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232B1 - 족장 구조물용 하역 장치 - Google Patents

족장 구조물용 하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232B1
KR101985232B1 KR1020170107555A KR20170107555A KR101985232B1 KR 101985232 B1 KR101985232 B1 KR 101985232B1 KR 1020170107555 A KR1020170107555 A KR 1020170107555A KR 20170107555 A KR20170107555 A KR 20170107555A KR 101985232 B1 KR101985232 B1 KR 101985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s
base
supporting
base portion
patriarch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986A (ko
Inventor
양재민
지창열
윤인근
권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7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23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1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4Mobile wall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9/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족장 구조물용 하역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역 장치는 화물창에 설치된 다층 구조를 가지는 족장 구조물용 하역 장치로서, 상기 족장 구조물의 다층 구조 중 어느 한 층에 설치되고, 권상 와이어를 감는 윈치; 상하로 연장되되, 상호 상하로 이격되어 상기 족장 구조물에 결합되는 복수의 레일; 상기 복수의 레일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되, 하역 작업 중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레일 중 하나에 지지되고, 상기 권상 와이어를 부분 지지하여 상기 권상 와이어의 연장 방향을 변경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도르래가 설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복수의 레일 중 어느 하나에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족장 구조물용 하역 장치{Unloading device for scaffold}
본 발명은 족장 구조물용 하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화천연가스 수송선 등에는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화물창이 다수 설치된다. 도 1은 족장 구조물이 설치된 화물창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물창(1)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내벽면 접근을 위해 다층 구조를 가지는 족장 구조물(10)이 화물창(1)안에 설치된다.
화물창(1)건조 완료 후 족장 구조물(10)은 철거되어 외부로 제거되는데 철거 순서는 다음과 같다.
최상층부터 한층씩 순차적으로 철거하여 부품단위로 분해한 후 소위 삼각 윈치라 불리는 하역 장치로 들어서 목표로 하는 층으로 하강시킨다. 작업층의 철거가 끝나면 하역 장치를 아래층 내려서 재 설치하여 하역 작업을 이어간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족장 구조물 상에서 신속하고 효과적인 하역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역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물창에 설치된 다층 구조를 가지는 족장 구조물용 하역 장치로서, 상기 족장 구조물의 다층 구조 중 어느 한 층에 설치되고, 권상 와이어를 감는 윈치; 상하로 연장되되, 상호 상하로 이격되어 상기 족장 구조물에 결합되는 복수의 레일; 상기 복수의 레일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되, 하역 작업 중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레일 중 하나에 지지되고, 상기 권상 와이어를 부분 지지하여 상기 권상 와이어의 연장 방향을 변경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도르래가 설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복수의 레일 중 어느 하나에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족장 구조물용 하역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복수의 레일 중 어느 하나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베이스 부재;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의 상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 2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를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에 대해 지지하는 제 3베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와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와 상기 제 3 베이스 부재는 삼각형 형상의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각 레일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각 레일의 측부에는 상기 족장 구조물과 결합되는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복수의 레일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각 레일의 결합부가 통과하는 슬릿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레일 중 상기 베이스부가 지지되는 해당 레일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받침 부재; 및 상기 받침 부재를 상기 해당 레일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받침 부재에서 상기 족장 구조물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받침 부재를 상기 족장 구조물에 대해 지지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치가 설치된 층에는 상기 윈치에서 연장된 상기 권상 와이어를 부분 지지하여 상기 권상 와이어의 연장 방향을 상기 베이스부 쪽으로 변경시키는 도르래가 지지되는 도르래 지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가 복수의 레일을 경유하여 아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위층에 대한 하역 작업을 수행한 후 아래층에 대한 하역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하역 장치를 위층의 하역 장치를 분리하여 아래층에 재설치 하는 등의 번거로움 없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각 층에 대한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족장 구조물이 설치된 화물창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역 장치의 일부 그리고 족장 구조물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역 장치의 다른 일부 그리고 족장 구조물의 다른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장 구조물용 하역 장치의 베이스부가 하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장 구조물용 하역 장치의 베이스가 회전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지지부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역 장치의 일부 그리고 족장 구조물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역 장치의 다른 일부 그리고 족장 구조물의 다른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역 장치(100)는 윈치(110), 복수의 레일(130a, 130b,…), 베이스부(150), 지지부(170)를 포함하고, 다층 구조를 가지는 족장 구조물(10)에 사용된다.
