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077B1 -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077B1
KR101981077B1 KR1020180156872A KR20180156872A KR101981077B1 KR 101981077 B1 KR101981077 B1 KR 101981077B1 KR 1020180156872 A KR1020180156872 A KR 1020180156872A KR 20180156872 A KR20180156872 A KR 20180156872A KR 101981077 B1 KR101981077 B1 KR 101981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filler
sandwich panel
delete delete
pane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원
Original Assignee
김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원 filed Critical 김지원
Priority to KR1020180156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1Spray pistols,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100)로서, 지지체(110); 상기 지지체(110)를 사이에 두고 구비되는 적어도 한 쌍의 단열체(111); 상기 단열체(111)를 가압하여 압축시켜 상기 단열체(111)의 단면적을 변화시기키 위한 가압모듈; 및 상기 가압모듈에 대응하여 외측에 구비되는 외장체(113')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모듈은, 상기 지지체(110) 및 상기 단열체(111)를 관통하는 제1 심체(1131)와, 상기 단열체(111)를 사이에두고 상기 제1 심체(1131)을 매개로 (공압식, 유압식 등) 적어도 어느 한 쪽이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연동되는 한 쌍의 제1 가압체(1132)가 구비되는 제1 가압모듈(113)과, 상기 제1 가압모듈(113) 내지 상기 지지체(110)를 관통하는 제2 심체(1141)와, 상기 제1 가압체(1132)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심체(1141)를 매개로 적어도 어느 한쪽이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연동되는 한 쌍의 제2 가압체(1142)가 구비되는 제2 가압모듈(114)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벽체와 기둥의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화재 사고의 발생시에도 이를 신속하게 제거하여 설치 현장의 인명과 재산 피해 예방을 도모할 수 있는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제작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Sandwich Panel}
본 발명은 벽체와 기둥의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화재 사고의 발생시에도 이를 신속하게 제거하여 설치 현장의 인명과 재산 피해 예방을 도모할 수 있는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샌드위치 판넬은 공사시간을 절감하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재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샌드위치 판넬은 설치후 현장의 환경에 따라 사후적으로 그 설치 구조가 변경되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그러나, 이러한 설치 구조의 변형은 샌드위치 판넬에 적용하는 것이 어려워 다시 신규로 샌드위치 판넬을 제작하여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샌드위치 판넬 은 화재 등에 취약하여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샌드위치 판넬은 물론 주변으로의 피해를 확산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샌드위치 판넬의 이용을 저해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14071호
본 발명은 벽체와 기둥의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화재 사고의 발생시에도 이를 신속하게 제거하여 설치 현장의 인명과 재산 피해 예방을 도모할 수 있는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로서, 지지체; 상기 지지체를 사이에 두고 구비되는 적어도 한 쌍의 단열체; 상기 단열체를 가압하여 압축시켜 상기 단열체의 단면적을 변화시기키 위한 가압모듈; 및 상기 가압모듈에 대응하여 외측에 구비되는 외장체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모듈은, 상기 지지체 및 상기 단열체를 관통하는 제1 심체와, 상기 단열체를 사이에두고 상기 제1 심체를 매개로 적어도 어느 한 쪽이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연동되는 한 쌍의 제1 가압체가 구비되는 제1 가압모듈과, 상기 제1 가압모듈 내지 상기 지지체를 관통하는 제2 심체와, 상기 제1 가압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심체를 매개로 적어도 어느 한쪽이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연동되는 한 쌍의 제2 가압체가 구비되는 제2 가압모듈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체와 기둥의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화재 사고의 발생시에도 이를 신속하게 제거하여 설치 현장의 인명과 재산 피해 예방을 도모할 수 있는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에 따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의 구성들 중 일부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의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의 구성들 중 일부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가공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가공수단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따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가공수단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가공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따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가공수단의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에 따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의 구성들 중 일부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100)는, 지지체(110); 상기 지지체(110)를 사이에 두고 구비되는 적어도 한 쌍의 단열체(111); 상기 단열체(111)를 가압하여 압축시켜 상기 단열체(111)의 단면적을 변화시기키 위한 가압모듈; 및 상기 가압모듈에 대응하여 외측에 구비되는 외장체(113')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체(111)는 흡수성수지, 천연흡수성수지, 고흡수성 수지, 유기질재질(EPS), 섬유질재질, 천연섬유질재질, 물흡수를 위판 패드, 매트, 스펀지 등 어느 하나인 상기 단열체(111)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모듈은, 상기 지지체(110) 및 상기 단열체(111)를 관통하는 제1 심체(1131)와, 상기 단열체(111)를 사이에두는 한 쌍의 제1 가압체(1132, 1132')가 구비되는 제1 가압모듈(113)이 개시된다.
