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717B1 - 안전 장화 - Google Patents

안전 장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717B1
KR101978717B1 KR1020180149627A KR20180149627A KR101978717B1 KR 101978717 B1 KR101978717 B1 KR 101978717B1 KR 1020180149627 A KR1020180149627 A KR 1020180149627A KR 20180149627 A KR20180149627 A KR 20180149627A KR 101978717 B1 KR101978717 B1 KR 101978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ubber
boot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훈
Original Assignee
(주)대신인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신인더스 filed Critical (주)대신인더스
Priority to KR1020180149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1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rubb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2Boots covering the lower le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3/2279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ntimon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9Thiocarbam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dithiocarbamates
    • C08K5/40Thiurams, i.e. compounds 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 C08K5/4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with oxygen or nitrogen in the ring
    • C08K5/47Th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장화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종래 안전 장화에 비하여 기계적 강도 및 난연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중량을 크게 감소하여 우수한 착화감을 제공하는 안전 장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 장화{A safety boots}
본 발명은 안전 장화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종래 안전 장화에 비하여 기계적 강도 및 난연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중량을 크게 감소하여 우수한 착화감을 제공하는 안전 장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소재로 한 사출장화의 경우, 고무장화와 비교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생산성이 높으며, 패션성이 우수한 특성으로 패션장화, 위생장화, 레인부츠 등에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장화의 경우 기계적 강도가 일반 고무장화와 비교하여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로 인하여 고물성을 요구하는 안전장화에는 아직까지 적용된 사례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소재의 경우 신발용 소재로 적용하기 위한 경도조절 및 사출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소제를 사용하여 연질화 시키는 것이 보편화된 방법인데 상기와 같은 가소제의 사용은 기계적 강도의 저하의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고물성을 요구되는 안전장화에는 아직까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부족으로 상용화된 제품이 없는 실정이다.
한편, 폴리비닐클로라드 조성물을 이용한 사출장화와 관련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특허문헌 1에는 장화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고무조성물로써,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주기재로 하고 여기에 가소제, 안정제, 니트릴 고무 조성물(1,3-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으며, 특허문헌 2에는 장화를 제조함에 있어, 가소제, 안정제, 무기물이 혼합된 PVC 조성물을 고온으로 사출시켜 제조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선행기술들의 경우,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주기재로 하고 여기에 가소제, 안정제, 충진제를 혼합한 조성물을 고온에서 사출하는 일반적인 기술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가 100kg/cm2 이하인 패션장화나 레인부츠, 위생장화 등의 일반장화에는 적용할 수 있으나,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가 일정 수준이상이며, 또한 난연성능 등 고물성이 요구되는 안전장화 등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42495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940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계적 강도를 현저히 향상시킴과 동시에 난연성능을 부여함으로써, 고물성의 안전 장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장화는, 이소부틸렌 이소프렌 고무 23 내지 33 중량부, 비닐시스 고무 45 내지 55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17 내지 27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활성제 10 내지 12 중량부, 가황제 1 내지 2 중량부 및 난연제 9 내지 11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 장화는, 상기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충진제 25 내지 30 중량부, 발포제 5 내지 6 중량부, 가황촉진제 1 내지 2 중량부 및 노화방지제 1 내지 2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성제는, 스테아르산(Stearic acid, ST), 파라핀 오일(P-OIL),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진제는, 카본 블랙, 화이트 카본(White carbon), 경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황촉진제는, 티아졸계 가황촉진제, 티우람계 가황촉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난연제는, 안티몬, 할로겐계 난연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소부틸렌 이소프렌 고무, 비닐시스 고무 및 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를 혼용한 기재를 사용함에 따라 종래의 안전 장화에 비하여 중량을 크게 감소하되, 기계적 강도를 현저히 향상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기재에 난연제를 배합함에 따라 난연성능을 향상시켜 고물성이 요구되는 소방장화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안전 장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안전 장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전 장화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장화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장화는, 이소부틸렌 이소프렌 고무 23 내지 33 중량부, 비닐시스 고무 45 내지 55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17 내지 27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황제 1 내지 2 중량부, 발포제 5 내지 6 중량부, 충진제 25 내지 30 중량부, 난연제 9 내지 11 중량부, 활성제 10 내지 12 중량부, 가황촉진제 1 내지 2 중량부 및 노화방지제 1 내지 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소부틸렌 이소프렌 고무(Isoprene Isobutylene Rubber, IIR) 기재는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합성고무의 한 종류로서, 내노화성, 내후성, 내열성, 내한성 및 전기적 성질이 우수한 고무이며, 상기 이소부틸렌 이소프렌 고무의 등급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그 등급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이소부틸렌 이소프렌 고무의 배합비는 23 내지 33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소부틸렌 이소프렌 고무의 배합비가 23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 그 사용량이 너무 적어 탄성 및 신장률 등의 물성이 저하되어, 이소부틸렌 이소프렌 고무 특유의 충진특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
