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277B1 -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 Google Patents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277B1
KR101982277B1 KR1020130059205A KR20130059205A KR101982277B1 KR 101982277 B1 KR101982277 B1 KR 101982277B1 KR 1020130059205 A KR1020130059205 A KR 1020130059205A KR 20130059205 A KR20130059205 A KR 20130059205A KR 101982277 B1 KR101982277 B1 KR 101982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front lever
panic
intermediate lever
connecting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7930A (ko
Inventor
윤순형
하영규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9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277B1/ko
Publication of KR20140137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레버들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에 있어서, 각각의 레버들의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면서도 유격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제품 불량이나 작동 공차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모티스 본체의 제1면에 삽입되는 상부 고정단이 형성된 제1 프런트 레버; 상기 제1 프런트 레버와 일부가 상호 체결되고, 상기 모티스 본체의 제2면에 삽입된 하부 고정단이 형성된 제2 프런트 레버; 상기 제1 프런트 레버와 상기 제2 프런트 레버 상에 개재되며, 상기 제1 프런트 레버에 삽입된 상부 연결단과 상기 제2 프런트 레버에 삽입된 하부 연결단이 상하로 각각 형성된 중간레버; 및 상기 중간레버의 상기 상부 연결단에 삽입되며 상기 중간레버와 연동되는 패닉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Rotation assembly for mortise}
본 발명은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레버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모티스의 회전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에는 외부인의 무단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도어락 장치(모티스)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락 장치(모티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도어락은 스트라이커(10)와 모티스 본체(20)로 크게 구성된다.
스트라이커(10)는 일반적으로 문틀에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된다. 모티스 본체(20)에는 에지볼트(21), 데드볼트(30), 고정후크(40), 래치볼트(50)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레버들이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에지볼트(21)는 말단에 토션 스프링(S)의 일측이 고정되어 탄성지지된다. 래치볼트(50)는 말단에 코일 스프링(도면부호 미부여)이 탄성지지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래치볼트(50)의 말단에는 연결레버(54)가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레버(54)에는 래치볼트 회동체(55)가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래치볼트 회동체(55)에는 핸들 결합공(H1)이 형성된다.
즉, 핸들 결합공(H1)에 핸들 축(미도시)이 삽입되어 래치볼트 회동체(55)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래치볼트 회동체(55)의 회동에 따라 연결레버(54)가 회동되어 래치볼트(50)의 인입 및 인출을 수행시키게 된다. 한편, 데드볼트(30)를 인입 및 인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데드볼트 구동구(35)에는 샤프트 결합홈(H2)이 마련된다. 샤프트 결합홈(H2)은 전자식 도어락에서 전동 모터(미도시)의 샤프트 축과 연결되어 회동됨으로써 데드볼트(30)를 인입 및 인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미설명 부호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도면부호 31,32 : 슬릿, 37 : 안내면, 45 : 안내슬릿, 60 : 스토퍼, 62,64 : 절곡부, 및 80: 고정영역이다.
한편, 종래의 도어락 장치에 채용되는 래치볼트 회동체(55; 이하 회동체)는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결레버(52) 뿐만 아니라 데드볼트(30)와도 연동되도록 설치된다. 즉 데드볼트(30)의 말단에 연결된 패닉레버(미도시)를 통해 서로 연동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도어의 내측에서 회동체(55)를 회동시킴으로써 래치볼트(50) 및 데드볼트(30)를 동시에 해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래치볼트 회동체(회전 조립체)는 다수의 레버들(패닉레버나, 데드볼트 작동 레버 등)이 적용될 수 록 조립 공차나 장기간 사용에 따른 유격이 발생될 소지가 높다. 즉 다수의 레버가 설치된 종래의 회전 조립체는 개별적 작동을 위한 레버들이 많이 적층됨에 따라 가공 공차나 설치 공차 등으로 인한 유격이 발생되기 쉽고, 이로 인해 제품 불량이나 생산효율의 저하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다수의 레버들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에 있어서, 각각의 레버들의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면서도 유격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제품 불량이나 작동 공차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모티스 본체의 제1면에 삽입되는 상부 고정단이 형성된 제1 프런트 레버; 상기 제1 프런트 레버와 일부가 상호 체결되고, 상기 모티스 본체의 제2면에 삽입된 하부 고정단이 형성된 제2 프런트 레버; 상기 제1 프런트 레버와 상기 제2 프런트 레버 상에 개재되며, 상기 제1 프런트 레버에 삽입된 상부 연결단과 상기 제2 프런트 레버에 삽입된 하부 연결단이 상하로 각각 형성된 중간레버; 및 상기 중간레버의 상기 상부 연결단에 삽입되며 상기 중간레버와 연동되는 패닉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제1 프런트 레버의 외주연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런트 레버의 