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374B1 -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374B1
KR101984374B1 KR1020170050658A KR20170050658A KR101984374B1 KR 101984374 B1 KR101984374 B1 KR 101984374B1 KR 1020170050658 A KR1020170050658 A KR 1020170050658A KR 20170050658 A KR20170050658 A KR 20170050658A KR 101984374 B1 KR101984374 B1 KR 101984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support
furniture
couple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7492A (ko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1020170050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374B1/ko
Publication of KR20180117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47B91/024Foot attached to a rotating bolt supported in an internal thread

Landscapes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를 개시된다. 개시된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는, 가구와 결합되는 고정구와, 고정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높이조절부와 결합되어 지면에 지지며, 가구 및 지면에서 전달되는 수평방향의 진동 및 하중에 의해 가구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진동방지 지지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높이조절부에 진동방지 지지체가 결합되어 외부에서 가구 전달되는 횡방향의 진동을 지지 및 완충하므로, 횡방향 진동과 하중에 의해 가구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TRANSVERSE VIBRATION REDUCTION DEVICE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가구의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실내에 일정높이를 갖도록 배치되어 인테리어나 수납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구는, 바닥면에 대해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목재나 철재, 플라스틱 등의 소재가 사용되며, 적절한 무게를 가지게 된다. 또한 가구는, 사용목적에 따라 특정 기능과 미적 요소가 추가됨은 물론 사용자의 취미나 취향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종류로 제작된다.
또한, 가구는 밑면에는 통풍 및 설치의 편의 등을 위해 바닥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가구를 세워서 지지하는 받침다리가 장착된다. 받침다리는 대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가구의 설치 시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고, 아울러 사용자가 가구의 설치 높낮이를 임의로 가변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가구용 받침다리는 가구의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제공되기는 하나, 지진 등과 같이 횡방향으로 발생하는 하중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관련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9845호(공개일:2015.10.02)에는 "가구용 독립형 완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지진 등과 같이 외부에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가구로 전달되는 횡방향의 진동을 완충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가구의 움직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는, 가구와 결합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와 결합되어 지면에 지지되며, 상기 가구 및 상기 지면에서 전달되는 수평방향의 진동 및 하중에 의해 상기 가구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를 지지하는 진동방지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방지 지지체는, 상기 높이조절부에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부를 지지하는 발받침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와 상기 발받침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횡방향 진동 및 하중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횡방향 진동 및 하중을 지지하는 진동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받침부는, 상기 높이조절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진동방지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진동방지 지지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방지부는, 상기 높이조절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발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날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날개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이격되게 복수개 구비되며,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날개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서 이격되게 복수개 돌출 형성되는 제1지지날개와, 상기 제1지지날개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지지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날개는, 상기 제2지지날개와 다른 길이를 가지며,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지지날개는, 상기 제2지지날개와 다른 길이를 가지며,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는, 상기 진동방지 지지체와 상기 높이조절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가이드부는, 상기 진동방지 지지체에 구비되는 제1지지판부재와, 상기 높이조절부에 구비되는 제2지지판부재와, 상기 제1지지판부재와 상기 제2지지판부재에 접촉되는 볼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지지판부재와 상기 제2지지판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높이조절부에 진동방지 지지체가 결합되어 외부에서 가구 전달되는 횡방향의 진동을 지지 및 완충하므로, 횡방향 진동과 하중에 의해 가구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이드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진동 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이드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진동 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100)는, 가구(10)의 횡방향으로 발생하는 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정구(110)와, 높이조절부(120)와, 진동방지 지지체(130)와, 회전가이드부(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100)는, 지진 등에 의해 지면이 흔들림에 따라 가구(10)로 전달되는 진동 및 하중을 높이조절부(120)와 진동방지 지지체(130)를 이용하여 완충 및 지지하므로, 외력에 의한 가구(10)의 횡방향 진동을 방지하게 된다.
고정구(110)는, 가구(10)의 하면에 결합되며, 높이조절부(120)를 통해 진동방지 지지체(130)와 연결된다. 이러한 고정구(110)는 높이조절부(120)의 회전을 통해 높이조절부(120)에서 상하로 이송되면서 그 높이가 조절된다. 또한, 고정구(110)는 볼트나 나사 등을 통해 가구(10)에 고정되며, 외면에 작동나사부(111)가 형성되고, 작동나사부(111)에 높이조절부(1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높이조절부(120)는, 고정구(110) 및 진동방지 지지체(1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가이드부(140)에 의해 진동방지 지지체(130)를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고정구(110)를 승강시키게 된다.
