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691B1 - 내진성능을 가지는 가구용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내진성능을 가지는 가구용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691B1
KR101940691B1 KR1020180012759A KR20180012759A KR101940691B1 KR 101940691 B1 KR101940691 B1 KR 101940691B1 KR 1020180012759 A KR1020180012759 A KR 1020180012759A KR 20180012759 A KR20180012759 A KR 20180012759A KR 101940691 B1 KR101940691 B1 KR 101940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lower body
vacuum
groov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드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드메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드메탈
Priority to KR1020180012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47B91/026Foot attached to a rotating nut supported on an external thr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12Leg supports, e.g. cup-shaped, also under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4Legs

Landscapes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바닥면에 대한 가구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함은 물론, 특히, 지진 등과 같은 자연재해시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진동하중을 안정적으로 상쇄하여 넘어지거나 붕괴하지 않아 2차사고를 방지하도록, 가구의 저면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나사산들이 형성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외주면이 나사결합하는 너트홈이 형성된 '관(管;cylinder)' 형상의 하부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구용 받침장치에 있어서; 재질적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상기 하부몸체의 저면에 구비되는 고정홈에 채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가지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진성능을 가지는 가구용 받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진성능을 가지는 가구용 받침장치{Earthquake resistant branches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의 저면에 결합되어 바닥면에 대한 받침지지하도록 된 가구용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면에 대한 가구의 높이를 조절하도록함은 물론, 특히, 지진 등과 같은 자연재해시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진동하중을 안정적으로 상쇄하여 넘어지거나 붕괴하지 않아 2차사고를 방지하도록 된 내진성능을 가지는 가구용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寢臺), 소파(sofa), 책상, 의자, 장식장 등과 같은 가구에는, 바닥 모서리면에는 바닥면에 이들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가구용 받침장치는, 통상적으로,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부 및 가구의 저면에 고정되는 지지판 및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받침부재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구는 놓여지는 장소의 바닥이 평평하지 못하거나 수평 상태가 아닐 때, 가구의 넘어짐 현상 및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또한 바닥에서부터 소정높이로 가구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가구의 다리 또는 수직프레임 또는 지지프레임 등에 수평 및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가구용 높이조절수단은, 통상적으로, 가구의 수평을 맞추어 가구에 형성된 도어 등의 구조물이 올바르게 작동하도록 하여 사용수명 및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한 것으로, 가구의 다리부분에 암나사를 구비한 너트부가 설치되고, 상기 너트부에 나사결합되어 나사조절되면서 가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볼트부로 이루어져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2-0030382호(명칭: 가구 받침장치/2002.10.1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며, 내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바디와; 바디의 상단부에 위치되며, 가장자리 외면을 따라서는 가구의 하면에 고정스크류를 통해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중심면에는 나사구멍이 형성된 가이더가 일체로 마련된 고정 플레이트와; 바디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바닥면에 밀착되며, 내부 중심면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지지대와; 지지대의 관통구멍으로부터 삽입되어 고정 플레이트의 가이더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체결되어바디와 고정 플레이트 및 지지대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고정 스크류와; 지지대의 하면에 마련되어, 고정 스크류로 일체로 결합된 바디와 고정 플레이트 및 지지대가 바닥면으로부터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미끄럼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가구용 받침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51706호(명칭: 이동 및 고정 기능을 갖는 받침다리/2013.05.0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가전제품이나 가구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면에 부착되는 플랜지가 상단에 형성되고,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내측바디; 상기 내측바디의 외주에 나사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지면에하단이 지지되는 외측바디; 상기 내측바디의 저면에 결합되어 구름작동되는 롤링부재;를 포함하는 