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391B1 -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391B1
KR101977391B1 KR1020180062607A KR20180062607A KR101977391B1 KR 101977391 B1 KR101977391 B1 KR 101977391B1 KR 1020180062607 A KR1020180062607 A KR 1020180062607A KR 20180062607 A KR20180062607 A KR 20180062607A KR 101977391 B1 KR101977391 B1 KR 101977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ehicle
image
imaging camera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욱
정동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80062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3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방법은 열영상 카메라가 차량 및 사람에 대한 촬상을 수행하여 촬상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영상 처리 장치가 촬상 영상에 대해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검지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검지 처리 장치가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신호 제어기를 제어하여 교통 신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traffic signal based on thermal image}
본 발명은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명의 발달과 인구의 증가 및 산업 구조가 급속히 팽창하고 사회 구조가 나날이 복잡해져 가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교통 수요의 증가에 따라 급속히 늘어가는 차량 공급은 교통 혼잡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상황은 더욱 심각해져가고 있다. hl그러나 한정된 도로 상황으로 인해 효율적인 교통 통제 시스템의 구축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도로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함은 물론 운전자에게 운행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고의 방지 및 교통 지연을 방지하기 위해 교통 신호 제어기(Local Controller, LC)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교통 신호 제어기는 실시간 온라인 원격 통신을 통해 교통 관제 정보 센터와 연결되어 있으며, 현장의 교통 정보 데이터를 차량 검지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교통 정보 데이터를 교통 관제 정보 센터로 전송하는 기능과 현장 교통 상황을 제어하는 역할과 임무를 수행한다. 교통 관제 정보 센터의 시각 보정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것을 비롯하여 교통 흐름의 현장 운영 시간대별 데이터를 받아 이를 통한 교통 흐름에 맞는 신호 운영을 하는 실질적으로 현장 운영 교차로에서의 주요 기능과 역할을 전담하여 수행한다고 할수 있다.
10-2007-0106935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방법은 열영상 카메라가 차량 및 사람에 대한 촬상을 수행하여 촬상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영상 처리 장치가 상기 촬상 영상에 대해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검지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검지 처리 장치가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신호 제어기를 제어하여 교통 신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호 제어기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좌회선 신호 차례에서 좌회전 차량이 없을 경우 좌회전 신호를 생략하여 교통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제어기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좌회선 신호 차례에서 좌회전 차량이 존재할 경우, 상기 좌회전 신호가 신호 제어기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제어기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보행 신호 차례에서 보행자가 없을 경우, 보행 신호를 생략하고 상기 보행 신호의 다음 신호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제어기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보행 신호 차례에서 상기 보행자가 존재할 경우, 상기 보행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은 차량 및 사람에 대한 촬상을 수행하여 촬상 영상을 생성하도록 구현되는 열영상 카메라, 상기 촬상 영상에 대해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검지 처리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현되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 및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신호 제어기를 제어하여 교통 신호를 제어하도록 구현되는 검지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호 제어기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좌회선 신호 차례에서 좌회전 차량이 없을 경우 좌회전 신호를 생략하고 상기 좌회전 신호의 다음 신호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제어기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좌회선 신호 차례에서 좌회전 차량이 존재할 경우, 상기 좌회전 신호가 신호 제어기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제어기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보행 신호 차례에서 보행자가 없을 경우, 보행 신호를 생략하고 상기 보행 신호의 다음 신호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제어기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보행 신호 차례에서 상기 보행자가 존재할 경우, 상기 보행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불필요한 정지 신호 및 좌회전 차량의 주기적인 신호로 인한 교통 흐름 방해를 감소시킬 수 있고, 신호 위반 및 교통사고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응식 신호 전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응식 신호 전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신호 체계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좌회전 신호 차량의 불필요한 대기 시간 및 지연으로 인한 CO2 배출, 교통 흐름 방해, 신호 위반을 보완하는 시스템으로서 열영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열영상 추적 및 검지를 하여 기존 신호 제어기와 연동하여 신호 체계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다.
