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272B1 - 도킹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도킹 힌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6272B1 KR101566272B1 KR1020130153389A KR20130153389A KR101566272B1 KR 101566272 B1 KR101566272 B1 KR 101566272B1 KR 1020130153389 A KR1020130153389 A KR 1020130153389A KR 20130153389 A KR20130153389 A KR 20130153389A KR 101566272 B1 KR101566272 B1 KR 1015662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tion
- longitudinal direction
- angular position
- locking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토킹 힌지 장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 및 상기 제1 부재에 구조물을 착탈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2개의 구조물 간의 회전 지지점이 되는 도킹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2개의 구조물을 서로 회전시키기 위해 힌지가 사용된다.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새로운 방식으로 구조물을 회전시키는 힌지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132073호에는 도어가 닫히는 경우 순간적으로 도어가 자동으로 제동되어 문틈에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끼어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하나의 축부를 중심으로 각 구조물을 회시키는 전통적인 힌지 구조를 취하고 있다.
본 발명은 구조물 간의 회전 지지점이 되는 동시에 구조물의 착탈이 가능한 도킹 도킹 힌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도킹 힌지 장치는 제1 부재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 및 상기 제1 부재에 구조물을 착탈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은 구조물의 회전 각도에 따라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잠금부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힌지 장치는 구조물의 회전 지지점 기능에 더하여 해당 구조물을 착탈시키는 기능을 겸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착탈 스위치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도킹 힌지 장치가 적용된 제품에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보다 편하게 구조물을 착탈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킹 힌지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킹 힌지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킹 힌지 장치를 구성하는 캠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킹 힌지 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스토퍼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킹 힌지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킹 힌지 장치를 구성하는 캠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킹 힌지 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스토퍼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킹 힌지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도킹 힌지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시된 도킹 힌지 장치는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130, 140) 및 제1 부재(110)에 구조물을 착탈시키는 잠금부(150)를 포함하고 있다.
회전축은 회전의 중심축이 되는 것으로, 도면에는 제1 부재(110)에 연결된 제1 회전축(130), 제2 부재(120)에 연결된 제2 회전축(140)이 마련되고 있다.
각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의 회전은 물리적으로 상대 회전에 해당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부재(12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 부재(110)가 제2 부재(120)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1 부재(110)는 제1 구조물(10)에 고정되고, 제2 부재(120)는 제2 구조물에 고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2 구조물(미도시)에 대해 제1 구조물(10)이 회전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노트북의 경우 제1 구조물(10)은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며, 제2 구조물은 키보드일 수 있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와 키보드가 분리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최근 터치 스크린 기술의 발달로 인해 디스플레이 측에 중앙 처리 장치, 메모리 등이 배치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으로 키보드를 대체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를 키보드로부터 떼어내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키보드로부터 떼어내서 이용하는 디스플레이는 소위 태블릿 PC일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에 마련됨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키보드를 통한 입력 방식의 편리함으로 인해 키보드에 합체시켜 태블릿 PC를 노트북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환경은 별도로 마련된 키보드에 태블릿 PC를 착탈시킴으로써 노트북으로 활용하거나, 키보드로부터 분리시켜 태블릿 PC로 활용하는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정리하면, 태블릿 PC 또는 디스플레이에 해당하는 제1 구조물(10)은 제1 부재(110)에 대해 착탈 가능할 수 있다.
