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039B1 -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 - Google Patents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7039B1 KR102327039B1 KR1020210039892A KR20210039892A KR102327039B1 KR 102327039 B1 KR102327039 B1 KR 102327039B1 KR 1020210039892 A KR1020210039892 A KR 1020210039892A KR 20210039892 A KR20210039892 A KR 20210039892A KR 102327039 B1 KR102327039 B1 KR 1023270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sample
- collection
- hol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805 chlorine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01N1/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involving an extracting tool, e.g. core bi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6—Boxes for removal of dirt, e.g. for cleaning brakes, glove- box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28D1/146—Tool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부터 타단까지 통과홀부가 형성되고, 통과홀부 내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구조물의 벽면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본체블록;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통과홀부에 볼트결합되고, 상기 통과홀부의 전방으로 돌출될 때에 상기 나사산에 의해 회전되면서 구조물의 벽면을 분쇄하는 송곳부재; 상기 송곳부재가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상기 송곳부재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송곳부재가 회전면서 구조물의 일부분을 분쇄하여 발생되는 시료가 대기 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물로부터 분리되는 시료를 포집하는 유실방지부; 상기 유실방지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시료가 수납되는 상기 수납통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납통으로 수납되는 시료를 담는 수거통; 상기 수거통을 상기 수납통으로부터 분리시킬 때에 상기 수거통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면서 폐쇄시켜 시료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부; 및 상기 수거통이 상기 수납통의 상기 수거홀부에 삽입되면 상기 수거통이 상기 수거홀부에 안착되어 상기 수거통이 상기 수납통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착탈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료 채취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발생되는 분말의 시료가 대기 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납시키므로 짧은 시간 동안 진행되는 채취작업으로 충분한 염화물 시료를 채취할 수 있고, 시료가 채취되는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여 밀폐시킴과 동시에 밀폐공간으로부터 시료를 흡입하는 진공압이 제공되어 시료 채취를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채취된 시료를 수거통에 밀폐하여 보관할 수 있어 다수 차례의 채취작업이 진행될 때에 각각의 채취작업에 의해 채취되는 시료를 별도로 보관할 수 있는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축물이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등을 축조할 경우에는 그 기초를 견고히 하기 위하여 지반에 현장 타설 콘크리트 파일, PHC 파일 또는 H형 빔을 매설하는 방법으로 기초공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파일 등의 시공은 건축물 및 구조물 등을 축조하는데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공사이다.
파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굴착시공법은 파일연결부에 장착된 스크류 파일을 회전작동시켜 지반을 굴착하여 파일공을 형성시킨 다음 파일공에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던가 파일을 삽입시키는 방법이다.
그런데 이러한 스크류 파일을 이용한 기존방법은 지반 천공시 발생되는 슬라임이 과도하게 발생되어 천공 때 마다 굴삭기로 천공홀에서 올라오는 슬라임을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천공장치 및 주입하는 주입장치가 별개로 개발되어 있어 파일을 시공하는데 공정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고, 천공하면서 천공 홀의 토사를 모두 제거하고 그라우팅을 함으로 그라우팅재가 과도하게 들어가 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등록특허 제10-1441929호와 특허출원 제2015-0002671 호가 제시되어 굴착시 발생되는 슬라임이 거의 없고 그라우팅액이 토사와 혼합되어 굴착시 그라우팅하는 재료가 적게 들어 파일의 시공기간 및 시공비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라임과 그라우팅재를 혼합하여 파일 형태로 만든 발명으로 안정적으로 설계상의 지지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어 고층 빌딩이나 중요한 구조물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지중에 시공되는 기초파일의 성격상 기초파일의 품질을 제대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단지, 시추보링과 표준관입시험 등을 하여 지반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으나 시추보링과 표준 관입시험은 시공된 기초파일에 장비를 제대로 설치할 방법이 없을 뿐만 아니라 교란된 시료를 얻어 제대로 된 기초파일의 품질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시료 채취기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링 형상으로 굴착기구의 외주면 일측에 시공된 기초파일의 깊이에 따라 시공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이 설치되는 몸체와, 일단이 막힌 관 형상의 부재로 외면이 몸체의 외면 일측에 