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529Y1 - 행거형 회전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행거형 회전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529Y1
KR200223529Y1 KR2020000034705U KR20000034705U KR200223529Y1 KR 200223529 Y1 KR200223529 Y1 KR 200223529Y1 KR 2020000034705 U KR2020000034705 U KR 2020000034705U KR 20000034705 U KR20000034705 U KR 20000034705U KR 200223529 Y1 KR200223529 Y1 KR 2002235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stop member
fixing device
hanger
annula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준
Original Assignee
뉴컴월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컴월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뉴컴월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4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5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5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529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행거형 회전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주면에 결합부(11a)가 형성된 중공축(11)을 구비한 제1 원판(10); 상기 중공축(11)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구멍(21)과 상기 축구멍(21)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환형홈(22)을 구비한 제2 원판(20); 상기 제1 원판(10)과 제2 원판(20)이 결합되어 회전할 때 서로에 대하여 180°만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원판(10)과 제2 원판(20)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맞닿는 제1 정지부재(30) 및 제2 정지부재(40a, 40b); 및 상기 결합부(11a)에 체결되어 상기 제2 원판(20)을 제1 원판(10)에 밀착 고정시키는 체결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회전고정장치가 적용되는 행거형 액정디스플레이를 천정에 대하여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방향을 반대로 바꿀 수 있도록 부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행거형 회전고정장치{Hanger-typed rotatable fixing device}
본 고안은 행거형 회전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 부재가 고정부재에 대하여 180°만 회전가능한 회전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통, 기차에서 객차 실내에 액정디스플레이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간 통로의 천정에 액정디스플레이를 매달아 부착한다. 기차는 하행선과 상행선이 있으며, 반환점에서 기차는 U턴을 하는 것이 아니라 전방이 후방이 되고 후방이 전방이 되는 방식으로 하행선에서 상행선으로 바뀐다. 이에 따라, 객차의 의자의 방향도 반대로 바뀌어진다. 객차의 의자의 방향이 바뀜에 따라 천정에 매달린 액정디스플레이도 그 방향이 반대로 바뀌어져야 한다. 그런데, 액정디스플레이의 방향을 반대로 바꾸는데 있어, 천정에 부착된 액정디스플레이를 분리하지 않고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방향을 반대로 바꿀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천정에 부착된 액정디스플레이를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방향을 반대로 바꿀 수 있는 회전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행거형 회전고정장치의 조립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1 원판의 사시도,
도 3a는 도 1의 제2 원판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제2 원판을 뒤집어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제1 원판의 저면도,
도 5는 도 3의 제2 원판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선Ⅴ-Ⅴ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행거형 회전고정장치가 적용된 행거형 액정디스플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행거형 회전고정장치의 제1 원판과 제 2 원판이 행거형 액정디스플레이의 고정판과 프레임에 각각 고정된 것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서 고정판과 프레임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7의 액정디스플레이에서 프레임을 90°회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행거형 회전고정장치는 외주면에 결합부(11a)가 형성된 중공축(11)을 구비한 제1 원판(10); 상기 중공축(11)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구멍(21)과 상기 축구멍(21)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환형홈(22)을 구비한 제2 원판(20); 상기 제1 원판(10)과 제2 원판(20)이 결합되어 회전할 때 서로에 대하여 180°만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원판(10)과 제2 원판(20)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맞닿는 제1 정지부재(30) 및 제2 정지부재(40a, 40b); 및 상기 결합부(11a)에 체결되어 상기 제2 원판(20)을 제1 원판(10)에 밀착 고정시키는 체결부재(50)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행거형 회전고정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행거형 회전고정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행거형 회전고정장치(1)는 제1 원판(10), 제2 원판(20), 제1 정지부재(30), 제2 정지부재(40a, 40b) 및 체결부재(5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판(10)은 중공축(11)을 내부 중심에 구비하며, 이 중공축(11)은 외주면의 일부가 나사 가공된 결합부(11a)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원판(10)의 가장자리의 4개의 지점에는 제1 원판(10)을 다른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고정공(18)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원판(20)은 제1 원판(10)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도 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중심에 중공축(11)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구멍(21)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소정의 폭과 깊이로 형성된 환형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원판(10)의 가장자리의 4개의 지점에는 제2 원판(20)을 다른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고정공(28)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원판(10)의 상면에서 제2 원판(20)의 환형홈(22)에 대응하는 1개의 지점에 제1 정지부재(3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정지부재(30)는 종방향으로 절개된 파이프로 구성된다. 제1 정지부재(30)가 형성될 위치에는 제1 구멍(12)이 미리 형성되고, 이 제1 구멍(12)으로 종방향절개 파이프가 밀착 삽입되어 제1 정지부재(30)를 이룬다.
