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938B1 - 내오염 벽지 - Google Patents

내오염 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938B1
KR101981938B1 KR1020140088778A KR20140088778A KR101981938B1 KR 101981938 B1 KR101981938 B1 KR 101981938B1 KR 1020140088778 A KR1020140088778 A KR 1020140088778A KR 20140088778 A KR20140088778 A KR 20140088778A KR 101981938 B1 KR101981938 B1 KR 101981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polyurethane dispersion
wallpaper
coating composition
fluor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9122A (ko
Inventor
김헌조
김원국
변희진
이시영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40088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938B1/ko
Publication of KR20160009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기재층 및 제 1코팅층의 적층구조, 또는 기재층, 제 1코팅층 및 제 2코팅층의 적층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코팅층이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제 2코팅층이 제 2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내오염 벽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오염 벽지{ANTI-POLLUTION WALL PAPER}
내오염 벽지에 관한 것이다.
벽지는 다양한 문양 또는 입체적 형상을 포함하고 있어 벽에 장식적 미를 부여하는 인테리어 수단이다. 그러나, 벽지는 여러 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그 환경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염물질에 항상 노출될 수 있고, 상기 오염물질에 의해 벽지의 디자인이 훼손될 수 있고, 외관 효과가 저하될 수 있었다.
또한, 벽지로부터 낙서 및 오염 물질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으며, 제거시 오염 부위의 확장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환경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염물에 의하여 벽지가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부여된 벽지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내오염 성능을 갖는 제 1코팅층, 또는 제 1코팅층 및 제 2코팅층을 포함하는 내오염 벽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기재층 및 제 1코팅층의 적층구조, 또는 기재층, 제 1코팅층 및 제 2코팅층의 적층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코팅층이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제 2코팅층이 제 2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내오염 벽지를 제공한다.
상기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고, 상기 제 2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고, 상기 제 2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약 0.5:99.5 내지 약 50:50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약 0.5:99.5 내지 약 50:50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입자직경이 약 30nm 내지 약 300nm인 입자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불소 함유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 함유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수지의 주쇄에 경화제가 도입될 수 있다.
상기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고형분을 약 5중량% 내지 약 30중량% 포함하고, 용제를 잔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고형분을 약 5중량% 내지 약 30중량% 포함하고, 용제를 잔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고형분을 약 0.1중량% 내지 약 5중량% 포함하고, 용제를 잔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의 끓는점은 약 1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1 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무기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입자는 졸-겔 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기입자는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고형분 대비 약 1중량% 내지 약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 또는 상기 제 2 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습윤제, 소포제, 산촉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코팅층의 두께는 약 0.5um 내지 약 50um일 수 있다.
상기 제 2코팅층의 두께는 약 5nm 내지 약 100nm일 수 있다.
상기 내오염 벽지는 오염의 제거가 용이하며, 오염에 의한 벽지의 디자인 훼손이 없어 장기간 사용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내오염 벽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내오염 벽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기재층 및 제 1코팅층의 적층구조, 또는 기재층, 제 1코팅층 및 제 2코팅층의 적층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코팅층이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제 2코팅층이 제 2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내오염 벽지를 제공한다.
종래 벽지의 경우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층이 종이 또는 폴리염화비닐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고, 엠보 또는 요철로 인한 표면형상으로 인하여 볼펜, 수성펜, 크레파스로 인한 낙서 또는 환경으로 인한 외부 오염에 쉽게 노출되었고, 이는 벽지의 디자인을 훼손하며 외관 효과를 저하시켰다. 또한 낙서 및 오염 물질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제거시 오염 부위가 확장 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에, 상기 제 1, 2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내오염 코팅액으로 각각 기재상부에 제 1코팅층 및 제 2코팅층을 형성하는바, 상기 제 1, 2코팅층으로 외부 오염에 대한 내오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내오염 벽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내오염 벽지(100)는 기재층(10), 및 제 1코팅층의 적층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 1코팅층은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으로, 제 1코팅층으로 인해 기재층에 발생된 오염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 할 수 있고, 기재에 오염물질이 이염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1코팅층 상에 제 2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도 2를 참고하면, 내오염 벽지(100)는 기재층(10), 제 1코팅층(20), 및 제 2코팅층(30)의 적층구조 일 수 있다. 상기 제 2코팅층은 상기 제 2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으로, 제 2코팅층이 발수 성능을 구현할 수 있고, 오염물질의 흡수를 억제함과 동시에 오염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코팅층과의 부착력이 우수하여, 내오염 벽지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고, 부착된 제 2코팅층과 제 1코팅층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내오염 성능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다 화려한 외관효과를 구현하여 상기 내오염 벽지의 상기 기재층 및 제 1코팅층 사이에, 상기 제 1,2 코팅층 사이에 인쇄무늬가 무여된 인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오염 벽지의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치수안정성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기재층 및 제 1코팅층 사이에, 상기 제 1,2 코팅층 사이에 치수안정층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코팅층 상부에 표면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과 상기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디올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우레탄 반응하여 형성되는 수지를 포함하는바, 양자는 디올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 될 수 있다.
