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502B1 -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502B1
KR101984502B1 KR1020190002050A KR20190002050A KR101984502B1 KR 101984502 B1 KR101984502 B1 KR 101984502B1 KR 1020190002050 A KR1020190002050 A KR 1020190002050A KR 20190002050 A KR20190002050 A KR 20190002050A KR 101984502 B1 KR101984502 B1 KR 101984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owder
guide block
bit
tes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Priority to KR1020190002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01N1/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involving an extracting tool, e.g. core b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4Purifying; Clea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중성화) 깊이를 측정하는데 이용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블럭(30)의 상면에서 가루배출장공(33)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세척장공(34); 세척장공(34)으로 삽입되는 삽입부(70); 삽입부(70)의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71); 삽입부(7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콘크리트 드릴비트(21)를 따라 배출되는 콘크리트 가루(23)를 가루배출장공(33)으로 쓸어내리는 브러시(7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Carbonation Depth Measurement Device for Safety Diagnosis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중성화) 깊이를 측정하는데 이용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드릴비트를 이용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구멍을 단계적으로 천공하면서 콘크리트 가루를 수거하고 시험할 수 있도록 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는 표면으로부터 공기중의 탄산가스를 흡수하여 콘크리트 중의 수산화칼슘이 탄산칼슘으로 변화하면 알칼리성을 잃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탄산화 또는 중성화라 하며, 콘크리트의 탄산화로 인해 철근표면을 감싸고 있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면 철근의 부식이 시작되고 콘크리트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의 탄산화 메커니즘은, 콘크리트로 탄산가스 침투 → 탄산화(중성화) → 철근의 부동태피막 파괴 → 철근 부식 → 철근 부피 팽창 → 콘크리트 균열 순으로 진행되며, 화학식으로는 Ca(OH)2(수산화칼슘) + CO2 = CaCO3(탄산칼슘) + H2O 이다.
탄산화가 진행되기 전 수산화칼슘은 원래 수소이온농도가 pH 12~13 정도의 강알칼리성이나 탄산화 현상으로 탄산칼슘으로 변화된 부분은 pH 8.5~10 정도로 낮아져 중성화 된다.
콘크리트 내부의 pH가 11 이상에서는 산소가 존재해도 녹슬지 않지만 pH가 11보다 낮아지면 철근에 녹이 발생하고 철근이 원래의 체적보다 약 2.5배까지 팽창되면서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 된다.
콘크리트의 탄산화 검사방법으로는, 검사시약인 페놀프탈레인 1%용액이 알칼리성 물질과 만나서 반응하면 붉은색으로 변화하는 점에 착안하여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콘크리트에 분사하여 색상변화의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판단하게 된다.
페놀프탈레인 1%용액을 콘크리트에 분무하였을 때 pH 9 이하에서는 무색, 이보다 높은 pH 값에서는 적색을 나타내므로 매우 간편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이 측정법은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공시체를 코어 형태 또는 가루 형태로 채취해서 검사하거나 콘크리트 구조물에 구멍을 천공해서 현장에서 직접 검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가루를 이용해서 탄산화 시험을 하는 경우에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 천공 부위 아래쪽에서 탄산화 반응지(14)를 한손으로 받치고, 나머지 다른 손으로는 전동해머드릴(13)을 이용해서 콘크리트 구조물(10)에 탄산화 시험구멍(11)을 천공하면, 탄산화 시험구멍(11)으로부터 떨어지는 콘크리트 가루(12)가 탄산화 반응지(14)로 떨어져 모이게 된다.
이때 탄산화 시험구멍(11)을 천공할 때 일정한 깊이씩 단계적으로 천공하면서 천공작업을 중간에 멈추고 탄산화 반응지(14)로 떨어진 콘크리트 가루(12)에 검사시약인 페놀프탈레인 1%용액을 분무해서 벽색유무에 따라 탄산화 진행을 판정하게 된다.
이후 탄산화로 판정되면 버어니어 캘리퍼스와 같이 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공구를 이용해서 탄산화 시험구멍(11)의 천공깊이를 측정하게 된다.
예를 들면, 탄산화 시험구멍(11)의 천공깊이를 5mm씩 4단계에 걸쳐서 천공하면서 탄산화를 검사하는 경우 1단계 5mm, 2단계 10mm, 3단계 15mm, 4단계 20mm로 천공하면서 중간에 천공작업을 멈추고 탄산화 반응지(14)로 떨어진 콘크리트 가루(12)에 검사시약을 분무해서 탄산화를 검사하게 된다.
탄산화 반응지(1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단계가 진행될 때마다 회전시켜서 다른 콘크리트 가루(12)와 섞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전동해머드릴(13)를 이용해서 천공하는 동안은 구멍의 깊이를 정확하게 알 수 없고 작업자의 육안에 의존해서 천공해야 하기 때문에 구멍 깊이가 부정확하게 천공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탄산화 깊이를 측정하기 위해 버어니어 캘리퍼스와 같은 별도의 측정공구를 이용해서 구멍의 깊이를 측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10)이 높은 곳에 위치한 경우 전동해머드릴(13)과 탄산화 반응지(14)를 각각 양손에 잡고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있었다.
