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282B1 -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282B1
KR101983282B1 KR1020180167626A KR20180167626A KR101983282B1 KR 101983282 B1 KR101983282 B1 KR 101983282B1 KR 1020180167626 A KR1020180167626 A KR 1020180167626A KR 20180167626 A KR20180167626 A KR 20180167626A KR 101983282 B1 KR101983282 B1 KR 101983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push
inward
beverage contain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찬
양운철
Original Assignee
최재찬
주식회사 소울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찬, 주식회사 소울컴퍼니 filed Critical 최재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29C51/36Moulds specially adapted for vacuum forming, Manufa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6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 B29L2031/565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for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를 내장하며 외향으로 돌출된 탑림(A1)을 지닌 컵(A)과, 상기 탑림(A1) 위에 부착되어 상기 컵(A)을 밀봉시키는 필름(F)과, 상기 탑림(A1)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캡(C)을 포함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캡(C)은 상기 컵(A)에 조립시 상기 탑림(A1)의 외측을 따라 하강하는 와이드테두리(C1)를 지니면서 상기 탑림(A1)의 상단에 맞닿는 단턱(C2)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와이드테두리(C1)의 둘레부로부터 횡방향으로 내향 볼록져 상기 탑림(A1)의 하단을 지지하는 횡방향내향볼록턱(C4), 상기 와이드테두리(C1)의 둘레부로부터 종방향으로 내향 돌출되어 상기 횡방향내향볼록턱(C4)의 양단을 지지하는 종방향양단사이드턱(C5) 및 상기 와이드테두리(C1)의 둘레부로부터 종방향으로 내향 돌출되어 상기 종방향양단사이드턱(C5)의 사이로 이어지면서 상기 횡방향내향볼록턱(C4)을 지지하는 종방향센터지지면(C6)으로 이루어진 걸림턱(C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CAP OF BEVERAGE}
본 발명은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에 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컵의 탑림을 사이에 두고 단턱과 더불어 잡아주는 횡방향내향볼록턱을 종방향양단사이드턱 및 종방향센터지지면으로 함께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와이드테두리의 둘레부로부터 횡방향으로 내향 볼록진 횡방향내향볼록턱으로 하여금 탑림의 하단을 견고하고도 튼튼하게 지지토록 하여 컵으로부터 캡이 쉽게 벗겨지는 현상을 철저히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스나 커피 우유 홍차 녹차 등과 같은 음료는 음료용기에 담겨져 밀봉된 채로 판매되고, 소비자는 음료용기의 밀봉을 해제하거나 스트로(Straw)를 꼽아 음료를 마시게 된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92788호)에 소개된 음료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를 소비자가 마실 수 있도록 한 용기(102)에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게 한 컵(104)이 상광하협의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구성되는데, 컵(104) 상단부에는 플랜지(106)가 형성되고, 컵(104) 외주벽에는 스트로(108)가 고주파 가열로 부착 고정된다.
그리고, 플랜지(106) 상단면에는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은박지로 된 커버(110)가 고주파 가열로 부착 고정되고, 컵(104) 상단부에는 캡(112)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캡(112)은 상단부에 스트로(108)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한 플랩(Flap; 114)이 후미를 일체로 형성하면서 원호로 절취되어 형성되고, 캡(112)의 측벽 하부 둘레에는 고정역할을 하는 돌기(116)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캡(112) 하단부에는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안내면(118)이 일체로 연장되면서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벌려져 형성된다.
선행기술문헌에 소개된 음료용기의 결합 순서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컵(104)에 내용물을 채운 다음 커버(110)를 플랜지(106) 상단부에 부착하면서 고주파 가열하여 고정되게 하고, 컵(104) 외주벽에는 스트로(108)를 고주파 가열하여 부착 고정시키며, 이후로 캡(112)을 컵(104) 상단부에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캡(112)은 안내면(118)이 플랜지(106) 외주면에 의해 외측으로 벌려지면서 하강하여 돌기(116)가 플랜지(106)의 아래에 위치하게 되므로서 결합이 종료되는데, 이로 인해 캡(112)의 측벽은 플랜지(106)의 외주면에 밀착하게 되고, 동시에 돌기(116)는 플랜지(106)의 아래에 걸려진 상태가 됨으로서 캡(112)은 컵(104)에 고정되면서 결합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소비자가 내용물을 마시고자 할 경우에는 스트로(108)를 컵(104)으로부터 탈락시키고, 캡(112)에 형성된 플랩(114)을 젖혀 통로를 개방시킨 다음 스트로(108)를 오픈된 통로에서 컵(104)측으로 끼우면, 스트로(108)의 선단부는 커버(110)를 관통하면서 컵(104)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소비자는 스트로(108)를 통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에 소개되고 통상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음료용기는 캡(112)의 측벽 하부 둘레에 돌기(116)가 내측방향으로 단순히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즉 내측방향으로 동그랗게 엠보싱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캡(112)을 조립시킨 상태로 유통시킬 경우 컵(104)이 플랜지(106)를 타고 쉽게 이탈되어, 즉 미세하게 동그랗게 엠보싱 형상으로 돌출된 돌기(116)가 플랜지(106)를 타고 쉽게 분리되어, 운송시 및 보관시 오히려 불편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구매하여 음료수를 마시고자 할 때에도 캡(112)의 빈번한 분리로 인한 불편함을 여전히 안고 있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92788호 - 음료수용 용기 구조
