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704Y1 - 도어락의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도어락의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704Y1
KR200496704Y1 KR2020190000564U KR20190000564U KR200496704Y1 KR 200496704 Y1 KR200496704 Y1 KR 200496704Y1 KR 2020190000564 U KR2020190000564 U KR 2020190000564U KR 20190000564 U KR20190000564 U KR 20190000564U KR 200496704 Y1 KR200496704 Y1 KR 200496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member
spindle
door lock
ca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831U (ko
Inventor
류상우
전형규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0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704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8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8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7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84Means to prevent forced opening by attack, tampering or jimm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05B17/042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using toothed wheels or geared s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05B17/044Clutches, disengageable coup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84Means to prevent forced opening by attack, tampering or jimmying
    • E05B2017/2096Preventing tampering by removal of lock parts which are vital for the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싱 부재를 제거하여 도어락을 무단해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립체로서, 상기 케이싱 부재의 구동부와 연결된 제1 스핀들 부재; 상기 제1 스핀들 부재와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모티스의 구동부와 연결된 제2 스핀들 부재; 상기 제1 스핀들 부재와 상기 제2 스핀들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스핀들 부재와 상기 제2 스핀들 부재 사이를 양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제1 스핀들 부재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싱 부재의 구동부와 상기 제1 스핀들 부재를 연동시키는 기어 커버부; 상기 기어 커버부가 제거되어 상기 제1 스핀들 부재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스핀들 부재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제1 스핀들 부재의 복귀를 방지하는 핀 클러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락의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Assembly for preventing unauthorized unlocking of the door lock}
본 고안은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외부에서 침입자가 케이싱을 부수고 도어락을 무단 해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록은 전자회로가 내장되어 번호버튼을 누르거나 인증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도어록의 잠금 및 열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일컫는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은 최근에 편리성 때문에 가정이나 상업용 건물에 많이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도어록은 전자회로의 고장 또는 배터리 수명이 종료되어 전자적 동작이 안 될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여 키를 이용하여 도어록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키실린더가 외부몸체에 구성되어 있다.
즉, 키실린더에 열쇠를 삽입시켜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이와 함께 연동하는 키 테일이 데드볼트 어셈블리를 동작시킴으로서 데드볼트가 출몰하여 도어를 열거나 닫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락의 케이싱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도어락의 케이싱 부재가 제거된 상태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이 도어락은 도어(D)의 외측에 케이싱부재(1)가 장착된다. 또한 케이싱부재(1)의 내부에는 장착 플레이트(3)가 문에 밀착되고 이 장착 플레이트(30)에 케이싱부재(1)가 결합되어 설치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외부의 침입자가 이 케이싱부재(1)를 파괴하여 제거하고 케이싱부재(1)의 내부에 위치한 기어 커버부(2)를 파괴하거나 기어 커버부(2) 내의기어부품을 외부에서 강제로 회전시켜 무단으로 도어락을 강제 해정시키는 문제가 종종발생되었다.
