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251B1 - 카드 처리 장치 및 자동 거래기 - Google Patents

카드 처리 장치 및 자동 거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251B1
KR101985251B1 KR1020170163846A KR20170163846A KR101985251B1 KR 101985251 B1 KR101985251 B1 KR 101985251B1 KR 1020170163846 A KR1020170163846 A KR 1020170163846A KR 20170163846 A KR20170163846 A KR 20170163846A KR 101985251 B1 KR101985251 B1 KR 101985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ard
signal
magnetic sign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3900A (ko
Inventor
히로유키 스즈키
유키오 아오야마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3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6Software aspects at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 G06K7/0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 G06K7/08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inductive
    • G06K7/08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inductive sensing magnetic material by relative movement detecting flux changes without altering its magnetised 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5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locking the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4Hybrid rea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06K7/00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rrect insertion of the card, e.g. end detection switches notifying that the card has been inserted completely and correct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06Q20/1085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involving 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0873Details of the card read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 카드에 기록된 자기 정보와, 무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전파에 포함되는 자기 정보를 도입해서 처리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카드 처리 장치(1)는, 카드 삽입구(15)와, 카드 삽입 검지 센서(5)와, 자기 헤드(4a)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카드 삽입구(15)는, 자기 카드(200)가 삽입된다. 카드 삽입 검지 센서(5)는, 카드 삽입구(15)에 삽입된 자기 카드를 검지한다. 자기 헤드(4a)는, 카드 삽입구(15)의 근방에 배치되고, 전자계의 변화를 검지해서 자기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는, 카드 삽입 검지 센서가 자기 카드를 검지했을 때에, 자기 헤드로부터 자기 신호를 수신하고, 카드 삽입 검지 센서가 자기 카드를 검지하지 않을 때에, 자기 헤드로부터 자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자기 신호가 소정의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는 취득하고,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파기한다.

Description

카드 처리 장치 및 자동 거래기{CARD PROCESSING DEVICE AND AUTOMATIC TRANSACTION MACHINE}
본 발명은, 무선식의 자기 정보 판독 기능을 구비한 카드 처리 장치 및 자동 거래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현금 자동 예금 지불기(ATM :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의 거래 처리 단말에는, 자기 카드의 자기 정보를 처리하는 카드 처리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이 카드 처리 장치는, 이용자가 수동으로 자기 카드를 카드 슬롯에 삽입 또는 카드 슬롯으로부터 발취할 때에, 자기 카드의 자기 스트라이프에 기록된 자기 정보를, 카드 슬롯 부근에 배치되어 있는 자기 헤드에 의해서 판독한다.
한편, 크레디트 결제 단말에서는, 자기 카드를 크레디트 결제 단말의 단면에 부착된 자기 카드 판독부에 수동으로 통과시킴에 의해서, 자기 카드의 자기 스트라이프에 기록된 자기 정보를 자기 헤드로 읽어들인다.
최근에는, 예를 들면, 상기한 카드 처리 장치나, 자기 카드 판독부와 마찬가지의 자기 카드의 판독 효과가 얻어지는, 「Samsung Pay」, 「Loop Pay」로 불리는 기술이 실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 기술은, 자기 정보를 무선 전파에 의해서 송신 가능한 스마트폰을, 자기 카드 판독부의 근방에 가까이하여, 무선 전파에 의해서 자기 정보를 크레디트 결제 단말이나 카드 처리 장치에 보낸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미국 특허 제8814046호 명세서
그러나, ATM에 탑재되는 카드 처리 장치는, 카드 삽입 검지 센서에 의해서 자기 카드가 있다고 판정했을 때만, 자기 헤드로부터의 자기 신호를 자기 정보로서 읽는다. 한편, 무선 전파에 의해서 자기 정보를 송신할 경우, 자기 카드는 삽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카드 삽입 검지 센서에 의해서 자기 카드의 검출 신호가 없다고 판정되고 있는 동안은, 무선 전파에 의해서 송신되는 자기 정보는, 노이즈에 상당하는 무효한 데이터로서 처리되기 때문에, 무선 전파에 의해서 송신되는 자기 정보를 읽을 수 없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자기 카드에 기록된 자기 정보와, 무선 전파에 포함되는 자기 정보를 도입해서 처리할 수 있는 카드 처리 장치 및 자동 거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카드 삽입구와, 카드 삽입 검지 센서와, 자기 헤드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카드 삽입구에는, 자기 카드가 삽입된다. 카드 삽입 검지 센서는, 카드 삽입구에 삽입된 자기 카드를 검지한다. 자기 헤드는, 카드 삽입구 근방에 배치되고, 전자계의 변화를 검지해서 자기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는, 카드 삽입 검지 센서가 자기 카드를 검지했을 때에, 자기 헤드로부터 자기 신호를 수신하고, 카드 삽입 검지 센서가 자기 카드를 검지하지 않을 때에, 자기 헤드로부터 자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자기 신호가 소정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는 취득하고,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파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드 처리 장치에 추가의 구성을 설치하지 않고, 자기 카드에 기록된 자기 정보와, 무선 전파에 포함되는 자기 정보를 도입해서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카드 처리 장치를 탑재한 ATM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카드 처리 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카드 처리 장치의 개략 구조도.