본 발명의 목적은 컵의 탑림을 사이에 두고 단턱과 더불어 잡아주는 횡방향내향볼록턱을 종방향양단사이드턱 및 종방향센터지지면으로 함께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와이드테두리의 둘레부로부터 횡방향으로 내향 볼록진 횡방향내향볼록턱으로 하여금 탑림의 하단을 견고하고도 튼튼하게 지지토록 하여 컵으로부터 캡이 쉽게 벗겨지는 현상을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캡을 조립할 경우 종방향센터지지면이 탑림을 따라 슬라이딩 하강될 때 종방향양단사이드턱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탑림에 횡방향내향볼록턱이 넘는 순간까지 그 경사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탑림으로 하여금 단턱 및 횡방향내향볼록턱 사이에서 견고하고도 튼튼하게 잡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반 및 운송 나아가 보관 및 파지시 캡과 컵의 결합을 더욱 철저하게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컵으로부터 캡을 벗기고자 할 경우 와이드테두리의 어느 한쪽을 상측방향으로 비틀 경우 캡 전체가 변형되면서 횡방향내향볼록턱이 탑림으로부터 쉽게 벗어나 캡의 전체적인 분리 또한 간단히 이루어 낼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컵과 캡을 조립하고자 로봇의 아암으로 캡을 파지하여 옮길 때 아래층의 캡이 위층의 캡에 끼워진 채로 이동되는 현상을 없앨 수 있어 자동화 공정(조립 자동화 공정)시의 불량현상을 철저히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캡을 컵에 조립시키고자 할 때 경사진 종방향양단사이드턱 및 종방향센터지지면을 통해 탑림을 슬라이딩으로 타고 넘어가 결국 횡방향내향볼록턱이 탑림의 하단에 신속 간단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방향센터지지면이 와이드테두리의 끝단을 향하여 종방향으로 하향 후 양측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폭을 가지면서 종방향양단사이드턱이 횡방향내향볼록턱으로부터 와이드테두리의 끝단을 향하여 종방향으로 하향 후 양측방향으로 점차적으로 경사지게 하향하여, 컵으로부터 캡을 벗기고자 와이드테두리의 어느 한쪽을 상측방향으로 비틀 경우 캡 전체가 용이하게 변형되면서 탑림으로부터 횡방향내향볼록턱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캡의 와이드테두리를 경사지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하여 이젝터판에 의한 탈형시의 용이함과 더불어 컵과 캡의 조립시의 탑림을 타고 넘어가는 슬라이딩의 부드러움까지 보장할 수 있는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뭉치의 승강시, 샤프트는 중심홀에서 승강하고, 원통체는 도넛형홀에서 승강하는 구조 및 동작을 통해, 승강뭉치의 상승시 중심홀에서 상승되는 샤프트에 의해 셔틀슬라이더의 푸쉬로드가 외향으로 밀려가 슬라이드편으로 하여금 언더사이드홀을 따라 전진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합성수지시트의 밀착에 의한 걸림턱, 즉 횡방향내향볼록턱, 종방향양단사이드턱 및 종방향센터지지면을 지닌 걸림턱을 완성할 수 있고, 승강뭉치의 하강시 도넛형홀에서 하강되는 원통체에 의해 셔틀슬라이더의 푸쉬로드가 내향으로 끌어당겨져 슬라이드편으로 하여금 언더사이드홀로부터 후진하여 언더사이드홀들로부터 빠져나가도록 한 상태에서 이젝터판을 하강시켜 진공금형에 달라붙어 캡 형상으로 성형된 합성수지시트를 탈형시킬 수 있는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뭉치의 상승시 확장부로 하여금 중단푸쉬내향경사부의 정점에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단푸쉬외향경사부로 하여금 경사내주연부에 위치되도록 하면서 푸쉬로드를 외향으로 밀어 슬라이드편을 외측으로 전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승강뭉치의 하강시 확장부로 하여금 중단푸쉬내향경사부의 아래로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중단푸쉬내향경사부의 정점으로 하여금 소직립봉으로 위치되도록 하면서 소내주연부로 하여금 푸쉬로드를 내향으로 밀어 슬라이드편을 내측으로 후퇴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토퍼에 의해 걸쳐진 슬라이드편의 외부 노출 크기만큼 횡방향내향볼록턱의 깊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료를 내장하며 외향으로 돌출된 탑림을 지닌 컵과, 상기 탑림 위에 부착되어 상기 컵을 밀봉시키는 필름과, 상기 탑림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캡을 포함하는 캡의 조립 및 분해가 안전하고 용이한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컵에 조립시 상기 탑림의 외측을 따라 하강하는 와이드테두리를 지니면서 상기 탑림의 상단에 맞닿는 단턱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와이드테두리의 둘레부로부터 횡방향으로 내향 볼록져 상기 탑림의 하단을 지지하는 횡방향내향볼록턱, 상기 와이드테두리의 둘레부로부터 종방향으로 내향 돌출되어 상기 횡방향내향볼록턱의 양단을 지지하는 종방향양단사이드턱 및 상기 와이드테두리의 둘레부로부터 종방향으로 내향 돌출되어 상기 종방향양단사이드턱의 사이로 이어지면서 상기 횡방향내향볼록턱을 지지하는 종방향센터지지면으로 이루어진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는,
하단중심체의 중단에 외향으로 돌출된 중단테두리 및 중단둘레부를 지닌 중단돌출부의 상단에 외향으로 돌출된 상단테두리 및 상단둘레부를 지닌 상단돌출부의 최상단에 외향으로 돌출된 최상단테두리 및 최상단둘레부를 지닌 최상단돌출부의 중심에 하향 뚫려진 하향축홈의 저면에 방사상으로 마련된 가이드홈들을 따라 상기 중단둘레부의 언더하프면들을 향해 뚫려짐과 동시에 상기 중단테두리를 개방시키는 언더사이드홀들을 구비하면서 상기 중단둘레부의 어퍼하프면들을 내향으로 함몰시킨 어퍼오목홈을 지닌 진공금형과,
상기 가이드홈들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언더사이드홀들을 따라 전후진되는 슬라이드편으로부터 상기 하향축홈의 상측방향으로 꺾여진 푸쉬로드를 지닌 셔틀슬라이더들과,
상기 하향축홈에 승강되면서 상기 셔틀슬라이더들의 푸쉬로드를 외향으로 밀거나 내향으로 끌어당겨 상기 슬라이드편으로 하여금 상기 언더사이드홀들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토록 하는 승강뭉치와,
상기 최상단돌출부의 최상단테두리에 안착되어 상기 상단돌출부의 상단둘레부를 따라 승강되는 이젝터판과,
