabric, making it hard to be seen from the outside of the knit fabric. Moreover, even when one side stitch and the other stitch are arrange | positioned on the outer side of a knit fabric without employ | adopting this structure, if the whole design of a knit fabric is adjusted so that these one stitch and the other stitch can be regarded as a design of a knit fabric, The stitch and the other stitch do not impair the beauty of the appearance of the knitted fabric.

도1에서 (A)~(D)는 청구항1에 기재된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개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E)~(G)는 청구항2에 기재된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개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2는 실시형태1에서 편성되는 스커트(편성포)의 편성공정도이다.
도3은 도2에 계속되는 실시형태1에 기재된 편성포의 편성공정도이다.
도4는 도3에 계속되는 실시형태1에 기재된 편성포의 편성공정도이다.
도5는 실시형태1에 의하여 편성되는 스커트의 편성 시작부의 루프도이다.
도6은 실시형태1에서 편성되는 스커트의 편성 시작부의 확대사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스커트의 외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B)는 스커트의 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적용하여 편성된 자루모양의 편성포의 개략도이다.
도8은 측방에서부터 편성시작하는 스커트(편성포)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A)-(D) is explanatory drawing explaining the concept of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of Claim 1, (E)-(G) demonstrates the concept of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of Claim 2 It is explanatory drawing to say.
Fig. 2 is a knitting process diagram of a skirt (knitted fabric) knitted in Embodiment 1;
3 is a knitting process diagram of the knitted fabric described in Embodiment 1 following FIG. 2.
FIG. 4 is a knitting process diagram of the knitted fabric described in Embodiment 1 following FIG. 3. FIG.
Fig. 5 is a loop diagram of the knitting start portion of the skirt knitted by the first embodiment.
Fig. 6 is a view showing an enlarged photograph of the starting portion of the knitting of the skirt knitted in Embodiment 1, (A) is a view seen from the outside of the skirt, and (B) is a view seen from the inside of the skirt.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ag-shaped knitted fabric knitted by applying the kni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kirt (knitted fabric) starting to knit from the sid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편성포(編成布)의 편성방법을 적용한 실시형태1~4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횡편기(橫編機)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뒤쪽 니들베드가 좌우로 래킹(racking) 가능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를 코이동할 수 있는 2베드 횡편기이다. 또, 사용하는 횡편기는, 코이동용의 베드를 구비하는 2베드 횡편기이라도 좋고, 4베드 횡편기이라도 좋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1-4 which apply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re demonstrated based on drawing. The flat knitting machine used in these embodiments is provided with a pair of front and rear needle beds which exte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oppose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rear needle bed is racked left and right ( It is a 2-bed flat knitting machine that can be used to move the stitch between the front and rear needle beds. Moreover, the flat knitting machine to be used may be a 2-bed flat knitting machine provided with the bed for co-movement, or a 4-bed flat knitting machine may be sufficient as it.

<실시형태1>&Lt; Embodiment 1 >

실시형태1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사용하여, 상기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기재에서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 측방에서부터 편성이 시작되는 스커트(편성포)(100)의 편성 시작부(101)를 편성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In Embodiment 1, the skirt (knitted fabric) 100 which starts knitting from the sid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oblem to be solved using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of knitting the knitting start portion 101 of th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2~4는, 하나의 급사부재(給絲部材)로부터 급사되는 일련의 편사(編絲)에 의하여 상기 편성 시작부(101)를 형성하기 위한 편성공정도이다. 이들 도2~4의 좌측란에 기재된 「S+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우측란에 기재된 좌우방향의 화살표와 「K」는 화살표의 방향으로 급사부재를 이동시켜서 니트 편성을 하는 것을, 상하 또는 경사방향의 화살표는 그 방향으로의 코이동을 나타낸다. 또한 실제의 편성상태가 나타나는 가운데 란의 '○'은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구 스티치를, '●'은 각 편성공정에 있어서 새롭게 편성되는 스티치를, '◎'은 더블루프를, 'V'자는 늘림코를, '▽'은 급사부재를 나타내고, 각 편성공정에서 실제로 행하여지는 부분은 굵은 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2~4에서는, 지면(紙面)의 좌측으로부터 지면의 우측을 향하여 편성 시작부(101)를 형성해 가므로, 지면의 우측방향을 형성방향(形成方向)(RS)이라고 부르고, 지면의 좌측방향을 시단방향(始端方向)(LS)이라고 부른다.2 to 4 are knitting process diagrams for forming the knitting start portion 101 by a series of knitting yarns which are suddenly fed from one yarn feeding member. "S + number" described in the left column of these Figures 2-4, the number of the knitting process, the left and right arrows and "K" described in the right column to move the yar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o knit knit up and down or inclined The arrow in the direction represents the nose movement in that direction. In addition, in the actual knitting state, '○' in the column represents a spherical stitch that is connected to the needle bed, '●' represents a newly knit stitch in each knitting process, '◎' represents a double loop, and 'V' represents a ▽ denotes a yarn feeding member, and a portion actually performed in each knitting step is indicated by a thick line. 2-4, since the knitting start part 101 is formed from the left side of the ground toward the right side of the ground, the right direction of the ground is called the formation direction RS, and the left side of the ground The direction is called the start direction (LS).