상기 제1 심체(1131)와 상기 제1 가압체(110) 사이의 구동 방식은 공압식, 유압식 등의 방식으로 구동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 공지된 피스톤과 실린더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이 통상의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심체(1131)의 양측에 상기 제1 가압체(1132)가 구비된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제1 가압체(1132) 중 일측의 제1 가압체(1132') 내부로 상기 제1 심체(1131)의 일측이 삽입되어 구동하도록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 심체(1131)는 삽입된 일측이 상기 제1 가압체(1132') 내부로부터 일정범위 진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일측의 상기 제1 가압체(1132')에서의 상기 제1 심체(1131)의 유동에 따라 타측에 상기 제1 가압체(1132)는 진퇴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 가압체(1132)가 상기 타측의 제1 가압체(1132')측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단열체(111)를 가압하여 압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상기 제1 가압체(1132')의 두께, 부피, 내부 공간 등의 여유에 따라 상기 제1 심체(1131)가 일정범위로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가압모듈(113)과 상기 지지체(110)를 관통하는 제2 심체(1141)와, 상기 제1 가압체(1132)를 사이에 두는 한 쌍의 제2 가압체(1142, 1142')가 구비되는 제2 가압모듈(114)이 개시된다.
상기 제2 가압모듈(114)의 구동방식은 전술한 상기 제1 가압모듈(113)의 구동박식와 유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심체(1141)는, 상기 지지체(110), 상기 단열체(111), 상기 제1 가압체(1132, 1132')를 관통하며, 상기 제2 가압체(1142, 1142')는 상기 제2 심체(1141)의 양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2 심체(1141)는 한 쌍의 상기 제2 가압체(1142, 1142') 중 일측에 해당되는 제2 가압체(1142') 내부로 일측이 삽입되어 구동하도록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 심체(1141)의 삽입된 일측이 상기 제2 가압체(1142') 내부로부터 일정범위 진퇴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일측의 상기 제2 가압체(1142')에서의 상기 제2 심체(1141)의 유동에 따라 타측에 상기 제2 가압체(1142)는 진퇴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 가압체(1142)가 타측의 상기 제2 가압체(1142')측으로 유동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제2 가압체(1142')의 두께, 부피, 내부 공간 등에 여유에 따라 상기 제2 심체(1141)가 일정범위로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2 가압체(1142, 1142')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가압체(1142)가 상기 제1 가압체(1132)를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가압모듈(113)의 상기 제1 가압체(1132)는 다수의 제1 서브 가압체(1132a)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심체(1131)는 상기 제1 서브 가압체(1132a) 각각 대응하여 다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2 가압모듈(114)의 상기 제2 가압체(1142)는 다수의 제2 서브 가압체(1142a)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심체(1141)는 상기 제2 서브 가압체(1142a) 각각에 대응하여 다수로 구비된다. 상기 단열체(111)는 다수의 서브 단열체(111a)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서브 가압체(1132a)들과 각각 대응하여 구비된다. 상기 서브 단열체(111a)들은, 상기 제1 가압체(1132)의 동작에 기반하여 서로 동일한 정도로 압축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1차 압축되는 것이다.