도 4는 동 실시예의 자기 카드의 자기 스트라이프 트랙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동 실시예의 자기 헤드로부터 출력되는 자기 스트라이프 트랙의 파형도.
도 6은 동 실시예의 자기 카드에 의한 자기 판독 동작의 타임차트.
도 7은 동 실시예의 카드 처리 장치의 동작의 플로차트.
도 8은 동 실시예의 무선 전파에 의한 자기 판독 동작의 타임차트.
도 9는 실시예 2의 카드 처리 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동 실시예의 카드 처리 장치의 개략 구조도.
도 11은 동 실시예의 카드 처리 장치의 동작의 플로차트.
도 12는 동 실시예의 무선 전파에 의한 자기 판독 동작의 타임차트.
이하, 도면에 의거해서, 몇 가지 실시예를 상술한다.
(실시예 1)
(1-1) 카드 처리 장치의 구성
우선, 본 실시예의 카드 처리 장치(1) 및 ATM(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카드 처리 장치를 탑재한 ATM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 처리 장치(1)는, 예를 들면, 금융기관에 설치된 ATM(100) 등에 탑재된다. 카드 처리 장치(1)는, 그 이용자(200)측의 전단(前端) 부분이 ATM(100)의 전면(前面)보다도 돌출한 상태로 ATM(100)에 탑재된다. 카드 처리 장치(1)는, ATM(100)의 이용자(200)가 소유하는 자기 카드(300)(도 3 참조)를 접수했을 때에, 당해 자기 카드(300)에 기록된 자기 정보를 자기 신호로서 판독한다. 한편, 카드 처리 장치(1)는, 이용자(200)가 소유하는 무선 단말(400)로부터 송신되는 자기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당해 무선 단말(400)의 자기 정보를 자기 신호로서 판독한다.
도 2는, 카드 처리 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 처리 장치(1)는, 제어부(2)와, 기억부(3)와, 자기 판독부(4)와, 카드 삽입 검지 센서(5)와, 카드 위치 검출 센서(6)와, 호스트 인터페이스(7)와, 램프(13)와, 입출력 인터페이스(10)를 구비하고, 입출력 인터페이스(10)에는, 램프(13)와 스피커(14)가 접속된다.
제어부(2)는, 예를 들면, 기판에 실장된 마이크로컴퓨터(CPU)(20)로 구성되고,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기억부(3)는, 메모리를 갖고, 당해 메모리 내에 각종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도 3은, 카드 처리 장치의 개략 구조도이다.
카드 처리 장치(1)의 이용자(200)측으로 되는 전면에는, 자기 카드(300)의 삽입 발취구로 되는 카드 삽입구(15)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하나 또는 복수의 LED 램프(13)가 고정되어 있다. 카드 처리 장치(1)의 상부에는, 플레이트(16)가 고정되어 있다. 플레이트(16)의 후면에는, 스피커(14)가 배치되어 있다.
자기 판독부(4)는, 자기 헤드(4a)와, 당해 자기 헤드(4a)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도시하지 않음)와, 자기 판독 회로(4c)로 구성된다. 자기 헤드(4a)는, ATM(100)에 탑재된 상태의 카드 처리 장치(1) 중 ATM(100)의 전면보다도 이용자(200)측으로 돌출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자기 헤드(4a)는, 전자계의 변화를 검지해서 제어부(2)에 자기 신호를 출력한다. 자기 헤드(4a)는, 예를 들면, 카드 처리 장치(1) 내에 삽입된 자기 카드(300)의 자기 스트라이프로부터 자기 정보와, 무선 단말(40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전파로부터 자기 정보를, 자기 신호로서 판독한다.
카드 삽입 검지 센서(5)는, 발광 소자(5a)와 수광 소자(5b)로 구성되어 있다. 발광 소자(5a) 및 수광 소자(5b)는, 카드 삽입구(15)와 자기 헤드(4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발광 소자(5a)로부터 발행된 광은, 자기 카드(300)에서 반사되어, 수광 소자(5b)로 되돌아간다. 카드 삽입 검지 센서(5)는, 수광 소자(5b)에서 수광된 광량의 변화에 의거해서, 자기 카드(300)가 발광 소자(5a) 및 수광 소자(5b) 사이를 통과해서, 카드 처리 장치(1) 내에 삽입된 것을 검지하고, 그 검지한 신호를 제어부(2)에 송신한다. 또, 카드 삽입 검지 센서(5)는, 스위치로 구성되어도 된다.
