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443B1 -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 - Google Patents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443B1
KR101985443B1 KR1020170122075A KR20170122075A KR101985443B1 KR 101985443 B1 KR101985443 B1 KR 101985443B1 KR 1020170122075 A KR1020170122075 A KR 1020170122075A KR 20170122075 A KR20170122075 A KR 20170122075A KR 101985443 B1 KR101985443 B1 KR 101985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seedlings
groove
plant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372A (ko
Inventor
홍승일
Original Assignee
홍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일 filed Critical 홍승일
Priority to KR1020170122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443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종이식 홈을 자동으로 형성시키고 이에 모종을 위치시킨 후 자동으로 흙을 덥고 눌러주는 방법으로 일손이 부족한 농촌의 일손을 덜어주고 또 간편하고 용이하며 신속하게 많은 양을 모종을 이식할 수 있도록 한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모종을 이식하는 홈을 자동으로 형성하는 홈 형성수단과, 상기 모종이식 홈에 모종을 일정간격으로 배열시키는 모종배열수단과, 배열된 모종에 흙을 덮어주고 눌러주는 모종활착유도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Nursery transplant equipment of plant}
본 발명은 줄기를 모종 이식하는 고구마를 포함하는 각종 식물의 모종(이하 "모종"이라 통칭함) 이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종을 이식하기 위해 형성된 두둑의 상부에 두둑의 길이방향을 따라 모종이식 홈을 자동으로 형성시키고 그 모종이식 홈에 해당 모종을 위치시킨 후 자동으로 흙을 덥고 눌러주는 방법으로 모종을 이식하여 일손이 부족한 농촌의 일손을 덜어주고 또 간편하고 용이하며 신속하게 많은 양을 모종을 이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밭작물은 발아 성공률을 높이고 재배 과정에서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모종판에 씨앗을 파종하여 발아시켜 일정기간 성장시킨 후 그를 재배지인 밭에 이식하여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모종판에서 발아된 모종을 재배지로 이식하는 작업은 작업자가 일정 수량의 모종 모판을 들고 다니면서 재배지의 두둑에 호미 등으로 홈을 파고 이에 모종을 심고 다시 흙을 덮는 일련의 작업을 쪼그려 앉은 상태로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모종의 이식 작업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보유한 모판의 모종을 모두 이식하고 나면 또다시 일정 수량의 모종 모판을 다시 가지러 가서 모종 모판을 들고 온 후 위와 같이 쪼그려 앉은 상태로 이식 작업을 반복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노동강도가 매우 높아서 작업자들이 작업을 기피하고 있다.
따라서, 농가에서는 모종 이식 작업에 필요한 인력을 구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인력 품귀현상으로 인하여 인건비가 크게 상승하여 생산비 인상의 요인이 되며, 인력난으로 인해 모종 이식 작업을 제때 수행하지 못하여 작물 재배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시골인력이 노인들이기 때문에 노동의 효율성도 현저하게 떨어진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복수의 이송륜이 설치된 메인 프레임과; 복수의 이송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주행축, 상기 주행축과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복수의 톱니가 마련된 메인래치디스크, 상기 메인 래치디스크의 톱니에 맞물리는 작동 래치, 상기 작동 래치를 움직여 상기 메인 래치디스크 및 상기 주행축을 상기 복수의 톱니의 배치 각도만큼 정회전시키는 래치 작동기구를 갖는 간헐주행 유닛과; 모종 또는 종자를 파지하는 복수의 호퍼, 상기 모종 또는 종자의 적어도 일부를 땅속으로 투입하기 위해 상기 각 호퍼의 적어도 일부가 땅속으로 파고들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호퍼를 승강시키는 호퍼 승강장치를 갖는 이식 유닛과; 및 상기 메인 레치디스크의 톱니에 맞물려 상기 메인 래치디스크 및 상기 주행축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역회전방지 스토퍼로 구성된 농작물 이식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이식장치를 이용하여 모종을 이식할 경우, 상당히 적은 인력으로도 쉽고 빠르게 이식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모종 이식장치는 2인이 1조가 되어 한 명은 조향을 담당하고, 한 명은 이식부에 모종이 심어진 트레이를 투입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각각의 작업을 수행함에 따른 인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1인이 모종이식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수동조향을 통해 주행부를 지속적으로 조향 해야하므로, 모종 이식부에 투입된 트레이의 모종 이식작업이 끝나면, 작업자는 주행부의 시동을 끄고, 다수의 모종이 심어진 또 다른 트레이를 모종 이식부에 투입한 후, 주행부를 다시 조향함에 따라 이식작업이 연속적으로 수행되지 아니한바, 이식작업 시간이 증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깅듸 문제점을 해고하고자 한국공개특허 10-2017-0055708호의 "자동주행기능을 탑재한 모종 이식장치"가 제공되어 있으며, 그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다 음 -
두둑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와, 상기 주행부의 후방에 연결되어 주행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두둑에 모종을 이식하는 모종 이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종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100)는 차체(10)와, 상기 차체의 전·후방에 배치되어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구름 이동하는 전륜(11a)과 후륜(11b) 및, 상기 전륜의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유닛(20)을 포함하고.