즉 종래의 도어락은 실외에서 케이싱부재(1)를 파괴하거나 분리하고 도어락 내부에 장착된 해정 부품을 강제로 회전시킴으로써 도어락의 강제 해정이 가능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34714호(공개일자: 2003년 05월 09일)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침입자가 외부에서 케이싱을 파괴하고 도어락 내부의 해정 부품을 강제로 회전시켜 도어락을 무단해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락의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케이싱 부재를 제거하여 도어락을 무단해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립체로서, 상기 케이싱 부재의 구동부와 연결된 제1 스핀들 부재; 상기 제1 스핀들 부재와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모티스의 구동부와 연결된 제2 스핀들 부재; 상기 제1 스핀들 부재와 상기 제2 스핀들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스핀들 부재와 상기 제2 스핀들 부재 사이를 양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제1 스핀들 부재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싱 부재의 구동부와 상기 제1 스핀들 부재를 연동시키는 기어 커버부; 상기 기어 커버부가 제거되어 상기 제1 스핀들 부재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스핀들 부재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제1 스핀들 부재의 복귀를 방지하는 핀 클러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어락의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핀 클러치부는, 도어의 내부에 장착된 브라켓 부재, 및 상기 브라켓 부재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공 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삽입공 내에서 탄성지지된 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스핀들 부재의 말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핀들 부재의 선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스핀들 부재의 선단에는 일정폭의 환형홈 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핀들 부재가 상기 제2 스핀들 부재로부터 이동하면 상기 환형홈 구간에 상기 핀 클러치부가 위치되어 상기 제1 스핀들 부재의 복귀를 제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침입자가 케이싱 부재와 기어 커버부를 파괴하여 제1 스핀들 부재를 강제로 회전시키더라도 제2 스핀들 부재로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2 스핀들 부재가 회전되어 모티스를 해정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락의 케이싱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도어락의 케이싱 부재가 제거된 상태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의 분해 사디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의 기어 커버부가 분리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의 스핀들 부재가 인입방지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의 외부를 케이싱부가 덮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케이싱부를 제거한 상태도,
도 8은 제1 스핀들 부재와 제2 스핀들 부재가 서로 연결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제1 스핀들 부재가 이동되어 제2 스핀들과의 사이에 환형 홈구간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및
도 11 및 도 12는 브라켓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3과 같이, 본 고안은 도어(D)의 전면에 장착 플레이트(40)가 설치되고, 장착 플레이트(40) 상에는 기어 커버부(2)가 장착된다. 기어 커버부(2)의 내부에는 제1 스핀들 부재(10)가 연결된다. 제1 스핀들 부재(10)는 스프링(S2)을 매개로 제2 스핀들 부재(20)와 연결된다. 도어(D)의 내부에는 브라켓 부재(50)가 장착된다.
도 6과 같이, 도어(D)의 외측에 케이싱 부재(1)가 장착된다. 또한 케이싱 부재(1)는 장착 플레이트(40; 도 3)를 통해 도어(D)에 설치되고, 장착 플레이트(3)에는 기어 커버부(2)가 장착된다. 이 기어 커버부(2)는 도 4와 같이 내부에 기어부(3a)가 장착되어 도어락 본체의 구동부(미도시)와 기어연결된다. 한편 기어부(3a)의 말단은 제1 스핀들 부재(1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구동부를 통해 기어부(3a)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제1 스핀들 부재(10)를 회전시킬 수 있고, 또한 제1 스핀들 부재(10)에 클러치 연결된 제2 스핀들 부재(20)가 회전되는 것으로 모티스를 해정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도어(D)의 내부에 브라켓 부재(50)가 장착되고 고정부재(30)에 의해 브라켓 부재(50)가 도어(D)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제1 스핀들 부재(10)와 제2 스핀들 부재(20)는 서로 맞물리도록 서로 말착된 상태를 이룬다. 이때 제1 스핀들 부재(10)의 외주면에는 스프링 부재(S1)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핀부재(53)가 맞닿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도 3과 같이 외부의 침입자가 케이싱 부재(1)를 제거하고 외부로 노출된 기어 커버부(2)를 파괴하여 강제 해정을 시도한 경우 제1 스핀들 부재(10)와 제2 스핀들 부재(20)의 연결이 단락되게 함으로써 강제 해정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의 상태(도어의 전면에 기어 커버부가 장착된 상태) 및 도 8과 같이 일반적인 상태에서 제1 스핀들 부재(10)와 제2 스핀들 부재(20)는 서로 클러치 연결된 상태를 이룬다. 즉 제1 스핀부재(10)의 전방을 기어 커버부(2)가 막고 있어 제1 스핀들 부재(10)와 제2 스핀들 부재(20)는 서로 밀착되게 함으로써 클러치 연결된 상태를 이룬다.
