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660B1 - 제진 포스트 - Google Patents

제진 포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660B1
KR101978660B1 KR1020180129776A KR20180129776A KR101978660B1 KR 101978660 B1 KR101978660 B1 KR 101978660B1 KR 1020180129776 A KR1020180129776 A KR 1020180129776A KR 20180129776 A KR20180129776 A KR 20180129776A KR 101978660 B1 KR101978660 B1 KR 101978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upport
tubular body
stru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현
Original Assignee
김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현 filed Critical 김도현
Priority to KR1020180129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진 포스트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도로 시설물이 설치되고 하단이 지중에 매립된 기초에 고정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내부에서 선단과 기단이 각각 지주의 상부와 기초에 고정되어 긴장상태를 갖는 와이어 및 상기 지주와 기초 사이에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는 양생 시 관체가 매립되어 상기 관체의 상단이 기초의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관체의 하단은 다수의 철근이 교차하여 상기 관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기단이 상기 철근의 교차된 부분에 고정되는 와이어 결속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포스트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제진 포스트{Damping post}
본 발명은 제진 포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등의 지주와 기초 사이에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수단을 마련하여 강풍, 지진과 같은 요인에 의해 가로등에 진동이 발생하게 될 때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감쇄시켜 가로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진 포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 신호등, 각종 표지판 및 교통정보 수집을 위한 카메라 등은 도로용 시설물로써, 교차로나 건널목의 도로변 또는 도로 중앙에 설치되는 설치물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가로등은 고속도로, 시가지의 주요도로, 상업지구 도로, 주택지구 도로 등 설치장소에 따라 그에 알맞은 종류가 사용된다. 가로등의 형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등주의 끝부분을 구부려서 그 끝에 광원을 설치하는 하이웨이형, 등주의 끝부분에 가로로 가지를 뻗게 하여 광원을 설치하는 브래킷형, 등주의 꼭대기에 광원을 설치하는 주두형 등이 있다. 이렇게 등주에 설치되는 광원으로는 고압수은등, 형광등, 나트륨등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도로용 시설물은 대부분 지상에서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상부에 고정되어 도로 방향으로 평행한 길이를 갖는 아암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도로용 시설물은 등록특허공보 제10-1254484호(2013.04.09)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지주, 아암 및 교통신호등을 포함하는 신호등주로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은 메인 아암(1)으로 형성되고, 메인 아암(1)의 내측에 인입되는 제1보강 아암(200), 제1보강 아암(200)의 내측에 인입되는 제2보강 아암(300) 및 메인 아암(1)의 처짐 또는 흔들림을 보강하기 위한 와이어(11)를 연결할 수 있는 보강리브(2)를 구비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된 메인 아암(1)의 내측에 복수개의 보강용 아암을 인입하여 신호등주용 아암의 자중 또는 외부환경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종래의 도로용 시설물은 아암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암의 구성을 메인 아암, 제1아암 및 제2아암으로 이루기 때문에 오히려 아암의 무게가 증가하여 지진과 같은 예상치 못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지주와 아암이 결합된 일부분에 크랙이 발생하여 쉽게 서로 분리되는 문제점가 있다.
또한, 종래의 도로용 시설물은 전술한 문제점으로 인해 아암의 무게를 견디기 위하여 지주와 아암을 연결하는 보조 수단인 와이어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가 있다.
또한, 종래의 도로용 시설물은 보조 수단인 와이어가 아암의 상단부에 노출되는 현수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도시미관을 해치는 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가 있다.