상기 조향유닛은, 상기 전륜과 연결되는 조향링크와, 상기 조향링크와 링크 연결되어 정역 회전을 통해 전륜을 좌우 회전시키는 조향 축과; 상기 조향축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핸들; 및 상기 조향축을 전동으로 회전시키는 정역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체에는 두둑의 측면 곡률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두둑 곡률 감지모듈(30); 및 상기 두둑 곡률 감지모듈로부터 감지된 두둑의 측면곡률에 따라 정역모터를 구동시켜 조향축을 전동 회전시켜서, 전륜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도록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도 1의 한국공개특허 10-2017-0055708호의 "자동주행기능을 탑재한 모종 이식장치"는 모종을 이식한 후 그 이식된 자리에 흙을 덮고 눌러주는 기능이 없어 모종의 생존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7-0055708호 : 자동주행기능을 탑재한 모종 이식장치 한국공개특허 10-2001-0432087호 : 모종 이식기 한국공개특허 10-2011-0047447호 : 식물 이식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모종을 이식하는 홈을 자동으로 형성시킨 후 이에 모종을 위치시키고 위치된 모종의 뿌리부분에 흙을 모아 덮어준 후 그 덮어준 흙을 눌러주는 과정을 자동으로 함으로써 모종을 신속하게 이식할 수 있음으로 일손이 부족한 농촌의 일손을 해소할 수 있고 또 이식된 모종의 활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운전자의 운전에 따라 밭을 이동하는 이동수단(A)과, 그 이동수단에 의해 견인되어 밭을 이동하며 식물 모종을 밭의 두둑에 이식하는 대차(B)로 구성되는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이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두둑의 상부에 모종을 이식하기 위한 모종이식 홈을 두둑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시키는 1차 홈 성형기(110)가 설치되고 그 1차 홈 성형기의 후방에 2차 홈 성형기(120)를 설치하여 된 높낮이조절수단(130)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홈 형성수단(100);
상기 대차의 상부에 모종을 상기 모종이식 홈에 일정간격으로 배열시키기 위한 거리측정기(230)가 설치된 이식 홈(220)이 형성되고, 그 이식 홈의 일측에 작업자의 작업공간(210)을 확보시켜 된 모종배열수단(200);
상기 대차의 후방에 상기 모종이식 홈에 배열된 모종에 흙을 모아 덮어주는 가이드(310)가 설치되고 그 가이드의 후방에 상기 덮어준 흙을 눌러주는 상부다짐기(320)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다짐기(320)의 양측에는 두둑의 측면 흙을 다져주는 측면다짐기(330)를 설치하여 된 모종활착유도수단(300); 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종을 이식하는 홈을 자동으로 형성시킨 후 이에 모종을 위치시키고 그 위치된 모종의 뿌리부분에 흙을 모아 덮어준 후 그 덮어준 흙을 눌러주는 과정을 자동으로 함으로써 모종을 신속하게 이식할 수 있음으로 일손이 부족한 농촌의 일손을 해소할 수 있고 또 이식된 모종의 활착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주행기능을 탑재한 모종 이식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 평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에서 대차 발췌 평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에서 대차 발췌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에서 홈 형성수단 발췌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에서 모종활착유도수단 발췌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는 모종을 이식하기 위해 형성된 두둑의 상부에 두둑의 길이방향을 따라 모종이식 홈을 자동으로 형성시키고 그 모종이식 홈에 해당 모종을 위치시킨 후 자동으로 흙을 덥고 눌러주는 방법으로 모종을 이식하여 일손이 부족한 농촌의 일손을 덜어주고 또 간편하고 용이하며 신속하게 많은 양을 모종을 이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다 음 -