받침다리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7-0007283호(명칭: 가구용 높이조절장치/2017.01.1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하단에 내측방향으로 소정깊이를 구비하고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된 삽입홀을 구비하는 프레임; 프레임의 삽입홀 및 개방구내로 일측이 결합되는 높이조절홀더; 프레임이 관통삽입되는 체결홀을 구비하고, 체결홀의 내면에 형성된 내측스크류가 높이조절홀더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커버; 높이조절커버의 하측에 결합되고 바닥면에 접촉지지되는 받침구를 포함하는 가구용 높이조절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7-0156943호(명칭: 내진구조를 갖는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2017.11.23)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가구의 바닥에 고정되게 조립되며, 수직방향의 제1관통공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상단 고정체; 상기 제1관통공을 관통하는 구조로 상단 고정체에 조립되어 가구의 내부로 노출되며 상면에 다각형의 공구 삽입홈이 형성된 관통축과, 상기 관통축의 하부에서 관통축과 동축상에 정렬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나사축과, 밑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중간 회전체; 상기 중간 회전체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중간 회전체와 결합되고, 일부가 중간 회전체의 하부로 돌출되어 중간 회전체를 대신하여 지면에 닿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나사축이 관통하는 제2관통공과, 나사축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암나사부가 형성된 하단 받침체;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 고정체에는 제1관통공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확장되는 환형의 구조를 가지며, 상단 고정체의 하부로 개방되되, 걸림단에 의해 밑면의 일부가 폐쇄된 홈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관통축에는 관통축과 제1관통공의 결합시 상기 홈부에 삽입된 후 걸림단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원판형의 조립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홈부의 내주면과 조립부의 외주면 사이에는 조립부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허용하는 유동틈새가 형성된 가구용 높이조절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1.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2-0030382호(명칭: 가구 받침장치/2002.10.11.) 2.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51706호(명칭: 이동 및 고정 기능을 갖는 받침다리/2013.05.08) 3.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7-0007283호(명칭: 가구용 높이조절장치/2017.01.16) 4.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7-0156943호(명칭: 내진구조를 갖는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2017.11.23)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구용 받침장치들은, 지진 등과 같은 자연재해시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진동하중에 의해 쉽게 넘어지거나 붕괴하여 2차사고를 발생시켜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면에 대한 가구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함은 물론, 특히, 지진 등과 같은 자연재해시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진동하중을 안정적으로 상쇄하여 넘어지거나 붕괴하지 않아 2차사고를 방지하도록 된 내진성능을 가지는 가구용 받침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내진성능을 가지는 가구용 받침장치는, 가구의 저면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나사산들이 형성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외주면이 나사결합하는 너트홈이 형성된 '관(管;cylinder)' 형상의 하부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구용 받침장치에 있어서; 재질적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상기 하부몸체의 저면에 구비되는 고정홈에 채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가지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가구용 받침장치는, 상부몸체를 통해 가구의 저면에 결합되고 하부몸체를 통해 바닥면에 대한 받침 지지함은 물론,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나사결합에 따른 하부몸체의 저면과 상부몸체의 상면과의 사이 간격의 조절을 통해 바닥면에 대한 가구의 높이를 조절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지지수단을 통해 지진 등과 같은 자연재해시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진동하중을 탄성적으로 상쇄하여 넘어지거나 붕괴하지 않아 2차사고를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받침장치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받침장치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받침장치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받침장치를 구성하는 내진수단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받침장치를 구성하는 내진수단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받침장치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받침장치를 구성하는 흡착수단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받침장치를 구성하는 흡착수단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각용 받침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받침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받침장치(1)는, 가구(11)의 저면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나사산들이 형성된 상부몸체(2)와; 상기 상부몸체(2)의 외주면이 나사결합하는 너트홈이 형성된 '관(管;cylinder)' 형상의 