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869A -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869A
KR20210025869A KR1020190105798A KR20190105798A KR20210025869A KR 20210025869 A KR20210025869 A KR 20210025869A KR 1020190105798 A KR1020190105798 A KR 1020190105798A KR 20190105798 A KR20190105798 A KR 20190105798A KR 20210025869 A KR20210025869 A KR 20210025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lever
bolt
stepped portion
interlock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5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5869A/ko
Publication of KR20210025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8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4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 바디에 핸들 구조체를 배제하고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자동으로 해정시킬 수 있는 모티스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구비된 모티스 본체; 모터부에 연결되어 상기 데드볼트를 자동으로 인입시키는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재가 회전되면 상기 래치볼트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래치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모터부와 기어연결된 종동기어와 동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레버와 기어 연결된 래치연동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작동부재와 상기 래치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데드볼트와 상기 래치볼트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Mortise assembly with automatic unlocking function}
본 발명은 모티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론트 바디에서 핸들 구조체를 배제하고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자동으로 해정시킬 수 있는 모티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외 공간에는 외부인의 무단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도어락이 설치되고 있다. 종래의 도어락은 도어락 본체와 상기 도어락 본체에 연결된 모티스 조립체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모티스 조립체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로서, 종래의 모티스 조립체는 스트라이커(10)와 모티스 본체(20)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스트라이커(10)는 일반적으로 문틀에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된다. 또한 모티스 본체(20)에는 에지볼트(21), 데드볼트(30), 고정후크(40), 래치볼트(50),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레버들이 설치된다.
에지볼트(21)는 말단에 토션 스프링(S)의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탄성지지된다. 래치볼트(50)는 말단에 코일 스프링(도면부호 미부여)이 탄성지지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래치볼트(50)의 말단에는 연결레버(54)가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레버(54)에는 래치볼트 회동구(55)가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래치볼트 회동구(55)에는 핸들 결합공(H1)이 형성된다.
즉, 핸들 결합공(H1)에 핸들 축(미도시)이 삽입되어 래치볼트 회동구(55)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래치볼트 회동구(55)의 회동에 따라 연결레버(54)가 회동되어 래치볼트(50)의 인입 및 인출을 수행시키게 된다. 한편, 데드볼트(30)를 인입 및 인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데드볼트 구동구(35)에는 샤프트 결합홈(H2)이 마련된다.
이 샤프트 결합홈(H2)은 전자식 도어락에서 전동 모터(미도시)의 샤프트축과 연결되어 회동됨으로써 데드볼트(30)를 인입 및 인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 1에서 미설명부호 31,32는 슬릿이고, 37은 안내면이며, 45는 안내슬릿이고, 60은 스토퍼이며, 62,64는 절곡부이고, 80은 고정영역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도어락에 설치되는 모티스는 사용자의 인증 등에 의해 해정되는 경우 데드볼트(30)를 자동으로 해정시키고, 사용자가 도어락의 핸들을 회전시켜야만 래치볼트(50)의 해정이 가능하여 문의 개방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도어락에는 핸들 구조체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고, 이는 프론트 바디의 디자인을 제한하는 요인이 되고, 또한 핸들 구동을 위한 구조가 모티스에 별도로 제공되어야 하므로 제품 원가의 상승 및 품질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제기되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4346호(공고일: 2012년 09월 20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인증 후에 모티스의 데드볼트와 래치볼트의 자동해정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핸들 동작없이도 문의 개방이 가능한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구비된 모티스 본체; 모터부에 연결되어 상기 데드볼트를 자동으로 인입시키는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재가 회전되면 상기 래치볼트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래치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모터부와 기어연결된 종동기어와 동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레버와 기어 연결된 래치연동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작동부재와 상기 래치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데드볼트와 상기 래치볼트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작동부재는 작동부재 몸체, 상기 작동부재 몸체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데드볼트의 일부에 연결된 구동단, 상기 래치 연동기어의 내주면에 형성된 간섭영역에 맞물리는 상부 단턱부, 및 상기 종동기어의 내주면에 형성된 부하구간에 맞물리는 하부 단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상부 단턱부와 상기 하두 단턱부는 상기 작동부재 몸체에 수직선상에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래치레버는, 상기 래치 연동기어와 맞물린 레버 연동기어를 구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래치레버에는 하방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 연동기어의 내주면에는 상기 단턱부와 맞물리는 간섭구간과, 상기 단턱부의 둘레방향 이동을 가능하는 미간섭구간이 각각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인증에 의해 데드볼트가 해정된 다음 래치볼트도 자동으로 해정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로 핸들을 조작할 필요가 없어 작동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모티스에 핸들 구동부를 배제할 수 있어 도어락의 제품 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 구동부의 통합에 따른 품질 관리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티스 조립체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의 주요 구성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의 레버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의 작동부재 몸체와 종동기어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의 종동기어와 모터부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의 작동부재 몸체와 래치연동기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의 래치레버와 레버 연동기어의 분해 사시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의 래치레버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는 모티스 본체(110)의 내부에 데드볼트(120), 에지볼트(130), 및 래치볼트(140)를 구비한다. 또한 모티스 본체(110)의 내부에는 데드볼트(120)와 래치볼트(140)를 해정하기 위한 래치레버(160)와 작동부재(180)를 구비한다.