반면, 이소부틸렌 이소프렌 고무의 배합비가 3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그 사용량이 필요 이상의 사용으로 가격경쟁력이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비닐시스 고무(VCR)의 경우, 고무-수지 복합체로서, 충진제에 의한 보강이 아니라 중합 시 원료고무 자체에 수지가 단섬유상으로 형성되어 보강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합성고무에 비해 비중이 낮은 특성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비닐시스 고무는 45 내지 55 중량부가 배합되며, 이에 따라 비닐시스 고무를 주기재로 하여 블렌드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되는 안전 장화의 족당 중량을 크게 감소시켜, 우수한 착화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닐시스 고무의 배합비가 45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 상술한 보강재로서의 효과를 제대로 나타낼 수 없으며, 반면, 비닐시스 고무의 배합비가 5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지나치게 수지 성분이 많아져서 가공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 NBR) 고무의 경우,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내유성능으로 인해 자동차 고무부품, 호스, 씰링제를 비롯하여 안전 장화 겉창용 소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의 배합비는 17 내지 27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의 배합비가 17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 안전 장화의 기계적 강도와 내유성을 만족시키지 못할 우려가 있다.
반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의 배합비가 27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내마모성이 저하되고 원가가 상승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황제는 기재로 사용된 고무를 가교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유기과산화물, 유황, 폴리아민류, 티오우레아류 및 메르캅탄 트리아진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황제는 가황 온도와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 중량부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가황제의 배합비가 1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 미가교로 인해 상기 안전 장화 조성물에 의해 생산되는 안전 장화의 내마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반면, 가황제의 배합비가 2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가교되어 안전 장화의 외관이 비틀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발포제는 기재로 사용된 고무에 미세 발포 구조를 형성하여 보온, 방음 및 충격 흡수 등의 효과를 부여하며, 본 발명에서는 발포제로서, Trans Activated Zinc Oxide(TAZO)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발포제는 상기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6 중량부가 사용된다.
발포제의 배합비가 5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 충분히 발포되지 않아 상술한 발포제의 효과를 구현할 수 없으며, 기재로 사용된 고무의 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반면, 발포제의 배합비가 6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발포제는 일정 온도에서 가스로 분해되므로 발포제의 양이 너무 많아지게 되면, 많은 양의 가스가 발생되며, 또한, 발포제 사용량 과다로 과발포되어 오히려 안전 장화의 내마모성이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충진제는 카본 블랙(Carbon black master batch, CMB)화이트 카본(White carbon), 경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충진제는 상기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내지 30 중량부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충진제의 배합비가 25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 안전 장화의 내마모성이 저하되거나, 표면이 충분히 개질될 수 없으며, 반면, 충진제의 배합비가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작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난연제는 안티몬, 할로겐계 난연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난연제로서 데카브로모디페닐 에탄(Decabromodiphenyl ethane, DBDPE)을 사용함으로써, Dioxin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안티몬은 기계적 강도 및 방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방염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안티몬을 배합함에 따라 주기재인 비닐시스 고무에 의한 기계적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연제는 상기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9 내지 11 중량부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난연제의 배합비가 9 중량부 미만인 경우, 충분한 난연효과를 볼 수 없으며, 반면, 난연제의 배합비가 1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기재의 기계적 물성 및 열 안정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활성제는 기재를 에멀젼 상태가 되도록 하며, 스테아르산(Stearic acid, ST), 파라핀 오일(P-OIL),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활성제는 상기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2 중량부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활성제의 배합비가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유화가 어려우며, 반면, 활성제의 배합비가 12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가황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황촉진제는 티아졸계 가황촉진제, 티우람계 가황촉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티아졸계 가황촉진제로는 티아졸류인 메르캅토벤조티아졸(MBT), 디벤조티아졸디술피드(MBTS), 