하부몸체(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상부몸체(2)를 통해 상기 가구(11)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몸체(3)를 통해 바닥면에 대한 받침 지지함은 물론, 상기 상부몸체(2)와 상기 하부몸체(3)의 나사결합에 따른 상기 하부몸체(3)의 저면과 상기 상부몸체(2)의 상면과의 사이 간격의 조절을 통해 바닥면에 대한 가구(11)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부몸체(2)의 상단에는, 상기 가구(11)의 저면에 고정피스(볼트, 못 등)(22)를 통해 결합되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고정판(2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받침장치(1)는, 재질적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지지판(41)과, 상기 지지판(41)의 상면에 상기 하부몸체(3)의 저면에 구비되는 고정홈(31)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42)를 가지는 지지수단(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지수단(4)을 통해 지진 등과 같은 자연재해 시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진동하중을 탄성적으로 상쇄하여 넘어지거나 붕괴하지 않아 2차사고를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에서 지지판(41)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저면이 바닥면과 탄력적으로 밀착 지지하여, 마찰력을 확보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진동하중에 인가에 따른 유동에도 붕괴하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고정부재(42)는, 상기 지지판(41)의 상면 중앙에서 상부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3)의 저면 중앙에서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고정홈(31)에 끼움결합하는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하부몸체(3)는, 내주면에 너트홈이 형성된 '관(管;cylinder)'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며, 내측하부에 상기 고정홈(31)을 가지는 고정통(32)의 외측면에서 내주면을 연결하는 연결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받침장치(1)에서, 상기 지지판(41)의 저면에는,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을 가지면서 형성된 '환(環;ring)' 형상의 흡착홈(43)들이 각각 다른 반경을 가지면서 구비되어, 바닥면과의 밀착시 흡착하여 바닥면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받침장치(1)는, 상기 상부몸체(2)와 상기 하부몸체(3)의 나사결합에 따른 하부몸체(3)의 저면과 상부몸체(2)의 상면과의 사이 간격의 조절을 통해 바닥면에 대한 가구(11)의 높이를 조절함은 물론, 상기 지지수단(4)을 통해 외부에서 인가되는 진동하중을 탄성적으로 상쇄하여 넘어지거나 붕괴하지 않아 2차사고를 방지하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받침장치(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받침장치(1)에서, 상기 하부몸체(3)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수단(4)을 경유하여 바닥면에서 인가되는 진동하중을 흡수한 후, 진동적으로 상쇄하여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도록 된 내진수단(5)을 가진다.
즉, 상기 내진수단(5)을 통해 상기 하부몸체(3)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진동하중을 안정적으로 상쇄하게 된다.
상기에서 내진수단(5)은, 상기 하부몸체(3)의 내부에 배치되는 진동자(51)와, 상기 진동자(51)의 양측면에서 상기 하부몸체의 내주면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탄성스프링(5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수단(5)을 경유하여 바닥면에서 인가되는 진동하중을 상기 진동자(51)가 상기 탄성스프링(52)을 통해 탄성적으로 진자운동을 하여 흡수한 후, 진동적으로 상쇄하여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받침장치(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받침장치(1)에서, 상기 지지판(41)의 저면 중앙에는,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진공홈(61)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몸체(3)의 내부에는, 상기 진공홈(61)의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 및 주입하도록 된 진공부재(62)를 가지는 흡착수단(6)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진공부재(62)를 통해 상기 진공홈(61)의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지지판(41)이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홈(61)이 진공흡착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바닥면과 밀착되는 상기 지지판(41)이 상기 진공홈(61)의 흡착력을 통해 확고히 고정됨에 따라, 바닥면에서 진동하중이 인가되어 유동되더라도, 흔들리거나 붕괴하지 않아 안전성을 더욱 확보하게 된다.
상기에서 진공부재(62)는, 일단에 형성된 흡기구(64)가 상기 진공홈(61)을 관통하면서 상기 진공홈(61)과 내부가 공간적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피스톤(66)이 피스톤로드(67)의 직선왕복운동에 의해 직선왕복운동하여 주행하도록 되며 상기 피스톤(66)의 직선왕복운동시에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배기구(65)를 가지는 진공실린더(63)와; 상기 피스톤(66)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66)의 직선왕복운동시에 상기 진공홈(61)에 잔존하는 공기를 상기 배기구(65)측 방향으로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피스톤(66)에 형성된 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된 일방향체크밸브(6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피스톤로드(67)의 단부가 상기 하부몸체(3)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형성된 것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부몸체(3)의 외부에서 상기 피스톤로드(67)를 사용자가 진퇴운동시키면 상기 진공실린더(63)의 내부에서 상기 피스톤(66)이 진퇴운동을 하면서 상기 진공홈(61)에 잔존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상태를 형성하면서 상기 지지판(41)이 바닥면에 진공흡착고정된다.
