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102B1 - 보령산 오석 및 보령산 머드를 함유하는 탈취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령산 오석 및 보령산 머드를 함유하는 탈취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102B1
KR101977102B1 KR1020190018432A KR20190018432A KR101977102B1 KR 101977102 B1 KR101977102 B1 KR 101977102B1 KR 1020190018432 A KR1020190018432 A KR 1020190018432A KR 20190018432 A KR20190018432 A KR 20190018432A KR 101977102 B1 KR101977102 B1 KR 101977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d
weight
parts
boryeong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이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filed Critical 이상윤
Priority to KR1020190018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silicates other than 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60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 C04B35/6261Mi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4Non-metal oxides, non-metal mixed oxides, or salts thereof that form the non-metal oxides upon heating,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49Clays, e.g. bentonites, smectites such as montmorillonite, vermiculites or kaolines, e.g. illite, talc or sepio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65Aspects relating to heat treatments of ceramic bodies such as green ceramics or pre-sintered ceramics, e.g. burning, sintering or melting processes
    • C04B2235/658Atmosphere during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령산 오석 및 보령산 머드를 함유하는 탈취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령산 오석을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상기 세척된 오석을 분쇄하는 동시에, 머드수를 분사하는 분쇄 및 머드수 분사단계와, 상기 분쇄된 오석분말에 머드 분말, 황토를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및 상기 건조된 건조물을 소결하는 소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보령산 오석, 보령산 머드 등의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탈취 및 항균효과가 우수한 탈취제를 제조함으로써, 냉장고 악취제거, 화장실 악취제거, 실내공기정화, 침구류인 베개 속 악취제거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령산 오석 및 보령산 머드를 함유하는 탈취제 제조방법{A manufacturing method of a deodorant containing Boryeong O-stone and Boryeong San mud}
본 발명은 보령산 오석 및 보령산 머드를 함유하는 탈취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령산 오석, 보령산 머드 등의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탈취 및 항균효과가 우수한 탈취제를 제조함으로써, 냉장고 악취제거, 화장실 악취제거, 실내공기정화, 침구류인 베개 속 악취제거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보령산 오석 및 보령산 머드를 함유하는 탈취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령산 오석(烏石)은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지역에서 생산되는 광물의 일종으로 흑요암이라고도 불리며, 유문암질(流紋巖質) 또는 안산암질(安山巖質) 따위의 마그마가 급격히 식으면서 굳어져 이루어진 화산암으로 회색 또는 검은색을 띠고 유리 광택이 있으며, 조가비 모양의 단구(斷口)를 가지고 있으며, 장식품ㆍ왕릉ㆍ비석ㆍ도장ㆍ그릇ㆍ벼루ㆍ단열재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오석은 돌(오석)을 채취해 갈면 갈수록 검은빛이 두드러지며 조각을 하게 되면 흰색이 나타나는데, 특히, 성주산 일대에서 채취되는 원석(오석)은 국내에서 가장 질이 좋은 것으로 정평이 나있는 보령의 특산품이다.
그리고, 머드(MUD)는 "물기가 있어 질척한 흙"이란 뜻으로 보통 진흙을 함유한 점토성 물질과 동식물들의 분해 산물과 토양 및 염류 등이 퇴적되어 오랜 세월동안 지질학적, 화학적 작용을 받고 미생물의 분해 작용을 받아 형성된다. 이러한 머드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이스라엘 사해산, 캐나다나 콜롬비아 해안의 빙하토, 러시아 바이칼, 캘리포니아 클레어 머드, 뉴질랜드 화산머드가 많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였으나 1996년 충청남도 보령의 머드가 국내 최초로 머드원료로 국산화되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머드에는 탄소, 질소, 인, 유황, 철 및 규산화합물 등 수많은 무기물질과 미량원소들이 들어있다. 또한, 유기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프롤란, 에스트로겐 등 호르몬 유사물질이 들어있을 뿐만 아니라 티아민, 아스코르빈산, 염산, 비타민 B12, 리보플라민 등과 같은 비타민류도 풍부하다. 상기 머드에는 교질성분과 결정성분이 있어서 모래찜이나 물맞이, 해수욕처럼 물리적 치료방법에도 널리 이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항균, 억균작용이 있어서 외상치료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 즉, 일반적으로 머드치료는 항염증작용, 물질대사의 촉진, 세포, 조직, 신경의 성장 및 재생촉진, 면역기능, 진통작용 및 호르몬 기능 촉진 등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인체에 유익하며 다양한 유효성분을 갖는 머드를 일상생활에 접목시키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실용화된 예로는 스킨, 샴푸, 보디로션, 팩 및 보디클랜저 등의 화장품 조성물과 의학분야의 약품 등이 있다.
