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225B1 - 더미 스풀 - Google Patents

더미 스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225B1
KR101985225B1 KR1020170049508A KR20170049508A KR101985225B1 KR 101985225 B1 KR101985225 B1 KR 101985225B1 KR 1020170049508 A KR1020170049508 A KR 1020170049508A KR 20170049508 A KR20170049508 A KR 20170049508A KR 101985225 B1 KR101985225 B1 KR 101985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xing
engaging
coupling
engag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6798A (ko
Inventor
권희규
김상명
김한열
남우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9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225B1/ko
Publication of KR20180116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9/00Plugs, sleeves, caps, or like rigid or semi-rigid elements for protecting parts of articles or for bundling articles, e.g. protectors for screw-threads, end caps for tubes or for bundling rod-shap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더미 스풀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미 스풀은, 상호 이웃하는 제1배관 및 제2배관 사이에 개재되는 밸브류를 대체하여 설치되는 더미 스풀(dummy spool)로서, 상기 제1배관에 결합되는 제1배관결합부; 상기 제2배관에 결합되고, 상기 제1배관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배관결합부; 및 상기 제1배관결합부와 상기 제2배관결합부 사이 결합을 고정하는 결합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관결합부와 상기 제2배관결합부는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 사이 배치방향 및 거리에 따라 결합방향 및 결합길이가 조절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더미 스풀{Dummy spool}
본 발명은 더미 스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플랜트 또는 선박과 같은 해양구조물에는 환기, 배수, 연료공급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각종 유체가 이동되는 배관이 다양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호 이웃하는 두 배관 사이에는 두 배관을 통한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밸브류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관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해양구조물에 두 배관이 상호 이웃하도록 배치되고, 배관을 통해 이동하는 유체에 대한 수압테스트와 같은 배관의 안정성을 검사한 후, 두 배관 사이에 밸브류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밸브류가 설치되기 전 두 배관 사이 거리를 유지하거나 배관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두 배관 사이에는 더미 스풀(dummy spool)이 설치될 수 있다.
종래의 더미 스풀은 두 배관 사이 배치방향 및 거리를 측정한 후 제작되어 설치된다. 이 경우, 더미 스풀은 배치방향과 거리가 다른 배관들마다 각각 제작되고, 사용 후 다른 배관에 대해 사용이 불가능하여 폐기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더미 스풀은 제작 및 사용에 소요되는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작 및 사용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더미 스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호 이웃하는 제1배관 및 제2배관 사이에 개재되는 밸브류를 대체하여 설치되는 더미 스풀(dummy spool)로서, 상기 제1배관에 결합되는 제1배관결합부; 상기 제2배관에 결합되고, 상기 제1배관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배관결합부; 및 상기 제1배관결합부와 상기 제2배관결합부 사이 결합을 고정하는 결합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관결합부와 상기 제2배관결합부는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 사이 배치방향 및 거리에 따라 결합방향 및 결합길이가 조절되도록 결합하는, 더미 스풀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배관결합부는, 상기 제1배관과 플랜지결합하는 제1플랜지부재; 및 상기 제1플랜지부재에서 상기 제1배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배관결합부는, 상기 제2배관과 플랜지결합하는 제2플랜지부재; 및 상기 제2플랜지부재에서 상기 제2배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와 포개져 결합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고정부는,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가 포개진 영역을 압착하도록 상호 결합하는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 사이 배치방향에 따라 상호 나란하거나 상호 교차하도록 포개질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에는 가이드부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라 제1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재에는 상기 제2결합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라 제2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슬릿과 상기 제2가이드슬릿은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가 포개질 때 적어도 일부가 포개지고,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는 포개진 상기 제1가이드슬릿과 상기 제2가이드슬릿을 관통하는 가이드부재를 중심으로 결합방향 및 결합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는 볼트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재의 중심부의 주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볼트를 통해 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볼트 중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고정볼트는 상기 제1결합부재의 폭 또는 상기 제2결합부재의 폭에 대응하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패드부재를 더 포함할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에는 각각 눈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배관결합부와 제2배관결합부가 상호 이웃하는 제1배관과 제2배관 사이 배치방향 및 거리에 따라 결합방향 및 결합길이가 조절되도록 결합함으로써, 제1배관과 제2배관 사이 배치방향 및 거리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결합방향 및 결합길이를 조절하여 반복 사용 가능하고, 제작 및 사용에 대한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나아가, 제1배관결합부와 제2배관결합부가 분리 가능함으로써, 해체 및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스풀이 상호 이웃하는 두 배관 사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더미 스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더미 스풀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패드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제1결합부재 및 제2결합부재에 각각 형성되는 눈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스풀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는 도 6의 더미 스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더미 스풀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스풀이 상호 이웃하는 두 배관 사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더미 스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더미 스풀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3에서는 패드부재(도 4의 1500)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스풀(dummy spool) (1000)은 상호 이웃하는 두 배관(10, 20) 사이에 설치된다.