이러한, 높이조절부(1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진동방지 지지체(130) 및 회전가이드부(140)가 결합되는 지지체 설치부재(121)를 구비한다. 또한 높이조절부(120)는 작동나사부(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내면에 조절나사부(123)가 형성된다.
더하여, 높이조절부(120)는 진동방지 지지체(130)의 횡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횡방향 유동공간부(125)가 설치부재(121)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설치부재(121)에는 진동방지 지지체(130) 및 회전가이드부(140)가 결합되도록 제1결합홈부(121a) 및 제2결합홈부(121b)가 각각 형성된다. 제1결합홈부(121a)는 설치부재(121)의 상면에 형성되고, 제2결합홈부(121b)는 설치부재(121)의 하면에 형성된다.
진동방지 지지체(130)는 가구(10)가 설치되는 지면에 지지되도록 높이조절부(120)와 결합되며, 가구(10) 또는 지면에서 횡방향으로 발생하는 하중을 흡수함은 물론 회전가이드부(140)의 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방지 지지체(130)는 횡방향 유동공간부(125)로 삽입되어 높이조절부(120)에 지지되는 발받침부(131)와, 높이조절부(120)와 발받침부(131) 사이에 결합되어 횡방향 진동 및 하중을 완충 및 지지하는 진동방지부(133)를 포함한다.
발받침부(131)는 지면에 접촉하는 받침부재(131a)와, 받침부재(131a)가 높이조절부(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31b)를 구비한다. 이때, 받침부재(131a)와 이탈방지부재(131b)는 장볼트 및 너트의 체결을 통해 상호 결합된다.
또한, 받침부재(131a)에는 회전가이드부(140)가 결합되는 안착홈부(131a')가 형성되고, 이탈방지부재(131b)에는 발받침부(131)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진동방지부(133)를 커버하는 커버플레이트(131b')가 연장 형성된다.
진동방지부(133)는 이탈방지부재(131b)와 접촉하도록 제1결합홈부(121a)에 결합되며, 고정구(110) 및 발받침부(131)의 횡방향 진동 및 하중을 완충 및 지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방지부(133)는 횡방향 진동 및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충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고무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방지부(133)는 높이조절부(120)의 제1결합홈부(121a)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33a)와, 발받침부(131)의 이탈방지부재(131b)에 지지하는 지지날개부재(133b)를 포함한다. 이때, 진동방지부(133)는 진동의 흡수가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고정부재(133a)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고정부재(133a)는 링 형태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외면이 제1결합홈부(121a)에 결합되고, 내면에 지지날개부재(133b)가 돌출 형성된다.
지지날개부재(133b)는 고정부재(133a)의 내면에서 이격되게 등간격으로 복수개 돌출 형성되는 제1지지날개(133c)와, 제1지지날개(133c)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부재(133a)의 내면에서 이격되게 등간격으로 복수개 돌출 형성되는 제2지지날개(133d)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날개부재(133b)는 횡방향의 진동 및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제1지지날개(133c)와 제2지지날개(133d)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다. 예를 들어 지지날개부재(133b)는 제1지지날개(133c)의 길이가 제2지지날개(133d)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때, 제1지지날개(133c)는 그 끝단부가 제2지지날개(133d)를 커버하도록 상호 중첩되게 접촉된다.
또한, 지지날개부재(133b)는 제1지지날개(133c)와 제2지지날개(133d)가 굴곡지게 형성되며, 휨변형을 통해 받침부재(131a)의 하중 및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방지부(133)는 횡방향의 하중 및 진동이 가해지면 제1지지날개(133c)와 제2지지날개(133d)가 압축 및 이완되면서 그 하중 및 진동을 완충 및 지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100)는, 높이조절부(120)와 발받침부(131) 사이에 회전가이드부(140)가 구비되어 높이조절부(120)의 회전을 보다 원활하게 가이드함과 동시에 횡방향 진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회전가이드부(140)는 발받침부(131)와 높이조절부(120) 사이에 구비되며, 높이조절부(120)의 회전 및 발받침부(131)의 회방향 진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회전가이드부(140)는, 발받침부(131)의 안착홈부(131a')에 결합되는 제1지지판부재(141)와, 높이조절부(120)의 제2결합홈부(121b)에 결합되는 제2지지판부재(143)와, 제1지지판부재(141)와 제2지지판부재(143) 사이에 결합되는 회전가이드부재(145)를 포함한다.
제1지지판부재(141), 제2지지판부재(143) 및 회전가이드부재(145)는 이탈방지부재(131b)가 관통하도록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접촉에 의한 마모가 최소화되도록 금속재질에 의해 제작된다.
회전가이드부재(145)는 높이조절부(12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볼부재(147)를 구비하며, 볼부재(147)의 결합을 위한 볼설치공(145a)이 형성된다. 회전가이드부재(145)는 제2결합홈부(121b)에 결합되며, 볼부재(147)의 상단 및 하단이 제2지지판부재(143) 및 제1지지판부재(141)에 각각 접촉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높이조절부(120)에 진동방지부(133)와 회전가이드부(140)를 결합한 후, 설치부재(121)에 받침부재(131a)와 이탈방지부재(131b)를 결합하여 진동방지 지지체(130)를 높이조절부(120)에 설치한다. 이후, 고정구(110)를 가구(10)에 고정하고, 높이조절부(120)의 조절나사부(123)를 고정구(110)의 작동나사부(111)에 체결하여 높이조절부(120)를 고정구(110)에 연결한다.
이후, 가구(10)를 지면에 설치하면 발받침부(131)의 받침부재(131a)가 지면에 접촉되면서 가구(10)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지면의 상태에 따라 가구(10)의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높이조절부(120)를 회전시켜 가구(10)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때, 높이조절부(120)를 회전하면 고정구(110)가 조절나사부(123)를 따라 상하로 이송된다.
그리고 가구(10)의 배치가 완료된 후, 발받침부(131)에 횡방향 진동 및 하중이 발생하면 그 진동 및 하중을 진동방지부(133)가 완충 및 지지하므로, 가구(10)의 진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100)는, 높이조절부(120)와 발받침부(131) 사이에 횡방향 진동 및 하중을 흡수할 수 있는 진동방지부(133)가 구비되므로, 가구(10) 배치 후, 가구(10) 및 지면에서 발생하는 횡방향의 진동 및 하중이 가구(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외력에 의한 가구(10)의 진동과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100)는, 발받침부(131)의 진동 및 하중을 제1지지날개(133c)와 제2지지날개(133d)에 의해 완충 및 지지되므로, 가구(10)로 전달되는 횡방향의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및 완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100)는, 볼부재(147)를 구비하는 회전가이드부(140)를 이용하여 높이조절부(120)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발받침부(131)가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높이조절부(120)가 원활하게 회전되어 가구(10)의 높이조절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가구용 횡방향 진동 감쇄장치 110 : 고정구
111 : 작동나사부 120 : 높이조절부
121 : 설치부재 123 : 조절나사부
125 : 횡방향 유동공간부 130 : 진동방지 지지체
131 : 발받침부 131a : 받침부재
131b : 이탈방지부재 131c : 장착홈부
133 : 진동방지부 133a : 고정부재
133b : 지지날개부재 133c : 제1지지날개
133d : 제2지지날개 140 : 회전가이드부
141 : 제1지지판부재 143 : 제2지지판부재
145 : 회전가이드부재 145a : 볼설치공
147 : 회전가이드부재