본 발명의 구성에서 도 2에 나타낸 이동수단(A)은 운전자의 운전에 의해 밭의 골을 따라 이동하면서 대차(B)를 견인하는 것으로, 이는 통상의 이동수단(A)이며, 따라서 상기 이동수단(A)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대차(B)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대차(B)는 경작지에 형성된 두둑의 상부에 모종을 이식하기 위한 모종이식 홈을 홈 형성수단(100)을 이용하여 두둑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시키는데, 상기 홈 형성수단(100)의 구성은 1차 홈 성형기(110)가 설치되고 그 1차 홈 성형기(110)의 후방에 2차 홈 성형기(120)를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1차 홈 성형기(110)와 2차 홈 성형기(120)는 높낮이조절수단(130)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하여 모종이식 홈의 깊이를 조절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모종식물의 특성에 따라 깊이 심어야 하는 모종과 얕게 심어야 하는 모종이 있음으로 그에 부응하여 심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홈 형성수단(100)에서 1차 홈 성형기(110)와 그 1차 홈 성형기(110)의 후방에 2차 홈 성형기(120)를 각각 설치시킨 이유는, 대차(B)가 이동수단(A)에 의해 견인되면서 상기 1차 홈 성형기(110)가 앞에서 두둑의 상부 중앙애 홈을 형성하며 지나가면 그 뒤에서 바로 2차 홈 성형기(120)가 상기 1차 홈 성형기(110)가 홈을 형성하고 지나간 자리의 흙을 다지며 진행하면서 모종이식 홈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1차 홈 성형기(110)와, 2차 홈 성형기(120), 높낮이조절수단(13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다 음 -
먼저, 상기 1차 홈 성형기(110)는, 대차(B)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고정플레이트(140)의 하부 전방에 일정 이상의 압력을 받으며 구부려지는 탄성부재(112)를 이용하여 앞쪽은 뾰족하고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뱃머리 형상의 홈 성형구(111)를 설치하여 된 것으로, 상기 홈 성형구(111)의 형상을 앞쪽은 뾰족하고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뱃머리 형상으로 한 이유는, 홈 성형구(111)가 진행하면서 두둑의 상부를 용이하게 홈을 형성하며 진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탄성부재(112)를 이용하여 홈 성형구(111)를 설치한 이유는, 홈 성형구(111)가 두둑의 상부 홈을 형성하며 진행하던 중에 돌이나 기타 이물질에 걸려 진행에 어려움이 발생할 경우 탄성부재(112)가 구부려지면서 홈 성형구(111)가 상기 돌이나 기타 이물질을 넘어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2차 홈 성형기(120)는, 상기 홈 성형구(111)의 후방 전방고정플레이트(140)의 하부에 일정 이상의 압력을 받으며 구부려지는 탄성부재(121)를 매개로 브래킷(122)이 설치되고 그 브래킷(122)에는 상기 1차 홈 성형기(111)가 지나간 자리를 회전하며 진행하는 홈 성형 휠(123)을 설치하여 된 것으로, 상기 홈 성형 휠(123)을 설치한 이유는, 상기 1차 홈 성형기(111)가 진행하며 홈을 형성한 자리는 다시 주위 흙들이 흘러들어와 메우게 되므로 그 메운 흙들을 눌러 다짐하여 모종이식 홈을 완성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홈 성형 휠(123)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종하는 식물의 특성에 따라 끝이 뾰족한 형태의 홈 성형 휠(123)을 사용하거나 또는 끝이 평면이 홈 성형 휠(123)을 사용하는데, 그 일실시예로 끝이 뾰족한 형태의 홈 성형 휠(123)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구마줄기를 이식할 때 사용하는 것이고, 끝이 평면이 홈 성형 휠(123)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포토에서 자란 모종을 이식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써, 상기 각기 다른 형태의 홈 성형 휠(123)은 교환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 상기 높낮이조절수단(130)은 상단에 핸들(133)이 설치된 스크루 축(132)이 상향 수직되게 구비되고 그 스크루 축은 스크루 축 가이드(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며 상기 스크루 축의 하단은 전방고정플레이트(140)와 공회전 되게 연결설치되고 상기 스크루 축 가이드는 고정구(134)를 매개로 대차에 고정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높낮이조절수단(130)을 설치한 이유는, 모종식물의 특성에 따라 깊이 심어야 하는 모종과 얕게 심어야 하는 모종이 있음으로 그에 부응하여 심기 위함이다.