예컨대, 해양구조물(미도시)에는 유체의 이동을 위해 두 배관(10, 20)이 상호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호 이웃하게 배치된 두 배관(10, 20)은 도 1과 같이 각 배관(10, 20)의 길이방향 중심선(C1, C2)이 나란하며 상호 마주 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웃하게 배치된 두 배관(10, 20)은 두 배관(10, 20) 사이에 개재되는 밸브류(미도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웃하게 배치된 두 배관(10, 20)은 밸브류가 설치되기 전까지 그 배치상태가 유지될 필요가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더미 스풀(1000)은 밸브류를 대체하여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스풀(1000)은 제1배관결합부(1100), 제2배관결합부(1200), 결합고정부(130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호 이웃하게 배치되는 두 배관(10, 20) 중 하나를 제1배관(10)이라 하고, 나머지 배관을 제2배관(20)이라 하며, 한 쌍의 배관결합부(1100, 1200) 중 제1배관(10)에 결합되는 배관결합부(1100)를 제1배관결합부(1100)라 하고, 제2배관(20)에 결합되는 배관결합부(1200)를 제2배관결합부(1200)라 한다.
제1배관결합부(1100)는 제1배관(10)에 결합된다. 이 경우, 제1배관(10)에 결합된 제1배관결합부(1100)는 제1배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배관결합부(1100)는 제1플랜지부재(1110) 및 제1결합부재(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랜지부재(1110)는 도 1과 같이 제1배관(10)과 플랜지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배관(10)의 끝단부에는 제1배관플랜지(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플랜지부재(1110)는 제1배관플랜지(11)와 플랜지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플랜지부재(1110)는 제1배관플랜지(1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제1플랜지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양한 형상의 제1배관플랜지에 결합 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결합부재(1130)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제1플랜지부재(1110)에서 제1배관(1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1결합부재(1130)는 제1플랜지부재(1110)의 제1배관(10)을 향한 면의 반대면에서 제1배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결합부재(1130)는 후술하는 제2결합부재(1230)와 포개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1결합부재(1130)는 도 1과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결합부재(1130)는 도 1과 같이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경우, 제1배관(10)과 제2배관(20) 사이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2배관결합부(1200)는 제2배관(20)에 결합된다. 이 경우, 제2배관(20)에 결합된 제2배관결합부(1200)는 제2배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배관결합부(1200)는 제2플랜지부재(1210) 및 제2결합부재(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플랜지부재(1210)는 도 1과 같이 제2배관(20)과 플랜지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2배관(20)의 끝단부에는 제2배관플랜지(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플랜지부재(1210)는 제2배관플랜지(21)와 플랜지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플랜지부재(1210)는 제2배관플랜지(2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제2플랜지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양한 형상의 제2배관플랜지에 결합 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결합부재(1230)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제2플랜지부재(1210)에서 제2배관(2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2결합부재(1230)는 제2플랜지부재(1210)의 제2배관(20)을 향한 면의 반대면에서 제2배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결합부재(1230)는 제1결합부재(1130)와 포개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2결합부재(1230)는 