종래에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로 만들어진 탄산화 반응지(14)를 손바닥으로 받치거나 손가락으로 잡고서 작업하기 때문에 탄산화 반응지(14)의 처짐이 심하고 콘크리트 가루(12)가 흘러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바람이 부는 경우 콘크리트 가루(12)가 쉽게 유실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78756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686495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56410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탄산화 시험구멍을 천공할 때 미리 지정된 깊이에서 천공을 멈추도록 함으로써 천공작업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콘크리트 가루의 유실을 방지하는 동시에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표면에 밀착되는 평평한 밀착면을 갖고, 콘크리트 드릴비트를 안내하기 위한 비트안내구멍이 복렬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블럭; 비트안내구멍에 각각 대응하면서 서로 다른 천공 깊이를 갖도록 밀착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갖고, 가이드블럭의 정면에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드릴정지면; 콘크리트 드릴비트에 설치되어 드릴정지면에 걸리는 스톱칼라; 비트안내구멍으로부터 가이드블럭의 저면을 향해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고, 콘크리트 가루를 배출하는 가루배출장공; 가이드블럭의 저면에 설치되어 가루배출장공으로부터 배출되는 콘크리트 가루를 안내하고, 하부에 니플을 갖는 시험관; 시험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환형지지턱; 시험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환형지지턱에 지지되고, 콘크리트 가루를 받기 위한 반응지; 니플에 결합되어 콘크리트 가루를 저장하는 시료용기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가이드블럭의 상면에서 가루배출장공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세척장공; 세척장공으로 삽입되는 삽입부; 삽입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 삽입부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콘크리트 드릴비트를 따라 배출되는 콘크리트 가루를 가루배출장공으로 쓸어내리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삭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체의 표면에 밀착되는 평평한 밀착면을 갖고, 콘크리트 드릴비트를 안내하기 위한 비트안내구멍이 복렬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블럭; 비트안내구멍에 각각 대응하면서 서로 다른 천공 깊이를 갖도록 밀착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갖고, 가이드블럭의 정면에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드릴정지면; 콘크리트 드릴비트에 설치되어 드릴정지면에 걸리는 스톱칼라; 비트안내구멍으로부터 가이드블럭의 저면을 향해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고, 콘크리트 가루를 배출하는 가루배출장공; 가이드블럭의 저면에 설치되어 가루배출장공으로부터 배출되는 콘크리트 가루를 안내하고, 하부에 니플을 갖는 시험관; 시험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환형지지턱; 시험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환형지지턱에 지지되고, 콘크리트 가루를 받기 위한 반응지; 니플에 결합되어 콘크리트 가루를 저장하는 시료용기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드릴정지면에 밀착되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 드릴정지면의 상하부 모서리에 걸리도록 스페이서의 후면 상하단에 형성되는 돌출턱; 스페이서를 겹쳐서 조합할 때 돌출턱과 만나고, 스페이서의 정면 상하단에 형성되는 함몰턱; 비트안내구멍과 중심이 일치되고, 스페이서의 일측을 향해 U자 모양으로 개방되는 노치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체의 표면에 밀착되는 평평한 밀착면을 갖고, 콘크리트 드릴비트를 안내하기 위한 비트안내구멍이 복렬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블럭; 비트안내구멍에 각각 대응하면서 서로 다른 천공 깊이를 갖도록 밀착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갖고, 가이드블럭의 정면에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드릴정지면; 콘크리트 드릴비트에 설치되어 드릴정지면에 걸리는 스톱칼라; 비트안내구멍으로부터 가이드블럭의 저면을 향해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고, 콘크리트 가루를 배출하는 가루배출장공; 가이드블럭의 저면에 설치되어 가루배출장공으로부터 배출되는 콘크리트 가루를 안내하고, 하부에 니플을 갖는 시험관; 시험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환형지지턱; 시험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환형지지턱에 지지되고, 콘크리트 가루를 받기 위한 반응지; 니플에 결합되어 콘크리트 가루를 저장하는 시료용기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반응지의 중심에 형성되는 끼움구멍; 끼움구멍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반응지에 형성되는 방사절개선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체의 표면에 밀착되는 평평한 밀착면을 갖고, 콘크리트 드릴비트를 안내하기 위한 비트안내구멍이 복렬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블럭; 비트안내구멍에 각각 대응하면서 서로 다른 천공 깊이를 갖도록 밀착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갖고, 가이드블럭의 정면에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드릴정지면; 콘크리트 드릴비트에 설치되어 드릴정지면에 걸리는 스톱칼라; 비트안내구멍으로부터 가이드블럭의 저면을 향해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고, 콘크리트 가루를 배출하는 가루배출장공; 가이드블럭의 저면에 설치되어 가루배출장공으로부터 배출되는 콘크리트 가루를 안내하고, 하부에 니플을 갖는 시험관; 시험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환형지지턱; 시험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환형지지턱에 지지되고, 콘크리트 가루를 받기 위한 반응지; 니플에 결합되어 콘크리트 가루를 저장하는 시료용기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가이드블럭의 저면에 형성되는 로케이트홀; 로케이트홀에 설치되는 자석; 시험관의 상단 외주면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플랜지; 플랜지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로케이트홀로 삽입되어 자석이 지닌 자력에 의해 흡착되는 철보스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가이드블럭(30)에 형성된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이 계단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천공작업을 순차적으로 정밀하게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과 같이 별도의 깊이 측정공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천공된 깊이를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페이서(80)에 의해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과 스톱칼라(22) 사이의 간격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페이서(80)에 형성된 U자 모양의 노치(85)에 의해 스페이서(80)를 콘크리트 드릴비트(21)의 측방향으로 끼우고 분리할 수 있는 편리함을 갖추고 있다.