카드 위치 검출 센서(6)는, 광센서 발광 소자(6a)와 수광 소자(6b)로 구성되어 있다. 광센서 발광 소자(6a)와 수광 소자(6b)는, ATM(100)에 탑재된 상태의 카드 처리 장치(1) 중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발광 소자(6a)로부터 발행된 광은, 자기 카드(300)의 선단측에서 반사되어, 수광 소자(6b)로 되돌아간다. 카드 위치 검출 센서(6)는, 수광 소자(6b)에서 수광된 광량의 변화에 의거해서, 카드 처리 장치(1) 내에 삽입된 자기 카드(300)의 위치를 검지한다. 호스트 인터페이스(7)는, ATM(100)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1-2) 자기 카드 삽입 시의 동작
도 4는, 자기 카드의 자기 스트라이프 트랙 1부터 트랙 3까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자기 카드(300)에는, 3종류의 트랙이 있다. 각각의 트랙은, 트랙 1(301)과, 트랙 2(302)와, 트랙 3(303)으로 정의되어 있다. 각각의 트랙 1∼3(301∼303)에는, 서로 다른 자기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이들 트랙 1∼3(301∼303)은, 자기 헤드(4a)에 접촉한 상태로 이동함에 의해서 자기 헤드(4a)로부터 3종류의 서로 다른 자기 신호가 출력되고, 그들 3종류의 서로 다른 자기 신호가 자기 판독 회로(4c)를 거쳐, 제어부(2)에 입력된다.
도 5는, 자기 헤드로부터 출력되는 자기 스트라이프 트랙 1∼3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자기 스트라이프의 기록 밀도는, 예를 들면, 국제규격 ISO7811 등에서 규정되어 있고, 자기 헤드(4a)로부터 출력되는 자기 파형의 1비트의 시간 간격은, 자기 카드(300)의 이동 속도에 따라서 변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 스트라이프 트랙 1(301)과, 자기 스트라이프 트랙 3(303)은, 자기 신호의 주기가 상호 대략 일치한다. 한편, 자기 스트라이프 트랙 1, 3(301, 303)과, 자기 스트라이프 트랙 2(302)는, 자기 신호의 주기가 일치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카드 처리 장치(1)의 제어부(2) 내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으로 되돌아간다. 카드 처리 장치(1) 내에 삽입된 자기 카드(200)에 자기 정보가 기입되어 있을 경우, 자기 카드(300)의 자기 스트라이프의 부위가 자기 헤드(4a)에 도달하면, 자기 헤드(4a)는, 자기 스트라이프에 기입된 자기 정보를 자기 신호로서 자기 판독 회로(4c)에 출력한다. 자기 판독 회로(4c)는, 트랙 1(301)과, 트랙 2(302)와, 트랙 3(303)으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자기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2)에 송신한다.
제어부(2)는, 각 트랙 1∼3(301∼303)으로부터 수신한 자기 신호가, 자기 카드(300), 노이즈 또는 무선 단말(400)의 자기 신호의 주기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2)는, 자기 카드(300)의 자기 주기라고 판정했을 경우, 자기 카드(300)에 기입된 자기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자기 판독 처리를 실행하고, 자기 카드(300)에 기입된 자기 정보를 자기 신호로서 출력한다. 제어부(2)는, 출력된 자기 신호를, 호스트 인터페이스(7)를 통해서, 상위 장치(ATM(100))에 자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처리를 실행한다.
도 6은, 자기 카드 삽입 시의 자기 판독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차트이다.
자기 카드(300)의 자기 스트라이프 선단 부근에는, 트랙 1∼3(301∼303)마다 서로 다른 타이밍으로, 프리앰블부로 불리는 일정 간격의 자기 정보가 기입되어 있다. 카드 삽입구(15)에 삽입된 자기 카드(300)가 자기 헤드(4a)를 통과했을 때에, 트랙 1∼3(301∼303)마다 서로 다른 자기 신호가 자기 헤드(4a)로부터 출력된다.
여기에서, 이용자(200)는, 자기 카드(300)를 카드 삽입구(15)에 손으로 밀어넣으면서 삽입하는 경우가 있다. 그때, 삽입된 자기 카드(300)의 속도는, 서서히 빨라지고, 자기 헤드(4a)로부터 출력되는 자기 신호도, 서서히 간격이 짧아진다. 즉, 자기 헤드(4a)로부터 출력되는 자기 신호는, 시간축 방향으로 서서히 조밀해져 있다.