한편 래치볼트(140)는 모티스 본체(110)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래치 고정부(150)에 의해 고정상태가 해정되어 문의 개방시 래치볼트(140)가 열림방향으로 선회되어 문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즉 래치 고정부(150)의 이동에 따라 래치볼트(140)의 잠금과 해정상태가 이루어지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에지볼트(130)는 문의 개방과 닫힘상태를 감지하는 수단으로서 제공된다. 즉 도 9와 같이 에지볼트(131)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문틀에 의해 모티스 본체(110)의 내부로 인입되고, 이를 에지 감지센서(131)가 감지하여 문이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작동부재(180)는 일측으로 연장되어 데드볼트(120)에 연결된 구동단(182)이 일측으로 연장된 작동부재 몸체(185)와, 작동부재 몸체(185)의 하부에 연결된 래치 연동기어(183)와, 래치 연동기어(183)의 하부에 설치된 종동기어(181)를 포함한다. 즉 작동부재 몸체(185)의 하부에 일렬로 래치 연동기어(183)와 종동기어(181)가 연결된다.
한편 래치레버(160)는 래치 고정부(150)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 포스트(151)에 걸림되는 연결단(166)이 레버회전 몸체(165)에 형성된다. 또한 레버회전 몸체(165)의 하단에는 레버 연동기어(161)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모터부(170)의 구동기어(171)가 회전되면, 이 구동력은 종동기어(181)를 통해 전달되어 작동부재 몸체(185)를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작동부재 몸체(185)가 회전하게 되면 일정각도 이상에서 래치 연동기어(183)가 함께 회전되고, 이 래치 연동기어(183)와 기어 연결된 레버 연동기어(161)가 회전됨으로써 레버 회전몸체(165)에 형성된 연결단(166)이 일측방향(도 3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되어 래치 고정부(150)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래치볼트(140)를 해정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작동부재 몸체(185)의 하단에는 상부 단턱부(185a)와 상부 단턱부(185a)와 동일선상에서 감소된 지름을 갖는 회피영역(186)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단턱부(185a)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 단턱부(185a)와는 수직방향에서 어긋난 위치(즉 회피영역(186)의 하부 위치)에는 일정폭으로 하부 단턱부(185b)가 돌출형성된다.
한편 도 5와 같이 종동기어(181)는 내주면에 부하구간(181b)과 무부하구간(181a)이 내주면에 연속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작동부재 몸체(185)의 하부 단턱부(185b)가 종동기어(181)의 무부하 구간(181a)에서 이동되었다가 부하구간(181a)에 하부 단턱부(185b)가 맞닿으면 작동부재 몸체(185)의 회전에 따라 종동기어(181)가 함게 회전될 수 있다.
