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396B1 - 실드 플랫 케이블 - Google Patents

실드 플랫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396B1
KR101981396B1 KR1020170110258A KR20170110258A KR101981396B1 KR 101981396 B1 KR101981396 B1 KR 101981396B1 KR 1020170110258 A KR1020170110258 A KR 1020170110258A KR 20170110258 A KR20170110258 A KR 20170110258A KR 101981396 B1 KR101981396 B1 KR 101981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film
ground conductor
flat cable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5271A (ko
Inventor
다츠오 마츠다
가츠나리 미카게
게이지 고야마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5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38Parallel wires, sandwiched between two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61Flat or ribbon cables comprising one or more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H01B9/028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with screen grounding means, e.g. drain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운드 도체를 그라운드 패드에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는 실드 플랫 케이블을 제공한다. 복수 개의 평형 도체(11)가 평행하게 나열되어 절연 필름(12, 13)으로 피복되고,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서 평형 도체(11)가 노출되어 케이블 단말부(16)가 된 실드 플랫 케이블(10)로서, 절연 필름(12, 13)의 평형 도체(11)가 실드 필름(14)으로 덮여 있고, 실드 필름(14)에는, 실드 필름(14)의 외측으로 연장한 연장부(17)를 갖는 그라운드 도체(15)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으며, 연장부(17)는, 평형 도체가 노출된 노출부의 측방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실드 플랫 케이블{SHIELD FLAT CABLE}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도체를 평행하게 나열하여 절연 필름으로 피복하고, 그 외측을 공통의 실드 필름으로 덮고,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말부를 구비하는 실드 플랫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은 CD나 DVD 플레이어 등의 AV 기기, 복사기나 프린터 등의 OA 기기, 기타 전자·정보 기기의 내부 배선 등의 많은 분야에서, 공간 절약화와 간편한 접속을 목적으로 하여 이용되고 있다. 또한, 기기의 사용 주파수가 높아지면 노이즈의 영향이 커지므로, 실드된 실드 플랫 케이블이 이용된다.
실드 플랫 케이블은 단부에 커넥터에 접속되는 단말부를 갖고 있다. 이 단말부에서, 실드 필름을 전기적으로 커넥터에 구비된 그라운드 패드에 접지 접속하기 위한 구조(그라운드 도체)가 필요하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 2010-153191 호 공보
FFC가 접속되는 기판에서는, 평행하게 나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평형(平形) 도체를 노출시킨 접촉 접속부가 접속되는 접촉 패드와, 실드 필름이 전기적으로 접지 접속되는 그라운드 패드의 두께 방향의 높이 위치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의 FFC는 커넥터에 접속되는 것으로서, 접촉 접속부와 그라운드 도체에서는 두께 방향의 높이 위치가 상이하게 되어 있다. 이 FFC에서는, 상술의 접촉 패드와 그라운드 패드를 갖는 기판에 접속할 때에 그라운드 도체와 그라운드 패드의 접속이 불안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들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복수 개의 평방 도체와 함께 그라운드 도체를 기판측의 패드에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는 실드 플랫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드 플랫 케이블은, 복수 개의 평형 도체가 평행하게 나열되어 절연 필름으로 피복되고,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서 상기 평형 도체가 노출되어 케이블 단말부가 된 실드 플랫 케이블로서, 상기 절연 필름이 실드 필름으로 덮여 있고, 상기 실드 필름에는 상기 실드 필름의 외측으로 연장한 연장부를 갖는 그라운드 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평형 도체가 노출된 노출부의 측방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라운드 도체를 구비함으로써, 그라운드 도체가 평형 도체와의 단차를 흡수하여, 기판의 그라운드 패드와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실드 플랫 케이블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에서 본 배면도,
도 3은 도 1의 화살표 B에서 본 측면도,
도 4는 실드 필름의 개락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실드 플랫 케이블과 기판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실드 플랫 케이블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화살표 C에서 본 배면도,
도 8은 도 6의 화살표 D에서 본 측면도,
도 9는 도 6의 화살표 E에서 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실드 플랫 케이블의 개략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실드 플랫 케이블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화살표 C에서 본 배면도,
도 13은 도 11의 화살표 D에서 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그라운드 도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의 설명)
최초에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를 열기하여 설명한다.