가이드블럭(30)의 상하단 모서리에 걸리는 돌출턱(81)(82)이 스페이서(80)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페이서(80)에 형성된 노치(85)의 중심을 비트안내구멍(31)의 중심에 상하방향으로 일치시킬 수 있고, 스페이서(80)가 자중에 의해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페이서(80)와 스페이서(80)를 2개 이상 서로 겹쳐서 조합할 때 스페이서(80)에 형성된 함몰턱(83)(84)과 돌출턱(81)(82)이 만나도록 되어 있으므로, 스페이서(80)가 상하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이드블럭(30)에 형성된 세척장공(34)에 의해 가루배출장공(33)이 상하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수 또는 압축공기에 의해 비트안내구멍(31)과 가루배출장공(33)을 좀 더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콘크리트 구조체(20)의 표면에 천공되는 구멍으로부터 생성된 콘크리트 가루(23)를 비트안내구멍(31)과 가루배출장공(33)을 통해 유도해서 시험관(40)에 설치돈 반응지(50) 위로 모으도록 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 가루(23)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삽입부(70)에 설치된 브러시(72)가 비트안내구멍(31)과 세척장공(34)이 만나는 부위에 위치되어 콘크리트 드릴비트(21)에 형성된 드릴홈(21g)을 따라 이동되는 콘크리트 가루(23)를 털어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양의 콘크리트 가루(23)를 모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시험관(40)을 가이드블럭(30)에 설치할 때 자석(36)에 흡착되는 철보스(44)를 이용해서 설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시험관(40)의 장착과 분리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철보스(44)가 가이드블럭(30)의 저면에 형성된 로케이트홀(35)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시험관(40)의 중심을 가루배출장공(33)의 중심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시험관(40)에 형성된 환형지지턱(42)에 반응지(50)가 걸려서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반응지(50)가 시험관(40) 내부에서 뒤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인출봉(90)을 반응지(50)의 중심으로 찌를 때 반응지(50)가 밑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인출봉(90)을 반응지(50)의 중심에 형성된 끼움구멍(51)으로 삽입할 때 반응지(50)에 형성된 방사절개선(52)이 벌어지면서 인출봉(90)의 삽입을 부드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가이드블럭(30)의 저면에 페이싱부(38)가 형성되어 있고, 시험관(40)의 상단에 환형돌출부(45)가 형성된 경우 시험관(40)의 중심을 가루배출장공(33)의 중심에 보다 더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루배출장공(33)으로부터 시험관(40)으로 떨어지는 콘크리트 가루(23)의 유실이나 시험관(40)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 깊이를 측정하기 위해 전동해머드릴을 이용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구멍을 천공하고 있는 것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블럭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저면도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관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지로 떨어진 콘크리트 가루에 검사시약을 문부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지를 시험관으로부터 인출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출봉을 기울여서 반응지에 모인 콘크리트 가루를 시료용기에 투입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시료용기를 시험관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지의 일예를 보인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지의 다른 예를 보인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체(20)의 표면에 밀착되는 평평한 밀착면(37)을 갖고, 콘크리트 드릴비트(21)를 안내하기 위한 비트안내구멍(31)이 복렬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블럭(30); 비트안내구멍(31)에 각각 대응하면서 서로 다른 천공 깊이를 갖도록 밀착면(37)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갖고, 가이드블럭(30)의 정면에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을 포함한다.
가이드블럭(30)은, 예를 들면 블럭 형태의 금속체를 이용 절삭가공에 의해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을 계단형으로 가공해서 구성할 수 있다.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은, 콘크리트 구조체(20)의 표면에 천공되는 구멍의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순차적으로 5mm 씩 깊어지도록 5mm, 10mm, 15mm, 20mm 깊이로 천공한 후 마지막에는 35mm 깊이로 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체(20)의 표면을 정면으로 해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향할수록 밀착면(37)으로부터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까지의 거리가 첫 번째에서 네 번째 드릴정지면(32a)(32b)(32c)(32d)까지는 5mm씩 작아지도록 형성한 다음 가장 왼쪽에 위치된 마지막 드릴정지면(32e)은 네 번째 드릴정지면(32d)보다 15mm 작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의 계단개수와 계단턱 높이는 하나의 예이며,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의 계단개수와 계단턱의 높이는 임의로 설정해서 가공될 수 있다.
가이드블럭(30)에 형성되는 비트안내구멍(31)의 내경은 모두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드릴비트(21)의 외경보다 약간 큰 크기로 비트안내구멍(31)을 형성해서 콘크리트 드릴비트(21)가 회전할 때 마찰저항이 감소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드릴비트(21)는, 예를 들면 전동해머드릴(25)에 설치된 드릴척(26)에 물려서 천공작업에 이용할 수 있으며, 전동해머드릴(25)은 충전식 유선식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드릴비트(21)에 설치되어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에 걸리는 스톱칼라(22); 비트안내구멍(31)으로부터 가이드블럭(30)의 저면을 향해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고, 콘크리트 가루(23)를 배출하는 가루배출장공(33)을 포함한다.
스톱칼라(22)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콘크리트 드릴비트(21)가 삽입되는 관통구멍(22h)이 형성되며, 스톱칼라(22)의 외주면에서 관통구멍(22h)을 향해 탭구멍(27)이 형성되고, 콘크리트 드릴비트(21)를 압박하기 위한 세트스크류(28)를 탭구멍(27)에 설치해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세트스크류(28)를 돌려서 느슨하게 풀면 스톱칼라(22)를 콘크리트 드릴비트(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고, 세트스크류(28)를 타이트하게 조이면 스톱칼라(22)를 콘크리트 드릴비트(21)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콘크리트 구조체(20)의 표면에 구멍을 천공할 때 스톱칼라(22)가 조립된 콘크리트 드릴비트(21)를 드릴척(26)에 물린 다음 가이드블럭(30)을 콘크리트 구조체(20)의 표면에 밀착시킨 후 가이드블럭(30)에 형성된 비트안내구멍(31)으로 콘크리트 드릴비트(21)를 삽입해서 전동해머드릴(25)에 의해 콘크리트 드릴비트(21)를 회전시키면서 전진시키면 콘크리트 구조체(20)의 표면에 구멍이 천공되는데, 스톱칼라(22)가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에 밀착되는 순간 콘크리트 드릴비트(21)의 전진이 정지되면서 천공 깊이를 정해진 깊이로 일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스톱칼라(22)에 의한 천공 깊이 설정은, 예를 들면 가이드블럭(30)에 형성된 첫 번째 드릴정지면(32a)에 형성된 비트안내구멍(31)에 콘크리트 드릴비트(21)를 삽입해서 콘크리트 드릴비트(21)의 선단을 가이드블럭(30)의 밀착면(37)에 일치시킨 다음 스톱칼라(22)와 첫 번째 드릴정지면(32a)이 이루는 간격을 예컨대 5mm로 설정한 다음 구멍을 천공하면, 스톱칼라(22)가 첫 번째 드릴정지면(32a)에 밀착될 때 천공된 구멍의 깊이가 5mm로 되고, 천공작업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서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 간의 계단턱 높이가 가중되면서 구멍 깊이가 깊어지게 된다.