결합되는 채취부와, 채취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면에 압력을 받으면 시료가 안으로 투입되도록 오픈되는 마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2809호(2017년 11월 29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시공된 기초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는 시료 채취기)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시료 채취기는, 토사의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기술구성은 구비되지만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화물을 채취하기 위한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시공이 완료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화물을 채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구조물의 벽면을 일부분 분쇄하여 시료를 채취하는 시료채취기를 개발하는 경우에는 시료 채취를 위해 구조물의 일부분을 분쇄하는 채취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분말의 시료가 대기 중으로 비산되어 원하는 양의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 필요 이상의 채취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시료 채취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발생되는 분말의 시료가 대기 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납시키므로 짧은 시간 동안 진행되는 채취작업으로 충분한 염화물 시료를 채취할 수 있고, 시료가 채취되는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여 밀폐시킴과 동시에 밀폐공간으로부터 시료를 흡입하는 진공압이 제공되어 시료 채취를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채취된 시료를 수거통에 밀폐하여 보관할 수 있어 다수 차례의 채취작업이 진행될 때에 각각의 채취작업에 의해 채취되는 시료를 별도로 보관할 수 있는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단부터 타단까지 통과홀부가 형성되고, 통과홀부 내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구조물의 벽면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본체블록;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통과홀부에 볼트결합되고, 상기 통과홀부의 전방으로 돌출될 때에 상기 나사산에 의해 회전되면서 구조물의 벽면을 분쇄하는 송곳부재; 상기 송곳부재가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상기 송곳부재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송곳부재가 회전면서 구조물의 일부분을 분쇄하여 발생되는 시료가 대기 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물로부터 분리되는 시료를 포집하는 유실방지부; 상기 유실방지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시료가 수납되는 상기 수납통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납통으로 수납되는 시료를 담는 수거통; 상기 수거통을 상기 수납통으로부터 분리시킬 때에 상기 수거통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면서 폐쇄시켜 시료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부; 및 상기 수거통이 상기 수납통의 상기 수거홀부에 삽입되면 상기 수거통이 상기 수거홀부에 안착되어 상기 수거통이 상기 수납통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착탈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블록 배면에 연결되어 통하도록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유실방지부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송곳부재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케이스 배면에 형성되는 조작홀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실방지부는, 상기 본체블록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블록을 구조물에 대향되게 배치시키면 구조물 벽면에 안착되어 시료 채취작업이 이루어지는 밀폐공간을 제공하는 호퍼부재; 상기 호퍼부재에 형성되는 채취홀부를 따라 낙하되는 시료가 수납되어 수거되는 수납통; 상기 수납통으로부터 연장되는 배출관에 연결되고, 상기 호퍼부재와 구조물 벽면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호퍼부재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상기 호퍼부재와 구조물 벽면 사이의 간격으로 시료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출관을 따라 제공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면서 상기 호퍼부재의 테두리와 구조물 벽면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마감부는, 상기 수거홀부의 상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수납통 일측에 설치되는 케이스부재; 상기 케이스부재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거홀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수거통의 개구된 상면을 밀폐시키도록 접착되는 마감테이프; 및 상기 수거통의 개구부가 마감된 후에 상기 케이스부재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마감테이프를 절취하는 절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는, 본체블록으로부터 송곳부재가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채취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해 호퍼부재 및 유실방지부가 구비되므로 송곳부재에 의해 분쇄되어 발생되는 시료가 대기 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료를 포집할 수 있고, 분말의 시료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대기 오염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는, 호퍼부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설치되고, 진공이젝터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가 