도2의 S0에는, 앞쪽 니들베드(이하, FB)의 편침(2~7)에, 편성을 용이하게 하는 이음 뜨기(waste course)의 종단부의 스티치로서 드로 쓰레드(draw thread)에 의한 스티치가 결합되고, 뒤쪽 니들베드(이하, BB)의 편침(2~7)에 드로 쓰레드에 의한 스티치가 결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S0의 상태로부터, 도3 이후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적용하는 준비로서, 도2의 S1~S10에 나타난 단부처리(端部處理)를 수행한다. 또, 드로 쓰레드은, 스커트(100)가 완성된 시점에서 스커트(100)로부터 떼어낸다.In S0 of FIG. 2, a stitch by a draw thread is joined to the knitting needles 2 to 7 of the front needle b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FB) as a stitch at the end of a waste course to facilitate knitting. The stitches by the draw thread are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s 2 to 7 of the rear needle b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BB). From this state of S0, as a preparation for applying the kni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and later, end treatment shown in S1 to S10 in FIG. 2 is performed. In addition, the draw thread is detached from the skirt 100 when the skirt 100 is completed.

S1에서는, BB의 편침(2)에 결합된 드로 쓰레드에 의한 스티치를, 대향하는 FB의 편침(1)으로 코이동한다. S2에서는, BB의 편침(3)에 결합된 스티치를, S1에 있어서 FB의 편침(1)으로 코이동한 스티치에 포갠다. 또한 S3에서는, 급사부재를 형성방향(RS)으로 이동시키고, FB의 편침(1)의 더블루프에 계속되는 새로운 스티치인 일측 시단스티치(一側 始端stitch)(9)를 형성하고, S4에서는, 그 일측 시단스티치(9)보다도 시단방향(LS) 측으로 급사부재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S5에서는, 일측 시단스티치(9)를 BB의 편침(2)으로 코이동한다.In S1, the stitch by the draw thread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2 of the BB is moved to the knitting needle 1 of the opposing FB. In S2, the stitch bonded to the knitting needle 3 of BB is enclosed in the stitch which moved to the knitting needle 1 of FB in S1. Further, in S3, the yarn feeding member is moved in the forming direction RS, and one side start stitch 9, which is a new stitch following the double loop of the knitting needle 1 of the FB, is formed, and in S4, The yarn feeding member is moved to the starting end direction LS side than the one starting end stitch 9. And in S5, the one-sided start stitch 9 co-moves by the knitting needle 2 of BB.

S6에서는, FB의 편침(2)에 결합된 드로 쓰레드에 의한 스티치를, 대향하는 BB의 편침(3)으로 코이동한다. S7에서는, FB의 편침(3)에 결합된 스티치를, S6에 있어서 BB의 편침(3)으로 코이동한 스티치에 포갠다. 또한 S8에서는, 급사부재를 형성방향(RS)으로 이동시키고, BB의 편침(3)의 더블루프에 계속되는 새로운 스티치인 타측 시단스티치(10)를 형성하고, S9에서는, 그 타측 시단스티치(10)보다도 시단방향(LS)으로 급사부재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S10에서는, 타측 시단스티치(10)를 FB의 편침(2)으로 코이동한다.In S6, the stitch by the draw thread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2 of the FB is moved to the knitting needle 3 of the opposing BB. In S7, the stitches bonded to the knitting needles 3 of the FB are enclosed in the stitches co-moved by the knitting needles 3 of the BB in S6. In addition, in S8, the yarn feeding member is moved in the forming direction RS to form the other side start stitch 10, which is a new stitch following the double loop of the BB knitting needle 3, and in S9, the other end starting stitch 10 Rather, the yarn feeding member is moved in the start end direction LS. And in S10, the other side stitch stitch 10 is moved to the knitting needle 2 of FB.

도2의 편성공정에 나타낸 단부처리가 종료하면, 다음은 도3, 4의 편성공정에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실시한다.After the end treatment shown in the knitting step of Fig. 2 is finished, the kni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knitting steps of Figs.

우선, 도3의 S11에서는, 편침(3)을 넘는 위치까지 급사부재를 형성방향(RS)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S12에서는, BB의 편침(2)에 결합된 일측 스티치(11)를, FB의 편침(3)(공침)으로 코이동한다(본 발명공정α의 전반). S13에서는, S11에 있어서 일측 스티치(11)에 대하여 형성방향(RS)측에 인접하고 있었던 드로 쓰레드에 의한 스티치(21)(BB의 편침(4))를, FB의 편침(3)으로 코이동한다. 그 결과, FB의 편침(3)에 있어서 일측 더블루프(15)가 형성된다.First, in S11 of FIG. 3, the yarn feeding member is moved toward the formation direction RS to the position exceeding the knitting needle 3. In S12, one stitch 11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2 of the BB is co-moved by the knitting needle 3 (co-precipitation) of the FB (first half of the process α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13, the stitch 21 (BB knitting needle 4 of BB) by the draw thread which was adjacent to the formation direction RS side with respect to one side stitch 11 in S11 is moved by the knitting needle 3 of FB. do. As a result, one side double loop 15 is formed in the knitting needle 3 of the FB.

S14에서는, 급사부재를 시단방향(LS)을 향하여 이동시키고, S13에서 형성한 일측 더블루프(15)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일측 스티치(11)를 형성하고(본 발명공정α의 후반), 계속하여 BB의 편침(2)에 걸림루프로 이루어지는 일측 늘림코(13)를 형성한다(본 발명공정β). 일측 더블루프(15)는, S11의 일측 스티치(11)를 포함하기 때문에, S14에서 형성되는 새로운 일측 스티치(11)는, S11에 있어서의 기존의 일측 스티치(11)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이다. 또한 일측 늘림코(13)가 형성되는 편침은, S12에 있어서 일측 스티치(11)를 형성방향(RS)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공침이 된 편침이다.In S14, the yarn feeding member is moved toward the start end direction LS to form a new one side stitch 11 which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one side double loop 15 formed in S13 (second half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 α). Then, one side extension nose 13 which consists of a locking loop is formed in the knitting needle 2 of BB (invention process (beta)). Since the one-sided double loop 15 includes one side stitch 11 of S11, the new one side stitch 11 formed in S14 is the front stitch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existing one side stitch 11 in S11. (front stitch). In addition, the knitting needle in which the one side extension nose 13 is formed is the knitting needle which became co-precipitation by moving the one side stitch 11 to formation direction RS in S12.