가루배출장공(33)은, 콘크리트 구조체(20)의 표면에 천공되는 구멍으로부터 콘크리트 드릴비트(21)의 드릴홈(21g)과 비트안내구멍(31)을 따라 밖으로 배출되는 콘크리트 가루(23)를 중간에서 밑으로 떨어뜨려 시험관(40)에 설치되는 반응지(50)에 모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가루배출장공(33)은, 예를 들면 비트안내구멍(31)의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고, 비트안내구멍(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가이드블럭(30)의 저면을 향해 관통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이드블럭(30)의 저면에 설치되어 가루배출장공(33)으로부터 배출되는 콘크리트 가루(23)를 안내하고, 하부에 니플(41)을 갖는 시험관(40); 시험관(4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환형지지턱(42); 시험관(40)의 내부로 삽입되어 환형지지턱(42)에 지지되고, 콘크리트 가루(23)를 받기 위한 반응지(50); 니플(41)에 결합되어 콘크리트 가루(23)를 저장하는 시료용기(60)를 포함한다.
시험관(40)은,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상부에는 원통형으로 된 원통부(46)가 형성되고, 원통부(46)의 하단에는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나팔관(47)이 형성되며, 나팔관(47)의 하단에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니플(41)을 형성할 수 있다.
환형지지턱(42)은 시험관(40)의 내주면에 수평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반응지(50)를 시험관(40)으로 삽입하면, 반응지(50)의 가장자리가 환형지지턱(42)에 걸리면서 수평을 유지하게 되고, 밑으로 떨어지는 콘크리트 가루(23)가 반응지(50)에 모이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관(40)을 가이드블럭(30)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분무기(24)를 이용해서 반응지(50) 위에 모인 콘크리트 가루(23)에 검사시약(29)인 페놀프탈레인 1%용액을 분무하면 탄산화 시험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콘크리트 가루(23)가 붉은색으로 변색되면, 시험관(40)이 설치되었던 가루배출장공(33)에 대응하는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을 통해 천공 깊이를 곧 바로 알 수 있게 된다.
시료용기(60)는, 예를 들면 투명 합성수지를 이용해서 성형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시료용기(60)의 내부를 투시해서 볼 수 있으며, 시료용기(60)의 상단에는 개폐가 가능한 뚜껑(61)을 구비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용기(60)에 콘크리트 가루(23)를 투입한 후 시험관(40)으로부터 시료용기(60)를 분리한 다음 뚜껑(61)을 닫아서 콘크리트 가루(23)가 시료용기(60)로부터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시료용기(60)는 예를 들면 니플(41)의 외주면으로 억지끼움해서 천공작업 도중에 시료용기(60)가 니플(4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니플(41)의 하단부 모서리를 원추형으로 가공해서 니플(41)이 시료용기(60)의 중심으로 진입될 때 원활하게 진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이드블럭(30)의 상면에서 가루배출장공(33)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세척장공(34); 세척장공(34)으로 삽입되는 삽입부(70); 삽입부(70)의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71); 삽입부(7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콘크리트 드릴비트(21)를 따라 배출되는 콘크리트 가루(23)를 가루배출장공(33)으로 쓸어내리는 브러시(72)를 포함한다.
가이드블럭(30)에 형성된 세척장공(34)은, 탄산화 시험을 마친 후 가루배출장공(33)과 비트안내구멍(31)에 잔류하는 콘크리트 가루(23)를 청소할 때 세척수 또는 압축공기를 비트안내구멍(31)으로 공급해서 청소한 후 세척장공(34)을 통해서도 세척수 또는 압축공기를 주입하면 특히 가루배출장공(33)에 잔류하는 콘크리트 가루(23)를 말끔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세척장공(34)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루배출장공(33)과 동일한 폭과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루배출장공(33)과 상하방향으로 일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72)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드릴비트(21)를 이용해서 콘크리트 구조체(20)의 표면에 구멍을 천공할 때 콘크리트 드릴비트(21)의 드릴홈(21g)을 따라 이동하는 콘크리트 가루(23)를 털어서 가루배출장공(33)으로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삽입부(70)는, 예를 들면 세척장공(34)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세척장공(34)의 크기보다 미세하게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해서 삽입부(70)를 세척장공(34)에 억지끼움 함으로써 천공작업 중 브러시(72)가 가이드블럭(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천공작업을 마친 후에는 손잡이(71)를 잡고 상측으로 당기면 삽입부(70)와 브러시(72)가 가이드블럭(30)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72)는, 저면에서 볼 때 콘크리트 드릴비트(21)에 형성된 드릴홈(21g)의 비틀림각도(A1)에 일치하는 경사각도(A2)로 삽입부(70)에 설치해서 삽입부(70)를 세척장공(34)으로 삽입했을 때 콘크리트 드릴비트(21)가 회전되는 도중 매 회전마다 어느 한 위치에서 브러시(72)가 드릴홈(21g)으로 진입되면서 콘크리트 가루(23)를 털어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러시(72)를 경사지게 형성해서 드릴홈(21g)으로 진입하도록 하면, 드릴홈(21g)을 따라 이동하는 콘크리트 가루(23)를 좀 더 효과적으로 털어내서 가루배출장공(33)으로 떨어뜨릴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에 밀착되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80);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의 상하부 모서리에 걸리도록 스페이서(80)의 후면 상하단에 형성되는 돌출턱(81)(82); 스페이서(80)를 겹쳐서 조합할 때 돌출턱(81)(82)과 만나고, 스페이서(80)의 정면 상하단에 형성되는 함몰턱(83)(84); 비트안내구멍(31)과 중심이 일치되고, 스페이서(80)의 일측을 향해 U자 모양으로 개방되는 노치(85)를 포함한다.
