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675B1 - 농작물 지지구 - Google Patents

농작물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675B1
KR101980675B1 KR1020180056407A KR20180056407A KR101980675B1 KR 101980675 B1 KR101980675 B1 KR 101980675B1 KR 1020180056407 A KR1020180056407 A KR 1020180056407A KR 20180056407 A KR20180056407 A KR 20180056407A KR 101980675 B1 KR101980675 B1 KR 101980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
support
weight
diisocyanate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주태
Original Assignee
노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주태 filed Critical 노주태
Priority to KR1020180056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6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농작물 지지구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농작물 지지구는 하나의 탄성 와이어를 절곡 성형하여 만들어지되, 후단으로부터 선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가까워지는 한 쌍의 조작부; 상기 각 조작부의 선단으로부터 안쪽으로 코일형으로 절곡되게 이루어져, 상기 농작물 지주대의 외주면을 클램핑하는 각형의 지주대 클램핑부; 상기 지주대 클램핑부로부터 후단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 상기 두 연장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농작물의 줄기 외주면을 기립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링형태의 줄기 지지부;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조작부의 벌어진 후단을 내향으로 누름에 따라, 상기 지지대 클램핑부, 연장부 및 줄기 지지부가 연쇄적으로 개구되고, 누름력을 제거하면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것 포함하며, 상기 농작물 지지구의 표면에는 부식방지를 위한 방청코팅제가 도포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방청코팅제는 에폭시수지 30~40 중량%, 경화제 15~20 중량%, 안료 20~25 중량%, 분산제 12~17 중량%, 및 용제 13~18 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화제는 이소사이네이트 수지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4,1-페놀)디이소시아네이트, p-톨루엔술포닐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거나 또는 1종 이상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용제는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과 같은 케톤류와 톨루엔, 크실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와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과 같은 에스테르류 중에서 선택된 1종이거나 또는 1종 이상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의 원활한 조작을 위해, 상기 조작부의 후방측 말단부를 루프(loop)형상으로 절곡 성형한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연장부는, 줄기 지지부로부터 지주대 클팸핑부로 갈수록 그 사이간격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작물 지지구{Supporter crops}
본 발명은 고추나 가지, 토마토 등의 각종 농작물이 바람에 흔들려 부러지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지주대에 기립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농작물 지지구에 관련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게 형태로 구성되어 벌림과 오므림이 가능하되 지주대 지지부와 농작물 지지부가 연통되어 있어서 농작물을 지주대에 원터치로 지지할 수 있고, 지주대 지지부의 내면은 각형으로 구성되어 지주대의 단면 형태에 관계없이 견고한 클램핑이 가능하며, 농작물의 성장에 맞춰 지지위치를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어서 사용성 및 작업성이 용이하고, 농작물 수확시에는 수거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이고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으며, 탄성 와이어로 형성되는 경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농작물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 지지대는 고추나 가지 등의 농작물이 어느 정도 성장하였을 때 그 줄기가 연약하여 농작물이 스스로 성장하지 못하고 쓰러지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농작물을 기립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지주대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농작물 지주대는 나뭇가지를 다듬어서 사용하거나 기타 지주대를 사용하여 농작물에 인접하게 지면에 고정시킨 후, 노끈으로 지주대와 농작물의 줄기 부분을 상호 묶어 줌으로써 농작물을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노끈에 의해 농작물을 지지하는 방법은 일일히 묶어서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지지작업이 번거롭고 지지시간도 오래 걸리므로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 아울러, 위의 방법은 작업자가 오랜시간 쪼그려 앉아서 작업해야 하므로 관절에 무리를 주게 되며, 이때문에 인부를 고용하는 경우에는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농작물의 수확이 끝난 뒤에는 노끈(통상, PVC나 나이론 재질임)을 제거해야 하는데, 이는 번거로운 작업이어서 그냥 방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토양 오염의 원인이 된다. 아울러, 방치된 노끈은 풍화작용으로 분말화 되어 바람에 날리면서 미세먼지의 원인이 되므로 공기오염을 심화시키기도 하며, 소각하는 경우 대형화재를 유발하는 경우가 많음은 물론 유독성분이 배출되어 이 역시 공기오염을 유발시키고 있다.
