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355B1 - 이동식 복포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복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355B1
KR101977355B1 KR1020170098987A KR20170098987A KR101977355B1 KR 101977355 B1 KR101977355 B1 KR 101977355B1 KR 1020170098987 A KR1020170098987 A KR 1020170098987A KR 20170098987 A KR20170098987 A KR 20170098987A KR 101977355 B1 KR101977355 B1 KR 101977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lamp
cover
hing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892A (ko
Inventor
권재현
박재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98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355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00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 B65G3/02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in the open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9/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ng derailing, e.g. by use of guide wheels
    • B61F9/005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ng derailing, e.g. by use of guide wheels by use of non-mechanical means, e.g. acoustic or electromagnetic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 적재 공간을 덮도록 상기 레일 상에 마련된 덮개; 상기 덮개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복수의 이동부; 상기 덮개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복수의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스윙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복포 장치가 제시된다.

Description

이동식 복포 장치{Movable cov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식 복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물질 끼임 등에 의한 이동 정지를 방지할 수 있는 이동식 복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등에서 사용되는 원료나 광석 등의 운송물은 원산지로부터 운반된 후 야드(yard) 등의 적재 공간에 적재된 상태로 보관된다.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원료의 대부분은 분체 상태의 철광석과 석탄이며, 수년동안 사용되는 양은 대략 수백만톤에서 수천만톤에 이른다. 그런데, 적재물은 대기중에 노출된 상태로 보관됨에 따라 바람 등에 의해 비산되어 적재물이 손실됨은 물론이고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적재물은 우수 등의 수분이 침투하게 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이러한 수분 및 이물질 오염에 의해 원료의 품질이 저하되며, 다른 공정으로의 운송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복포막을 이용하여 적재물을 덮는 복포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복포막을 이용한 복포 작업은 예를 들어 넓고 긴 복포막을 10명∼12명의 작업자가 적재물에 펼쳐 덮은 후 현장에서 120∼150개 정도의 마대를 만들고 복포막에 3열∼4열 정도의 구멍을 만들어 로프를 이용하여 구멍에 마대를 묶어 고정하였다.
그러나, 복포막을 이용한 수동식 복포하는 방법은 작업자가 많이 필요하고 복포 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수동식 복포 작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치 형상의 덮개를 갖는 이동식 복포 장치를 이용하여 복포 작업을 수행한다.
이동식 복포 장치는 아치 형상의 덮개와, 덮개의 지면과 맞닿는 부분에 마련되어 이동 가능한 바퀴와, 지면과 바퀴 사이에 마련되어 바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식 복포 장치는 눈 등에 의한 수평 하중과 바람, 지진 등에 의한 수평 하중을 받게 된다. 수직 하중은 덮개, 바퀴 및 레일을 통해 전달되어 완충된다. 또한, 수직 하중을 완충하기 위해 기존에는 빨래집게형의 클램프(Clamp)가 이용되었다. 그러나, 빨래집게형의 클램프는 코크스(Coke) 끼임 등 운전에 장애 요소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해결하지 못한다. 즉, 클램프와 레일 사이에 코크스 등의 이물질이 끼어 있을 경우 이동식 복포 장치가 이동하지 못하게 되면 이물질을 수동으로 제거해야 하고, 이러한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조업에 막대한 장애를 유발하게 되고, 설비의 효율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레일과 수평 하중을 담당하는 클램프 사이에 이물질 끼임에 따른 이동 정지 현상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70352호 한국등록특허 제10-1697669호
본 발명은 이물질 끼임에 의한 이동 정지를 방지할 수 있는 이동식 복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물질을 회피하여 이동 가능한 클램프를 구비하여 이물질 끼임에 의한 이동 정지가 발생되지 않는 이동식 복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이동식 복포 장치는 레일; 적재 공간을 덮도록 상기 레일 상에 마련된 덮개; 상기 덮개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복수의 이동부; 상기 덮개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복수의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스윙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는 접힘 및 펼침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이동부는 순차적인 이동 및 정지가 가능하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덮개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하측에 마련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와 몸체 사이에 상기 힌지부가 마련된다.
