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369B1 - 포장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포장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369B1
KR101978369B1 KR1020170099170A KR20170099170A KR101978369B1 KR 101978369 B1 KR101978369 B1 KR 101978369B1 KR 1020170099170 A KR1020170099170 A KR 1020170099170A KR 20170099170 A KR20170099170 A KR 20170099170A KR 101978369 B1 KR101978369 B1 KR 101978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article
packaging
scanner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967A (ko
Inventor
이수아
한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랩아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랩아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랩아시아
Priority to KR1020170099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369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26Feeding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6Applying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wrapping materials,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8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causing operation of audible or visible alarm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포장 가이드 장치를 제시하며,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물품의 포장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대본체; 상기 작업대 본체에 인접설치되어 복수의 구획공간을 이루며, 각각의 구획공간에 서로 다른 크기의 포장박스들이 크기 별로 분류된 상태로 수납되는 박스수납대; 및 상기 컨베이어로 이송된 물품의 종류를 감지하고, 상기 박스수납대에 수납된 포장박스 중 감지된 물품에 대응하는 크기의 포장박스를 안내하는 박스 안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장 가이드 장치{GUIDE APPARATUS FOR PACKING}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포장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 대상의 물품을 감지하여 물품의 종류나 크기에 대응하는 포장박스를 안내하고 또한, 해당 포장박스에 대응하는 박스테이프 및 포장재를 제공할 수 있는 포장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쇼핑몰(online shopping mall) 또는 인터넷 쇼핑몰(internet shopping mall)은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상품을 매매할 수 있도록 만든 가상 상점을 말한다.
이러한 온라인 쇼핑몰은 오프라인 쇼핑몰과는 달리 시간적, 공간적 인 제약이 없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라인 쇼핑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상품 구매의 편리성 등으로 인하여 최근 들어 급격히 시장규모가 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온라인 쇼핑은 상품의 가격 면에서 경쟁력을 가져야 함은 물론, 주문 상품을 좀 더 빠르게 배송해야만 경쟁력을 가진다.
따라서, 주문 상품의 배송시간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주문 상품의 신속하고 안전한 포장이 요구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상품을 포장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포장 대상 물품의 크기나 수량을 가늠하여 그에 대응하는 포장박스를 선택한 후, 포장박스의 하단덮개를 테이핑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포장박스의 내부에 완충역할을 하는 포장재와 함께 상품을 삽입한 후 포장박스의 상단덮개를 테이핑하여 포장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물품 포장과정에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물품의 크기나 종류를 확인하여 그에 대응하는 포장박스를 준비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움은 물론 포장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기존의 물품 포장과정에서는 물품의 종류나 형태에 따라 포장재의 투입량이나 포장재로 물품을 감싸는 방법이 서로 다름에 따라 작업자가 포장재의 투입량 및 포장방법을 일일이 확인하고 포장하여야 하므로 포장시간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4851호에 개시된 포장 장치 및 포장 방법을 살펴보면, 분배스테이션으로 이송되는 용기를 감지하여 완충재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포장에 필요한 완충재만을 공급하는 구성일 뿐, 물품의 크기에 대응하는 포장박스를 작업자가 일일이 확인하여 선택해야 하며, 물품에 따른 포장방법 또는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기술적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포장 대상 물품의 종류를 미리 감지하여 물품의 종류나 크기에 대응하는 포장박스를 판별하여 안내함으로써 포장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포장 가이드 장치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판별된 포장박스에 대응하는 박스테이프를 자동으로 제공함은 물론, 완충에 필요한 포장재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는 포장 가이드 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감지된 물품과 판별된 포장박스에 대응하는 포장방법을 시각적으로 안내할 수 있으며, 포장된 물품의 상품정보를 즉시 인쇄하여 제공할 수 있는 포장 가이드 장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포장 가이드 장치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면,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물품의 포장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대본체; 