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644Y1 -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 - Google Patents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644Y1
KR200479644Y1 KR2020140009187U KR20140009187U KR200479644Y1 KR 200479644 Y1 KR200479644 Y1 KR 200479644Y1 KR 2020140009187 U KR2020140009187 U KR 2020140009187U KR 20140009187 U KR20140009187 U KR 20140009187U KR 200479644 Y1 KR200479644 Y1 KR 2004796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oor lock
present
rib
dis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1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석
정강현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91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6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6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6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1 샤프트가 삽입되어 상기 제1 샤프트와 같이 회전하는 제1 회동체와, 상기 제1 회동체에 결합되고 제2 샤프트가 관통하는 제3 회동체와, 상기 제1 회동체와 상기 제3 회동체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샤프트에 의해 회전하는 제2 회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동체에는 상기 제1 샤프트가 삽입되는 장착홈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 내에는 상기 제1 샤프트의 단부가 상기 제2 회동체의 측면에 맞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단절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Rotation assembly for door-lock mortise}
본 고안은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샤프트의 접촉 마찰력을 이용하여 도어락의 무단 해정이 이루어진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에는 외부인의 무단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도어락 모티스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도어락 모티스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종래의 도어락 모티스(모티스)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종래의 모티스는 스트라이커(10)와 모티스 본체(2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스트라이커(10)는 일반적으로 문틀에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된다. 상기 모티스 본체(20)에는 에지볼트(21), 데드볼트(30), 고정후크(40), 래치볼트(50)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레버들이 설치된다.
상기 에지볼트(21)는 말단에 토션 스프링(S)의 일측이 고정되어 탄성지지된다. 상기 래치볼트(50)는 말단에 코일 스프링(도면부호 미부여)이 탄성지지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래치볼트(50)의 말단에는 연결레버(54)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레버(54)에는 래치볼트 회동구(55)가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래치볼트 회동구(55)에는 핸들 결합공(H1)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핸들 결합공(H1)에 핸들 축(미도시)이 삽입되어 래치볼트 회동구(55)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 회동구(55)의 회동에 따라 상기 연결레버(54)가 회동되어 상기 래치볼트(50)의 인입 및 인출을 수행시키게 된다. 한편, 데드볼트(30)를 인입 및 인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데드볼트 구동구(35)에는 샤프트 결합홈(H2)이 마련된다. 샤프트 결합홈(H2)은 전자식 도어락에서 전동 모터(미도시)의 샤프트 축과 연결되어 회동됨으로써 상기 데드볼트(30)를 인입 및 인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미설명 부호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도면부호 31,32 : 슬릿, 37 : 안내면, 45 : 안내슬릿, 60 : 스토퍼, 62,64 : 절곡부, 및 80: 고정영역이다.