상기 몸체는 상기 레일을 사이에 두고 대면하는 제 1 및 제 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와 고정부 사이에 마련된 각각 제 1 및 제 2 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 각각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회전하는 제 1 및 제 2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 부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클램프가 이동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 부재는 상기 레일의 머리부의 측면 및 하면과 목부의 일 영역에 접촉되어 회전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의 서로 대면하는 영역에 각각 마련되며 인력이 작용하는 제 1 및 제 2 자석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레일의 이물질을 회피하여 상기 레일로부터 이탈된 후 상기 자석의 인력에 의해 원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식 복포 장치는 덮개에 고정되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 가능한 클램프를 포함한다. 또한, 클램프는 힌지를 구비하여 이물질 구간에서는 적어도 일부가 일측으로 회전한 후 이물질 구간을 지나면 원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식 복포 장치는 레일과 클램프 사이의 이물질 끼임에 의한 이동 정지가 발생되지 않는다. 즉, 클램프의 적어도 일부가 이물질을 회피하여 이동함으로써 이동 정지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조업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고 설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식 복포 장치가 적시 이동 가능함으로써 적재물의 수분 침투 및 이물질 유입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적재물의 수분 상승에 의한 고로 노황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복포 장치의 외형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복포 장치의 클램프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복포 장치의 클램프의 구동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 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복포 장치의 외형도이고, 도 2는 정면도이며, 도 3은 측면도이다. 즉,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복포 장치가 설치된 적재 공간의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복포 장치의 클램프의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클램프의 구동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복포 장치는 적재 공간(10)의 상측을 덮는 덮개(100)와, 적재 공간(10) 상에 마련된 레일(200)과, 덮개(100)의 단부와 레일(200) 사이에 마련되어 레일(200)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부(300)와, 이동부(300)와 이격되어 덮개(100)의 단부와 레일(200) 사이에 마련된 클램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재 공간(10)은 제철소 등에서 사용되는 원료나 광석 등의 운송물이 적재되는 공간이다. 이러한 적재 공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복포 장치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의 벽(12)이 마련된다. 즉, 적재 공간(10)은 바닥(11)과, 바닥(11)의 일측 및 타측에 소정 높이로 마련된 벽(12)을 포함한다. 즉, 벽(12)은 바닥(11)의 서로 대향되는 두 방향에 마련될 수 있고, 이동식 복포 장치의 덮개(10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벽(12)은 덮개(100)가 이동하는 방향의 두 영역 뿐만 아니라 이와 직교하는 적어도 한 영역에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적재 공간(10)은 바닥(11)과 벽(1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벽(12) 사이의 간격에 따라 적재 공간(10)의 너비가 결정되고, 벽(12)의 높이와 덮개(100)의 높이에 따라 적재 공간(10)의 적재 공간, 즉 부피가 결정될 수 있다.
1. 덮개
덮개(100)는 적재 공간(10)을 덮도록 적재 공간(1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100)는 적재 공간(1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적재 공간(10)의 바닥(11)으로부터 높이가 높아지다가 중앙부에서 다시 낮아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덮개(100)는 예컨데 아치(arch)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100)는 아치 형태의 제 1 프레임(110)과, 제 1 프레임(110)과 이격되어 제 1 프레임(110) 상측에 마련된 아치 형태의 제 2 프레임(120)과, 제 1 및 제 2 프레임(110, 120) 사이에 마련된 지지 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덮개(100)는 제 2 프레임(120)을 덮도록 마련된 복포막(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 1 프레임(110)의 하측에 마련된 제 2 복포막(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프레임(110)은 적재 공간(1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 프레임(110)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1 프레임(110)은 덮개(11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마련될 수 있다.
제 2 프레임(120)은 복수의 제 1 프레임(110)의 상측에 제 1 프레임(11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마련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 2 프레임(120)은 제 1 프레임(110)과 마찬가지로 적재 공간(1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 1 프레임(110)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프레임(110, 120) 사이의 간격에 따라 덮개(100)의 두께가 결정된다.