호퍼부재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튜브부재에 공급되므로 호퍼부재 테두리에 실링작동이 이루어지면서 호퍼부재와 구조물 사이의 간격으로 시료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는, 채취된 염화물을 개별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수거통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시료 채취작업이 종료된 후에 수거통에 수납되는 시료를 개별적으로 보관할 수 있어 다양한 구조물에서 채취한 염화물을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고, 수납통으로부터 배출되는 수거통 개구부에 테이프부재를 접착시켜 수납통의 개구부를 차단하는 마감부가 구비되므로 수거통의 착탈작업 또는 수거통의 이송작업 중에 시료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가 도시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의 수거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가 도시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의 수거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가 도시된 정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의 수거통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는, 일단부터 타단까지 통과홀부가 형성되고, 통과홀부 내벽에는 나사산(12)이 형성되며, 구조물의 벽면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본체블록(10)과, 외면에 나사산(12)이 형성되어 통과홀부에 볼트결합되고, 통과홀부의 전방으로 돌출될 때에 나사산(12)에 의해 회전되면서 구조물의 벽면을 분쇄하는 송곳부재(14)와, 송곳부재(14)가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송곳부재(14)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송곳부재(14)가 회전면서 구조물의 일부분을 분쇄하여 발생되는 시료가 대기 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물로부터 분리되는 시료를 포집하는 유실방지부(50)와, 유실방지부(50)에 일체로 연결되어 시료가 수납되는 수납통(56)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납통(56)으로 수납되는 시료를 담는 수거통(100)과, 수거통(100)을 수납통(56)으로부터 분리시킬 때에 수거통(10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면서 폐쇄시켜 시료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부(110)와, 수거통(100)이 수납통(56)의 수거홀부(56a)에 삽입되면 수거통(100)이 수거홀부(56a)에 안착되어 수거통(100)이 수납통(56)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착탈고정부(1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거통을 거치하여 유실방지부를 구조물의 벽면에 밀착시킨 후에 구동부에 전원을 인가하면 송곳부재가 전진되면서 구조물의 일부분을 분쇄시키면서 시료를 채취하게 되고, 이때, 유실방지부에 의해 비산되는 것이 방지되어 수납통 내부로 유입되는 시료는 수거통에 수납되고, 작업자가 수거통을 수납통으로부터 배출시키면 마감부의 작동에 의해 수거통 개구부에 마감테이프가 접착되어 마감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시료가 수납되는 수거통 또는 마감테이프에 시료가 채취된 장소 및 날짜 등의 정보를 기재하여 수거통을 보관하고, 다수 개의 시료를 각각의 수거통에 보관할 수 있어 구조물의 안전진단에 요구되는 시료들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구동부는, 본체블록(10) 배면에 연결되어 통하도록 설치되는 케이스(30)와, 케이스(30) 내부에 유실방지부(50)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송곳부재(14)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6)와, 케이스(30) 배면에 형성되는 조작홀부(34)를 통해 케이스(30) 내부로 삽입되어 구동모터(16)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32)을 포함한다.
케이스의 내벽에는 구동모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레일부재가 구비되므로 구동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송곳부재가 회전되면 나사산에 의해 송곳부재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고, 송곳부재에 연결되는 구동모터 또한 레일부재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며, 전진하는 송곳부재는 유실방지부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구조물의 벽면 일부분을 분쇄하여 구조물로부터 떨어지는 시료를 채취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유실방지부(50)는, 본체블록(10)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본체블록(10)을 구조물에 대향되게 배치시키면 구조물 벽면에 안착되어 시료 채취작업이 이루어지는 밀폐공간을 제공하는 호퍼부재(52)와, 호퍼부재(52)에 형성되는 채취홀부(54)를 따라 낙하되는 시료가 수납되어 수거되는 수납통(56)과, 수납통(56)으로부터 연장되는 공급관(88)에 연결되고, 호퍼부재(52)와 구조물 벽면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호퍼부재(52)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59)와, 호퍼부재(52)와 구조물 벽면 사이의 간격으로 시료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공급관(88)을 따라 제공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면서 호퍼부재(52)의 테두리와 구조물 벽면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는 밀착부(80)를 포함한다.
호퍼부재(52)는 송곳부재(14)가 파쇄하는 구조물의 벽면에 밀착될 수 있는 오목한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송곳부재(14)가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호퍼부재(52)의 테두리를 따라 밀착부(80)의 튜브부재(86)가 수납되는 테두리홈부(82)가 형성된다.
따라서 호퍼부재(52)를 구조물 벽면에 밀착되게 배치시킨 후에 구동모터(16)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구동모터(16)의 동력에 의해 송곳부재(14)가 전진하면서 구조물을 파쇄하고, 이때, 진공이젝터(59)에 전원이 공급되어 호퍼부재(52)와 구조물 벽면 사이의 공기를 배출관을 따라 호퍼부재(52) 외부로 배출시킨다.