2-메르캅토벤조티아졸의 아연염(ZnMBT)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티우람계 가황촉진제는 티우람류인 테트라메틸티우람모노설파이드(TMTM), 테트라메틸티우람디설파이드(TMTD), 테트라에틸티우람의설파이드(TETD), 테트라부틸티우람의설파이드(TBTD), 디펜타메틸렌티우람테프라설파이드(DPTT)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황촉진제는 가황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 중량부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가황촉진제의 배합비가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유효 가황계가 형성되지 않아 다황 결합을 이룰 수 없으며, 반면, 가황촉진제의 배합비가 2 중량부 초과할 경우, 스코치(scorch)에 의한 공정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너무 과량 사용되면 가공 시간이 짧아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노화방지제는 안전 장화의 노화를 방지하고, 오염 등을 억제하며, 이와 같은 노화방지제로서는 아민계 노화방지제, 페놀계 노화방지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Styrenated phenol(SP-S)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화방지제는 노화 방지 효과 및 오염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 중량부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노화방지제의 배합비가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충분한 노화 방지 효과가 구현되지 않으며, 반면, 노화방지제의 배합비가 2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기재로 사용된 고무의 물성이 저하되어 성형 후 고무 주위에 생기는 흰 부스럼 형태의 블루밍(Blooming)이 발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술한 배합제 외에도, 열안정제, 가소제, 분산제, 스코치방지제, 전기절연성부여제 등이 선택적으로 추가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당업계에서 자명한 정도이므로,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이고, 함량은 중량(단위 : g)으로 표시된 것이며, 이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2
이소부틸렌
이소프렌 고무
10,000 20,000 -
비닐시스 고무 (VCR) 17,500 - -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NBR) 8,000 8,000 17,500
천연고무 STR_3L - - 20,000
유황(S) 550 550 550
Trans activated zinc oxide (TAZO) 2,000 2,000 2,000
스테아르산
(Stearic acid, ST-A)
355 400 400
파라핀 오일(P-OIL) 3,000 3,000 3,000
폴리에틸렌 글리콜
(Polyethylene glycol, PEG)
600 600 600
화이트 카본 (White carbon) 7,500 7,500 7,500
카본 블랙 (Canbon black master batchm, CMB) 1,500 1500 1,500
경탄 1,000 3,000 30,000
옥염화 TC - - 6,000
디벤조티아졸디술피드
(Dibenzothiazyl disulfide, MBTS)
260 260 260
메르캅토벤조티아졸
(Mercapto benzo thiazole, MBT)
150 150 150
테트라메틸티우람모노설파이드
(Tetramethylthiuram monosulfide, TMTM)
20 20 20
Styrenated phenol (SP-S) 500 500 500
안티몬 1,065 - 3,300
Decabromodiphenyl ethane
(DBDPE)
2,485 - 7,700
PANA - 2,800 -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에 의한 안전 장화에 의해 제조된 시편의 물리적 특성에 대하여 아래의 시험방법에 준하여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1) 인장강도 : KS M 6518:2016 (아령 3호형)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신장율 : KS M 6518:2016 (아령 3호형)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 인열 강도 : KS M 6518:2016 (B형)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4) 열노화 후 인장강도 변화율 : KS M 6518:2016 (70±1℃, 120h)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 내유체적변화율 : 노동부 고시 제2014-46호 #2 oil, (20±1℃, 22h)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6) 내 답발성 시험 : 노동부 고시 제2014-46호 (압박하중 : 4.4 kN)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평가항목 단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인장강도 MPa 14.5 11.6 11.8
신장률 % 720 579 566
인열 강도 kN/m 47.3 - -
열노화 후 인장강도 변화율 % +4.1 - -
내유체적변화율 % +8.8 - -
내 답발성 시험 - 관통치 않음 관통치 않음 관통치 않음
안전 장화, 구체적으로는 소방용 안전 장화의 경우, 인장강도 14MPa 이상, 신장율 300% 이상, 인열강도 35 kN/m 이상, 내유체적변화율 -5 내지 10 %의 물리적 특성이 요구되며,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은 인장강도가 14.5 Mpa, 신장율이 720%, 인열강도가 47.3 kN/m, 내유체적변화율이 8.8%로 소방용 안전 장화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결과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기존 소재인 비교예 1 및 비교예 2 대비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보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은 열노화 후 인장강도 변화율이 +4.1%로서, 소방용 안전 장화의 요구조건 중 노화 후 인장강도 10.4 MPa 이상의 조건을 만족함에 따라 우수한 난연성능을 가짐이 입증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안전 장화는 기존 소재에 비해 기계적 강도 및 난연 성능이 향상됨과 동시에, 다른 합성고무보다 낮은 비중을 가진 비닐시스 고무를 주기재로 배합함에 따라, 기존 소재에 비해 족당 중량을 크게 감소하여 우수한 착화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장화를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하고, 그 우수성을 확인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이소부틸렌 이소프렌 고무 23 내지 33 중량부, 비닐시스 고무 45 내지 55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17 내지 27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비닐시스 고무를 주재로 하여 제조되는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활성제 10 내지 12 중량부, 가황제 1 내지 2 중량부, 난연제 9 내지 11 중량부, 충진제 25 내지 30 중량부, 발포제 5 내지 6 중량부, 가황촉진제 1 내지 2 중량부 및 노화방지제 1 내지 2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난연제는, 데카브로모디페닐 에탄(Decabromodiphenyl ethane, DBDPE) 및 안티몬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화.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제는,
    스테아르산(Stearic acid, ST), 파라핀 오일(P-OIL),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는,
    카본 블랙, 화이트 카본(White carbon), 경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황촉진제는,
    티아졸계 가황촉진제, 티우람계 가황촉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화.