지지 프레임(130)은 제 1 및 제 2 프레임(110, 120) 사이에 마련되어 제 1 및 제 2 프레임(110, 120)을 연결한다. 즉, 지지 프레임(130)은 제 1 프레임(110) 상에서 제 2 프레임(120)이 지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130)은 제 1 및 제 2 프레임(110, 120) 사이에 복수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130)은 막대 형태로 마련되어 두개의 지지 프레임(130)이 제 1 프레임(110)으로부터 제 2 프레임(120)으로 폭이 넓어지는 형태, 예컨데 V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두개의 제 3 프레임(130)이 V자 형태로 제 1 및 제 2 프레임(110, 1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V자 형태의 지지 프레임(130)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마련될 수 있다. 물론, V자 형태의 두 지지 프레임(130) 사이에 1자 모양의 지지 프레임(130)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지지 프레임(130)은 제 1 및 제 2 프레임(110, 120) 사이에 수직 하중 및 수평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덮개(100)의 상측에는 복포막(140)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2 프레임(120)을 덮도록 복포막(140)이 마련될 수 있다. 복포막(140)은 예를 들어 PVC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복포막(140)은 타포린(tarpauline) 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복포막(140)은 방수성 및 내구성 등의 물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적어도 일면에 코팅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코팅층은 복포막(140)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외기에 노출되는 복포막(140)의 상면을 포함하여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포막(140)은 제 1 프레임(110)의 내측에도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프레임(110, 12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복포막이 마련될 수도 있다.
물론, 덮개(100)는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덮개(100)는 제 1 프레임(11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덮개(100)는 접힘 및 펼침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덮개(100)는 적재 공간(10)을 오픈하기 위해 적재 공간(10)의 맨 끝에 위치하는 프레임이 고정되고 이동부(300)의 순차적인 이동 및 정지에 따라 접힘 가능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적재 공간(10)을 덮기 위해 이동부(300)의 순차적인 이동에 따라 덮개(100)가 펼쳐지면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덮개(100)는 프레임을 덮는 복포막(140)이 연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인접한 두 프레임 사이에 예를 들어 X자 형태의 링크가 마련될 수 있다. 즉, X자 형태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연장된 부분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프레임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2. 레일
레일(200)은 이동부(30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레일(200)은 적재 공간(10)과 덮개(1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200)은 적재 공간(10)의 벽(12)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200)은 벽의 상측에 고정된 지지부(210)와, 지지부(210)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로 형성된 목부(220)와, 목부(220) 상에 마련된 머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210)는 벽(12)의 폭과 같거나 좁은 폭으로 마련될 수 있고, 목부(220)는 지지부(210)보다 좁은 폭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머리부(230)는 목부(220)보다 넓은 폭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머리부(230)는 지지부(210)보다 좁거나 같은 폭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10)보다 좁은 폭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200)은 단면 형상이 머리부(230)가 지지부(210)보다 폭이 좁거나 같은 I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3. 이동부
이동부(300)는 덮개(100)와 레일(200) 사이에 마련되며, 레일(200)을 따라 일 방향 및 이와 대향되는 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300)는 적어도 일 영역이 덮개(1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300)는 레일(200)과 접촉되어 레일(2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부(300)는 레일(200)의 머리부(230)의 상부 및 측부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이동부(300)는 레일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 바퀴를 구비하여 복수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이동부(300)가 두개의 레일 바퀴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이동부(300)가 레일(200)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이동부(300)는 순차적인 이동 및 정지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적재 공간(10)을 덮기 위해 덮개(100)가 접힌 상태에서 이동부(300)가 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함으로써 덮개(100)가 펼쳐지면서 적재 공간(10)을 덮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적재 공간(10)을 오픈하기 위해 덮개(1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일 방향과 반대 방향인 타 방향으로 복수의 이동부(300)가 동시에 이동하고 펼칠 때와는 반대의 순서로 이동부(300)가 순차적으로 정지함으로써 덮개(100)를 접을 수 있다.
