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948B1 - 이너 웨어 - Google Patents

이너 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948B1
KR101983948B1 KR1020180100560A KR20180100560A KR101983948B1 KR 101983948 B1 KR101983948 B1 KR 101983948B1 KR 1020180100560 A KR1020180100560 A KR 1020180100560A KR 20180100560 A KR20180100560 A KR 20180100560A KR 101983948 B1 KR101983948 B1 KR 101983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
wearer
base cloth
innerwear
ham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9431A (ko
Inventor
나미 마사오
도시유키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9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2Elastic corsets
    • A41C1/04Elastic corsets made of rubb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25Loin or waist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43Le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과제) 골반을 올바른 기울기로 유도할 수 있는 이너 웨어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착용자에게 착용되는 이너 웨어로서, 베이스 천과, 장요근 천과, 햄스트링 천을 구비하는 이너 웨어가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 천은, 상기 착용자의 하복부 및 대퇴를 적어도 커버한다. 상기 장요근 천은, 상기 베이스 천에 연결되어 있고, 단독으로 또는 다른 천과 함께 상기 베이스 천보다 고탄성의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착용자의 장요근에 근섬유 방향의 신축을 보조하는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장요근 또는 상기 대퇴의 연결 부위 부근을 커버한다. 햄스트링 천은, 상기 베이스 천에 연결되어 있고, 단독으로 또는 다른 천과 함께 상기 베이스 천보다 고탄성의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착용자의 햄스트링에 근섬유 방향의 신축을 보조하는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햄스트링 또는 상기 대퇴의 이측을 커버한다.

Description

이너 웨어{INNER WEAR}
본 발명은 이너 웨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반을 올바른 기울기로 유도할 수 있는 이너 웨어에 관한 것이다.
골반을 고정시켜 허리를 보호하는 가장 일반적인 요통 대책 기구로서 코르셋이 알려져 있다. 코르셋은, 긴급 대책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즉효성이 높고, 착탈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 한편으로, 코르셋은, 올바른 장착 위치로부터의 어긋나 올라감에 의해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 코르셋은, 장기 사용에 의해 오히려 근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어, 착용자는 더욱 더 코르셋의 장착이 필요해져, 사용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 또, 특허문헌 1 과 같은 골반 교정용의 하반신용 속옷도 알려져 있다.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183358호
그런데, 골반 둘레의 근력의 밸런스가 나쁘면, 골반이 앞쪽으로 기울거나 또는 뒷쪽으로 기운다. 도 1a 는, 골반이 올바른 위치에 있는 사람의 모식적인 골반 부근의 측면도이고, 도 1b 는, 휘어진 허리의 사람의 모식적인 골반 부근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모식적으로 삼각형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이 골반이다. 일반적으로는 여성에게 많이 보이는 경향이 있지만, 복근, 장요근 및 대퇴의 이측의 햄스트링 등의 골반 둘레의 근육이 약하고, 한편으로 배근이 비교적 강하면, 도 1b 와 같이 골반이 앞쪽으로 기운다. 또,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골반 둘레의 근력의 밸런스가 나쁘면, 골반이 뒷쪽으로 기우는 경우도 있다. 골반의 앞쪽으로 기움 및 뒷쪽으로 기움은, 요통의 원인도 될 수 있기 때문에 그 대책이 중요하지만, 코르셋과 같은 골반 둘레만의 보호로는 효과가 부족하다. 또, 특허문헌 1 의 하반신용 속옷도, 골반의 앞쪽으로 기움 및 뒷쪽으로 기움의 교정에는 불충분하다.
본 발명은, 골반을 올바른 기울기로 유도할 수 있는 이너 웨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 1 관점에 관련된 이너 웨어는, 착용자에게 착용되는 이너 웨어로서, 베이스 천과, 장요근 천과, 햄스트링 천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천은, 상기 착용자의 하복부 및 대퇴를 적어도 커버한다. 상기 장요근 천은, 상기 베이스 천에 연결되어 있고, 단독으로 또는 다른 천과 함께 상기 베이스 천보다 고탄성의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착용자의 장요근에 근섬유 방향의 신축을 보조하는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장요근 또는 상기 대퇴의 연결 부위 부근을 커버한다. 햄스트링 천은, 상기 베이스 천에 연결되어 있고, 단독으로 또는 다른 천과 함께 상기 베이스 천보다 고탄성의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착용자의 햄스트링에 근섬유 방향의 신축을 보조하는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햄스트링 또는 상기 대퇴의 이측을 커버한다.
제 2 관점에 관련된 이너 웨어는, 제 1 관점에 관련된 이너 웨어로서, 상기 베이스 천에 연결되어 있고, 단독으로 또는 다른 천과 함께 상기 베이스 천보다 고탄성의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착용자의 둔부를 들어올리도록 상기 둔부의 하부를 커버하는 히프 업 천을 추가로 구비한다.
제 3 관점에 관련된 이너 웨어는, 제 2 관점에 관련된 이너 웨어로서, 상기 햄스트링 천과 상기 히프 업 천은 별체이다.