스페이서(8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체(20)의 표면에 천공되는 구멍의 깊이를 간편하게 설정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가이드블럭(30)에 형성된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에 스페이서(8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스톱칼라(22)에 설치된 세트스크류(28)를 풀고 스톱칼라(22)를 콘크리트 드릴비트(21)를 따라 움직여서 스페이서(80)에 밀착시키고 풀어져 있던 세트스크류(28)를 타이트하게 조인 다음 스페이서(80)를 분리하면, 스페이서(80)의 두께와 동일한 천공 깊이를 간단히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80)를 분리할 때 스페이서(80)에는 U자 모양으로 개방된 노치(8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드릴비트(21)를 비트안내구멍(31)에서 인출하지 않더라도 스페이서(80)를 콘크리트 드릴비트(21)의 옆으로 인출해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스페이서(8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두께로 된 것을 여러 장 형성하거나 서로 다른 두께로 된 여러 장의 스페이서(80)를 형성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스페이서(80)는 한 장씩 사용하거나 여러 장을 겹쳐서 조합하면,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여러 장을 겹칠 때 스페이서(80)에 형성된 함몰턱(83)(84)에 돌출턱(81)(82)이 결합되기 때문에 겹친 스페이서(80)가 상하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노치(85)의 상하방향 중심을 편리하게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돌출턱(81)(82)과 함몰턱(83)(84)은 서로 평행하게 좌우방향 직선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노치(85)도 돌출턱(81)(82)과 함몰턱(83)(84)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해서 가이드블럭(30)에 형성된 비트안내구멍(31)에 콘크리트 드릴비트(21)를 삽입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드릴비트(21)의 측방향으로 스페이서(80)를 끼우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함몰턱(83)(84)의 함몰깊이는 돌출턱(81)(82)의 돌출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더 길게 형성해야만 겹쳐서 조합하는 스페이서(80)를 서로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반응지(50)의 중심에 형성되는 끼움구멍(51); 끼움구멍(51)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반응지(50)에 형성되는 방사절개선(52)을 포함한다.
도 16은 반응지(50)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를 원판형으로 커팅해서 반응지(50)를 형성할 수 있으며, 반응지(50)의 중앙에 십자모양의 방사절개선(52)을 형성해서 인출봉(90)을 반응지(50)의 중심으로 찌를 때 방사절개선(52)이 벌어지면서 인출봉(90)이 반응지(50)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지(50)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지(50)와 방사절개선(52)은 도 16의 일예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반응지(50)의 중심에 인출봉(90)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의 끼움구멍(51)을 추가로 형성해서 인출봉(90)을 반응지(50)의 중심으로 찌를 때 끼움구멍(51)에 의해 인출봉(90)의 삽입을 좀 더 원활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봉(90)을 반응지(50)의 중심으로 찌른 상태에서 인출봉(90)을 시험관(40) 밖으로 빼내면, 반응지(50)가 인출봉(90)에 딸려 나오게 되고, 인출봉(90)을 시험관(40) 상부에서 기울이면, 반응지(50)도 인출봉(90)과 함께 기울어지면서 반응지(50)에 모인 콘크리트 가루(23)를 시험관(40)을 통해 시료용기(60)로 투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가이드블럭(30)의 저면에 형성되는 로케이트홀(35); 로케이트홀(35)에 설치되는 자석(36); 시험관(40)의 상단 외주면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플랜지(43); 플랜지(43)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로케이트홀(35)로 삽입되어 자석(36)이 지닌 자력에 의해 흡착되는 철보스(44)를 포함한다.
로케이트홀(35)은, 예를 들면 가루배출장공(33) 한 개당 두 개의 로케이트홀(35)을 각각에 대응해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루배출장공(33)의 구멍 간 중심거리가 비좁은 경우 이웃한 플랜지(43) 간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블럭(30)을 저면에서 볼 때 밀착면(37)과 플랜지(43)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로케이트홀(35)을 사선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자석(36)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로케이트홀(35)의 안쪽으로 압입되거나 접착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철보스(44)가 로케이트홀(35)로 삽입될 수 있도록 자석(36)의 높이를 로케이트홀(35)의 구멍깊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한다.
철보스(44)는, 철을 이용해서 원기둥 형태로 형성한 다음 플랜지(43)에 용접될 수 있으며, 로케이트홀(35)에 설치된 자석(36)으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에 이끌려서 흡인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블럭(30)의 저면으로 노출된 가루배출장공(33)의 주변에 일정한 깊이의 페이싱부(38)를 형성하고, 시험관(40)의 상단에는 페이싱부(38)로 끼워지는 일정한 높이의 환형돌출부(45)를 형성해서 시험관(40)을 가이드블럭(30)에 장착할 때 시험관(40)의 중심을 가루배출장공(33)의 중심에 편리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61)이 개방된 시료용기(60)를 시험관(40)에 형성된 니플(41)에 끼운 다음 반응지(50)를 시험관(40)의 상부를 통해 삽입하면 반응지(50)가 시험관(40)에 형성된 환형지지턱(42)에 걸려서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이후 시험관(40)의 플랜지(43)에 설치된 철보스(44)를 가이드블럭(30)의 저면에 형성된 로케이트홀(35)로 삽입하게 되면, 로케이트홀(35)에 설치된 자석(36)의 흡인력에 의해 철보스(44)가 자석(36)에 흡착되고, 시험관(40)은 가이드블럭(30)의 저면에 밀착된다.