4. 클램프
클램프(400)는 덮개(100)와 레일(2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고, 수평 하중을 완충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클램프(400)는 레일(200)의 방향으로 복수 마련될 수 있고, 이동부(3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클램프(400)는 하나의 이동부(300)에 적어도 하나 마련될 수 있다. 즉, 클램프(400)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이동부(300) 사이에 각각 마련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이동부(300)와 인접하여 클램프(400)가 마련될 수 있다.
클램프(400)는 덮개(100)에 고정되는 고정부(410)와, 고정부(410) 하측에 마련된 몸체(420)와, 고정부(410)와 몸체(420) 사이에 마련된 힌지(hinge)부(430)와, 몸체(420)의 하측에 마련된 회전 부재(440)와, 몸체(420)에 마련된 자석(45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41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410)는 덮개(100)의 하측에 고정되어 클램프(400)를 덮개(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41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덮개(100)에 고정되는데, 예를 들어 볼트 등의 조임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고, 용접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몸체(420)는 고정부(410) 하측에 마련되며, 레일(200) 상측에 레일(2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두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1 몸체(420a)와 제 2 몸체(420b)가 레일(200)을 사이에 두고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몸체(420a, 420b)는 레일(200)의 머리부(430)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제 1 및 제 2 몸체(420a, 420b) 사이의 간격은 레일(200)의 머리부(430)의 폭보다 넓거나 좁을 수 있다. 이러한 몸체(420)는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420)는 소정의 높이 및 직경을 갖는 원기둥, 육각 기둥 등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몸체(420)의 상부는 상측으로 폭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몸체(420) 상에는 힌지부(43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몸체(420)와 고정부(410) 사이에 힌지부(43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몸체(420)의 하측에는 폭이 좁은 영역이 마련될 수 있고, 하측의 폭이 좁은 영역에 회전 부재(44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몸체(420)는 하측으로부터 제 1 높이로 제 1 폭을 갖는 제 1 영역과, 제 1 영역의 말단으로부터 제 1 높이보다 높은 제 2 높이로 제 1 폭보다 넓은 제 2 폭을 갖는 제 2 영역과, 제 2 영역의 말단으로부터 폭이 점점 줄어드는 제 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영역의 하측에는 제 1 폭보다 넓고 제 2 폭보다 넓거나 같은 제 4 영역이 마련될 수 있다. 제 4 영역은 제 1 영역을 감싸도록 마련된 회전 부재(4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에는 제 1 폭과 제 2 폭 사이의 폭을 갖는 제 5 영역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에 단차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의 높이는 비의 예를 들어 1:2 내지 1:3일 수 있고,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의 폭의 비는 예를 들어 1:3 내지 1:4일 수 있다.
힌지부(430)는 고정부(410)와 몸체(4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몸체(420)의 제 3 영역과 고정부(410) 사이에 힌지부(430)가 마련될 수 있다. 힌지부(430)는 제 1 및 제 2 몸체(420a, 420b) 사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1 몸체(420a) 상에 제 1 힌지부(430a)이 마련되고 제 2 몸체(420b) 상에 제 2 힌지부(430b)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부(430)은 적어도 하나의 몸체(420)가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 스윙(swing)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레일(200)과 클램프(400) 사이에 코크스 등의 이물질이 존재할 때 몸체(420)의 적어도 하나가 힌지부(430)에 의해 이물질을 회피하여 일측으로 이동된 후 이물질을 지나 몸체(420)가 원위치될 수 있다. 즉, 힌지부(430)는 이물질 끼임에 의해 클램프(400)의 적어도 일부, 즉 몸체(420)의 적어도 일부가 일측으로 스윙된 후 원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힌지부(430)은 예를 들어 몸체(420)가 90°또는 그 이하의 각도로 스윙할 수 있도록 한다.