제 4 관점에 관련된 이너 웨어는, 제 1 관점 내지 제 3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이너 웨어로서, 상기 햄스트링 천의 높이 방향의 탄성률은, 수평 방향의 탄성률보다 작다.
제 5 관점에 관련된 이너 웨어는, 제 1 관점 내지 제 4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이너 웨어로서, 상기 장요근 천은, 길이 방향이 상기 대퇴의 연결 부위를 따라 연장된다.
제 6 관점에 관련된 이너 웨어는, 제 1 관점 내지 제 5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이너 웨어로서, 상기 장요근 천의, 상기 대퇴의 연결 부위를 따르는 제 1 방향의 탄성률은,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의 탄성률보다 작다.
제 7 관점에 관련된 이너 웨어는, 제 1 관점 내지 제 5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이너 웨어로서, 상기 장요근 천의, 상기 대퇴의 연결 부위를 따르는 제 1 방향의 탄성률은,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의 탄성률보다 크다.
제 8 관점에 관련된 이너 웨어는, 제 1 관점 내지 제 7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이너 웨어로서, 상기 베이스 천에 연결되어 있고, 단독으로 또는 다른 천과 함께 상기 베이스 천보다 고탄성의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착용자의 하복부를 커버하는 하복부 천을 추가로 구비한다.
제 9 관점에 관련된 이너 웨어는, 제 1 관점 내지 제 8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이너 웨어로서, 상기 베이스 천에 연결되어 있고, 단독으로 또는 다른 천과 함께 상기 베이스 천보다 고탄성의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착용자의 골반을 벨트상으로 커버하는 골반 천을 추가로 구비한다.
제 10 관점에 관련된 이너 웨어는, 제 1 관점 내지 제 9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이너 웨어로서, 상기 장요근 천은, 상기 베이스 천보다 고탄성이다.
제 11 관점에 관련된 이너 웨어는, 제 1 관점 내지 제 10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이너 웨어로서, 상기 햄스트링 천은, 상기 베이스 천보다 고탄성이다.
이상의 관점에 의하면, 착용자의 하복부 및 대퇴를 적어도 커버하는 베이스 천과, 장요근 또는 대퇴의 연결 부위 부근을 커버하는 장요근 천과, 햄스트링 또는 대퇴의 이측을 커버하는 햄스트링 천을 구비하는 이너 웨어가 제공된다. 장요근 천 및 햄스트링 천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다른 천과 함께 베이스 천보다 고탄성의 부위를 형성하고, 각각 착용자의 장요근 및 햄스트링에 근섬유 방향의 신축을 보조하는 힘을 작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골반 둘레의 근육의 밸런스를 유지하여, 골반을 올바른 기울기로 유도할 수 있다.
도 1a 는, 골반이 올바른 위치에 있는 사람의 모식적인 골반 부근의 측면도이다.
도 1b 는, 휘어진 허리의 사람의 모식적인 골반 부근의 측면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이너 웨어의 전면측의 표면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2b 는, 도 2a 의 이너 웨어의 배면측의 표면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2c 는, 도 2a 의 이너 웨어의 전면측의 이면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2d 는, 도 2a 의 이너 웨어의 배면측의 이면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3a 는, 하복부 천의 전개도이다.
도 3b 는, 다른 1 장의 하복부 천의 전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이너 웨어에 대해 설명한다.
<1. 이너 웨어의 전체 구성>
도 2a ∼ 도 2d 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이너 웨어 (100) 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 는, 착용자에게 착용되었을 때의 이너 웨어 (100) 의 표면을 나타내고 있고, 전자가 착용자의 전면측에서 본 도면이고, 후자가 배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한편, 도 2c 및 도 2d 는, 이너 웨어 (100) 를 표면이 내측에 오도록 뒤집었을 때의 외관도이다. 따라서, 도 2c 및 도 2d 는, 이너 웨어 (100) 의 이면을 나타내고 있고, 전자가 착용자의 전면측에서 본 도면이고, 후자가 배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여기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전면 및 배면, 그리고 상하 및 좌우는, 이너 웨어 (100) 를 착용한 상태의 착용자를 기준으로 정의된다. 또, 높이 방향은 상하 방향을 의미하고, 수평 방향은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도 2a ∼ 도 2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이너 웨어 (100) 는, 일반적으로 거들이라고 칭해지는 타입의 이너 웨어로서, 착용자의 하반신, 보다 구체적으로는, 착용자의 둔부, 하복부 및 대퇴를 포함하는, 허리에서 무릎 위까지의 부위를 커버한다. 이너 웨어 (100) 는, 허리에서 무릎 위까지의 부위 전체를 커버하는 베이스 천 (1) 을 가짐과 함께, 이 베이스 천 (1) 에 연결되는 각종 천 (20, 30, 40, 50, 60, 70 및 80) 을 추가로 갖는다. 이들 천 (20, 30, 40, 50, 60, 70 및 80) 은, 베이스 천 (1) 에 부가적인 각종 기능을 부여하고, 덧대는 천으로서 베이스 천 (1) 에 서로 겹쳐지도록 꿰매어 붙여진다. 이너 웨어 (100) 는, 베이스 천 (1) 및 천 (20, 30, 40, 50, 60, 70 및 80) 의 소정의 지점을 봉제하고, 잇댐으로써 제조된다.