이때 시험관(40)의 상단에 형성된 환형돌출부(45)가 가이드블럭(30)의 저면에 형성된 페이싱부(38)로 진입되면서 가루배출장공(33)과 시험관(40)의 중심이 일치된다.
이와 같이 시료용기(60)와 결합되어 있는 시험관(40)을 가이드블럭(30)에 형성된 가루배출장공(33)에 각각 조립한 다음 브러시(72)가 설치된 삽입부(70)를 가이드블럭(30)에 형성된 세척장공(34)으로 삽입하면, 삽입부(70)는 세척장공(34)에 억지끼움 되고, 브러시(72)는 세척장공(34)과 비트안내구멍(31)이 만나는 부위에 위치된다.
이후 가이드블럭(30)에 형성된 밀착면(37)을 콘크리트 구조체(20)의 표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전동해머드릴(25)의 드릴척(26)에 콘크리트 드릴비트(21)를 물리고 콘크리트 드릴비트(21)에 스톱칼라(22)를 조립한 다음 가이드블럭(30)에 형성된 밀착면(37)으로부터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까지의 거리가 가장 긴 첫 번째 드릴정지면(32a)에 형성된 비트안내구멍(31)으로 콘크리트 드릴비트(21)를 삽입한 후 전동해머드릴(25)에 의해 콘크리트 드릴비트(21)를 회전시키면서 전진시키게 되면, 콘크리트 구조체(20)의 표면에 구멍이 천공된다.
이때 콘크리트 드릴비트(21)에 의해 천공되는 구멍에서 생성된 콘크리트 가루(23)가 콘크리트 드릴비트(21)에 형성된 드릴홈(21g)을 따라 이동되면서 비트안내구멍(31)으로 배출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의 콘크리트 가루(23)는 가루배출장공(33)의 자중에 의해 밑으로 떨어지고 나머지는 세척장공(34)에 설치된 브러시(72)에 의해 쓸려서 가루배출장공(33)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가루배출장공(33)으로 떨어진 콘크리트 가루(23)는 시험관(40)에 설치된 반응지(50)로 떨어져 모이게 되며, 콘크리트 드릴비트(21)에 설치된 스톱칼라(22)가 첫 번째 드릴정지면(32a)에 밀착되는 순간 콘크리트 드릴비트(21)의 전진이 멈추게 된다.
이후 전동해머드릴(25)의 구동을 정지시켜 콘크리트 드릴비트(21)의 회전을 멈춘 다음 콘크리트 드릴비트(21)를 비트안내구멍(31)으로부터 인출해서 천공작업을 일시 정지한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관(40)을 가이드블럭(30)으로부터 분리해서 분무기(24)를 이용 검사시약(29)을 반응지(50)에 모인 콘크리트 가루(23)에 분무하면, 콘크리트 가루(23)의 탄산화 유무를 변색을 관찰해서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콘크리트 가루(23)의 색깔이 무색으로 반응하면 탄산화가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해서 탄산화 검사작업을 중단하게 되며, 이와는 다르게 콘크리트 가루(23)가 붉은색으로 변색되면, 탄산화가 어느 정도의 더 깊은 깊이로 진행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앞에서 설명한 천공작업을 낮은 깊이에서 깊은 깊이의 순으로 옮겨가면서 순차적 천공하면서 중간에 천공작업을 멈추고 콘크리트 가루(23)에 검사시약(29)을 분무해서 무색반응을 보이면 이전에 붉게 반응한 콘크리트 가루(23)가 생성된 구멍을 탄산화 깊이로 판정하게 된다.
즉,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블럭(30)에 형성된 밀착면(37)으로부터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까지의 거리가 길수록 콘크리트 구조체(20)의 표면에 천공되는 구멍의 깊이는 짧게 되고, 그 반대로 밀착면(37)으로부터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까지의 거리가 짧을수록 콘크리트 구조체(20)의 표면에 천공되는 구멍의 깊이는 길게 된다.
천공작업은 밀착면(37)으로부터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까지의 길이가 가장 긴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이 형성된 비트안내구멍(31)에서부터 시작해서 밀착면(37)으로부터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까지의 길이가 가장 짧은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이 형성된 비트안내구멍(31)으로 진행하게 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산화 검사를 마친 후 콘크리트 가루(23)를 시료용기(60)에 담기 위해 인출봉(90)을 반응지(50)의 중심에 형성된 끼움구멍(51)에 삽입한 후 인출봉(90)을 시험관(40) 밖으로 빼내면, 반응지(50)가 인출봉(90)을 따라 밖으로 인출되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봉(90)을 기울여서 반응지(50)에 모인 콘크리트 가루(23)를 시험관(40)으로 떨어뜨리면, 콘크리트 가루(23)가 시험관(40)을 통해 시료용기(60)로 떨어지게 된다.