여기에서 S11에 있어서 편침(3)을 넘는 위치까지 급사부재를 이동시키고 나서 S12~S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로운 일측 스티치(11)를 형성함으로써, 급사부재로부터 연장되는 편사가 S12에 있어서의 일측 스티치(11)의 FB측을 가로지르고, S14에 있어서 형성되는 새로운 일측 스티치(11)가 BB측에서 FB측으로 인출된다(청구항3의 구성). 이러한 편사의 배치상태에 따르는 효과에 관해서는 후술한다.Here, by moving the yarn feeding member to the position exceeding the knitting needle 3 in S11, and forming a new one side stitch 11 as shown in S12 to S14, the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yarn feeding member has one side stitch in S12 ( Crossing the FB side of 11), a new one-side stitch 11 formed in S14 is drawn out from the BB side to the FB side (configuration of claim 3). The effect of the arrangement state of such knitting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의 S15에서는, 편침(4)을 넘는 위치까지 급사부재를 형성방향(RS)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S16에서는, S14에서 형성한 새로운 일측 스티치(11)를 BB의 편침(3)으로 코이동한다.In following S15, the yarn feeding member is moved toward the formation direction RS to the position exceeding the knitting needle 4. In S16, the new one-side stitch 11 formed in S14 is moved to the knitting needle 3 of BB.

S17에서는, FB의 편침(2)에 결합된 타측 스티치(12)를, FB의 편침(4)(공침)으로 코이동한다(본 발명공정γ의 전반). S18에서는, S16에 있어서 타측 스티치(12)에 대하여 형성방향(RS) 측에 인접하고 있었던 드로 쓰레드에 의한 스티치(22)(FB의 편침(4))를, BB의 편침(4)으로 코이동한다. 그 결과, BB의 편침(4)에 있어서 타측 더블루프(16)가 형성된다.In S17, the other stitch 12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2 of the FB is co-moved by the knitting needle 4 (co-precipitation) of the FB (first half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γ). In S18, the stitch 22 (the knitting needle 4 of FB) by the draw thread which was adjacent to the formation direction RS side with respect to the other stitch 12 in S16 is moved by the knitting needle 4 of BB. do. As a result, the other double loop 16 is formed in the knitting needle 4 of the BB.

S19에서는, 급사부재를 시단방향(LS)을 향하여 이동시키고, S18에서 형성한 타측 더블루프(16)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타측 스티치(12)를 형성하고(본 발명공정γ의 후반), 계속하여 FB의 편침(2)에 걸림루프로 이루어지는 타측 늘림코(14)를 형성한다(본 발명공정δ). 타측 더블루프(16)는 S16의 타측 스티치(12)를 포함하기 때문에, S19에서 형성되는 새로운 타측 스티치(12)는 S16에 있어서의 기존의 타측 스티치(12)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이다. 또한 타측 늘림코(14)가 형성되는 편침은, S17에 있어서 타측 스티치(12)를 이동시킴으로써 공침이 된 편침이다.In S19, the yarn feeding member is moved toward the start end direction LS to form a new other stitch 12 which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 double loop 16 formed in S18 (second half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 γ). The other side extension nose 14 which consists of a locking loop in the knitting needle 2 of FB is formed (invention process (delta)). Since the other double loop 16 includes the other stitch 12 of S16, the new other stitch 12 formed in S19 is the front stitch which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existing other stitch 12 in S16. stitch). In addition, the knitting needle on which the other side extension nose 14 is formed is the knitting needle which became co-precipitate by moving the other stitch 12 in S17.

여기서 S15에 있어서 편침(4)을 넘는 위치까지 급사부재를 이동시키고 나서 S17~S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새로운 타측 스티치(12)를 형성함으로써, 급사부재로부터 연장되는 편사가, S17에 있어서의 타측 스티치(12)의 BB측을 가로지르고, S19에 있어서 형성되는 새로운 타측 스티치(12)가 FB측에서 BB측으로 인출된다(청구항3의 구성). 이러한 편사의 배치상태에 따르는 효과에 관해서는 후술한다.Here, by moving the yarn feeding member to the position exceeding the knitting needle 4 in S15, as shown in S17 to S19, by forming a new other stitch 12, the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yarn feeding member is stitched on the other side in S17. Crossing the BB side of (12), the new other stitch 12 formed in S19 is taken out from the FB side to the BB side (the structure of Claim 3). The effect of the arrangement state of such knitting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의 S20에서는, 편침(4)을 넘는 위치까지 급사부재를 형성방향(RS)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S21에서는, S19에서 형성한 새로운 타측 스티치(12)를 BB의 편침(3)으로 코이동한다.In following S20, the yarn feeding member is moved toward the formation direction RS to the position exceeding the knitting needle 4. In S21, the new other stitch 12 formed in S19 is moved to the knitting needle 3 of BB.

도4의 S22, S23에서는, 도3의 S12, S13과 마찬가지로, FB의 편침(4)(공침)으로, 일측 스티치(11)와 드로 쓰레드에 의한 스티치(21)를 포갠 일측 더블루프(15)를 형성한다.In S22 and S23 of Fig. 4, similar to S12 and S13 of Fig. 3, one-sided double loop 15 having one side stitch 11 and a draw thread 21 stitched by a single needle 4 (co-precipitation) of FB. To form.