천 (20, 40, 50, 60, 70 및 80) 은, 신체의 소정의 부위를 서포트하는 기능을 갖는 서포트 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포트 천 (20, 40, 50, 60, 70 및 80) 은, 베이스 천 (1) 보다 고탄성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서포트 천 (20, 40, 50, 60, 70 및 80) 에 커버되는 신체의 부위를 조인다. 본 실시형태의 이너 웨어 (100) 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기능은, 골반 및 골반 둘레의 근육을 서포트하여 골반의 위치를 교정하는 기능으로서, 착용자의 요통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다.
<2. 각 부의 구성>
이하, 이너 웨어 (100) 를 구성하는 각종 천 (1, 20, 30, 40, 50, 60, 70 및 80) 에 대해 설명한다.
<2-1. 베이스 천>
베이스 천 (1) 은, 3 종류의 천 (11, 12 및 13) 에 의해 구성된다. 천 (11) 은, 주로 우둔부, 우하복부 및 우대퇴를 커버하는 우길 (11R) 과, 주로 좌둔부, 좌하복부 및 좌대퇴를 커버하는 좌길 (11L) 을 포함하고, 천 (11R) 과 천 (11L) 은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는다.
천 (12) 은, 하복부의 좌우 중앙 부근을 커버하는 천으로서, 대략 역사다리꼴이다. 천 (12) 의 사다리꼴의 각 (脚) 에 대응하는 좌우의 가장자리 (12L 및 12R) 가, 각각 좌길 (11L) 및 우길 (11R) 의 전면측의 가장자리의 상부와 꿰매어진다. 천 (13) 은, 고부 (股部) 를 커버하는 천으로서, 대략 사각형상이다. 천 (13) 의 1 변에 대응하는 가장자리는, 천 (12) 의 밑변에 대응하는 가장자리 (12D) 와 꿰매어진다. 또, 천 (13) 의 다른 2 변에 대응하는 가장자리는, 천 (12) 의 하방에 있어서, 각각 좌길 (11L) 및 우길 (11R) 의 전면측의 가장자리의 상하 중앙부에 꿰매어진다. 또한, 좌길 (11L) 및 우길 (11R) 의 배면측의 가장자리의 상부끼리가 서로 꿰매어진다. 이로써, 둔부 및 하복부를 커버하는 통상의 부위가 형성된다.
우길 (11R) 의 전면측의 가장자리의 하부와, 배면측의 가장자리의 하부가 꿰매어진다. 이로써, 착용자의 오른쪽 다리가 빠져 나가고, 오른쪽 대퇴를 덮는 통상의 부위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좌길 (11L) 의 전면측의 가장자리의 하부와, 배면측의 가장자리의 하부가 꿰매어진다. 이로써, 착용자의 왼쪽 다리가 빠져 나가고, 왼쪽 대퇴를 덮는 통상의 부위가 형성된다. 또한, 천 (13) 의 나머지 1 변에 대응하는 가장자리는, 좌길 (11L) 및 우길 (11R) 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가장자리의 상하 중앙부에 꿰매어진다.
이상과 같이, 우길 (11R) 및 좌길 (11L), 그리고 천 (12 및 13) 의 4 장의 천을 모두 연결하면, 거들의 형상의 베이스 천 (1) 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천 (1) 을 구성하는 이들 4 장의 천 (11R, 11L, 12 및 13) 은, 모두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신축성이 풍부하다. 그 결과, 베이스 천 (1) 은, 착용자가 이너 웨어 (100) 를 착용하였을 때에, 적당한 압박력으로 착용자의 둔부, 하복부 및 대퇴에 딱 피트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2-2. 하복부 천>
천 (20) 은, 하복부의 좌우 중앙 부근을 커버하는 천으로서, 2 층 구조이다. 도 3a 및 도 3b 에 각각, 2 층 구조의 천 (20) 을 구성하는 2 장의 천 (20A 및 20B) 을 나타낸다. 이하, 이들 천 (20A 및 20B) 을 하복부 천이라고 부른다. 하복부 천 (20A 및 20B) 은, 베이스 천 (1) 에 포함되는 하복부의 좌우 중앙 부근을 커버하는 천 (12) 과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고, 대략 역사다리꼴이다. 하복부 천 (20A 및 20B) 과 천 (12) 은, 서로 3 층 구조로 중첩되고, 3 장의 천 (20A, 20B 및 12) 의 외주끼리가 꿰매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복부 천 (20B) 은, 천 (12) 의 내측 (착용자측) 에 겹쳐지고, 또한 하복부 천 (20B) 의 내측 (착용자측) 에 하복부 천 (20A) 이 겹쳐진다. 즉, 하복부 천 (20B) 은, 천 (12) 과 하복부 천 (20A) 사이에 가두어지는 중포 (中布) 이다. 하복부 천 (20A 및 20B) 은, 이너 웨어 (100) 의 내측에 꿰매어 붙여지기 때문에,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 장의 하복부 천 (20A 및 20B) 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도 베이스 천 (1) 보다 고탄성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또한 서로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단, 이들 하복부 천 (20A 및 20B) 은, 신축성의 배향이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a 및 도 3b 에는, 각각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화살표가 나타나 있는데, 이들 화살표는, 탄성률이 가장 낮은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복부 천 (20A 및 20B) 은, 가장 신축성이 풍부한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복부 천 (20A) 은, 상하 방향으로 가장 신축되기 쉽고, 하복부 천 (20B) 은, 좌우 방향으로 가장 신축되기 쉽다. 