상기 진공금형을 향하여 바람을 불어주는 블로워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컵의 탑림을 사이에 두고 단턱과 더불어 잡아주는 횡방향내향볼록턱을 종방향양단사이드턱 및 종방향센터지지면으로 함께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와이드테두리의 둘레부로부터 횡방향으로 내향 볼록진 횡방향내향볼록턱으로 하여금 탑림의 하단을 견고하게 지지토록 하여 컵으로부터 캡이 쉽게 벗겨지는 현상을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캡을 조립할 경우 종방향센터지지면이 탑림을 따라 슬라이딩 하강될 때 종방향양단사이드턱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탑림에 횡방향내향볼록턱이 넘는 순간까지 그 경사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탑림으로 하여금 단턱 및 횡방향내향볼록턱 사이에서 견고하게 잡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반 및 운송 나아가 보관 및 파지시 캡과 컵의 결합을 더욱 철저하게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컵으로부터 캡을 벗기고자 할 경우 와이드테두리의 어느 한쪽을 상측방향으로 비틀 경우 캡 전체가 변형되면서 횡방향내향볼록턱이 탑림으로부터 쉽게 벗어나 캡의 전체적인 분리 또한 간단히 이루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컵과 캡을 조립하고자 로봇의 아암으로 캡을 파지하여 옮길 때 아래층의 캡이 위층의 캡에 끼워진 채로 이동되는 현상을 없앨 수 있어 자동화 공정(조립 자동화 공정)시의 불량현상을 철저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캡을 컵에 조립시키고자 할 때 경사진 종방향양단사이드턱 및 종방향센터지지면을 통해 탑림을 슬라이딩으로 타고 넘어가 결국 횡방향내향볼록턱이 탑림의 하단에 신속 간단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종방향센터지지면이 와이드테두리의 끝단을 향하여 종방향으로 하향 후 양측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폭을 가지면서 종방향양단사이드턱이 횡방향내향볼록턱으로부터 와이드테두리의 끝단을 향하여 종방향으로 하향 후 양측방향으로 점차적으로 경사지게 하향하여, 컵으로부터 캡을 벗기고자 와이드테두리의 어느 한쪽을 상측방향으로 비틀 경우 캡 전체가 용이하게 변형되면서 탑림으로부터 횡방향내향볼록턱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시트로 하여금 이젝터판을 경계로 하단중심체에서부터 상단돌출부의 상단테두리까지 밀착 달라붙으면서 캡 형상과 더불어 언더사이드홀의 외부로 노출된 슬라이드편에 의한 걸림턱, 즉 횡방향내향볼록턱, 종방향양단사이드턱 및 종방향센터지지면을 지닌 걸림턱을 신속 간단하게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캡 형상 이외의 합성수지시트를 펀칭, 즉 커팅하여 최종 캡을 신속 간단하게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캡의 와이드테두리를 경사지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하여 이젝터판에 의한 탈형시의 용이함과 더불어 컵과 캡의 조립시의 탑림을 타고 넘어가는 슬라이딩의 부드러움까지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열에 의해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시트를 블로워로 불어올릴 때 진공홀을 통해 합성수지시트를 빨아들여 진공금형의 하단중심체에 밀착 달라붙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캡의 형상을 온전히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승강뭉치의 승강시, 샤프트는 중심홀에서 승강하고, 원통체는 도넛형홀에서 승강하는 구조 및 동작을 통해, 승강뭉치의 상승시 중심홀에서 상승되는 샤프트에 의해 셔틀슬라이더의 푸쉬로드가 외향으로 밀려가 슬라이드편으로 하여금 언더사이드홀을 따라 전진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합성수지시트의 밀착에 의한 걸림턱, 즉 횡방향내향볼록턱, 종방향양단사이드턱 및 종방향센터지지면을 지닌 걸림턱을 완성할 수 있고, 승강뭉치의 하강시 도넛형홀에서 하강되는 원통체에 의해 셔틀슬라이더의 푸쉬로드가 내향으로 끌어당겨져 슬라이드편으로 하여금 언더사이드홀로부터 후진하여 언더사이드홀들로부터 빠져나가도록 한 상태에서 이젝터판을 하강시켜 진공금형에 달라붙어 캡 형상으로 성형된 합성수지시트를 탈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승강뭉치의 상승시 확장부로 하여금 중단푸쉬내향경사부의 정점에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단푸쉬외향경사부로 하여금 경사내주연부에 위치되도록 하면서 푸쉬로드를 외향으로 밀어 슬라이드편을 외측으로 전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승강뭉치의 하강시 확장부로 하여금 중단푸쉬내향경사부의 아래로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중단푸쉬내향경사부의 정점으로 하여금 소직립봉으로 위치되도록 하면서 소내주연부로 하여금 푸쉬로드를 내향으로 밀어 슬라이드편을 내측으로 후퇴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토퍼에 의해 걸쳐진 슬라이드편의 외부 노출 크기만큼 횡방향내향볼록턱의 깊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소개된 음료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 및 요부 확대를 포함한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 적용된 캡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 적용된 캡을 다수 층으로 적층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합성수지시트를 포함한 저면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에 적용된 진공금형을 저면에서 촬영한 사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에 적용된 진공금형에서 승강뭉치, 최상단돌출부 및 셔틀슬라이더를 분해한 상태를 평면에서 촬영한 사진.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에 적용된 진공금형에서 승강뭉치 및 최상단돌출부를 분해한 상태를 평면에서 촬영한 사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를 통한 캡의 제조공정 중 셔틀슬라이더가 전진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를 통한 캡의 제조공정 중 셔틀슬라이더가 전진한 모습을 저면에서 바라본 요부절개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를 통한 캡의 제조공정 중 셔틀슬라이더가 후진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를 통한 캡의 제조공정 중 셔틀슬라이더가 후진한 모습을 상면에서 바라본 요부절개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에 적용된 셔틀슬라이더를 타나내는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에 적용된 셔틀슬라이더를 나타내는 정면도.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 및 요부 확대를 포함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 적용된 캡(C)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 적용된 캡을 다수 층으로 적층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 적용된 캡(C)을 다수 층으로 적층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는 도 2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를 내장하며 외향으로 돌출된 탑림(Top Limb; A1)을 지닌 컵(A)과, 탑림(A1) 위에 부착되어 컵(A)을 밀봉시키는 필름(F)과, 탑림(A1)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캡(C)을 포함한다.