다음의 S24, S25에서는, 도3의 S14, S15와는 다른 편성을 한다. 우선, S24에서는 급사부재를 시단방향(LS)을 향하여 이동시키고, FB의 편침(4)에 결합되는 일측 더블루프(15)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일측 스티치(11)를 형성한다(본 발명공정α의 후반). 이 S24에서는 또한 도3의 S14에 있어서 BB의 편침(2)에 형성한 일측 늘림코(13)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일측 추가스티치(17)를 형성한다(본 발명공정α').In the following S24 and S25, different knitting is performed from S14 and S15 in FIG. First, in S24, the yarn feeding member is moved toward the start end direction LS, and a new one side stitch 11 which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one side double loop 15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4 of the FB is formed (invention process) late in α). In this S24, further, the one side additional stitch 17 which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 side extension nose 13 formed in the knitting needle 2 of BB in S14 of FIG. 3 is formed (invention process alpha ').

S25에서는, 형성방향(RS)을 향하여 급사부재를 이동시켜서 BB의 편침(3)에 일측 늘림코(13)를 형성하고(본 발명공정β), S26에서는, S24에 있어서 형성된 새로운 일측 스티치(11)를, FB의 편침(4)으로부터 BB의 편침(4)으로 코이동한다. 또, S25에 있어서, 급사부재는 편침(5)을 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둔다.In S25, the yarn feeding member 13 is moved toward the forming direction RS to form the one-side stretched nose 13 on the knitting needle 3 of the BB (invention step β), and in S26, the new one side stitch 11 formed in S24. ) Is moved from the knitting needle 4 of the FB to the knitting needle 4 of the BB. In addition, in S25, the yarn feeding member is moved to the position beyond the knitting needle 5.

S27, S28에서는, BB의 편침(5)(공침)으로, 타측 스티치(12)와 드로 쓰레드에 의한 스티치(22)를 포갠 타측 더블루프(16)를 형성한다(본 발명공정γ의 전반). 그리고 S29에서는, 급사부재를 시단방향(LS)을 향하여 이동시켜서, 당해 타측 더블루프(16)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타측 스티치(12)를 형성한다(본 발명공정γ의 후반). 이 S29에서는 또한 도3의 S19에 있어서 FB의 편침(2)에 형성한 타측 늘림코(14)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타측 추가스티치(18)를 형성한다(본 발명공정γ').In S27 and S28, the other side double loop 16 which encloses the other side stitch 12 and the stitch 22 by the draw thread is formed with the knitting needle 5 (coprecipitation) of BB (the first half of this process γ). In S29, the yarn feeding member is moved toward the start end direction LS to form a new other stitch 12 which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 double loop 16 (second half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 γ). In S29, the other side further stitches 18 form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 side extension nose 14 formed in the knitting needle 2 of FB in Fig. 3 are formed (step γ 'of the present invention).

S30에서는, 형성방향(RS)을 향하여 급사부재를 이동시켜서, FB의 편침(3)에 타측 늘림코(14)를 형성한다(본 발명공정δ). S31에서는, S29에 있어서 형성한 새로운 타측 스티치(12)를, BB의 편침(5)으로부터 FB의 편침(4)으로 코이동한다. 또, S30에 있어서 급사부재는 편침(5)을 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둔다.In S30, the yarn feeding member is moved toward the forming direction RS to form the other extension nose 14 on the knitting needle 3 of the FB (invention step δ). In S31, the new other stitch 12 formed in S29 co-moves from the knitting needle 5 of BB to the knitting needle 4 of FB. In addition, in S30, the yarn feeding member is moved to the position beyond the knitting needle 5.

S31 이후는, S21~S31과 동일한 편성을 반복하면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도5의 루프도(loop圖)와 도6의 사진에 나타낸 편성 시작부(101)를 편성할 수 있다. 도5의 지면(紙面) 앞쪽이 스커트(100)(도8)의 내측, 지면 뒤쪽이 스커트(100)의 외측에 상당하고, 드로 쓰레드에 의한 스티치는 생략하고 있다. 또, 도5의 루프도에 나타낸 스티치의 상태는, 편사의 궤적을 따라간 것으로서 실제의 편성포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상태와는 약간 다르다.After S31, the same knitting as S21 to S31 may be repeated. By doing so, the knitting start section 101 shown in the loop diagram of FIG. 5 and the photograph of FIG. 6 can be knitted. The front surface of FIG. 5 corresponds to the inner side of the skirt 100 (FIG. 8) and the rear surface of the ground corresponds to the outer side of the skirt 100, and the stitch by the draw thread is omitted. In addition, the state of the stitch shown in the loop diagram of FIG. 5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state of the stitch in the actual knitted fabric as following the trajectory of the knitting yarn.