이때의 제1 부재(110)에 대한 제1 구조물(10)의 착탈 기능은 잠금부(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부재(110) 측에 후크(151)를 마련하고, 제1 구조물(10)에 후크(151)에 대응하는 홈을 마련하면 후크(151)의 위치에 따라 제1 부재(110)에 제1 구조물(10)을 장착시키거나 제1 부재(110)로부터 제1 구조물(10)을 이탈시킬 수 있다. 이때 후크(151)의 위치 조절은 각종 링크 및 해당 링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버튼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의 버튼은 키보드에 대해 디스플레이를 덮었을 때는 노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를 개방했을 때 노출되는 위치에 주로 배치되고 있다. 따라서, 키보드로부터 디스플레이를 분리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개방한 후 디스플레이의 개방으로 노출된 버튼을 눌러 후크(151)를 구동시켜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외부로 드러난 버튼에 의해 외적 미려함이 훼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킹 힌지 장치는 키보드에 대해 디스플레이를 일정 각도 이상 젖힌 경우 자동으로 후크(151)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잠금부(150)는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잠금부(150)가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면 잠금부(150)는 회전축이 아닌 곳에 설치되도 무방하다. 다만, 잠금부(150)를 회전축에 설치할 경우 회전축을 잠금부(150) 이동의 가이드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가이드를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잠금부(150)는 제2 부재(120)에 대한 제1 부재(1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킹 힌지 장치는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는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잠금부(15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1 이동부는 제1 부재(1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잠금부(150)의 이동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동부는 제2 부재(120)에 대한 제1 부재(110)의 회전 운동을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캠부(160)는 회전축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캠부(160)에 접촉되는 잠금부(150)로 하여금 회전축을 가이드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이동부는 탄성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170)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탄성력으로 잠금부(150)를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부(170)에 의해 잠금부(150)가 이동하는 방향은 제2 방향 ②일 수 있다.
캠부(160)는 제1 부재(1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2 방향 ②를 갖는 탄성부(17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회전축의 길이 방향 ① 또는 ②로 잠금부(15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캠부(160)는 제2 부재(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재(120)는 제2 회전축(140)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캠부(160)는 제2 회전축(140)에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잠금부(150)는 제1 방향 ①로 이동함으로써 제1 부재(110)로부터 제1 구조물(10)이 이탈되고, 제2 방향 ②로 이동함으로써 제1 부재(110)에 제1 구조물(10)이 장착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일예로 잠금부(150)는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크(1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11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경유하는 임의의 각도 위치인 제1 각 위치 p1과 제2 각위치 p2를 설정할 때, 제1 각위치 p1으로부터 제2 각위치 p2를 향하는 회전 운동을 제1 회전 ⓐ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제2 각위치 p2로부터 제1 각위치 p1을 향하는 회전 운동을 제2 회전 ⓑ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캠부(160)는 제1 회전 ⓐ시 잠금부(150)를 제1 방향 ①로 이동시키고, 제2 회전 ⓑ시 잠금부(150)를 제2 방향 ②로 이동시키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캠부(160)에 형성된 경사 구간(161)은 잠금부(15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될 수 있으며, 잠금부(150)에는 가이드부에 접촉되는 접촉 수단(153)이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킹 힌지 장치를 구성하는 캠부(16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에는 잠금부(150)에서 캠부(160)에 접촉되는 접촉 수단(153)과 캠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접촉 수단(153)은 잠금부(150)를 구성하는 후크(151)와 함께 이동(적어도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이 관계를 일점쇄선으로 나타내었다.
접촉 수단(153)은 제2 이동부인 탄성부(170)에 의해 제1 방향 ①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 ②로 힘을 받을 수 있다. 이 힘에 의해 접촉 수단(153)은 캠부(160)에 신뢰성 있게 접촉될 수 있다.
도 3의 (a) 상태에서 제1 회전 ⓐ가 이루어지면 도 3의 (b) 상태로 진행될 수 있다.
캠부(160)는 제1 회전 ⓐ의 방향을 직선 운동으로 나타낸 제3 방향 ③으로 갈수록 제1 방향 ①로 돌출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제1 회전 ⓐ에 의해 접촉 수단(153)은 제3 방향 ③으로 이동하고,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캠부(160)의 경사 구간(161)을 따라 제1 방향 ①로 이동한다. 이때의 이동 거리는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캠부(160)의 돌출로 발생된 위치 x1과 x2의 차와 일치할 수 있다.