상기 작업대 본체에 인접설치되어 복수의 구획공간을 이루며, 각각의 구획공간에 서로 다른 크기의 포장박스들이 크기 별로 분류된 상태로 수납되는 박스수납대; 및 상기 컨베이어로 이송된 물품의 종류를 감지하고, 상기 박스수납대에 수납된 포장박스 중 감지된 물품에 대응하는 크기의 포장박스를 안내하는 박스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 가이드 장치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물품의 포장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대본체; 상기 작업대 본체에 인접설치되어 복수의 구획공간을 이루며, 각각의 구획공간에 서로 다른 크기의 포장박스들이 크기 별로 분류된 상태로 수납되는 박스수납대; 상기 작업대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물품을 스캔하여 물품의 종류를 감지하면서 감지된 물품에 대응되는 포장박스를 판별하고, 판별된 포장박스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물품스캐너; 상기 박스수납대의 구획공간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물품스캐너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발광하면서 상기 물품스캐너에 의해 판별된 포장박스가 수납된 구획공간을 안내하는 안내램프; 상기 작업대 본체에 구비되어 박스테이프가 인출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박스 안내부를 구성하는 상기 물품스캐너의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작동하면서 상기 물품스캐너에 의해 판별된 포장박스에 대응하는 길이로 상기 박스테이프를 인출하는 테이프 공급부; 상기 작업대 본체에 구비되어 물품을 보호하기 위한 포장재가 인출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물품스캐너의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작동하면서 상기 물품스캐너에 의해 판별된 포장박스에 대응하는 길이로 상기 박스테이프를 인출하는 포장재 공급부; 상기 작업대 본체에 구비되어 물품의 종류에 따른 포장법을 저장하고, 저장된 포장법 중 상기 물품스캐너에 의해 감지된 물품에 대응하는 포장방법을 출력하는 안내 모니터부; 및 상기 작업대 본체에 구비되어 물품의 종류에 따른 상품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품정보 중 상기 물품스캐너에 의해 감지된 물품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인쇄하여 제공하는 바코드인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박스수납대에 구비되는 물품스캐너에 의해 포장대상 물품의 종류가 미리 감지되면서 감지된 물품에 대응하는 포장박스가 판별되어 작업자에게 안내되므로, 작업자가 물품과 포장박스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도 물품에 대응하는 포장박스를 신속하게 선택함으로써 포장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판별된 포장박스에 대응하는 길이의 박스테이프가 테이프 공급부에 의해 자동으로 인출됨과 아울러, 판별된 포장박스에 대응하는 길이의 포장재가 포장재 공급부에 의해 자동으로 인출되므로 포장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작업대 본체에 구비된 안내 모니터부가 해당 물품 및 포장박스에 대한 포장방법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므로 포장을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장 가이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박스 이젝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가이드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에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물품에 대한 작업자의 포장작업을 가이드하는 것으로, 작업대본체(100), 박스수납대(200) 및 박스 안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대본체(100)는 작업자에 의한 물품의 포장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포장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편평한 면을 갖는 테이블형태로 형성되어 포장공간을 제공하며, 컨베이어(1)에 인접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작업대본체(100)는 작업자에 맞는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미도시된 지지다리가 길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작업대본체(100)는 포장공간의 전방에 후술되는 박스수납대(200) 및 박스 안내부(300)의 설치공간을 이루는 캐비닛(110)이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110)에는 후술되는 박스 안내부(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포장에 필요한 도구들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박스수납대(200)는 컨베이어(1)를 통해 공급되는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박스들이 수납되는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박스수납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본체(100)를 이루는 캐비닛(1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작업대본체(100)의 측방이나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박스수납대(200)는 작업대본체(100)와 인접된 위치라면 어느 위치이건 무방하다.
이러한 박스수납대(200)는 서로 다른 크기의 포장박스가 수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구획공간(210)(220)(230)이 형성됨으로써 크기 별로 분류된 포장박스들이 각각의 구획공간(210) (220)(230)에 수납될 수 있다.
즉, 박스수납대(200)는 물품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분류된 포장박스들이 수납되며, 미도시된 박스 공급기가 포장박스들을 구획공간(210) (220)(230)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박스 안내부(300)는 컨베이어(1)로 이송되는 물품의 종류를 감지함과 아울러, 박스수납대(200)에 수납된 포장박스들 중 감지 물품에 대응하는 크기의 포장박스를 안내함으로써 포장시간을 단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즉, 박스 안내부(300)는 컨베이어(1)로 이송된 물품에 맞는 포장박스를 판별하여 안내함으로써 작업자가 물품을 가늠하여 포장박스를 선택하는 시간을 단축시켜 줄 수 있다.