도5의 루프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성 시작부(101)는, 일측 스티치(11)→일측 추가스티치(17)→일측 늘림코(13)→타측 스티치(12)→타측 추가스티치(18)→타측 늘림코(14)의 순서로 형성된 유닛(ω)이 복수개 연속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유닛(ω) 사이의 접속은, n(2이상)번째의 유닛(ω)의 일측 스티치(11)와 타측 스티치(13)가 각각, n-1번째의 유닛(ω)의 일측 스티치(11)와 타측 스티치(13)에 대하여 형성됨으로써 수행되고 있다. 소정의 순서로 형성된 스티치(11, 17, 13, 12, 18, 14)는 상호 움직임을 적절하게 서로 구속하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1의 편성 시작부(101)의 신축성은, 종래의 편성 시작부보다 억제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도8을 참조하는 스커트(100)와 같이 편성 시작부(101)와 편성 종료부(102)를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 시작부(101)를 편성하면, 편성 시작부(101)와 편성 종료부(102)의 신축성을 같은 정도로 할 수 있어서 착용에 따르는 형(型)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loop diagram of Fig. 5, the knitting start portion 101 includes one stitch 11 → one additional stitch 17 → one side stretch nose 13 → the other stitch 12 → the other additional stitch 18. FIG. → A plurality of units? Formed in the order of the other side extension noses 14 are formed in succession. In addition, the connection between adjacent units (ω) is that the one side stitch 11 and the other side stitch 13 of the n (2 or more) th unit (ω) have one side stitch of the n-1th unit (ω), respectively. It is performed by forming about 11 and the other side stitch 13. As shown in FIG. Since the stitches 11, 17, 13, 12, 18, 14 formed in a predetermined order restrain mutual movements from each other as appropriate, the elasticity of the knitting start portion 101 of the first embodiment is a conventional knitting start portion. It becomes a more suppressed state. As a result, in the case of knitting a cylindrical knitted fabric having a knitted start portion 101 and a knitted finish portion 102, such as the skirt 100 referring to Fig. 8, by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knitting start portion 101 is knitted, the elasticity of the knitting start portion 101 and the knitting end portion 102 can be made to the same extent, so that damage to the mold due to wearing can be prevented.

또한 도5에서 흰색 화살표(내부가 채색되지 않은 화살표)로 가르키고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1에 있어서의 편성 시작부(101)에서는, n번째의 일측 스티치(11)와 n-1번째의 타측 늘림코(14)를 연결하는 편사가, n-1번째의 일측 스티치(11)의 지면 뒤쪽을 가로지르고, 또한 n번째의 일측 스티치(11)가 지면 앞쪽에서 뒤쪽으로 인출되어져 있다. 즉, 당해 편사가 n-1번째의 일측 스티치(11)를 휘감고 있어, 당해 편사가 n-1번째의 일측 스티치(11)를 점선화살표의 방향으로 반회전(半回轉)시킨다. 그 결과, 일측 편성포부(20B)의 스티치에 대하여 경사진 일측 스티치(11)가 지면 앞쪽(즉, 스커트(100)의 내측)으로 말려들어가서, 스커트(100)의 외측으로부터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도6(A) 참조). 스커트(100)의 내측으로 말려들어간 제1스티치(11)는, 편성 시작부(101)의 형성방향으로 정렬한다(도6(B) 참조).In addition, as indicated by a white arrow (arrow not colored inside) in Fig. 5, in the knitting start portion 101 of the first embodiment, the n-th one side stitch 11 and the n-th other side are The knitting yarns connecting the elongated noses 14 cross the back surface of the n-th one-side stitch 11, and the n-th one-side stitch 11 is drawn out from the front of the paper to the rear. In other words, the knitting yarn is wound around the n-1th one-side stitch 11, and the knitting yarn half-rotates the n-1th one-side stitch 11 in the direction of the dotted arrow. As a result, one side stitch 11 tha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titch of one side knitted fabric portion 20B is rolled up to the front side of the paper (that is, the inside of the skirt 100), and can be made invi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skirt 100 ( See Figure 6 (A). The first stitches 11 rolled into the skirt 100 are aligned in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knitting start portion 101 (see Fig. 6B).

또한 도5의 루프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측 편성포부(20B)와 타측 편성포부(20F)의 사이에 걸치는 편성 시작부(101)의 교차사가 마치 스티치처럼 배치되어, 도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성 시작부(101)가 눈에 쉽게 띄지 않고, 게다가 편성 시작부(101)에 구멍이 쉽게 생기지 않는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loop diagram of FIG. 5, the cross yarns of the knitting start portion 101 that are stretched between the one side knitted fabric portion 20B and the other knitted fabric portion 20F are arranged like stitches, and are shown in FIG. 6 (A). As described above, the knitting start portion 101 is not easily visible, and furthermore, holes are not easily formed in the knitting start portion 101.

<실시형태2>&Lt; Embodiment 2 >

실시형태1과 달리, 도4의 편성공정도, 도5의 루프도에 나타낸 일측 추가스티치(17)와 타측 추가스티치(18)를 형성하지 않고 편성 시작부(101)를 편성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1의 도2, 3과 같은 편성을 하고, 도3의 S21 이후는 S11~S21과 동일한 편성을 반복하면 좋다.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knitting start portion 101 may be knitted without forming the knitting process of FIG. 4 or the other side stitch 17 and the other side stitch 18 shown in the loop diagram of FIG. For example, the same knitting as in FIGS. 2 and 3 of Embodiment 1 may be performed, and the same knitting as in S11 to S21 may be repeated after S21 in FIG.

이 실시형태2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해서도, 종래의 편성 시작부보다 신축성을 억제한 편성 시작부(101)를 편성할 수 있다.Also by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knitting start portion 101 with reduced elasticity can be knitted than the conventional knitting start portion.