현재 루프 코일 방식 레이더 방식 등 센서 방식을 채용하여 일부 운용을 해왔지만 에러율로 인한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영상 검지 방식도 일반 카메라로 처리를 하면 빛, 연기, 안개 등으로 인한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는 이러한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보안하여 완벽한 시스템으로 구축하여 신호 체계 시스템을 획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기존의 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방법은 일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검지 후 접점 등을 신호 제어기에 신호를 보내 제어하는데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을 이용하여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NTSC 방식의 카메라는 현재 단종되어지는 제품으로 대부분의 카메라들의 성능이 좋지 않다. 빛과 안개 및 연기에 영향을 많이 받고 타사의 제어 신호기와 연동이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열영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교차로 내 좌회전 차량의 불필요한 신호 대기 및 불필요한 신호 주기를 제거하여 운용하는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보행자 시스템과 연계되어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제어하여 주는 시스템으로 좌회전 차량 및 보행자의 유무를 영상 검지 방식으로 또는 센서류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은 열영상 카메라(100), 전원 제어 장치(110), 영상 처리 장치(120), 검지 처리 장치(130), 신호 제어기(140)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열영상 카메라(100)는 차량 및 사람과 같은 객체에 대한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열영상 카메라(100)는 각 차선에서 삼거리나 사거리 등의 교차로로 진입하는 차량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교차로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교차로로 진입하는 차량의 영상 분석을 통해 해당 차량의 진행 방향이 예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어떤 차선에 있는지와 방향지시등의 방향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차량의 진행 방향이 예측될 수 있다.
또한 열영상 카메라(100)는 후술할 도 5 및 도 6에서처럼 각 차선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일정 거리 마다 배치된 열영상 카메라(10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각 차량이 어떤 차선을 통과하고 있으며 직진할 것인지 아니면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려고 하는 것인지가 예측될 수 있다.
전원 제어 장치(110)는 열영상 카메라(100) 및 영상 처리 장치(120)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20)는 열영상 카메라(100)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20)는 차량 및 사람이 객체로서 탐지된 경우, 제어 신호를 검지 처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검지 처리 장치(130)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제어기(140)에 신호를 주어 불필요한 정지 신호 및 좌회전 신호를 통과(pass)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자 또는 좌회전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정지 신호 및 좌회전 신호없이 직진 차량을 통과시킬 수 있다. 반대로 검지 처리 장치(130)는 보행자 및 좌회전 차량이 검지된 경우 신호를 주어 정지 신호 및 좌회전 신호가 신호 제어기(140)에 의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검지 처리 장치(130)는 차량의 통행량, 대기 차량의 수, 보행자의 수에 따라 신호를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하고 있는 좌회전 차량이 기준차량수 이상이어서 좌회전 차선에 다수의 차량이 대기하고 있는 경우 좌회전 신호가 더 길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좌회전 차량이 기준차량수보다 작은 경우 좌회전 신호가 짧아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직진 차량의 수가 기준통행량보다 많아 직진 차선이 밀리는 경우, 평상시보다 직진 신호가 더 길어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보행자가 많거나 보행자가 차도를 통과하는 시간이 긴 경우 평상시보다 보행신호가 더 길어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차량 또는 보행자의 존재 여부 및 그 통행수량을 판단하고 교통 신호 체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기반으로 불필요한 정지 신호 및 좌회전 차량의 주기적인 신호로 인한 교통 흐름 방해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키고, 자동 시스템으로 인한 신호 위반 및 교통 사고를 절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불필요한 주행 차량의 신호 대기를 감소시키고, 좌회전이 필요한 차량에게 좌회전 신호를 반영시키고, 차량의 통행량에 따라 신호의 주기를 가변함으로써 차량의 사고를 감소시켜 차량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응식 신호 전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실시간 도로 정보를 반영하여 신호를 조절하는 감응식 신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열 영상 검지기를 기반으로 차량 또는 보행자를 검지하여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구제적으로 좌회선 신호 차례에서 좌회전 차량이 없을 경우 좌회전 신호를 생략하고 다음 신호로 변경시킬 수 있다.
반대로 좌회전 차량이 있을 경우, 좌회전 신호를 주고 더 이상의 대기 차량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다음 신호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통과 차량 및 보행자의 수를 인지하여 신호의 주기를 가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응식 신호 전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실시간 도로 정보를 반영하여 신호를 조절하는 감응식 신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평상시에 주도로에서 좌회전 차량 및 부도로에서 나오는 좌회전 차량이 적으므로 감응식 신호 전략을 통해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보행자 건널목이 없을 경우에는, 주도로와 부도로를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좌회전 차량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좌회전 차량이 해당 좌회전 차선에서 일정 시간 이상 머무르거나 또는 일정 대수 이상 존재할 때 좌회전하라는 신호를 줌으로써 신호 주기를 제어한다.