문헌 1 :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335호 문헌 2 :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0061호 문헌 3 :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4512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집게 형태로 구성되어 벌림과 오므림이 가능하되 지주대 지지부와 농작물 지지부가 연통되어 있어서 농작물을 지주대에 원터치로 지지할 수 있고, 지주대 지지부의 내면은 각형으로 구성되어 지주대의 단면 형태에 관계없이 견고한 클램핑이 가능하며, 탄성 와이어로 형성되는 경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농작물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수직으로 박힘 설치된 농작물 지주대에, 농작물의 줄기를 지지하기 위한 농작물 지지구로서,
상기 농작물 지지구는 탄성 와이어를 절곡 성형하여 만들어지되, 후단으로부터 선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가까워지는 한 쌍의 조작부; 상기 각 조작부의 선단으로부터 안쪽으로 코일형으로 절곡되게 이루어져, 상기 농작물 지주대의 외주면을 클램핑하는 각형의 지주대 클램핑부; 상기 지주대 클램핑부로부터 후단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 상기 두 연장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농작물의 줄기 외주면을 기립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링형태의 줄기 지지부;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조작부의 벌어진 후단을 내향으로 누름에 따라, 상기 지지대 클램핑부, 연장부 및 줄기 지지부가 연쇄적으로 개구되고, 누름력을 제거하면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것 포함하며,
상기 농작물 지지구의 표면에는 부식방지를 위한 방청코팅제가 도포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방청코팅제는 에폭시수지 30~40 중량%, 경화제 15~20 중량%, 안료 20~25 중량%, 분산제 12~17 중량%, 및 용제 13~18 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화제는 이소사이네이트 수지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4,1-페놀)디이소시아네이트, p-톨루엔술포닐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거나 또는 1종 이상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용제는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과 같은 케톤류와 톨루엔, 크실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와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과 같은 에스테르류 중에서 선택된 1종이거나 또는 1종 이상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의 원활한 조작을 위해, 상기 조작부의 후방측 말단부를 루프(loop)형상으로 절곡 성형한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연장부는, 줄기 지지부로부터 지주대 클팸핑부로 갈수록 그 사이간격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구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주대 지지부와 농작물 지지부가 연통되어 있어서 농작물을 지주대에 원터치로 지지할 수 있고, 지주대 지지부의 내면은 각형으로 구성되어 지주대의 단면 형태에 관계없이 견고한 클램핑이 가능하며, 탄성 와이어로 형성되는 경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지지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1의 사용상태도로서, 농작물 성장에 따라 농작물 지지구의 위치를 변경하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지지구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4의 사용상태도로서, 농작물 성장에 따라 농작물 지지구의 위치를 변경하는 상태도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지지구는 2가지 실시예가 제공될 수 있다.
먼저, 제1 실시예의 농작물 지지구(1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수직으로 박힘 설치되는 농작물 지주대(1)에 농작물의 줄기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농작물 지지구(10)는 탄성 와이어를 절곡 성형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와이어의 소재 특성상 일정 범위내에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실시예의 농작물 지지구(10)는 후단으로부터 선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가까워지게 배치되어, 마치 알파벳 A형상을 이루고 있는 한 쌍의 조작부(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11)의 후방측 말단부(도면상 하방측 말단부)에는 상기 말단부를 루프(loop) 형상으로 절곡 성형한 손잡이(1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2)는 사용자의 손가락, 예컨대 엄지와 집게손가락과 접지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11)를 오므릴 때 안정되게 오므릴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의 농작물 지지구(10)는 상기 각 조작부(11)의 선단(도면상 상단)으로부터 안쪽으로 코일형으로 절곡되게 이루어져, 상기 농작물 지주대(1)의 외주면을 클램핑하는 각형의 지지대 클램핑부(13)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부(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마치 다이아몬드형상을 이루고 있어서 이의 내면에 클램핑되는 농작물 지주대(1)의 단면형상에 관계없이 호환적인 클램핑이 가능토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부(13)는 다이아몬드형상에 국한하지 않고 다각형 형태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에 더하여, 적어도 클램핑부(13)의 표면에는 농작물 지주대(1)와의 마찰력 향상을 위해 마찰강화용 코팅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의 농작물 지지구(10)는 상기 지지대 클램핑부(13)로부터 후단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연장부(14)는 후술될 농작물 지지부로부터 클램핑부(13)를 향할수록 그 간격이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클램핑부(13)의 내경 축소범위를 크게 함으로써 경이 작은 농작물 지주대(1)도 용이하게 클램핑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의 농작물 지지구(10)는 상기 두 연장부(14)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농작물의 줄기(2) 외주면을 기립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링형상의 줄기 지지부(15)를 포함한다.