탑림(A1)은 컵(A) 속에 음료를 투입할 때 자동화 공정 중 로봇 등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임과 동시에 음료가 내장된 음료용기의 유통시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며, 나아가 소비자가 음료를 마시고자 할 때 컵(A)으로부터 캡(C)을 용이하게 착탈시키기 위한 구성이기도 한다.
음료는 컵(A)에 내장된 상태에서 외부로 쏟아지지 않도록 필름(F)으로 밀봉되는데, 유통 및 보관시 날카로운 물체에 의해 찢겨지거나 파손될 수 있어 캡(C)으로 씌워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때 캡(C)은 컵(A)의 탑림(A1)에 간단히 착탈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어야 한다.
소비자는 취향에 따라 캡(C)이 조립된 상태에서 스트로를 캡(C)의 플랩(Flab)을 경유하여 필름(F)을 관통시켜 음료를 마시거나 캡(C)을 분리한 상태에서 스트로로 마시거나 필름(F)을 직접 뜯어 스트로 없이 음료를 마시곤 한다.
이에 따라, 캡(C)은 컵(A)의 탑림(A1)에 간단 견고하게 조립되면서도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구성, 즉 견고 용이한 착탈이 가능한 구성이어야만 자동화 공정에 의한 생산시는 물론이거니와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식음시의 모두에 적합하게 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조건에 맞추어, 본 발명에 따른 캡(C)은 컵(A)에 조립시 탑림(A1)의 외측을 따라 하강하는 와이드테두리(C1)를 지니면서 탑림(A1)의 상단에 맞닿는 단턱(C2)을 구비하는 한편 와이드테두리(C1)의 둘레부로부터 횡방향으로 내향 볼록져 탑림(A1)의 하단을 지지하는 횡방향내향볼록턱(C4), 와이드테두리(C1)의 둘레부로부터 종방향으로 내향 돌출되어 횡방향내향볼록턱(C4)의 양단을 지지하는 종방향양단사이드턱(C5) 및 와이드테두리(C1)의 둘레부로부터 종방향으로 내향 돌출되어 종방향양단사이드턱(C5)의 사이로 이어지면서 횡방향내향볼록턱(C4)을 지지하는 종방향센터지지면(C6)으로 이루어진 걸림턱(C3)을 포함한다.
음료를 내장한 컵(A)은 이미 필름(F)으로 밀봉되어 있어 캡(C)은 필름(F)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므로, 캡(C)이 탑림(A1)에 지나치게 견고하게 고정될 경우 오히려 착탈시의 문제점을 피할 수 없고, 나아가 탑림(A1)에 지나치게 헐겁게 고정될 경우 보관 및 운송시 나아가 파지시 쉽게 분리되어 캡(C)으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탑림(A1)을 사이에 두고 단턱(C2)과 더불어 잡아주는 횡방향내향볼록턱(C4)을 종방향양단사이드턱(C5) 및 종방향센터지지면(C6)으로 함께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와이드테두리(C1)의 둘레부로부터 횡방향으로 내향 볼록진 횡방향내향볼록턱(C4)으로 하여금 탑림(A1)의 하단을 견고하게 지지토록 하여 선행기술문헌과 같이 동그랗게 엠보싱 형상으로 단순히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기(116)를 갖는 캡(112)에서 문제시되고 있던 컵(104)의 플랜지(106)로부터 쉽게 벗겨지는 현상을 철저하게 방지하고, 나아가 캡(C)을 조립할 경우 종방향센터지지면(C6)이 탑림(A1)을 따라 슬라이딩 하강될 때 종방향양단사이드턱(C5)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탑림(A1)에 횡방향내향볼록턱(C4)이 넘는 순간까지 그 경사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결국 탑림(A1)으로 하여금 단턱(C2) 및 횡방향내향볼록턱(C4) 사이에서 견고하게 잡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반 및 운송 나아가 보관 및 파지시 캡(C)과 컵(A)의 결합을 더욱 완벽하게 보장케 한 것이다.
한편, 컵(A)으로부터 캡(C)을 벗기고자 할 경우 와이드테두리(C1)의 어느 한쪽을 상측방향으로 비틀 경우 캡(C) 전체가 변형되면서 횡방향내향볼록턱(C4)이 탑림(A1)으로부터 쉽게 벗어나 캡(C)의 전체적인 분리 또한 간단히 이루어 낼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자동화 공정으로 캡(C)을 제작하여 상호 적층시키고자 할 경우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층 캡(C)의 와이드테두리(C1)의 외주연에 윗층 캡(C)의 와이드테두리(C1)의 내주연이 포개질 때 윗층 캡(C)의 종방향센터지지면(C6) 및 종방향양단사이드턱(C5)에 의해 아래층 캡(C)의 와이드테두리(C1)의 외주연 및 윗층 캡(C)의 와이드테두리(C1)의 내주연이 서로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로[미세한 갭(G)을 둔 상태로] 적층되어 컵(A)과 캡(C)을 조립하고자 로봇의 아암으로 캡(C)을 파지하여 옮길 때 아래층의 캡(C)이 위층의 캡(C)에 끼워진 채로 이동되는 현상을 없앨 수 있어 자동화 공정(조립 자동화 공정)시의 불량현상을 철저히 방지할 수 있다[종방향센터지지면(C6) 및 종방향양단사이드턱(C5)이 없을 경우 아래층 캡(C)의 와이드테두리(C1)의 외주연 및 윗층 캡(C)의 와이드테두리(C1)의 내주연이 서로 밀착되면서 그 사이의 공간이 진공상태가 되어 로봇의 아암에 의해 캡(C)을 파지하여 옮길 때 아래층의 캡(C)이 위층의 캡(C)에 끼워진 채로 이동되는 현상을 초래하여 자동화 공정(조립 자동화 공정)시의 불량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이때, 종방향양단사이드턱(C5) 및 종방향센터지지면(C6)은 횡방향내향볼록턱(C4)으로부터 와이드테두리(C1)의 끝단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경사지게 하향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캡(C)을 컵(A)에 조립시키고자 할 때 경사진 종방향양단사이드턱(C5) 및 종방향센터지지면(C6)을 통해 탑림(A1)을 슬라이딩으로 타고 넘어가 결국 횡방향내향볼록턱(C4)이 탑림(A1)의 하단에 신속 간단하게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종방향양단사이드턱(C5)은 횡방향내향볼록턱(C4)으로부터 와이드테두리(C1)의 끝단을 향하여 종방향으로 하향 후 양측방향으로 점차적으로 경사지게 하향하면서 종방향센터지지면(C6)으로 하여금 와이드테두리(C1)의 끝단을 향하여 종방향으로 하향 후 양측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폭을 가지도록 한다.