그러나, 보령산 오석과 보령산 머드를 이용하여 탈취제로 적용한 사례는 전무하며, 이에 따라 천연물질인 보령산 오석과 머드를 이용할 수 있는 탈취제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KR 10-2010-0074712 A (2010. 07. 02.) KR 10-1787947 B1 (2017. 10. 12.)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탈취제 제조에 있어서 보령산 오석, 보령산 머드 등의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제조하면서도 탈취 및 항균효과가 우수한 탈취제를 제조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령산 오석 및 보령산 머드를 함유하는 탈취제 제조방법은 보령산 오석을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상기 세척된 오석을 분쇄하는 동시에, 머드수를 분사하는 분쇄 및 머드수 분사단계와, 상기 분쇄된 오석분말에 머드분말, 황토를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및 상기 건조된 건조물을 소결하는 소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분쇄 및 머드수 분사단계의 머드수는, (i) 보령산 머드를 채취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단계와, (ii) 상기 전처리된 머드를 세척하여 염분함량을 50% 이하로 낮추는 세척단계와, (iii) 상기 세척된 머드를 건조한 후 분쇄하는 건조 및 분쇄단계와, (iv) 상기 건조 및 분쇄된 머드분말을 멸균처리하는 멸균단계 및 (v) 상기 멸균된 머드분말에 정제수를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혼합단계는, 상기 분쇄된 오석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머드 분말 5~10중량부, 황토 15~3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혼합단계는, 상기 분쇄된 오석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나무 추출물, 편백나무 추출물, 황벽나무 추출물, 두충나무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로 선택된 군에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항균추출물 3~7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소결단계는, 상기 건조된 건조물을 1,100~1,250℃의 온도에서 20~40분 동안 소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보령산 오석, 보령산 머드 등의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탈취 및 항균효과가 우수한 탈취제를 제조함으로써, 냉장고 악취제거, 화장실 악취제거, 실내공기정화, 침구류인 베개 속 악취제거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령산 오석 및 보령산 머드를 함유하는 탈취제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계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령산 오석 및 보령산 머드를 함유하는 탈취제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머드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계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령산 오석 및 보령산 머드를 함유하는 탈취제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계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령산 오석 및 보령산 머드를 함유하는 탈취제 제조방법은 세척단계(S10), 분쇄 및 머드수 분사단계(S20), 혼합단계(S30), 성형단계(S40), 건조단계(S50) 및 소결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세척단계(S10)
세척단계(S10)는 보령산 오석을 고압세척기로 세척하는 단계이다.
더 상세하게는, 보령산 오석을 압력이 180~200 bar, 토출량은 10~15 L/min인 고압세척기로 세척하는 것이다.
먼저, 보령산 오석은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지역에서 생산되는 광물의 일종으로 흑요암이라고도 불리며, 유문암질 또는 안산암질 따위의 마그마가 급격히 식으면서 굳어져 이루어진 화산암으로, 회색 또는 검은색을 띠고 유리 광택이 있으며, 장식품ㆍ왕릉ㆍ비석ㆍ도장ㆍ그릇ㆍ벼루ㆍ단열재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며, 오석을 분말형태로 분쇄하여 소결할 경우에는 공극률이 상승되고 흡착성능이 향상되어 탈취제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보령산 오석은 다양한 제품제조를 위해 재단 후 폐기되는 자투리 오석을 사용하는 것으로, 자원 재활용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2. 분쇄 및 머드수 분사단계(S20)