상기 스크루 축 가이드(131)의 내부와 스크루 축(132) 외주 면에는 각각의 암수 스크루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상기 핸들(133)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크루 축(132)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스크루 축(132)의 하단과 전방고정플레이트(140)는 연결설치부분이 공회전 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스크루 축(132)이 회전해도 전방고정플레이트(140)는 회전하지 않고 상하 이동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크루 축 가이드(131)는 고정구(134)에 의해서 대차(B)에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본 발명의 모종배열수단(20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차(B)의 상부에 상기 1차 홈 성형기(110)와 2차 홈 성형기(120)가 형성해 논 모종이식 홈에 모종을 일정간격으로 배열(위치)시키기 위한 거리측정기(230)가 설치된 이식 홈(220)이 형성되고, 그 이식 홈(220)의 일측에 작업자의 작업공간(210)을 확보시켜 된 것이다.
상기 거리측정기(230)는 이식 홈(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눈금자(231)가 설치되고 상기 눈금자(231)에는 눈금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표시구(232)가 설치됨으로써, 모종을 모종이식 혼에 일정간격으로 배열(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업공간(210)에는 작업자가 편안히 앉아서 모종을 모종이식 홈에 배열할 수 있는 의자가 설치되고 상기 이식 홈(220)은 대차(B)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구(232)를 눈금자(2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게 설치한 이유는 모종하는 식물에 따라 모종식물과 모종식물 간의 거리를 달리해야 하기 때문에 그 거리를 조절하여 이식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모종활착유도수단(300)은 상기 대차(B)의 후방에 상기 모종이식 홈에 배열된 모종에 흙을 모아 덮어주는 가이드(310)가 설치되고 그 가이드(310)의 후방에 상기 덮어준 흙을 눌러주는 상부다짐기(320)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다짐기(320)의 양측에는 두둑의 측면 흙을 다져주는 측면다짐기(330)를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모종활착유도수단(300)에서 가이드(310)는 한 쌍의 수직 판(311)을 설치하되 그 한 쌍의 수직 판(311) 사이가 입구는 넓고 출구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형성시켜 두둑 상부의 흙이 모종이 이식된 중앙부로 몰려 뿌리를 충분히 덮어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310)에 의해서 흙이 모종 뿌리를 충분히 덮어주면 그 다음에는 상부다짐기(320)가 상기 덮어준 흙을 눌러 다져주면 진행하여 모종의 뿌리 활착을 도와준다.
상기의 역할을 하는 상기 상부다짐기(320)는 후방플레이트(340)의 하부에 탄성부재(321)를 매개로 브래킷(322)이 설치되고 그 브래킷(322)에는 로드(323)가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로드의 하단에는 지지바(324)가 고정 설치되고 그 지지바의 안쪽으로는 회전되는 누름롤러(325)를 각각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래킷(322)을 매개로 탄성부재(321)를 설치한 이유는, 두둑의 상부 높낮이가 고르지 못하기 때문에 그 고르지 못한 두둑의 상부 높낮이를 탄성부재(321)가 압축 및 복원되면서 모종 뿌리를 덮은 흙을 눌러 다져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누름롤러(325)가 설치된 지지바(324)와 연결되는 로드(323)는 브래킷(322)으로부터 높낮이 조절되게 설치되는데, 그 이유는, 두둑의 상부와 누름롤러(325) 간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누름롤러(325)를 이용한 상기 덮어준 흙의 안정적인 다짐을 이루기 위함이다.