종방향센터지지면(C6)이 와이드테두리(C1)의 끝단을 향하여 종방향으로 하향 후 양측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폭을 가지면서 종방향양단사이드턱(C5)이 횡방향내향볼록턱(C4)으로부터 와이드테두리(C1)의 끝단을 향하여 종방향으로 하향 후 양측방향으로 점차적으로 경사지게 하향하여, 컵(A)으로부터 캡(C)을 벗기고자 와이드테두리(C1)의 어느 한쪽을 상측방향으로 비틀 경우 캡(C) 전체가 용이하게 변형되면서 탑림(A1)으로부터 횡방향내향볼록턱(C4)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역으로, 종방향양단사이드턱(C5)이 횡방향내향볼록턱(C4)으로부터 와이드테두리(C1)의 끝단을 향하여 종방향으로만 경사질 경우 컵(A)으로부터 캡(C)을 벗기고자 할 때 와이드테두리(C1)의 어느 한쪽을 상측방향으로 비틀 경우 종방향으로만 경사진 종방향양단사이드턱(C5)이 오히려 쉽게 휘어지지 않고 저항하게 되어, 결국 컵(A)으로부터 캡(C)을 용이하게 벗기지 못하는 문제점을 발생하게 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합성수지시트(Z)를 포함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에 적용된 진공금형(100)을 저면에서 촬영한 사진이고,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에 적용된 진공금형(100)에서 승강뭉치(300), 최상단돌출부(14) 및 셔틀슬라이더(200)를 분해한 상태를 평면에서 촬영한 사진이며,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에 적용된 진공금형(100)에서 승강뭉치(300) 및 최상단돌출부(14)를 분해한 상태를 평면에서 촬영한 사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를 통한 캡(C)의 제조공정 중 셔틀슬라이더(200)가 전진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를 통한 캡(C)의 제조공정 중 셔틀슬라이더(200)가 전진한 모습을 저면에서 바라본 요부절개 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를 통한 캡(C)의 제조공정 중 셔틀슬라이더(200)가 후진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를 통한 캡(C)의 제조공정 중 셔틀슬라이더(200)가 후진한 모습을 상면에서 바라본 요부절개 사시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에 적용된 셔틀슬라이더(200)를 타나내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에 적용된 셔틀슬라이더(20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캡(C) 제조장치는 도 2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중심체(11)의 중단에 외향으로 돌출된 중단테두리(12a) 및 중단둘레부(12b)를 지닌 중단돌출부(12)의 상단에 외향으로 돌출된 상단테두리(13a) 및 상단둘레부(13b)를 지닌 상단돌출부(13)의 최상단에 외향으로 돌출된 최단테두리(14a) 및 최상단둘레부(14b)를 지닌 최상단돌출부(14)의 중심에 하향 뚫려진 하향축홈(15)의 저면에 방사상으로 마련된 가이드홈(15a)들을 따라 중단둘레부(12b)의 언더하프면(12c)들을 향해 뚫려짐과 동시에 중단테두리(12a)를 개방시키는 언더사이드홀(12d)들을 구비하면서 중단둘레부(12b)의 어퍼하프면(12e)들을 내향으로 함몰시킨 어퍼오목홈(12f)을 지닌 진공금형(100)과, 가이드홈(15a)들에 각각 안착되어 언더사이드홀(12d)들을 따라 전후진되는 슬라이드편(21)으로부터 하향축홈(15)의 상측방향으로 꺾여진 푸쉬로드(22)를 지닌 셔틀슬라이더(200)들과, 하향축홈(15)에 승강되면서 셔틀슬라이더(200)들의 푸쉬로드(22)를 외향으로 밀거나 내향으로 끌어당겨 슬라이드편(21)으로 하여금 언더사이드홀(12d)들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토록 하는 승강뭉치(300)와, 최상단돌출부(14)의 최단테두리(14a)에 안착되어 상단돌출부(13)의 상단둘레부(13b)를 따라 승강되는 이젝터판(400)과, 진공금형(100)을 향하여 바람을 불어주는 블로워(500)를 포함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E, PP 또는 PET로 된 합성수지시트(Z)에 미 도시된 히터로 열을 가해[열을 가할 경우 합성수지시트(Z)는 플렉시블하게 됨] 진공금형(100)의 하부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블로워(500)로 불어올림과 동시에 진공금형(100) 내에서 공기를 빨아들여 합성수지시트(Z)로 하여금 진공금형(100)을 향하여 밀착 달라붙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공금형(100)의 외부형상, 즉 하단중심체(11)의 외부형상에 맞추어 합성수지시트(Z)가 캡(C)의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하고, 이후 냉각 및 이젝터판(400)을 통한 합성수지시트(Z)의 탈형 그리고 필요한 부분만을 펀칭시켜[합성수지시트(Z)의 잔여 부분을 커팅시켜] 최종 캡(C)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3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금형(100)의 하부로 위치된 합성수지시트(Z)를 블로워(500)로 불어올림과 동시에 진공금형(100) 속에서 진공압력이 형성될 때, 셔틀슬라이더(200)들은 승강뭉치(300)의 상승에 의해 푸쉬로드(22)가 밀려나가면서 가이드홈(15a)들을 따라 전진되어 슬라이드편(21)들이 언더사이드홀(12d)을 향해 각각 전진할 수 있도록 하여 합성수지시트(Z)로 하여금 이젝터판(400)을 경계로 하단중심체(11)에서부터 상단돌출부(13)의 상단테두리(13a)까지 밀착 달라붙으면서 캡(C) 형상과 더불어 언더사이드홀(12d)의 외부로 노출된 슬라이드편(21)에 의한 걸림턱(C3), 즉 횡방향내향볼록턱(C4), 종방향양단사이드턱(C5) 및 종방향센터지지면(C6)을 지닌 걸림턱(C3)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합성수지시트(Z)를 