(1) 본원의 실드 플랫 케이블은, 복수 개의 평형 도체가 평행하게 나열되어 절연 필름으로 피복되고,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서 상기 평형 도체가 노출되어 케이블 단말부가 된 실드 플랫 케이블로서, 상기 절연 필름이 실드 필름으로 덮여 있고, 상기 실드 필름에는, 상기 실드 필름의 외측으로 연장한 연장부를 갖는 그라운드 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평형 도체가 노출된 노출부의 측방에 상기 연장부가 위치한다. 이와 같이 그라운드 도체를 구비함으로써, 그라운드 도체가 평형 도체와의 단차를 흡수하여, 기판의 그라운드 패드와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2) 상기 (1)의 실드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도체는, 상기 실드 필름과의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평형 도체의 양 외측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한쪽의 단부의 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ㄷ자 형상이다. 그라운드 도체를 ㄷ자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그라운드 도체의 연장부를 평형 도체의 노출부의 측방에 위치시킬 수 있어서, 평형 도체와 그라운드 도체를 실드 플랫 케이블의 한쪽의 단부에서 기판의 패드와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 상기 (1) 또는 (2)의 실드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도체가 상기 절연 필름과 상기 실드 필름 사이에 위치한다. 그라운드 도체를 절연 필름과 실드 필름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그라운드 도체와 실드 필름의 전기적 접속, 및 그라운드 도체의 보지를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어서, 소정 위치에 그라운드 도체를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4) 상기 (3)의 실드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도체에 수지 필름이 부착되고, 상기 그라운드 도체는 상기 수지 필름을 거쳐서 상기 절연 필름에 부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그라운드 도체 상으로부터 실드 필름을 맞붙여도, 연장부의 도체가 평형 도체와 병렬되며, 기판의 접촉 패드에 평형 도체가 접속되는 동시에 기판의 그라운드 패드에 그라운드 도체를 접속할 수 있다.
(5)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실드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도체가 상기 실드 필름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 그라운드 도체를 실드 필름의 외측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그라운드 도체가 실드 플랫 케이블에 장착되기 쉬워진다.
(6) 상기 (5)의 실드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도체 및 상기 실드 필름의 외측에 다른 절연 필름이 마련되어 있다. 그라운드 도체 및 실드 필름의 외측에 다른 절연 필름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그라운드 도체의 보지를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실드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평형 도체가 단부에서 전면(全面)이 노출되어 있다. 평형 도체 단부의 전면을 노출시킴으로써 기판에의 접속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의 상세)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드 플랫 케이블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부호를 붙인 구성은 동일한 것으로 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실드 플랫 케이블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 B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4는 실드 필름의 개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실드 플랫 케이블과 기판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실드 플랫 케이블(10)은, 복수 개의 평형 도체(11), 절연 필름(12, 13), 실드 필름(14), 및 그라운드 도체(15)로 구성된다. 실드 플랫 케이블(10)은, 예컨대, 단면이 평형 형상이며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형 도체(11)를 Y축 방향으로 복수 개 평행하게 나열하고, 평형 도체(11)의 병렬면(XY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Z 방향)의 양면을 절연 필름(12, 13)에 의해 사이에 두고 피복한 플랫 케이블이 이용된다. 실드 플랫 케이블(10)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는 도면 중의 Z축 방향 상측에 있는 절연 필름(12)을 제거하거나, 또는 단부에는 절연 필름(12)을 처음부터 존재시키지 않고, 접촉 접속부가 되는 부분을 노출시켜 케이블 단말부(16)로 하고 있다.
