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081B1 - 구조물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081B1
KR101980081B1 KR1020180158501A KR20180158501A KR101980081B1 KR 101980081 B1 KR101980081 B1 KR 101980081B1 KR 1020180158501 A KR1020180158501 A KR 1020180158501A KR 20180158501 A KR20180158501 A KR 20180158501A KR 101980081 B1 KR101980081 B1 KR 101980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xed
rotation
slav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용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8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8Adaptation for use in or on aircraft, missiles, satellites, or balloons
    • H01Q1/288Satellite antenn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회전장치는, 고정유닛, 구조물이 연결되며, 상기 고정유닛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구조물의 회전 각도를 가변시키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과 상기 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유닛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는 종속고정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종속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회전유닛과의 이격 거리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된 종속회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종속회전유닛은 상기 회전유닛과의 이격 거리가 감소되어 상기 종속고정유닛에 접촉될 경우,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구조물 회전장치{Rotating Apparatus for Structure}
본 발명은 구조물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된 구조물을 지지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구조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 구동 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구조물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구조물을 지지하도록 구비되어 자체적인 회전 기능을 통해 상기 구조물의 회전을 구현하는 회전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의 회전장치들은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한 회전 및 고정 메커니즘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회전장치들은 정밀한 회전 메커니즘 및 구조물에 대한 견고한 고정메커니즘을 적용하기 위하여 많은 종류의 부품이 사용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는 장치의 부피 증가 및 부피 증가에 따른 무게의 증가를 야기하는 요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회전장치들은 부품의 종류가 많기 때문에 구동 과정에서 잦은 고장이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13084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구성요소를 최소화하여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구조물에 대한 합리적인 회전 메커니즘을 보유하고 있는 구조물 회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구조물 회전장치는, 고정유닛, 구조물이 연결되며, 상기 고정유닛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구조물의 회전 각도를 가변시키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과 상기 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유닛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는 종속고정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종속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회전유닛과의 이격 거리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된 종속회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종속회전유닛은 상기 회전유닛과의 이격 거리가 감소되어 상기 종속고정유닛에 접촉될 경우,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은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종속고정유닛 및 상기 종속회전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은 중심부에 위치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대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구조물 회전장치는, 고정유닛, 구조물이 연결되며, 상기 고정유닛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구조물의 회전 각도를 가변시키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과 상기 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유닛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는 종속고정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종속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종속회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은 중심부에 위치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대 회전된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의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베어링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구조물 회전장치는,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고정유닛, 구조물이 연결되며, 상기 고정유닛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구조물의 회전 각도를 가변시키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과 상기 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유닛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는 종속고정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종속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종속회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종속고정유닛 및 상기 종속회전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종속고정유닛 및 상기 종속회전유닛은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구조물 회전장치는,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고정유닛, 구조물이 연결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된 상부를 차폐하도록 원판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유닛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구조물의 회전 각도를 가변시키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과 상기 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유닛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는 종속고정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종속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종속회전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종속고정유닛 및 상기 종속회전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구조물 회전장치는,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과 상기 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유닛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는 종속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종속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종속회전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유닛과 구조물 간을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한 쌍이 상기 회전유닛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회전유닛과의 연결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조물 회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구성요소를 최소화함에 따라 구조가 간소하게 이루어지며,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합리적인 회전 메커니즘을 보유하고 있어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정밀한 회전 구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회전장치 전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부 구조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회전장치에 있어서, 하부 구조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회전장치에 있어서, 회전유닛의 회전을 구속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회전장치를 소정의 구조물에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회전장치 전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부 구조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회전장치에 있어서, 하부 구조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회전장치는 고정유닛(200)과, 상기 고정유닛(20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유닛(1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유닛(100)은 회전 구동 대상이 되는 소정의 구조물과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유닛(100)은 자체 회전에 따라 상기 구조물의 회전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회전장치는 상기 회전유닛(100) 및 상기 고정유닛(2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유닛(200)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는 종속고정유닛(220)과, 상기 고정유닛(200) 및 상기 종속고정유닛(22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유닛(10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유닛(1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종속회전유닛(210)을 더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유닛(200)은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204)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종속고정유닛(220) 및 상기 종속회전유닛(210)은 상기 수용공간(204) 내에 수용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닛(100)은 상기 수용공간(204)의 개구된 상부를 차폐하도록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구조물 회전장치는 상부에서부터 하부 방향으로 회전유닛(100) - 종속고정유닛(220) - 종속회전유닛(210) - 고정유닛(200) 순으로 구비되며, 상기 회전유닛(100)은 상기 종속회전유닛(210)과 연결되고, 상기 고정유닛(200)은 상기 종속고정유닛(220)과 연결된 형태를 가진다.