이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용기(60)를 시험관(40)의 니플(41)로부터 분리한 다음 뚜껑(61)을 닫으면, 시료용기(60)이 담긴 콘크리트 가루(23)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20 : 콘크리트 구조체 21 : 콘크리트 드릴비트
21g : 드릴홈 22 : 스톱칼라
22h : 관통구멍 23 : 콘크리트 가루
24 : 분무기 25 : 전동해머드릴
26 : 드릴척 27 : 탭구멍
28 : 세트스크류 29 : 검사시약
30 : 가이드블럭 31 : 비트안내구멍
33 : 가루배출장공 32a,32b,32c,32d,32e : 드릴정지면
34 : 세척장공 35 : 로케이트홀
36 : 자석 37 : 밀착면
38 : 페이싱부 40 : 시험관
41 : 니플 42 : 환형지지턱
43 : 플랜지 44 : 철보스
45 : 환형돌출부 46 : 원통부
47 : 나팔관 50 : 반응지
51 : 끼움구멍 52 : 방사절개선
60 : 시료용기 61 : 뚜껑
70 : 삽입부 71 : 손잡이
72 : 브러시 80 : 스페이서
81,82 : 돌출턱 83,84 : 함몰턱
85 : 노치 90 : 인출봉
A1 : 비틀림각도 A2 : 경사각도

Claims (5)

  1. 삭제
  2. 콘크리트 구조체(20)의 표면에 밀착되는 평평한 밀착면(37)을 갖고, 콘크리트 드릴비트(21)를 안내하기 위한 비트안내구멍(31)이 복렬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블럭(30);
    상기 비트안내구멍(31)에 각각 대응하면서 서로 다른 천공 깊이를 갖도록 상기 밀착면(37)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갖고, 상기 가이드블럭(30)의 정면에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
    상기 콘크리트 드릴비트(21)에 설치되어 상기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에 걸리는 스톱칼라(22);
    상기 비트안내구멍(31)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블럭(30)의 저면을 향해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고, 콘크리트 가루(23)를 배출하는 가루배출장공(33);
    상기 가이드블럭(3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루배출장공(33)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콘크리트 가루(23)를 안내하고, 하부에 니플(41)을 갖는 시험관(40);
    상기 시험관(4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환형지지턱(42);
    상기 시험관(4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환형지지턱(42)에 지지되고, 상기 콘크리트 가루(23)를 받기 위한 반응지(50);
    상기 니플(41)에 결합되어 상기 콘크리트 가루(23)를 저장하는 시료용기(60);
    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럭(30)의 상면에서 상기 가루배출장공(33)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세척장공(34);
    상기 세척장공(34)으로 삽입되는 삽입부(70);
    상기 삽입부(70)의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71);
    상기 삽입부(7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드릴비트(21)를 따라 배출되는 상기 콘크리트 가루(23)를 상기 가루배출장공(33)으로 쓸어내리는 브러시(7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3. 콘크리트 구조체(20)의 표면에 밀착되는 평평한 밀착면(37)을 갖고, 콘크리트 드릴비트(21)를 안내하기 위한 비트안내구멍(31)이 복렬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블럭(30);
    상기 비트안내구멍(31)에 각각 대응하면서 서로 다른 천공 깊이를 갖도록 상기 밀착면(37)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갖고, 상기 가이드블럭(30)의 정면에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
    상기 콘크리트 드릴비트(21)에 설치되어 상기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에 걸리는 스톱칼라(22);
    상기 비트안내구멍(31)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블럭(30)의 저면을 향해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고, 콘크리트 가루(23)를 배출하는 가루배출장공(33);
    상기 가이드블럭(3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루배출장공(33)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콘크리트 가루(23)를 안내하고, 하부에 니플(41)을 갖는 시험관(40);
    상기 시험관(4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환형지지턱(42);
    상기 시험관(4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환형지지턱(42)에 지지되고, 상기 콘크리트 가루(23)를 받기 위한 반응지(50);
    상기 니플(41)에 결합되어 상기 콘크리트 가루(23)를 저장하는 시료용기(60);
    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에 밀착되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80);
    상기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의 상하부 모서리에 걸리도록 상기 스페이서(80)의 후면 상하단에 형성되는 돌출턱(81)(82);
    상기 스페이서(80)를 겹쳐서 조합할 때 상기 돌출턱(81)(82)과 만나고, 상기 스페이서(80)의 정면 상하단에 형성되는 함몰턱(83)(84);
    상기 비트안내구멍(31)과 중심이 일치되고, 상기 스페이서(80)의 일측을 향해 U자 모양으로 개방되는 노치(8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4. 콘크리트 구조체(20)의 표면에 밀착되는 평평한 밀착면(37)을 갖고, 콘크리트 드릴비트(21)를 안내하기 위한 비트안내구멍(31)이 복렬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블럭(30);
    상기 비트안내구멍(31)에 각각 대응하면서 서로 다른 천공 깊이를 갖도록 상기 밀착면(37)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갖고, 상기 가이드블럭(30)의 정면에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
    상기 콘크리트 드릴비트(21)에 설치되어 상기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에 걸리는 스톱칼라(22);
    상기 비트안내구멍(31)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블럭(30)의 저면을 향해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고, 콘크리트 가루(23)를 배출하는 가루배출장공(33);
    상기 가이드블럭(3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루배출장공(33)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콘크리트 가루(23)를 안내하고, 하부에 니플(41)을 갖는 시험관(40);
    상기 시험관(4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환형지지턱(42);
    상기 시험관(4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환형지지턱(42)에 지지되고, 상기 콘크리트 가루(23)를 받기 위한 반응지(50);
    상기 니플(41)에 결합되어 상기 콘크리트 가루(23)를 저장하는 시료용기(60);
    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응지(50)의 중심에 형성되는 끼움구멍(51);
    상기 끼움구멍(51)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상기 반응지(50)에 형성되는 방사절개선(5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5. 콘크리트 구조체(20)의 표면에 밀착되는 평평한 밀착면(37)을 갖고, 콘크리트 드릴비트(21)를 안내하기 위한 비트안내구멍(31)이 복렬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블럭(30);
    상기 비트안내구멍(31)에 각각 대응하면서 서로 다른 천공 깊이를 갖도록 상기 밀착면(37)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갖고, 상기 가이드블럭(30)의 정면에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
    상기 콘크리트 드릴비트(21)에 설치되어 상기 드릴정지면(32a)(32b)(32c)(32d)(32e)에 걸리는 스톱칼라(22);
    상기 비트안내구멍(31)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블럭(30)의 저면을 향해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고, 콘크리트 가루(23)를 배출하는 가루배출장공(33);