절연 필름(13)의 도면 중의 Z축 방향 하측의 면은, 예컨대, 도 1과 같이 실드 필름(14)으로 덮어 실드한다. 실드 필름(14)은, 예컨대,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층(14a), 금속층(14b), 도전성 접착층(14c)의 3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이용되며, 그 도전성 접착층(14c)을 내측으로 하여 절연 필름(12, 13)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도체(15)의 일부가 실드 필름(14)의 단부와 겹치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실드 필름(14)의 금속층(14b)과 그라운드 도체(15)가 실드 필름의 도전성 접착층(14c)을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라운드 도체(15)가 실드 필름(14)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지만, 그라운드 도체(15)가 실드 필름(14)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이 경우, 실드 필름(14)의 그라운드 도체(15)와 겹치는 부분의 수지층(14a)이 제거되고, 별도로,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실드 필름(14)의 금속층(14b)과 그라운드 도체(15)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면 좋다.
신호용의 평형 도체(11)는, 예컨대, 동박, 주석 도금 연동박 등의 도전성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며, 신호 전송의 전류값에도 의하지만, 케이블의 미끄럼 운동성 등을 고려하면, 예컨대, 두께(t)가 12㎛~50㎛이며, 폭(W)이 0.3㎜ 정도이며, 피치(P)가 0.5㎜로 배열된다. 이 평형 도체(11)의 배열 상태는 절연 필름(12, 13)에 의해 사이에 두어져 보지된다.
절연 필름(12, 13)은 그 내면(접합면)에 접착층(도시 생략)을 갖는다. 절연 필름(12, 13) 자체는, 유연성이 뛰어난 수지 재료가 사용되며,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등의 범용성이 있는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수지 필름의 두께로서는, 9㎛~50㎛의 것이 이용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수지 재료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수지 필름 중 전기적 특성, 기계적 특성, 비용 등의 관점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접착층은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사용되며, 예컨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나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난연제를 첨가한 접착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접착층은 10㎛~100㎛로 형성된다. 절연 필름(12, 13)은 평형 도체(11)를 사이에 두고 접착층을 마주보게 하고, 가열 롤러로 열을 가하면서 접합하는 것에 의해 맞붙여져 일체화된다.
실드 필름(14)은 전체의 두께가 30㎛ 정도이며, 그 부착의 형태로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도체(15)와 절연 필름(13)에 부착되고, 평형 도체(11)의 노출면과 반대측의 편면에만 마련되어 있다. 이것 이외에, 1매의 광폭의 필름으로 전체를 둘러싸도록 감아서 전체를 실드해도 좋고, 세폭의 2매의 실드 필름으로 절연 필름(12, 13)을 상하로부터 사이에 두는 것이어도 좋다. 2매의 실드 필름으로 절연 필름(플랫 케이블)을 사이에 두는 경우는, 그 모서리부를 접착하고 플랫 케이블의 외면을 전기적으로 폐쇄하고, 케이블 측면을 완전히 덮어 실드하도록 해도 좋다. 혹은, 테이프 형상의 것을 플랫 케이블에 나선 형상으로 감아도 좋다.
실드 필름(14)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필름 기재가 되는 수지층(14a)과, 이 수지층(14a)에 은 등의 도전성 금속을 증착 또는 금속박(알루미늄박이나 동박)을 수지층(14a)에 맞붙인 것 등으로 형성된 금속층(14b)과, 금속층(14b) 상에 도전성 접착제를 도포한 도전성 접착층(14c)의 3층 구조인 것이 사용된다. 수지층(14a)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두께 9㎛ 정도의 수지 필름이 이용된다. 도전성 접착층(14c)은, 절연 필름(12)에의 부착 이외에, 그라운드 도체(15)와의 전기적 도통을 얻고 실드 기능을 생기게 하는 것이며, 금속층(14b)의 은 증착면에, 예컨대, 은 페이스트 등을 도포하여 형성된다.
그라운드 도체(15)는, 예컨대, 두께 50㎛~150㎛의 주석 도금 연동박 등의 도전성 금속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도체(15)는, 대략 T자 형상의 평판의 양 날개부가 절곡되어, 단면에서 보아 칼라가 있는 덮개 형상이 되고, 평형 도체(11)의 노출부의 측방(폭 방향(Y축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며, 평형 도체(11)의 접촉 접속부가 되는 면과 면일(FL)이 되는 연장부(17)가 형성되어 있다.