그러나, 이 신축 방향의 배향은 반대여도 된다. 또한, 도 2c 및 도 2d 에도, 도 3a 및 도 3b 와 동일한 화살표가 나타나는데, 이들 화살표도 탄성률이 가장 낮은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결과, 하복부 천 (20A 및 20B) 은, 착용자가 이너 웨어 (100) 를 착용하였을 때에, 베이스 천 (1) 보다 강한 압박력으로 착용자의 하복부에 딱 피트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복부 천 (20A 및 20B) 은, 이너 웨어 (100) 를 착용한 착용자의 복근에 압박력을 작용시켜, 복근 및 그 주위를 조일 수 있다. 도 1a 및 도 1b 에는, 복근의 위치가 나타나 있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복부 천 (20A 및 20B) 에 의한 복근의 조임은, 예를 들어, 휘어진 허리의 사람의 앞쪽으로 기운 골반의 전면측을 끌어올리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2-3. 고부 천>
천 (30) 은, 고부를 커버하는 천이다. 이하, 천 (30) 을 고부 천이라고 부른다. 고부 천 (30) 은, 베이스 천 (1) 에 포함되는 고부를 커버하는 천 (13) 과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고, 대략 사각형상이다. 고부 천 (30) 과 천 (13) 은, 서로 2 층 구조로 중첩되고, 2 장의 천 (30 및 13) 의 외주끼리가 꿰매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부 천 (30) 은, 천 (13) 의 내측 (착용자측) 에 겹쳐진다. 따라서, 고부 천 (30) 은, 이너 웨어 (100) 의 내측에 꿰매어 붙여지기 때문에,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2-4. 고무 테이프>
천 (40) 은, 가늘고 긴 고무 테이프 (이하, 고무 테이프에도 부호 40 을 부여한다) 로서, 베이스 천 (1) 의 최상부에 있어서, 허리 둘레를 따라 한 바퀴 돌도록 연장된다. 고무 테이프 (40) 와 베이스 천 (1) 의 최상부는, 서로 2 층 구조로 중첩되고, 고무 테이프 (40) 의 폭 방향의 양단 (상하단) 에 있어서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꿰매어진다. 또, 길이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도 각각 폭 방향을 따라 꿰매어진다. 고무 테이프 (40) 는, 베이스 천 (1) 의 내측 (착용자측) 에 겹쳐진다. 따라서, 고무 테이프 (40) 는, 이너 웨어 (100) 의 내측에 꿰매어 붙여지기 때문에,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무 테이프 (40) 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도 베이스 천 (1) 보다 고탄성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무 테이프 (40) 는, 길이 방향 (좌우 방향) 으로 가장 신축되기 쉽다. 따라서, 착용자가 이너 웨어를 착탈할 때에, 이너 웨어 (100) 의 허리 둘레의 부분이 둔부의 팽창 등을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어, 착탈이 용이해진다. 또, 고무 테이프 (40) 는, 착용자가 이너 웨어 (100) 를 착용하였을 때에, 베이스 천 (1) 보다 강한 압박력으로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딱 피트되기 때문에, 착용시의 이너 웨어 (100) 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2-5. 골반 천>
천 (50) 은, 골반을 벨트상으로 커버하는 메시 고무로 이루어지는 천이다. 이하, 천 (50) 을 골반 천이라고 부른다. 골반 천 (50) 은, 천 (50L 및 50R) 을 포함하고, 천 (50L) 과 천 (50R) 은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는다. 천 (50L) 은, 주로 골반의 좌측을 커버하는 천이고, 천 (50R) 은, 주로 골반의 우측을 커버하는 천이고, 천 (50L 및 50R) 은, 2 장 1 조가 되어 골반 둘레를 대체로 한 바퀴 커버한다. 골반 천 (50L 및 50R) 은, 각각 베이스 천 (1) 에 포함되는 좌길 (11L) 및 우길 (11R) 의 골반 둘레를 커버하는 부위와, 2 층 구조를 구성하도록 중첩되고, 골반 천 (50L 및 50R) 의 폭 방향의 양단 (상하단) 에 있어서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꿰매어진다. 또, 길이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도 각각 폭 방향을 따라 꿰매어진다. 골반 천 (50L 및 50R) 은, 베이스 천 (1) 의 외측에 겹쳐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골반 천 (50L 및 50R) 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도 베이스 천 (1) 보다 고탄성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또한 서로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골반 천 (50L 및 50R) 은, 길이 방향 (좌우 방향) 으로 가장 신축되기 쉽다. 따라서, 착용자가 이너 웨어를 착탈할 때에, 이너 웨어 (100) 의 허리 둘레의 부분이 둔부의 팽창 등을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어, 착탈이 용이해진다.