한편, 종래의 모티스에 채용되는 래치볼트 회동구(55; 이하 회동구)는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결레버(52) 뿐만 아니라 데드볼트(30)와도 연동되도록 설치된다. 즉 데드볼트(30)의 말단에 연결된 패닉 레버(미도시)를 통해 서로 연동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도어의 내측에서 회동구(55)를 회동시킴으로써 래치볼트(50) 및 데드볼트(30)를 동시에 해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b는 종래의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로서, 종래의 회동 구조체는 다수의 회동부재(210,220,230)로 구성되며, 회동부재(210,220,230)는 외측 손잡이(300)의 제1 샤프트(350)가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 회동부재(210), 내측 손잡이(360)의 제2 샤프트(365)가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3 회동부재(230)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회동 구조체는 제1 샤프트(350)가 회전되어도 제3 회동부재(230)는 회전되지 않지만, 외측 손잡이(300)를 밀어서 제1 샤프트(35)를 제3 회동부재(230)의 측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측면 마찰력에 의해 제3 회동부재(230)가 회전되어 도어락이 해정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어 작동 신뢰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샤프트의 접촉 마찰력을 이용하여 도어락의 무단 해정이 이루어진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샤프트가 삽입되어 상기 제1 샤프트와 같이 회전하는 제1 회동체와, 상기 제1 회동체에 결합되고 제2 샤프트가 관통하는 제3 회동체와, 상기 제1 회동체와 상기 제3 회동체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샤프트에 의해 회전하는 제2 회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동체에는 상기 제1 샤프트가 삽입되는 장착홈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 내에는 상기 제1 샤프트의 단부가 상기 제2 회동체의 측면에 맞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단절리브가 형성된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장착홈은 상기 제1 샤프트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홈이고, 상기 단절리브는 상기 관통홈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리브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회동체의 내부에도 상기 단절리브와 동일한 형태의 단절리브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단절리브는 상기 관통홈의 전체 깊이의 적어도 중간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회동체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단절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손잡이 샤프트의 말단이 눌러져 인접 회동부재를 접촉 마찰력에 의해 선회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모티스 회동체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도어락 모티스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b는 종래의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의 제1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의 내부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의 제1 회동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의 제3 회동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아래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의 제1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의 내부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의 제1 회동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의 제3 회동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는 제1 회동체(130)와 제3 회동체(150) 사이에서 제2 회동체(140)가 일정반경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서 제1 회동체(130)에는 제1 샤프트(110)가 장착되고, 제2 회동체(140)와 제3 회동체(150)에는 제2 샤프트(120)가 관통 및 장착된다.
또한 제1 회동체(130)와 제3 회동체(150)는 체결부(135)와 장착부(155) 사이에 체결볼트(160; 도 4 참조)를 통해 서로 체결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제2 회동체(140)는 제1 회동체(130)와 제3 회동체(150)의 사이에서 일정 반경으로 선회된다. 즉 도 3과 같이 제1 샤프트(110)를 선회시키면 제2 회동체(140)와 별도로 제1 회동체(130)와 이와 체결된 제3 회동체(150)가 동시에 같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제2 샤프트(120)와 연결된 제2 회동체(140)는 제2 샤프트(120)의 선회에 의해 같이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종래의 안티패닉 모티스(100; 도 1b 참조)에 채용된 회동 구조체와 동일하게, 제1 회동체(130)와 제3 회동체(150)의 사이에 제2 회동체(140)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1 샤프트(110)와 제2 샤프트(120)는 서로 동일 축 상에 일렬로 배치되며 서로 체결된 상태로 연결핀(111)에 의해 연결이 이루어진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제1 회동체(130)의 장착홈(H) 내에 다수의 단절리브(131; 131a~131d)가 형성된다. 