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414B1 - 확장형 비디오 렌더링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확장형 비디오 렌더링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414B1
KR101980414B1 KR1020150018512A KR20150018512A KR101980414B1 KR 101980414 B1 KR101980414 B1 KR 101980414B1 KR 1020150018512 A KR1020150018512 A KR 1020150018512A KR 20150018512 A KR20150018512 A KR 20150018512A KR 101980414 B1 KR101980414 B1 KR 101980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video
gui
outpu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7418A (ko
Inventor
신화선
김제우
조충상
강주형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18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414B1/ko
Publication of KR20160097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확장형 비디오 렌더링 프레임워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워크는, 미디어를 재생하여 비디오를 생성하는 계층, GUI를 생성하는 계층 및 비디오와 GUI를 합성하는 계층을 포함하고, 계층들의 인터페이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한다. 이에 의해, 효율적으로 비디오 출력 및 GUI 처리를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확장형 비디오 렌더링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Extensible Video Rendering}
본 발명은 비디오 렌더링 프레임워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선택적으로 확장이 가능한 비디오 렌더링 프레임워크 기술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렌더링은 비디오 출력,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생성 및 이들을 합성하는 과정을 통해 수행된다. 각각의 과정을 수행하는 모듈들이 별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을 개별적으로 액세스하여야 한다.
이는, 비디오 렌더링을 활용/응용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보다 효율적이고 통합적인 비디오 렌더링 기법에 대한 모색이 요청된다. 아울러, 비디오 렌더링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단순화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방안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디오 렌더링에 필요한 3개 계층을 통합시켜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비디오 렌더링 작업을 효율적으로 개선시키는 확장형 비디오 렌더링 프레임 워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미디어를 재생하여 비디오를 생성하는 제1 계층;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생성하는 제2 계층; 및 상기 제1 계층에서 생성된 비디오와 상기 제2 계층에서 생성된 GUI를 합성하는 제3 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계층, 상기 제2 계층 및 상기 3개 계층의 인터페이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워크가 기록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계층, 상기 제2 계층 및 상기 제3 계층은, 하나의 프레임워크에서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계층은, 상기 비디오에 추가 정보를 오버레이 하여 상기 비디오를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 정보는, 로고 및 워터마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계층은, 상기 비디오를 축소, 복제 및 변형한 결과물들을 합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렌더링 방법은, 미디어를 재생하여 비디오를 생성하는 단계;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와 상기 GUI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생성, 상기 GUI 생성 및 상기 합성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통합적으로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확장형 비디오 렌더링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효율적으로 비디오 출력 및 GUI 처리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합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산업계의 표준 기술을 통합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멀티미디어 재생 애플리케이션의 일종인 단말용 편집 S/W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확장형 비디오 렌더링 프레임워크가 비디오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기능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확장형 비디오 렌더링 프레임워크의 3개 계층별 동작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Video Output Layer의 동작 예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GUI Presentation Layer의 동작 예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Video Composition Layer의 동작 예제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비디오 렌더링 장치의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재생 애플리케이션에서 비디오 화면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확장형 비디오 렌더링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도 1은 멀티미디어 재생 애플리케이션의 일종인 단말용 편집 S/W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단말용 편집 S/W는 확장형 비디오 렌더링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것으로, 통합 API(Application Programmable Interface)를 통해 재생 컴포넌트들을 제어한다.
재생 컴포넌트는 비디오 화면에 멀티미디어를 재생하고, 화면 내에 표시할 검색 바(Seeking Bar), 팝업 메뉴(Pop-up Menu), 자막, 로고(logo) 등을 생성하는 컴포넌트이다.
확장형 비디오 렌더링 프레임워크가 비디오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기능은 아래의 3개 계층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를 도 2에 상세히 도시하였다.