KR 10-1387710 B (2014.04.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진, 강풍과 같은 가로등에 진동이 발생할 때 지주와 일체를 이루는 아암의 강성을 보강하여 휨 변형을 방지하거나 지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진 포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아암과 지주를 와이어의 장력을 이용하여 진동을 감쇄하며 와이어를 아암과 지주의 내부에 배선하여 와이어의 단선 및 가로등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진 포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아암과 지주의 내부에 배선되는 와이어의 장력을 능동적으로 조절하여 가로등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는 제진 포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상부에 도로 시설물이 설치되고 하단이 지중에 매립된 기초에 고정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내부에서 선단과 기단이 각각 지주의 상부와 기초에 고정되어 긴장상태를 갖는 와이어 및 상기 지주와 기초 사이에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포스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주는 일단에 광원, 신호등, 표지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로 시설물이 설치되는 아암 및 상기 아암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아암의 타단이 고정된 상태로 상기 지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선단과 기단이 각각 상기 암과 기초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주는 상기 지주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선단과 결속되어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결속부가 마련된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캡의 상면을 관통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캡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와이어의 선단이 결속되는 결속 링으로 이루어진 아이볼트 및 상기 캡의 상면을 관통한 상기 아이볼트의 로드와 나사 체결되어 상기 아이볼트를 캡의 상면에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캡은 상기 아이볼트와 체결된 너트를 차폐하도록 상기 캡의 상부를 감싸는 지주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주커버는 탄성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과 지주커버가 마주하는 면에 제각기 체결돌기 및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초는 양생 시 관체가 매립되어 상기 관체의 상단이 기초의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관체의 하단은 다수의 철근이 교차하여 상기 관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기단이 상기 철근의 교차된 부분에 고정되는 와이어 결속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체는 하단에 상기 와이어 결속구의 철근 양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 홈은 상기 와이어 결속구의 교차하는 철근 위치에 상응하는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상기 관체가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된 탄성 복원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이 상기 지주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체는 내측면에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며 탄성 복원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진 완충 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기초의 상면에서 상기 관체를 축으로 하여 일단이 상기 지주의 내측면을 가압하고 타단이 기초에 고정되는 탄성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주는 내부에 상기 아암과 지주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아암과 지주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긴장상태의 와이어를 상기 지주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지주의 내부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와이어를 상기 지주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 홀이 형성된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진 포스트에 의하면, 지진, 강풍과 같은 요인에 의해 가로등에 진동이 발생할 때 지주와 기초 사이에 마련된 완충부 및 지주의 내부 사방에서 지주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제공부에 의해 진동을 감쇄시켜 가로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암 및 지주에 발생한 진동을 감지하여 아암 및 지주의 내부로 배선된 와이어의 장력을 능동적으로 조절하여 가로등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가 가로등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와이어의 단선 및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선행기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진 포스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진 포스트의 상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진 포스트의 하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진 포스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진 포스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진 포스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진 포스트의 상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진 포스트의 하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진 포스트는 도로 시설물이 설치되는 아암(110),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져 아암(110)을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지주(120), 상기 지주(120)를 지면에 고정하는 기초(130), 아암(110)과 지주(1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선단과 기단이 아암(110)과 기초(130)에 고정되어 긴장상태를 갖는 와이어(140), 지주(120)와 기초(130) 사이에 설치되어 아암(110)과 지주(12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부(150)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아암(110)은 일단에 고압수은등, 형광등, 나트륨등과 같은 광원 또는 신호등, 표지판과 같은 도로 시설물이 설치되는데, 아암(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된 관의 형태를 갖고 일단에 도로 시설물이 설치되며 아암(110)의 내부로 도로 시설물에 전원을 공급 및 제어하기 위한 전선이 배선된다.
또한, 아암(110)의 일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40)의 선단을 고정하기 위한 아이볼트(114)가 마련되며 아암(110)의 타단은 개구를 형성하여 일정한 길이를 갖는 수평 연결대(113)가 삽입된 상태로 아암(110)의 외측에서 체결되는 나사에 의해 수평 연결대(113)와 고정된다.
이러한 수평 연결대(113)는 길이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 지주(120)로부터 도로 시설물이 멀어지게 하거나 가깝게 할 수 있어 지주가 설치될 장소에 알맞게 도로 시설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평 연결대(113)의 타단은 지주의 상단에 고정되는 수평과 수직으로 절곡되며 중공된 관의 형상을 갖는 연결부(122)에 고정되는데, 수평 연결대(113)의 타단은 연결부(122)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된 상태로 연결부(122)의 외측에서 체결되는 나사에 의해 수평 연결대(113)와 고정된다.