한편, 제1 실시예의 농작물 지지구(10)는 그 표면의 부식방지를 위하여 표면에 방청코팅제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방청코팅제는 에폭시수지 30~40 중량%, 경화제 15~20 중량%, 안료 20~25 중량%, 분산제 12~17 중량%, 및 용제 13~18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에폭시수지는 저장안정성을 증가시켜 피도체의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혼합량은 30~40 중량%가 바람직하다 혼합량이 30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에폭시수지 함량부족으로 인해 피도체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완전한 피막을 형성시키지 못할 우려가 있고, 혼합량이 4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화제, 분산제 등과 같은 각종 첨가제의 혼합량 부족으로 피도체의 내약품성, 내열성,부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에폭시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 및 비스페놀 F형 에폭시수지 중에서 1종 또는 2종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반응시간을 단축시켜 코팅제의 피막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혼합량은 15~20 중량%가 바람직하다 혼합량이 15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경화제의 함량부족으로 경화시간이 길어 대기중의 습기로 인해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혼합량이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피도체의 표면에 도포된 피막은 빠르게 경화되어 대기중의 습기를 흡수시켜 피막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피막의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경화제로는 이소사이네이트 수지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 트, 메틸렌비스(4,1-페놀)디이소시아네이트, p-톨루엔술포닐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폴리머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안료는 코팅층의 표면에 착색력을 향상시키기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혼합량은 20~25 중량%가 바람직하다 혼합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안료의 혼합량 저하로 요구하는 착색이 나오지 않을 우려가 있고, 혼합량이 2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혼합량 과다로 착색은 좋아지나 기타 첨가제의 함량 부족으로 코팅층의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안료의 입자는 구형 입자, 과립형 입자, 다면각(polyhedral) 입자, 침상 입자, 스핀들형 입자, 플레이크형 입자, 스케일형 입자 및 플레이트형 입자 등과 같이 적절한 형상을 갖을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료는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철 등과 같은 금속 산화물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각종 혼합물의 분산성을 높여 계면 면적을 향상시켜 코팅제의 저장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혼합량은 12~17 중량%가 바람직하다 분산제의 혼합량이 12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각종 혼합물의 분산성이 떨어져 코팅제의 저장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분산제의 혼합량이 17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분산성 향상으로 코팅제의 저장안정성은 우수하지만 기타 첨가제의 함량 부족으로 내식성, 부착성 등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분산제로는 알카리금속실리케이트, 마그네슘실리케이트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알카리금속실리케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용제는 혼합물을 용해시켜 코팅제의 점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용제의 혼합량은 13~18 중량%가 바람직하다 용제의 혼합량이 13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용제의 혼합량 부족으로 인해 점도 증가로 피도체에 코팅 작업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혼합량이 17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첨가제의 혼합량 부족으로 피도체의 코팅성이 떨어져 내식성, 내열성, 부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용제로는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과 같은 케톤류와 톨루엔, 크실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와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과 같은 에스테르류 중에서 1종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케톤류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제1 실시예의 농작물 지지구(10)는 도 3에서와 같이, 농작물의 줄기(2)가 성장함에 따라 그에 맞게 농작물의 지지위치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고, 탄성 와이어를 절곡 형성한 일체형이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원가가 저렴한 장점이 있다.