- Video Output Layer(비디오 출력 계층)(110) : 멀티미디어 재생 프레임워크와 연동하는 계층(A/V 출력 및 동기화)
- GUI Presentation Layer(GUI 표현 계층)(120) : GUI(검색 바, 팝업 메뉴, 자막, 로고 등) 담당 계층
- Video Composition Layer(비디오 합성 계층)(130): 비디오와 GUI를 합성하고, 추가 영상을 합성하는 계층
Video Output Layer(110), GUI Presentation Layer(120) 및 Video Composition Layer(130)는 하나의 확장형 비디오 렌더링 프레임워크 내에서 연동 된다. 이에, 2개의 계층들(110, 120 및 130)에 대한 인터페이스는 통합적으로 제공된다.
Video Output Layer(110)는 MicrosoftTM의 DirectShow 미디어 프레임워크와 같은 멀티미디어 재생 프레임워크를 통해 화면에 출력할 비디오를 생성하기 위한 계층이다.
Video Output Layer(110)는, 산업별 도메인(domain)에서 필요한 미디어 프레임워크를 포함하거나, 미디어 프레임워크와 연동하여 비디오 화면에 추가 정보를 오버레이(overlay) 하여 비디오 자체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에 로고, 저작권 표시를 위한 워터마크(watermark) 등을 삽입할 수 있다.
Video Output Layer(110)는 비디오 재생 타임스탬프(timestamp)에 정교한 작업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재생 시간에 맞추어 타이머(timer)를 화면에 표기할 수 있다.
GUI Presentation Layer(120)는 사용자와 인터랙션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그래픽으로 표시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의 화면 출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GUI의 예로는, 그래픽 버튼을 비롯하여 스크롤 바, 메뉴, 검색 바, 진행 바 등이 있으며, 운영체제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고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필요한 대로 확장 GUI 컨트롤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GUI Presentation Layer(12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화면이 함께 자연스럽게 반응해야 하고, 깜빡임 등 사용자를 편의성을 방해하는 요소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Video Composition Layer(130)는 Video Output Layer(11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와 GUI Presentation Layer(120)에서 출력되는 GUI를 합성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Video Composition Layer(130)는 Video Output Layer(110)의 결과물과 GUI Presentation Layer(120)의 결과물을 설정 환경, 사용자 명령 등에 부합하는 형태로 조합하여 합성한다.
예를 들어, Video Composition Layer(130)는 Video Output Layer(110)의 결과물을 축소하여 여러 개로 복제하고 변형한 후의 결과물들을 합성할 수 있다. Video Composition Layer(130)는 최종 결과물의 출력 사항을 개발자/사용자가 최종 단계에서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도 3은 확장형 비디오 렌더링 프레임워크의 3개 계층별 동작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Video Output Layer(110)는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거나 실시간으로 다운로드 되는 미디어를 재생 프레임워크로 디코딩하여, 비디오를 생성한다. 이때, Video Output Layer(110)는 생성된 비디오에 로고, 워터 마크 등의 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부가된 정보는, GUI가 아닌 비디오의 일부가 된다.
도 4는 Video Output Layer(110)의 동작 예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는 Video Output Layer(110)의 동작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예제로 비디오 화면 위에 얼굴 그림을 출력한 예제를 상정하였다.
이와 같이 출력된 영상은 비디오 출력 창(window)의 크기를 확대시키면, 비디오 화면과 함께 확대된다. 즉, 비디오 화면 위에 출력된 얼굴 그림은 이미 비디오 화면과 하나로 합쳐진 영상이며, 별도의 영상 처리를 하지 않는 한 원본 영상과 얼굴 그림을 완전히 분리해 낼 수 없다.
이에, Video Output Layer(110)는 저작권을 위한 워터마크나 로고 출력 등에 사용된다. 자막(caption)을 출력하기 위해 Video Output Layer(110)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비디오 화면 크기가 고정되어 있거나 그 크기에 따라 자막의 크기가 연동되어도 무방한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TV 화면의 경우, TV 크기에 따라 영상이 출력되고 이에 따라 자막도 함께 크기가 결정되므로 Video Output Layer(110)가 자막을 처리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PC 화면의 경우 비디오를 전체 화면으로 보기도 하지만 작은 크기의 창으로 볼 수도 있는데, 작은 창으로 비디오를 보는 경우, 비디오 화면이 작아지면 자막의 크기가 함께 작아져 시청이 불가능하거나 불편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Video Output Layer(110)가 아닌 GUI Composition Layer(120)나 Video Composition Layer(130)에서 자막을 처리하는 것이 적절하다.