예컨대, 박스 안내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스캐너(310) 및 안내램프(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품스캐너(310)는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물품을 스캔하여 물품의 종류나 크기 또는 수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물품에 대응하는 포장박스를 판별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물품스캐너(310)는 예컨대, 이미지센서로 구성되어 물품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물품의 종류나 크기를 감지할 수 있으며, 초음파센서나 적외선센서로 구성되어 물품의 크기를 감지하면서 물품에 맞는 크기의 포장박스를 판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물품스캐너(310)는 물품에 부착되는 RFID 태그와 같은 전자태그를 리딩하는 리더기로 구성되어 물품의 전자태그를 통해 물품의 종류를 감지하면서 물품의 크기에 대응하는 포장박스를 판별할 수도 있다.
또한, 물품스캐너(310)는 컨베이어(1)로 설정된 시간 동안 이송되는 복수의 물품을 감지하면서 각각의 크기와 수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복수의 물품을 포장할 수 있는 크기의 포장박스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물품스캐너(310)는 박스수납대(200)의 구획공간(210)(220)(230)에 수납된 포장박스들의 크기에 대한 데이터가 구획공간별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큰 크기의 포장박스는 첫 번째 구획공간(210), 중간 크기의 포장박스는 두 번째 구획공간(220), 가장 작은 크기의 포장박스는 세 번째 구획공간(230)에 각각 수납되어 있는 것이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품스캐너(310)는 컨베이어(1)로 이송되는 물품을 감지한 후, 감지된 물품이 포장될 수 있는 크기의 포장박스를 판별하고, 해당 포장박스가 수납된 구획공간(210) (220)(230)에 대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안내램프(3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수납대(200)의 구획공간(210)(220)(230) 각각에 설치되어 발광하면서 포장박스를 작업자에게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안내램프(320)는 물품스캐너(310)의 제어신호에 의해 발광함으로써 물품스캐너(310)에 의해 판별된 포장박스의 구획공간을 안내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물품과 포장박스를 직접 확인하지 않고도 발광하는 안내램프(320)가 설치된 구획공간(210)(220)(230)의 포장박스를 박스수납대(200)에서 꺼냄으로써 신속하게 포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캐비닛(110)에 수납된 박스테이프나 커터 및 완충재를 직접 꺼내서 포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가이드 장치(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공급부(400), 포장재 공급부(500), 안내모니터부(600) 및 바코드인쇄부(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공급부(400)는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포장박스의 조립 및 폐쇄를 위한 박스테이프를 자동으로 인출하여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테이프 공급부(400)는 관체형을 이루는 박스테이프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박스테이프의 선단부가 인출되기 위한 인출구(411)를 갖는 테이프 하우징(410)과, 박스테이프의 선단부를 견인하여 인출구(411)로 인출시키는 인출롤러(미도시)와, 인출된 박스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테이프 하우징(410)은 작업대본체(100)를 이루는 캐비닛(110)에 설치되며, 미도시된 인출롤러는 테이프 하우징(410)에 내장되어 박스테이프의 선단부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박스테이프를 인출구(411)로 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인출롤러는 전술한 물품스캐너(310)의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작동하면서 물품스캐너(310)에 의해 판별된 포장박스를 포장할 수 있는 길이의 박스테이프를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다.
예컨대, 인출롤러는 물품스캐너(31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수를 조절하면서 박스테이프의 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미도시된 커터는 테이프 하우징(410)의 인출구(411)에 내장되어 인출된 박스테이프를 절단한다.