<실시형태3>&Lt; Embodiment 3 >

실시형태1, 2와는 달리, 니들베드에 전혀 편사가 걸리지 않고 있는 상태(즉, 도2의 S0에서, 드로 쓰레드에 의한 스티치가 없는 상태)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 시작부를 형성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FB의 임의의 편침과, 그 편침에 거의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BB의 편침에, 일측 스티치와 타측 스티치로 되는 두개의 늘림코를 형성한다. 계속하여 FB의 늘림코를 형성방향(RS)측으로 이동시킨 후에, 늘림코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일측 스티치를 형성한다. 그리고 늘림코의 이동에 따라 공침이 된 편침에 새로운 늘림코를 형성한다. 이것과 동일한 편성을 BB에 있어서도 수행한다. 이후는, 『형성방향으로의 스티치의 이동』→『이동시킨 스티치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스티치의 형성』→『스티치의 이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침에서의 늘림코의 형성』을 1세트로 하는 편성을, FB와 BB에서 교대로 수행함으로써 드로 쓰레드에 의한 스티치가 없는 상태로부터 편성 시작부를 형성할 수 있다.Unlike Embodiments 1 and 2, the knitting is started by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state in which the knitting needle is not caught at all on the needle bed (i.e., no stitch by the draw thread in S0 of FIG. 2). You may form a part. In this case, two elongated noses, one stitch and the other stitch, are formed on any knitting needle of the FB and the knitting needle of the BB which is almost opposite to the knitting needle. Subsequently, the moving nose of the FB is moved to the formation direction RS side, and a new one side stitch which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tretching nose is formed. As the elongated nose moves, a new elongated nose is formed on the eccentric needle. The same knitting as this is performed also in BB. Afterwards, a combination of "movement of the stitch in the forming direction"-&quot; formation of the stitch continu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moved stitch &quot;-&quot; formation of the elongated nose in the coprecipitation formed by the movement of the stitch &quot; By alternately performing FB and BB, a knitting start can be formed from a state where there is no stitch by the draw thread.

<실시형태4>&Lt; Fourth Embodiment >

본 발명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적용하는 편성포는, 실시형태1에 나타낸 측단에서부터 편성이 시작되는 스커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1에 나타낸 편성공정을 따라서 편성 시작부를 편성하고, 그 편성 시작부에 대하여 주회편성(周回編成)을 함으로써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자루모양의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자루모양의 편성포의 바닥부분에 편성 시작부(101)가 배치된다. 여기서 당해 편성 시작부(101)의 신축성은 종래보다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이 편성포에 소품을 넣어도 편성포의 형(型)이 쉽게 손상되지 않는다. 그 외, 측방에서부터 편성시작하는 스웨터 등의 편성에도 본 발명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The knitted fabric to which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by this invention is applied is not limited to the skirt which starts knitting from the side end shown in Embodiment 1. FIG. For example, a knitting start portion is knitted according to the knitting process shown in Embodiment 1, and a circumferential knitting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knitting start portion, so that a bag-shaped knitted fabric can be knitted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knitting start portion 101 is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bag-shaped knitted fabric. Since the elasticity of the knitting start portion 101 is suppressed more than before, the shape of the knitted fabric is not easily damaged even when a small item is put in the knitted fabric. In addition,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by this invention can be applied also to knitting, such as a sweater which starts knitting from the side.

또,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aid embodiment, It can change suitably and can implement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100 : 스커트(편성포) 101 : 편성 시작부 102 : 편성 종료부
20F : 앞측 편성포(타측 편성포부) 20B : 뒤측 편성포(일측 편성포부)
ω : 유닛 9 : 일측 시단스티치 10 : 타측 시단스티치
11 : 일측 스티치 12 : 타측 스티치 13 : 일측 늘림코
14 : 타측 늘림코 15 : 일측 더블루프 16 : 타측 더블루프
17 : 일측 추가스티치 18 : 타측 추가스티치
21, 22 : 드로 쓰레드에 의한 스티치
FB : 앞쪽 니들베드 BB : 뒤쪽 니들베드
RS : 형성방향 LS : 시단방향 1~8 : 편침
100: skirt (knitted fabric) 101: knit start 102: knit end
20F: Front side knitted fabric (the other side knitted fabric part) 20B: Rear side knitted fabric (one side knitted fabric part)
ω: unit 9: one end stitch 10: the other end stitch
11: one side stitch 12: the other side stitch 13: one side stretch nose
14: extending the other side nose 15: one side double loop 16: the other side double loop
17: one side additional stitch 18: the other side additional stitch
21, 22: Stitch by the draw thread
FB: Front needle bed BB: Back needle bed
RS: Forming direction LS: Start direction 1 ~ 8: Single hand

Claims (5)