  6. 삭제
KR1020180149627A 2018-11-28 2018-11-28 안전 장화 KR101978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627A KR101978717B1 (ko) 2018-11-28 2018-11-28 안전 장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627A KR101978717B1 (ko) 2018-11-28 2018-11-28 안전 장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717B1 true KR101978717B1 (ko) 2019-05-16

Family

ID=66671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627A KR101978717B1 (ko) 2018-11-28 2018-11-28 안전 장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7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516B1 (ko) * 2019-07-15 2020-04-03 (주)대신인더스 경찰 장화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495A (ko) 1996-11-18 1998-08-17 스위셔캐쓸린엠 플라스티졸 조성물
JP2003070503A (ja) * 2001-09-06 2003-03-11 Sumitomo Rubber Ind Ltd アウトソ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靴
JP2006028360A (ja) * 2004-07-16 2006-02-02 Jsr Corp 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KR100609406B1 (ko) 2005-03-04 2006-08-08 김경미 장화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495A (ko) 1996-11-18 1998-08-17 스위셔캐쓸린엠 플라스티졸 조성물
JP2003070503A (ja) * 2001-09-06 2003-03-11 Sumitomo Rubber Ind Ltd アウトソ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靴
JP2006028360A (ja) * 2004-07-16 2006-02-02 Jsr Corp 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KR100609406B1 (ko) 2005-03-04 2006-08-08 김경미 장화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516B1 (ko) * 2019-07-15 2020-04-03 (주)대신인더스 경찰 장화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9087B1 (ko) 열가소성 pvc계 발포체 조성물
US6875263B1 (en) Use of vegetative material as a filler in composite materials
KR100868885B1 (ko) 중공 실리카를 이용한 신발 겉창용 조성물
ES2737407T3 (es) Composición polimérica ignífuga
WO2014053037A1 (pt) Composição elastomérica não expandida à base de polímero de e- tileno e acetato de vinila e uso da mesma para confecção de calçados
JP7410081B2 (ja) コンベヤベルト用ゴム組成物
JP2022070962A (ja) カバーゴム用ゴム組成物、及び、コンベヤベルト
KR101978717B1 (ko) 안전 장화
KR20220095276A (ko) 진동 감쇠 고무 조성물
KR101486047B1 (ko) 안전화 겉창용 고무 조성물
EP3165563B1 (en) Expandable and crosslinkable elastomeric formulation for the manufacture of insulation materials exhibiting high fire retardancy and low smoke creation properties
KR101165052B1 (ko) 슬립방지 신발 겉창용 조성물
US9556324B2 (en) Anti-scorch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the same, and articles prepared from the same
KR20140145749A (ko) 신발 겉창용 고무 조성물
KR102096516B1 (ko) 경찰 장화 제조방법
KR101351804B1 (ko) 경도변화 특성이 우수한 스티렌-부타디엔계 신발 겉창용 고무 조성물
KR101838647B1 (ko) 안전 장화용 조성물
JPH06279621A (ja) クロロプレンゴム組成物
KR101433354B1 (ko) 기계적 강도가 개선된 장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장화
KR100626163B1 (ko) Nbr, pvc, cpe를 혼합한 얼로이, 얼로이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JP3488310B2 (ja) クロロプレン組成物
WO2017172873A1 (en) Electrostatic dissipating mat
KR101669479B1 (ko) 가교시간이 단축된 부틸고무 조성물
JP7477747B2 (ja) コンベヤベルト用ゴム組成物およびコンベヤベルト
KR20180025325A (ko) 가교시간이 단축된 부틸고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