이 상태에서 외부의 침입자가 기어 커버부(2)를 파괴하여 제거하게 되면, 도 9 및 도 10과 같이 제1 스핀들 부재(10)는 제2 스핀들 부재(20)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2 스핀들 부재(20)의 환형홈 구간(70)이 노출되고, 도 8과 같이 제1 스핀들 부재(1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1 스핀들 부재(10)의 전방으로 이동되고, 스프링 부재(S1)에 의해 탄성지지된 핀부재(53)가 하강되어 환형홈 구간(70)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1 스핀들 부재(1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의 핀부재(53)가 하강되어 제1 스핀들 부재(10)와 제2 스핀들 부재(20)의 사이(환형홈 구간; 70)를 핀부재(53)가 가로 막는 역할을 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1 스핀들부재(10)와 제2 스핀들 부재(20)는 클러치 단락된 상태를 이루고, 이들 사이를 가로막는 핀부재(53)에 의해 제1 스핀들 부재(10)가 제2 스핀들 부재(20)에 다시 클러치 연결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다시 말해, 외부의 침입자가 기어 커버부(2)를 파괴하고 제1 스핀들 부재(10)를 강제로 회전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스핀들 부재(10)는 제2 스핀들 부재(20)에서 이동하여 클러치 연결상태가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핀부재(53)가 하강함으로써 제1 스핀들 부재(10)와 제2 스핀들 부재(20)의 사이를 가로막는다. 이에 따라 외부의 침입자가 제1 스핀들 부재(10)를 외부에서 밀어서 제2 스핀들 부재(20)에 클러치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스핀들 부재(10)가 클러치 단락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제1 스핀들 부재(10)를 강제 회전시켜도 제2 스핀들 부재(20)로 전달되지 않고 그로 인해 모티스를 구동시킬 수 없다(강제 해정 방지).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제1 스핀들 부재(10)의 말단의 내측에는 다수의 걸림홈(11)이 형성되고, 제2 스핀들 부재(20)의 선단에는 걸림홈(11)에 맞물리는 걸림돌기(21)가 형성된다. 즉 제1 스핀들 부재(10)의 걸림홈(11)에 제2 스핀들 부재(20)의 걸림돌기(21)가 맞물리는 것으로 서로 클러치 연결된다.
또한 제1 스핀들 부재(10)와 제2 스핀들 부재(20) 사이에는 탄성부재(예를 들어 스프링; S2)이 장착된다. 이에 따라 제1 스핀들 부재(10)와 제2 스핀들 부재(20)의 사이에 수축된 상태로 스프링(S2)이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의해 제1 스핀들 부재(10)의 전방을 지지하는 기어 커버부(2)가 제거되면, 제1 스핀들 부재(10)는 제2 스핀들 부재(20)로부터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한편 도 9,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도어(D)의 내부에는 원형의 설치공이 형성되고, 이 설치공에는 원형판의 브라켓 부재(50)가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브라켓 부재(50)는 제1 및 제2 스핀들 부재(10,20)가 삽입되는 중앙공(h2)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중앙공(h2)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삽입공(h3)이 형성된다. 또한 브라켓 부재(50)의 측면에는 고정수단(30)이 장착되기 위한 고정공(h1)이 형성된다. 삽입공(h3)에는 핀부재(53)가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핀부재(53)는 그의 일단이 삽입공(h3)의 내부에서 스프링(S1)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9와 같이 삽입공(h3)에는 핀부재(53)가 삽입되고, 핀부재(53)의 상측으로는 스프링 부재(S1)가 삽입되고 압입공(h3)의 상부에는 지지 커버(51)가 스프링 부재(S1)의 상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핀부재(53)는 스프링 부재(S1)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지지커버(51)는 고정볼트(52)를 통해 브라켓 부재(50)의 장착공(h4)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도어락의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는 외부의 침입자가 제1 스핀들 부재(10)를 강제로 회전시키고자 케이싱 부재(1)와 기어 커버부(2)를 파괴하는 경우, 제1 스핀들 부재(10)는 스프링(S2)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스핀들 부재(20)로부터 이동되어 클러치 연결이 단락된다. 또한 이때 제1 스핀들 부재(10)의 외주면에 맞닿은 상태로 탄성지지된 핀부재(53)가 제1 스핀들 부재(10)와 제2 스핀들 부재(20)의 사이로 하강됨으로써 외부의 침입자가 제1 스핀들 부재(10)를 다시 제2 스핀들 부재(20)에 클러치 연결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침입자가 케이싱 부재(1)와 기어 커버부(2)를 파괴하여 제1 스핀들 부재(10)를 강제로 회전시키더라도 제2 스핀들 부재(20)로 이러한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2 스핀들 부재(20)가 회전되어 모티스를 해정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무단 해정 방지).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1 스핀들 부재
20: 제2 스핀들 부재
30: 고정부재
40: 장착 플레이트
50: 브라켓부재
51: 지지커버
52: 고정볼트
53: 핀부재
70: 환형홈 구간

Claims (4)