상기 제1 가압체(1132)에 의하여 1차 압축된 상기 서브 단열체(111a)들은 상기 제2 가압체(1142)의 동작에 기반하여 서로 동일한 정도로 압축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2차 압축된다.
상기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100)는 양측에 제1 패널(120)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100)는 상기 제1 패널(120)을 기반으로 슬라이딩 방식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된다. 상기 제1 패널(120)은 상기 단열체(111)와 대응하는 제1 영역 내에 흡입모듈(12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영역내에는 송풍모듈(122)이 구비되고, 상기 송풍모듈(122)은 상기 제1 가압모듈(113), 상기 제2 가압모듈(114) 및 상기 흡입모듈(121)의 동작이후에, 상기 단열체(111)로 송풍하여 상기 단열체(111)를 건조시킨다. 상기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100)는 하측에 제2 패널(130)이 구비되며, 상기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100)는 상기 제2 패널(130)을 기반으로 슬라이딩 방식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제2 패널(130)은 상기 단열체(111)와 대응하는 제2 영역 내에 제2 흡입모듈(124)이 구비된다. 상기 단열체(111)는 상기 토출모듈(115)로부터 토출된 유체가 함유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가압모듈(113)과 상기 제2 가압모듈(114)의 가압동작에 기반하여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면, 상기 제2 흡입모듈(124)은 배출되는 상기 유체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의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외장체(113')의 외측에는 상기 단열체(111)를 향하여 유체를 토출하기 위한 패널형태의 토출모듈(115)이 구비되며, 상기 토출모듈(115)은, 상기 외장체(113')의 외측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베이스판(1151)과, 상기 베이스판(1151)에 각각 구비되며 내장된 유체를 분사노즐(N)을 통해 상기 단열체(111)로 토출하기 위한 다수의 토출부재(1152)와, 상기 베이스판(1151)에서 유동하여 상기 토출부재(1152)를 가압하며 상기 토출부재(1152)로 하여금 상기 단열체(111) 내부에 유체를 가속하여 토출하도록 하기 위한 가압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토출부재(1152)의 상단 외곽에 구비되는 제1 가압부재(116)와, 상기 토출부재(1152)의 하단 외곽에 구비되는 제2 가압부재(117)와, 상기 토출부재(1152)의 좌측 외곽에 구비되는 제3 가압부재(118)와, 상기 토출부재(1152)의 우측 외곽에 구비되는 제4 가압부재(119)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가압부재(116)와 상기 제2 가압부재(117)는 각각 상기 토출부재(1152)를 가압하여 상기 토출부재(1152)에 내장된 상기 유체가 상기 단열체(111)로 고속 분사되도록 하는 제1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3 가압부재(118)와 상기 제4 가압부재(119)는 각각 상기 토출부재(1152)를 가압하여 상기 토출부재(1152)에 내장된 상기 유체가 상기 단열체(111)로 고속 분사되도록 하는 제2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1 가압부재(116) 내지 상기 제4 가압부재(119)의 가압측 영역에는 다수의 돌출물이 각각 구비되며,상기 토출모듈(115)의 상기 분사노즐(N)은, 내부에 유로(L)가 형성되는 분사노즐(N) 몸체와, 상기 분사노즐(N) 몸체의 단부에는 토출공(TH)이 형성된 제1 편형상체(P1)와 제2 편형상체(P2)로 이루어지는 테이퍼형 구조물(P)이 구비된다. 상기 유로(L)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제1 편형상체(P1)와 상기 제2 편형상체(P2)의 상기 각 토출공(TH)을 통해 토출되는 제1 동작모드와, 상기 유로(L)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제1 편형상체(P1)와 상기 제2 편형상체(P2)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유동된 상태에서 토출되는 제2 동작모드로 동작된다.