이러한 커터는 하나의 절단날이 전후진 하는 기요틴 타입이나 두 개의 절단날이 시소운동하는 가위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테이프 하우징(410)에는 작업자에 의한 입력이 이루어지는 작동스위치(412)가 구비되어 인출롤러 및 커터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스위치(412)는 터치 센서나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어 작업자의 터칭 의해 인출롤러 및 커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포장재 공급부(500)는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포장박스에 물품과 함께 투입되어 완충기능을 하는 포장재를 자동으로 인출하여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포장재 공급부(500)는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포장재가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면서 포장재의 선단부가 인출되기 위한 인출구(511)를 갖는 포장재 하우징(510)과, 포장재의 선단부를 견인하여 인출구(511)로 인출시키는 인출롤러(미도시)와, 인출된 포장재를 절단하는 커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장재 하우징(510)은 작업대본체(100)를 이루는 캐비닛(110)에 설치되며, 미도시된 인출롤러는 포장 하우징(510)에 내장되어 포장재의 선단부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포장재를 인출구(511)로 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인출롤러는 전술한 물품스캐너(310)의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작동하면서 물품스캐너(310)에 의해 판별된 물품에 대응하면서 해당 포장박스의 포장공간에 대응하는 길이의 포장재를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다.
예컨대, 인출롤러는 물품스캐너(31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수를 조절하면서 포장재의 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미도시된 커터는 포장재 하우징(510)의 인출구(511)에 내장되어 인출된 포장재를 절단한다.
이러한 커터는 하나의 절단날이 전후진 하는 기요틴 타입이나 두 개의 절단날이 시소운동하는 가위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포장재 하우징(510)에는 작업자에 의한 입력이 이루어지는 작동스위치(512)가 구비되어 인출롤러 및 커터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스위치(512)는 터치 센서나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어 작업자의 터칭 의해 인출롤러 및 커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안내모니터부(600)는 포장대상 물품에 대한 포장방법을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안내모니터부(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 본체(100)를 이루는 캐비닛(1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물품에 따른 포장방법들을 저장하고 물품스캐너(3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면서 포장방법들 중 하나를 출력한다.
이러한 안내모니터부(600)는 저장된 포장방법들 중 물품스캐너(310)에 의해 감지된 물품에 대응하는 포장방법을 출력함으로써 작업자의 포장작업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바코드인쇄부(700)는 포장된 물품에 대한 정보가 인쇄되어 포장박스에 부착되는 바코드라벨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바코드인쇄부(700)는 포장작업이 완료된 후 물품스캐너(310)에 의해 감지된 물품에 대응하는 바코드를 출력하며, 자동으로 바코드를 출력하거나 작업자에 의한 스위칭을 통해 수동으로 바코드를 출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물품스캐너(310), 안내램프(320), 테이프 공급부(400), 포장재 공급부(500), 안내모니터부(600) 및 바코드인쇄부(7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커넥터(800)를 매개로 제어부(900)에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커넥터(800)는 지그비(Zigbee), 저에너지블루투스(BLE), 블루투스(Bluetooth) 및 와이파이(Wif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00)는 포장작업을 위한 소프트웨어와, 물품의 종류, 포장상자의 크기, 물품의 포장방법, 박스테이프, 포장재 등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각 구성요소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박스 안내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이젝터(330)의 구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박스 이젝터(330)는 전술한 안내램프(320)와 함께 연동하면서 박스수납대(200)의 구획공간(210)(220)(230)에 수납된 포장박스들 중 하나를 박스수납대(200)의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즉, 박스 이젝터(330)는 박스수납대(200)의 구획공간(210)(220)(230) 각각에 구비되어 물품스캐너(310)에 의해 판별된 포장박스를 박스수납대(200)의 바깥쪽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작업자가 해당 포장박스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박스 이젝터(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밀착부재(340) 및 박스가압부재(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박스밀착부재(340)는 포장박스들을 박스수납대(200)의 구획공간을 이루는 양측벽 중 한 쪽으로 밀착시키는 것으로, 구획공간의 폭 방향의 양측벽 중 일측벽에 구비되는 밀착판(341) 및 스프링(342)으로 구성되어 포장박스들을 타측벽을 향해 밀착시킨다.
즉, 밀착판(341)은 포장박스들에 대면한 상태로 스프링(342)의 탄성력을 통해 포장박스들을 가압하여 밀착시킨다.