적어도 전후(前後)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의 적어도 일방이 좌우로 래킹(racking) 가능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코이동이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일방의 니들베드에서 주로 편성되는 일측 편성포부(一側 編成布部)와, 타방의 니들베드에서 주로 편성되는 타측 편성포부(他側 編成布部)로 분기(分岐)되는 편성 시작부(編成 始作部)를 편성하기 위한 편성포(編成布)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편성 시작부를 순차적으로 형성해 가는 방향을 형성방향(形成方向), 그 역방향을 시단방향(始端方向)으로 했을 때에,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일측 스티치를 상기 형성방향 측에 있는 편침으로 코이동한 후에, 그 이동시킨 일측 스티치의 웨일 방향(wale 方向)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일측 스티치를 형성하는 공정α과,
상기 공정α에서 형성한 새로운 일측 스티치보다도 시단방향 측에 있는 공침(空針)에 일측 늘림코를 형성하는 공정β과
상기 공정β보다도 뒤에, 타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타측 스티치를 상기 형성방향 측에 있는 편침으로 코이동한 후에, 그 이동시킨 타측 스티치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타측 스티치를 형성하는 공정γ과,
상기 공정에서 형성한 새로운 타측 스티치보다도 시단방향 측에 있는 공침에 타측 늘림코를 형성하는 공정δ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편성 시작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At least one pair of front and rear needle beds,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needle beds can be racked from side to side, and stitches can be mov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needle beds. Using a flat knitting machine, it divides into one side knitted fabric part mainly knitted in one needle bed, and the other side knitted fabric part mainly knitted in the other needle bed. In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for knitting the knitted starting part to be divided,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knitting start portion is sequential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 is set in the forming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thereof in the starting direction,
A step α of coordinating one side stitch coupled to one needle bed with the knitting needle on the side of the formation direction, and then forming a new one side stitch that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moved one side stitch, and
A step β for forming one side elongated nose in co-precipitation on the side of the starting direction than the new one side stitch formed in the step α and
After the step β, the step γ of coordinating the other stitch coupled to the other needle bed with the knitting needle on the side of the formation direction, and then forming a new other stitch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moved other stitch;
Step δ of forming the other side extension nose on the co-precipitation on the side of the starting direction than the new stitch formed on the other side
A knitting method for knitting a knit fabric, wherein the knitting start portion is formed by repeating.
제1항에 있어서,
n회째의 공정α와 공정β 사이, 또는 n회째의 공정β 후에, n-1회째의 공정β에서 형성한 일측 늘림코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일측 추가스티치(一側 追加stitch)를 형성하는 공정α'와,
n회째의 공정γ와 공정δ의 사이, 또는 n회째의 공정δ의 후에, n-1회째의 공정δ에서 형성한 타측 늘림코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타측 추가스티치(他側 追加stitch)를 형성하는 공정γ'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1,
Process α which forms one side additional stitch which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side stretched nose formed in the n-th process β between the nth process (alpha) and process (beta), or after the nth process (beta). 'Wow,
between the n-th step γ and the step δ, or after the n-th step δ, to form another additional stitch that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 stretched nose formed in the n-th step δ. Process γ '
And knitting the knitted fabric.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α에서 기존의 일측 스티치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일측 스티치를 형성할 때, 니들베드에 편사(編絲)를 급사(給絲)하는 급사부재를 상기 기존의 일측 스티치를 통과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급사부재로부터 연장되는 편사가 상기 기존의 일측 스티치를 가로지르는 상태로 한 후에, 상기 급사부재를 반전(反轉)시켜서, 상기 편사가 기존의 일측 스티치를 가로지르는 측과는 반대측에서부터 당해 가로지르는 측으로 상기 편사를 인출함으로써 새로운 일측 스티치를 형성하고,
상기 공정에서 기존의 타측 스티치의 웨일 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타측 스티치를 형성할 때, 상기 급사부재를 상기 기존의 타측 스티치를 통과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급사부재로부터 연장되는 편사가 상기 기존의 타측 스티치를 가로지르는 상태로 한 후에, 상기 급사부재를 반전시켜서, 상기 편사가 기존의 타측 스티치를 가로지르는 측과는 반대측에서부터 당해 가로지르는 측으로 상기 편사를 인출함으로써 새로운 타측 스티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n forming a new one-sided stitch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existing one-side stitch in the step α, the yarn feeding member for yarn knitting on the needle bed is moved to a position passing through the existing one-side stitch Thus, after the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yarn feeding member crosses the existing one side stitch, the yarn is inverted so that the knitting yarn starts from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crossing the existing one side stitch. A new one-side stitch is formed by drawing the knitting yarn to the transverse side,
When forming a new other stitch that continue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existing other stitch in the process, the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yarn feeding member is moved to the position passing through the existing other stitch to the existing other stitch. A knitting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a new fabric is formed by inverting the yarn feeding member so that the knitting yarn is inverted, and the knitting yarn is pulled from the opposite side to the crossing side of the existing stitch on the other side to form a new other stitch. How to organize
편성 시작부와, 이 편성 시작부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기되는 일측 편성포부 및 타측 편성포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의 적어도 일방이 좌우로 래킹 가능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의 코이동이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된 편성포에 있어서,
상기 편성 시작부는, 단수(單數)의 편사, 혹은 나란하게 배열되어 공급되는 복수의 편사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편성된 복수의 유닛(unit)으로 이루어지고,
각 유닛은,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에 대하여 경사진 일측 스티치와,
상기 일측 스티치보다도 뒤에 편성되고 또한 일측 스티치보다도 일측 스티치가 경사진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일측 늘림코와,
상기 일측 늘림코보다도 뒤에 편성되고 또한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에 대하여 경사진 타측 스티치와,
상기 타측 스티치보다도 뒤에 편성되고 또한 타측 스티치보다도 타측 스티치가 경사진 방향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타측 늘림코를
구비하고,
n번째의 유닛의 일측 스티치는, n-1번째의 유닛의 일측 스티치에 마주하여 형성되고,
n번째의 유닛의 타측 스티치는, n-1번째의 유닛의 타측 스티치에 마주하여 형성되고,
상기 일측 늘림코의 웨일 방향으로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늘림코의 웨일 방향으로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
It has a knitting start part, and one knitting fabric part and another knitting fabric part which branch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is knitting start part, are equipped with at least one pair of front and back needle beds, and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back needle beds can be racked left and right. In the knitted fabric which was knitted using the flat knitting machine which can move the stitch between the front and back needle beds,
The knitting start por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s continuously knitted by a single knitting yarn or a plurality of knitting yarns arranged side by side and supplied,
Each unit is
One side stitch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titch on the one side knitted fabric portion,
A one-side stretch nose that is knitted later than the one side stitch and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one side stitch is inclined than the one side stitch,
The other stitch knitted after the one-side stretch nose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titch of the other knitted fabric portion,
The other side stretching nose which is knitted after the other side stitch and is arrang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side stitch is inclined than the other side stitch
Respectively,
One side stitch of the nth unit is formed to face one side stitch of the n-1th unit,
The other stitch of the nth unit is formed facing the other stitch of the n-1th unit,
Stitches of the one side knitted fabric portion are form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ne side elongated nose,
The knitted fabric of the other knitted fabric portion is form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ther side stretching nos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또한
상기 일측 늘림코와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일측 추가스티치와,
상기 타측 늘림코와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타측 추가스티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unit also
One side additional stitch formed between the one side stretch nose and the stitch on the one side knitted fabric portion,
The other side additional stitches formed between the other side nose and the stitches of the other knitted fabric portion
A knitted fabric comprising:
KR1020120059045A 2011-06-28 2012-06-01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KR10135643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43542 2011-06-28
JP2011143542A JP5736250B2 (en) 2011-06-28 2011-06-28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259A KR20130002259A (en) 2013-01-07
KR101356436B1 true KR101356436B1 (en) 2014-01-29