즉 종동기어(181)는 모터부(170)의 구동기어(171)에 의해 회전되는데, 이때 종동기어(181)의 무부하 구간(181a)에 작동부재 몸체(185)의 하부 단턱부(185b)가 위치된 경우에는 작동부재 몸체(185)와 종동기어(181)는 서로 연동되지 않는다. 한편 이 상태에서 종동기어(181)가 일정각도 회전하여 작동부재 몸체(185)의 하부 단턱부(185b)가 종동기어(181)의 하부 단턱부(185b)에 맞닿은 지점에 위치하면, 이 지점부터 작동부재 몸체(185)와 종동기어(181)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작동부재 몸체(185)의 회피영역(186)에는 래치 연동기어(183)의 간섭영역(183a)이 위치된다. 즉 래치 연동기어(183)는 작동부재 몸체(185)의 하단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는데, 이때 래치 연동기어(183)의 내주면에 형성된 간섭영역(183)이 작동부재 몸체(185)의 회피영역(186)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래치 연동기어(183)는 간섭영역(183a)이 회피영역(186)을 따라 이동할 때에는 서로 연동되지 않지만 반면 간섭영역(183a)이 상부 단턱부(185a)에 맞닿는 지점까지 회전되면 작동부재 몸체(185)와 래치 연동기어(183)는 함께 회전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래치레버(160)의 회전축의 하단에는 단턱부(167)가 하방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레버 연동기어(161)의 내부에는 래치레버(160)의 단턱부(167)가 위치하는 미간섭 구간(161a,162a)이 형성된다. 이때 레버 연동기어(161)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미간섭 구간(161a,162a)과 간섭구간(163a,163b)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래치 레버(160)의 단턱부(167)는 레버 연동기어(161)의 미간섭구간(161a,162a) 내에서 회전되면 레버 연동기어(161)와는 연동되지 않는다. 반면 래치레버(160)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하게 되면 단턱부(167)가 레버 연동기어(161)의 간섭구간(163a,163b)에 맞닿게 됨으로써 이 지점부터는 래치레버(160)와 레버 연동기어(161)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사용자가 외부에서 도어락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도어락의 제어부는 모터부(170)를 구동시킨다. 모터부(170)가 구동되면 구동기어(171)가 회전하게 되고 구동기어(171)에 기어연결된 종동기어(181)를 일정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종동기어(181)는 회전되지만 무부하 구간(181a)에서는 작동부재 몸체(185)의 하부 단턱부(185b)가 간섭되지 않으므로 일정각도만큼 종동기어(181)만 회전하다가 그 이상으로 회전되면 하부 단턱부(185b)가 종동기어(181)의 무하구간(181b)에 맞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종동기어(181)가 계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면 작동부재 몸체(185)를 연동시키게 되고, 작동부재 몸체(185)의 구동단(182)이 데드볼트(120)를 모티스 본체(110)의 내부로 인입시켜 데드볼트(12)의 해정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데드볼트(120)가 모티스 본체(110)의 내부로 완전하게 인입된 상태에서 종동기어(181)가 일정각도로 추가 회전하게 되면, 작동부재 몸체(185)의 회피영역(186)에 위치된 래치연동 기어(183)의 간섭영역(183a)이 작동부재 몸체(185)의 상부 단턱부(185a)에 맞닿게 되어 래치 연동기어(183)와 작동부재 몸체(185)는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래치 연동기어(183)가 회전하게 되면 레버 연동기어(16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레버 연동기어(161)에 연결된 래치레버(160)가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선회됨으로써 래치레버(160)의 연결단(166)은 래치 고정부(150)의 걸림 포스트(151)를 모티스 본체(110)의 내부로 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래치 고정부(150)가 도 2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래치볼트(140)의 고정상태가 해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핸들의 조작없이도 외부에서 사용자가 인증을 완료하면, 모터부(170)가 구동하여 데드볼트(120)를 우선적으로 모티스 본체(110)의 내부로 인입시켜 데드볼트(120)의 해정상태를 이루게 한다. 다음으로 모터부(170)가 계속적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면 작동부재(180)에 의해 래치레버(160)를 선회시킴으로써 래치볼트(140)의 고정상태도 해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인증을 통해서만 데드볼트(120)와 래치볼트(140)의 해정이 가능하여 종래에 데드볼트 해정 후에 핸들을 통해 래치볼트를 해정하는 방식에서 발생된 사용상의 문제와 생산성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9와 같이 래치 고정부(150)가 래치볼트(140)의 고정을 해정한 상태(도 2의 상태)에서 문을 개방하면 에지볼트(130)가 모티스 본체(110)로부터 인출되고 이를 에지 감지센서(131)가 감지한다. 이를 통해 제어부는 문의 개방상태를 인지하고 모터부(170)를 역회전시켜 래치레버(160)가 래치 고정부(150)를 다시 원상태(도 3과 같이 래치볼트의 고정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문의 개방된 상태에서 다시 문을 닫으면 래치볼트(140)가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문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증에 의해 데드볼트(120)가 해정된 다음 래치볼트(140)도 자동으로 해정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로 핸들을 조작할 필요가 없어 작동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티스 본체(110)에서 핸들 구동부를 배제할 수 있어 도어락의 제품 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 구동부의 통합에 따른 품질 관리와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모티스 본체
