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461B1 - 교통 신호봉 - Google Patents

교통 신호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461B1
KR101977461B1 KR1020170041524A KR20170041524A KR101977461B1 KR 101977461 B1 KR101977461 B1 KR 101977461B1 KR 1020170041524 A KR1020170041524 A KR 1020170041524A KR 20170041524 A KR20170041524 A KR 20170041524A KR 101977461 B1 KR101977461 B1 KR 101977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trol
rod
setting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2177A (ko
Inventor
강향주
Original Assignee
강향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향주 filed Critical 강향주
Priority to KR1020170041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46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2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 신호봉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작업자의 수신호 없이도, 주행('O') 또는 정차('X') 신호를 엘이디로 각각 표시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수신호 없이 'O', 'X' 표시만을 스위치로 제어하는 것만으로 운전자들은 교통표시를 정확하게 인식하여 차량의 주행 또는 정차를 제어할 수 있어 교통정리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 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모컨을 사용하여 신호들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어 한 명의 작업자가 다수개의 신호봉의 작동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신호봉을 필요한 위치에 배치시킨 후 리모컨을 통해 복잡한 도로상의 교통상황을 용이하게 정리할 수 있어 교통정리에 소요되는 인건비도 크게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내부에 내장된 전원부와, 외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스위치부를 구비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부에 일축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와; 판상으로서, 상기 연장부의 외측단부에 장착되고, 일면 상에 진행을 지시하는 'O', 타면 상에 정지를 지시하는 'X'가 발광체에 의해 표시된 표시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통 신호봉{A traffic signal bar}
본 발명은 엘이디(LED) 교통 신호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공사 또는 각종 도로의 주변시설물과 관련된 각종 공사 등으로 인해 현장과 근접한 도로 상에 교통상황을 정리해야 할 때 해당 운전자들이 주행/정지 신호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고, 삼거리 이상의 교차로에서는 최소한의 인원만으로도 교통상황을 안정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교통 신호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공사 또는 각종 도로의 주변시설물과 관련된 각종 공사 등으로 인해 해당 도로 상의 교통상황을 정리하여야 할 때에는 최소 2인 이상의 작업자가 도로상의 교정정리구간의 양측 끝에서 차량의 주행을 통제하면서 교통상황을 정리하는데, 이때 작업자들은 운전자들의 시선을 집중시키기 위해 손에 교통신호봉을 들고, 손짓으로 차량의 주행/정차를 통제한다.
이러한, 종래의 교통 신호봉은 막대형상의 빨간색의 반투명관 내에 전구를 냉장시켜 빨간색광을 갖도록 한 것이었으나, 최근에는 엘이디(LED)를 사용하여 다양한 색광을 점멸하는 방식의 엘이디 교통 신호봉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교통 신호봉은 단순한 막대형상으로서, 작업자가 손에 들고, 차량의 주행 또는 정차명령을 수신호로 표시하게 됨으로 작업자 마다 주행 또는 정차명령에 대한 수신호에 차이가 있어 운전자들이 주행 또는 정차명령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 교통상황이 더 혼잡해지거나, 수신호의 오인으로 인해 교통사고도 종종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교통 신호봉을 사용한 교통정리는 적어도 2명 이상의 작업자가 투입되어야 함으로, 교통정리에 소요되는 인건비가 과다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작업자의 수신호 없이도, 주행('O') 또는 정차('X') 신호를 엘이디로 각각 표시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수신호 없이 'O', 'X' 표시만을 스위치로 제어하는 것만으로 운전자들은 교통표시를 정확하게 인식하여 차량의 주행 또는 정차를 제어할 수 있어 교통정리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 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모컨을 사용하여 신호들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어 한 명의 작업자가 다수개의 신호봉의 작동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신호봉을 필요한 위치에 배치시킨 후 리모컨을 통해 복잡한 도로상의 교통상황을 용이하게 정리할 수 있어 교통정리에 소요되는 인건비도 크게 낮출 수 있는 교통 신호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부 및 스위치부가 내장된 손잡이부와, 막대형상으로서, 내측 또는 외측에 전구 또는 엘이디 발광체를 갖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 일축으로 형성되는 표시부로 구성되고, 교통정리 시, 손으로 잡아 수신호를 하거나 또는 도로 상의 필요 위치에 배치시켜 차량 및 보행자의 통행을 안내하는데 사용되는 교통 신호봉에 있어서, 상기 교통 신호봉은 내부에 내장된 전원부와, 외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스위치부를 