한편, 상기 진공실린더(63)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66)을 상기 피스톤로드(67)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지스프링(69)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피스톤로드(67)를 누르면 상기 피스톤(66)이 상기 흡기구(64)측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탄지스프링(69)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기 피스톤(66)의 진퇴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받침장치(1)에서, 상기 진공실린더(63)의 배기구(65)는, 상기 진공실린더(6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진공실린더(63)의 내주면에는, 상기 피스톤(66)이 상기 관통공의 공간이 상기 흡기구(64)와 공간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직선이동을 제한하는 스톱돌부(631)가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피스톤(66)이 상기 관통공과 상기 흡기구(64)를 무단으로 연결하지 않도록 운동거리를 제한하여 무단으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진공홈(61)으로 유입되어 진공상태를 해제하지 않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스톱돌부(631)는,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피스톤로드(67)를 잡아당길 경우, 상기 피스톤(66)이 건너갈 수 있을 정도의 탄성과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필요시, 가구(11)를 이동 또는 운반하고자 바닥면에서 분리하고자 상기 진공홈(61)에 공기를 공급하여 진공흡착력을 제거할 경우에는, 상기 피스톤로드(67)를 잡아당겨 상기 피스톤(66)이 상기 스톱돌부(631)를 넘어 상기 배기구(65)와 상기 흡기구(64)가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진공홈(61)으로 유도되어 진공상태를 해제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가구용 받침장치 11 : 가구
2 : 상부몸체 21 : 고정판
22 : 고정피스 3 : 하부몸체
31 : 고정홈 32 : 고정통
4 : 지지수단 41 : 지지판
42 : 고정부재 43 : 흡착홈
5 : 내진수단 51 : 진동자
52 : 탄성스프링 6 : 흡착수단
61 : 진공홈 62 : 진공부재
63 : 진공실린더 631 : 스톱돌부
64 : 흡기구 65 : 배기구
66 : 피스톤 67 : 피스톤로드
68 : 일방향체크밸브 69 : 탄지스프링

Claims (1)

  1. 가구(11)의 저면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나사산들이 형성된 상부몸체(2)와; 상기 상부몸체(2)의 외주면이 나사결합하는 너트홈이 형성된 '관(管;cylinder)' 형상의 하부몸체(3)와; 재질적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지지판(41)과, 상기 지지판(41)의 상면에 상기 하부몸체(3)의 저면에 구비되는 고정홈(31)에 채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42)를 가지는 지지수단(4)과; 상기 하부몸체(3)의 내부에 배치되는 진동자(51)와, 상기 진동자(51)의 양측면에서 상기 하부몸체의 내주면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탄성스프링(52)들을 가지어, 상기 하부몸체(3)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수단(4)을 경유하여 바닥면에서 인가되는 진동하중을 흡수한 후, 진동적으로 상쇄하여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도록 된 내진수단(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구용 받침장치(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41)의 저면 중앙에는,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진공홈(61)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몸체(3)의 내부에는,
    상기 진공홈(61)의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 및 주입하도록 된 진공부재(62)를 가지는 흡착수단(6)이 구비되며;
    상기 진공부재(62)는,
    일단에 형성된 흡기구(64)가 상기 진공홈(61)을 관통하면서 상기 진공홈(61)과 내부가 공간적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피스톤(66)이 피스톤로드(67)의 직선왕복운동에 의해 직선왕복운동하여 주행하도록 되며 상기 피스톤(66)의 직선왕복운동시에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배기구(65)를 가지는 진공실린더(63)와, 상기 피스톤(66)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66)의 직선왕복운동시에 상기 진공홈(61)에 잔존하는 공기를 상기 배기구(65)측 방향으로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피스톤(66)에 형성된 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된 일방향체크밸브(6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피스톤로드(67)의 단부가 상기 하부몸체(3)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능을 가지는 가구용 받침장치.