참고로, 족장 구조물(10)은 화물창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내벽면 접근을 위해 화물창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역 장치(100)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족장 구조물(10)의 각 층(11a, 11b,…)에 놓인 중량물(ex. 화물창 벽면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각 층(11a, 11b,…)에 발생된 중량물, 또는 족장 구조물(10)의 각 층(11a, 11b,…)을 철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중량물)을 순차적으로 하역할 때 사용된다. 다층 구조의 각 층(11a, 11b,…)은 컬럼(13a, 13b,…)으로 지지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윈치(110)는 족장 구조물(10)의 다층 구조 중 어느 한 층에 설치된다. 예컨대, 윈치(110)는 베이스 층(12)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 층(12)은 통상적으로 화물창의 측벽에 형성된 출입구(미도시)와 연결된다. 예컨대, 베이스 층(12)은 화물창의 바닥에서 두 번째 위치하는 층일 수 있다.
윈치(110)는 권상 와이어(113)를 감는다.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 층(12)에는 도르래 지지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도르래 지지부(120)는 베이스 층(12)과 그 위층 사이에 개재되는 베이스 컬럼(14)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도르래 지지부(120)는 윈치(110)에서 연장된 권상 와이어(113)를 부분 지지하여 권상 와이어(113)의 연장 방향을 베이스부(150)쪽으로 변경시키는 도르래(121)를 지지한다.
레일(130a, 130b,…)은 상하로 연장된다.
레일(130a, 130b,…)은 복수로 제공되고, 복수의 레일(130a, 130b,…)은 상호 상하로 이격되어 족장 구조물(1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레일(130a, 130b,…)은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레일(130a, 130b,…)은 족장 구조물(10)의 층별로 배치될 수 있다. 레일(130a, 130b,…)은 족장 구조물(10)의 각 층(11a, 11b,…)을 지지하는 컬럼(13a, 13b,…)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4 및 도 5에서 레일(130a)에 결합된 베이스부(150)는 도 2에서보다 족장 구조물(10)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 있다.
도 2,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레일(130a)의 측부에는 족장 구조물(10)과 결합되는 결합부(13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부(131)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레일(130a)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31)의 끝단부(131a)에는 족장 구조물(10)의 일부(ex. 컬럼(13a))를 감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결합부(131)의 끝단부(131a)가 컬럼(13a)의 일부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끝단부(131a)의 개방된 입구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개폐 부재(132)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개폐 부재(132)의 일단은 상기 끝단부(131a)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개폐 부재(132)의 타단은 핀(133)에 의해 상기 끝단부(131a)의 타측에 고정될 수 있다.
레일(130a)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부(131)는 도 4와 같이 그 끝단부(131a)와 그 끝단부(131a)가 감싸는 컬럼(13a)의 일부를 관통하는 고정핀(134)에 의해 족장 구조물(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핀(134)에 의한 고정 결합 방식은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레일(130a)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부(131)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50)는 복수의 레일(130a, 130b,…)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에 대해 후술한다.
베이스부(150)는 각 레일(130a, 130b,…)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예컨대, 베이스부(150)에는 도 4 및 도 5와 베이스부(150)가 각 레일(130a,…)을 슬라이딩 이동하거나 한 레일(130a,…)에서 다른 레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각 레일(130a,…)의 돌출된 결합부(131)가 통과하는 슬릿(151a)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슬릿(151)의 상단 입구와 하단 입구는 개폐 부재(152a)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개폐 부재(152a)의 일단은 베이스부(15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개폐 부재(152a)의 타단은 핀(152b)에 의해 베이스부(150)의 타측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50)는 각 레일(130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150)는 각 레일(130a,…)을 중심으로 족장 구조물(10)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회전 동작할 수 있다.