상기 토출모듈(115)의 상기 분사노즐(N)은, 상기 제2 동작모드로 동작되는 상기 제1 편형상체(P1)와 상기 제2 편형상체(P2)는 상기 토출공(TH)이 형성된 외측면 빗변이 내측을 향하여 위치되어, 내측면은 외측을 향하여 위치된다. 상기 제1 편형상체(P1) 및 상기 제2 편형상체(P2)의 각 내측면에는 블레이드부(BL)가 구비되어, 상기 단열체(111)의 일부 영역을 절개시키는 것이다. 상기 블레이드부(BL)는 길이방향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는 상호간에 공통적인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복합적으로 선택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의 구성들 중 일부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 외장체(113')의 외측에 소정의 패드(CM)가 구비된다. 상기 패드(CM)는 상기 외장체(113') 각각의 개별동작에 대응하여 그 형상이 달라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패드(CM)는 고무재질이나 기타 가변이 가능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가공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가공수단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따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가공수단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충전재(21), 이송장치(210), 불연제 주입장치(220), 노즐(222), 하우징(224), 배관부(226)가 도시되어 있다.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는 통상 스티로폼과 같은 합성수지 발포재로서, 이와 같은 충전재의 내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충전재 내부에 불연제를 주입하는 방법, 충전재 표면에 불연제를 도포하는 방법, 충전재를 불연제에 침전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충전재의 표면에 불연제를 도포하거나 충전재를 불연제에 침전시키는 방법은 충전재의 표면에만 불연제가 적용되므로 내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 되지 못한다. 충전재의 내부에까지 불연제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충전재의 표면에 불연제 주입을 위한 주입공 등을 천공하고 상기 주입공을 통해 불연제를 주입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불연제 주입공을 형성한 후 불연제를 주입하는 방법은 주입공 형성공정과 불연제 주입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쳐야 한다는 점에서 공정이 복잡하고, 충전재의 표면에 주입공이라는 일종의 홈을 형성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를 개선한 것으로, 충전재의 표면에 주입공을 형성하지 않고 간단한 공정으로 충전재 내부에 불연제를 주입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샌드위치 패널용 충전재를 불연제 주입장치로 이송하고, 불연제 주입장치에서는 이송된 충전재의 표면에 10㎏f/㎠ 내지 100㎏f/㎠의 압력으로 불연제를 분사하여 충전재의 내부에 불연제를 주입한다. 불연제의 주입은 불연제 주입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에 불연제를 주입하는 시스 템은, 충전재의 표면에 불연제를 분사하는 노즐과, 노즐을 통해 불연제가 분사되도록 압력을 가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 된다. 노즐은 불연제 분사 대상이 되는 충진재의 형태에 따라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노즐의 수, 배열간격 및 형태는 충전재에 불연제가 효율적으로 주입되도록 결정한다. 예를 들어, 노즐의 수가 너무 적으면 넓은 면적의 충전재에 골고루 불연제를 분사하기 곤란하며, 노즐의 수가 너무 많으면 개별 노즐마다 소정의 압력으로 불연제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 대용량의 펌프를 사용해야 한다. 노즐의 배열간격은 노즐로 사용되는 부재 자체의 직경 때문에 간격을 좁히는 데에 한계가 있으며, 배열간격이 너무 넓으면 불연제가 밀실하게 주입되지 않아 충전재의 내연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진재의 폭에 대응하여 복수의 노즐을 배열하여, 충진재를 한 방향으로 이송시 키면서 전체적으로 불연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노즐로 사용되는 부재의 직경에 의해 노즐 간의 간격을 충분히 좁게 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였다. 펌프에 의해 가압된 불연제는 배관, 연결부재, 밸브 등으로 구성되는 배관부를 거쳐 하우징을 통해 각 노즐로 공급된다. 하우징은 복수의 노즐을 결합하여 각 노즐에 불연제가 균일한 압력으로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노즐에 비해 직경이 충분히 큰 배관을 사용할 수 있다. 