다음, 제2 실시예의 농작물 지지구(20)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수직으로 박힘 설치되는 농작물 지주대(1)에 농작물의 줄기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농작물 지지구(20)는 사출물로 이루어져 견고하고, 벌어짐과 오므림 동작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실시예의 농작물 지지구(20)는 사출 제작되는 제1 하프몸체(21)와, 상기 제1 하프몸체와 마주하게 배치된 채 중앙부위가 힌지 결합되는 제2 하프몸체(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2 하프몸체(21,22)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선단측에 농작물 지주대(1)의 외주면을 클램핑하는 각형의 지주대 클램핑부(23)가 형성되고, 그 후방에는 농작물의 줄기 외주면을 기립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링형태의 줄기 지지부(2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주대 클램핑부(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형상을 이루고 있어서 이의 내면에 클램핑되는 농작물 지주대(1)의 단면형상에 관계없이 호환적인 클램핑이 가능토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지주대 클램핑부(23)는 다이아몬드형상에 국한하지 않고 다각형 형태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에 더하여, 지주대 클램핑부(23)의 표면에는 농작물 지주대(1)와의 마찰력 향상을 위해 널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농작물 지주대(1)와의 마찰력 향상을 위해 마찰강화용 코팅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주대 클램핑부(23)는 그 내부면에, 농작물 지주대(1)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날개(1a)가 삽입되는 날개 삽입부(23a)가 형성되되, 설치방향의 자유도를 위해 사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2 하프몸체(21,22)의 표면에는 오염방지를 위해 오염방지제를 코팅처리 할 수 있다. 여기서, 오염방지 코팅제는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규소(SiO2) 및 산화티타늄(TiO2)으로 이루어지는 무기산화물 5~10중량부, 셀룰로오즈계 화합물 1~10중량부 및 용매 50~1,0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기산화물은 친수성을 장기간 유지시키고 코팅막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무기화합물은 5~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무기산화물이 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코팅막의 친수성이 약해지고 코팅막의 내수성과 내구성이 크게 낮아지기 때문이다. 반면, 무기산화물이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코팅막이 균열(crack)이 생길 수 있고, 부착성이 나빠져 적용할 수 있는 피도물의 종류가 제한되게 되며 또한 표면의 광택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기산화물은 그 종류와 혼합 조성에 따른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일례로 이산화티타늄 중 아나타제(anatase)형을 사용할 경우 광촉매 성능을 발휘하게 되고 이산화규소만을 사용할 경우 비광촉매형 오염방지 코팅제 성능을 발휘하게 되며, 이산화알루미늄만을 사용할 경우 고강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염방지 코팅제가 형성될 수 있는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각각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성분비로 혼합하여 보다 효과적인 오염방지 코팅제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기산화물은 상기 산화알루미늄 10~30중량%, 상기 산화규소 20~45중량% 및 상기 산화티타늄 25~5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개별적인 성분의 각 특성을 발휘함은 물론, 상기 각 성분의 혼합 비율 범위에서 더욱 우수한 내오염성 성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의 농작물 지지구(20)는 상기 제1, 2 하프몸체(21,22)의 선단을 오므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고 있는 C 스프링(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스프링(25)의 결합을 위해, 상기 제1, 2 하프몸체(21,22)의 선단 외면에는 C 스프링(25)의 각 단부가 끼움되는 단부 끼움홈(21a,22a)이 형성되고, 제1, 2 하프몸체(21,22)의 후단에는 C 형 스프링(25)이 관통하는 관통공(21b,22b)이 형성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10 : 제1 실시예의 농작물 지지구
11 : 조작부 12 : 손잡이
13 : 지지대 클램핑부 14 : 연장부
15 : 줄기 지지부
20 : 제2 실시예의 농작물 지지구
21 : 제1 하프몸체 22 : 제2 하프몸체
23 : 지주대 클램핑부 23a : 날개 삽입부
24 : 줄기 지지부 25 : C 스프링

Claims (3)

  1. 지면에 수직으로 박힘 설치된 농작물 지주대에, 농작물의 줄기를 지지하기 위한 농작물 지지구로서,
    상기 농작물 지지구는 탄성 와이어를 절곡 성형하여 만들어지되, 후단으로부터 선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가까워지는 한 쌍의 조작부; 상기 각 조작부의 선단으로부터 안쪽으로 코일형으로 절곡되게 이루어져, 상기 농작물 지주대의 외주면을 클램핑하는 각형의 지주대 클램핑부; 상기 지주대 클램핑부로부터 후단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 상기 두 연장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농작물의 줄기 외주면을 기립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링형태의 줄기 지지부;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조작부의 벌어진 후단을 내향으로 누름에 따라, 상기 지지대 클램핑부, 연장부 및 줄기 지지부가 연쇄적으로 개구되고, 누름력을 제거하면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것 포함하며,
    상기 농작물 지지구의 표면에는 부식방지를 위한 방청코팅제가 도포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방청코팅제는 에폭시수지 30~40 중량%, 경화제 15~20 중량%, 안료 20~25 중량%, 분산제 12~17 중량%, 및 용제 13~18 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화제는 이소사이네이트 수지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4,1-페놀)디이소시아네이트, p-톨루엔술포닐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거나 또는 1종 이상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용제는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과 같은 케톤류와 톨루엔, 크실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와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과 같은 에스테르류 중에서 선택된 1종이거나 또는 1종 이상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의 원활한 조작을 위해, 상기 조작부의 후방측 말단부를 루프(loop)형상으로 절곡 성형한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연장부는, 줄기 지지부로부터 지주대 클팸핑부로 갈수록 그 사이간격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구.