  1. 도어의 외측에 설치된 도어락의 케이싱 부재를 도어로부터 제거하여 도어락을 무단해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립체로서,
    상기 케이싱 부재의 구동부와 연결된 제1 스핀들 부재;
    상기 제1 스핀들 부재와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모티스의 구동부와 연결된 제2 스핀들 부재;
    상기 제1 스핀들 부재와 상기 제2 스핀들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스핀들 부재와 상기 제2 스핀들 부재 사이를 양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제1 스핀들 부재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싱 부재의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1 스핀들 부재를 연동시키는 기어가 장착된 기어 커버부; 및
    상기 기어 커버부가 제거되고 상기 제1 스핀들 부재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스핀들 부재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제1 스핀들 부재의 복귀를 방지하는 핀 클러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 클러치부는,
    도어의 내부에 장착된 브라켓 부재, 및
    상기 브라켓 부재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공 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삽입공 내에 탄성지지된 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핀들 부재의 말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핀들 부재의 선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핀들 부재에는 일정폭의 환형홈 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핀들 부재가 상기 제2 스핀들 부재의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환형홈 구간으로 상기 핀 클러치부가 하강되어 상기 제1 스핀들 부재의 복귀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KR2020190000564U 2019-02-08 2019-02-08 도어락의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KR200496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564U KR200496704Y1 (ko) 2019-02-08 2019-02-08 도어락의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564U KR200496704Y1 (ko) 2019-02-08 2019-02-08 도어락의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31U KR20200001831U (ko) 2020-08-19
KR200496704Y1 true KR200496704Y1 (ko) 2023-04-06

Family

ID=72233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564U KR200496704Y1 (ko) 2019-02-08 2019-02-08 도어락의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70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3092B2 (en) 2019-08-13 2024-03-19 SimpliSafe, Inc. Mounting assembly for door lock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943B1 (ko) * 2015-09-14 2017-04-06 (주)혜강씨큐리티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31U (ko) 202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4524B2 (en) Electronic deadbolt lock
US10669747B2 (en) Swing bolt lock
KR101109804B1 (ko) 회전식 차단 장치 및 부정조작 방지 기구를 포함하는 로크 조립체
EP2494129B1 (en) Lock mechanism
US8695390B2 (en) Wafer cylinder having blockable wafer tumblers
CN103080447A (zh) 锁紧机构
AU2019202691B2 (en) Clutch engagement assembly of door lock and driving device thereof
KR200496704Y1 (ko) 도어락의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IL181847A (en) An action intersects between a key combination element and a lock combination element
GB2425327A (en) Lock system with lockable handle
US20170306654A1 (en) Mortise device
US10294702B1 (en) “Skiles locking system” S.L.S
KR200447937Y1 (ko) 강제해정 방지수단이 마련된 내측 손잡이
CN211776573U (zh) 电子呆锁、电子锁装置用驱动系统及门或窗用电子锁装置
AU2011245881B2 (en) Door lock drive assembly
CN110709569B (zh) 磁触发锁机构
US7967348B2 (en) Key alignment system for keyed safety interlocks
CN113216758B (zh) 一种智能锁、户外柜
EP3812538A1 (en) Lock mechanism
CN212867161U (zh) 安全锁芯及安全锁
CN112576105B (zh) 离合机构
KR101982277B1 (ko)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KR102034566B1 (ko) 자동 잠김용 도어락킹장치
EP3262256B1 (en) Universal lock with sliding stop mechanism
JP4147331B2 (ja) カム送り防止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