펌프로부터 가압된 액상의 불연제가 노즐까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배관 등의 구성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충전재의 표면에 주입공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불연제를 주입하는 공정을 모두 생략하고, 충전재의 표면에 직접 고압의 불연제를 분사하여 충전재의 내부까지 주입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불연제 주입공정은 고압펌프에 의해 송출된 불연제를 하나 이상의 노즐을 통해 분사함으로써 수행된 다. 분사된 불연제가 충전재의 내부에 주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소정이 압력 이상으로 불연제를 분사해야 하며, 통상 10 ㎏f/㎠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50㎏f/㎠ 정도의 압력으로 불연제를 분사한다. 이와 같이 고압으로 불연제를 분사하게 되면 그 분사되는 힘에 의해 충전재의 표면에 미세한 주입공이 형성되면서 이를 통해 불연제가 충전재 내부까지 침투하게 된다. 한편, 불연제의 분사압력을 너무 크게 하면 충전재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 로, 충전재가 구조적으로 손상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불연제의 주입정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압력으로 불연제를 분사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불연제 분사 압력이 반드시 전술한 수치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재 내부에 불연제가 침투 되고 충전재 표면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수치범위의 압력으로 불연제를 분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반적으로 노즐을 통해 액체를 분사하게 되면 액체가 직선으로 분사되기도 하지만,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소정 각도로 퍼지는 원뿔형으로 분사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불연제가 원뿔형으로 퍼지게 되면 충전재의 표면에 단위면적당 가해지는 압력이 노즐의 토출구에서의 압력보다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 충전재에 불연제를 주입하기 위해 미리 설계한 압력이 충전재에 미치지 않아 불연제가 주입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노즐은 액상의 불연제가 분사됨에 따라 퍼지지 않고 직진하는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 다. 여기에서 '직진하는 특성'은 엄밀한 의미에서 빛의 경로나 수학적인 직선의 궤적을 그리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노즐로부터 분사된 불연제가 충전재에 주입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하나의 액체기둥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 다.
이와 같이 불연제의 분사에 의해 충전재의 표면에 주입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노즐의 직경이 충분히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통상 1㎜ 이하의 토출구 직경을 갖는 노즐이 사용되나, 본 발명이 반드시 전술한 수치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에 분사되는 불연제가 원뿔형으로 퍼지는 경우에는 충전재에 가해지는 단위면적당 압력이 줄어들어 충전재 내부까지 불연제가 침투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불연제 분사 압력을 증가시킨다고 하더라도 분사되는 불연제가 충전재의 표면에 임의적으로 충돌하게 되므로 주입공이 형성되지 않고 충전재의 표면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불연제를 분사하는 것만으로 충전재의 표면에 주입공을 형성하면서 충전재의 내부에 불연제가 주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불연제의 액체기둥이 직진성을 갖도록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적절한 노즐을 사용 하는 것이 좋다.
불연제의 분사를 위한 노즐은 점(point) 형상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전술한 점(point) 형식의 노즐 외에도 장홀 형상의 슬롯(2slot) 형식의 노즐이 사용될 수 있다. 분사된 불연제가 충전재 내부로 침투될 수 있도록 충분히 얇은 두께로 슬롯을 형성하여 불연제를 분사하며, 슬롯의 길이는 불연제가 주입될 충전재의 폭에 대응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불연제 주입공정이 완료된 후에는 세척액을 사용하여 충전재를 세척하고(2120), 세척이 완료된 충전재는 열을 공급하여 건조시킴(2130)으로써 충전재에 불연제를 주입하는 공정이 완료된다. 충전재의 표면에 잔류하는 불연제를 충분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세척공정 및 건조공정을 2회 이상 반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연제는 펌프에 의해 가압되어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액체이므로 액상의 불연제가 사용되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액상의 규산나트륨(Na 2 SiO 3 )이 사용될 수 있다.