호퍼부재(52)의 하부에는 파쇄되어 낙하되는 시료가 통과되어 수납통(56)에 수납되도록 채취홀부(54)가 형성되고, 채취홀부(54)에 대향되는 호퍼부재(52)의 저면부에는 하측 방향으로 길게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통(56)이 설치된다.
수납통(56)의 하단에는 공급관(88)이 설치되어 호퍼부재(52) 측으로 연장되고, 호퍼부재(52)의 테두리홈부(82)에 설치되는 튜브부재(86)와 연결되므로 진공이젝터(59)가 구동되면 호퍼부재(52)와 구조물 벽면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는 공기가 진공이젝터(59) 및 공급관(88)을 따라 호퍼부재(52)의 테두리홈부(82)에 설치되는 튜브부재(86)에 충진된다.
테두리홈부(82)는 구조물의 벽면에 대향되는 면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튜브부재(86)의 돌출부(87)가 구조물 측으로 돌출되게 하는 돌출홀부(84)가 형성되고, 진공이젝터(59)의 작동에 의해 공급관(88)을 따라 제공되는 공기는 호퍼부재(52)와 구조물이 이루는 간격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튜브부재(86)에 충진되므로 호퍼부재(52)와 구조물 벽면 사이의 공간에 진공압이 형성되고, 호퍼부재(52)로부터 공급관(88)을 따라 배출되는 진공압은 튜브부재(86)에 충진되어 튜브부재(86)가 팽창되게 하고, 팽창되는 튜브부재(86)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87)는 돌출홀부(84)를 통해 구조물 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호퍼부재(52)와 구조물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압이 공급관(88)을 따라 튜브부재(86)에 충진되므로 구조물로부터 낙하되는 시료는 채취홀부(54)를 통해 수납통(56) 내부로 수납된다.
본 실시예의 호퍼부재(52) 상부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부(50a)가 형성되고, 호퍼부재(52)의 일측에는 튜브부재(86)에 충진되었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홀부(50b)가 형성되며, 배출홀부(50b)에 대향되도록 튜브부재(86)에 배기홀부(86a)가 형성된다.
유입홀부(50a)는 복수 개가 형성되지만 채취홀부(54)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작게 형성되므로 진공이젝터(59)가 구동되어 채취홀부(5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량 보다 유입홀부(50a)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이 작게 되므로 호퍼부재(52)와 구조물 사이의 간격에 진공압이 형성되고, 튜브부재(86)에 충진되는 공기는 배기홀부(86a) 및 배출홀부(50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배기홀부(86a) 및 배출홀부(50b)는 채취홀부(54)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작게 형성되므로 진공이젝터(59)에 의해 압송되는 공기가 튜브부재(86)에 충진되어 튜브부재(86)가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수납통(56)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중앙부에 측면으로 필터를 꺼낼 수 있도록 홀부가 형성되고, 작업자는 홀부를 통해 필터부재(57)를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필터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호퍼부재(52) 상부에는 배출부(59)가 구동될 때에 외부공기를 호퍼부재(52)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다수 개의 흡기홀부(50a)가 형성되고, 호퍼부재(52)의 테두리 측면에는 튜브부재(86)에 충진된 후에 호퍼부재(52)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어 지속적인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출홀부(50b)가 형성된다.
배출홀부(50b)에 대향되는 튜브부재(86) 측면에는 튜브부재(86)에 충진된 후에 배출홀부(50b)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튜브부재(86)에 형성되는 배기홀부의 테두리가 배출홀부(50b)의 테두리에 융착되어 배기홀부 및 배출홀부(50b)를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수납통(56)으로 수거되는 시료가 설정치를 초과하여 누적되면 이를 감지하여 배출신호를 송신하는 감지부(90)를 더 포함하므로 채취작업이 다수 차례 반복되는 경우에 수납통(56)에 누적되는 시료가 설정치를 초과하면 채취홀부(54)를 통해 수납통(56)에 누적되는 이물질이 호퍼부재(52) 내부로 역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필터부재(57)에 누적되는 시료의 양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감지부(90)가 구동되어 사용자가 수거통(100)을 꺼내어 시료를 채취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감지부(90)는, 필터부재(57)의 상측으로 일정 거리 떨어지게 배치되고,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92)와, 발광부(92)로부터 통과되는 빛의 양을 감지하여 수거통(56) 내부에 누적되는 시료이 양을 측정하고, 수거통(56)에 누적되는 시료의양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교체신호를 송신하는 수광부(94)를 포함한다.