이때 단절리브(131; 131a~131d)는 장착홈(H)의 모서리 4곳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절리브(131; 131a~131d)는 4각 장착홈(H)의 모서리에 부채 형상으로 메워진 리브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샤프트(110)의 말단은 제1 회동체(130)의 장착홈(H; 도 5 참조) 내에 형성된 단절리브(131; 131a~131d)에 의해 제2 회동체(140)의 측면에 제1 샤프트(110)의 말단이 직접 맞닿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단절리브(131; 131a~131d)를 장착홈(H) 전체 깊이의 끝이나 중간 등에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를 밀어서 제1 샤프트(110)가 제1 회동체(130)의 장착홈(H)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인접 회동체(즉, 제2 회동체; 140)의 측면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가압된 제1 샤프트(110)의 접촉 마찰력에 의해 제2 회동체(140)가 회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는 도 6과 같이 제1 회동체(130)뿐만 아니라 제3 회동체(150)의 장착홈의 내부에도 단절리브(151; 151a,151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모티스의 좌우수에 따른 설치방향에 대응하도록 제1 회동체(130)뿐만 아니라 제3 회동체(150)의 내부에 단절리브(131 또는 15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단절리브(131 또는 151)는 샤프트의 말단과 인접 회동체의 측면 사이를 단절할 수 있는 돌기 형태이면 그 형상에 제약은 없으며, 설치 개수도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장착홈(H) 내에 하나가 형성된 경우에는 샤프트가 좌우로 좌우로 흔들리는 경우가 발생 될 수 있어, 적어도 2개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도 7 및 도 8에 상세히 도시하였으며, 이들 제1 회동체(130)와 제2 회동체(150)는 서로 체결홈(136)과 체결돌기(156)가 서로 끼워맞춤되고, 체결부(135)와 장착부(155)가 서로 볼트(160)를 통해 상호 체결되어 이루어지며, 각각 단절리브(131,151)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회동체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단절리브(131 또는 151)를 형성함으로써 손잡이 샤프트의 말단이 눌러져, 도 1b와 같이 인접 회동부재를 접촉 마찰력에 의해 선회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모티스 회동체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제1 샤프트
120: 제2 샤프트
130: 제1 회동체
131: 단절리브
135: 체결부
131a,131b,131c,131d: 단절리브
140: 제2 회동체
150: 제3 회동체
151: 단절리브
H: 장착홈

Claims (4)

  1. 제1 샤프트(110)가 삽입되어 상기 제1 샤프트(110)와 같이 회전하는 제1 회동체(130)와, 상기 제1 회동체(130)에 결합되고 제2 샤프트(120)가 관통하는 제3 회동체(150)와, 상기 제1 회동체(130)와 상기 제3 회동체(150)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샤프트(120)에 의해 회전하는 제2 회동체(14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동체(130)에는 상기 제1 샤프트(110)가 삽입되는 장착홈(H)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H) 내에는 상기 제1 샤프트(110)의 단부가 상기 제2 회동체(140)의 측면에 맞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단절리브(1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H)은 상기 제1 샤프트(11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홈이고,
    상기 단절리브(131)는 상기 관통홈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리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회동체(150)의 내부에도 상기 단절리브(131)와 동일한 형태의 단절리브(15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절리브(131a,131b,131c,131d)는 상기 관통홈의 전체 깊이 중 적어도 중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
KR2020140009187U 2014-12-12 2014-12-12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 KR2004796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187U KR200479644Y1 (ko) 2014-12-12 2014-12-12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187U KR200479644Y1 (ko) 2014-12-12 2014-12-12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644Y1 true KR200479644Y1 (ko) 2016-02-19

Family

ID=5544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187U KR200479644Y1 (ko) 2014-12-12 2014-12-12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6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2607Y1 (ko) 회동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US20110289987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push/pull handles
KR100415001B1 (ko) 모르티스 로크용 레버 핸들 제어기
KR101642943B1 (ko) 푸쉬-풀 방식의 도어 락
CA2638303C (en) Rotating disk system for a vehicle door latch assembly
US10669755B2 (en) Multipoint lock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968278B1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AU2018204379B2 (en) Push-pull passage lock housing
KR101467285B1 (ko)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KR101627578B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의 록킹조립체
KR200479644Y1 (ko)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
KR101789773B1 (ko) 스토퍼 기능을 구비한 틸트 타입 도어락
KR101962437B1 (ko)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도어락의 회전 조립체
KR101962436B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KR101683129B1 (ko) 창호용 창 잠금장치
KR101941589B1 (ko) 레버 타입 dls 창호용 손잡이
KR200486962Y1 (ko) 도어락의 래치볼트 해정 구조체
KR101982277B1 (ko)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KR102654720B1 (ko) 자동잠금 작동 및 해제의 스위칭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의 핸들 조립체
KR101968274B1 (ko) 모티스의 레버 핸들 조립체
KR101962435B1 (ko) 래치볼트의 양방향 고정해제장치
KR102199914B1 (ko) 포지션 클러치
KR101294769B1 (ko) 도어락 장치
KR20120006835U (ko) 회전식 레버를 갖는 개폐손잡이
WO2015146934A1 (ja) レバー連結体、ロッドホルダ、および車両の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