도 1과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2결합부재(1230)는 도 1과 같이 제1결합부재(113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1배관결합부(1100)와 제2배관결합부(12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더미 스풀(1000)은 해체 및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이때, 제1배관결합부(1100)와 제2배관결합부(1200)는 제1배관(10)과 제2배관(20) 사이 배치방향 및 거리에 따라 결합방향 및 결합길이가 조절되도록 결합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더미 스풀(1000)은 결합방향 및 결합길이가 한정되지 않고 조절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더미 스풀(1000)은, 상호 이웃하는 제1배관(10) 및 제2배관(20) 사이 배치방향 및 거리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결합방향 및 결합길이를 조절하여 반복 사용 가능함으로써, 제작 및 사용에 대한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배관결합부(1100)와 제2배관결합부(12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가 포개져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의 포개진 영역은 제1배관(10)과 제2배관(20) 사이 배치방향 및 거리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는 제1배관(10)과 제2배관(20) 사이 배치방향에 따라 상호 나란하거나 상호 교차하도록 포개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의 결합방향은 제1배관(10)과 제2배관(20) 사이 배치방향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결합고정부(1300)는 제1배관결합부(1100)와 제2배관결합부(1200) 사이 결합을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고정부(13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1고정부재(1310) 및 제2고정부재(1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부재(1310) 및 제2고정부재(1330)는 각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고정부재(1310)와 제2고정부재(1330)는 볼트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제1고정부재(1310)와 제2고정부재(1330)는 제1배관결합부(1100)와 제2배관결합부(1200) 사이 결합을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부재(1310)와 제2고정부재(1330)는 그 사이에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의 포개진 영역이 배치되도록 마주보며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부재(1310)와 제2고정부재(1330)는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의 포개진 영역을 압착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제1고정부재(1310)와 제2고정부재(1330)가 볼트결합하는 경우, 제1고정부재(1310)와 제2고정부재(1330)는 복수의 고정볼트(1431, 1432, 1433, 1434)를 통해 볼트결합할 수 있다.
이하, 복수의 고정볼트(1431, 1432, 1433, 1434)를 통한 결합방법을 설명한다.
제1고정부재(1310)와 제2고정부재(1330)가 복수의 고정볼트(1431, 1432, 1433, 1434)를 통해 결합되기 전, 포개진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는 결합방향 및 결합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는 가이드부재(1410)를 통해 결합방향 및 결합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410)는 제1고정부재(1310)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재(1410)는 포개진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를 관통하여 제2고정부재(133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결합부재(1130)에는 제1결합부재(1130)의 연장방향을 따라 제1가이드슬릿(1131)이 형성되고, 제2결합부재(1230)에는 제2결합부재(1230)의 연장방향을 따라 제2가이드슬릿(12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슬릿(1131)과 제2가이드슬릿(1231)은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가 포개질 때 적어도 일부가 포개질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재(1410)는 포개진 제1가이드슬릿(1131)과 제2가이드슬릿(1231)을 관통할 수 있다.