구비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부에 일축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와; 판상으로서, 상기 연장부의 외측단부에 장착되고, 일면 상에 진행을 지시하는 'O', 타면 상에 정지를 지시하는 'X'가 발광체에 의해 표시된 표시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봉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봉은 진행 및 정지신호를 작업자의 수신호에 의존하지 않고, 차량 운전자들에게 'O', 'X'로 정확하게 시각적으로 인식하능하도록 표시함으로서, 교통정리를 실시하는 작업자의 의사를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어 신호오인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다수개의 신호봉을 한 명의 작업자가 원격으로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교차로 등과 같이 교통정리를 위한 작업자가 다수 필요한 경우에도 다수개의 교통 신호봉을 필요 위치에 각각 배치시키고, 각 위치에 배치된 교통 신호봉이 작업자의 의사에 따라 정확하게 '주행' 및 '정차' 신호를 표시하도록 하여 한 명의 작업자가 복잡한 교차로 등의 교통정리작업을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인건비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봉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봉의 구성 및 조립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봉 및 신호봉에 조립되는 받침봉에 포함되는 전기적인 구성요소 및 그 구성요소 간의 유기적인 상관관계를 예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봉의 리모콘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봉의 다수 개를 원격제어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과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능이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봉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봉(10)은 손잡이부(11)와, 연장부(12)와, 표시부(13)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1)는 내부에 내장된 전원부(11a)와, 외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스위치부(11b)를 구비한다.
상기 연장부(12)는 일정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서, 상기 손잡이부(11)의 상단부에 일축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표시판(13)은 판상으로서, 상기 연장부(12)의 외측단부에 장착되고, 일면 상에 진행을 자시하는 'O', 타면 상에 정지를 지시하는 'X'가 발광체(14)에 의해 표시된다. 상기 발광체(14)로는 정등되어 'O', 'X' 표시하는 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것을 사용하여도 좋으나, 바람직하게는 고휘도 엘이디(LED)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표시판(13)은 양면부에 모도 'X', 'O' 표시를 갖고,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선택적으로 'X' 또는 'O'표시에 해당되는 발광체(14) 만을 점등시켜 표시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봉(10)은 접속공(11c)과, 받침봉(20)과, 지지블록(30)과 리모콘(remote control)(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접속공(11c)은 상기 표시판(13)의 발광체(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손잡이부(11)의 하면부에 구비된다.
상기 받침봉(20)은 일정길이를 갖는 봉으로서, 조립부(21)와, 제어신호수신부(22)와, 제어부(23)을 구비하고, 상기 교통 신호봉(10)을 일정 높이로 지지한다.
상기 조립부(21)는 받침봉(20)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조립공(21b)을 갖는다.
상기 조립공(21b)은 상기 교통 신호봉(10)의 손잡이부(11)아 착탈가능하게 끼움조립되고, 저면 중앙부에 수직으로 장착된 접속구(21a)를 구비한다. 상기 접속구(21a)는 접속핀으로서, 상기 조립공(21b)에 손잡이부(11)를 끼움조립하였을 때 상기 손잡이부(11)의 하면 중앙에 형성된 접속공(11c)과 통전돠되도록 끼움접속되고, 상기 손잡이부(11)를 조립공(21b)으로 부터 분리하였을 때 접속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제어신호수신부(22)는 상기 받침봉(2)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무선으로 발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신호를 상기 제어부(23)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23)는 상기 받침봉(20)의 내측에 내장되고, 상기 접속구(21a) 및 제어신호수신부(22)와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신호수신부(22)로 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표시판(13)의 발광체(14)의 점등 및 소등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지지블록(30)은 상면에 상기 받침봉(20)의 하단부가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공(31)을 갖고, 상기 받침봉(20)을 수직상태로 고정시킨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리모컨(40)은 상기 받침봉(20)의 제어부(23)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3)로 제어신호를 발신하여 교통 신호봉(10)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제어신호발신부(41)와, 제어명령입력부(42)와, 저장부(43)와, 제어부(44)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신호발신부(41)는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발신한다.