다시, 도 3을 참조한다. GUI Presentation Layer(120)는 미디어 재생 컴포넌트와 연동하여, 다양한 GUI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GUI에는 그래픽 버튼, 스크롤 바, 메뉴, 검색 바, 진행 바 등이 있다.
도 5는 GUI Presentation Layer(120)의 동작 예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는 GUI Presentation Layer(120)의 동작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예제로 비디오 화면 위에 검색 바를 출력한 예제를 상정하였다.
사용자가 비디오 화면을 시청하는 과정에서, 검색 바의 조정 버튼(Thumb button)을 클릭하거나 끌어서 움직일 수 있지만, 비디오 화면의 출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GUI 요소는 화면 출력과 분리된 계층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합성은 Video Composition Layer(130)에서 진행한다.
또한, GUI Presentation Layer(120)는 Video Output Layer(110)의 결과물인 비디오 출력이 없이도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에서 벡터 그래픽(Vector Graphics) 기반의 동적인 GUI 요소를 사용하기 위해서도 확장형 미디어 렌더링 프레임워크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도 3을 참조한다. Video Composition Layer(130)는 Video Output Layer(110)에서 생성/출력되는 비디오와 GUI Presentation Layer(120)에서 생성/출력되는 GUI를 합성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도 6은 Video Composition Layer(130)의 동작 예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는 Video Composition Layer(130)의 동작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예제로, 앞서 예제로 제시한 Video Output Layer(110)의 결과물과 GUI Presentation Layer(120)의 결과물을 합성하는 예제를 상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는, Video Output Layer(110)의 결과물에 대해서는 복제, 변형을 통해 다수의 상이한 결과물들이 출력되고, 이에 GUI Presentation Layer(120)의 결과물과 합성한 결과를 예시하였다.
한편, GUI Presentation Layer(120)의 결과물을 복제, 변형하여, Video Output Layer(110)의 결과물과 합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개발자가 필요한 도메인(domain)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식의 비디오 화면 출력과 GUI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비디오 렌더링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비디오 렌더링 장치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프로세서(230), 디스플레이(240) 및 스피커(25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외부 네트워크나 외부 기기로부터 미디어를 다운로드 받는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이고, 저장부(220)는 미디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매체이다.
프로세서(230)는 전술한 확장형 비디오 렌더링 프레임워크(100)를 실행하여, 미디어 재생 프레임워크(240) 및 미디어 재생 컴포넌트(250)와 연동시켜 비디오 렌더링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240)와 스피커(250)는 렌더링되는 비디오를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 수단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확장형 비디오 렌더링 프레임워크
110 : Video Output Layer
120 : GUI Presentation Layer
130 : Video Composition Layer

Claims (6)

  1. 미디어를 재생하여 비디오를 생성하는 제1 계층;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생성하는 제2 계층; 및
    상기 제1 계층에서 생성된 비디오와 상기 제2 계층에서 생성된 GUI를 합성하는 제3 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계층, 상기 제2 계층 및 상기 제3 계층은,
    하나의 프레임워크에서 연동되며, 하나의 API(Application Programmable Interface)를 통해 제어 가능하며,
    상기 제1 계층에 대한 제어는,
    상기 비디오에 로고 및 워터마크 중 적어도 하나를 오버레이 하여 상기 비디오를 변경시키는 것과 재생 시간에 맞추어 타이머를 화면에 표기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계층에 대한 제어는,
    그래픽 버튼, 스크롤 바, 메뉴, 검색 바, 진행 바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3 계층에 대한 제어는,
    상기 제1 계층에서 생성한 비디오를 축소, 복제 또는 변형한 후에 상기 제2 계층에서 생성된 상기 GUI와 합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워크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미디어를 재생하여 비디오를 생성하는 단계;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와 상기 GUI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생성 단계를 위한 제1 계층, 상기 GUI 생성 단계를 위한 제2 계층 및 상기 합성 단계를 위한 제3 계층은,
    하나의 프레임워크에서 연동되며, 하나의 API(Application Programmable Interface)를 통해 제어 가능하며,
    상기 제1 계층에 대한 제어는,
    상기 비디오에 로고 및 워터마크 중 적어도 하나를 오버레이 하여 상기 비디오를 변경시키는 것과 재생 시간에 맞추어 타이머를 화면에 표기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계층에 대한 제어는,
    그래픽 버튼, 스크롤 바, 메뉴, 검색 바, 진행 바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3 계층에 대한 제어는,
    상기 제1 계층에서 생성한 비디오를 축소, 복제 또는 변형한 후에 상기 제2 계층에서 생성된 상기 GUI와 합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렌더링 방법.