후크(151)는 접촉 수단(153)과 함께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후크(151)의 이동 거리 역시 x1과 x2의 차이만큼이다. x1과 x2의 차이만큼 이동되는 후크(151)에 의해 제1 구조물(10)이 걸리거나(도 3의 (a)) 해방되도록(도 3의 (b)) 후크(151)의 연장 길이와 고정물의 홈 직경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회전 ⓐ가 이루어지기 전에는 도 3의 (a)와 같이 후크(151)가 제1 구조물(10)의 홈에 걸려 제1 구조물(10)이 제3 방향 ③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 ⓐ가 이루어진 후에는 도 3의 (b)와 같이 후크(151)가 제1 구조물(10)의 홈으로부터 해방되어 제1 구조물(10)이 제3 방향 ③으로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제1 구조물(10)이 제1 부재(110)에 장착된 상태가 되고 후자의 경우는 제1 구조물(10)이 제1 부재(1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캠부(160)에는 회전 운송시 회전축의 길이 방향 상으로 잠금부(150)의 위치가 일정한 고정 구간 y1, y3와 잠금부(150)의 위치가 변하는 이동 구간 y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이동 구간 y2는 앞에서 살펴본 캠부(160)의 경사 구간(161)일 수 있다.
이때의 고정 구간과 이동 구간을 적절하게 형성하면 소망하는 각도에서 제1 부재(110)가 잠금부(150)에 의해 잠겨지거나 해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트북의 경우 제1 구조물(10)과 제2 구조물 간의 각도가 0도~139도 구간에서는 제1 구조물(10)이 잠겨지도록 하고 140도 이상에서는 제1 구조물(10)이 해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서 제1 부재(110)가 잠금부(150)로부터 해방되는 위치가 x2인 경우 0도~139도 구간은 도 3의 y1, y2 구간이고, 140도 이상 구간은 y3 구간일 수 있다.
제1 부재(110)에는 제1 구조물(10)의 장착을 위한 장착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장착부(111)는 홈 또는 홀일 수 있다. 장착부(111)에 대응하여 제1 구조물(10)에는 장착부(111)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제1 구조물(10)의 외부에 돌기를 형성하기가 곤란한 경우 장착부(111)와 제1 구조물(10) 사이에 제1 구조물(10)이 안착되는 안착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부에 돌기를 형성하고, 안착부의 돌기를 장착부(111)에 삽입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부재(110)는 제1 회전축(1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부재(110)는 제1 회전축(130)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제2 부재(120) 또는 제2 회전축(140)과의 간섭으로 인해 회전이 방해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회전축(140)이 속이 빛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 회전축(130) 및 제1 부재(110)가 제2 회전축(140)의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일 수 있다. 제1 부재(110)에는 제1 회전축(130)과 달리 제1 구조물(10) 또는 안착부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보스 등의 연결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의 연결 부재 등에 의해 제1 부재(110)의 회전이 방해받지 않도록 일정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제1 부재(110)의 단면적은 제2 회전축(140)의 내주 단면적보다 작은 것이 좋다. 이때 단면적의 차이로 발생되는 공간에 각종 연결 부재를 설치하면 제1 부재(110)의 회전이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때의 연결 부재의 크기는 해당 공간의 크기(길이, 부피, 넓이 중 적어도 하나)보다 작은 것이 좋다. 도면에는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부재(110)를 절개함으로써 연결 부재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회전축에는 탄성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40도 이상으로 제1 부재(11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제1 구조물(10)이 이탈 가능하도록 잠금부(150) 및 캠부(160)가 형성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라도 사용자는 제2 구조물에 대해 제1 구조물(10)을 회전시킴으로써 140도 이상 구간에 들어갔는지 확인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140도 이상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의 사이에 돌기/홈으로 구성된 고정 스토퍼를 설치하게 되면 이때의 회전으로 인해 고정 스토퍼가 훼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탄성 스토퍼가 이용될 수 있다. 탄성 스토퍼는 140도와 같이 소망하는 각도에서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140도 이상으로도 일부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킹 힌지 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스토퍼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탄성 스토퍼는 제1 부재(110)와 함께 회전하는 제1 스토퍼(180)와 제2 부재(120)에 고정된 제2 스토퍼(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180)는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보조 탄성부(181)에 의해 제2 스토퍼(190)를 향하는 방향(도면에는 제1 방향 ①)으로 힘을 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조 탄성부(181)는 접시 스프링일 수 있다.