또, 이상의 결과, 골반 천 (50L 및 50R) 은, 착용자가 이너 웨어 (100) 를 착용하였을 때에, 베이스 천 (1) 보다 강한 압박력으로 착용자의 골반 둘레에 딱 피트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착용시의 이너 웨어 (100) 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골반 천 (50R 및 50L) 은, 이너 웨어 (100) 의 착용자의 골반에 조임력을 작용시켜, 골반을 조이도록 서포트할 수 있다.
<2-6. 장요근 천>
천 (60) 은, 장요근 또는 대퇴의 연결 부위 부근을 커버하는 가늘고 긴 천이다. 이하, 천 (60) 을 장요근 천이라고 부른다. 천 (60) 은, 천 (60L 및 60R) 을 포함하고, 천 (60L) 과 천 (60R) 은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는다. 천 (60L) 은, 주로 장요근 또는 대퇴의 연결 부위 부근의 좌측을 커버하는 천이고, 천 (60R) 은, 주로 장요근 또는 대퇴의 연결 부위 부근의 우측을 커버하는 천이다. 장요근 천 (60L 및 60R) 은, 각각 베이스 천 (1) 에 포함되는 좌길 (11L) 및 우길 (11R) 의 장요근 또는 대퇴의 연결 부위 부근을 커버하는 부위와, 2 층 구조를 구성하도록 중첩되고, 장요근 천 (60L 및 60R) 의 폭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꿰매어진다. 또, 길이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도 각각 폭 방향을 따라 꿰매어진다. 이상으로부터, 장요근 천 (60L 및 60R) 은, 각각 그 길이 방향이 좌우의 대퇴의 연결 부위를 따라 연장되도록 꿰매어진다. 보다 정확하게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요근 천 (60) 은, 대퇴의 연결 부위의 라인에 대략 평행하게, 당해 라인으로부터 수 센티미터 떨어진 위치를 연장된다. 장요근 천 (60L 및 60R) 은, 베이스 천 (1) 의 내측 (착용자측) 에 겹쳐진다. 따라서, 장요근 천 (60L 및 60R) 은, 이너 웨어 (100) 의 내측에 꿰매어 붙여지기 때문에,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요근 천 (60L 및 60R) 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도 베이스 천 (1) 보다 고탄성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또한 서로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착용자가 이너 웨어 (100) 를 착용하였을 때에, 베이스 천 (1) 보다 강한 압박력으로, 착용자의 대퇴의 연결 부위의 근방에 있어서 연결 부위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위에 딱 피트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장요근 천 (60L 및 60R) 은, 이너 웨어 (100) 의 착용자의 대퇴의 연결 부위 부근에 있어서, 신체 내부에 존재하는 장요근에 근섬유 방향의 신축을 보조하는 힘을 작용시켜, 장요근 및 그 주위를 조일 수 있다. 도 1a 및 도 1b 에는, 장요근의 위치가 나타나 있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요근 천 (60L 및 60R) 에 의한 장요근의 조임은, 예를 들어, 휘어진 허리의 사람의 앞쪽으로 기운 골반의 전면측을 끌어올리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c 와 같이, 장요근 천 (60L 및 60R) 은, 길이 방향으로 가장 신축되기 쉽고, 대퇴의 연결 부위의 라인을 따르는 길이 방향의 탄성률은, 대퇴의 연결 부위의 라인에 직교하는 폭 방향의 탄성률보다 작아 폭 방향으로 신축되기 어렵다. 그러나, 장요근 천 (60L 및 60R) 을, 폭 방향으로 가장 신축되기 쉽고, 폭 방향의 탄성률이 길이 방향의 탄성률보다 작아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기 어려운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장요근 천 (60L 및 60R) 은, 대퇴의 연결 부위의 라인을 따라, 요컨대 대략적으로 장요근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장요근에 강력한 근섬유 방향의 신축을 보조하는 힘을 작용시킬 수 있다.