상기 저장부(43)는 다수개의 교통 신호봉(10)의 사용 시 각 교통 신호봉(10)의 표시상태의 조합을 설정한 설정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44)는 상기 제어신호발신부(41), 제어명령입력부(42) 및 저장부(43)와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명령입력부(42)를 통해 입력되는 직접제어명령에 대한 제어신호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발신부(41)를 통해 무선으로 발신거나 또는 상기 제어명령입력부(42)를 통해 입력된 설정데이터를 상기 저장부(43)에 저장하고, 설정데이터에 의한 교통 신호봉(10)에 대한 작동제어가 개시되었을 때 그 설정데이터에 따른 제어신호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발신부(41)를 통해 무선으로 발신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교통 신호봉(10)의 작동상태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명령입력부(42)는 하나 이상의 교통 신호봉(10)의 작동에 대한 제어명령 및 조합설정명령을 입력하며, 주신호봉설정버튼(42a)과, 다수개의 부신호봉설정버튼(42b)과, 제어방식선택버튼(42c)과, 작동제어버튼(42d)과, 2개의 조합설정버튼(42e)과, 확인버튼(42f)과, 해제버튼(42g)과, 긴급버튼(42h)를 구비한다.
상기 주신호봉설정버튼(42a)은 다수개의 교통 신호봉 중 기준이되는 하나의 교통 신호봉(10)을 설정한다.
상기 다수개의 부신호봉설정버튼(42b)은 기준 교통 신호봉 이외의 나머지 다수개의 교통 신호봉(10)을 각기 설정한다.
상기 제어방식선택버튼(42c)은 조합제어방식 개별제어방식 중 하나의 방식을 선택한다.
상기 작동제어버튼(42d)는 상기 주신호봉 및 다수개의 부신호봉설정 시, 주신호봉의 작동상태에 대한 각 부신호봉의 상대적 작동상태의 설정, 주신호봉의 작동 및 각 부신호봉의 개별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2개의 조합설정버튼(42e)은 주신호봉의 작동상태와 일치 또는 불일치 작동대상 신호봉을 선택한다.
상기 확인버튼(42f)는 설정된 제어상태를 저장한다.
상기 해제버튼(42g)은 설정된 제어상태를 해제한다.
상기 긴급버튼(42h)은 긴급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모든 신호봉의 작동상태를 정지상태로 유지시킨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리모컨(40)의 제어부(44)에는 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며, 그 제어프로그램은 주신호봉설정단계(S100)와, 부신호봉설정단계(S110)와, 제어방식선택단계(S120)와, 개별 신호봉제어단계(S130)와, 제1조합설정단계(S140)와, 제2조합설정단계(S150)와, 설정완료단계(S160)와, 원격제어단계(S170)와, 긴급 인터럽트신호 확인단계(S180)와, 긴급상황단계(S190)와, 긴급단계해제신호확인단계(S200)와, 긴급단계해제단계(S210)와, 초기화신호확인단계(S220)와, 초기화단계(S230)로 구성된다.
상기 주신호봉설정단계(S100)는 다수개의 교통 신호봉(10) 중 기준 될 교통 신호봉을 주신호봉으로 설정한다.
상기 부신호봉설정단계(S110)는 주신호봉으로 설정된 교통 신호봉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작동는 각각의 부신호봉(교통 신호봉)에 번호(구분번호, 즉 구분신호)를 설정한다.
상기 제어방식선택단계(S120)는 조합제어방식 또는 개별제어방식을 할 것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개별 신호봉제어단계(S130)는 상기 제어방식선택단계(S120)에서, 만약 개별제어방식을 선택하였다면, 제어하기 위한 해당 신호봉을 선택한 후 선택된 신호봉의 작동상태를 제어한다.