KR1020150018512A 2015-02-06 2015-02-06 확장형 비디오 렌더링 방법 및 시스템 KR101980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512A KR101980414B1 (ko) 2015-02-06 2015-02-06 확장형 비디오 렌더링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512A KR101980414B1 (ko) 2015-02-06 2015-02-06 확장형 비디오 렌더링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418A KR20160097418A (ko) 2016-08-18
KR101980414B1 true KR101980414B1 (ko) 2019-08-29

Family

ID=56873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512A KR101980414B1 (ko) 2015-02-06 2015-02-06 확장형 비디오 렌더링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4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1444A (ko) * 2020-05-14 2021-11-23 구글 엘엘씨 동적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비디오의 효율적 렌더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5181A (ja) * 2011-10-12 2013-05-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2946A (ko) * 2009-10-20 2011-04-27 주식회사 케이티 다중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 및 방법
KR101314472B1 (ko) * 2012-03-08 2013-10-07 주식회사 팬택 원격의 싱크 장치를 표시하는 방법, 이를 위한 소스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5181A (ja) * 2011-10-12 2013-05-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1444A (ko) * 2020-05-14 2021-11-23 구글 엘엘씨 동적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비디오의 효율적 렌더링
KR102519049B1 (ko) 2020-05-14 2023-04-06 구글 엘엘씨 동적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비디오의 효율적 렌더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418A (ko)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86037A1 (zh) 视频素材的处理方法、视频合成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TW478284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jection display
EP3247110B1 (en)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multiple video streams using metadata
JP4599351B2 (ja) 民生用ビデオプレーヤー用のプログラムによるウィンドウ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WO2007125648A1 (ja)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背景画像表示方法
CN112839190B (zh) 虚拟图像与现实场景同步视频录制或直播的方法
JP2008167032A (ja) 映像音声出力装置及び映像音声出力方法
GB2424534A (en) Authoring an audiovisual production with subtitles or other captions
CN112204627A (zh) 再生多个虚拟现实影像以改善特定区域的画质的虚拟现实影像再生装置及虚拟现实影像生成方法
US20050034076A1 (en) Combining clips of image data
KR101980414B1 (ko) 확장형 비디오 렌더링 방법 및 시스템
US200200902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 single video frame with one or more interest points
KR20140146592A (ko) 컬러 그레이딩 미리 보기 방법 및 장치
WO2009157152A1 (ja) 合成装置および合成方法
KR100798556B1 (ko) 액티브 디스플레이 링크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단말기
KR101285382B1 (ko) 동영상 편집 기능을 구비한 동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2078479B1 (ko) 영상 편집 방법 및 영상 편집 장치
WO2020093865A1 (zh) 媒体文件及其生成方法和播放方法
JPH07303209A (ja) 特殊効果編集装置
JP4393425B2 (ja) 映像機器、映像記録方法および映像再生方法
CN113760151B (zh) 一种ppt演讲者模式下的动画预览方法及终端
JP2007060329A (ja) スライドショー生成装置ならびに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KR20120076609A (ko) 소정의 시간 간격 또는 슬라이드 페이지마다 레이아웃을 설정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저작 방법 및 장치
JP2020072415A (ja) 映像・音声合成方法
JP2003108106A (ja) マルチメディア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