베이스부(150)는 하역 작업 중 순차적으로 복수의 레일(130a, 130b,…) 중 하나에 지지된다. 이 경우, 베이스부(150)가 지지되는 레일(130a, 130b,…)에 대응하는 층에서 발생된 중량물(미도시)이 아래로 하역될 수 있다.
베이스부(150)는 권상 와이어(113)를 부분 지지하여 권상 와이어(113)의 연장 방향을 변경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도르래(161, 162)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도르래(161, 162)는 윈치(도 3의 110)로부터 연장된 권상 와이어(113)의 연장 방향을 중량물 측으로 변경시킨다.
베이스부(150)는 제 1 베이스 부재(151)와, 제 2 베이스 부재(153)와, 제 3 베이스 부재(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베이스 부재(151)는 복수의 레일(130a, 130b,…) 중 어느 하나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베이스 부재(151)에는 앞서 설명한 상하 방향의 슬릿(15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베이스 부재(153)는 제 1 베이스 부재(151)에 상단부에서 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2 베이스 부재(153)의 양측 단부에는 앞서 설명한 베이스 도르래(161, 162)가 설치될 수 있다.
제 3 베이스 부재(155)는 제 2 베이스 부재(153)를 제 1 베이스 부재(151)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 3 베이스 부재(155)의 일단은 제 1 베이스 부재(151)의 하단부에 지지되고, 제 3 베이스 부재(155)의 타단부는 제 2 베이스 부재(153)의 끝단부(131a)에 지지될 수 있다.
제 1 베이스 부재(151)와 제 2 베이스 부재(153)와 제 3 베이스 부재(155)는 삼각형 형상의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150)는 하역 과정에서 베이스 도르래(161, 162)를 매개로 권상 와이어(113)를 부분 지지함으로써 권상 와이어(113)에 매달린 중량물을 지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170)는 베이스부(150)를 복수의 레일(130a,…) 중 어느 하나에 지지한다. 이 경우, 베이스부(150)는 지지부(170)를 매개로 레일(130a,…)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170)는 받침 부재(171)와, 고정 부재(173)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 부재(171)는 베이스부(150)가 지지되는 해당 레일(ex. 130a)에 고정되어 베이스부(150)의 저면을 지지한다. 받침 부재(171)는 해당 레일(130a)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받침 부재(171)는 반원 형상의 두 개의 부재가 레일(130a)을 중심으로 마주보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고정 부재(173)는 받침 부재(171)를 해당 레일(130a)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 부재(173)는 도 5와 같이 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173)의 일단부는 받침 부재(171)와 해당 레일(130a)을 관통하여 받침 부재(171)를 레일(130a)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고정 부재(173)의 타단부는 레일(130a)을 감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고정 부재(173)는 소위 피그 테일 핀 형상을 가진다. 이 경우, 고정 부재(173)의 일단부가 쉽게 빠지지 않아 받침 부재(171)를 레일(130a)에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장 구조물용 하역 장치의 베이스부가 하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역 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위층(11a)에서 하역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베이스부(150)는 지지부(170)를 매개로 해당 레일(130a)에 지지된 상태에서 해당 층(11a)에 대한 하역 작업을 수행한다.
이후, 아래층(11b)에서 하역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때, 베이스부(150)는 도 7 내지 도 8의 과정을 거쳐 아래층(11b)으로 이동한다. 이때, 베이스부(150)는 위층(11a)에 배치된 레일(130a)에서 아래층(11b)에 배치된 레일(130b)로 하향 이동할 수 있다.