Family

ID=46466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045A KR101356436B1 (en) 2011-06-28 2012-06-01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540887B1 (en)
JP (1) JP5736250B2 (en)
KR (1) KR101356436B1 (en)
CN (1) CN10285186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2903B2 (en) * 2011-10-03 2016-05-2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TWI585254B (en) * 2013-04-23 2017-06-01 島精機製作所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JP2015110849A (en) * 2013-12-06 2015-06-1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Method for knitting fabric
JP6347678B2 (en) * 2014-06-25 2018-06-2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Preparation method
JP6223308B2 (en) * 2014-09-18 2017-11-0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DE102018210887A1 (en) 2017-07-06 2019-01-10 Shima Seiki Mfg., Ltd. Knitted knitwear and knitwear
JP6738791B2 (en) * 2017-07-06 2020-08-1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Knitting method and knitting method
JP6932076B2 (en) 2017-12-21 2021-09-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598A (en) * 2001-03-02 2003-11-1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Knitted fabric having opening portion and knitting method therefor
EP1408145A1 (en) * 2001-06-12 2004-04-14 Shima Seiki Mfg., Ltd Knitting fabric having novel set up structure and method of knitting it
KR100869994B1 (en) * 2001-05-11 2008-11-2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Knitting method using flat knitting machine and knitting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3245A (en) * 1990-07-13 1992-03-09 Shima Seiki Mfg Ltd Method for setting up and knit fabric thereby
US5628209A (en) * 1994-09-01 1997-05-13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Method of forming a knot on a flat knitting machine
JP3044368B2 (en) * 1995-12-28 2000-05-2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A bind-off method, a knitted fabric treated by the bind-off method, and a CAD apparatus for generating the bind-off method
JP3126315B2 (en) * 1996-10-29 2001-01-2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having 2 × 1 rubber knitting structure
DE19710896A1 (en) * 1997-03-15 1998-09-17 Stoll & Co H Process for producing a knitted fabric on a flat knitting machine
JP2002339202A (en) * 2001-05-10 2002-11-27 Shima Seiki Mfg Ltd Method for inner-widening of rib-knitted fabric and inner-widened rib-knitted fabric by using the same method
ES2291257T3 (en) * 2001-08-28 2008-03-01 H. STOLL GMBH &amp; CO. PROCEDURE FOR THE REALIZATION OF A MESH THAT EXTENDS ON A LOT OF NEEDLES.
JP4503352B2 (en) * 2004-05-25 2010-07-1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Knitting method, knitting fabric and knitting program
EP1990451A1 (en) * 2006-02-28 2008-11-12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Method of forming increase and knitted fabric where increases are formed inner side of knitting width direction end of knitted fabric
WO2007119272A1 (en) * 2006-03-20 2007-10-25 Shima Seiki Mfg., Ltd. Method for knitting fabric and design device
CN102264963B (en) * 2008-12-26 2013-09-25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Method of increasing number of internal stitches, and knitted fabric
JP5567565B2 (en) * 2009-07-09 2014-08-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Knitwear having sleeves and body and knitting method thereof
JP2012251262A (en) * 2011-06-03 2012-12-20 Shima Seiki Mfg Ltd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598A (en) * 2001-03-02 2003-11-1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Knitted fabric having opening portion and knitting method therefor
KR100869994B1 (en) * 2001-05-11 2008-11-2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Knitting method using flat knitting machine and knitting program
EP1408145A1 (en) * 2001-06-12 2004-04-14 Shima Seiki Mfg., Ltd Knitting fabric having novel set up structure and method of knitting it
JP4203414B2 (en) * 2001-06-12 2009-01-0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Knitted fabric having a new set-up structure and its knit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259A (en) 2013-01-07
CN102851866A (en) 2013-01-02
JP2013011031A (en) 2013-01-17
EP2540887A3 (en) 2015-05-27
EP2540887B1 (en) 2016-06-08
EP2540887A2 (en) 2013-01-02
JP5736250B2 (en) 2015-06-17
CN102851866B (en) 201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436B1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US9637847B2 (en) Shoe upper and method for knitting shoe upper
EP2530197A2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JP4848374B2 (en) Method for knitting knitwear having a collar
US5836177A (en) Binding-off method, bound knitted fabric, and CAD apparatus therefor
CN103290609A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with fringe
EP2366820B1 (en) Knitting method of V-neck peak and knitwear having V-neck
KR101603889B1 (en)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KR101329124B1 (en) Partial knitting method and fabric
TWI585254B (en)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KR20150040226A (en)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EP1408145B1 (en) Knitting fabric having novel set up structure and method of knitting it
JP4852092B2 (en) Method for forming additional stitches and knitted fabric in which additional stitches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end of the knitted fabric
KR101151246B1 (en)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KR100585256B1 (en) Binding off method excellent in stretchability
JP5452791B2 (en) Method for knitting a knitted fabric with reinforced side ends and the knitted fabric
CN107142601B (en) The weaving method of cylindrical fabric
JP5567556B2 (en) Method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and tubular knitted fabric
KR101985840B1 (en)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and knitted fabric
JP2010265557A (en) Method for knitting rib texture and knitted fabric
JP2002348760A (en) Method for binding off and knitted fabric subjected to binding off
JP2015021211A (en) Method for knitting fabric with ribbons, and knitted fabr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