자기 카드(300) 중, 자기 스트라이프의 선단부로부터 프리앰블부가 기입되어 있는 일정 부위까지가, 자기 헤드(4a)를 통과하면, 계속해서, 자기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자기 데이터부가 자기 헤드(4a)를 통과한다. 이것에 의해, 각각의 트랙 1∼3(301∼303)마다 서로 다른 자기 정보가 자기 헤드(4a)로부터 자기 신호로서 출력된다.
또한, 제어부(2)는, 자기 카드(300)가 카드 처리 장치(1) 내에 삽입되어 있을 경우, 자기 카드(300)의 자기 신호를 처리하고 있는 동안, 무선 단말(400)의 자기 신호에 대한 처리를 정지한다. 그와 동시에, 제어부(2)는, 그 취지의 음성 안내를 스피커(14)로부터 출력시킴과 함께, 램프(13)를 점등 또는 점멸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2)는, 무선 단말(400)의 무선 신호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한다. 이때, 스피커(14)와 램프(13)는, 무선 단말(400)의 자기 정보에 대한 처리를 정지하는 취지를 통지하는 통지부로서 기능한다. 또, ATM(100)이 정보의 입출력을 행하는 터치패널을 구비할 경우, 제어부(2)는, 터치패널에도, 자기 카드(300)의 자기 신호를 처리하고 있는 동안, 무선 단말(400)의 자기 신호에 대한 처리를 정지하는 취지를 통지해도 된다.
(1-3) 자기 카드 삽입 및 무선 전파에 의한 자기 정보 수신 시의 동작
도 1로 되돌아간다. 이용자(200)가, 당해 이용자(200)가 소유하는 무선 단말(400)을 조작해서, 무선 전파에 의해서 자기 정보를 송신할 경우, 카드 처리 장치(1)의 전면 가까이에 배치되는 자기 헤드(4a)는, 무선 단말(400)과의 거리가 가까워, 무선 전파에 의한 자기 정보를 용이하게 자기 신호로서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자기 헤드(4a)는, 예를 들면, 무선 LAN 등의 외래 노이즈도 용이하게 수신한다.
다음으로, 카드 삽입 시와 무선 단말 조작 시의 자기 정보의 판독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카드 처리 장치에 의한 자기 판독부의 동작의 플로차트이다.
제어부(2)는, 카드 삽입구(15)에 자기 카드(300)가 삽입되면, 카드 삽입 검지 센서(5)에 의해서 자기 카드(300)가 삽입된 것을 검출한다(S701 : YES, 도 6 참조). 그 후, 자기 카드(300)의 자기 스트라이프의 부위가, 자기 헤드(4a)의 위치에 도달하면, 자기 판독 회로(4c)의 트랙 1 회로와, 트랙 2 회로와, 트랙 3 회로는, 각각의 트랙 1∼3(301∼303)마다 서로 다른 프리앰블부와 자기 데이터부를 자기 신호로서 출력한다. 제어부(2)는, 출력된 프리앰블부의 패턴이, 소정의 패턴을 포함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702).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는, 프리앰블부의 패턴이, 일정 주기의 패턴을 포함하고 있는지의 여부와, 트랙 1(301)과, 트랙 3(303)의 자기 신호의 주기가, 상호 대략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702의 판정 결과가 참일 경우(S702 : YES), 제어부(2)는, 자기 데이터부를 판독하기 위한 자기 판독 처리를 실행한다(S703). 그 후, 제어부(2)는, 자기 데이터부를 자기 신호로서 출력하고, 호스트 인터페이스(7)를 통해서, ATM(100)에 자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처리를 실행한다. 또, S702의 판정 결과가 거짓일 경우(S702 : NO), 제어부(2)는, 판정한 자기 신호를 파기하고, 판정을 다시 한다.
한편, 이용자(200)가, 카드 삽입 검지 센서(5)가 자기 카드(300)의 삽입을 검지하지 않고(S701 : NO), 이용자(200)의 무선 단말(400)을 사용해서, 무선 전파에 의한 자기 정보를 송신할 경우, 자기 헤드(4a)는, 무선 단말(40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전파를 수신한다. 그 후, 자기 판독 회로(4c)는, 수신한 무선 전파로부터 얻어진 자기 신호를 제어부(2)에 출력한다. 자기 판독 회로(4c)의 트랙 1 회로와, 트랙 2 회로와, 트랙 3 회로는, 자기 카드(300)와는 달리, 동일한 자기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부정기적으로 발생하는 외래 노이즈와는 달리, 자기 헤드(4a)가 일정 주기의 프리앰블부를 출력하기 때문에, 제어부(2)는, 출력된 프리앰블부의 패턴이, 소정의 패턴을 포함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704).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는, 프리앰블부의 패턴이, 일정 주기의 패턴을 포함하고 있는지의 여부와, 자기 판독 회로(4c)의 트랙 1 회로와, 트랙 2 회로와, 트랙 3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자기 신호의 주기가, 상호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2)는, S704의 판정 결과가 참일 경우(S704 : YES), 즉 수신한 자기 신호가 노이즈가 아니라, 무선 단말(400)의 자기 신호로서 판정했을 경우, 자기 데이터부를 판독하기 위한 자기 판독 처리를 실행한다(S705). 제어부(2)는, 판독한 자기 정보를 자기 신호로서 출력하고, 호스트 인터페이스(7)를 통해서, ATM(100)에 자기 데이터부를 자기 신호로서 송신하기 위한 통신 처리를 실행한다. 또, S702의 판정 결과가 거짓일 경우(S704 : NO), 제어부(2)는, 판정한 자기 신호를 파기하고, S701로 되돌아간다.