보행자 건널목이 있는 경우에는 주도로와 부도로를 촬영한 영상 분석뿐만 아니라 해당 건널목에 진입하는 차량이나 사람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움직임이나 물체 근접 감지, 차도나 인도 바닥에 매설된 센서를 통해 차량이나 사람의 접근을 감지) 또는 사람이 건널목 횡단보도를 건널 때 누를 수 있는 통행버튼의 신호를 함께 판단하여 신호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카메라가 두 방향으로만 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당연히 3 방향의 영상을 모두 촬영하고 이를 분석하여 감응식으로 직진 신호와 좌회전 신호의 신호 주기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영상 분석을 통한 신호 제어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어느 하나의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촬영 범위를 통과하는 차량의 속도, 통과 차량의 대수, 신호 정지하고 있는 경우 정지 시간, 방향지시등 인식 또는 좌회전 차량 대기로 인한 좌회전 여부, 및 좌회전 대기 차량의 대수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결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다수의 카메라나 열영상 검지기를 통해서도 상기 결과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하나의 열영상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해당 방향 도로에서의 상기 결과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정확한 신호 제어를 위해 미리 진입 차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신호 제어를 위해 차량이 접근하여 임계 거리 내에서 어떠한 속도로 접근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열영상 카메라(510)가 차량의 접근 영역 이전에 제1임계 영역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열영상 카메라(510)는 차량의 진입 여부를 제1 임계 영역에서 1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열영상 카메라(520)는 차량의 접근 영역 이전에 제2임계 영역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열영상 카메라(520)는 진입하는 차량을 제2 임계 영역에서 2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열영상 카메라(510)에 의해 촬상되는 제1 촬상 영역 상에 진입하는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제1 열영상 카메라(510)에 의해 촬상된 제1 영상을 기반으로 차량의 이동 방향이 우선적으로 판단될 수 있다. 차량이 직진 또는 좌회전으로 두가지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경우, 제1 열영상 카메라(510)에 의해 찰상된 제1 영상 및 차량이 이동하는 차선 정보를 기반으로 1차적으로 차량의 이동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회전 차선이 1차선이고 차량이 1차선으로 이동하는 경우, 차량을 좌회전 차량으로 결정할 수 있고, 1차선이 아닌 다른 차선 상에서 차량이 이동하는 경우, 차량을 직진 차량 또는 우회전 차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결과를 기반으로 차량이 신호를 받기 위한 신호 대기 임계 거리에 언제까지 도착할지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제1 열영상 카메라(510)에 의해 촬상되어 결정된 제1 예측 차량 이동 경로 및 제1 예측 도착 시간에 대한 정보는 신호 관리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제2 열영상 카메라(520)에 의해 촬상되는 제2 촬상 영역 상에 진입하는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제2 열영상 카메라(520)에 의해 촬상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이동 방향이 다시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열영상 카메라(520)에 의해 촬상된 제2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에 대해 예측된 제1 예측 차량 이동 경로가 변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이 직진 또는 좌회전으로 두 가지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경우, 제2 열영상 카메라(520)에 의해 촬상된 제2 영상 및 차량이 이동하는 차선 정보를 기반으로 2차적으로 차량의 이동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회전 차선이 1차선이고 차량이 1차선으로 이동하는 경우, 차량을 좌회전 차량으로 결정할 수 있고, 1차선이 아닌 다른 차선 상에서 차량이 이동하는 경우, 차량을 직진 차량 또는 우회전 차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열영상 카메라(520)에 의해 촬상된 결과를 기반으로 차량이 신호를 받기 위한 신호 대기 임계 거리에 언제까지 도착할지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제2 열영상 카메라(520)에 의해 촬상되어 결정된 제2 예측 차량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최종 차량 이동 방향을 확정하고, 차량의 제2 예측 도착 시간에 대한 정보는 신호 관리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차량 관리 시스템은 제1 예측 차량 이동 경로 및 제2 예측 차량 이동 경로, 제1 예측 도착 시간 정보, 제2 예측 도착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을 위한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신호 체계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차량의 대수가 많아지는 경우, 일반 신호 체계로 변경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열영상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기반으로 차량의 대수에 대해 판단이 수행될 수 있다.