즉 상기 회전유닛(100) 및 상기 종속회전유닛(210)은 상기 고정유닛(200) 및 상기 종속고정유닛(220)에 대해 함께 상대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종속회전유닛(210)은 상기 회전유닛(100)과의 이격 거리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유닛(100)과의 이격 거리가 감소되어 상기 종속고정유닛(210)에 접촉될 경우, 상기 회전유닛(100)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형성되며, 또한 이와 반대로 상기 종속회전유닛(210)과 상기 회전유닛(100)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유닛(100)은 구속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고정유닛(20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유닛(200) 및 상기 회전유닛(100)은 중심부에 위치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대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종속고정유닛(220) 및 상기 종속회전유닛(210)은 상기 회전축을 감싸는 링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닛(100)의 중심부에는 제1축삽입홀(104)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유닛(200)의 중심부에는 제2축삽입홀(206)이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구조물 회전장치는 상기 제1축삽입홀(104)에 삽입되는 제1축브라켓(140)과, 상기 제2축삽입홀(206)에 삽입되는 제2축브라켓(2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축브라켓(140) 및 제2축브라켓(240)은 서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유닛(100)과 상기 종속회전유닛(210)의 회전축을 형성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축브라켓(140)은 제1축삽입홀(104)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144)와, 상기 제1삽입부(144)에 연결되며 상기 제1축삽입홀(104)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걸림부(14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축브라켓(240)은 제2축삽입홀(206)에 삽입되어 상기 제1삽입부(144)와 결합되는 제2삽입부(244)와, 상기 제2삽입부(244)에 연결되며 상기 제2축삽입홀(206)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걸림부(242)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고정유닛(200) 및 상기 회전유닛(100)의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형성하는 상기 제1축브라켓(140) 및 제2축브라켓(240)의 회전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베어링모듈(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모듈(230)의 내측에는 상기 제1축브라켓(140)의 제1삽입부(144) 및 상기 제2축브라켓(240)의 제2삽입부(2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관통하는 관통홀(232)이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모듈(230)은 상기 제1축브라켓(140) 및 제2축브라켓(240)을 감싸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200)의 중심부에는, 상기 베어링모듈(230)이 삽입되는 중앙수용부(205)가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종속회전유닛(210) 및 상기 종속고정유닛(220)은 링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종속회전유닛(210)은 상기 종속고정유닛(220)과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종속고정유닛(220)에 접촉될 경우 상기 회전유닛(100)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구속부(212)와, 상기 회전구속부(212)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체결부(2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속부(212)는 수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1수평부(212a)와, 상기 제1수평부(212a)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회전유닛(100)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1수직부(212b)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종속고정유닛(220)은 상기 회전구속부(212)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디스크부(222)와, 상기 디스크부(222)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유닛(200)의 고정체결부(208)에 체결 고정되는 복수의 제2체결부(2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부(222)는 수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2수평부(222a)와, 상기 제2수평부(222a)의 내주부로부터 상기 고정유닛(200)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수직부(222b)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즉 상기 종속회전유닛(210)이 상기 회전유닛(100)과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수평부(212a) 및 상기 제2수평부(222a)가 서로 접촉될 경우, 상기 제1수평부(212a)와 상기 제2수평부(222a)사이의 마찰력 및 가압력에 의해 상기 회전유닛(100)은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회전장치는, 상기 회전유닛(100) 및 상기 종속회전유닛(210)을 상호 연결하되, 상기 회전유닛(100) 및 상기 종속회전유닛(210) 간의 이격 거리를 가변 가능하도록 하는 거리조절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리조절부재(150)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에 자세히 도시된다.