도 3a, 도 3b 및 도 5를 참조하면, 환형홈(22)의 정반대의 2개의 지점에서 상기 제1 정지부재(30)의 반경만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지점에 2개의 제2 정지부재(40a, 40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정지부재(30)도 또한 종방향으로 절개된 파이프이다. 제1 정지부재(30)가 형성될 위치에는 2개의 제2 구멍(23a, 23b)이 미리 형성되고, 이 제2 구멍(23a, 23b)으로 종방향절개 파이프가 밀착 삽입되어 제2 정지부재(40)를 이룬다.
따라서, 제1 원판(10)과 제2 원판(20)이 결합되어 회전하면, 제1 정지부재(30)와 제2 정지부재(40a, 40b)는 서로 맞닿아서 제1 원판(10)과 제2 원판(20)이 서로에 대하여 180°만 회전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 원판(10)을 고정시키고 제2 원판(2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정지부재(40a)가 제1 정지부재(30)와 맞닿게 되고, 제1 원판(10)을 고정시키고 제2 원판(2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정지부재(40b)가 제1 정지부재(30)와 맞닿게 되므로 제1 원판(10)과 제2 원판(20)은 서로에 대하여 180°만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제1 원판(10)의 결합부(11a)에는 체결부재(50)가 체결되어 제2 원판(20)을 제1 원판(10)에 밀착 고정시킨다. 체결부재(50)는 그 측면에 키이구멍(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키이구멍(52)으로 키이나사(51)가 끼워지므로 제2 원판(20)이 제1 원판(10)에 대하여 회전하더라도 체결부재(50)가 풀리지 않게 한다.
또한, 제2 원판(20)은 환형홈(22)에 인접한 표면상의 정반대의 위치에 2개의 볼수용공(24a, 24b)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볼수용공(24a, 24b) 내에는 각각 볼(25a, 25b)이 스프링(26a, 26b)과 스프링지지 나사(27a, 27b)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제1 원판(10)은 제1 정지부재(30)에 인접한 표면에 볼(25a, 25b)이 맞물려 회전하는 환형의 베어링홈(13)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홈(13) 내에는 제1 정지부재(30)의 반경방향으로 정반대의 위치에 2개의 2개의 구멍(15a, 15b)이 형성되고 2개의 구멍(15a, 15b)에는 볼걸림부(14a, 14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원판(10)을 고정시키고 제2 원판(2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정지부재(40a)가 제1 정지부재(30)와 맞닿게 되면 볼(25a)이 볼걸림부(14a) 상에 걸리며, 제1 원판(10)을 고정시키고 제2 원판(2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정지부재(40b)가 제1 정지부재(30)와 맞닿게 되면 볼(25b)이 볼걸림부(14b) 상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제1 원판(10)과 제2 원판(20) 사이의 회전 마찰력을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스프링지지 나사(27a, 27b)를 조절하면 된다. 예를 들어, 제1 원판(10)과 상기 제2 원판(20) 사이의 회전 마찰력을 크게 하고자 할 경우에 스프링지지 나사(27a, 27b)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25a, 25b)이 더 돌출하므로 베어링홈(13)에 맞물리는 힘이 크게 되며, 제1 원판(10)과 상기 제2 원판(20) 사이의 회전 마찰력을 작게 하고자 할 경우에 스프링지지 나사(27a, 27b)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25a, 25b)이 더 수축하므로 베어링홈(13)에 맞물리는 힘이 작게된다.
이렇게 제1 원판(10)과 제2 원판(20) 사이의 회전 마찰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행거형 회전고정장치를 행거형 액정디스플레이에 적용한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서, 행거형 액정디스플레이(100)는 천정에 고정되는 고정판(110)과 LCD판이 장착되는 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도 8 및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판(110)과 프레임(120)은 본 고안의 회전고정장치(1)에 의해 연결된다. 회전고정장치(1)의 제1 원판(10)은 액정디스플레이(100)의 고정판(110)에 결합되고, 회전고정장치(1)의 제2 원판(20)은 액정디스플레이(100)의 프레임(120)에 결합된다.
제1 원판(10)의 고정공(18)은 고정판(110)에 형성된 고정나사(111)에 너트(112)에 의해 결합되고, 제2 원판(20)의 고정공(28)은 프레임(120)의 상부의 중심에 형성된 케이블 관통공(121) 주위에 형성된 고정공(122)에 나사(123)에 의해 결합된다. 제1 원판(10)의 중공축(11)은 프레임(120)의 케이블 관통공(121)을 관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판(110)이 천정에 고정되므로 제1 원판(10)은 고정된 상태이며, 제2 원판(20)이 제1 원판(10)에 대하여 180°만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2 원판(20)에 결합된 프레임(120)은 고정판(110)에 대하여 180°만 회전한다.