<2-7. 히프 업 천>
천 (70) 은, 둔부를 들어올리도록 둔부의 하부를 커버하는 약간 가늘고 긴 천이다. 이하, 천 (70) 을 히프 업 천이라고 부른다. 천 (70) 은, 천 (70L 및 70R) 을 포함하고, 천 (70L) 과 천 (70R) 은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는다. 천 (70L) 은, 주로 둔부의 좌측의 하부를 커버하는 천이고, 천 (70R) 은, 주로 둔부의 우측의 하부를 커버하는 천이다. 히프 업 천 (70L 및 70R) 은, 각각 베이스 천 (1) 에 포함되는 좌길 (11L) 및 우길 (11R) 의 둔부의 하부를 커버하는 부위와, 2 층 구조를 구성하도록 중첩되고, 히프 업 천 (70L 및 70R) 의 폭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꿰매어진다. 또, 길이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도 각각 폭 방향을 따라 꿰매어진다. 이상으로부터, 히프 업 천 (70L 및 70R) 은, 각각 그 길이 방향이 둔부의 하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꿰매어진다. 히프 업 천 (70L 및 70R) 은, 베이스 천 (1) 의 내측 (착용자측) 에 겹쳐진다. 따라서, 히프 업 천 (70L 및 70R) 은, 이너 웨어 (100) 의 내측에 꿰매어 붙여지기 때문에,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히프 업 천 (70L 및 70R) 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도 베이스 천 (1) 보다 고탄성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또한 서로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착용자가 이너 웨어 (100) 를 착용하였을 때에, 베이스 천 (1) 보다 강한 압박력으로 착용자의 둔부의 하부에 딱 피트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히프 업 천 (70L 및 70R) 은, 이너 웨어 (100) 를 착용한 착용자의 둔부의 하부에 이것을 들어올리는 힘을 작용시켜, 둔부를 들어올린 상태를 고정시키도록 서포트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히프 업 천 (70L 및 70R) 은, 폭 방향 (대체로 상하 방향) 으로 가장 신축되기 쉽다. 즉, 길이 방향 (대체로 좌우 방향) 의 탄성률은, 폭 방향의 탄성률보다 커서 신축되기 어렵다. 그 결과, 히프 업 천 (70L 및 70R) 은, 좌우 방향을 따라 둔부의 하부에 강력한 압박력을 작용시켜, 이것을 들어올릴 수 있다.
<2-8. 햄스트링 천>
천 (80) 은, 햄스트링 또는 대퇴의 이측을 커버하는 약간 가늘고 긴 천이다. 이하, 천 (80) 을 햄스트링 천이라고 부른다. 천 (80) 은, 천 (80L 및 80R) 을 포함하고, 천 (80L) 과 천 (80R) 은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는다. 천 (80L) 은, 주로 왼쪽 다리의 햄스트링 또는 대퇴의 이측을 커버하는 천이고, 천 (80R) 은, 주로 오른쪽 다리의 햄스트링 또는 대퇴의 이측을 커버하는 천이다. 햄스트링 천 (80L 및 80R) 은, 각각 베이스 천 (1) 에 포함되는 좌길 (11L) 및 우길 (11R) 의 햄스트링 또는 대퇴의 이측을 커버하는 부위와, 2 층 구조를 구성하도록 중첩되고, 햄스트링 천 (80L 및 80R) 의 폭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꿰매어진다. 햄스트링 천 (80L 및 80R) 은, 베이스 천 (1) 의 내측 (착용자측) 에 겹쳐진다. 따라서, 햄스트링 천 (80L 및 80R) 은, 이너 웨어 (100) 의 내측에 꿰매어 붙여지기 때문에,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햄스트링 천 (80L 및 80R) 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도 베이스 천 (1) 보다 고탄성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또한 서로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햄스트링 천 (80L 및 80R) 은, 착용자가 이너 웨어 (100) 를 착용하였을 때에, 베이스 천 (1) 보다 강한 압박력으로 착용자 대퇴의 이측에 딱 피트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햄스트링 천 (80L 및 80R) 은, 이너 웨어 (100) 를 착용한 착용자 대퇴의 이측에 있어서, 신체 내부에 존재하는 햄스트링에 근섬유 방향의 신축을 보조하는 힘을 작용시켜, 햄스트링 및 그 주위를 조일 수 있다. 도 1a 및 도 1b 에는, 햄스트링의 위치가 나타나 있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햄스트링 천 (80L 및 80R) 에 의한 햄스트링의 조임은, 예를 들어, 휘어진 허리의 사람의 앞쪽으로 기운 골반의 배면측을 끌어내리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 도 2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햄스트링 천 (80L 및 80R) 의 상방에, 각각 히프 업 천 (70L 및 70R) 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와 같이, 히프 업 천 (70L 및 70R) 에 의해 둔부가 적절한 위치에 고정된다. 그 결과, 햄스트링 천 (80L 및 80R) 이, 대퇴의 이측에 확실하게 위치 맞춤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햄스트링 천 (80L 및 80R) 과 히프 업 천 (70L 및 70R) 이 별체이고, 햄스트링 천 (80L 및 80R) 의 상부가 히프 업 천 (70L 및 70R) 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상의 위치 맞춤의 효과가 현저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햄스트링 천 (80L 및 80R) 의 길이 방향 (대체로 상하 방향) 의 탄성률은, 폭 방향 (대체로 좌우 방향) 의 탄성률보다 작아 길이 방향으로 가장 신축되기 쉽다. 그 결과, 햄스트링 천 (80L 및 80R) 은, 햄스트링이 연장되는 상하 방향을 따라 햄스트링의 신축을 저해시키기 어려워, 햄스트링의 근력을 적당히 발휘시킬 수 있다.