상기 제1조합설정단계(S140)는 상기 제어방식선택단계(S120)에서, 만약 조합제어방식을 선택하였다면, 주신호봉에 대한 작동상태를 진행('O')으로 설정한 후, 주신호봉의 작동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설정할 부신호봉을 선택하여 설정한다.
상기 제2조합설정단계(S150)는 상기 제어방식선택단계(S120)에서, 만약 조합제어방식을 선택하였다면, 주신호봉에 대한 작동상태를 정지('X')으로 설정한 후, 주신호봉의 작동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설정할 부신호봉을 선택하여 설정한다.
상기 설정완료단계(S160)는 상기 제1 및 제2조합설정단계(S140)(S150)가 완료되었을 때 설정된 상태를 저장한다.
상기 원격제어단계(S170)는 상기 설정완료단계(S160)가 완료되었을 때, 각 신호봉의 작동상태를 제어한다.
상기 긴급 인터럽트신호 확인단계(S180)는 상기 원격제어단계(S170)의 실행 중 긴급 인터럽트신호(interrupt signal)가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긴급인터럽트신호가 발생되지 않았다면 상기 원격제어단계로 리턴한다.
상기 긴급상황단계(S190)는 상기 긴급 인터럽트신호 확인단계(S180)에서, 만약 긴급인터럽트신호가 발생되었다면, 주신호봉을 포함한 모든 신호봉의 작동상태를 정치('X')로 변환 및 유지시킨다.
상기 긴급단계해제신호확인단계(S200)는 상기 긴급상황단계(S190) 중에, 긴급단계해제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긴급단계해제신호가 발생되지 않았다면, 상기 원격제어단계로 리턴한다.
상기 긴급단계해제단계(S210)는 상기 긴급단계해제신호확인단계(S200)에서, 만약 긴급단계해제신호가 확인되었다면, 상기 원격제어단계(S170)로 리턴한다.
상기 초기화신호확인단계(S220)는 초기화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초기화신호가 발생되지 않았다면, 현재 실행 중인 단계로 리턴한다.
상기 초기화단계(S230)는 상기 초기화신호확인단계(S220)에서, 만약 초기화신화가 발생 되었다면, 저장된 설정데이터를 모두 삭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봉은 'O', 'X' 표시가 발광체(14)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판(13)을 구비하고 있어, 교통정리를 실행하는 작업자의 수신호가 아닌 표시판(13)의 'O', 'X' 표시로 차량의 운전자 및 보행자에 대하여 주행 및 정지신호를 명확히 함으로서, 신호오인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여러 명의 작업자가 필요한 교차로 교통정리 시, 필요한 위치에 각각 교통 신호봉을 배치시키고, 한 명의 작업자가 리모컨으로 각각의 교통 신호봉의 작동상태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어 인건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10: 교통 신호봉 11: 손잡이부
12: 연장부 13: 표시판
14: 발광체 20: 받침봉
21: 조립부 22: 제어신호수신부
23, 44: 제어부 30: 지지블록
40: 리모컨 41: 제어신호발신부
42: 제어명령입력부 43: 저장부

Claims (6)

  1. 내장된 전원부(11a)와, 외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스위치부(11b)를 구비한 손잡이부(11)와;
    상기 손잡이부(11)의 상단부에 일축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12)와;
    판상으로서, 상기 연장부(12)의 외측단부에 장착되고, 일면 상에 진행을 지시하는 'O', 타면 상에 정지를 지시하는 'X'가 발광체(14)에 의해 표시된 표시판(13)과;
    상기 발광체(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부(11)의 하면부에 구비되는 접속공(11c)과;
    저면에 상기 손잡이부(11)의 접속공(11c)과 착탈가능하게 전기적으로 끼움접속되는 접속구(21a)를 갖고, 상기 손잡이부(11)가 착탈가능하게 끼움조립되는 조립공을 갖는 조립부(21)와, 외주면에 장착되어 무선으로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수신부(22)와, 상기 접속구(21a) 및 제어신호수신부(22)와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신호수신부(22)로 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표시판(13)의 발광체(14)의 점등 및 소등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3)를 갖고, 상기 표시판(13) 및 연장부(120) 그리고 손잡이부(11)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받침봉(20)과;
    상면에 상기 받침봉(20)의 하단부가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공(31)을 갖고, 상기 받침봉(20)을 수직상태로 고정하는 지지블록(30)을 포함하는 교통 신호봉(10)이며,