또한, 연결부(122)의 하단과 지주의 상단은 제각기 플랜지가 형성되어 연결부(122)와 지주가 일체적으로 고정되며 연결부(122) 내부의 절곡된 부분에는 아암(110)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140)를 지주(120)의 내부를 통해 기초(130)로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116)가 설치되어 와이어(140)가 아암(110)으로부터 지주(120)의 내부를 거쳐 기초로 향하게 될 때 와이어(140)가 연결부(122)의 절곡된 부분에 접촉하여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앞선 설명에서는 아암(110)과 지주(120)가 수평 연결대(113) 및 연결부(122)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아암(110)과 지주(120)가 일체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주(120)의 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에 매립된 기초(130)에 고정되는데, 지주(120)의 하단은 플랜지(124)가 형성되고 플랜지(124)를 관통하는 다수의 앵커 볼트(123)에 의해 지주(120)와 기초(130)가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아암(110)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140)는 기단이 기초(130)에 고정되어 긴장상태를 갖게 되는데, 와이어(140)의 기단을 기초(130)에 고정하기 위해 기초(130)에 관체(131)가 설치되고 관체(131)의 하단은 와이어 결속구(132)가 마련된다.
즉, 기초(130)는 양생 시 관체(131)가 매립되어 관체(131)의 상단이 기초(130)의 상부로 노출된다. 또한, 관체(131)의 하단은 다수의 철근(133)이 교차하여 관체(13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와이어 결속구(132)가 마련되어 와이어(140)의 기단이 철근(133)의 교차된 부분에 고정된다.
이때, 관체(131)는 하단에 와이어 결속구(132)의 교차하는 철근(133)의 양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 홈(131a)이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 홈(131a)은 도 2의 원안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131)의 하단에 철근(133)의 직경에 상응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삽입 홈(131a)은 교차하는 철근(133)의 위치에 상응하는 깊이를 갖게 된다.
즉, 도 2의 원안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131)의 하단에 마련되는 와이어 결속구(132)는 두 개의 철근(133)이 십자의 형태로 교차하여 적층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교차한 철근(133)과 철근(133)은 그 높이가 서로 다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갖는 와이어 결속구(132)가 관체(131)의 하단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위해 관체(131)의 하단에 형성되는 삽입 홈(131a)은 철근(133)의 위치에 상응하는 깊이를 갖게 된다.
즉, 가로 방향으로 위치한 철근(133)의 하부에 세로 방향의 철근(133)이 위치하여 십자의 형태를 이루게 될 때 관체(131)의 하단에 형성되는 삽입 홈(131a)은 가로 방향으로 위치한 철근(133)이 삽입되는 삽입 홈(131a)의 깊이(h2)가 세로 방향으로 위치한 철근(133)이 삽입되는 삽입 홈(131a)의 깊이(h1)보다 깊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관체(131)의 하단에 깊이가 다른 삽입 홈(131a)이 형성되는 것에 따라 와이어 결속구(132)를 안정적으로 관체(131)의 하단에 설치할 수 있으며, 관체(131)의 하단에 설치된 와이어 결속구(132)는 용접에 의해 관체(13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삽입 홈(131a)이 관체(131)에 형성되는 것에 따라 관체(131)와 철근(133)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관체(131)와 와이어 결속구(132)의 용접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관체(131)의 내측면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결속구(132)에 결속된 와이어(140)가 관통하는 완충 링(134)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완충 링(134)은 고무, 우레탄과 같은 탄성 복원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관체(131)의 내부를 관통하는 와이어(140)가 관체(131)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아암(110), 지주(120), 와이어(140)에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완충 링(134)이 진동을 흡수하여 와이어(140)의 진동을 감쇄하게 된다.
이렇게 선단과 기단이 제각기 아암(110)과 기초에 고정되는 와이어(140)는 긴장상태를 갖도록 와이어(140)의 장력을 조절하는 턴 버클(118)이 마련되어 턴 버클(118)의 조임과 풀림에 따라 와이어(140)의 긴장상태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지주(120)는 도로 시설물이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점멸되게 하고 전원의 공급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점검구가 마련되며, 점검구는 안전기, 누전차단기 등과 같은 각종 전기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한 점검구커버(121)가 설치된다.