교통 신호 제어 서버는 차량의 대수가 임계 대수보다 많아지는지 여부가 제1 열영상 카메라(610) 및 제2 열영상 카메라(620)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열영상 카메라(610)가 차량의 접근 영역 이전에 제1임계 영역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열영상 카메라(610)는 차량의 증가 여부를 제1 임계 영역에서 1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열영상 카메라(620)는 차량의 접근 영역 이전에 제2임계 영역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열영상 카메라(620)는 차량의 증가 여부를 제2 임계 영역에서 2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열영상 카메라(610)에 의해 촬상되는 제1 촬상 영역 상에 진입하는 차량의 대수는 제1 열영상 카메라(610)에 의해 촬상된 제1 영상을 기반으로 1차적으로 판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차량이 직진 또는 좌회전으로 두가지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경우, 제1 열영상 카메라(610)에 의해 찰상된 제1 영상 및 차량이 이동하는 차선 정보를 기반으로 1차적으로 차량의 이동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예측된 차량 이동 방향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의 차량의 증가 여부에 대해 판단하여 제1 차량 증가 여부 판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열영상 카메라(610)에 의해 촬상되어 결정된 제1 차량 증가 여부 판단 결과는 신호 관리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제2 열영상 카메라(620)에 의해 촬상되는 제2 촬상 영역 상에 진입하는 차량의 대수에 대하여 제2 열영상 카메라(620)에 의해 촬상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다시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열영상 카메라(620)에 의해 촬상된 제2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에 대해 예측된 제1 예측 차량 증가 여부 판단 결과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이 직진 또는 좌회전으로 두 가지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경우, 제2 열영상 카메라(620)에 의해 촬상된 제2 영상 및 차량이 이동하는 차선 정보를 기반으로 2차적으로 제2 예측 차량 증가 여부 판단 결과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회전 차선이 1차선이고 차량이 1차선으로 이동하는 경우, 차량을 좌회전 차량으로 결정할 수 있고, 1차선이 아닌 다른 차선 상에서 차량이 이동하는 경우, 차량을 직진 차량 또는 우회전 차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2 열영상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어 결정된 제2 예측 차량 증가 여부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최종 차량 증가 여부를 확정하고, 신호 관리 서버는 최종 차량 증가 여부 판단 결과를 고려하여 신호 체계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일 수 있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방법은,
    열영상 카메라가 차량 및 사람에 대한 촬상을 수행하여 촬상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영상 처리 장치가 상기 촬상 영상에 대해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검지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검지 처리 장치가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신호 제어기를 제어하여 교통 신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열영상 카메라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열영상 카메라와 제 2 열영상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검지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열영상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제1 영상 및 차량이 이동하는 차선 정보를 기반으로 제 1 촬상 영역 상에 진입하는 차량 대수를 판단하고, 차량의 예측된 이동 방향으로의 차량 증가 여부에 대해 판단하여 제 1 예측 차량 증가 여부 판단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열영상 카메라에의해 촬상된 제 2 영상 및 차량이 이동하는 차선 정보를 기반으로 제 2 촬상 영역상에 진입하는 차량 대수를 판단하며, 제2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에 대해 예측된 제1 예측 차량 증가 여부 판단 결과를 변화하여 제 2 예측 차량 증가 여부 판단 결과를 결정하고, 제 2 예측 차량 증가 여부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최종 차량 증가 여부를 확정하며, 상기 최종 차량 증가 여부 판단 결과를 고려하여 차량의 통행량, 대기 차량의 수에 따라 신호를 가변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신호 제어기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좌회선 신호 차례에서 좌회전 차량이 없을 경우 좌회전 신호를 생략하여 교통 효율을 상승시키고,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좌회선 신호 차례에서 좌회전 차량이 존재할 경우, 상기 좌회전 신호가 신호 제어기에 의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기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보행 신호 차례에서 보행자가 없을 경우, 보행 신호를 생략하고 상기 보행 신호의 다음 신호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기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보행 신호 차례에서 상기 보행자가 존재할 경우, 상기 보행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은,
    차량 및 사람에 대한 촬상을 수행하여 촬상 영상을 생성하도록 구현되는 열영상 카메라;
    상기 촬상 영상에 대해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검지 처리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현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신호 제어기를 제어하여 교통 신호를 제어하도록 구현되는 검지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열영상 카메라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열영상 카메라와 제 2 열영상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검지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열영상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제1 영상 및 차량이 이동하는 차선 정보를 기반으로 제 1 촬상 영역 상에 진입하는 차량 대수를 판단하고, 차량의 예측된 이동 방향으로의 차량 증가 여부에 대해 판단하여 제 1 예측 차량 증가 여부 판단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열영상 카메라에의해 촬상된 제 2 영상 및 차량이 이동하는 차선 정보를 기반으로 제 2 촬상 영역상에 진입하는 차량 대수를 판단하며, 제2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에 대해 예측된 제1 예측 차량 증가 여부 판단 결과를 변화하여 제 2 예측 차량 증가 여부 판단 결과를 