    상기 받침봉(20)의 제어부(23)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3)로 제어신호를 발신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상기 교통 신호봉(10)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리모컨(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판(13)의 발광체(14)는,
    고휘도 엘이디(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봉.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40)은,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발신하는 제어신호발신부(41)와:
    하나 이상의 교통 신호봉(10)의 작동에 대한 제어명령 및 조합설정명령을 입력하는 제어명령입력부(42)와;
    다수개의 교통 신호봉(10)의 사용 시 각 교통 신호봉(10)의 표시상태의 조합을 설정한 설정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43)와;
    상기 제어신호발신부(41), 제어명령입력부(42) 및 저장부(43)와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명령입력부(42)를 통해 입력되는 직접제어명령에 대한 제어신호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발신부(41)를 통해 무선으로 발신거나 또는 상기 제어명령입력부(42)를 통해 입력된 설정데이터를 상기 저장부(43)에 저장하고, 설정데이터에 의한 교통 신호봉(10)에 대한 작동제어가 개시되었을 때 그 설정데이터에 따른 제어신호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발신부(41)를 통해 무선으로 발신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교통 신호봉(10)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입력부(42)는
    다수개의 교통 신호봉 중 기준이되는 하나의 교통 신호봉(10)을 설정하는 주신호봉설정버튼(42a)과;
    기준 교통 신호봉 이외의 나머지 다수개의 교통 신호봉(10)을 각기 설정하는 다수개의 부신호봉설정버튼(42b)과;
    조합제어방식 개별제어방식 중 하나의 방식을 선택하는 제어방식선택버튼(42c)과;
    상기 주신호봉 및 다수개의 부신호봉설정 시, 주신호봉의 작동상태에 대한 각 부신호봉의 상대적 작동상태의 설정, 주신호봉의 작동 및 각 부신호봉의 개별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제어버튼(42d)과;
    주신호봉의 작동상태와 일치 또는 불일치 작동대상 신호봉을 선택하는 2개의 조합설정버튼(42e)과;
    설정된 제어상태를 저장하는 확인버튼(42f)과;
    설정된 제어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버튼(42g)과;
    긴급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모든 신호봉의 작동상태를 정지상태로 유지시키는 긴급버튼(42h)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봉.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remote control)(40)의 제어부(44)는,
    주신호봉을 설정하는 주신호봉설정단계(S100)와;
    하나 이상의 부신호봉을 설정하는 부신호봉설정단계(S110)와;
    조합제어방식 또는 개별제어방식을 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제어방식선택단계(S120)와;
    상기 제어방식선택단계(S120)에서, 만약 개별제어방식을 선택하였다면, 제어하기 위한 해당 신호봉을 선택한 후 선택된 신호봉의 작동상태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개별 신호봉제어단계(S130)와;
    상기 제어방식선택단계(S120)에서, 만약 조합제어방식을 선택하였다면, 주신호봉에 대한 작동상태를 진행('O')으로 설정한 후, 주신호봉의 작동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설정할 부신호봉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제1조합설정단계(S140)와;
    상기 제어방식선택단계(S120)에서, 만약 조합제어방식을 선택하였다면, 주신호봉에 대한 작동상태를 정지('X')으로 설정한 후, 주신호봉의 작동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설정할 부신호봉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제2조합설정단계(S150)와;
    상기 제1 및 제2조합설정단계(S140)(S150)가 완료되었을 때 설정된 상태를 저장하는 설정완료단계(S160)와;
    상기 설정완료단계(S160)가 완료되었을 때, 각 신호봉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원격제어단계(S170)와;
    상기 원격제어단계(S170)의 실행 중 긴급 인터럽트신호(interrupt signal)가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긴급인터럽트신호가 발생되지 않았다면 상기 원격제어단계로 리턴하는 긴급 인터럽트신호 확인단계(S180)와;
    상기 긴급 인터럽트신호 확인단계(S180)에서, 만약 긴급인터럽트신호가 발생되었다면, 주신호봉을 포함한 모든 신호봉의 작동상태를 정치('X')로 변환 및 유지시키는 긴급상황단계(S190)와;