상기 박스가압부재(350)는 밀착판(341)에 의해 구획공간의 한 쪽으로 밀착된 포장박스들 중 하나를 구획공간의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는 것으로, 구획공간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길이가 신축하면서 직선운동하는 가압실린더(351)로 구성될 수 있다.
가압실린더(351)는 구획공간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로드(352)의 선단부가 포장박스들 중 하나에 대면하며, 물품스캐너(3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압이나 또는 공압으로 작동하여 로드(352)의 길이를 신장시키면서 하나의 포장박스를 구획공간의 바깥쪽으로 돌출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 가이드 장치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물품에 대한 주문이 완료되면, 컨베이어(1)는 포장대상 물품을 작업대본체(100)를 향해 이송한다.
물품스캐너(310)는 이송되는 물품을 스캔하여 종류나 크기를 감지하고, 포장에 필요한 크기를 갖는 포장박스를 판별하여 판별된 포장박스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함으로써, 해당 포장박스가 수납된 박스수납대(200) 구획공간의 안내램프(320)를 발광시킨다.
여기서, 박스수납대(200)의 구획공간 각각에 박스 이젝터(330)가 구비된 경우에는 해당 구획공간의 안내램프(320)의 발광과 함께 해당 구획공간의 포장박스들 중 하나가 박스가압부재(350)의 작동에 의해 구획공간의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작업자는 해당 구획공간의 포장박스를 꺼내서 포장박스의 하단부를 조립하고, 테이프 하우징(410)의 작동스위치(412)를 터치하여 인출롤러를 작동시킨다.
인출롤러는 물품스캐너(310)에서 판별된 포장박스에 대응하는 길이로 박스테이프를 인출구(411)로 인출하고, 커터는 인출된 박스테이프를 절단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한다.
작업자는 인출된 박스테이프로 포장박스의 하단부를 테이핑한 후, 물품을 포장상자에 투입하여 포장한다.
이때, 안내모니터부(600)는 물품스캐너(310)에서 감지된 물품에 대한 포장방법을 출력한다.
작업자는 안내모니터부(600)를 확인하면서 포장재 하우징(510)의 작동스위치(512)를 터치하여 포장재 인출롤러를 작동시킨다.
포장재 인출롤러는 물품스캐너(310)에서 감지된 물품의 완충에 필요한 길이로 포장재를 인출구(511)로 인출하고, 커터는 인출된 포장재를 절단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안내모니터부(600)를 확인하면서 물품을 포장재와 함께 포장박스에 포장한 후, 다시 테이프 하우징(410)의 작동스위치(412)를 터치하여 박스테이프를 인출시키고, 인출된 박스테이프로 포장박스의 상단부를 테이핑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바코드인쇄부(700)에서 출력되는 바코드라벨을 포장상자에 붙여서 포장을 완료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 가이드 장치(10)는, 박스수납대(200)에 구비되는 물품스캐너(310)에 의해 포장대상 물품의 종류가 미리 감지되면서 감지된 물품에 대응하는 포장박스가 판별되어 작업자에게 안내되므로, 작업자가 물품과 포장박스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도 물품에 대응하는 포장박스를 신속하게 선택함으로써 포장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포장 가이드 장치
100 : 작업대본체
110 : 캐비닛
200 : 박스수납대
210,220,230 : 구획공간
300 : 박스안내부
310 : 물품스캐너
320 : 안내램프
330 : 박스 이젝터
340 : 박스밀착부재
350 : 박스가압부재
400 : 테이프 공급부
410 : 테이프 하우징
500 : 포장재 공급부
510 : 포장재 하우징
600 : 안내모니터부
700 : 바코드인쇄부
800 : 통신커넥터
1 : 컨베이어

Claims (10)

  1.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물품의 포장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대본체;
    상기 작업대 본체에 인접설치되어 복수의 구획공간을 이루며, 각각의 구획공간에 서로 다른 크기의 포장박스들이 크기 별로 분류된 상태로 수납되는 박스수납대; 및
    상기 컨베이어로 이송된 물품의 종류를 감지하고, 상기 박스수납대에 수납된 포장박스 중 감지된 물품에 대응하는 크기의 포장박스를 안내하는 박스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 안내부는,
    상기 작업대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물품을 스캔하여 물품의 종류를 감지하면서 감지된 물품에 대응되는 포장박스를 판별하고, 판별된 포장박스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물품스캐너;
    상기 박스수납대의 구획공간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물품스캐너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발광하면서 상기 물품스캐너에 의해 판별된 포장박스가 수납된 구획공간을 안내하는 안내램프; 및
    상기 작업대 본체에 구비되어 물품의 종류에 따른 포장법을 저장하고, 저장된 포장법 중 상기 물품스캐너에 의해 감지된 물품에 대응하는 포장방법을 출력하는 안내 모니터부를 포함하는 포장 가이드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안내부는,
    상기 박스수납대의 구획공간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물품스캐너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안내램프와 함께 연동하고,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구획공간에 수납된 포장박스 중 하나를 상기 박스수납대의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는 박스 이젝터를 더 포함하는 포장 가이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이젝터는,