베이스부(150)가 위층(11a)에서 아래층(11b)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 6과 같이 위층(11a)에서 베이스부(150)를 지지하던 지지부(170)는 임시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장 구조물용 하역 장치의 베이스가 회전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50)는 하역 작업의 대상이 되는 층(ex. 11a)의 내측으로 회전 동작한다. 이때, 해당 층(11a)에서 권상 와이어(113)에 중량물(M)이 연결될 수 있다.
이후, 베이스부(150)는 도 10 내지 도 11과 같은 중량물(M)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해당 층(11a)의 외측으로 회전 동작할 수 있다. 이후, 도시되지 않았으나 윈치(미도시)가 권상 와이어(113)를 풀어 중량물(M)을 베이스 층으로 하역시킨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실시예에 따른 하역 장치(100)는 베이스부(150)가 복수의 레일(130a, 130b,…)을 경유하여 아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위층에 대한 하역 작업을 수행한 후 아래층에 대한 하역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위층의 하역 장치를 분리하여 아래층에 재설치 하는 등의 번거로운 과정을 수행하던 종래 기술과 달리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각 층(11a, 11b,…)에 대한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하역 장치(100)에 의해 각 층(11a, 11b,…)에서 수행되는 하역 작업은, 예컨대 각 층(11a, 11b,…)에서 작업자가 화물창 벽면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중량물, 또는 족장 구조물(10)의 각 층(11a, 11b,…)을 철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중량물을 대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지지부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부(170')는 받침 부재(171)와, 고정 부재(173)와, 연장부(175)를 포함한다. 연장부(175)는 베이스부(150)의 저면을 지지하는 받침 부재(171)에서 족장 구조물(1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연장부(175)는 받침 부재(171)를 족장 구조물(10)에 대해 지지한다. 이 경우, 지지부(170')는 베이스부(150)를 더욱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화물창
10 : 족장 구조물
100 : 하역 장치
110 : 윈치
113 : 권상 와이어
130a, 130b,… : 레일
131 : 결합부
132 : 개폐 부재
133 : 핀
134 : 고정핀
150 : 베이스부
151 : 제 1 베이스 부재
153 : 제 2 베이스 부재
155 : 제 3 베이스 부재
161, 162 : 베이스 도르래
170 : 지지부
171 : 받침 부재
173 : 고정 부재
175 : 연장부

Claims (7)

  1. 화물창에 설치된 다층 구조를 가지는 족장 구조물용 하역 장치로서,
    상기 족장 구조물의 다층 구조 중 어느 한 층에 설치되고, 권상 와이어를 감는 윈치;
    상하로 연장되되, 상호 상하로 이격되어 상기 족장 구조물에 결합되는 복수의 레일;
    상기 복수의 레일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되, 하역 작업 중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레일 중 하나에 지지되고, 상기 권상 와이어를 부분 지지하여 상기 권상 와이어의 연장 방향을 변경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도르래가 설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복수의 레일 중 어느 하나에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레일의 측부에는 상기 족장 구조물과 결합되는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복수의 레일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각 레일의 결합부가 통과하는 슬릿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족장 구조물용 하역 장치.
  2. 화물창에 설치된 다층 구조를 가지는 족장 구조물용 하역 장치로서,
    상기 족장 구조물의 다층 구조 중 어느 한 층에 설치되고, 권상 와이어를 감는 윈치;
    상하로 연장되되, 상호 상하로 이격되어 상기 족장 구조물에 결합되는 복수의 레일;
    상기 복수의 레일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되, 하역 작업 중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레일 중 하나에 지지되고, 상기 권상 와이어를 부분 지지하여 상기 권상 와이어의 연장 방향을 변경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도르래가 설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복수의 레일 중 어느 하나에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레일 중 상기 베이스부가 지지되는 해당 레일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받침 부재;
    상기 받침 부재를 상기 해당 레일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 및
    상기 받침 부재에서 상기 족장 구조물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받침 부재를 상기 족장 구조물에 대해 지지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족장 구조물용 하역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복수의 레일 중 어느 하나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베이스 부재;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의 상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 2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를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에 대해 지지하는 제 3베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이스 부재와 상기 제 2 베이스 부재와 상기 제 3 베이스 부재는 삼각형 형상의 배치 구조를 가지는, 족장 구조물용 하역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각 레일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족장 구조물용 하역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가 설치된 층에는 상기 윈치에서 연장된 상기 권상 와이어를 부분 지지하여 상기 권상 와이어의 연장 방향을 상기 베이스부 쪽으로 변경시키는 도르래가 지지되는 도르래 지지부가 배치되는, 족장 구조물용 하역 장치.