예컨대, 제1가이드슬릿(1131)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1결합부재(1130)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제2가이드슬릿(1231)은 제2결합부재(123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410)는 제1고정부재(1310)의 중심부에서 제2고정부재(1330)를 관통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는 가이드부재(1410)를 중심으로 상호 회전하여 결합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는 가이드부재(1410)를 중심으로 상호 이동하여 결합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는 가이드부재(1410)를 중심으로 제1배관(10) 및 제2배관(20) 사이 배치방향 및 거리에 따라 결합방향 및 결합길이가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볼트(1431, 1432, 1433, 1434)는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의 포개진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제1고정부재(1310)와 제2고정부재(133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고정볼트(1431, 1432, 1433, 1434)는 제1배관(10)과 제2배관(20) 사이 배치방향 및 거리에 따라 조절된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의 결합방향 및 결합길이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고정볼트(1431, 1432, 1433, 1434)는 제1고정부재(1310)의 중심부의 주변에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고정볼트(1431, 1432, 1433, 1434)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4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4개의 고정볼트(1431, 1432, 1433, 1434)는 가이드부재(141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고정볼트(1431, 1432, 1433, 1434)는 제1고정부재(1310)에서 제2고정부재(1330)를 관통하여 너트(미도시)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고정볼트(1431, 1432, 1433, 1434) 중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고정볼트는 제1결합부재(1130)의 폭 또는 제2결합부재(1230)의 폭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위와 같은 고정볼트(1431, 1432, 1433, 1434)는 스터드 볼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볼트(1431, 1432, 1433, 1434)는 도 3과 같이 각 일측이 제1고정부재(1310)에 삽입되고, 각 타측이 제2고정부재(133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외에도, 고정볼트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각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를 관통하는 형태와 같이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2고정부재(1330)에는 가이드부재(1410) 및 복수의 고정볼트(1431, 1432, 1433, 1434)가 각각 관통하는 관통홀(145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고정부재(도 1의 1310)와 제2고정부재(도 1의 1330) 사이에는 도 4와 같은 패드부재(1500)가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는 도 1의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패드부재(15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은 패드부재(1500)는 제1고정부재(1310)와 제2고정부재(1330)가 결합과정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패드부재(1500)는 제1고정부재(도 1의 1310) 및 제1결합부재(도 1의 1130)와 제2결합부재(도 1의 1230)의 포개진 영역 사이 및 제2고정부재(도 1의 1330) 및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의 포개진 영역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패드부재(1500)는 제1고정부재(1310) 또는 제2고정부재(133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패드부재(1500)에는 가이드부재(도 1의 1410) 및 복수의 고정볼트(도 1의 1431, 1432, 1433, 1434)가 각각 관통하는 관통홀(1550)이 형성될 수 있다.
패드부재(1500)는 고무와 같이 제1고정부재(1310)와 제2고정부재(133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스풀(1000)이 상호 이웃하는 제1배관(10)과 제2배관(20) 사이 배치방향 및 거리에 따라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스풀(1000)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배관(10)과 제2배관(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먼저,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은 도 1과 같이 상호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배관(10)의 길이방향 중심선(C1)과 제2배관(20)의 길이방향 중심선(C2)은 일치할 수 있다.
이때,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은 도 1과 같이 같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제1배관과 제2배관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후, 제1배관결합부(1100)와 제2배관결합부(1200)는 제1배관(10)과 제2배관(20) 사이 배치방향에 따라 설치된다.
제1플랜지부재(1110)는 제1배관(10)과 플랜지결합하고, 제2플랜지부재(1210)는 제2배관(20)과 플랜지결합한다.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어 포개질 수 있다. 따라서,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의 결합방향은 제1배관(10)과 제2배관(20) 사이 배치방향에 따라 나란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의 포개진 영역은 제1배관(10)의 끝단부와 제2배관(20)의 끝단부 사이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1배관(10)의 끝단부와 제2배관(20)의 끝단부 사이 거리가 가까운 경우,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의 포개진 영역은 커질 수 있다. 또는, 제1배관(10)의 끝단부와 제2배관(20)의 끝단부 사이 거리가 먼 경우,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의 포개진 영역은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의 결합길이는 제1배관(10)과 제2배관(20) 사이 거리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의 결합길이는 도 5와 같이 제1결합부재(1130)에 형성되는 눈금부(1133) 및 제2결합부재(1230)에 형성되는 눈금부(1233)를 통해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다. 참고로, 도 5는 도 1의 제1결합부재 및 제2결합부재에 각각 형성되는 눈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경우, 제1결합부재(1130)의 눈금부(1133)는 도 5와 같이 제1결합부재(113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결합부재(123)의 눈금부(1233)는 제2결합부재(1230)의 연장방향을 따라 제1결합부재(1130)의 눈금부(1133)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부재(1130)의 눈금부(1133) 또는 제2결합부재(1230)의 눈금부(1233)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표시부(1411)와 정렬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411)는 도 2와 같이 제2고정부재(1330)를 관통하여 연장된 가이드부재(1410)의 끝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1411)는 가이드부재(1410)의 끝단부에서 제1결합부재(1130) 또는 제2결합부재(1230)와 나란하게 돌출될 수 있다. 표시부(1411)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표시부(1411)는 가이드부재(141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의 결합길이는 제1결합부재(1130)의 눈금부(1133) 또는 제2결합부재(1230)의 눈금부(1233)와 표시부(1411)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제2고정부재(1330)는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1결합부재(1130)의 눈금부(1133) 또는 제2결합부재(1230)의 눈금부(1233)를 제2고정부재(1330)를 통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제1고정부재(1310)와 제2고정부재(133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의 포개진 영역을 압착하도록 상호 결합한다.