제1 스토퍼(180)에는 제2 스토퍼(19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기(183)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스토퍼(190)에는 제1 스토퍼(18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기(191)가 마련될 수 있다.
위 예에서 제1 돌기(183)와 제2 돌기(191)는 제1 부재(110)가 제2 부재(120)에 대해 140도 회전한 상태에서 서로 만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돌기(183)와 제2 돌기(191)가 서로 만난 상태에서 제1 부재(110)에 대해 추가로 제1 회전 ⓐ가 이루어지게 되면 각 돌기 간의 돌출 길이만큼 보조 탄성부(181)의 탄성력이 증가하므로 큰 토크가 요구된다. 이때 요구되는 큰 토크는 사용자에 의해 인지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잠금부(150)에 의한 제1 구조물(10)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임을 간접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재(110)에 가하던 토크를 해제하고 제1 구조물(10)의 이탈을 시도하게 된다. 설사 140도 이상으로 제1 부재(110)를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이때의 충격은 보조 탄성부(181)에서 받게 되므로 고정 스토퍼 대비 훼손의 염려가 낮다.
한편,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제1 스토퍼(180) 또는 제2 스토퍼(190)에는 복수의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스토퍼(180)에 제3 돌기(185)를 추가로 마련함으로써 제1 스토퍼(180)에 2개의 돌기가 형성되고 있다.
앞에서 제1 돌기(183)와 제2 돌기(191)가 만나는 지점은 도 3의 (a)에서 y2와 y3의 경계 위치 또는 y3의 구간 내 위치일 수 있다. y2 구간에서는 후크(151)가 제1 구조물(10)의 홈에 대해 이탈되는 방향(도면에는 제1 방향 ①)으로 이동되므로 장착 신뢰도가 점점 약해지는 구간이다. 따라서, 가능하면 y2 구간인 상태에서 제1 구조물(10) 또는 제2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사용자에게 현재의 상태가 y2 구간임을 인지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3 돌기(185)가 이용될 수 있다.
제3 돌기(185)는 도 3의 y2 구간에서 제2 돌기(191)와 만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앞에서 140도 지점에서 제1 돌기(183)와 제2 돌기(191)가 만나는 경우 제3 돌기(185)는 이보다 앞선 135도 지점에서 제2 돌기(191)와 만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기(191)의 돌출 거리는 제1 돌기(183)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돌기(183)와 제2 돌기(191)의 돌출 거리를 극복하는 토크보다 작은 토크가 요구되기는 하나 0도~135도까지의 구간과 비교하여 큰 토크를 요구한다. 따라서, 토크를 인가하는 사용자에게 y2 구간에 들어섰음을 인지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큰 토크가 지속적으로 가해지면 y3 구간에 들어서고 제1 구조물(10)을 이탈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제1 부재 111...장착부
130...제1 회전축 150...잠금부
151...후크 153...접촉 수단
160...캠부 161...경사 구간
170...탄성부 180...제1 스토퍼
181...보조 탄성부 183...제1 돌기
185...제3 돌기 190...제2 스토퍼
191...제2 돌기
130...제1 회전축 150...잠금부
151...후크 153...접촉 수단
160...캠부 161...경사 구간
170...탄성부 180...제1 스토퍼
181...보조 탄성부 183...제1 돌기
185...제3 돌기 190...제2 스토퍼
191...제2 돌기
Claims (7)
-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
상기 제1 부재에 구조물을 착탈시키는 잠금부; 및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 운동을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캠부;를 포함하고,
상기 캠부는 상기 제1 부재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잠금부를 이동시키며,
상기 잠금부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구조물이 이탈되고, 제2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구조물이 장착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각위치와 제2 각위치를 경유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1 각위치로부터 상기 제2 각위치를 향하는 회전 운동을 제1 회전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2 각위치로부터 상기 제1 각위치를 향하는 회전 운동을 제2 회전이라 정의할 때,