충전재(21)는 롤러와 같은 이송장치(210)에 의해 이동하며, 불연제 주입장치(220)는 이동하는 충전 재(21)의 양면에서 불연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다수의 노즐(222)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불연제 주입장치 (220)의 노즐(222)은 불연제를 고압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고압펌프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연제 주입장치(220)에 사용되는 펌프는 수지류나 액상의 규산나트륨과 같은 불연액을 고압으로 토출할수 있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통상의 고압펌프는 물이나 기름과 같은 순수 액체를 토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서와 같은 불연액 토출용으로는 부적합하다.
불연액을 고압으로 토출하기 위해서는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식 다이어프램(2diaphragm) 방식의 펌프가 적합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hydra-cell' 방식의 펌프가 좋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전술한 펌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른 종류의 펌프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불연제 주입장치(220)로 이송된 충전재(21)의 일면 또는 양면에 노즐(222)로부터 분사된 불연제가 충돌한다. 노즐(222)에서는 불연제가 미세한 직경을 갖는 액체기둥의 형상으로 분사되므로 충전재(21)의 표면에 주입공을 형성하면서 충전재(21)의 내부로 불연제가 침투하게 된다. 이로써, 충전재(21)의 표면에 불연제를 분사하는 간단한 공정만으로 충전재(21) 내부에 불연 제를 주입하는 공정이 완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불연제 주입장치에 사용되는 노즐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점(point) 형식뿐만 아니라 슬롯 형식의 노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가공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따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가공수단의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제작방법은, 지지체(110)를 구비하는 단계; 적어도 한 쌍의 단열체(111)를 상기 지지체(110)를 사이에 두도록 구비하는 단계; 상기 단열체(111)를 가압 압축시켜 상기 단열체(111)의 단면적을 변화시기키 위한 가압모듈을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가압모듈에 대응하여 외측에 구비되는 외장체(113')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외장체(113')는 내부에 별도의 불연가공장치를 통해 불연가공된 충전재(21)가 내장된다. 상기 불연가공장치는, 이송장치(21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충전재(21)에 불연제를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노즐(222)과, 상기 노즐(222)이 결합되며, 상기 노즐(222)에 상기 불연제가 공급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하우징(224)과, 상기 이송장치(210) 상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상기 충전재(21)의 일정부분을 절개하여 절개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가공모듈(313)이 구비되며, 상기 노즐(222)은 상기 가공모듈(313)을 통해서 절개된 상기 절개영역에 대하여 상기 불연제를 분사한다.
상기 가공모듈(313)은, 이송되는 상기 충전재(21)에 대하여 1차 절개를 위한 제1 절개체(314)와, 상기 제1 절개체(314)와 이웃하며 이송되는 상기 충전재(21)에 대하여 2차 절개를 위한 제2 절개체(315)와, 상기 제2 절개체(315)와 이웃하며 이송되는 상기 충전재(21)에 대하여 3차 절개를 위한 제3 절개체(316)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절개체(314)는 제1 깊이로 상기 충전재(21)를 1차 절개하며, 상기 제2 절개체(315)는 상기 제1 깊이보다 더 깊은 제2 깊이로 상기 충전재(21)를 절개하며, 상기 제3 절개체(316)는 상기 제2 깊이보다 더 깊은 제3 깊이로 상기 충전재(21)를 절개한다. 상기 제1 절개체(314) 내지 상기 제3 절개체(316)는 각기 수평방향 상에서 일점범위로 유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가공모듈(313)은 상기 제1 절개체(314)의 후단에는 상기 제1 깊이로 절개된 부위에 불연제를 1차 분사하기 위한 초기 분사노즐(317)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절개체(315)의 후단에는 상기 제2 깊이로 절개된 부위에 불연제를 분사하되, 상기 초기 분사노즐(317)에 의하여 불연제가 1차 분사된 영역은 중복적으로 불연제가 덧입도록 2차 분사하는 것인 중기 분사노즐(318)이 구비된다. 상기 제3 절개체(316)의 후단에는 상기 제3 깊이로 절개된 부위에 불연제를 분사하되, 상기 중기 분사노즐(318)에 의하여 불연제가 2차 분사된 영역은 중복적으로 불연연제가 덧입도록 3차 분사하는 것인 후기 분사노즐(319)이 구비된다.