    상기 가이드블럭(3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루배출장공(33)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콘크리트 가루(23)를 안내하고, 하부에 니플(41)을 갖는 시험관(40);
    상기 시험관(4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환형지지턱(42);
    상기 시험관(4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환형지지턱(42)에 지지되고, 상기 콘크리트 가루(23)를 받기 위한 반응지(50);
    상기 니플(41)에 결합되어 상기 콘크리트 가루(23)를 저장하는 시료용기(60);
    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럭(30)의 저면에 형성되는 로케이트홀(35);
    상기 로케이트홀(35)에 설치되는 자석(36);
    상기 시험관(40)의 상단 외주면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플랜지(43);
    상기 플랜지(43)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로케이트홀(35)로 삽입되어 상기 자석(36)이 지닌 자력에 의해 흡착되는 철보스(4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KR1020190002050A 2019-01-08 2019-01-08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KR101984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050A KR101984502B1 (ko) 2019-01-08 2019-01-08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050A KR101984502B1 (ko) 2019-01-08 2019-01-08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502B1 true KR101984502B1 (ko) 2019-05-31

Family

ID=66656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050A KR101984502B1 (ko) 2019-01-08 2019-01-08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50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413B1 (ko) 2020-03-18 2020-07-15 주식회사회덕기술공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 깊이측정에 의한 안전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진단 방법
KR102253278B1 (ko) 2020-12-28 2021-05-20 주식회사 가람기술안전이앤씨 구조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탄산화 구멍 깊이 측정장치
CN113587840A (zh) * 2021-06-23 2021-11-02 西安市市政建设工程质量检测有限公司 一种混凝土试件的碳化深度的测定方法
KR102327039B1 (ko) * 2021-03-26 2021-11-16 (주)한맥기술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
KR102443192B1 (ko) * 2022-04-12 2022-09-15 주식회사 도원안전연구원 안전진단에 필요한 콘크리트 염화물 함량 시험을 위한 시료 채취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102B1 (ko) 2002-02-21 2006-03-24 이재용 지시약에 의한 콘크리트의 중성화 측정방법
KR100686495B1 (ko) 2005-12-19 2007-02-2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콘크리트 탄산화 장치
KR101578756B1 (ko) 2015-08-11 2015-12-18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스마트폰을 이용한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KR101583677B1 (ko) * 2014-06-30 2016-01-19 홍재철 드릴비트용 천공깊이조절구
JP6182561B2 (ja) * 2015-03-11 2017-08-16 株式会社ミヤナガ コンクリート削孔粉回収装置及びコンクリート削孔粉回収システム
KR20180058603A (ko) * 2016-11-24 2018-06-01 대한민국(산림청 남부지방산림청장) 수목 시료채취용 보조장치
KR20180093338A (ko) * 2017-02-13 2018-08-22 박종현 코어드릴의 천공깊이조절 유니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102B1 (ko) 2002-02-21 2006-03-24 이재용 지시약에 의한 콘크리트의 중성화 측정방법
KR100686495B1 (ko) 2005-12-19 2007-02-2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콘크리트 탄산화 장치
KR101583677B1 (ko) * 2014-06-30 2016-01-19 홍재철 드릴비트용 천공깊이조절구
JP6182561B2 (ja) * 2015-03-11 2017-08-16 株式会社ミヤナガ コンクリート削孔粉回収装置及びコンクリート削孔粉回収システム
KR101578756B1 (ko) 2015-08-11 2015-12-18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스마트폰을 이용한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KR20180058603A (ko) * 2016-11-24 2018-06-01 대한민국(산림청 남부지방산림청장) 수목 시료채취용 보조장치
KR20180093338A (ko) * 2017-02-13 2018-08-22 박종현 코어드릴의 천공깊이조절 유니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413B1 (ko) 2020-03-18 2020-07-15 주식회사회덕기술공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 깊이측정에 의한 안전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진단 방법
KR102253278B1 (ko) 2020-12-28 2021-05-20 주식회사 가람기술안전이앤씨 구조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탄산화 구멍 깊이 측정장치
KR102327039B1 (ko) * 2021-03-26 2021-11-16 (주)한맥기술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
CN113587840A (zh) * 2021-06-23 2021-11-02 西安市市政建设工程质量检测有限公司 一种混凝土试件的碳化深度的测定方法
KR102443192B1 (ko) * 2022-04-12 2022-09-15 주식회사 도원안전연구원 안전진단에 필요한 콘크리트 염화물 함량 시험을 위한 시료 채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502B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KR101669609B1 (ko) 회전원반을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JP6094488B2 (ja) 分注装置に用いられるピペットチップセ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試薬カートリッジフィルムへの穴開け方法
ES2272285T3 (es) Tapon perforable con vertice interior.
EP1839752A2 (en) Pipette tip
KR10213441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 깊이측정에 의한 안전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진단 방법
WO2009136445A1 (ja) 採便容器
CA1135141A (en) Device for the extraction of capillary blood
KR102221833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측정장치
JP6337147B2 (ja) サンプリングノズ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自動分析装置並びにサンプリングノズルの製造方法
JPH07284674A (ja) ピペットチップ
JP3990965B2 (ja) 自動分析装置
US7776023B2 (en) Method and implement for opening hole in soft material
WO2004096114A1 (en) Device for introducing a liquid into a pharmaceutical container
KR101669614B1 (ko) 벨트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JP2001145917A (ja) コンクリート中性化深さ検査装置
CN110953962A (zh) 一种墙体材料厚度取样测量装置
EP0816099A2 (en) Ink refill assembly
KR101657257B1 (ko) 절삭공구 용접 불량 검사 장치
JP2019174189A (ja) 穴開け器、分注ピペットラック、核酸抽出セット、穴開け方法および核酸抽出方法
WO2023182165A1 (ja) 穿孔具
JP2008302270A (ja) 塗装付着強さテスト器および同テスト器による塗装付着強さのテスト方法
JP2001174454A (ja) コンクリートの中性化測定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粉採取装置
JP5702417B2 (ja) あと施工アンカーボルトの設置具及び設置方法
WO2019202805A1 (ja) サンプリング機構及びサンプリ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