그리고, 와이어(140)의 긴장상태를 조절하는 턴 버클(118)이 점검구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점검구를 통해 턴 버클(118)의 조임과 풀림을 조절하여 와이어(140)의 긴장상태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지주(120)와 기초 사이에는 완충부(150)가 설치되어 지주(120)에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이러한 완충부(1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20)의 하단 내부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는데, 완충부(150)는 관체(131)가 관통하는 관통 홀(151)이 형성되고 고무, 우레탄과 같은 탄성 복원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지주(120)와 기초(130) 사이에 완충부(150)가 마련되는 것에 따라 지주(120) 또는 기초(130)에서 진동이 발생하게 될 때 완충부(150)가 흡수하여 지주의 진동을 감쇄하게 된다.
한편, 완충부(150)는 지주(1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지주(120)에 진동이 발생하게 될 때 지주(120)의 내부 사방에서 탄성 가압하여 진동을 감쇄하는 탄성 제공부(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제공부(152)는 도 2 및 도 4의 원 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130)의 상면에서 관체(131)를 축으로 하여 일단이 지주(120)의 내측면을 가압하고 타단이 기초(130)에 고정된다.
이러한 탄성 제공부(152)는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이 될 수 있으며 토션 스프링이 지주(120)의 축선을 중심으로 사방에 제각기 설치되어 탄성력을 지주(120)의 외측 방향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 제공부(152)가 지주(120)의 내부에 마련되는 것에 따라 지주(120)에 진동이 발생하게 될 때 지주(120)의 내부 사방에서 탄성 제공부가 탄성 가압하여 진동을 감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진 포스트는 아암(110)과 지주(120)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와이어(14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가 마련된다. 이를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진 포스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장력 조절부는 아암(110)과 지주(120)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모듈(미도시) 및 센서모듈의 신호를 전달받아 긴장상태의 와이어(140)를 지주(120)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유닛(160)으로 구성된다.
이때, 센서모듈은 아암(110)과 지주(120)에 제각기 설치되어 아암(110)과 지주(120)에 발생하는 진동을 제각기 감지하거나 아암(110)과 지주(120) 중 어느 하나에 센서모듈이 설치되어 가로등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유닛(160)은 지주(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브라켓(161),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162), 와이어(140)를 지주(120)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판(163)으로 구성된다.
브라켓(16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20)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주(120)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모터(162)는 브라켓(161)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모터(162)는 바람직하게 스테핑 모터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터(162)는 아암(110) 및 지주(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진동을 감지한 센서모듈의 신호에 따라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판(163)은 모터(162)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모터(162)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판(163)은 모터(162)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와이어(140)가 관통하는 가압 홀(163a)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압유닛(160)은 센서모듈의 신호에 따라 모터(162)가 작동하여 회전판(163)이 회전하게 되어 가압 홀(163a)을 관통한 와이어(140)를 지주(120)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와이어(140)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특히, 지주(120)의 내부에 와이어(140)가 관통하는 가압 홀(163a)이 형성된 회전판(163)이 지주(120)의 축선과 동일한 축선을 갖도록 설치되어 회전판(163)이 회전하는 것에 따라 와이어(140)를 지주(120)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회전판(163)을 중심으로 회전판(163)의 상부에 위치한 와이어(140) 및 회전판(163)의 하부에 위치한 와이어(140)의 장력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어 아암(110) 및 지주(120)에 진동이 발생하게 될 때 신속하게 와이어(140)의 장력을 긴장상태로 조절할 수 있어 가로등에 발생한 진동을 신속하게 감쇄시키게 된다.