도 8은, 무선 전파에 포함되는 자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의 자기 판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차트이다.
무선 단말(40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전파에 포함되는 자기 신호의 프리앰블부는, 결정된 일정한 주기이고, 서서히 주기가 빨라지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제어부(2)는, 자기 판독 회로(4c)로부터 출력되는 자기 신호의 프리앰블부의 주기가 소정의 주기일 경우, 그 자기 신호가, 무선 LAN 등에 의한 외래 노이즈가 아니라, 무선 단말(400)로부터 송신된 무선 전파에 의한 자기 신호라고 판별한다. 그 후, 제어부(2)는, 자기 판독 회로(4c)로부터 출력된 자기 신호를 판독하고, 판독한 자기 신호를, 호스트 인터페이스(7)를 통해서 ATM(100)에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카드 처리 장치(1)는, 카드 삽입구(15)와, 카드 삽입 검지 센서(5)와, 자기 헤드(4a)와, 제어부(2)를 구비한다. 카드 삽입구(15)는, 자기 카드(300)가 삽입된다. 카드 삽입 검지 센서(5)는, 카드 삽입구(15)에 삽입된 자기 카드(300)를 검지한다. 자기 헤드(4a)는, 카드 삽입구(15)의 근방에 배치되고, 전자계의 변화를 검지해서 자기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2)는, 카드 삽입 검지 센서(5)가 자기 카드(300)를 검지했을 때에, 자기 헤드(4a)로부터 자기 신호를 수신하고, 카드 삽입 검지 센서(5)가 자기 카드(300)를 검지하지 않을 때에, 자기 헤드(4a)로부터 자기 신호를 수신하고, 그들 자기 신호가, 소정의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는 취득하고,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파기한다. 이것에 의해, 카드 처리 장치(1)는, 자기 카드(300)에 기록된 자기 정보와, 무선 단말(40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전파에 포함되는 자기 정보의 양쪽의 자기 정보를 도입해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처리 장치(1)는, 무선 전파에 포함되는 자기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전용의 센서나 장치를 새롭게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무선 전파에 의한 자기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단말(400)로부터 무선 전파에 의해서 자기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예를 들면, 이용자(200)가 조작 버튼을 누를 필요가 없어, 이용자(200)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는, 외래의 노이즈를 포함하는 자기 신호를 자기 헤드(4a)로부터 수신하고, 당해 자기 신호가 소정의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는 취득하고,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파기한다. 이것에 의해, 카드 처리 장치(1)는, 카드 삽입 검지 센서(5)의 기능을 무효로 하지 않고, 무선 단말(40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전파에 포함되는 자기 정보를 판독할 때에도, 무선 LAN 등의 외래의 노이즈가 발생할 때마다, 카드 처리 장치(1)가 오동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는, 수신한 자기 신호가 소정 주기인 경우는 취득하므로, 신호를 용이하며 또한 고정밀도로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파에 의한 자기 정보를 수신할 경우, 트랙 1 회로와, 트랙 2 회로와, 트랙 3 회로는, 동일한 자기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 때문에, 제어부(2)는, 3개의 트랙 데이터를 비교하여, 각 트랙 1∼3(301∼303)의 자기 패턴(데이터)이 상호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호 일치한 경우는 소득한다. 이것에 의해, 자기 데이터를 판독하는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는, 자기 카드(300)에 기록된 자기 신호를 처리하고 있는 동안, 무선 단말(400)로부터의 자기 신호에 대한 처리를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2)가 자기 카드(300)에 기록된 자기 신호를 처리하고 있는 동안, 무선 단말(400)이나 외래의 노이즈를 수신했다고 해도, 무선 단말(400)로부터의 자기 정보와, 자기 카드(300)에 기록된 자기 정보의 혼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4) 및 램프(13)는, 제어부(2)가 자기 카드(300)를 검지해서 자기 신호를 처리하고 있는 동안, 무선 단말(400)로부터의 자기 신호의 처리를 정지하는 취지를 통지한다. 이것에 의해, 자기 카드(300)에 기록된 자기 신호의 처리 중에, 이용자(200)가 무선 단말(400)로부터 자기 신호를 송신하려고 하는 오조작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2)
(2-1) 카드 처리 장치의 구성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처리 장치(1)의 구성에 있어서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개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는 서로 다른 IC 카드 통신부(8) 및 카드 로크부(9)에 관련된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드 처리 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카드 처리 장치(1)는, IC 카드 통신부(8)와, 카드 로크부(9)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도 10은, 카드 처리 장치의 개략 구조도이다.