냉각시킨 후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뭉치(300)의 하강으로 셔틀슬라이더(200)들을 후진, 즉 슬라이드편(21)들로 하여금 가이드홈(15a)들을 따라 후진하여 언더사이드홀(12d)들로부터 빠져나가도록 한 상태에서 이젝터판(400)을 하강시켜 진공금형(100)에 달라붙어 캡(C) 형상으로 성형된 합성수지시트(Z)를 탈형시키고, 이어서 캡(C) 형상 이외의 합성수지시트(Z)를 펀칭, 즉 커팅하여 최종 캡(C)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중단돌출부(12)는 중단둘레부(12b)의 상측방향으로 외향 경사지는 중단경사둘레부(12g)를 더 구비하여, 캡(C)의 와이드테두리(C1)를 경사지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하여 이젝터판(400)에 의한 탈형시의 용이함과 더불어 컵(A)과 캡(C)의 조립시의 탑림(A1)을 타고 넘어가는 슬라이딩의 부드러움까지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어퍼오목홈(12f)의 양측끝단으로부터 상단테두리(13a)에 이르기까지 중단경사둘레부(12g)를 따라 점차적 넓어지도록 펼쳐진 어퍼확장홈(12h)을 더 구비하여 캡(C)의 성형시 종방향양단사이드턱(C5)으로 하여금 횡방향내향볼록턱(C4)으로부터 와이드테두리(C1)의 끝단을 향하여 종방향으로 하향 후 양측방향으로 점차적으로 경사지게 하향토록 함과 동시에 종방향센터지지면(C6)으로 하여금 와이드테두리(C1)의 끝단을 향하여 종방향으로 하향 후 양측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폭을 가지도록 한다.
나아가, 하단중심체(11) 및 중단테두리(12a)의 경계, 중단둘레부(12b) 및 중단경사둘레부(12g)의 경계, 중단경사둘레부(12g) 및 상단테두리(13a)의 경계, 어퍼오목홈(12f) 및 어퍼확장홈(12h)의 가장자리에 각각 뚫려진 진공홀(J)을 포함하여, 열에 의해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시트(Z)를 블로워(500)로 불어올릴 때 진공홀(J)을 통해 합성수지시트(Z)를 빨아들여 진공금형(100)의 하단중심체(11)에 밀착 달라붙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캡(C)의 형상을 온전히 성형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셔틀슬라이더(200)들은 가이드홈(15a)들에 각각 안착된 슬라이드편(21)에 의해 푸쉬로드(22) 상호간 서로 대향되면서 이격되는 중심홀(H1)과 더불어 하향축홈(15)의 내주연으로부터 이격되는 도넛형홀(H2)을 함께 마련하고, 승강뭉치(300)는 도넛형홀(H2)에 끼워져 승강되는 원통체(31)의 중심에 직립되어 중심홀(H1)에 끼워져 승강되는 샤프트(31c)를 구비하여 셔틀슬라이더(200)들의 푸쉬로드(22)를 외향으로 밀거나 내향으로 끌어당겨 슬라이드편(21)으로 하여금 언더사이드홀(12d)들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토록 한다.
승강뭉치(300)의 승강시, 샤프트(31c)는 중심홀(H1)에서 승강하고, 원통체(31)는 도넛형홀(H2)에서 승강하는 구조 및 동작을 통해, 승강뭉치(300)의 상승시 중심홀(H1)에서 상승되는 샤프트(31c)에 의해 셔틀슬라이더(200)의 푸쉬로드(22)가 외향으로 밀려가 슬라이드편(21)으로 하여금 언더사이드홀(12d)을 따라 전진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합성수지시트(Z)의 밀착에 의한 걸림턱(C3), 즉 횡방향내향볼록턱(C4), 종방향양단사이드턱(C5) 및 종방향센터지지면(C6)을 지닌 걸림턱(C3)을 완성할 수 있게 되고, 승강뭉치(300)의 하강시 도넛형홀(H2)에서 하강되는 원통체(31)에 의해 셔틀슬라이더(200)의 푸쉬로드(22)가 내향으로 끌어당겨져 슬라이드편(21)으로 하여금 언더사이드홀(12d)로부터 후진하여 언더사이드홀(12d)들로부터 빠져나가도록 한 상태에서 이젝터판(400)을 하강시켜 진공금형(100)에 달라붙어 캡(C) 형상으로 성형된 합성수지시트(Z)를 탈형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푸쉬로드(22)는 슬라이드편(21)으로부터 하향축홈(15)의 상측방향으로 꺾여진 수직로드(22a)와, 수직로드(22a)의 외측 상단모서리에 경사지게 깎여진 상단푸쉬외향경사부(22b)와, 수직로드(22a)의 내측 중단으로부터 상하 경사지게 돌출된 중단푸쉬내향경사부(22c)를 포함하고, 샤프트(31c)는 원통체(31)의 중심에 직립된 소직립봉(31d)과, 소직립봉(31d)의 하단에 경사지게 확장된 확장부(31e)를 구비하고, 원통체(31)는 소직립봉(31d)에 대향되어 푸쉬로드(22)를 수용하는 도넛형홀(H2)을 형성하는 소내주연부(31a)와, 소내주연부(31a)로부로부터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경사내주연부(31b)를 구비하며, 승강뭉치(300)의 상승시 확장부(31e)로 하여금 중단푸쉬내향경사부(22c)의 정점에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단푸쉬외향경사부(22b)로 하여금 경사내주연부(31b)에 위치되도록 하면서 푸쉬로드(22)를 외향으로 밀어 슬라이드편(21)을 외측으로 전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승강뭉치(300)의 하강시 확장부(31e)로 하여금 중단푸쉬내향경사부(22c)의 아래로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중단푸쉬내향경사부(22c)의 정점으로 하여금 소직립봉(31d)으로 위치되도록 하면서 소내주연부(31a)로 하여금 푸쉬로드(22)를 내향으로 밀어 슬라이드편(21)을 내측으로 후퇴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승강뭉치(300)의 상승시 셔틀슬라이더(200)가 외향 전진하여 언더사이드홀(12d)의 밖으로 슬라이드편(21)을 노출시키는 반면 승강뭉치(300)의 하강시 셔틀슬라이더(200)가 내향 후진하여 진공금형(100) 속으로 은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슬라이드편(21)은 승강뭉치(300)의 상승에 의해 푸쉬로드(22)가 외향으로 밀려가 전진될 경우 언더사이드홀(12d)에 끼워져 걸쳐지는 스토퍼(21a)를 더 포함하여, 스토퍼(21a)에 의해 걸쳐진 슬라이드편(21)의 외부 노출 크기만큼 횡방향내향볼록턱(C4)의 깊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주스나 커피 우유 홍차 녹차 등과 같은 음료를 밀봉시켜 판매하는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A : 컵 A1 : 탑림