이때, 복수의 고정볼트(1431, 1432, 1433, 1434) 중 제1결합부재(1130)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고정볼트((1431, 1434), (1432, 1433))는 도 1과 같이 제1결합부재(1130)의 폭에 대응하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결합부재(113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결합부재(1230)의 폭은 제1결합부재(1130)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스풀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더미 스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더미 스풀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스풀(1000)은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제1배관(10')과 제2배관(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먼저,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은 도 6과 같이 상호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배관(10')의 길이방향 중심선(C1')과 제2배관(20')의 길이방향 중심선(C2')은 직교할 수 있다.
이후, 제1배관결합부(1100)와 제2배관결합부(1200)는 제1배관(10')과 제2배관(20') 사이 배치방향에 따라 설치된다.
제1플랜지부재(1110)는 제1배관(10')과 플랜지결합하고, 제2플랜지부재(1210)는 제2배관(20')과 플랜지결합한다.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호 교차하게 배치되어 포개질 수 있다. 따라서,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의 결합방향은 제1배관(10')과 제2배관(20') 사이 배치방향에 따라 교차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는 제1배관(10')과 제2배관(20') 사이 배치방향에 따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결합할 수 있다.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의 포개진 영역은 제1배관(10')의 길이방향 중심선(C1')과 제2배관(20')의 길이방향 중심선(C2')이 교차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고정부재(1310)와 제2고정부재(1330)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제1결합부재(1130)와 제2결합부재(1230)의 포개진 영역을 압착하도록 상호 결합한다.
이때, 복수의 고정볼트(1431, 1432, 1433, 1434) 중 제1결합부재(1130)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고정볼트((1431, 1432), (1433, 1434))는 제1결합부재(1130)의 폭에 대응하도록 이격 배치되고, 제2결합부재(1230)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고정볼트((1431, 1434), (1432, 1433))는 제2결합부재(1230)의 폭에 대응하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10': 제1배관
11: 제1배관플랜지
20, 20': 제2배관
21: 제2배관플랜지
1000: 더미 스풀
1100: 제1배관결합부
1110: 제1플랜지부재
1130: 제1결합부재
1131: 제1가이드슬릿
1133, 1233: 눈금부
1200: 제2배관결합부
1210: 제2플랜지부재
1230: 제2결합부재
1231: 제2가이드슬릿
1300: 결합고정부
1310: 제1고정부재
1330: 제2고정부재
1410: 가이드부재
1411: 표시부
1431, 1432, 1433, 1444: 고정볼트
1500: 패드부재

Claims (8)

  1. 상호 이웃하는 제1배관 및 제2배관 사이에 개재되는 밸브류를 대체하여 설치되는 더미 스풀(dummy spool)로서,
    상기 제1배관과 플랜지결합하는 제1플랜지부재 및 상기 제1플랜지부재에서 상기 제1배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제1배관결합부;
    상기 제2배관과 플랜지결합하는 제2플랜지부재 및 상기 제2플랜지부재에서 상기 제2배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관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배관결합부; 및
    상기 제1배관결합부와 상기 제2배관결합부 사이 결합을 고정하는 결합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관결합부와 상기 제2배관결합부는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 사이 배치방향 및 거리에 따라 결합방향 및 결합길이가 조절되도록 결합하되,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는 포개져 결합하고,
    상기 결합고정부는,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가 포개진 영역을 압착하도록 상호 결합하는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에는 가이드부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라 제1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재에는 상기 제2결합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라 제2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슬릿과 상기 제2가이드슬릿은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가 포개질 때 적어도 일부가 포개지고,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는 포개진 상기 제1가이드슬릿과 상기 제2가이드슬릿을 관통하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중심으로 결합방향 및 결합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에는 각각 눈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를 관통하여 연장된 상기 가이드부재의 끝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 또는 상기 제2결합부재와 나란하게 돌출되어 상기 눈금부와 정렬되는 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눈금부를 식별하도록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더미 스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 사이 배치방향에 따라 상호 나란하거나 상호 교차하도록 포개지는, 더미 스풀.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는 볼트결합하는, 더미 스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재의 중심부의 주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볼트를 통해 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볼트 중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고정볼트는 상기 제1결합부재의 폭 또는 상기 제2결합부재의 폭에 대응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더미 스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패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더미 스풀.