따라서 필터부재(57) 상면에 다량의 시료가 축적되면 발광부(92)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시료를 통과하지 못하여 수광부(94)로부터 필터부재(57)의 인출을 요청하는 교체신호가 제어부(96)에 송신되고, 제어부(96)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 또는 경광등이 구동되면서 작업자가 수거통(100)을 수납통(56)으로부터 분리시켜 시료를 배출시키는 작업을 유도하게 된다.
수거통(100)의 바닥면에는 필터(102)가 구비되므로 수납통(56)으로 유입되는 시료는 수거통(100)에 수납되고, 수거통(10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필터(102)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이물질은 수거통(100) 하부에 배치되는 필터부재(57)에 의해 걸러지며, 필터부재(57)에 의해 걸러지는 이물질의 누적량을 발광부(92) 및 수광부(94)에 의해 측정하게 되므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작업자는 수거통(100)의 배출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마감부(110)는, 수거홀부(56a)의 상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수납통(56) 일측에 설치되는 케이스부재(112)와, 케이스부재(11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거홀부(56a)로부터 배출되는 수거통(100)의 개구된 상면을 밀폐시키도록 접착되는 마감테이프(114)와, 수거통(100)의 개구부가 마감된 후에 케이스부재(112) 외측으로 연장되는 마감테이프(114)를 절취하는 절취부(1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거홀부(56a)를 통해 수거통(100)을 배출시킬 때에 케이스부재(112)로부터 연장되는 마감테이프(114)가 수거통(100) 상면에 접착되면서 수거통(100)의 개구된 상면을 밀폐시키게 되고, 수거통(100)을 수납통(56)으로부터 완전히 배출시킨 후에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수거통(100) 상면에 접착되면서 케이스부재(112) 외측으로 연장되는 마감테이프(114)가 절취부(130)에 의해 절단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수거통(100)에 수납되는 시료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포장작업을 진행하지 않고 간편하게 시료가 담겨 밀폐되는 수거통(100)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절취부(130)는, 케이스부재(112)의 외측 하단에 구비되는 러버부재(132)와, 러버부재(132) 하단에 설치되어 마감테이프(114)를 절단하는 칼날부재(134)를 포함하므로 수거통(100)을 수납통(56) 외측으로 배출시킬 때에 수거통(100)의 상단이 칼날부재(134)의 하단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마감테이프(114)가 수거통(100) 상면에 접착되고, 수거통(100)을 수납통(56) 외측으로 완전히 분리시킨 후에 수거통(100)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마감테이프(114)가 칼날부재(134)와 간섭되면서 절단된다.
이때, 러버부재(132)가 압축되었다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칼날부재(134)가 유동되어 칼날부재(134)가 마감테이프(114)를 절단하는 스냅을 제공하게 되고, 수거통(100)이 칼날부재(134)를 따라 슬라이딩될 때에 러버부재(132)가 압축되면서 칼날부재(134)를 수거통(100) 상면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면서 마감테이프(114)를 수거통(100) 상면에 견고하게 접착시키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착탈고정부(150)는, 수거홀부(56a)의 테두리로부터 수거통(100) 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부재(152)와, 볼부재(152)를 수거홀부(56a)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54)와, 볼부재(152)가 삽입되어 수거통(100)을 가압하도록 수거통(100)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홈부(156)를 포함한다.