KR1020180012759A 2018-02-01 2018-02-01 내진성능을 가지는 가구용 받침장치 KR101940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759A KR101940691B1 (ko) 2018-02-01 2018-02-01 내진성능을 가지는 가구용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759A KR101940691B1 (ko) 2018-02-01 2018-02-01 내진성능을 가지는 가구용 받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691B1 true KR101940691B1 (ko) 2019-01-22

Family

ID=65287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759A KR101940691B1 (ko) 2018-02-01 2018-02-01 내진성능을 가지는 가구용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6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472B1 (ko) * 2021-02-15 2021-05-11 (주)퍼맥스 전도 방지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KR102341199B1 (ko) * 2021-08-12 2021-12-17 문한경 에어콘 실외기 받침대
KR102391851B1 (ko) * 2021-11-22 2022-04-27 문한경 나사로 고정가능한 홀을 포함하는 실외기용 받침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8032U (ja) * 1992-01-22 1993-08-03 戸田建設株式会社 制振家具
KR20130051706A (ko) 2011-11-10 2013-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7283A (ko) 2014-05-15 2017-01-1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트랜시버 내의 다수의 합성기들을 가지는 멀티-웨이 다이버시티 수신기
KR101704526B1 (ko) * 2016-12-02 2017-02-10 주식회사 우드메탈 내진용 조절발
KR101818545B1 (ko) * 2017-11-23 2018-01-15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내진구조를 갖는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8032U (ja) * 1992-01-22 1993-08-03 戸田建設株式会社 制振家具
KR20130051706A (ko) 2011-11-10 2013-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7283A (ko) 2014-05-15 2017-01-1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트랜시버 내의 다수의 합성기들을 가지는 멀티-웨이 다이버시티 수신기
KR101704526B1 (ko) * 2016-12-02 2017-02-10 주식회사 우드메탈 내진용 조절발
KR101818545B1 (ko) * 2017-11-23 2018-01-15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내진구조를 갖는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472B1 (ko) * 2021-02-15 2021-05-11 (주)퍼맥스 전도 방지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KR102341199B1 (ko) * 2021-08-12 2021-12-17 문한경 에어콘 실외기 받침대
KR102391851B1 (ko) * 2021-11-22 2022-04-27 문한경 나사로 고정가능한 홀을 포함하는 실외기용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691B1 (ko) 내진성능을 가지는 가구용 받침장치
US7744050B2 (en) Self-leveling foot for an appliance
KR101885294B1 (ko) 내진성이 향상된 송전탑
TWI605774B (zh) Foot appliance, foot regulator for foot appliances, and foot regulator assembly
KR102000073B1 (ko) 가구용 높낮이조절 받침장치
KR101984376B1 (ko) 가구용 횡방향 진동 감쇄장치
KR101535375B1 (ko) 방진 받침대
JPH0727171A (ja) 防振機構
KR101890834B1 (ko) 실험테이블의 진동 저감장치
CN106440635B (zh) 制冷设备
KR101877406B1 (ko) 실내용품용 면진 받침대
US2890544A (en) Foot construction for vibrating chair
KR101984375B1 (ko) 가구용 진동 방지장치
KR102197809B1 (ko) 내진과 외부 충격 시에 좌우 진동을 흡수하는 수납 가구용 조절장치
KR200463668Y1 (ko) 의자용 완충 유닛
KR200464240Y1 (ko) 의료용 흡입기의 진동방지장치
KR10198949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진공펌프 방진장치
KR200324911Y1 (ko) 가구용 완충장치
KR101984374B1 (ko) 가구용 횡방향 진동 방지장치
KR101916398B1 (ko) 진동흡수용 복원 방진구
KR200444293Y1 (ko) 헬스운동기구의 소음 및 진동흡수 받침구
KR102536679B1 (ko) 샤워부스
JPH0561543U (ja) 防振ゴム
CN217951098U (zh) 一种垫在设备底部的减震支撑块
JP2011219926A (ja) 床支持具及び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