상기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약 0.5:99.5 내지 약 50:50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혼합비율은 내오염성에 영향을 미치는바, 구체적으로 상기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이 0.5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내오염성이 저하될 수 있고, 50을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불균형으로 인해 제 1코팅층 형성이 저하되며, 기재 상부에 제 1코팅층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균일한 물성의 제1코팅층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며, 내오염성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과 상기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2:98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고, 상기 제 2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상기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에 아크릴 단량체 화합물을 첨가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기 아크릴 단량체 화합물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0.5:99.5 내지 50:50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비율을 벗어나는 경우 내오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분산액 간의 불균형으로 인해 제 1코팅층 형성이 저하되며, 기재 상부에 제 1코팅층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입자직경이 약 30nm 내지 약 300nm인 입자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분산액은 콜로이드성 균일 용액을 일컫는바, 상기 입자는 상기 범위의 입자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입자직경은 "평균입자직경" 일 수 있고,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 1코팅층 형성시 제 1코팅층 표면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고, 입자직경이 약 300nm를 초과하는 경우 벽지 표면에 형성된 기공으로 오염물질의 침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불소 함유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지는 수분산형 상기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 또는 수분산형 상기 수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분산액에 분산되어 배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소 함유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수지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불소화된 에테르 화합물이 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불소화된 에테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R-CF2O-(CF2CF2O)x-(CF2O)y-CF2-R
상기 R가 -OH, -CONH(CH2)3R1 또는 -CH2(C2H4O)zOH이며,
상기 R1은 -Si(OCH3)3, -Si(OC3H5)3 또는 -SiCl3이고, 상기 x 또는 y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2의 정수이고, 상기 z는 1 내지 5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된 불소화된 에테르 화합물은 R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화합물이 중합되어 형성된 불소 함유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수지는 수분산형 상기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 또는 수분산형 상기 수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분산액과 상용성이 우수하며, 상기 수지는 별도의 용제를 포함하지 않고도 분산액에 분산 가능한바 친환경적이어서,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불소 함유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수지의 주쇄에 경화제가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화제로 옥사졸린(Oxazoline, WS-700 또는 WS-500),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 SV-02), 에폭시실란(Epoxysilane, HUX-SW), 이소시아네이트(Isocyante), 아지리딘(Azilidine), 금속 이온 킬레이트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을 기재층에 도포 후 열경화하여 제 1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열경화에 의해 경화제로 사용된 카르복실레이트 암모늄 염 중 암모늄 염은 떨어지고, 카르복실레이트가 반응하여 기재 상부에 제 1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에테르디올 및 폴리카보네이트디올의 혼합물이 중합되어 형성되거나, 폴리카보네이트디올의 중합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디올 화합물 및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혼합물이 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고형분을 약 5중량% 내지 약 30중량% 포함하고, 용제를 잔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25중량%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약 40중량%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이 용제에 용해되어, 약 5중량% 내지 30중량%의 고형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이 약 5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제 1코팅층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내오염성이 발휘되지 않을 수 있고, 약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1코팅층의 두께가 증가하여 엠보가공에 따른 제품의 디자인이 훼손될 수 있어, 상기 범위의 고형분을 유지하는 것이 제품 성형 및 가공에 유리하며 내오염성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고형분을 약 5중량% 내지 약 30중량% 포함하고, 용제를 잔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25중량%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약 40중량% 수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분산액이 용제에 용해되어, 약 5중량% 내지 30중량%의 고형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제 2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고형분을 약 0.1중량% 내지 약 5중량% 포함하고, 용제를 잔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25중량%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이 용제에 용해되어, 약 0.1중량% 내지 5중량%의 고형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이 약 0.1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제 2코팅층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내오염성이 발휘되지 않을 수 있고, 약 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2코팅층의 두께가 증가하여 엠보가공에 따른 제품의 디자인이 훼손될 수 있어, 상기 범위의 고형분을 유지하는 것이 제품 성형 및 가공에 유리하며 내오염성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용제의 끓는점은 약 1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용제의 끓는점을 약 100℃이하로 한정함으로써, 총휘발성 유기 화합물(TVOC)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제는 물, 이소프로필알콜, 아세톤 또는 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용제의 끓는점은 약 50℃ 내지 약 100℃일 수 있다.