분쇄 및 머드수 분사단계(S20)는 상기 세척된 오석을 분쇄하는 동시에, 머드수를 분사하는 단계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세척된 오석을 입자크기 0.1~1mm로 분쇄하는 동시에, 머드수를 10~30kgf/㎠의 압력으로 분사되는 분사기로 분사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세척된 오석 100중량부에 대하여, 머드수 5~10중량부가 포함되도록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세척된 오석을 입자크기 0.1~1mm로 분쇄하는 것은, 오석 자체의 경우는 공극이 적어 활성도가 낮기 때문에, 분쇄하여 공극률을 높이고 흡착성능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세척된 오석을 입자크기 0.1mm 미만의 크기로 분쇄할 경우에는 입자가 과도하게 작아져서 오히려 기공이 유실되어 흡착성능이 미미하며, 입자크기 1mm를 초과한 크기로 분쇄할 경우에는 공극이 적어 공극률이 낮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된 오석을 입자크기 0.1~1mm로 분쇄하는 동시에, 머드수를 10~30kgf/㎠의 압력으로 분사되는 분사기로 분사하되, 상기 세척된 오석 100중량부에 대하여, 머드수 5~10중량부가 포함되도록 분사하는 것은 상기 세척된 오석에 머드수를 충분히 흡착시키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세척된 오석 100중량부에 대하여, 머드수가 5중량부 미만으로 분사될 경우에는 상기 세척된 오석에 머드수가 충분히 흡착되지 못할 수 있으며, 머드수가 10중량부를 초과하여 분사될 경우에는 상기 세척된 오석에 흡착시키기에 필요 이상의 양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머드수는, 머드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머드를 원료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입자가 불균형하여 사용감이 불량하고, 자연적으로 퇴적된 각종 해조류 및 해류 등의 부식물이 섞여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충청남도 보령에서 채취한 머드를 전처리, 세척, 건조, 분쇄, 멸균 등의 과정을 거친 후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령산 오석 및 보령산 머드를 포함하는 탈취제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머드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계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머드수는 전처리단계, 세척단계, 건조 및 분쇄단계, 멸균단계 및 혼합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i) 전처리단계
전처리단계는 충청남도 보령시에서 생산되는 보령산 머드를 채취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머드는 천연 미네랄이 풍부하고, 탈취, 항균작용, 물의 알칼리화, 원적외선 방사 및 음이온 방출, 용존산소 등의 작용기전을 갖는다. 즉, 머드를 탈취제에 활용할 경우, 탈취, 항균작용뿐 아니라, 원적외선 및 음이온의 발생을 통해 유해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ii) 세척단계
세척단계는 상기 전처리된 머드를 2~4회 물에 세척하여 염분함량을 50% 이하로 낮추는 단계이다.
상기 전처리단계를 거친 머드에 대해 염분함량을 50% 이하로 낮추지 않을 경우에는 하기의 건조 및 분쇄단계에서 건조공정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아 함수율 역시 낮아지지 않게 된다.
(iii) 건조 및 분쇄단계
건조 및 분쇄단계는 상기 세척된 머드를 건조한 후 분쇄하는 단계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세척된 머드를 함수율이 25~30%의 범위가 되도록 건조하며, 입자크기 0.05~0.1mm가 되도록 분쇄하는 것이다.
만약, 상기 세척된 머드를 함수율이 25~30%의 범위가 되도록 건조하며, 입자크기 0.05mm 미만의 크기로 분쇄할 경우에는 입자크기가 필요 이상으로 작으므로 비산이 많이 발생하게 되며, 입자크기 0.1mm를 초과한 크기로 분쇄할 경우에는 하기의 물과 혼합하여 분사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iv) 멸균단계
멸균단계는 상기 건조 및 분쇄된 머드분말을 멸균처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 및 분쇄된 머드분말에 포함된 세균, 곰팡이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멸균처리기를 통하여 멸균처리한다.
(v) 혼합단계
혼합단계는 상기 멸균된 머드분말에 정제수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멸균된 머드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700~1,000중량부를 혼합하여 머드수를 제조하는 것이다.
만약, 상기 멸균된 머드분말 100중량부 대하여, 정제수를 70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하게 될 경우에는 머드수로 제조되어 분사시키기에 머드분말의 혼합량이 과다하여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1,000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하게 될 경우에는 머드수로 제조되어 분사시키기에 오히려 머드분말의 혼합량이 적어서 머드의 유효한 성분이 충분히 발현되지 못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머드수는 오석을 분쇄하는 과정에서 분사하여 오석분말 표면에 흡착되도록 함으로써, 탈취, 항균작용뿐 아니라, 원적외선 및 음이온의 발생을 통해 유해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3. 혼합단계(S30)
혼합단계(S30)는 상기 분쇄된 오석분말에 머드분말, 황토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분쇄된 오석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머드분말 5~10중량부, 함수율 25~35%인 황토 15~3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다.