IC 카드 통신부(8)는, IC 접점 유닛(8a)과, IC 카드에 대해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회로(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다. IC 카드 통신부(8)는, IC 접점 유닛(8a)이 IC 카드에 접촉됨에 의해서, IC 카드와 통신한다. 구체적으로는, IC 카드 통신부(8)는, 카드 삽입구(15)에 삽입된 IC 카드의 IC 칩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들이고, 당해 정보를 제어부(2)에 제공한다.
카드 로크부(9)는, 카드 로크 레버(9a)와, 솔레노이드(9b)와,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카드 로크 레버(9a)는, IC 카드 통신부(8a)에 의한 IC 카드와의 통신 중에 당해 IC 카드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솔레노이드(9b)는, 카드 로크 레버(9a)를 자기 카드(300)의 반송면에 출몰시킨다. 또, 제어부(2), 기록부(3), 자기 판독부(4), 카드 삽입 검지 센서(5), 카드 위치 센서(6), 호스트 인터페이스(7), IC 카드 통신부(8), 램프(13), 스피커(14)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1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무선 전파에 포함되는 자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의 자기 판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차트이다.
(2-2) 자기 카드 삽입 시의 자기 정보의 판독 시의 동작
자기 카드(300)의 삽입 시의 동작은(S701∼S703),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2-3) 무선 전파에 의한 자기 정보 판독 시의 동작
무선 단말(40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전파에 포함되는 자기 정보의 판독 시의 동작에 대하여,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개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는 서로 다른 카드 로크부(9)에 관련된 동작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무선 단말(400)로부터의 무선 전파에 포함되는 자기 정보 판독 시의 동작은, 이용자(200)의 무선 단말(400)을 사용한 무선 전파에 의한 자기 정보의 송신부터, 무선 단말(400)의 자기 신호로서의 판정까지는(S701, S704),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그 때문에, 이 무선 단말(400)의 자기 신호로서 판정할 때까지의 동작의 설명은 생략한다.
수신한 신호가 무선 단말(400)의 자기 신호로서 판정된 후(S704 : YES), 제어부(2)는, 솔레노이드(9b)를 제어하여, 카드 로크 레버(9a)를 카드 반송면으로 이동시켜서 자기 카드(300)를 로크한다(S1201). 이것에 의해, 카드 처리 장치(1) 내에 삽입되었지만 카드 처리 장치(1)로부터 발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다른 자기 카드(300)를 카드 처리 장치(1) 내에 새롭게 삽입할 수 없도록 함에 의해서, 오동작을 방지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2)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무선 전파에 의해서 송신되는 자기 정보를 자기 데이터로서 판독하기 위한 자기 판독 처리를 실행하고(S705), 그 후, 카드 로크 레버(9a)를 원래 위치로 이동시켜서 자기 카드(300)의 로크를 해제한다(S1202).
도 12는, 무선 단말(40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전파에 포함되는 자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차트이다.
제어부(2)는, 무선 단말(400)로부터 송신된 무선 전파에 포함되는 자기 신호라고 판별한 시점에, 카드 로크 제어를 행하여, 카드 로크 레버(9a)를 내려서 자기 카드(300)의 삽입을 방지한다. 그와 동시에, 제어부(2)는, 자기 판독 회로(4c)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자기 정보로서 판독하고, 판독한 자기 정보를, 호스트 인터페이스(7)를 통해서 ATM(100)에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카드 삽입구(15)에 삽입된 자기 카드(300)를 유지하는 카드 로크부(9)를 추가로 구비하고, 제어부(2)는, 제어부(2)가 상기 무선 단말의 자기 신호를 처리하고 있는 동안, 상기 카드 로크부(9)에 대해서 카드 삽입구(15)에의 자기 카드(300)의 삽입을 규제시킨다. 이것에 의해, 무선 단말(40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전파에 포함되는 자기 정보를 수신할 때에, 자기 카드(300)에 기록된 자기 정보와, 무선 단말(40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전파에 포함되는 자기 정보를 별개로 도입해서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 따른 카드 처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자기 카드(300)의 삽입 시의 자기 판독부(4)의 동작의 설명에서는, 제어부(2)는, 자기 카드(300)의 자기 신호를 처리하고 있는 동안, 무선 단말(400)의 자기 신호에 대한 처리를 정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시예 3에 따른 카드 처리 장치의 제어부(2)는, 무선 단말(400)의 자기 신호를 처리하고 있는 동안, 자기 카드(300)의 자기 신호에 대한 처리를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무선 단말(400)의 자기 정보를 판독하고 있는 동안에, 이용자(200)가 자기 카드(300)를 삽입했다고 해도, 무선 단말(400)의 자기 정보와, 자기 카드(300)의 자기 정보의 혼재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스피커(14) 및 램프(13)는, 제어부(2)가 무선 단말(400)의 자기 신호를 처리하고 있는 동안, 자기 카드(300)의 자기 신호에 대한 처리를 정지하는 취지를 통지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무선 단말(400)의 자기 신호의 처리 중에, 이용자(200)는, 제어부(2)가 처리 