그라운드 도체(15)는 대략 T자형 형상의 기부가 절연 필름(13)과 실드 필름(14)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절연 필름(13) 상에 그라운드 도체(15)를 배치하고, 그라운드 도체(15) 상으로부터 실드 필름(14)의 도전성 접착층(14c)을 내측으로 하여 마련하는 것에 의해, 실드 필름(14)과 그라운드 도체(15)의 전기적 접속 및 그라운드 도체(15)의 보지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절연 필름(13)과 절연 필름(13) 상의 그라운드 도체(15)를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는 것에 의해, 그라운드 도체(15)를 보다 확실하게 절연 필름(13) 상에 고정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실드 플랫 케이블(1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50)이 도시되어 있다. 기판(50)에는, 평형 도체(11)의 접촉 접속부가 접촉하는 접속 패드(51)와 접지용의 그라운드 패드(52)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 패드(51)와 그라운드 패드(52)는 대략 동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실드 플랫 케이블(10)을 화살표 CO 방향으로 이동시켜, 기판(50)에 접촉 접속시켰을 때, 평형 도체(11)는 접속 패드(51)와, 연장부(17)는 그라운드 패드(52)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여기서, 연장부(17)는 확실한 접지를 취하기 위해 도전성 접착제(은 페이스트를 접착제에 반죽해 넣은 것 등), 땜납, 은 납땜 등으로 그라운드 패드(52)에 접합되지만, 접합 수단은 임피던스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된다.
케이블 단말부(16)에서, 평형 도체(111)에는, 내부식성, 납땜 용이성을 목적으로 하여 주석 도금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출된 접촉 단자부에는, 필요에 따라서, 위스커(whisker)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금 도금을 실시하는 등의 여러 가지 대책을 강구할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 도체(15)에서도, 실드 필름(14)과의 전기 접촉을 확보하고, 산화 방지나 부식 방지를 위해 주석 도금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그라운드 도체(15)는 대략 T자 형상으로 금속박을 펀칭하고, T자 형상의 양 날개의 연장부(17)를 굽힘 가공하는 것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 도체(15)를 실드 필름(14)의 내측에 마련하고, 평형 도체의 기판과의 접촉 접속면과 면일한 접지면으로 함으로써, 그라운드 도체(15)를 그라운드 패드(52)에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그라운드 도체를 얇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박형의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어서, 공간 절약화에 공헌한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라운드 도체에 금 도금 등을 굳이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저비용화에 공헌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드 플랫 케이블에 따른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실드 플랫 케이블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화살표 C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화살표 D에서 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6의 화살표 E에서 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와는 그라운드 도체의 형상과 배치가 상이하며,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7 및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실드 플랫 케이블(20)의 그라운드 도체(25)는 박판의 도전성 금속박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실드 필름(14)의 폭 방향을 넘은 외측에 평형 도체(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27)를 구비하고 있다.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장부(27)는, 평형 도체(11)의 노출부의 측방(폭 방향(Y축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평형 도체(11)의 접촉 접속부가 되는 면과 면일(FL)이 되도록 Z 방향으로 굽혀져서, 면일(FL)을 따른 평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그라운드 도체(25)는 실드 필름(14)과 접촉하는 부분이 실드 필름(14)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실드 필름(14)은, 도전성이 없는 접착층이며 절연 필름(13) 상에 부착되어 있다. 실드 필름(14)의 그라운드 도체(15)와 겹치는 측(외측)은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실드 필름(14)의 금속층(14b)과 그라운드 도체(15)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그라운드 도체(25)를 케이블의 외측에 구비하고, 평형 도체의 기판과의 접촉 접속면과 면일한 접지면으로 함으로써, 그라운드 도체(25)를 그라운드 패드(52)에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실드 플랫 케이블(30)에서는 절연 필름(31)이 실드 필름(14)의 도전성 접착층과 맞붙여진다. 절연 필름(31)은 실드 필름(14)과의 접합면에 접착층을 가져도 좋다. 