먼저, 상기 머드분말은 상기 분쇄 및 머드수 분사단계(S20)의 머드수 제조단계에서 전처리단계, 세척단계, 건조 및 분쇄단계, 멸균단계까지 거친 머드분말을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황토는 점성을 갖는 결합제의 역할을 수행하는 천연물질로, 합성 결합제와 거의 유사한 성능을 가지면서도 천연물질인 황토를 이용하여 안전한 탈취제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함수율 25~35%인 황토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된 오석분말 및 머드분말과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한다.
만약, 함수율이 25% 미만인 황토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분쇄된 오석분말 및 머드분말과 균일하게 혼합되지 못할 수 있으며, 함수율이 35%를 초과한 황토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분쇄된 오석분말 및 머드분말과 혼합되는 과정에서 혼합물이 흘러내리거나 건조시간도 오래 걸리게 된다.
상기 분쇄된 오석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머드분말 5~10중량부, 황토 15~30중량부의 혼합을 통해 오석분말의 탈취 및 흡착성능과 함께 머드의 탈취, 항균작용이 이루어지고, 원적외선 및 음이온의 발생을 통해 유해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향상되며, 천연물질인 황토가 결합제로 사용됨으로써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만약, 상기 분쇄된 오석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머드분말을 5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에는, 상기 분쇄된 오석분말에 머드분말이 골고루 혼합되지 못할 수 있으며, 머드분말을 10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혼합량으로 인하여 오히려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 상기 분쇄된 오석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토를 15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에는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황토를 30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황토 혼합량으로 인하여 오히려 공극률이 줄어들어 탈취작용이 저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쇄된 오석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나무 추출물, 편백나무 추출물, 황벽나무 추출물, 두충나무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로 선택된 군에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항균추출물 3~7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분쇄된 오석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항균추출물을 3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에는 상기 오석분말에 골고루 혼합되지 못하여 그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7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혼합으로 인하여 오히려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다.
먼저, 소나무 추출물은, 소나무의 잎, 가지, 나무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0.5~10mm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하고 분쇄한 소나무에 알코올을 중량대비 1:1의 비율로 혼합하고, 90~110℃에서 1~2시간 가열하여 정유를 함유한 수증기를 포집한 후, 상기 포집된 정유를 함유한 수증기를 0~20℃에서 1~2시간 냉각시켜 소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세척하고 분쇄한 소나무에 알코올을 중량대비 1: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은 상기 소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정유가 충분히 용출되게 하기 위함이다.
만약, 세척하고 분쇄한 소나무에 알코올을 중량대비 1:1 미만의 비율로 혼합할 경우에는 상기 소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정유가 충분히 용출되지 못할 수 있으며, 세척하고 분쇄한 소나무에 알코올을 중량대비 1:1을 초과한 비율로 혼합할 경우에는 세척하고 분쇄한 소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정유를 용출시키기에 필요 이상의 알코올을 사용하게 되어 비경제적이고, 수증기 포집과정에서 가열시간이 더 오래 걸리게 된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소나무 추출물의 경우, 소나무에서 정유를 추출하기때문에 상기 정유의 유효한 성분이 상기 분쇄된 오석분말에 혼합된 상태에서 그 효과가 오래도록 지속될 수 있다.
상기 소나무 추출물은 항균작용, 항산화, 항염증 효과와 함께 정유의 휘발성분이 오래도록 지속되어 소나무 특유의 향으로 인하여 악취제거에도 효과가 있으며, 편백나무 추출물은 항균작용, 탈취작용, 항산화, 항염증 효과와 함께 정유의 휘발성분이 오래도록 지속되어 편백나무 특유의 향으로 인하여 악취제거에도 효과가 있으며, 황벽나무 추출물은 항균작용, 항산화, 항염증 효과와 함께 정유의 휘발성분이 오래도록 지속되어 황벽나무 특유의 향으로 인하여 악취제거에도 효과가 있으며, 두충나무 추출물은 항균작용, 살균작용, 항산화와 함께 정유의 휘발성분이 오래도록 지속되어 두충나무 특유의 향으로 인하여 악취제거에도 효과가 있으며, 자작나무 추출물은 항균작용, 살균작용, 세균억제효능 등과 함께 정유의 휘발성분이 오래도록 지속되어 자작나무 특유의 향으로 인하여 악취제거에도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 황벽나무 추출물, 두충나무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제조방법 역시 상기 소나무 추출물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성형단계(S40)