외주연에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되며,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는 볼트로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중간레버의 상부 연결단의 외주연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닉레버에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레버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공의 일부에 간섭되는 것으로 상기 중간레버와 상기 패닉레버가 상호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런트 레버에 형성된 상부 체결공에는 외측 손잡이 축이 연결되고, 상기 중간레버에 형성된 관통공에는 내측 손잡이 축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닉레버와 중간레버가 제1 프런트 레버와 제2 프런트 레버 사이의 동축 상에 설치됨으로써 별도의 고정구 없이도 내측 손잡이와 연결된 중간레버와, 패닉레버의 연동이 가능하고, 각각의 레버들이 동축 상에서 상호 연결됨으로써 설치 공차나 가공 공차가 발생되는 것을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작동신뢰성 및 가공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락 장치(모티스)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가 모티스 본체에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의 일부 구성요소가 모티스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의 패닉레버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의 패닉레버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가 모티스 본체에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의 일부 구성요소가 모티스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우선, 본 발명은 회전 조립체(100)의 상단과 하단이 모티스 본체(200)의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 조립체(100)는 제1 프런트 레버(110)와 제2 프런트 레버(140)가 서로 볼트로 체결되고, 이들 사이에 패닉레버(120)와 중간레버(130)가 삽입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제1 프런트 레버(110)는 상부로 돌출된 상부 고정단(113)이 형성되고 중간에는 상부 체결공(112)이 형성된다. 또한 일측 외주연으로는 제1 체결부(114)가 측벽으로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고정단(113)은 도 3과 같이 모티스 본체(200)의 상부면에 형성된 관통공(도면번호 미부여)에 삽입된다. 또한 상부 체결공(112)은 외측 손잡이의 샤프트축이 삽입되어 외측 손잡이와 연동이 가능하다. 한편 제1 체결부(114)에는 상하로 체결공(111)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111)에는 볼트(B)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프런트 레버(110)는 제2 프런트 레버(140)와 상호 볼트(B)로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 프런트 레버(140)에는 제2 체결부(144)가 형성되고, 이 제2 체결부(144)에는 하부 체결공(14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프런트 레버(110)의 제1 체결부(114)와 제2 프런트 레버(140)의 제2 체결부(144)는 체결공(111,141)을 통해 볼트(B)로 체결되어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부의 제1 프런트 레버(110)는 모티스 본체(200)의 상부면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고, 하부의 제2 프런트 레버(140)는 모티스 본체(200)의 하부면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모티스 본체(200)의 내부에 회전조립체(100)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제1 프런트 레버(110)의 상부 체결공(112)과 제2 프런트 레버(140)의 하부 체결공(142)에는 각각 중간레버(130)의 상부 연결단(133)과 하부 연결단(134)이 각각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중간레버(130)에는 제1단(131)과 제2단(132)이 각각 형성되고, 도 3과 같이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H)이 형성된다. 한편 이 관통공(H)에는 내측 손잡이의 샤프트 축이 연결된다.
또한, 중간레버(130)의 상부 연결단(133)은 패닉레버(120)의 삽입공(123)에 삽입됨으로써 패닉레버(120)가 제1 프런트 레버(110)와 중간레버(130)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닉레버(120)에는 제1단(121)과 제2단(122)이 형성되고, 본체 중심에는 삽입공(123)이 관통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패닉레버(120)는 중간레버(130)의 상부 연결단(133)에서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다른 고정수단이 없이도 중간레버(130)의 상부 연결단(133)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이 상태로 제1 프런트 레버(110)와 중간레버(130) 사이에서 패닉레버(120)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중간레버(130)의 상부 연결단(133)의 외주면에 돌출부(135)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6 및 도 7과 같이 중간레버(130)의 관통공(H)에 내측 손잡이의 사프트 축이 연결되어 회동이 이루어지면 이 회전력은 중간레버(130)를 회전시키고 중간레버(130)의 돌출부(135)의 회전에 의해 패닉레버(120)를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패닉기능(내측 손잡이를 회동시키는 동작으로 래치볼트(L)와 데드볼트(D)를 해정상태로 이루게 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5에서 'D' 표시한 부분은 데드볼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패닉레버(120)의 제1단(121)과 연동되도록 설치되고, 제2단(122)은 슬라이더(210)를 밀어 래치볼트 고정체(220)를 일측으로 밀어 래치볼트(도 5에서 'L'로 표시)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모티스 본체(200)의 내부에서 제1 프런트 레버(110)의 상부 고정단(113)과, 제2 프런트 레버(140)의 하부 고정단(145)이 각각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로 선회가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들 제1,2 프런트 레버(110,140)의 사이에 내측 손잡이에 의해 작동되는 중간레버(130)가 상부 연결단(133)과 하부 연결단(134)을 통해 각각 삽입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중간레버(130)의 상부 연결단(133)에 패닉레버(120)가 개재된 상태로 제1 프런트 레버(110)와 중간레버(130) 사이에서 패닉레버(120)가 다른 고정구 없이도 상호 연동(중간레버와 연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2 프런트 레버(110,140)가 수직축을 이루면서 모티스 본체(20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고, 이들 프런트 레버(110,140) 사이에서 패닉레버(120)와 중간레버(130)가 연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에 다수의 레버를 채용함으로써 발생되었던 가공 공차 및 설치 공차를 줄일 수 있고, 별도의 다른 고정요소 없이도 동축 상(수직 축상)에서 패닉레버(120)의 연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제1 프런트 레버 111: 체결공