따라서 수거통(100)을 수거홀부(56a)에 삽입하면 수거통(100)의 상단이 볼부재(152)를 가압하여 후퇴시키고, 수거통(100)이 수거홀부(56a) 내측에 삽입되면 압축되었던 탄성부재(154)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볼부재(152)를 수거통(100) 측으로 돌출시켜 수거통(100)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홈부(156)에 볼부재(152)가 안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수거통(100)의 상단이 볼부재(152) 및 고정홈부(156)에 의해 구속되므로 수거홀부(56a)로부터 수거통(100)이 작업자의 의도와 다르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작업자가 수거통(100)을 분리시킬 때에는 수거통(100)의 측면을 수납통(56) 내측으로 가압하여 수거통(100)이 반대편의 수거홀부(56a)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이로써, 시료 채취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발생되는 분말의 시료가 대기 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납시키므로 짧은 시간 동안 진행되는 채취작업으로 충분한 염화물 시료를 채취할 수 있고, 시료가 채취되는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여 밀폐시킴과 동시에 밀폐공간으로부터 시료를 흡입하는 진공압이 제공되어 시료 채취를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채취된 시료를 수거통에 밀폐하여 보관할 수 있어 다수 차례의 채취작업이 진행될 때에 각각의 채취작업에 의해 채취되는 시료를 별도로 보관할 수 있는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채취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블록 12 : 나사산
14 : 송곳부재 16 : 구동모터
30 : 케이스 32 : 케이블
34 : 조작홀부 36 : 레일부재
50 : 유실방지부 52 : 호퍼부재
54 : 채취홀부 56 : 수납통
56a : 수거홀부 56b : 가이드부재
57 : 필터부재 58 : 진공홀부
59 : 진공이텍터 80 : 밀착부
82 : 테두리홈부 84 : 돌출홈부
86 : 튜브부재 87 : 돌출부
88 : 공급관 100 : 수거통
102 : 수거필터 110 : 마감부
112 : 케이스부재 114 : 마감테이프
130 : 절취부 132 : 러버부재
134 : 칼날부재 150 : 착탈고정부
152 : 볼부재 154 : 탄성부재
156 : 고정홈부
Claims (4)
- 일단부터 타단까지 통과홀부가 형성되고, 통과홀부 내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구조물의 벽면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본체블록;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통과홀부에 볼트결합되고, 상기 통과홀부의 전방으로 돌출될 때에 상기 나사산에 의해 회전되면서 구조물의 벽면을 분쇄하는 송곳부재; 상기 송곳부재가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상기 송곳부재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송곳부재가 회전면서 구조물의 일부분을 분쇄하여 발생되는 시료가 대기 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물로부터 분리되는 시료를 포집하는 유실방지부; 상기 유실방지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시료가 수납되는 수납통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납통으로 수납되는 시료를 담는 수거통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을 상기 수납통으로부터 분리시킬 때에 상기 수거통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면서 폐쇄시켜 시료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부; 및
상기 수거통이 상기 수납통의 수거홀부에 삽입되면 상기 수거통이 상기 수거홀부에 안착되어 상기 수거통이 상기 수납통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착탈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감부는,
상기 수거홀부의 상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수납통 일측에 설치되는 케이스부재;
상기 케이스부재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거홀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수거통의 개구된 상면을 밀폐시키도록 접착되는 마감테이프; 및
상기 수거통의 개구부가 마감된 후에 상기 케이스부재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마감테이프를 절취하는 절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취부(130)는,
상기 케이스부재(112)의 외측 하단에 구비되는 러버부재(132);
상기 러버부재(132)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마감테이프(114)를 절단하는 칼날부재(134)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고정부(150)는,
상기 수거홀부(56a)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수거통(100) 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부재(152);
상기 볼부재(152)를 상기 수거홀부(56a)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54); 및
상기 볼부재(152)가 삽입되어 상기 수거통(100)을 가압하도록 상기 수거통(100)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홈부(1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블록 배면에 연결되어 통하도록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유실방지부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송곳부재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케이스 배면에 형성되는 조작홀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실방지부는,