F : 필름 C : 캡
C1 : 와이드테두리 C2 : 단턱
C3 : 걸림턱 C4 : 횡방향내향볼록턱
C5 : 종방향양단사이드턱 C6 : 종방향센터지지면
100 : 진공금형 11 : 하단중심체
12 : 중단돌출부 12a : 중단테두리
12b : 중단둘레부 12c : 언더하프면
12d : 언더사이드홀 12e : 어퍼하프면
12f : 어퍼오목홈 12g : 중단경사둘레부
12h : 어퍼확장홈 13 : 상단돌출부
13a : 상단테두리 13b : 상단둘레부
14 : 최상단돌출부 14a : 최상단테두리
14b : 최상단둘레부 15 : 하향축홈
15a : 가이드홈 200 : 셔틀슬라이더
21 : 슬라이드편 21a : 스토퍼
22 : 푸쉬로드 22a : 수직로드
22b : 상단푸쉬외향경사부 22c : 중단푸쉬내향경사부
H1 : 중심홀 H2 : 도넛형홀
300 : 승강뭉치 31 : 원통체
31a : 소내주연부 31b : 경사내주연부
31c : 샤프트 31d : 소직립봉
31e : 확장부 400 : 이젝터판
500 : 블로워 J : 진공홀
G : 갭 Z : 합성수지시트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하단중심체(11)의 중단에 외향으로 돌출된 중단테두리(12a) 및 중단둘레부(12b)를 지닌 중단돌출부(12)의 상단에 외향으로 돌출된 상단테두리(13a) 및 상단둘레부(13b)를 지닌 상단돌출부(13)의 최상단에 외향으로 돌출된 최상단테두리(14a) 및 최상단둘레부(14b)를 지닌 최상단돌출부(14)의 중심에 하향 뚫려진 하향축홈(15)의 저면에 방사상으로 마련된 가이드홈(15a)들을 따라 상기 중단둘레부(12b)의 언더하프면(12c)들을 향해 뚫려짐과 동시에 상기 중단테두리(12a)를 개방시키는 언더사이드홀(12d)들을 구비하면서 상기 중단둘레부(12b)의 어퍼하프면(12e)들을 내향으로 함몰시킨 어퍼오목홈(12f)을 지닌 진공금형(100)과,
    상기 가이드홈(15a)들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언더사이드홀(12d)들을 따라 전후진되는 슬라이드편(21)으로부터 상기 하향축홈(15)의 상측방향으로 꺾여진 푸쉬로드(22)를 지닌 셔틀슬라이더(200)들과,
    상기 하향축홈(15)에 승강되면서 상기 셔틀슬라이더(200)들의 푸쉬로드(22)를 외향으로 밀거나 내향으로 끌어당겨 상기 슬라이드편(21)으로 하여금 상기 언더사이드홀(12d)들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토록 하는 승강뭉치(300)와,
    상기 최상단돌출부(14)의 최상단테두리(14a)에 안착되어 상기 상단돌출부(13)의 상단둘레부(13b)를 따라 승강되는 이젝터판(400)과,
    상기 진공금형(100)을 향하여 바람을 불어주는 블로워(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돌출부(12)는 상기 중단둘레부(12b)의 상측방향으로 외향 경사지는 중단경사둘레부(12g)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오목홈(12f)의 양측끝단으로부터 상기 상단테두리(13a)에 이르기까지 상기 중단경사둘레부(12g)를 따라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펼쳐진 어퍼확장홈(12h)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중심체(11) 및 중단테두리(12a)의 경계, 상기 중단둘레부(12b) 및 중단경사둘레부(12g)의 경계, 상기 중단경사둘레부(12g) 및 상단테두리(13a)의 경계, 상기 어퍼오목홈(12f) 및 어퍼확장홈(12h)의 가장자리에 각각 뚫려진 진공홀(J)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슬라이더(200)들은 상기 가이드홈(15a)들에 각각 안착된 슬라이드편(21)에 의해 상기 푸쉬로드(22) 상호간 서로 대향되면서 이격되는 중심홀(H1)과 더불어 상기 하향축홈(15)의 내주연으로부터 이격되는 도넛형홀(H2)을 함께 마련하고,
    상기 승강뭉치(300)는 상기 도넛형홀(H2)에 끼워져 승강되는 원통체(31)의 중심에 직립되어 상기 중심홀(H1)에 끼워져 승강되는 샤프트(31c)를 구비하여 상기 셔틀슬라이더(200)들의 푸쉬로드(22)를 외향으로 밀거나 내향으로 끌어당겨 상기 슬라이드편(21)으로 하여금 상기 언더사이드홀(12d)들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로드(22)는 상기 슬라이드편(21)으로부터 상기 하향축홈(15)의 상측방향으로 꺾여진 수직로드(22a)와, 상기 수직로드(22a)의 외측 상단모서리에 경사지게 깎여진 상단푸쉬외향경사부(22b)와, 상기 수직로드(22a)의 내측 중단으로부터 상하 경사지게 돌출된 중단푸쉬내향경사부(22c)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31c)는 상기 원통체(31)의 중심에 직립된 소직립봉(31d)과, 상기 소직립봉(31d)의 하단에 경사지게 확장된 확장부(31e)를 구비하고,
    상기 원통체(31)는 상기 소직립봉(31d)에 대향되어 상기 푸쉬로드(22)를 수용하는 상기 도넛형홀(H2)을 형성하는 소내주연부(31a)와, 상기 소내주연부(31a)로부터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경사내주연부(31b)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뭉치(300)의 상승시 상기 확장부(31e)로 하여금 중단푸쉬내향경사부(22c)의 정점에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상단푸쉬외향경사부(22b)로 하여금 상기 경사내주연부(31b)에 위치되도록 하면서 상기 푸쉬로드(22)를 외향으로 밀어 상기 슬라이드편(21)을 외측으로 전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상기 승강뭉치(300)의 하강시 상기 확장부(31e)로 하여금 중단푸쉬내향경사부(22c)의 아래로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중단푸쉬내향경사부(22c)의 정점으로 하여금 상기 소직립봉(31d)으로 위치되도록 하면서 상기 소내주연부(31a)로 하여금 상기 푸쉬로드(22)를 내향으로 밀어 상기 슬라이드편(21)을 내측으로 후퇴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편(21)은 상기 승강뭉치(300)의 상승에 의해 상기 푸쉬로드(22)가 외향으로 밀려가 전진될 경우 상기 언더사이드홀(12d)에 끼워져 걸쳐지는 스토퍼(21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