상기 거리조절부재(150)는 상기 회전유닛(100)에 형성된 통과홀(106)을 관통하여 상기 제1체결부(214)에 형성된 체결홀(215)에 체결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리조절부재(150)는 사용자가 그립 가능하도록 하는 그립부(152)와, 상기 제1체결부(214)의 체결홀(215)에 삽입 체결되는 조절부(156)와, 상기 그립부(152) 및 상기 조절부(156) 사이를 연결하는 이음부(154)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거리조절부재(150)는 한 쌍이 구비되며, 이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유닛(100)의 통과홀(106) 역시 한 쌍이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1체결부(214) 역시 상기 한 쌍의 통과홀(106)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부(156)의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214)의 체결홀(215) 내주면에는 상기 조절부(156)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152)를 잡아 상기 거리조절부재(15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종속회전유닛(210)은 상기 회전유닛(100)에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형 이동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구속부(212)의 제1수평부(212a)와 상기 디스크부(222)의 상기 제2수평부(222a)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리조절부재(150)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제1수평부(212a)와 상기 제2수평부(222a) 간의 거리가 가까워져 서로 접촉되며, 상기 회전유닛(100)의 회전이 구속된다.
이때 상기 거리조절부재(15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상기 통과홀(106)의 내측에는 상기 거리조절부재(150)의 이음부(154)를 감싸는 보조회전와셔(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부가적인 사항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회전유닛(100)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유닛(100)과 구조물 간을 연결하는 연결유닛(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유닛(120)은 한 쌍이 상기 회전유닛(100)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며, 특히 상기 회전유닛(100)과의 연결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닛(100)은 상기 연결유닛(100)의 하부에 형성된 제1연결부(125)와 연결되도록 상부로 돌출된 한 쌍의 제2연결부(110)를 포함하며, 이들은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유닛(100)의 상부에는 구조물과의 체결을 위한 구조물체결홀(121)이 형성되며, 상기 구조물체결홀(121)에는 보조체결와셔(1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닛(100)의 내측에는 구조물을 체결할 경우 상기 구조물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된 지지부재(13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유닛(100)에는 상기 지지부재(135)가 안착되도록 돌출된 안착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유닛(100)에는 전술한 통과홀(106)외에도, 가이드부재(160)가 삽입되는 보조통과홀(108)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통과홀(108)은 상기 통과홀(106)의 반대 측에 한 쌍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160) 역시 한 쌍이 구비되어 각각 상기 보조통과홀(108)에 일부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160)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한 쌍의 보조통과홀(108)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상기 종속회전유닛(210)의 제1체결부(214)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종속회전유닛(210)의 제1체결부(214)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전술한 거리조절부재(150) 또는 상기 가이드부재(160)가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60)는 상기 거리조절부재(150)에 의한 상기 종속회전유닛(210)의 선형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고정유닛(200)의 측면 둘레에는 눈금부(202)가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유닛(100)의 측면 둘레에는 상기 눈금부(202)의 소정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부(102)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유닛(100)이 상기 고정유닛(200)에 대해 회전될 경우 상기 지시부(102)의 위치가 가변되며 상기 눈금부(202)의 소정 위치를 지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회전유닛(100)의 회전 각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회전장치를 소정의 구조물에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예시된 구조물은 위성안테나(10)인 것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에 적용할 구조물의 종류에는 그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성안테나(10)는 안테나부(12) 및 상기 안테나부(12)의 하부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브라켓(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회전장치의 연결유닛(130)에 체결된 상태를 가진다.
이와 같이 연결된 구조물은 상기 고정유닛(200)에 대한 상기 회전유닛(100)의 상대 회전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회전유닛
120: 연결유닛
140: 제1축브라켓
150: 거리조절부재
160: 가이드부재
200: 고정유닛
210: 종속회전유닛
220: 종속고정유닛
230: 베어링모듈
240: 제2축브라켓

Claims (12)

  1. 고정유닛;
    구조물이 연결되며, 상기 고정유닛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구조물의 회전 각도를 가변시키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과 상기 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유닛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는 종속고정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종속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회전유닛과의 이격 거리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된 종속회전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종속회전유닛은 상기 회전유닛과의 이격 거리가 감소되어 상기 종속고정유닛에 접촉될 경우,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형성된 구조물 회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종속고정유닛 및 상기 종속회전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구조물 회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은 중심부에 위치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대 회전되는 구조물 회전장치.