회전 부재(440)는 몸체(420)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회전 부재(440)는 몸체(420)의 제 1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440)는 제 1 및 제 2 몸체(420a, 420b)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즉, 회전 부재(440)는 제 1 몸체(420a)의 하측에 마련된 제 1 회전 부재(440a)과, 제 2 몸체(420b)의 하측에 마련된 제 2 회전 부재(44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부재(440)는 레일(200)의 머리부(230)의 측면 및 하면과 목부의 일부에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440)는 이동부(300)의 이동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즉, 회전 부재(440)는 이동부(300)가 레일(200)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타 방향으로 이동할 때 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회전 부재(440a, 440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제 1 회전 부재(440a)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 회전 부재(440b)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부재(440)는 레일(200)과 접촉되는 롤러(441a, 442a; 441)와, 롤러(441a, 441b)와 몸체(420) 사이에 마련된 베어링(442a, 442b; 444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회전 부재(440)는 롤러(441)가 레일(200)과 접촉되고 베어링(442)이 회전하여 롤러(441)가 이동부(30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롤러(441)는 단면 형상이 대략 L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롤러(441)는 레일(200)의 머리부(230)의 측면 및 하면에 접촉되고 목부(420)의 소정 영역에 접촉되므로 레일(200)의 머리부(230) 측면에 접촉되는 영역보다 그 하측의 하면 및 목부에 접촉되는 부분이 더 넓은 폭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석(450)은 몸체(420)의 일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자석(450)는 제 1 및 제 2 몸체(420a, 420b)의 서로 대면하는 영역에 각각 마련된 제 1 및 제 2 자석(450a, 45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석(450)은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석(450)이 마련됨으로서 몸체(420)의 어느 하나가 원래 위치에서 벗어날 경우 이를 끌어당겨 원위치로 돌아오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몸체(420a)와 레일(200) 사이에 이물질이 끼여 있을 경우 제 1 몸체(420a)는 이물질에 의해 레일(200)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물질을 지난 후 자석(450)의 인력에 의해 제 1 몸체(420a)가 원위치될 수 있다. 즉, 자석(450)은 힌지부(430)에 의해 스윙된 몸체(420)를 자력에 의해 원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자석(450)이 너무 센 자력을 가질 경우 회전 부재(440)의 회전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회전 부재(44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이탈된 몸체(420)를 원위치시킬 수 있을 정도의 자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복포 장치의 구동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클램프의 단면도이다.
레일(200)과 클램프(400) 사이에 이물질(A)이 끼여 있을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몸체(420), 예를 들어 제 1 몸체(420a)는 이물질(A)을 회피하여 이물질(A) 외측으로 이동한다. 즉, 제 1 몸체(420a)가 이물질(A)을 지나게 될 때 제 1 힌지부(430a)에 의해 이물질(A) 외측으로 벗어나게 된다. 그러나, 이물질(A)을 벗어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몸체(420a)가 원위치로 돌아오게 되는데, 자석(450)의 자력에 의해 제 1 몸체(420a)가 원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한편, 이동식 복포 장치가 수평 하중을 받았을 때 덮개(100)가 원위치를 유지하고 클램프(400)가 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바람 등에 의해 덮개(100)가 수평 하중을 받았을 때 덮개(100)는 원래 위치를 유지하고 힌지부(430)에 의해 클램프(400)의 몸체(420)가 일 방향으로 스윙할 수 있다. 그러나, 수평 하중이 제거되면 힌지부(430)에 의해 몸체(420)는 원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복포 장치는 덮개(100)에 고정되며 이동부(300)의 이동에 의해 레일(20)을 따라 이동 가능한 클램프(400)를 포함한다. 또한, 클램프(400)는 힌지부(430)를 구비하여 이물질 구간에서는 적어도 일부가 일측으로 회전한 후 이물질 구간을 지나면 원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클램프(400)는 힌지부(430)를 구비함으로써 바람 등에 의한 수평 하중을 받게 되면 일 방향으로 회전한 후 수평 하중이 제거되면 원위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복포 장치는 레일(200)과 클램프(400) 사이의 이물질 끼임에 의한 이동 정지가 발생되지 않는다. 즉, 클램프(400)의 적어도 일부가 이물질을 회피하여 이동함으로써 이동 정지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조업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고 설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식 복포 장치가 적시 이동 가능함으로써 적재물의 수분 침투 및 이물질 유입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적재물의 수분 상승에 의한 고로 노황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서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덮개 200 : 레일