    상기 박스수납대의 구획공간의 폭방향의 양측벽 중 일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포장박스들을 상기 구획공간의 타측벽을 향해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박스밀착부재; 및
    상기 구획공간의 길이방향의 양단 중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공간의 선단부를 향해 직선운동하고, 상기 포장박스들 중 하나의 포장박스 후단부에 대면한 상태로 상기 물품스캐너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하나의 포장박스를 가압하여 상기 구획공간의 선단부를 향해 돌출시키는 박스가압부재를 포함하는 포장 가이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가이드 장치는,
    상기 작업대 본체에 구비되어 박스테이프가 인출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박스 안내부를 구성하는 상기 물품스캐너의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작동하면서 상기 물품스캐너에 의해 판별된 포장박스에 대응하는 길이로 상기 박스테이프를 인출하는 테이프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포장 가이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가이드 장치는,
    상기 작업대 본체에 구비되어 물품을 보호하기 위한 포장재가 인출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물품스캐너의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작동하면서 상기 물품스캐너에 의해 판별된 포장박스에 대응하는 길이로 상기 포장재를 인출하는 포장재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포장 가이드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가이드 장치는,
    상기 작업대 본체에 구비되어 물품의 종류에 따른 상품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품정보 중 상기 물품스캐너에 의해 감지된 물품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인쇄하여 제공하는 바코드인쇄부를 더 포함하는 포장 가이드 장치.
  9.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물품의 포장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대본체;
    상기 작업대 본체에 인접설치되어 복수의 구획공간을 이루며, 각각의 구획공간에 서로 다른 크기의 포장박스들이 크기 별로 분류된 상태로 수납되는 박스수납대;
    상기 작업대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물품을 스캔하여 물품의 종류를 감지하면서 감지된 물품에 대응되는 포장박스를 판별하고, 판별된 포장박스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물품스캐너;
    상기 박스수납대의 구획공간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물품스캐너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발광하면서 상기 물품스캐너에 의해 판별된 포장박스가 수납된 구획공간을 안내하는 안내램프;
    상기 작업대 본체에 구비되어 박스테이프가 인출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물품스캐너의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작동하면서 상기 물품스캐너에 의해 판별된 포장박스에 대응하는 길이로 상기 박스테이프를 인출하는 테이프 공급부;
    상기 작업대 본체에 구비되어 물품을 보호하기 위한 포장재가 인출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물품스캐너의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작동하면서 상기 물품스캐너에 의해 판별된 포장박스에 대응하는 길이로 상기 포장재를 인출하는 포장재 공급부;
    상기 작업대 본체에 구비되어 물품의 종류에 따른 포장법을 저장하고, 저장된 포장법 중 상기 물품스캐너에 의해 감지된 물품에 대응하는 포장방법을 출력하는 안내 모니터부; 및
    상기 작업대 본체에 구비되어 물품의 종류에 따른 상품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품정보 중 상기 물품스캐너에 의해 감지된 물품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인쇄하여 제공하는 바코드인쇄부를 포함하는 포장 가이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수납대의 구획공간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물품스캐너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안내램프와 함께 연동하고,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구획공간에 수납된 포장박스 중 하나를 상기 박스수납대의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는 박스 이젝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박스 이젝터는,
    상기 박스수납대의 구획공간의 폭방향의 양측벽 중 일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포장박스들을 상기 구획공간의 타측벽을 향해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박스밀착부재; 및
    상기 구획공간의 길이방향의 양단 중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공간의 선단부를 향해 직선운동하고, 상기 포장박스들 중 하나의 포장박스 후단부에 대면한 상태로 상기 물품스캐너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하나의 포장박스를 가압하여 상기 구획공간의 선단부를 향해 돌출시키는 박스가압부재를 포함하는 포장 가이드 장치.