상기 로드(323)가 결합되는 브래킷(322)은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로드(323)를 브래킷(322)으로부터 높낮이 조절 후 고정하는 방법은, 볼트로 브래킷(322)을 관통하며 로드(323)를 고정시키면 된다.
상기 누름롤러(325)는 중앙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양측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두둑에 이식된 모종은 대차(B)가 계속 진행해도 상기 누름롤러(325)의 사이로 빠져나가 이식된 모종이 훼손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측면다짐기(330)는 상기 지지바(324)의 외부 쪽 단부에 측면지지바(331)가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측면지지바에는 회전되는 측면누름롤러(332)를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다짐기(330)는 두둑의 측면 흙을 다져주어 두둑의 측면을 견고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각기 다른 두둑의 폭을 감안하여 이에 대응하도록 지지바(324)로부터 측면지지바(331)를 길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구체적인 방법은 지지바(324)를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 형태로 형성시키고 이에 측면지지바(331)를 결합시킨 후 볼트로 지지바(324)를 관동하며 측면지지바(331)를 고정시키면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에서 대차(B)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이동수단(A)에 하나의 대차(B) 연결설치하여 사용해도 되고, 또 하나의 이동수단(A)에 복수 개의 대차(B) 연결설치하여 사용해도 되나, 상기 대차(B)가 복수 개일 경우에는 그 복수 개의 대차를 일체화하여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또 상기 대차(B)와 이동수단(A)에는 두둑과 두둑의 사이 골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는 모종을 이식하는 홈을 자동으로 형성시킨 후 이에 모종을 위치시키고 그 위치된 모종의 뿌리부분에 흙을 모아 덮어준 후 그 덮어준 흙을 눌러주는 과정을 자동으로 함으로써 모종을 신속하게 이식할 수 있음으로 일손이 부족한 농촌의 일손을 해소할 수 있고 또 이식된 모종의 활착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홈 형성수단 110 : 1차 홈 성형기
111 : 홈 성형구 112 : 탄성부재
120 : 2차 홈 성형기 121 : 탄성부재
122 : 브래킷 123 : 홈 성형 휠
130 : 높낮이조절수단 131 : 스크루 축 가이드
132 : 스크루 축 133 : 핸들
140 : 전방고정플레이트 200 : 모종배열수단
210 : 작업공간 220 : 이식 홈
230 : 거리측정기 231 : 눈금자
232 : 표시구 300 : 모종활착유도수단
310 : 가이드 311 : 수직 판
320 : 상부다짐기 321 : 탄성부재
322 : 브래킷 323 : 로드
324 : 지지바 325 : 누름롤러
330 : 측면다짐기 331 : 측면지지바
332: 측면누름롤러 340 : 후방플레이트
A : 이동수단 B : 대차

Claims (9)

  1. 운전자의 운전에 따라 밭을 이동하는 이동수단(A)과, 그 이동수단에 의해 견인되어 밭을 이동하며 식물 모종을 밭의 두둑에 이식하는 대차(B)로 구성되는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이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두둑의 상부에 모종을 이식하기 위한 모종이식 홈을 두둑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시키는 1차 홈 성형기(110)가 설치되고 그 1차 홈 성형기의 후방에 2차 홈 성형기(120)를 설치하여 된 높낮이조절수단(130)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홈 형성수단(100);
    상기 대차의 상부에 모종을 상기 모종이식 홈에 일정간격으로 배열시키기 위한 거리측정기(230)가 설치된 이식 홈(220)이 형성되고, 그 이식 홈의 일측에 작업자의 작업공간(210)을 확보시켜 된 모종배열수단(200);
    상기 대차의 후방에 상기 모종이식 홈에 배열된 모종에 흙을 모아 덮어주는 가이드(310)가 설치되고 그 가이드의 후방에 상기 덮어준 흙을 눌러주는 상부다짐기(320)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다짐기(320)의 양측에는 두둑의 측면 흙을 다져주는 측면다짐기(330)를 설치하여 된 모종활착유도수단(3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다짐기(320)는 후방플레이트(340)의 하부에 탄성부재(321)를 매개로 브래킷(322)이 설치되고 그 브래킷에는 로드(323)가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로드의 하단에는 지지바(324)가 고정 설치되고 그 지지바의 안쪽으로는 회전되는 누름롤러(325)를 각각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홈 성형기(110)는 대차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고정플레이트(140)의 하부 전방에 일정 이상의 압력을 받으며 구부려지는 탄성부재(112)를 이용하여 앞쪽은 