상기 초기 분사노즐(317), 상기 중기 분사노즐(318) 및 상기 후기 분사노즐(319)은, 높이방향 간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각각 상기 이송장치(210) 측에 위치되는 상단몸체부(P11, P12, P13)와, 상기 상단몸체부(P11, P12, P13)로부터 높이방향 간에 유동되는 중단몸체부(P21, P22, P23)와, 상기 중단몸체부(P21, P22, P23)로부터 틸트 가능한 하단몸체부(P31, P32, P33)로 구비되며, 상기 하단몸체부(P31, P32, P33)의 틸트에 기반하여 설정된 각도로 불연제를 분사한다.
상기 초기 분사노즐(317)은, 투입되어 상기 제2 절개체(315)에 이르는 구간 사이에 이송되어 가는 상기 충전재(21)를 상기 틸트에 기반하여 추적하며 분사하며, 상기 중기 분사노즐(318)은, 상기 제2 절개체(315)로부터 상기 제3 절개체(316)에 이르는 구간 사이에 이송되어 가는 상기 충전재(21)를 상기 틸트에 기반하여 추적하며 분사하며, 상기 후기 분사노즐(319)은, 상기 제3 절개체(316)로부터 후가공 공정으로 이송되어 가는 상기 충전재(21)를 상기 틸트에 기반하여 가능범위로 추적하며 분사한다.
상기 초기 분사노즐(317), 상기 중기 분사노즐(318) 및 상기 후기 분사노즐(319)은, 상기 하단몸체부(P31, P32, P33)의 틸트 동작에 기반하는 상기 불연제 분사하는 경우, 상기 상단몸체부(P11, P12, P13)는 상기 이송장치(210)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일정범위로 유동하여 상기 불연제 분사를 보조한다. 상기 초기 분사노즐(317), 상기 중기 분사노즐(318) 및 상기 후기 분사노즐(319)은, 상기 각 상단몸체부(P11, P12, P13)가 베이스플레이트(320)을 매개로 상기 이송장치(210)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20)은 상기 이송장치(210)에서 전후방향으로 일정범위 진퇴 동작된다. 상기 제1 절개체(314), 상기 제2 절개체(315) 및 상기 제3 절개체(316)는, 상기 각 상단몸체부(P11, P12, P13)가 베이스플레이트(320)을 매개로 상기 이송장치(210)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20)은 상기 이송장치(210)에서 전후방향으로 일정범위 진퇴 동작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예들이 개별적으로만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각 실시예간에 기술적 특징들이 복합적으로 함께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10 : 지지체
111 : 단열체
112 : 가압모듈
113: 제1 가압모듈
114 : 제2 가압모듈

Claims (9)

  1.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제작방법으로서,
    지지체(110)를 구비하는 단계;
    적어도 한 쌍의 단열체(111)를 상기 지지체(110)를 사이에 두도록 구비하는 단계;
    상기 단열체(111)를 가압 압축시켜 상기 단열체(111)의 단면적을 변화시기키 위한 가압모듈을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가압모듈에 대응하여 외측에 구비되는 외장체(113')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외장체(113')는 내부에 별도의 불연가공장치를 통해 불연가공된 충전재(21)가 내장되며,
    상기 가압모듈은,
    상기 지지체(110) 및 상기 단열체(111)를 관통하는 제1 심체(1131)와,
    상기 단열체(111)를 사이에두며 상기 제1 심체(1131)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가압체(1132, 1132')가 구비되는 제1 가압모듈(113)을 포함하는 것인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제작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156872A 2018-12-07 2018-12-07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제작방법 KR101981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872A KR101981077B1 (ko) 2018-12-07 2018-12-07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872A KR101981077B1 (ko) 2018-12-07 2018-12-07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077B1 true KR101981077B1 (ko) 2019-05-22

Family