또한, 회전판(163)에 다수의 가압 홀(163a)을 형성할 수 있어 아암(110)과 기초(130)를 다수의 와이어(140)로 연결할 때 회전판(136)의 회전에 의해 다수의 와이어(140)에 대한 장력 조절을 동시에 할 수 있어 가로등에 발생한 진동을 신속하게 감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진 포스트에 의하면, 지진, 강풍과 같은 가로등에 진동이 발생할 때 지주(120)와 기초(130) 사이에 마련된 완충부(150) 및 지주(120)의 내부 사방에서 지주(120)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제공부(152)에 의해 진동을 감쇄시켜 가로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암(110) 및 지주(120)에 발생한 진동을 감지하여 아암(110) 및 지주(120)의 내부로 배선된 와이어(140)의 장력을 능동적으로 조절하여 가로등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140)가 가로등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와이어(140)의 단선 및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앞선 설명에서는 지주(120)에 아암(110)과 연결부(122)가 마련되어 지주(120)가 "ㄱ"자의 형태로 절곡된 구조로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지주(120)가 "I"자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도 6 및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진 포스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주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I"자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I"자의 형태를 갖는 지주(120)의 내부에 와이어(140)를 결속하기 위해 지주(120)의 상부에 캡(170)이 마련되는데, 캡(170)은 하부가 지주(12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중공된 원기둥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캡(170)은 와이어(140)의 선단을 고정하며 와이어(140)의 장력을 조절하는 결속부(180)가 마련되는데, 결속부(180)는 캡(170)의 상면을 관통하는 로드(181a)와 상기 로드(181a)와 일체로 형성되며 캡(170)의 내부에 위치하며 와이어(140)의 선단이 결속되는 결속 링(181b)으로 이루어진 아이볼트(181) 및 캡(170)의 상면을 관통한 아이볼트(181)의 로드(181a)와 나사 체결되어 아이볼트(181)를 캡(170)의 상면에 고정하는 너트(182)로 구성된다.
이러한 결속부(180)는 로드(181a)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182)의 조임에 따라 캡(170)의 내부에 위치한 결속 링(181b)의 위치를 조절하여 와이어(140)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캡(170)에 너트(182)와 아이볼트(181)가 설치될 때 와셔(183)가 마련되어 캡(170)에 가해지는 압력을 와셔(183)가 분산시켜 캡(170)의 파손과 너트(182)가 무단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아이볼트(181)의 로드(181a)가 관통하는 캡(170)은 지주지주커버(190)가 마련되어 아이볼트(181)에 의해 관통된 틈으로 비나 눈에 의해 수분이 지주(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지주커버(190)는 아이볼트(181)와 체결된 너트(182)를 차폐하도록 캡(170)의 상부를 감싸게 되는데, 지주커버(190)는 하부가 캡(17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중공된 원기둥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지주커버(190)는 캡(170)의 상부로부터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탄성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캡(170)과 지주커버(190)가 마주하는 면에 제각기 체결돌기(191) 및 체결홈(171)이 형성되어 지주커버(190)가 캡(170)에 설치될 때 지주커버(190)에 형성된 체결돌기(191)가 캡(170)에 형성된 체결홈(171)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지주(120)가 "I"자의 형태를 갖고, 지주(120)의 상부에 도로 시설물이 설치될 때 지주(120)의 내부에 마련되는 와이어(140)를 캡(170)에 마련된 결속부(180)에 의해 고정 및 와이어(140)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110 : 아암 112 : 광원
113 : 수평 연결대 114,181 : 아이볼트
116 : 가이드 롤러 118 : 턴 버클
120 : 지주 121 : 점검구커버
122 : 연결부 123 : 앵커 볼트
124 : 플랜지 130 : 기초
131 : 관체 131a : 삽입 홈
132 : 와이어 결속구 133 : 철근
134 : 완충 링 140 : 와이어
150 : 완충부 151 : 관통 홀
152 : 탄성 제공부 160 : 가압유닛
161 : 브라켓 162 : 모터
163 : 회전판 163a : 가압 홀
170 : 캡 171 : 체결홈
180 : 결속부 181a : 로드
181b : 결속 링 182 : 너트
190 : 지주커버 191 : 체결돌기

Claims (9)

  1. 상부에 도로 시설물이 설치되고 하단이 지중에 매립된 기초에 고정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내부에서 선단과 기단이 각각 지주의 상부와 기초에 고정되어 긴장상태를 갖는 와이어; 및
    상기 지주와 기초 사이에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는
    양생 시 관체가 매립되어 상기 관체의 상단이 기초의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관체의 하단은 다수의 철근이 교차하여 상기 관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기단이 상기 철근의 교차된 부분에 고정되는 와이어 결속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포스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하단에 상기 와이어 결속구의 철근 양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 홈은
    상기 와이어 결속구의 교차하는 철근 위치에 상응하는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포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관체가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된 탄성 복원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이 상기 지주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포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내측면에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며 탄성 복원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진 완충 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포스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기초의 상면에서 상기 관체를 축으로 하여 일단이 상기 지주의 내측면을 가압하고 타단이 기초에 고정되는 탄성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포스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내부에 지주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포스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지주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긴장상태의 와이어를 상기 지주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포스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지주의 내부에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와이어를 상기 지주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 홀이 형성된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포스트.