<3. 특징>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거들의 형상을 갖는 베이스 천 (1) 을 구비하는 이너 웨어 (100) 가 제공된다. 베이스 천 (1) 에는, 골반 둘레를 벨트상으로 커버하는 고탄성의 골반 천 (50) 이 꿰매어 붙여져 있다. 따라서, 골반 천 (50) 의 조임력에 의해, 이너 웨어 (100) 의 착용자의 골반을 조여 고정시키도록 서포트할 수 있다. 또, 베이스 천 (1) 에는, 장요근 또는 대퇴의 연결 부위 부근을 커버하는 장요근 천 (60) 과, 햄스트링 또는 대퇴의 이측을 커버하는 햄스트링 천 (80) 이 추가로 꿰매어 붙여져 있고, 이들 천 (60 및 80) 도, 베이스 천 (1) 보다 고탄성이다. 따라서, 이너 웨어 (100) 의 장요근 및 햄스트링에 근섬유 방향의 신축을 보조하는 힘을 작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골반 둘레의 근육의 밸런스를 유지하여, 골반을 올바른 기울기로 유도할 수 있다. 또, 베이스 천 (1) 에 추가로 꿰매어 붙여져 있는 하복부 천 (20A 및 20B) 에 의해서도, 복근에 압박력을 작용시켜, 복근 및 그 둘레를 조임으로써 골반을 올바른 기울기로 유도할 수 있다.
<4.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하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 이하의 변형예의 요지는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4-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너 웨어 (100) 의 베이스 천 (1) 은, 거들의 형상으로 되었지만, 스패츠나 전신 보디 슈트와 같은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4-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너 웨어 (100) 의 베이스 천 (1) 과, 각종 천 (20, 30, 40, 50, 60, 70 및 80) 은 중첩되었지만, 천 (20, 30, 40, 50, 60, 70 및 80) 의 적어도 일부가 존재하는 장소에 있어서 베이스 천 (1) 이 존재하지 않고, 붙여 꿰맨 양태로 베이스 천 (1) 에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4-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종 서포트 천 (20, 40, 50, 60, 70 및 80) 이, 베이스 천 (1) 보다 고탄성으로 되었지만, 서포트 천 (20, 40, 50, 60, 70 및 80) 의 적어도 1 개가, 베이스 천 (1) 보다 고탄성이 아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서포트 천 (20, 40, 50, 60, 70 및 80) 이, 단독으로, 또는 다른 천 (전형적으로는 베이스 천 (1)) 과 중첩됨으로써 당해 천과 함께, 베이스 천 (1) 보다 고탄성의 부위를 형성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신체의 소정의 부위를 서포트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장요근 천 (60L 및 60R) 을 길이 방향으로 가장 신축되기 어렵고, 폭 방향으로 가장 신축되기 쉬운 구성으로 한 점 이외에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이너 웨어 (100) 와 동일한 이너 웨어를 준비하여 실시예로 하였다. 그리고, 골반 각도가 12.2 °인 피험자에게, 실시예에 관련된 이너 웨어를 장착시킨 결과, 골반 각도가 10 °로 개선되었다. 또한, 골반 각도는, 8 °∼ 10 °가 적절하고, 여기서는,「정형외과·스포츠 상해 진찰 핸드북」(차드·스타키 등 저, 냅 출판사, 2012년) 의 89 페이지에 기재된「각도계 검사 골반위의 평가」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따라서, 실시예에 관련된 이너 웨어의 골반 교정 효과가 확인되었다.
100 : 이너 웨어
1 : 베이스 천
20A, 20B : 하복부 천
50 : 골반 천
60 : 장요근 천
70 : 히프 업 천
80 : 햄스트링 천

Claims (11)

  1. 착용자에게 착용되는 이너 웨어로서,
    상기 착용자의 하복부 및 대퇴를 적어도 커버하는 베이스 천과,
    상기 베이스 천에 연결되어 있고, 단독으로 또는 다른 천과 함께 상기 베이스 천보다 고탄성의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착용자의 장요근에 근섬유 방향의 신축을 보조하는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장요근 또는 상기 대퇴의 연결 부위 부근을 커버하는 장요근 천과,
    상기 베이스 천에 연결되어 있고, 단독으로 또는 다른 천과 함께 상기 베이스 천보다 고탄성의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착용자의 햄스트링에 근섬유 방향의 신축을 보조하는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햄스트링 또는 상기 대퇴의 이측을 커버하는 햄스트링 천을 구비하고,
    상기 햄스트링 천의 길이 방향은, 상기 햄스트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천의 내측에 겹쳐져 연결되어 있고, 단독으로 또는 다른 천과 함께 상기 베이스 천보다 고탄성의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착용자의 하복부를 커버하는 하복부 천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하복부 천은 신축성의 배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2 층 구조의 천으로 구성되는, 이너 웨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천에 연결되어 있고, 단독으로 또는 다른 천과 함께 상기 베이스 천보다 고탄성의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착용자의 둔부를 들어올리도록 상기 둔부의 하부를 커버하는 히프 업 천을 추가로 구비하는, 이너 웨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햄스트링 천과 상기 히프 업 천은 별체인, 이너 웨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햄스트링 천의 높이 방향의 탄성률은, 수평 방향의 탄성률보다 작은, 이너 웨어.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요근 천은, 길이 방향이 상기 대퇴의 연결 부위를 따라 연장되는, 이너 웨어.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요근 천의, 상기 대퇴의 연결 부위를 따르는 제 1 방향의 탄성률은,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의 탄성률보다 작은, 이너 웨어.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요근 천의, 상기 대퇴의 연결 부위를 따르는 제 1 방향의 탄성률은,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의 탄성률보다 큰, 이너 웨어.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천에 연결되어 있고, 단독으로 또는 다른 천과 함께 상기 베이스 천보다 고탄성의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착용자의 골반을 벨트상으로 커버하는 골반 천을 추가로 구비하는, 이너 웨어.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요근 천은, 상기 베이스 천보다 고탄성인, 이너 웨어.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햄스트링 천은, 상기 베이스 천보다 고탄성인, 이너 웨어.