또한, 도 10은 프레임(120) 내부에 장착되는 부품을 제거한 상태에서 프레임(120)을 고정판(110)에 대하여 90°회전시켜 도시한 것이다. 고정판(110)에는 다수의 천정고정공(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천정고정공(113)에 나사(114)를 결합함으로써 고정판(110)이 천정에 고정된다. 제1 원판(10)은 고정판(110)에 대하여 결합될 때 그 사이에 공간을 갖도록 결합되며, 이 공간으로 케이블(130)이 인입되어 제1 원판(10)의 중공축(11)의 내부를 관통한 후 액정디스플레이(100)와 연결된다. 따라서, 액정디스플레이(100)의 프레임(120) 상부에서 액정디스플레이와 연결된 케이블(130)은 프레임(120)이 180°만 회전가능하므로 케이블이 꼬이지 않는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프레임(120)의 후면에는 광고용 패널을 부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행거형 회전고정장치에 의하면, 2개의 부재가 서로에 대하여 180°만 회전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방향을 반대로 바꿀 수 있는 회전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고정장치가 적용되는 행거형 액정디스플레이를 천정에 대하여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방향을 반대로 바꿀 수 있도록 부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그 주요 특징을 이루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예와 실시예는 어느 경우에나 제한적인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하며, 본 고안은 이상의 상세한 설명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3)

  1. 외주면에 결합부(11a)가 형성된 중공축(11)을 구비한 제1 원판(10);
    상기 중공축(11)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구멍(21)과 상기 축구멍(21)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환형홈(22)을 구비한 제2 원판(20);
    상기 제1 원판(10)과 제2 원판(20)이 결합되어 회전할 때 서로에 대하여 180°만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원판(10)과 제2 원판(20)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맞닿는 제1 정지부재(30) 및 제2 정지부재(40a, 40b); 및
    상기 결합부(11a)에 체결되어 상기 제2 원판(20)을 제1 원판(10)에 밀착 고정시키는 체결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지부재(30)는 제1 원판(10)과 제2 원판(20)의 결합시 제2 원판(20)의 환형홈(22)에 대응하는 1개의 지점에 형성된 제1 구멍(12)에 밀착 삽입되는 종방향절개 파이프이며, 상기 제2 정지부재(40a, 40b)는 환형홈(22)의 정반대의 2개의 지점에서 상기 제1 정지부재(30)의 반경만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지점에 형성된 2개의 제2 구멍(23a, 23b)에 밀착 삽입되는 종방향절개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판(20)은 상기 환형홈(22)에 인접한 표면상의 정반대의 위치에 형성된 2개의 볼수용공(24a, 24b) 내에 각각 설치된 볼(25a, 25b)을 스프링(26a, 26b)과 스프링지지 나사(27a, 27b)에 의해 지지하며, 상기 제1 원판(10)은 상기 제1 정지부재(30)에 인접한 표면에 상기 볼(25a, 25b)이 맞물려 회전하는 환형의 베어링홈(13)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홈(13) 내에는 상기 제1 정지부재(30)의 반경방향으로 정반대의 위치에 2개의 볼걸림부(14a, 14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고정장치.
KR2020000034705U 2000-12-11 2000-12-11 행거형 회전고정장치 KR2002235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705U KR200223529Y1 (ko) 2000-12-11 2000-12-11 행거형 회전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705U KR200223529Y1 (ko) 2000-12-11 2000-12-11 행거형 회전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529Y1 true KR200223529Y1 (ko) 2001-05-15

Family

ID=73092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705U KR200223529Y1 (ko) 2000-12-11 2000-12-11 행거형 회전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5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7962B2 (en) Hinge assembly for flat panel display appliance
US20060191104A1 (en) Hinge assembly for flat panel display appliance
KR200242148Y1 (ko) 클립형 마찰 힌지장치
KR19990024654A (ko) 액정표시장치
US5142740A (en) Toilet covering hinge assembly
US6702396B1 (en) Wheel cover having rotating wing plate
US6050535A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having a wide adjusting range of a visual angle
KR200223529Y1 (ko) 행거형 회전고정장치
US6702395B1 (en) Rotating wing structure of steel wheel
KR940011811A (ko) 조립체
KR100347036B1 (ko) 냉장고용 리버서블 힌지
KR101980081B1 (ko) 구조물 회전장치
KR100192666B1 (ko) 테이프 레코더용 드럼의 마그네트 베어링장치
KR910006460Y1 (ko) 위치변경용 착탈식 스피커
KR200232585Y1 (ko) 힌지 장치
JPH10205210A (ja) 戸 車
KR200247830Y1 (ko) 힌지 장치
JPH10131944A (ja) 回転支持機構
KR100860025B1 (ko) 액정모니터의 스위블 조립체
JPH07210736A (ja) 自動販売機用ダミー缶の展示取付構造
KR101566272B1 (ko) 도킹 힌지 장치
KR200333048Y1 (ko) 상하좌우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 화상매체
KR100685259B1 (ko) 와이퍼 암의 어댑터 체결구조
KR970050356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요오크플레이트 고정 조립장치
KR200339484Y1 (ko) 회전이 가능한 모니터-본체 일체형 컴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