120: 데드볼트
121: 제1 센서
122: 제2 센서
130: 에지볼트
131: 에지감지 센서
140: 래치볼트
150: 래치 고정부
151: 걸림 포스트
160: 래치레버
161: 레버 연동기어
161a: 제1 미간섭구간
162a: 제2 미간섭구간
163a: 제1 간섭구간
163b: 제2 간섭구간
165: 레버 회전몸체
166: 연결단
170: 모터부
171: 구동기어
180: 작동부재
181: 종동기어
181a: 무부하구간
181b: 부하구간
182: 구동단
183: 래치 연동기어
183a: 간섭영역
185: 작동부재 몸체
185a: 상부 단턱부
185b: 하부 단턱부
186: 회피영역

Claims (5)

  1.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구비된 모티스 본체;
    모터부에 연결되어 상기 데드볼트를 자동으로 인입시키는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재가 회전되면 상기 래치볼트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래치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모터부와 기어연결된 종동기어, 및 상기 종동기어에 대해 동축상에 설치되고 상기 래치레버와 기어 연결된 래치연동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래치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데드볼트와 상기 래치볼트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작동부재 몸체,
    상기 작동부재 몸체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데드볼트의 일부에 연결된 구동단,
    상기 래치 연동기어의 내주면에 형성된 간섭영역에 맞물리는 상부 단턱부, 및
    상기 종동기어의 내주면에 형성된 부하구간에 맞물리는 하부 단턱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단턱부와 상기 하부 단턱부는, 상기 작동부재 몸체에 수직선 상에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레버는,
    상기 래치 연동기어와 맞물린 레버 연동기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레버에는, 하방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 연동기어의 내주면에는, 상기 단턱부와 맞물리는 간섭구간과, 상기 단턱부의 둘레방향 이동을 가능하는 미간섭구간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
KR1020190105798A 2019-08-28 2019-08-28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 KR20210025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798A KR20210025869A (ko) 2019-08-28 2019-08-28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798A KR20210025869A (ko) 2019-08-28 2019-08-28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869A true KR20210025869A (ko) 2021-03-10

Family

ID=75148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798A KR20210025869A (ko) 2019-08-28 2019-08-28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58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941B1 (ko) * 2021-08-04 2022-10-11 주식회사 라오나크 래치 볼트 자동 해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941B1 (ko) * 2021-08-04 2022-10-11 주식회사 라오나크 래치 볼트 자동 해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827B1 (ko)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연동형 록
KR101871838B1 (ko) 디지털 도어락
KR101480508B1 (ko) 도어락 모티스
KR102386486B1 (ko) 가역 클러치 모티스록
CN101410582A (zh) 具有自动锁定及缩回特点的门把手锁定组件
KR20210025869A (ko) 자동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조립체
JP3131366U (ja) パチンコ遊技機の施錠装置
KR200452304Y1 (ko) 고정후크가 마련된 도어록 장치
KR20180114861A (ko)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
US20170306654A1 (en) Mortise device
US20070113602A1 (en) Locks
KR101962437B1 (ko)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도어락의 회전 조립체
KR102005011B1 (ko) 푸쉬풀 도어락의 모티스 조립체
CN201280851Y (zh) 一种内执手具有保险功能的锁具
KR200486962Y1 (ko) 도어락의 래치볼트 해정 구조체
KR102024775B1 (ko) 스윙형 래치볼트가 구비된 모티스 조립체
EP1311736B1 (en) Door lock with a hook bolt
KR101962435B1 (ko) 래치볼트의 양방향 고정해제장치
US20220081937A1 (en) Deadbolt assembly for simultaneously securing co-mounted doors together and actuating at least one deadbolt
WO2014081139A1 (ko) 헤드락킹 도어락
KR101962436B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KR102231246B1 (ko) 데드볼트의 걸림방지가 가능한 모티스
KR100810083B1 (ko) 도어록 내측몸체의 설치위치 이동장치
CN109339578A (zh) 一体式锁紧机构
KR101982277B1 (ko)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