결정하고, 제 2 예측 차량 증가 여부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최종 차량 증가 여부를 확정하며, 상기 최종 차량 증가 여부 판단 결과를 고려하여 차량의 통행량, 대기 차량의 수에 따라 신호를 가변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신호 제어기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좌회선 신호 차례에서 좌회전 차량이 없을 경우 좌회전 신호를 생략하여 교통 효율을 상승시키고,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좌회선 신호 차례에서 좌회전 차량이 존재할 경우, 상기 좌회전 신호가 신호 제어기에 의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기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보행 신호 차례에서 보행자가 없을 경우, 보행 신호를 생략하고 상기 보행 신호의 다음 신호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기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보행 신호 차례에서 상기 보행자가 존재할 경우, 상기 보행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
KR1020180062607A 2018-05-31 2018-05-31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977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607A KR101977391B1 (ko) 2018-05-31 2018-05-31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607A KR101977391B1 (ko) 2018-05-31 2018-05-31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391B1 true KR101977391B1 (ko) 2019-08-28

Family

ID=6777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607A KR101977391B1 (ko) 2018-05-31 2018-05-31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3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303B1 (ko) * 2019-11-13 2020-07-10 주식회사 동부아이씨티 열영상 카메라 및 레이더를 이용한 좌회전 대기 차량 감응 교통신호 제어 시스템
KR102630316B1 (ko) * 2022-11-17 2024-01-30 주식회사 노비텍 열 감지 센서를 이용한 객체 식별 하이브리드 카메라, 이를 이용한 스마트 보행신호 시스템, 및 무인단속/영상감시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935A (ko) 2006-05-01 2007-11-0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범프 구조, 그 형성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반도체 장치
KR20100045132A (ko) * 2008-10-23 2010-05-03 백용현 안개지역 교통감시 시스템
KR20120119696A (ko) * 2011-04-22 2012-10-31 강평구 좌회전 감지 신호등의 제어방법
KR101508663B1 (ko) * 2014-10-02 2015-04-07 주식회사 다누시스 영상감지를 이용한 교통체계 컨트롤 장치
KR20160092965A (ko) * 2016-07-18 2016-08-05 윤종식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교차로 교통사고 방지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003715U (ko) * 2016-06-20 2016-10-26 주식회사 창우 우회전 교통사고 예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935A (ko) 2006-05-01 2007-11-0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범프 구조, 그 형성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반도체 장치
KR20100045132A (ko) * 2008-10-23 2010-05-03 백용현 안개지역 교통감시 시스템
KR20120119696A (ko) * 2011-04-22 2012-10-31 강평구 좌회전 감지 신호등의 제어방법
KR101508663B1 (ko) * 2014-10-02 2015-04-07 주식회사 다누시스 영상감지를 이용한 교통체계 컨트롤 장치
KR20160003715U (ko) * 2016-06-20 2016-10-26 주식회사 창우 우회전 교통사고 예방 시스템
KR20160092965A (ko) * 2016-07-18 2016-08-05 윤종식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교차로 교통사고 방지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303B1 (ko) * 2019-11-13 2020-07-10 주식회사 동부아이씨티 열영상 카메라 및 레이더를 이용한 좌회전 대기 차량 감응 교통신호 제어 시스템
KR102630316B1 (ko) * 2022-11-17 2024-01-30 주식회사 노비텍 열 감지 센서를 이용한 객체 식별 하이브리드 카메라, 이를 이용한 스마트 보행신호 시스템, 및 무인단속/영상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7220B2 (en) Autonomously navigating across intersections
US20180281815A1 (en) Predictive teleassistance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s
US20140314275A1 (en) Pedestrian Right of Way Monitoring and Reporting System and Method
KR101725130B1 (ko) 차량 충돌 방지를 위한 지능형 신호등 제어 장치 및 방법
RU271908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омощи при вождении
US11914041B2 (en)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system
KR102606475B1 (ko) 우회전 차량 단속 장치 및 방법
JP6799168B2 (ja) 車両制御装置
JP2023545803A (ja) 自律走行車両のナビゲーション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
KR101977391B1 (ko)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US8933818B2 (en) Bicycle presence detection in a roadway using video data analytics
JP7037956B2 (ja) 車両進路予測方法、車両走行支援方法及び車両進路予測装置
CN105719495A (zh) 交通信号灯联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112562B1 (ko) 영상검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38944A (ko) 교통감시 시스템
JP2019073039A (ja) 車両制御装置
Chaudhary et al. A real time dynamic approach for management of vehicle generated traffic
JP2019207655A (ja) 検知装置及び検知システム
US1171040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902221B1 (ko) 단일 카메라를 이용한 자율 영상정보 취득 시스템
KR20180068462A (ko) 신호등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8070015A1 (ja) 車両はみ出し判断方法及び車両はみ出し判断装置
US20220274630A1 (en) Mobile object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Špaňhel et al. Detection of traffic violations of road users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WO2020139283A2 (en) Bubble ey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