절연 필름(31)에는, 유연성이 뛰어난 수지 재료가 사용되며,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등의 범용성이 있는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그라운드 도체(15(25))는 실드 필름(14)과 절연 필름(31) 사이에 끼워지고 고정된다. 이때, 그라운드 도체(15(25))를 미리 실드 필름(14)에 접착 또는 부착해 두어도 좋고, 또는 실드 필름(14)과 절연 필름(31)을 접착할 때에 그라운드 도체(15(25))를 끼워넣고 고정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소정 위치에 그라운드 도체(15(25))를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드 플랫 케이블에 따른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실드 플랫 케이블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화살표 C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화살표 D에서 본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는 제 2 실시형태와는 평형 도체의 단부가 상이한 동시에,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그라운드 도체가 절연 필름과 실드 필름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드 플랫 케이블(40)의 단부에서 평형 도체(11)를 전면 노출해도 좋다. 절연 필름(12) 및 절연 필름(13)을 단부에서 제거함으로써 평형 도체(11)를 전면 노출할 수 있다. 또는 절연 필름(12) 및 절연 필름(13)을 평형 도체(11)에 맞붙일 때에, 케이블 단부가 되는 부분의 평형 도체(11)에는 그들 절연 필름(12, 13)을 맞붙이지 않는 것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실드 플랫 케이블(40)의 그라운드 도체(35)는,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박판의 도전성 금속박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실드 필름(14)의 폭 방향을 넘은 외측에 평형 도체(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37)를 구비하고 있다.
(그라운드 도체의 변형예)
그라운드 도체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도체(43)에 수지 필름(42)을 부착하여 굴곡이나 절곡에 대한 강도를 강하게 한 것이어도 좋다. 연장부(41)에서 도체를 수지 필름에 감아 양면에 도체가 있도록 하면, 수지 필름을 케이블의 절연 필름에 부착하고, 그라운드 도체 상으로부터 실드 필름을 맞붙여도, 연장부의 도체가 평형 도체와 병렬된다. 이에 의해, 기판의 접촉 패드에 평형 도체가 접속되는 동시에 기판의 그라운드 패드에 그라운드 도체가 접속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그라운드 도체는, 그라운드 도체를 절연 필름과 실드 필름 사이에 위치시킨 제 1 및 제 3 실시형태에서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며,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예컨대, 그라운드 도체(15(25))를 실드 필름(14)에 고착할 때에는, 그라운드 도체(15(25))의 실드 필름(14)과의 접속 부분에, 미리 도전성의 양면 접착 테이프를 부착하거나, 또는 도전성의 접착제를 도포해 두어도 좋다. 나아가, 케이블 단말부(16)의 보강을 실행하기 위해, 평형 도체(11)의 노출면과는 반대측의 제거되지 않은 절연 필름(13)의 외측에 보강 테이프를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 평형 도체는 단부에서 전면이 노출되어 있어도 좋다.
10, 20, 30, 40: 실드 플랫 케이블, 11: 평형 도체, 12, 13: 절연 필름, 14: 실드 필름, 15, 25, 35: 그라운드 도체, 16: 케이블 단말부, 17, 27, 37, 41: 연장부, 31: 다른 절연 필름, 42: 수지 필름, 43: 금속 도체, 50: 기판, 51: 접속 패드, 52: 그라운드 패드

Claims (7)

  1. 접촉 패드의 면과 그라운드 패드의 면이 면일(面一)인 기판과 접속하도록 구성되고, 복수 개의 평형(平形) 도체가 평행하게 나열되어 절연 필름으로 피복되고,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서 상기 평형 도체가 노출되어 케이블 단말부가 된 실드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필름이 실드 필름으로 덮여 있고,
    상기 실드 필름에는, 상기 실드 필름의 외측으로 연장한 연장부를 갖는 그라운드 도체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평형 도체가 노출된 노출부의 측방에 위치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평형 도체의 노출된 면과 면일이 되는
    실드 플랫 케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도체는, 상기 실드 필름과의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평형 도체의 양 외측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한쪽의 단부의 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ㄷ자 형상인
    실드 플랫 케이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도체가 상기 절연 필름과 상기 실드 필름 사이에 위치하는
    실드 플랫 케이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도체에 수지 필름이 부착되고, 상기 그라운드 도체는 상기 수지 필름을 거쳐서 상기 절연 필름에 부착되어 있는
    실드 플랫 케이블.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도체가 상기 실드 필름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는
    실드 플랫 케이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도체 및 상기 실드 필름의 외측에, 다른 절연 필름이 마련되어 있는
    실드 플랫 케이블.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 도체가 단부에서 전면(全面)이 노출되어 있는
    실드 플랫 케이블.