KR1020180129776A 2018-10-29 2018-10-29 제진 포스트 KR101978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776A KR101978660B1 (ko) 2018-10-29 2018-10-29 제진 포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776A KR101978660B1 (ko) 2018-10-29 2018-10-29 제진 포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660B1 true KR101978660B1 (ko) 2019-05-15

Family

ID=66579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776A KR101978660B1 (ko) 2018-10-29 2018-10-29 제진 포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052B1 (ko) * 2023-06-23 2024-03-08 손숙주 강성보강 가로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4719A (ko) * 2009-01-19 2010-07-28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KR101333882B1 (ko) * 2013-10-08 2013-11-27 신중호 풍력발전기의 조립식 내진장치
KR101387710B1 (ko) 2012-09-19 2014-05-12 케이엠인더스트리(주) 능동형 안개 소산 시스템
KR101784921B1 (ko) * 2017-04-06 2017-10-12 주식회사 성지산업 장력유지장치가 마련된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4719A (ko) * 2009-01-19 2010-07-28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KR101387710B1 (ko) 2012-09-19 2014-05-12 케이엠인더스트리(주) 능동형 안개 소산 시스템
KR101333882B1 (ko) * 2013-10-08 2013-11-27 신중호 풍력발전기의 조립식 내진장치
KR101784921B1 (ko) * 2017-04-06 2017-10-12 주식회사 성지산업 장력유지장치가 마련된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052B1 (ko) * 2023-06-23 2024-03-08 손숙주 강성보강 가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05875A1 (en) Pole assembly and mounting thereof
KR102143471B1 (ko) 진동흡수 가능한 일체형 폴대
RU2006132459A (ru) Дорожное направляющее сооружение
KR101978660B1 (ko) 제진 포스트
KR101358426B1 (ko) 교통신호등 지주구조체
KR20090038115A (ko) 가드레일 지주용 델리네이터 구조
KR100915423B1 (ko) 도로변 시설물용 지주
KR101545652B1 (ko) 진동저감장치를 갖는 가로등주 및 그 설계방법
KR100993696B1 (ko) 볼라드
KR200390592Y1 (ko) 도로용 차선 규제봉
KR200177194Y1 (ko) 가드 케이블 고정장치
KR101196702B1 (ko) 충격흡수형 표지판
KR20090050833A (ko) 다목적설치대
KR101143981B1 (ko) 가로보 각도 조절장치
KR101197144B1 (ko) 충격 흡수형 회동식 교통표지판
KR101263724B1 (ko) 가로등 조사각 조절장치
KR101640796B1 (ko) 가로등 및 신호등이 일체로 형성된 통합형 도로안내표지판
KR101205544B1 (ko) 지주용 캡
KR20110017141A (ko) 등주매립형 기초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가로등 등주의 설치방법
KR100463678B1 (ko) 가드레일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도로용 가드레일지주
KR102456665B1 (ko) 다기능 시선유도장치
KR102138824B1 (ko) 내구성과 고정성 및 안전성이 개선된 가로등주
KR102406035B1 (ko) 내진 금속기둥
KR200220490Y1 (ko) 도로표시판 지주의 완충장치
CN213709242U (zh) 一种带隔音结构的桥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