중임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 자기 카드(300)를 빼내거나, 카드 처리 장치(1) 내에 자기 카드(300)를 삽입하려고 하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무선 단말(400)의 자기 신호의 처리 중에, 그 무선 단말(400)이 자기 헤드(4a)로부터 멀어져, 자기 신호가 도중부터 수신할 수 없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ATM(100)이 정보의 입출력을 행하는 터치패널을 구비할 경우, 제어부(2)는, 터치패널에도, 무선 단말(400)의 자기 신호를 처리 중에는, 무선 단말(400)의 무선 신호에 대한 처리를 정지하는 취지를 통지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카드 처리 장치(1)를 ATM(100) 등의 자동 거래기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보의 입출력을 행하는 입출력부(터치패널)와, 자기 카드(300)에 기록된 자기 정보를 판독해서 처리하는 카드 처리부(카드 리더)와, 영수증에 정보를 기록해서 처리하는 영수증 처리부와, 현금(지폐와 동전을 포함한다)의 입출력을 행하는 현금 처리부와, 전체를 통괄 제어함과 함께, 데이터베이스와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자동 거래기를 구성할 경우, 카드 처리부에, 카드 처리 장치(1)의 구성 요소를 탑재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상세히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느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예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어느 실시예의 구성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에 대하여, 다른 구성의 추가·삭제·치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각 구성, 기능 등은, 그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예를 들면, 집적 회로로 설계하는 등에 의해서 하드웨어로 실현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각 구성, 기능 등은, 프로세서가 각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해석하고, 실행함에 의해서 소프트웨어로 실현해도 된다. 각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테이블, 파일 등의 정보는, 메모리, 하드디스크, 및 SSD(Solid State Drive) 등의 기록 장치, 또는, IC 카드, SD카드, 및 DVD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1 : 카드 처리 장치 2 : 제어부
4a : 자기 헤드 5 : 카드 삽입 검지 센서
9 : 카드 로크부 13 : 램프
14 : 스피커 100 : ATM
300 : 자기 카드 400 : 무선 단말

Claims (9)

  1. 자기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와,
    상기 카드 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자기 카드를 검지하는 카드 삽입 검지 센서와,
    상기 카드 삽입구의 근방에 배치되고, 전자계의 변화를 검지해서 자기 신호를 출력하는 자기 헤드와,
    상기 카드 삽입 검지 센서가 상기 자기 카드를 검지했을 때에, 상기 자기 헤드로부터 상기 자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카드 삽입 검지 센서가 상기 자기 카드를 검지하지 않을 때에는, 무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전파를 수신한 상기 자기 헤드로부터 상기 자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자기 신호가 소정의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는 취득하고,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파기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카드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자기 신호가 소정 주기인 경우는 취득하는,
    카드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 카드를 검지하지 않고 수신한 상기 자기 신호의 복수 트랙의 상기 패턴이 상호 일치한 경우는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 카드의 상기 자기 신호를 처리하고 있는 동안,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자기 신호에 대한 처리를 정지하는,
    카드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 카드를 검지해서 상기 자기 신호를 처리하고 있을 때에, 상기 자기 카드의 상기 자기 신호를 처리하고 있는 취지를 통지하는 통지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카드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자기 신호를 처리하고 있는 동안, 상기 자기 카드의 상기 자기 신호에 대한 처리를 정지하는,
    카드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 카드를 검지하지 않고 상기 자기 신호를 처리하고 있을 때에,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자기 신호를 처리하고 있는 취지를 통지하는 통지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카드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자기 카드를 유지하는 카드 로크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당해 제어부가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자기 신호를 처리하고 있는 동안, 상기 카드 로크부에 대해서 상기 카드 삽입구에의 상기 자기 카드의 삽입을 규제시키는,
    카드 처리 장치.
  9. 자기 카드에 기록된 자기 신호를 판독하는 카드 처리부를 구비한 자동 거래기로서,
    상기 카드 처리부에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드 처리 장치를 탑재하는,
    자동 거래기.