성형단계(S40)는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성형하는 단계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된 성형틀에 투입하여 압착한 다음, 성형틀을 제거하여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성형틀은 캐릭터, 동·식물 모양, 도형모양 등 원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성형단계를 거친 탈취제는 장식과 기능을 겸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5. 건조단계(S50)
건조단계(S50)는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건조하는 단계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성형된 성형물의 함수율이 20~25% 범위가 되도록 건조하는 것으로, 하기의 소결단계(S60)를 거쳐 제조된 탈취제가 부서지지 않고, 충분한 공극률을 유지하면서 성형된 모양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성형된 성형물의 함수율이 20% 미만으로 건조될 경우에는 하기의 소결단계(S60)를 거쳐 제조된 탈취제가 부서지게 되어 원하는 형상으로 제조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성형된 성형물의 함수율이 25%를 초과한 범위로 건조될 경우에는 충분한 공극률이 유지되지 않아 탈취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6. 소결단계(S60)
소결단계(S60)는 상기 건조된 건조물을 소결하는 단계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건조된 건조물을 소결로에 투입하여 1,100~1,250℃의 온도에서 20~40분 동안 소결하는 것이다.
상기 건조된 건조물은 오석분말, 머드분말 및 황토가 혼합된 상태에서 압착성형되게 되면 공극률이 낮아지게 되는데, 1,100~1,250℃의 범위의 소결로 내에서 황토에 포함되어 있는 산화규소가 용융하여 오석분말에 융착하면서 결합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공극률이 다시 증가되게 된다.
이와 같이, 황토의 산화규소가 용융되어 이동하면서 소결하는 과정에서, 소결로의 온도가 1,280℃를 초과하게 되면, 오석 분말 및 머드분말의 일부 성분들이 용융되어 흘러내리게 되고, 건조물은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소결로의 내부 온도는 1,100~1,250℃의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결 시간은 건조물의 규격에 따라 20~40분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보령산 오석, 보령산 머드 등의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탈취 및 항균효과가 우수한 탈취제를 제조함으로써, 냉장고 악취제거, 화장실 악취제거, 실내공기정화, 침구류인 베개 속 악취제거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사실이다. 즉,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시예 1 :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보령산 오석 및 보령산 머드를 함유하는 탈취제 제조
1) 재단 후 폐기되는 자투리 보령산 오석을 압력이 180~200 bar, 토출량은 10~15 L/min인 고압세척기로 세척한다.
2) 상기 세척된 오석을 입자크기 0.1~1mm로 분쇄하는 동시에, 머드수를 20kgf/㎠의 압력으로 분사되는 분사기로 분사한다(이때, 상기 세척된 오석 100중량부에 머드수 10중량부가 포함되도록 분사).
3) 상기 분쇄된 오석분말 10kg, 머드분말 0.7kg, 황토 2kg을 혼합한다.
4)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된 성형틀에 투입하여 압착한 다음, 성형틀을 제거하여 성형한다.
5) 상기 성형된 성형물의 함수율이 25% 범위가 되도록 건조한다.
6) 상기 건조된 건조물을 소결로에 투입하여 1,20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소결한다.
실시예 2 :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보령산 오석 및 보령산 머드를 함유하는 탈취제 제조(항균추출물 첨가)
1) 재단 후 폐기되는 자투리 보령산 오석을 압력이 180~200 bar, 토출량은 10~15 L/min인 고압세척기로 세척한다.
2) 상기 세척된 오석을 입자크기 0.1~1mm로 분쇄하는 동시에, 머드수를 20kgf/㎠의 압력으로 분사되는 분사기로 분사한다(이때, 상기 세척된 오석 100중량부에 머드수 10중량부가 포함되도록 분사).
3) 상기 분쇄된 오석분말 10kg, 머드분말 0.7kg, 황토 2kg, 항균추출물 0.5kg을 혼합한다.
4)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된 성형틀에 투입하여 압착한 다음, 성형틀을 제거하여 성형한다.
5) 상기 성형된 성형물의 함수율이 25% 범위가 되도록 건조한다.
6) 상기 건조된 건조물을 소결로에 투입하여 1,20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소결한다.
실험 1 : 탈취효과 실험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의 탈취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시험방법은 실시예 1을 넣은 각각의 용기 내부에 암모니아가스, 트리메틸아민가스, 메탄티올가스, 황화수소 50ppm을 각각 주입하여 탈취율을 검사하였다. 30분 후 가스검지관을 사용하여 가스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시험가스명 탈취율(%)