상기 제 1 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무기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입자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내오염 코팅액 조성물의 내마모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상기 무기입자는 SiO2, ZrO, TiO2, Al2O3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무기입자는 졸-겔 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졸-겔 반응에 의해 형성된 무기입자를 사용함으로써, 내오염성과 동시에 내마모성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입자의 평균입자직경을 약 0.01um 내지 약 2um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에 분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무기입자는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고형분 대비 약 1중량% 내지 약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입자를 약 1중량%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내마모성이 발휘되지 않을 수 있고, 약 1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상분리에 의해 내오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바, 상기 범위의 함량을 유지하는 것이 내오염성 확보와 동시에 균일한 제 1코팅층을 형성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 또는 상기 제 2 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습윤제(Wetting agents), 소포제, 산촉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코팅액 조성물이 상기 첨가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제 1코팅층 또는 제2코팅층의 물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고형분 대비 약 0.1중량% 내지 약 5중량%,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고형분 대비 약 0.1중량% 내지 약 5중량% 또는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고형분 대비 약 0.1중량% 내지 약 2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제 1, 2 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이 포함하는 분산액의 고형분 대비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 1,2 코팅층의 코팅성, 기재층과의 부착성, 내오염성, 내마모성 또는 디자인 췌손 등의 우려가 있는바, 상기 범위의 함량을 유지하는 것이 벽지의 디자인을 유지하면서 내오염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상기 습윤제는 통상의 레벨링제로 사용되는 음이온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소듐 디알킬 설포숙시네이트계 화합물, 알킬-페놀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계 화합물, 알킬-설포네이트계 화합물, 또는 알킬벤젠술폰산염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통상의 소포제를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실리콘 오일계, 미네랄 오일계, 하이드로 카본계, 인산 에스테르계, 유기 에스테르계, 아마이드계, 유기 고분자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촉매는 염산, 황산, 인산, 질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코팅층의 두께는 약 0.5um 내지 약 50um일 수 있다. 상기 제 1코팅층은 상기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이 기재층 상부에 성막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범위의 두께를 유지함으로써 내오염성, 벽지 성형성 및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 2코팅층의 두께는 약 5nm 내지 약 100nm일 수 있다. 상기 제 2코팅층은 상기 제 2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이 기재층 상부에 성막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범위의 두께를 유지함으로써 내오염성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벽지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특별히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펄프로부터 제조되는 종이, 합성수지로부터 제조되는 종이, 유리섬유직물 또는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 탈레이트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내오염 벽지는 오염의 제거가 용이하며, 장기간 벽지의 디자인 훼손 없이 사용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 실시예 비교예 >
실시예 1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과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2:98의 비율로 물과 이소프로필알콜에 용해하고, 15중량%의 고형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조성물에 상기 고형분 대비 졸-겔 반응에 의해 형성된 5중량% SiO2입자, 10중량% 경화제(CARBODILITETM SV-02, Nissinbo사), 3중량% 습윤제(OFX-5211, Dow Corning), 2중량% 소포제(Foamex825, Evonik사)를 첨가하여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을 PVC 수지로 제조된 종이에 Mayer bar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약 160℃에서 약 30초간 열경화하여 두께가 3um인 제 1코팅층을 포함하는 내오염 벽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2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물과 이소프로필알콜에 용해하고, 2.5중량%의 고형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조성물에 상기 고형분 대비 10중량% 경화제(CARBODILITETM SV-02, Nissinbo사), 3중량% 습윤제(OFX-5211, Dow Corning), 1중량% 소포제(Foamex825, Evonik사)를 첨가하여 제 2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그 후, 제 2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을 제 1코팅층 상에 스프레이 코팅 방식을 이용하여 도포하고, 약 120℃에서 약 7초간 열경화하여 두께가 50nm인 제 2코팅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내오염 벽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3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 불소화된 에테르 화합물과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중합되어 형성된 불소 함유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물과 이소프로필알콜에 용해하고, 0.5중량%의 고형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조성물에 상기 고형분 대비하여 물에 10%함량으로 희석된 100중량% 염산을 첨가하여 졸-겔반응을 1시간동안 진행 후 제 2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내오염 벽지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1]
R-CF2O-(CF2CF2O)x-(CF2O)y-CF2-R
상기 R은 -Si(OCH3)3이고, 상기 x는 6, y는 10이다.