  11. 삭제
KR1020180100560A 2017-10-30 2018-08-27 이너 웨어 KR101983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09853A JP6353150B1 (ja) 2017-10-30 2017-10-30 インナーウェア
JPJP-P-2017-209853 2017-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431A KR20190049431A (ko) 2019-05-09
KR101983948B1 true KR101983948B1 (ko) 2019-05-29

Family

ID=62779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560A KR101983948B1 (ko) 2017-10-30 2018-08-27 이너 웨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53150B1 (ko)
KR (1) KR101983948B1 (ko)
TW (1) TWI6629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72738B2 (ja) * 2020-01-28 2022-05-20 旭化成株式会社 ボトム衣料
JP7262860B1 (ja) 2022-06-18 2023-04-24 株式会社ホスピタリティホールディングス 反り腰防止用アンダーウェア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7844A (ja) 2002-09-20 2004-04-08 Wacoal Corp 股付き矯正衣類
JP2006322121A (ja) 2005-05-20 2006-11-30 Keio Gijuku 下肢部保護衣料
JP2008223154A (ja) * 2007-03-08 2008-09-25 Maruten Tenmaya:Kk 骨盤サポート用下衣
JP2013151765A (ja) * 2012-01-24 2013-08-08 Maki Creation Kk 姿勢改善ガードル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7501A1 (fr) * 1999-04-21 2002-06-20 Wacoal Corp. Vetement
JP5661405B2 (ja) * 2010-09-30 2015-01-28 小林製薬株式会社 ガードル
JP3183358U (ja) 2013-02-25 2013-05-16 株式会社新和 骨盤矯正用パンツ
KR20170011461A (ko) * 2015-07-23 2017-02-02 고진호 태권도용 타이즈
JP6581445B2 (ja) * 2015-09-08 2019-09-25 株式会社タムラ 骨盤矯正用ガード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7844A (ja) 2002-09-20 2004-04-08 Wacoal Corp 股付き矯正衣類
JP2006322121A (ja) 2005-05-20 2006-11-30 Keio Gijuku 下肢部保護衣料
JP2008223154A (ja) * 2007-03-08 2008-09-25 Maruten Tenmaya:Kk 骨盤サポート用下衣
JP2013151765A (ja) * 2012-01-24 2013-08-08 Maki Creation Kk 姿勢改善ガード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431A (ko) 2019-05-09
TWI662953B (zh) 2019-06-21
JP2019081974A (ja) 2019-05-30
TW201916867A (zh) 2019-05-01
JP6353150B1 (ja)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47051B2 (ja) 生理用ショーツ
JP6293169B2 (ja) 大腿骨寛骨臼インピンジメントの症状を予防するための装具
JP4351422B2 (ja) 股付き矯正衣類
WO2004096105A1 (ja) 股付き衣類
WO2006033200A1 (ja) スパッツ
JP4493047B2 (ja) 骨盤矯正用パンティーガードル
KR200493255Y1 (ko) 교정밴드를 구비한 체형 보정용 속옷
KR20180075478A (ko) 허리부 보호 벨트 부착 바지
KR101983948B1 (ko) 이너 웨어
JP2018076628A (ja) 腰用サポーター
JP2007107172A (ja) 機能性衣料品及びウエスト部サポート体
US20080262404A1 (en) Gantry jockstrap
JP5682942B2 (ja) 被服
JP6232811B2 (ja) ボトム衣類
JP4871110B2 (ja) 姿勢補整衣類
JP2007182671A (ja) スパッツ
JP2005154917A (ja) 腰部保護衣類
JP5592871B2 (ja) 腰用サポーター
JP3161713U (ja) 骨盤サポート下着
JP5513966B2 (ja) パッドホルダー
JPH10259502A (ja) 股部を有する衣類
JP2006299436A (ja) 体形補整部材付きパンツ
JP4917966B2 (ja) 骨盤サポート下着
JP3236395U (ja) 下肢用衣料
JP4024801B2 (ja) 下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