KR1020170163846A 2017-04-07 2017-12-01 카드 처리 장치 및 자동 거래기 KR101985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76463 2017-04-07
JP2017076463A JP2018180754A (ja) 2017-04-07 2017-04-07 カード処理装置および自動取引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900A KR20180113900A (ko) 2018-10-17
KR101985251B1 true KR101985251B1 (ko) 2019-09-03

Family

ID=6371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846A KR101985251B1 (ko) 2017-04-07 2017-12-01 카드 처리 장치 및 자동 거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39345B2 (ko)
JP (1) JP2018180754A (ko)
KR (1) KR1019852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2463B2 (en) * 2011-07-28 2017-10-17 Kenneth L. Miller Combination magnetic stripe and contactless chip card reader
JP2020113357A (ja) * 2019-01-17 2020-07-2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15147977B (zh) * 2021-03-30 2023-12-22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纸币的鉴伪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2046A1 (en) * 2004-07-29 2006-02-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Ltd.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ading system
US20150097029A1 (en) * 2013-10-09 2015-04-09 Castles Technology Co., Ltd. Transactional Device Having Element for Identifying Wireless Sensi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7169A (ja) * 1995-08-31 1997-03-11 Kyocera Corp 焼成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セラミック基板の製造方法
JP2005025327A (ja) * 2003-06-30 2005-01-27 Nippon Conlux Co Ltd 磁気カードリーダ用アダプタ装置
JP4425674B2 (ja) * 2004-03-17 2010-03-0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磁気カード読み取り装置
US7357319B1 (en) * 2005-01-24 2008-04-15 Vivotech, Inc. External adapter for magnetic stripe card reader
US7997476B2 (en) * 2005-09-15 2011-08-16 Capital One Financial Corporation Wireless devices for storing a financial account card and methods for storing card data in a wireless device
WO2008054037A1 (en) * 2006-11-03 2008-05-08 Yeong-Ae Kim A system of management, information providing and information acquisition for vending machine based upon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method of management, information providing and information acquisition for vending machine using the system
US8333323B2 (en) * 2010-06-21 2012-12-18 Hand Held Products, Inc. Mobile device using short cycle power source
CN103692766B (zh) * 2012-09-27 2016-03-09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印刷系统、印刷装置以及印刷方法
JP6008109B2 (ja) * 2012-10-01 2016-10-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装置
US8814046B1 (en) 2013-03-14 2014-08-26 Looppay Inc System and method for a baseband nearfield magnetic stripe data transmitter
US9846985B2 (en) * 2013-06-25 2017-12-19 Epic Tech, Llc Multi-reel nudge skill-based redemption game
US9558493B2 (en) * 2014-11-12 2017-01-31 BenedorTSE LLC Secure authorizations using independent communications and different one-time-use encryption keys for each party to a transaction
US10296767B2 (en) * 2016-11-10 2019-05-21 Tabletop Media Llc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real-time feedback for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2046A1 (en) * 2004-07-29 2006-02-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Ltd.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ading system
US20150097029A1 (en) * 2013-10-09 2015-04-09 Castles Technology Co., Ltd. Transactional Device Having Element for Identifying Wireless Sen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93410A1 (en) 2018-10-11
KR20180113900A (ko) 2018-10-17
US10339345B2 (en) 2019-07-02
JP2018180754A (ja)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251B1 (ko) 카드 처리 장치 및 자동 거래기
US8210438B2 (en) Medium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66171B1 (ko) 카드 복제 방지 장치
US9411988B2 (en) Detection of a transactional device
DE60008042D1 (de) Verfahren, System und Vorrichtung zum Übertragen, Empfangen und Anzeigen von Informationen
US7886976B2 (en) Electromagnetic field induced MSR swipes detection
US202301400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s payment
EP3678137B1 (en) Card reader
AU2013348455B2 (en) Registering of a transponder tag via an alternating electromagnetic field
JPWO2016067732A1 (ja) カード挿入排出口ユニット、カード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101754231B1 (ko)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하는 양방향 통신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7220014A (ja) カード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101527684B1 (ko) Ic카드 리더기 및 그것의 동작 방법
JP6513600B2 (ja) カード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102009700B1 (ko) 카드 처리 장치 및 자동 거래 장치
CN213600102U (zh) 一种磁条卡检测装置
JP6417264B2 (ja) カード挿入排出口ユニット、カード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6498099B2 (ja) 磁気情報処理装置及び磁気情報処理方法
JP6843818B2 (ja) カードリーダシステム及び処理方法
KR101655704B1 (ko) 매체 인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금융기기
US9978223B2 (en) Financi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financial device
US20230376937A1 (en) Electronic payment terminal and method for detecting a corresponding payment mode
GB2398911A (en) Card reader
KR101510541B1 (ko) 매체 감지 장치 및 매체 감지 방법
KR20210081490A (ko) 안티 스키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