탈취실험
암모니아(50 ppm) 97%
트리메틸아민(50 ppm) 95%
메탄티올(50 ppm) 70%
황화수소(50 ppm) 82%
실험 2 : 관능실험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2를 가정에서 음식물이 보관되어 있는 냉장고 내부의 구획된 선반에 3개씩 올려놓고, 후각적 탈취효과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항목

실시예 1의 후각적 탈취효과실험

실시예 2의 후각적 탈취효과실험

실험기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실험결과

5

5

4

4

5

5

4

4

실험방법

실험시 냉장고 문을 여는 순간에 냉장고 내부로부터 전달되는 냄새
※ 판정기준; 5 : 매우 좋음, 4 : 좋음, 3 : 보통, 2 : 나쁨, 1 : 매우 나쁨
상기 표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음식물이 보관된 냉장고 내부의 냄새가 4주 후 까지도 후각적 실험값이 좋음 이상으로 나타난 사실로부터 충분한 탈취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본 발명의 보령산 오석 및 보령산 머드를 함유한 탈취제의 탈취 및 항균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보령산 오석을 압력이 180~200 bar, 토출량 10~15L/min의 고압세척기로 세척하는 세척단계(S10);
    상기 세척된 오석을 공극률을 높이고 흡착성능을 갖도록 입자크기 0.1~1mm로 분쇄하는 동시에, 머드수를 10~30kgf/㎠의 압력으로 분사하되, 세척된 오석에 머드수를 흡착시키도록 하기 위해 세척된 오석 100중량부에 대하여 머드수 5~10중량부가 포함되도록 하는 분쇄 및 머드수 분사단계(S20);
    상기 분쇄된 오석분말에 머드분말, 황토를 혼합하는 혼합단계(S30);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성형하는 성형단계(S40);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함수율이 20~25% 범위가 되도록 건조하는 건조단계(S50); 및
    상기 건조된 건조물을 소결하는 소결단계(S60);
    를 포함하되,
    상기 분쇄 및 머드수 분사단계(S20)의 머드수는,
    (i) 보령산 머드를 채취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단계;
    (ii) 상기 전처리된 머드를 2~4회 물에 세척하여 이후 건조공정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염분함량을 50% 이하로 낮추는 세척단계;
    (iii) 상기 세척된 머드를 함수율이 25~30%가 되도록 건조한 후 입자크기 0.05~0.1mm가 되도록 분쇄하는 건조 및 분쇄단계;
    (iv) 상기 건조 및 분쇄된 머드분말을 멸균처리하는 멸균단계; 및
    (v) 상기 멸균된 머드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700~1,000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상기 혼합단계(S30)는,
    상기 분쇄된 오석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머드분말 5~10중량부, 함수율 25~35%인 황토 15~30중량부 및 소나무 추출물, 편백나무 추출물, 황벽나무 추출물, 두충나무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로 선택된 군에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항균추출물 3~7중량부를 혼합하되, 상기 항균추출물은 0.5~10mm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하며, 세척하고 분쇄한 소나무, 편백나무, 황벽나무, 두충나무 또는 자작나무에 알코올을 중량대비 1:1의 비율로 혼합하고, 90~110℃에서 1~2시간 가열하여 정유를 함유한 수증기를 포집한 후, 상기 포집된 정유를 함유한 수증기를 0~20℃에서 1~2시간 냉각시켜 소나무 추출물, 편백나무 추출물, 황벽나무 추출물, 두충나무 추출물 또는 자작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령산 오석 및 보령산 머드를 함유하는 탈취제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단계(S60)는,
    상기 건조된 건조물을 1,100~1,250℃의 온도에서 20~40분 동안 소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령산 오석 및 보령산 머드를 함유하는 탈취제 제조방법.
KR1020190018432A 2019-02-18 2019-02-18 보령산 오석 및 보령산 머드를 함유하는 탈취제 제조방법 KR101977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432A KR101977102B1 (ko) 2019-02-18 2019-02-18 보령산 오석 및 보령산 머드를 함유하는 탈취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432A KR101977102B1 (ko) 2019-02-18 2019-02-18 보령산 오석 및 보령산 머드를 함유하는 탈취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102B1 true KR101977102B1 (ko) 2019-05-10