  4. 고정유닛;
    구조물이 연결되며, 상기 고정유닛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구조물의 회전 각도를 가변시키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과 상기 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유닛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는 종속고정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종속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종속회전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은 중심부에 위치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대 회전되는 구조물 회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의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베어링모듈을 더 포함하는 구조물 회전장치.
  6.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고정유닛;
    구조물이 연결되며, 상기 고정유닛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구조물의 회전 각도를 가변시키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과 상기 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유닛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는 종속고정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종속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종속회전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종속고정유닛 및 상기 종속회전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구조물 회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속고정유닛 및 상기 종속회전유닛은 링 형태로 형성되는 구조물 회전장치.
  8.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고정유닛;
    구조물이 연결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된 상부를 차폐하도록 원판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유닛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구조물의 회전 각도를 가변시키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과 상기 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유닛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는 종속고정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종속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종속회전유닛;
    을 포함하는 구조물 회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종속고정유닛 및 상기 종속회전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구조물 회전장치.
  10.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과 상기 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유닛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는 종속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종속고정유닛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종속회전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유닛과 구조물 간을 연결하는 연결유닛;
    을 포함하는 구조물 회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한 쌍이 상기 회전유닛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구조물 회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회전유닛과의 연결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된 구조물 회전장치.
KR1020180158501A 2018-12-10 2018-12-10 구조물 회전장치 KR101980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501A KR101980081B1 (ko) 2018-12-10 2018-12-10 구조물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501A KR101980081B1 (ko) 2018-12-10 2018-12-10 구조물 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081B1 true KR101980081B1 (ko) 2019-05-20

Family

ID=66678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501A KR101980081B1 (ko) 2018-12-10 2018-12-10 구조물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0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954U (ja) * 1992-07-30 1994-02-22 株式会社ヨシコー 伸縮ポール機構
KR20170113084A (ko) 2016-03-31 2017-10-12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회전장치
KR20180091374A (ko) * 2017-02-06 2018-08-16 국방과학연구소 급전 안테나의 편파 변경 장치를 포함하는 반사판 안테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954U (ja) * 1992-07-30 1994-02-22 株式会社ヨシコー 伸縮ポール機構
KR20170113084A (ko) 2016-03-31 2017-10-12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회전장치
KR20180091374A (ko) * 2017-02-06 2018-08-16 국방과학연구소 급전 안테나의 편파 변경 장치를 포함하는 반사판 안테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6737Y1 (ko) 개폐체의 개폐장치
US11268650B2 (en) Rotatable stand for LCD monitor
JP2007177829A (ja) 回転規制機能付2軸ヒンジ装置
EP1470467B1 (en) Hinge structure for flat visual display device
KR20090116998A (ko) 돔형 카메라에서 케이스를 열지 않고 외부에서 카메라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그 구조와 장치
JP201352678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支持フレーム構造および太陽電池システム用追跡装置
KR101980081B1 (ko) 구조물 회전장치
EP0568191B1 (en) Centrifuge having a single swing arm for retaining a stator tube
US8740169B2 (en) Display screen turning apparatus
KR20170100504A (ko) 면진 지지 장치
KR100596624B1 (ko) 카메라 모듈용 지지장치
KR200191805Y1 (ko) 액정 모니터용 힌지장치
EP3162970A1 (en) Covering rosette for a concealed sanitary fitting
CN106205741B (zh) 一种角度可调的设备支撑台结构
KR102063421B1 (ko) 매설경로와 내진 맞춤형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CN209115550U (zh) 一种可防松、限位式旋转连接装置
JPH1034587A (ja) 工業用ロボット
KR20020083970A (ko) 전기전자기기의 힌지장치
US9671058B2 (en) Rotating mechanism used for rotating a screen and display device therewith
KR102252152B1 (ko) 방사형 클러치의 피치 세분화를 이용한 경사체홀더 회전각 조절장치
KR101762865B1 (ko) 도어스토퍼
KR102337385B1 (ko) 차량용 컵 홀더
KR200223529Y1 (ko) 행거형 회전고정장치
CN107692620A (zh) 一种吧椅的旋转结构
JP3225172U (ja) 扉軸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