Claims (6)

  1. 가구와 결합되는 고정구; 상기 고정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와 결합되어 지면에 지지되며, 상기 가구 및 상기 지면에서 전달되는 수평방향의 진동 및 하중에 의해 상기 가구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진동방지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방지 지지체는, 상기 높이조절부에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부를 지지하는 발받침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와 상기 발받침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횡방향 진동 및 하중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횡방향 진동 및 하중을 지지하는 진동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방지부는,
    상기 높이조절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발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날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받침부는,
    상기 높이조절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받침부재; 및
    상기 진동방지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진동방지 지지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날개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이격되게 복수개 구비되며,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날개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서 이격되게 복수개 돌출 형성되는 제1지지날개; 및
    상기 제1지지날개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지지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날개와 상기 제2지지날개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
KR1020170050658A 2017-04-19 2017-04-19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 KR101984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658A KR101984374B1 (ko) 2017-04-19 2017-04-19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658A KR101984374B1 (ko) 2017-04-19 2017-04-19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492A KR20180117492A (ko) 2018-10-29
KR101984374B1 true KR101984374B1 (ko) 2019-05-30

Family

ID=64101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658A KR101984374B1 (ko) 2017-04-19 2017-04-19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3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526B1 (ko) * 2016-12-02 2017-02-10 주식회사 우드메탈 내진용 조절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232Y1 (ko) * 2008-05-06 2012-05-10 주식회사 에스피케이 얼라이언스 스프링 구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526B1 (ko) * 2016-12-02 2017-02-10 주식회사 우드메탈 내진용 조절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492A (ko) 201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4050B2 (en) Self-leveling foot for an appliance
KR101984376B1 (ko) 가구용 횡방향 진동 감쇄장치
KR101239311B1 (ko) 수평유지 조립체
US5794912A (en) Constant horizontal natural frequency vibration isolation mount pad insert
KR101100291B1 (ko) 마루 받침장치
KR101078399B1 (ko) 내력가변형 마찰댐퍼
KR101984374B1 (ko)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
KR101940691B1 (ko) 내진성능을 가지는 가구용 받침장치
KR101984375B1 (ko) 가구용 진동 방지장치
CN212250382U (zh) 缓冲结构、压缩机和制冷设备
KR101881477B1 (ko) 마루 받침장치
JP5399096B2 (ja) 床支持吸振具、及び、床構造
KR101022301B1 (ko) 드럼세탁기용 5점지지 구조
JP5128969B2 (ja) 床支持吸振具、及び、床構造
KR200483515Y1 (ko)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
JP6406925B2 (ja) 耐震機構及び防振装置
JP4842786B2 (ja) 床束緩衝機構
JP6329803B2 (ja) 床の防振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防振床構造
JP5507314B2 (ja) 床支持具及び床構造
KR101876058B1 (ko) 조립식 마루판 고정장치
JP6396776B2 (ja) 移動間仕切用防振装置
KR101613567B1 (ko) 방진 마운트
KR102354670B1 (ko) 마루구조용 멀티 방진시스템
JPH09125657A (ja) 床材支持具
KR102174840B1 (ko) 방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