113: 상부 고정단 114: 제1 체결부
120: 패닉레버 123: 삽입공
130: 중간레버 133: 상부 연결단
134: 하부 연결단 140: 제2 프런트 레버
145: 하부 고정단

Claims (4)

  1. 모티스 본체(200)의 제1면에 삽입되는 상부 고정단(113)이 형성된 제1 프런트 레버(110);
    상기 제1 프런트 레버(110)와 일부가 상호 체결되고, 상기 모티스 본체(200)의 제2면에 삽입된 하부 고정단(145)이 형성된 제2 프런트 레버(140);
    상기 제1 프런트 레버(110)와 상기 제2 프런트 레버(140) 상에 개재되며, 상기 제1 프런트 레버(110)에 삽입된 상부 연결단(133)과 상기 제2 프런트 레버(140)에 삽입된 하부 연결단(134)이 상하로 각각 형성된 중간레버(130); 및
    상기 중간레버(130)의 상기 상부 연결단(133)에 삽입되며 상기 중간레버(130)와 연동되는 패닉레버(120)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레버(130)의 상부 연결단(133)의 외주연에는 돌출부(135)가 형성되고, 상기 패닉레버(120)에는 삽입공(123)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레버(130)의 상기 돌출부(135)가 상기 삽입공(123)의 일부에 간섭되는 것으로 상기 중간레버(130)와 상기 패닉레버(120)가 상호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런트 레버(110)의 외주연에는 제1 체결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런트 레버(140)의 외주연에는 제2 체결부(144)가 형성되며, 제1 체결부(114)와 제2 체결부(144)는 볼트(B)로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런트 레버(110)에 형성된 상부 체결공(112)에는 외측 손잡이 축이 연결되고, 상기 중간레버(130)에 형성된 관통공(H)에는 내측 손잡이 축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KR1020130059205A 2013-05-24 2013-05-24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KR101982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205A KR101982277B1 (ko) 2013-05-24 2013-05-24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205A KR101982277B1 (ko) 2013-05-24 2013-05-24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930A KR20140137930A (ko) 2014-12-03
KR101982277B1 true KR101982277B1 (ko) 2019-05-24

Family

ID=52457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205A KR101982277B1 (ko) 2013-05-24 2013-05-24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2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831B1 (ko) * 2005-04-25 2006-01-20 (주)동광알파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912Y1 (ko) * 2009-10-14 2012-04-20 주식회사 이랜시스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록
KR200456973Y1 (ko) * 2010-02-24 2011-11-30 주식회사 아이레보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831B1 (ko) * 2005-04-25 2006-01-20 (주)동광알파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930A (ko)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2607Y1 (ko) 회동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US20090000342A1 (en) Door lock
TWI611089B (zh) 裝設於雙扇門的鎖具構造
CA2638303C (en) Rotating disk system for a vehicle door latch assembly
US8434335B2 (en) Combination door latch and deadbolt assembly
US20190352929A1 (en) Return cartridge for door handles
US9169668B2 (en) Mortise lock conversion kit for operation with an American cylinder
KR101962437B1 (ko)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도어락의 회전 조립체
KR101982277B1 (ko)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US8881562B2 (en) Mortise lock
KR101962436B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EP2565352A2 (en) Door lock drive assembly
KR200486962Y1 (ko) 도어락의 래치볼트 해정 구조체
KR101836890B1 (ko) 디지털 도어록
CN109538019B (zh) 电机式自动叶片锁
KR200496704Y1 (ko) 도어락의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KR200456002Y1 (ko) 갈고리형 걸쇠를 갖는 도어락
KR101941589B1 (ko) 레버 타입 dls 창호용 손잡이
KR101962435B1 (ko) 래치볼트의 양방향 고정해제장치
KR20210025869A (ko)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
KR200479644Y1 (ko)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
JP6172676B2 (ja) ロック装置取付け確認カード
KR101371503B1 (ko) 도어락의 손잡이 축 연결구조체
JP4035841B2 (ja) 解錠防止機構を持つ錠
KR200463176Y1 (ko) 도어락 샤프트의 유동방지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