ID=66680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872A KR101981077B1 (ko) 2018-12-07 2018-12-07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07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10U (ja) * 1991-02-06 1994-01-21 イビデン株式会社 断熱壁パネル
KR100808489B1 (ko) * 2005-10-05 2008-03-03 아이케이 주식회사 샌드위치패널 충전재용 난연제 주입장치
KR100914071B1 (ko) 2009-03-18 2009-08-28 민종필 샌드위치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18897A (ko) * 2009-04-29 2010-11-08 예창우 난연액 주입장치
JP2011224897A (ja) * 2010-04-21 2011-11-10 Kyoraku Co Ltd 表皮付きパネルの成形方法、表皮付きパネル
KR20170122072A (ko) * 2016-04-26 2017-11-03 손성태 조리식품의 절개 구 및 주입기에 따른 자동 절개 및 자동주입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10U (ja) * 1991-02-06 1994-01-21 イビデン株式会社 断熱壁パネル
KR100808489B1 (ko) * 2005-10-05 2008-03-03 아이케이 주식회사 샌드위치패널 충전재용 난연제 주입장치
KR100914071B1 (ko) 2009-03-18 2009-08-28 민종필 샌드위치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18897A (ko) * 2009-04-29 2010-11-08 예창우 난연액 주입장치
JP2011224897A (ja) * 2010-04-21 2011-11-10 Kyoraku Co Ltd 表皮付きパネルの成形方法、表皮付きパネル
KR20170122072A (ko) * 2016-04-26 2017-11-03 손성태 조리식품의 절개 구 및 주입기에 따른 자동 절개 및 자동주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5874A (en) High pressure injection mixing head for multi-component plastics, particularly polyurethane
IL13745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bubble as virtual valve in microinjector to eject fluid
KR101981077B1 (ko)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제작방법
KR101981074B1 (ko)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제작방법
JPS6020556B2 (ja) 比較的圧縮し難い流体の細長い塊りを発射するための装置
JP3884026B2 (ja) 高速噴流体を用いる急結剤噴射装置
CN107605441B (zh) 一种将液氮引入裸眼井的装置与方法
KR100808489B1 (ko) 샌드위치패널 충전재용 난연제 주입장치
EP3271121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chneiden eines schneidguts mit hilfe eines fluids
US8544765B1 (en) Long range solid stream nozzle
KR101601078B1 (ko) 발포우레탄 샌드위치 패널 제조시설
CN105327806A (zh) 聚氨酯发泡机高压喷枪
US3708121A (en) Apparatus for forming pulse jets of liquid
US2009026654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Gaseous Medium Comprising Steam
KR102316839B1 (ko) Rtm 성형장치
KR100670402B1 (ko)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제조방법
KR101650267B1 (ko) 자체 소화구조를 가지는 샌드위치패널 및 이를 이용하는 자체 소화기능을 가지는 샌드위치패널 구조물
JP2780721B2 (ja) ジェットポンプ
KR200394695Y1 (ko) 난연 스티로폼 제조장치
US5994782A (en) Surface treatment equipment for treating circuit boards
KR101582958B1 (ko) 플렉시블 이류체 분사노즐
WO2006054819A1 (en) Styrofoam heat-insulator and board for architecture having fire retarda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ystem for injecting noninflammables
US24146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inguishing fires
JPH0237223B2 (ko)
CN2897615Y (zh) 射出成型机的反推式封闭射座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