  2. 삭제
  3. 삭제
KR1020180056407A 2018-05-17 2018-05-17 농작물 지지구 KR101980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407A KR101980675B1 (ko) 2018-05-17 2018-05-17 농작물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407A KR101980675B1 (ko) 2018-05-17 2018-05-17 농작물 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675B1 true KR101980675B1 (ko) 2019-05-22

Family

ID=66680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407A KR101980675B1 (ko) 2018-05-17 2018-05-17 농작물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67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7643A (ja) * 1992-12-28 1994-07-19 Takahisa Ota 植物茎の保持装置
KR200420061Y1 (ko) 2006-04-18 2006-06-28 노재수 농작물 지지대
KR20090083467A (ko) * 2006-11-20 2009-08-03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고리지방족 디아민 경화제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KR20110029825A (ko) * 2009-09-16 2011-03-23 박영춘 다용도 농작물 지지대
JP2015144512A (ja) 2014-01-31 2015-08-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回転電機
KR20160000335U (ko) 2014-07-21 2016-01-29 김영배 농작물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7643A (ja) * 1992-12-28 1994-07-19 Takahisa Ota 植物茎の保持装置
KR200420061Y1 (ko) 2006-04-18 2006-06-28 노재수 농작물 지지대
KR20090083467A (ko) * 2006-11-20 2009-08-03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고리지방족 디아민 경화제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KR20110029825A (ko) * 2009-09-16 2011-03-23 박영춘 다용도 농작물 지지대
JP2015144512A (ja) 2014-01-31 2015-08-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回転電機
KR20160000335U (ko) 2014-07-21 2016-01-29 김영배 농작물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2042B2 (en) Method of coating concrete and masonry surfaces
US20160083591A1 (en) Method of making paint composition for concrete and masonry surfaces
KR101980675B1 (ko) 농작물 지지구
US20030024074A1 (en) Biconcave connector for tubular assemblies and tool handles
WO2003102891A3 (en) Graft copolymer with a urethane/urea group as a pigment dispersant
CN209914415U (zh) 一种可调节松土器
DE602004001377T2 (de) Karabinerhaken mit zusätzlicher Haltefunktion
CN110067252A (zh) 边坡防护用防腐型加强防护网
US20040194400A1 (en) Pole anchor footing system
CN207727896U (zh) 一种拼装式抗菌地板
DE202020002224U1 (de) Reinigungsgerät mit Stiel
EP2267248A1 (de) Zeltgestänge für ein Zeltdach
DE202017106664U1 (de) Befestigung von Markisen, Sonnensegel und Tarps
CN214169056U (zh) 一种稳定性高的绳索固定地桩
DE102010013218B4 (de) Reinigungsgerät
DE10252770A1 (de) Stützfuß für langstielige Werkzeuge
CN212876554U (zh) 一种缝隙除草器
CN107859280A (zh) 一种拼装式抗菌地板
CN209797321U (zh) 一种防腐装置及包含有该防腐装置的标准节
WO2010060526A1 (de) Karabiner mit aushängesicherung
DE202015105505U1 (de) Haltemittel zum Schutz vor dem Umfallen oder Wegfliegen eines transportablen Wäscheständers
DE202014101369U1 (de) Vorrichtung zur Ausbesserung von Pitchmarken
DE102019135419A1 (de) Unterkonstruktion für einen Bodenbelag
DE602540C (de) Stiel fuer Haemmer, Hacken, Schmiedewerkzeuge o. dgl.
DE202014104769U1 (de) Leichtbau- Schwenkkran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