상기 본체블록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블록을 구조물에 대향되게 배치시키면 구조물 벽면에 안착되어 시료 채취작업이 이루어지는 밀폐공간을 제공하는 호퍼부재;
상기 호퍼부재에 형성되는 채취홀부를 따라 낙하되는 시료가 수납되어 수거되는 상기 수납통;
상기 수납통으로부터 연장되는 배출관에 연결되고, 상기 호퍼부재와 구조물 벽면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호퍼부재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상기 호퍼부재와 구조물 벽면 사이의 간격으로 시료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출관을 따라 제공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면서 상기 호퍼부재의 테두리와 구조물 벽면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9892A KR102327039B1 (ko) | 2021-03-26 | 2021-03-26 |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9892A KR102327039B1 (ko) | 2021-03-26 | 2021-03-26 |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27039B1 true KR102327039B1 (ko) | 2021-11-16 |
Family
ID=7871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9892A KR102327039B1 (ko) | 2021-03-26 | 2021-03-26 |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703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4120B1 (ko) * | 2022-12-30 | 2023-06-16 | 주식회사 대본테크 | 콘크리트 염화물 함유량 측정장치 및 콘크리트 구조물 염화물 시험방법 |
KR102636986B1 (ko) * | 2023-07-14 | 2024-02-15 | 주식회사 조아이엔씨 | 구조물 안전진단용 염화물 시료 채취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2907B1 (ko) * | 2010-03-22 | 2010-11-09 | 황창욱 | 석면 부재 제거 장치 및 방법 |
KR101984502B1 (ko) * | 2019-01-08 | 2019-05-31 |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
KR102134413B1 (ko) * | 2020-03-18 | 2020-07-15 | 주식회사회덕기술공사 |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 깊이측정에 의한 안전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진단 방법 |
KR102210351B1 (ko) * | 2020-05-15 | 2021-02-01 |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 |
-
2021
- 2021-03-26 KR KR1020210039892A patent/KR10232703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2907B1 (ko) * | 2010-03-22 | 2010-11-09 | 황창욱 | 석면 부재 제거 장치 및 방법 |
KR101984502B1 (ko) * | 2019-01-08 | 2019-05-31 |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
KR102134413B1 (ko) * | 2020-03-18 | 2020-07-15 | 주식회사회덕기술공사 |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 깊이측정에 의한 안전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진단 방법 |
KR102210351B1 (ko) * | 2020-05-15 | 2021-02-01 |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4120B1 (ko) * | 2022-12-30 | 2023-06-16 | 주식회사 대본테크 | 콘크리트 염화물 함유량 측정장치 및 콘크리트 구조물 염화물 시험방법 |
KR102636986B1 (ko) * | 2023-07-14 | 2024-02-15 | 주식회사 조아이엔씨 | 구조물 안전진단용 염화물 시료 채취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10351B1 (ko) |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 | |
KR102327039B1 (ko) |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염화물 시료채취기 | |
JP2002054129A (ja) | 土等のサンプル採取装置およびサンプル採取方法 | |
JP2007126914A (ja) | 地下水採水装置 | |
AU2015226848A1 (en) | Drill fluid recovery apparatus | |
CN206071593U (zh) | 采石装置和掘进机 | |
JP4997009B2 (ja) | 雨水浸透ます | |
CN116291420A (zh) | 一种地质勘测用反馈预警装置及其使用方法 | |
JP2882481B1 (ja) | 泥水・泥土圧シールド掘削兼用地層ガス検知方法及び検知装置 | |
CN220496543U (zh) | 泥水盾构管道破碎机 | |
DE20108725U1 (de) | Grabgerät mit Saugeinrichtung | |
CN218880922U (zh) | 一种地下室排水结构 | |
CN211144493U (zh) | 一种适用于盾构机土仓/泥水仓渣土含水率的测量装置 | |
CN113029655B (zh) | 一种水土联合取样装置及其方法 | |
CN115306414B (zh) | 一种盾构机渣石打捞装置及其使用方法 | |
KR100299939B1 (ko) | 하수관의 준설방법 및 그 장치 | |
JP7295515B2 (ja) | 無水削孔によるロックボルト打設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無水削孔システム、並びに口元処理装置 | |
CN214844097U (zh) | 一种水土联合取样装置 | |
JP6621671B2 (ja) | 排土用アダプタ、削孔装置及び排土回収システム | |
JP2023001931A (ja) | シールドマシンにおけるチャンバー内試料回収装置及び試料回収方法 | |
JPH02256794A (ja) | 既設暗渠の敷設替え掘削装置 | |
KR101072567B1 (ko) | 지중매설 관로 굴착에 의한 이토의 연속분리용 순환장치 | |
CN221742543U (zh) | 一种石油录井用岩屑分析装置 | |
JPH02217585A (ja) | 掘削ビットの礫破砕装置 | |
JP6304540B2 (ja) | 高圧噴射撹拌工法に用いる施工管理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