Family

ID=66580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432A KR101977102B1 (ko) 2019-02-18 2019-02-18 보령산 오석 및 보령산 머드를 함유하는 탈취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1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978B1 (ko) * 2019-10-17 2020-07-10 (주)성원화장품 피톤치드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4712A (ko) 2008-12-24 2010-07-0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항균성분을 이용한 냉장고용 탈취제
KR20140123691A (ko) * 2013-04-15 2014-10-23 이채원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진 신발용 쿠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08932B1 (ko) * 2013-11-07 2015-04-14 윤재환 친환경 머드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99239A (ko) * 2016-02-23 2017-08-31 (주)넥타우스인터내셔널 각섬석을 포함하는 패널과 그 제조방법
KR101787947B1 (ko) 2017-03-15 2017-11-23 주식회사 린틱 왕겨숯을 이용한 냉장고 탈취제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냉장고 탈취제 및 냉장고 탈취포장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4712A (ko) 2008-12-24 2010-07-0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항균성분을 이용한 냉장고용 탈취제
KR20140123691A (ko) * 2013-04-15 2014-10-23 이채원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진 신발용 쿠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08932B1 (ko) * 2013-11-07 2015-04-14 윤재환 친환경 머드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99239A (ko) * 2016-02-23 2017-08-31 (주)넥타우스인터내셔널 각섬석을 포함하는 패널과 그 제조방법
KR101787947B1 (ko) 2017-03-15 2017-11-23 주식회사 린틱 왕겨숯을 이용한 냉장고 탈취제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냉장고 탈취제 및 냉장고 탈취포장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978B1 (ko) * 2019-10-17 2020-07-10 (주)성원화장품 피톤치드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292B1 (ko) 원적외선 방사 용액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물품
KR101616688B1 (ko) 굼벵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제조방법
KR101882775B1 (ko) 닥섬유와 패각 및 광물질을 이용한 타일의 제조방법
KR102209425B1 (ko) 미네랄 함유 복합 기능수를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 방법 및 그 탈취제
CN101780290A (zh) 一种多功能芳香型矿物空气净化剂的制作方法
KR102477881B1 (ko) 뇌 혈류 개선이 되는 기능성 베개 및 그 제조 방법
KR100844079B1 (ko) 친환경 공기질 개선제 조성물
KR101079644B1 (ko) 천연 항균용기
KR101977102B1 (ko) 보령산 오석 및 보령산 머드를 함유하는 탈취제 제조방법
KR101270917B1 (ko)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
KR100969849B1 (ko) 홍경천을 포함하는 기능성 청국장 가루, 조말형 메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51481B1 (ko) 두부의 제조방법
US2024003467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co-friendl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buildings using agricultural waste of lignocellulose-containing herbaceous plants and mineral binder, and eco-friendl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buildings thereof
KR100959951B1 (ko) 친환경 황토 모르타르
KR102174199B1 (ko)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어성초 발효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어성초 발효 오일
CN106396504A (zh) 一种多功能室内装修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922388B1 (ko) 광물분말 수용액이 함유된 농작물용 영양보조제 조성물
KR101306090B1 (ko) 편백나무로 표면처리된 매트리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761551B1 (ko) 함초추출물이 코팅된 볶은 함초소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볶은 함초소금
KR101658156B1 (ko) 적색셰일 분말과 msm이 포함된 흡착탈취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918941B1 (ko)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987038A (zh) 一种可以消除异味的陶瓷器皿及其制备方法
KR102295706B1 (ko) 항균성 신발깔창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 신발깔창
KR101651483B1 (ko) 콩나물의 제조방법
KR100646050B1 (ko) 원적외선과 회전전자파를 동시에 방출하는 활성탄소 혼합물의 제조방법 및 그 활성탄소 혼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