300 : 이동부 400 : 클램프

Claims (10)

  1. 레일;
    적재 공간을 덮도록 상기 레일 상에 마련된 덮개;
    상기 덮개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복수의 이동부;
    상기 덮개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복수의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스윙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복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접힘 및 펼침 가능한 이동식 복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부는 순차적인 이동 및 정지가 가능한 이동식 복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덮개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하측에 마련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와 몸체 사이에 상기 힌지부가 마련된 이동식 복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레일을 사이에 두고 대면하는 제 1 및 제 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와 고정부 사이에 마련된 각각 제 1 및 제 2 힌지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복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 각각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회전하는 제 1 및 제 2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복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 부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클램프가 이동하는 이동식 복포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 부재는 상기 레일의 머리부의 측면 및 하면과 목부의 일 영역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이동식 복포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의 서로 대면하는 영역에 각각 마련되며 인력이 작용하는 제 1 및 제 2 자석을 더 포함하는 이동식 복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레일의 이물질을 회피하여 상기 레일로부터 이탈된 후 상기 자석의 인력에 의해 원위치되는 이동식 복포 장치.
KR1020170098987A 2017-08-04 2017-08-04 이동식 복포 장치 KR101977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987A KR101977355B1 (ko) 2017-08-04 2017-08-04 이동식 복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987A KR101977355B1 (ko) 2017-08-04 2017-08-04 이동식 복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892A KR20190014892A (ko) 2019-02-13
KR101977355B1 true KR101977355B1 (ko) 2019-05-10

Family

ID=65366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987A KR101977355B1 (ko) 2017-08-04 2017-08-04 이동식 복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35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3495A (ja) 2006-12-11 2008-06-26 Shozaburo Sato 列車の浮上及び脱線防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5910U (ja) * 1992-06-03 1993-12-27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石炭ヤード等の積山カバー装置
KR200276652Y1 (ko) * 1997-09-12 2002-10-31 주식회사 포스코 레일이동개폐식벨트커버장치
KR100770352B1 (ko) 2001-11-02 2007-10-26 주식회사 포스코 야적원료의 포장 이동방지장치
KR101697669B1 (ko) 2014-08-28 2017-01-18 주식회사 포스코 복포 장치 및 복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3495A (ja) 2006-12-11 2008-06-26 Shozaburo Sato 列車の浮上及び脱線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892A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2556B2 (ja) バルク材料輸送用コンベア
KR101977355B1 (ko) 이동식 복포 장치
US9475659B2 (en) Apparatus for handing and moving a stack of tires
JP6765329B2 (ja) 反転装置
CN211308593U (zh) 变轨装置
JP5616938B2 (ja) 搬送物の搬送装置
KR20120047091A (ko) 벨트 컨베이어 상부 커버링 장치
KR100927205B1 (ko) 중량물 반전기
CN205240600U (zh) 一种带式输送机转弯装置
CN207194689U (zh) 一种推拉门地轨固定装置
CN106494480A (zh) 一种清洗剂原材料装载塑料罐转移用防磨损推车
CN206892493U (zh) 移屏载台和移屏设备
JP5995731B2 (ja) 可動式ホーム柵
CN102785181B (zh) 一种多用型材端面夹持机构
KR20090026882A (ko) 슬래브 터닝장치
CN204614397U (zh) 广告框架
CN204751340U (zh) 一种转向架移动助行机构
CN209894647U (zh) 一种大气环境的检测设备
CN107030239A (zh) 一种锻造设备
RU2719564C2 (ru) Разъемная станина
JP2015077760A (ja) トレッド用トレー
CN200992407Y (zh) 波状挡边带式输送机的自动调节跑偏装置
KR20110046084A (ko) 슬라이딩 운반장치
CN102951480B (zh) 料带运输装置
CN103938902B (zh) 平面移动车库提升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