KR1020170110258A 2016-08-31 2017-08-30 실드 플랫 케이블 KR101981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69599A JP6801306B2 (ja) 2016-08-31 2016-08-31 シールドフラットケーブル
JPJP-P-2016-169599 2016-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271A KR20180025271A (ko) 2018-03-08
KR101981396B1 true KR101981396B1 (ko) 2019-05-22

Family

ID=61532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258A KR101981396B1 (ko) 2016-08-31 2017-08-30 실드 플랫 케이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01306B2 (ko)
KR (1) KR101981396B1 (ko)
CN (1) CN1077999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0265B2 (ja) * 2018-04-27 2022-03-2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フラットケーブル
JP7067275B2 (ja) * 2018-05-30 2022-05-1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フラットケーブル
CN209729555U (zh) * 2018-06-01 2019-12-03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扁平数据传输线缆
KR102135129B1 (ko) * 2019-05-17 2020-07-17 주식회사 이랜텍 박판형 케이블을 사용한 이어폰.
DE102019128294B4 (de) * 2019-10-21 2021-05-20 Auto-Kabel Management Gmbh Gehäuse, insbesondere Leitungsgehäuse, System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Systems
JP7446094B2 (ja) * 2019-12-03 2024-03-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接続対象物、コネクタ、及びハーネス
JP7387412B2 (ja) 2019-12-03 2023-11-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CN111009357B (zh) * 2020-01-16 2021-04-27 广东田津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抗氧化防锡须的ffc线材制作工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0995B2 (ja) * 2007-03-30 2012-11-21 ソニーケミカル&インフォメーションデバイス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
JP5309766B2 (ja) * 2008-03-03 2013-10-0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フラットケーブル
JP4816724B2 (ja) 2008-12-25 2011-11-1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フラットケーブル
KR101056324B1 (ko) * 2009-03-09 2011-08-11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시일드 플랫 케이블
KR101307690B1 (ko) * 2009-07-28 2013-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TWM395239U (en) * 2010-06-03 2010-12-21 Tennrich Internat Crop Flexible flat cable
CN103456393A (zh) * 2012-05-29 2013-12-18 东莞新兴盛端子制品有限公司 柔性扁平电缆及其制造方法
JP5835274B2 (ja) * 2013-06-18 2015-12-2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接続部材および接続部材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
JP5854008B2 (ja) * 2013-08-09 2016-02-0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271A (ko) 2018-03-08
CN107799930B (zh) 2019-09-24
JP2018037288A (ja) 2018-03-08
CN107799930A (zh) 2018-03-13
JP6801306B2 (ja) 202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1396B1 (ko) 실드 플랫 케이블
TWI430290B (zh) 屏蔽扁平電纜及其製造方法
TWI453768B (zh) Composite flexible circuit cable
US11289241B2 (en) Shielded flat cable
CN112005322B (zh) 屏蔽扁平电缆
JP5293661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
JP4816724B2 (ja) シールドフラットケーブル
CN110556198B (zh) 屏蔽扁平电缆
CN110415876B (zh) 屏蔽扁平线缆
JP2012009478A (ja) 接続構造、電子機器
JP4363664B1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JP2017139180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14152B2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81012A (ja) フレキシブル基板及び該フレキシブル基板が実装された実装機器
TWI820167B (zh) 扁平電纜及扁平電纜的製造方法
TWM597993U (zh) 具有遮蔽結構的排線
JP6683264B2 (ja) 電子機器
JP2015026747A (ja) 樹脂多層基板
CN218451093U (zh) 一种降低半导体器件磁场干扰的柔性电路板结构
JP7006489B2 (ja) シールド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9231011A (ja) 電線シールド構造
JP2015201531A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が接続された回路基板構造体
JP2013247262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JP2017201607A (ja) シールド付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シールド付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