실시예 4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과 수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2:98의 비율로 물과 이소프로필알콜에 용해하고, 15중량%의 고형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조성물에 상기 고형분 대비 졸-겔 반응에 의해 형성된 5중량% SiO2입자, 10중량% 경화제(CARBODILITETM SV-02, Nissinbo사), 0.5중량% 습윤제(OFX-5211, Dow Corning), 0.5중량% 소포제(Foamex825, Evonik사)를 첨가하여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을 PVC 수지로 제조된 종이에 Mayer bar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약 160℃에서 약 1분간 열경화하여 두께가 3um인 제 1코팅층을 포함하는 내오염 벽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물과 이소프로필알콜에 용해하고, 2.5중량%의 고형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조성물에 상기 고형분 대비 10중량% 경화제(CARBODILITETM SV-02, Nissinbo사), 0.5중량% 습윤제(OFX-5211, Dow Corning), 0.5중량% 소포제(Foamex825, Evonik사)를 첨가하여 제 2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그 후, 제 2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을 제 1코팅층 상에 스프레이 코팅 방식을 이용하여 도포하고, 약 120℃에서 약 7초간 열경화하여 두께가 50nm인 제 2코팅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내오염 벽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 불소화된 에테르 화합물과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중합되어 형성된 불소 함유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물과 이소프로필알콜에 용해하고, 0.5중량%의 고형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조성물에 상기 고형분 대비하여 물에 10%함량으로 희석된 100중량% 염산을 첨가하여 졸-겔반응을 1시간동안 진행 후 제 2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내오염 벽지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1]
R-CF2O-(CF2CF2O)x-(CF2O)y-CF2-R
상기 R은 -Si(OCH3)3이고, 상기 x는 6, y는 10이다.
비교예
펄프로부터 제조된 종이상에 PVC졸을 코팅한 후 발포시킴으로써 내오염 코팅층을 포함하지 않는 PVC발포 벽지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볼펜, 수성펜, 크레파스(유성)로 낙서 후, 헝겁을 이용하여 낙서를 제거하여 낙서 제거 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볼펜 수성펜 크레파스
실시예 1 X O
실시예 2 O
실시예 3 O
실시예 4 O O
실시예 5 O O
실시예 6 O O
비교예 X X
O : 낙서제거정도 우수, △: 낙서제거정도 보통, X: 낙서제거정도 불량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제 1코팅층을 포함하는 실시예1, 4, 제 1코팅층 및 제 2코팅층을 포함하는 실시예 2, 3, 5 및 6의 벽지가 상기 제 1코팅층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의 벽지에 비해 낙서제거정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100: 내오염 벽지
10: 기재
20: 제 1코팅층
30: 제 2코팅층

Claims (20)

  1. 기재층, 제 1코팅층 및 제 2코팅층의 적층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코팅층이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 또는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코팅층이 제 2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제 2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코팅층의 두께는 5nm 내지 100nm인
    내오염 벽지.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0.5:99.5 내지 50:50의 비율로 포함하는
    내오염 벽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분산액을 0.5:99.5 내지 50:50의 비율로 포함하는
    내오염 벽지.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불소 함유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내오염 벽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수지의 주쇄에 경화제가 도입된
    내오염 벽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내오염 벽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분산액은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내오염 벽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고형분을 5중량% 내지 30중량% 포함하고, 용제를 잔부로 포함하는
    내오염 벽지.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아크릴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고형분을 5중량% 내지 30중량% 포함하고, 용제를 잔부로 포함하는
    내오염 벽지.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고형분을 0.1중량% 내지 5중량% 포함하고, 용제를 잔부로 포함하는
    내오염 벽지.