  8. 삭제
KR1020170049508A 2017-04-18 2017-04-18 더미 스풀 KR101985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508A KR101985225B1 (ko) 2017-04-18 2017-04-18 더미 스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508A KR101985225B1 (ko) 2017-04-18 2017-04-18 더미 스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798A KR20180116798A (ko) 2018-10-26
KR101985225B1 true KR101985225B1 (ko) 2019-06-03

Family

ID=64098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508A KR101985225B1 (ko) 2017-04-18 2017-04-18 더미 스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2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5920A (ko) 2022-07-28 2024-02-06 (주)테크니컬코리아 밸브 대체용 더미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3373A (ja) * 1997-09-24 1999-04-06 Sekisui House Ltd 幕板支持金具
KR20110005412U (ko) * 2009-11-25 2011-06-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플랜지 정렬용 마킹 지그
KR101205699B1 (ko) * 2010-08-24 2012-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벨로우즈 대용 지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5920A (ko) 2022-07-28 2024-02-06 (주)테크니컬코리아 밸브 대체용 더미 지그
KR102670510B1 (ko) 2022-07-28 2024-05-29 (주)테크니컬코리아 밸브 대체용 더미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798A (ko) 201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0502149L (sv) Kopplingsanordning för sammankoppling av rörformade segment samt kopplingssystem innefattande kopplingsanordning
US10323779B2 (en) Pipe coupling structure
CA2648689C (en) Security splicing system of aligned pipes, against the expansion and/or contraction thereof
KR101460562B1 (ko) 고강도 중공 콘크리트 말뚝의 연결구조 및 연결시공방법
AU2009241298A1 (en) Pressure differential metering device
KR101985225B1 (ko) 더미 스풀
US20190339105A1 (en) Measurement Ring For Fluid Flow In A Pipeline
US20080315580A1 (en) Coupling with crossable means for couplings to connect endportions of pipes and valves
JP2017538073A (ja) パイプ連結装置
KR101600290B1 (ko) 배관 티
KR20200137094A (ko)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커플링
JP2015132373A (ja) 可撓性管継手およびそれを用いた継手構造
KR101618831B1 (ko)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
KR102300164B1 (ko)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
BR112019014553A2 (pt) Peça de junção com rebordo para limitar propaga-ção de colapso que compreende uma válvula de pressão diferencial para tubo de transporte de fluidos subaquático
KR101410783B1 (ko) 배관피팅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RU170931U1 (ru) Защитная втулка
KR20140003512U (ko) 배관 라인의 면간 거리 연결 더미
RU97797U1 (ru)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опроводов
RU144049U1 (ru)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опроводов и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втулка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RU2407935C1 (ru) Резиновая манжета
KR101971344B1 (ko) 배관 조립 치구
KR101438398B1 (ko) 플랜지형 파이프 연결구조
KR100519107B1 (ko) 상하수관 이음장치
KR101239756B1 (ko) 벤츄리 콘 메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