KR1020170107555A 2017-08-24 2017-08-24 족장 구조물용 하역 장치 KR101985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555A KR101985232B1 (ko) 2017-08-24 2017-08-24 족장 구조물용 하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555A KR101985232B1 (ko) 2017-08-24 2017-08-24 족장 구조물용 하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986A KR20190021986A (ko) 2019-03-06
KR101985232B1 true KR101985232B1 (ko) 2019-06-03

Family

ID=65761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555A KR101985232B1 (ko) 2017-08-24 2017-08-24 족장 구조물용 하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2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714A (ko) 2021-10-08 2023-04-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족장 자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83564A (ko) 2021-12-03 2023-06-12 한화오션 주식회사 시스템 발판의 상판 구조물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발판의 상판 구조물 해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4927A (ja) * 2004-08-09 2006-02-16 Kanden Engineering:Kk 鉄塔組立及び解体用簡易吊上げ装置とその装置による吊上げ工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243A (en) * 1975-07-18 1977-02-01 Hiroshi Oota Portable crane detachable to scaffolding for build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4927A (ja) * 2004-08-09 2006-02-16 Kanden Engineering:Kk 鉄塔組立及び解体用簡易吊上げ装置とその装置による吊上げ工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714A (ko) 2021-10-08 2023-04-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족장 자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83564A (ko) 2021-12-03 2023-06-12 한화오션 주식회사 시스템 발판의 상판 구조물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발판의 상판 구조물 해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986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8824B2 (ja) 天井走行車システム及び天井走行車システムの周囲の処理装置の搬出入方法
US10224123B2 (en) Cask transport assembly
JPH02176388A (ja) 組積材料を壁に敷設する自動装置
KR101985232B1 (ko) 족장 구조물용 하역 장치
JPS605757B2 (ja) さく井機,さく井台,またはさく井船上の噴出防止機用格納装置
US8411813B2 (en) Method for carrying out reactor internal
KR101883219B1 (ko) 향상된 제진성능을 가지는 항만 컨테이너 크레인
KR102092727B1 (ko) 족장 해체 보조 장치 및 방법
JP5731311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吊上げ用治具
KR101119747B1 (ko) 건설자재 승강기
JP2014141230A (ja) 索道用機器の昇降搬送装置
EP2586735B1 (en) Ship to shore crane with dual trolleys
JP6118707B2 (ja) 資材運搬用昇降装置
JP6709107B2 (ja) 油圧シリンダのロック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連続アンローダ
JP2009270355A (ja) 盛り替え式資材搬出作業装置および作業台
JP6370900B2 (ja) 水で満たされた容器の基部の損傷を修理するための装置
KR101784856B1 (ko) 선박의 갑판에 장착되는 간이구조물
CN111433424B (zh) 工厂用模块
JP2019182609A (ja) 巻上機を用いた重量物搬送方法
KR20120132943A (ko) 선박의 데크 크레인
JP2009145173A (ja) 放射性物質輸送・貯蔵容器用検査設備
JP2007139264A (ja) ライナ交換装置およびライナ交換方法
JP2021179072A (ja) 立坑用リフト装置
KR100399104B1 (ko) 수직터널용 자재운반장치
JP2020200731A (ja) 荷受ステージおよび揚重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