뾰족하고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뱃머리 형상의 홈 성형구(111)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홈 성형기(120)는 대차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고정플레이트(140)의 하부 후방에 일정 이상의 압력을 받으며 구부려지는 탄성부재(121)를 매개로 브래킷(122)이 설치되고 그 브래킷에는 상기 1차 홈 성형기가 지나간 자리를 회전하며 진행하는 홈 성형 휠(123)을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수단(130)은 상단에 핸들(133)이 설치된 스크루 축(132)이 상향 수직되게 마련되고 그 스크루 축은 스크루 축 가이드(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며 상기 스크루 축의 하단은 전방고정플레이트(140)와 공회전 되게 연결설치되고 상기 스크루 축 가이드는 고정구(134)를 매개로 대차에 고정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기(230)는 이식 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눈금자(231)가 설치되고 상기 눈금자에는 눈금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표시구(232)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310)는 한 쌍의 수직 판(311)을 설치하되 그 한 쌍의 수직 판 사이가 입구는 넓고 출구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다짐기(330)는 상기 지지바(324)의 외부 쪽 단부에 측면지지바(331)가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측면지지바에는 회전되는 측면누름롤러(332)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A)에 의해 견인되는 대차(B)는 복수 개가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
KR1020170122075A 2017-09-21 2017-09-21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 KR101985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075A KR101985443B1 (ko) 2017-09-21 2017-09-21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075A KR101985443B1 (ko) 2017-09-21 2017-09-21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372A KR20190033372A (ko) 2019-03-29
KR101985443B1 true KR101985443B1 (ko) 2019-06-03

Family

ID=65899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075A KR101985443B1 (ko) 2017-09-21 2017-09-21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4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512B1 (ko) * 2010-03-19 2010-11-04 권도헌 농기계용 삽식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089B1 (ko) 2009-10-30 2012-08-22 문태익 식물 이식장치
KR20160107850A (ko) * 2015-03-06 2016-09-19 모영환 농작물 삽식기
KR101790572B1 (ko) 2015-11-12 2017-10-26 주식회사 신형공업 자동주행기능을 탑재한 모종 이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512B1 (ko) * 2010-03-19 2010-11-04 권도헌 농기계용 삽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372A (ko)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1693B (zh) 一种手扶电动移植机
JP2008099575A (ja) 水田除草兼用溝切り機
JP2015043731A (ja) 田植機
US20190166753A1 (en) Reconfigurable tillage system
CN202889892U (zh) 甘蔗破垄施肥盖膜机
KR101759069B1 (ko) 고설재배용 쇄토장치
CN212813270U (zh) 茶叶育种用远距离幼苗搬运装置
KR101985443B1 (ko) 고구마줄기를 포함하는 식물 모종 이식장치
KR101586851B1 (ko) 보행형 양파 자동정식기
CN112840990A (zh) 苗木开沟移栽一体机
WO2017183613A1 (ja) サトウキビ移植機
KR100431719B1 (ko) 전동식 부추 파종기
CN112514567A (zh) 甘薯多功能栽苗机
KR101425908B1 (ko) 고설재배용 베드의 배토용 쇄토장치
JPH09285210A (ja) 畑の苗植え機
KR20160107850A (ko) 농작물 삽식기
CN212116131U (zh) 一种农业种植撒种机械
CN212876668U (zh) 马铃薯脱毒苗移栽装置
JP3124431U (ja) 土中ネット敷設装置
KR101693499B1 (ko) 고설재배용 작물뿌리 파쇄장치
KR102111298B1 (ko) 마늘 파종기
JP2015043730A (ja) 播種育苗方法
KR101161541B1 (ko) 잔디 이식 장치
JP5748965B2 (ja) 施肥移植機
JP3300969B2 (ja) 自走式連続鉢苗移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