KR1020180167626A 2018-11-06 2018-12-21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 KR101983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34838 2018-11-06
KR1020180134838 2018-1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282B1 true KR101983282B1 (ko) 2019-09-03

Family

ID=6795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626A KR101983282B1 (ko) 2018-11-06 2018-12-21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28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788B1 (ko) 2003-02-25 2003-07-28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전동식 모빌랙 제어방법
KR100580438B1 (ko) * 1999-11-02 2006-05-15 사크미 코오퍼레이티바 메카니치 이몰라 쏘시에타 코오퍼레이티바 플라스틱 물품, 특히 용기 폐쇄용 캡을 제조하기 위한장치
JP2009234611A (ja) * 2008-03-27 2009-10-15 Morinaga Milk Ind Co Ltd 蓋体付きカップ状容器および飲食品包装体
JP2012525276A (ja) * 2009-07-23 2012-10-22 李庭南 植物繊維製プレス成形コップ蓋の勘合溝製造方法
KR101907061B1 (ko) * 2017-08-16 2018-10-11 주식회사 엔아이몰드 캡의 조립 및 분해가 안전하고 용이한 음료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438B1 (ko) * 1999-11-02 2006-05-15 사크미 코오퍼레이티바 메카니치 이몰라 쏘시에타 코오퍼레이티바 플라스틱 물품, 특히 용기 폐쇄용 캡을 제조하기 위한장치
KR100392788B1 (ko) 2003-02-25 2003-07-28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전동식 모빌랙 제어방법
JP2009234611A (ja) * 2008-03-27 2009-10-15 Morinaga Milk Ind Co Ltd 蓋体付きカップ状容器および飲食品包装体
JP2012525276A (ja) * 2009-07-23 2012-10-22 李庭南 植物繊維製プレス成形コップ蓋の勘合溝製造方法
KR101907061B1 (ko) * 2017-08-16 2018-10-11 주식회사 엔아이몰드 캡의 조립 및 분해가 안전하고 용이한 음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095B1 (ko) 패키지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US9730540B2 (en) Cup lid
CA2897498C (en) Packag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ckage, and mold for application for the purpose of such method
KR101109886B1 (ko) 상하 승강에 의하여 인출되는 껌 추출 용기
KR102147180B1 (ko)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
JPH06511441A (ja) パネルインサートを有する射出成形フレームの製造装置及び方法
EP2054320B1 (fr) Emballage notamment pour produit alimentaire comportant un opercule souple surmonte d'un couvercle
KR101983282B1 (ko)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
FR2494175A1 (fr) Assemblage dissociable de deux feuilles en matiere thermoplastique rigide
US9307863B1 (en) Pie pan with fold-down wall section
JP2006240721A (ja) 断熱容器
FR2639002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un recipient a demoulage et recipients obtenus selon ce procede
CN210216022U (zh) 纸塑杯盖上成型内凹弧之制造模具
US20160128907A1 (en) Disposable spittoon cover
JP2005343555A (ja) 蓋体付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03642U (ko) 절단 띠를 구비한 일회용 보관용기
JP7328128B2 (ja) 合成樹脂製蓋体
NL2010144C2 (nl) Verpakking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verpakking.
KR101963627B1 (ko) 용기용 밀봉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6233A (ko) 티백용 태그 절단장치
KR200481323Y1 (ko) 보관 용기
EP2832517B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e positionnement d'un décor dans un moule
JP2021084280A (ja) 合成樹脂製蓋体の製造方法、製造装置および合成樹脂製蓋体
JP2021084645A (ja) 蓋体
KR101029509B1 (ko) 일회용 저장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