    상기 긴급상황단계(S190) 중에, 긴급단계해제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긴급단계해제신호가 발생되지 않았다면, 상기 원격제어단계로 리턴하는 긴급단계해제신호확인단계(S200)와;
    상기 긴급단계해제신호확인단계(S200)에서, 만약 긴급단계해제신호가 확인되었다면, 상기 원격제어단계(S170)로 리턴하는 긴급단계해제단계(S210)와;
    초기화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초기화신호가 발생되지 않았다면, 현재 실행 중인 단계로 리턴하는 초기화신호확인단계(S220)와;
    상기 초기화신호확인단계(S220)에서, 만약 초기화신호가 발생 되었다면, 저장된 설정데이터를 모두 삭제하는 초기화단계(S230)로 구성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봉.
KR1020170041524A 2017-03-31 2017-03-31 교통 신호봉 KR101977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524A KR101977461B1 (ko) 2017-03-31 2017-03-31 교통 신호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524A KR101977461B1 (ko) 2017-03-31 2017-03-31 교통 신호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177A KR20180112177A (ko) 2018-10-12
KR101977461B1 true KR101977461B1 (ko) 2019-09-11

Family

ID=63876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524A KR101977461B1 (ko) 2017-03-31 2017-03-31 교통 신호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4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478B1 (ko) * 2020-06-12 2021-11-29 한국전력공사 임시 신호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6413A (ja) * 2003-03-25 2004-10-21 Takuro Terui 携帯信号灯
JP2014235999A (ja) 2013-06-04 2014-12-15 小澤 清 携帯型指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079B1 (ko) * 2004-01-30 2006-08-22 권재규 다기능 교통신호봉
KR20140112805A (ko) * 2013-03-14 2014-09-24 김성수 무선 통신 제어로 동작하는 발광 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6413A (ja) * 2003-03-25 2004-10-21 Takuro Terui 携帯信号灯
JP2014235999A (ja) 2013-06-04 2014-12-15 小澤 清 携帯型指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177A (ko) 2018-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9026B2 (ja) スイッチ装置
KR101977461B1 (ko) 교통 신호봉
WO2016047061A1 (ja) 情報提示装置
US20120001747A1 (en) Electronic drive selector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JP5968389B2 (ja) ボタン選択トレース光インジケータ
KR100779862B1 (ko) 주차장용 주차유도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유도표시장치
KR200477751Y1 (ko) 차량의 후방 표시등 장치
JP6151118B2 (ja) 発車案内システムおよび発車案内発光装置
CN200993821Y (zh) 一种多功能交通指挥棒
WO2012176290A1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呼び登録装置
KR102241375B1 (ko) 무선 연동형 경광봉
KR200461298Y1 (ko) 도로 표시등
KR100766487B1 (ko) 교통신호 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인식하고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0615079B1 (ko) 다기능 교통신호봉
US11964612B2 (en) Warning light controller
KR100824585B1 (ko) 보드 상에 조립되는 블록을 가지는 교구
CN216154660U (zh) 指示系统及拣货系统
CN214425078U (zh) 换挡球头及换挡装置
KR102547398B1 (ko) 바닥 신호등의 자가진단 수행 방법
KR101711707B1 (ko) 교차로 횡단정보 제공 장치
KR20240017522A (ko) 보행자 작동 신호 제어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 신호 제어기
KR20190100574A (ko) 방향 표시용 러버콘
KR102184185B1 (ko) 메뉴 주문 장치
KR102017388B1 (ko)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보행자용 신호등과 이를 이용한 보행 방향 표시 방법
JP3928867B2 (ja) 車両誘導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