상기 캠부는 상기 제1 회전시 상기 잠금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회전시 상기 잠금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사를 갖는 도킹 힌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2 부재에 대한 상기 제1 부재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킹 힌지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제2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도킹 힌지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에는 상기 회전 운동시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 상으로 상기 잠금부의 위치가 일정한 고정 구간과 상기 잠금부의 위치가 변하는 이동 구간이 마련되는 도킹 힌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3389A KR101566272B1 (ko) | 2013-12-10 | 2013-12-10 | 도킹 힌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3389A KR101566272B1 (ko) | 2013-12-10 | 2013-12-10 | 도킹 힌지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7660A KR20150067660A (ko) | 2015-06-18 |
KR101566272B1 true KR101566272B1 (ko) | 2015-11-05 |
Family
ID=5351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53389A KR101566272B1 (ko) | 2013-12-10 | 2013-12-10 | 도킹 힌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6272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9985Y1 (ko) | 2001-07-25 | 2001-11-22 | 이종오 | 힌지 |
JP2004204953A (ja) | 2002-12-25 | 2004-07-22 | Nokia Corp | 一時角度設定機能付ヒンジ装置 |
KR100676820B1 (ko) * | 2005-05-23 | 2007-02-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착탈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
-
2013
- 2013-12-10 KR KR1020130153389A patent/KR10156627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9985Y1 (ko) | 2001-07-25 | 2001-11-22 | 이종오 | 힌지 |
JP2004204953A (ja) | 2002-12-25 | 2004-07-22 | Nokia Corp | 一時角度設定機能付ヒンジ装置 |
KR100676820B1 (ko) * | 2005-05-23 | 2007-02-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착탈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7660A (ko) | 2015-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39851B2 (en) | Electronic device and hinge thereof | |
US7536749B2 (en) | Hinge assembly having limiting and positioning abilities | |
JP5710662B2 (ja) | 電子機器 | |
EP3440528B1 (en) | Hinge with multiple preset positions | |
US20130081229A1 (en) | Hinge device | |
US9678535B2 (en) | Moveable keyboard latt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CN105739617B (zh) | 电子设备 | |
US20190369666A1 (en) | Electronic device | |
WO2016103644A1 (ja) | 電子機器 | |
JP6935487B2 (ja) | 車載装置の脱落機構付き取付構造 | |
US9298271B2 (en) | Moun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
JP2009015386A (ja) | 電子機器 | |
CN103573795B (zh) | 折叠式电子设备 | |
US8934238B2 (en) | Collapsible electronic equipment | |
CN105739615B (zh) | 锁定机构以及具备该锁定机构的电子设备 | |
CN103809685A (zh) | 具有枢接结构的可携式电子装置 | |
CN101983363A (zh) | 计算装置锁定机构 | |
US9019713B2 (en) |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 |
JP2005322203A (ja) | 回転ディスプレイの自動ロック構造 | |
KR101566272B1 (ko) | 도킹 힌지 장치 | |
CN103838306A (zh) | 电子装置 | |
US20150109724A1 (en) | Electronic device with rotary positioning function | |
US11835981B2 (en) | Operating device | |
KR20080019426A (ko) | 도킹 스테이션과 이를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 |
JP2005290973A (ja) | 開閉ドアを備えた電子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