  14. 삭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우레탄 코팅액 조성물은 무기입자를 더 포함하는
    내오염 벽지.
  16. 삭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입자는 불소화 폴리우레탄 분산액 및 수성 폴리우레탄 분산액의 고형분 대비 1중량%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내오염 벽지.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40088778A 2014-07-15 2014-07-15 내오염 벽지 KR101981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778A KR101981938B1 (ko) 2014-07-15 2014-07-15 내오염 벽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778A KR101981938B1 (ko) 2014-07-15 2014-07-15 내오염 벽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122A KR20160009122A (ko) 2016-01-26
KR101981938B1 true KR101981938B1 (ko) 2019-05-28

Family

ID=55307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778A KR101981938B1 (ko) 2014-07-15 2014-07-15 내오염 벽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9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386B1 (ko) 2016-01-26 2018-01-10 주식회사 만도 협력주행방법 및 협력주행장치
KR102109975B1 (ko) 2018-11-16 2020-05-28 (주)진주에스이씨 방오용 우레탄수지 수성 분산액 조성물
KR102158052B1 (ko) * 2019-05-28 2020-09-21 강정아 이염방지코팅액 조성물을 이용한 벽지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9937A (ja) * 2008-11-25 2012-04-2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フッ素化エーテルウレタン及びその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437A (ko) * 2007-11-28 2009-06-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불소기를 함유한 수성 폴리우레탄 도료
US8795780B2 (en) * 2011-08-04 2014-08-05 Soon Kie JUNG Textile fabric sheet having stain and liquid resistance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9937A (ja) * 2008-11-25 2012-04-2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フッ素化エーテルウレタン及びその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122A (ko) 201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46104B (zh) 含氟化合物的涂覆用组合物和用其处理的制品
US10400137B2 (en) Water-repellant and oil-repellant coating composition and transparent film
KR102247366B1 (ko) 팽창성 발포체 안정화용 계면활성제
KR101981938B1 (ko) 내오염 벽지
TWI765966B (zh) 含氟醚組成物、塗佈液及具有表面層之物品
CA2867941C (en) Siloxane-based dry erase coatings with low volatile organic character
EP2804917B1 (en) Low volatile organic compomemt dry erase siloxane-based coatings
CN107974178A (zh) 含氟丙烯酸系化合物及其制造方法以及固化性组合物和物品
KR20140067912A (ko)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라잔 및 그의 제조 방법, 표면 처리제, 및 상기 표면 처리제로 처리된 물품
TW201411177A (zh) 抗反射硬性塗層及抗反射物件
CN106029819A (zh) 表面调节剂以及使用了该表面调节剂的物品
WO2013127054A1 (en) Basic compositions including inorganic oxide nanoparticles and an organic base, coated substrates, articles, and methods
US10301477B2 (en) Superhydrophilic coating composition
CN105378010B (zh) 基材涂料组合物和方法
EP3119848B1 (de) Hydrophobierung von hartlackierungsoberflächen
TW202104353A (zh) 含有氟聚醚基之化合物
CN102146264A (zh) 一种低光泽抛光剂组合物
CN113045970B (zh) 涂覆组合物及具备涂层的物品
JP5368951B2 (ja) 撥水撥油性樹脂組成物及び塗装品
TW202104352A (zh) 含有氟聚醚基的化合物
WO2015166863A1 (ja) 液状組成物およびガラス物品
KR102167381B1 (ko) 실리카 졸을 이용한 저가형 초발수 코팅액 제조방법
CN113227440B (zh) 蒸镀材料和使用了其的带基底层的基材、带拒水拒油层的基材的制造方法
CN110520491B (zh) 地板用涂层剂、地板的涂布方法、及地板结构体的制造方法
TW202239813A (zh) 表面處理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