KR1020170099170A 2017-08-04 2017-08-04 포장 가이드 장치 KR101978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170A KR101978369B1 (ko) 2017-08-04 2017-08-04 포장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170A KR101978369B1 (ko) 2017-08-04 2017-08-04 포장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967A KR20190014967A (ko) 2019-02-13
KR101978369B1 true KR101978369B1 (ko) 2019-05-14

Family

ID=65366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170A KR101978369B1 (ko) 2017-08-04 2017-08-04 포장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3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283B1 (ko) * 2020-06-11 2021-01-11 문필 박스 빈 공간 자동산출을 이용한 포장재 투입량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01954B1 (ko) * 2022-06-10 2023-02-21 주식회사 테크타카 포장 작업의 대상이 되는 상품을 검수하기 위한 상품 검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90451A (zh) * 2022-03-11 2022-06-07 邓辉明 一种跨境电商的包裹分拣打包系统及其设备
CN114834688B (zh) * 2022-05-26 2023-12-01 西安自平机械自动化有限公司 一种全自动包装机中的转位供袋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10418A1 (en) * 2012-09-18 2015-07-30 Ranpak Corp. Packaging system with adjustable container closera
CN206107703U (zh) * 2016-09-09 2017-04-19 长春师范大学 商品智能化包装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6363B2 (ja) * 1994-03-17 2004-07-28 株式会社イシダ 包装装置及び包装値付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10418A1 (en) * 2012-09-18 2015-07-30 Ranpak Corp. Packaging system with adjustable container closera
CN206107703U (zh) * 2016-09-09 2017-04-19 长春师范大学 商品智能化包装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283B1 (ko) * 2020-06-11 2021-01-11 문필 박스 빈 공간 자동산출을 이용한 포장재 투입량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01954B1 (ko) * 2022-06-10 2023-02-21 주식회사 테크타카 포장 작업의 대상이 되는 상품을 검수하기 위한 상품 검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3239079A1 (ko) * 2022-06-10 2023-12-14 주식회사 테크타카 포장 작업의 대상이 되는 상품을 검수하기 위한 상품 검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967A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369B1 (ko) 포장 가이드 장치
US112034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packaging of varying shipment sets
RU2009143525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распределения
EP3157820B1 (en) Bagging machine
JP6235497B2 (ja) 包装装置
US10293962B2 (en) Method and device for filling packages with a padding material in bulk material form
CN210222905U (zh) 一种货盒及自动售卖装置
US9962989B2 (en) Robotic system for placing printed material into boxes
JP3193728U (ja) ストレッチ包装機
JP2016532608A (ja) 選別項目としての包装材
US10940965B2 (en)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items for shipment
KR19990076881A (ko) 자동 물품 포장 기계
EP0308085A1 (en) Package wrapping method and machine
WO2019055188A1 (en) TRACKING OBJECTS IN PACKAGING SYSTEMS
US20180105306A1 (en) Machine and process for packaging unique items
US4825626A (en) Package wrapping and weighing system
JP2017141043A (ja) ラベル貼付装置
KR100912457B1 (ko) 무게측정이 가능한 진공포장장치
CN211685915U (zh) 一种自动包装线一致性检测装置
KR20090124591A (ko) 자동 프린팅 수단을 갖는 카톤 테이핑 장치 및 이를 이용한카톤 자동 프린팅 공정
EP3272540A1 (en) Handheld printer
KR20180059015A (ko) 파우치 자동포장기
JP6225484B2 (ja) 包装装置
JP5739190B2 (ja) ストレッチ包装装置
JP2019156410A (ja) 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