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098B1 - 다기능 등기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098B1
KR101977098B1 KR1020190001393A KR20190001393A KR101977098B1 KR 101977098 B1 KR101977098 B1 KR 101977098B1 KR 1020190001393 A KR1020190001393 A KR 1020190001393A KR 20190001393 A KR20190001393 A KR 20190001393A KR 101977098 B1 KR101977098 B1 KR 101977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assembled
present
ring
ligh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택상
Original Assignee
염택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택상 filed Critical 염택상
Priority to KR1020190001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2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capable of being elongated or shortened by the insertion or removal of intermediate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솔류션을 제공하는 다기능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지면상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대(101); 지주대(101)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며, 지주대와 컬럼을 상호 견고히 고정 설치하는 지주대연결부재(110); 지주대연결부재(110)와 컬럼(130) 또는 컬럼(130)과 컬럼(130) 또는 컬럼(130)과 링라이트(140) 또는 링라이트(140)와 라이팅부(150)의 사이에 조립 설치되는 연결링(120); 지주대연결부재(110)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며, 상하단에 각각 상부결합부(131)와 하부결합부(132)가 돌출 구비되고, 내부에 전자기기를 넣어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컬럼(130); 및 컬럼(130)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어 360도 방향으로 빛을 비쳐주는 라이팅부(150);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보행자 구역, 도시의 도로 및 거리, 주거용 거리, 기념물 및 외관, 철도역 및 대도시 원형 교차로, 교량, 공원, 자전거 경로, 주차장 및 분위기 연출 등에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등기구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등기구{THE APPARATUS OF MULTIFUNCTION LAMP}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솔류션을 제공하는 다기능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자 구역, 도시의 도로 및 거리, 주거용 거리, 기념물 및 외관, 철도역 및 대도시 원형 교차로, 교량, 공원, 자전거 경로, 주차장 및 분위기 연출 등에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등기구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가로등(street light, 街路燈)은 가로교통의 안전과 보안을 위하여 가로를 따라서 설치한 조명시설이다.
통상의 가로등은 지면에 설치된 기초와, 이 기초에 고정되는 등 주와, 상기 등 주에 여러 가지 구조로 설치되는 조명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폴은 어두운 곳을 밝혀 주는 가로등 즉 등 주 기능만을 하기 때문에 이 가로등이 제공하는 기본적인 효과 외의 또 다른 효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다면체 복합기능 폴이 요구된다.
한편, 최근 성범죄, 절도, 뺑소니 등 각종 사고가 늘어남에 따라 주택가를 중심으로 도심에 CCTV와 같은 영상감시장비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감시장비에서 촬영된 영상은 주변의 경찰서나 관리센터로 전송되어 각종 범죄의 예방 또는 사고의 감지에 활용되고 있다.
상기 영상감지장비는 어느 정도 충분한 영역을 촬영할 수 있어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전봇대나 건물의 외벽 등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영상감지장비의 설치에 상기 가로등이 활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로등은 소정의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로등에 영상감지장비를 설치하는 경우 도심 전체적으로 일정한 간격의 감시 영상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로등에 공급되는 전원을 영상감지장비의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영상감시장비가 가로등의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미관상 보기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영상감시장비가 가로수 등에 의해 가려질 우려가 있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아울러 상기 종래 기술은 다양한 기능을 갖는 복수개의 설비가 갖추어지지 않아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 되었고, 또한 상기 다양한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도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더하여 각 몸체를 회전하여 공간에 맞게 방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더하여 상기 종래 기술은 다른 기능을 갖고 있다 하더라도 각기 다른 형태의 제품들이 폴에 따로 설치하여 거리를 복잡하고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특히 종래 기술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히기 위해 선행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였다.
즉, 종래 기술은 다양한 조합과 쉬운 설치를 제공하지 못함은 물론 설계된 등기구는 설치 계약자에게 매우 불편한 시스템이고, 모듈의 플레어 암수 부분은 부드럽게 겹치도록 설계되지 않고, 각 모듈의 완벽한 조임을 보장하지 못하고, 회전 가능한 모듈은 최종 잠금 전에 원하는 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없고, 전체 컬럼을 부드럽게 마무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시키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11366호(2016. 04. 05)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770305호(2013 12 02)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9-0002724호(2009 03 18)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07690호(2014 06 09)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67908호(2014 11 26)가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다기능 등기구에 지주대연결부재와 연결링 그리고 컬럼과 링라이트 아울러 라이팅부와 뚜껑커버 및 제1,2연결부재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보행자 구역, 도시의 도로 및 거리, 주거용 거리, 기념물 및 외관, 철도역 및 대도시 원형 교차로, 교량, 공원, 자전거 경로, 주차장 및 분위기 연출 등에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CCTV, 라우드스피커, 보행자 신호등, 와이파이 시스템, 전기자동차 충전기 등 다양한 기능을 멀티 폴에 일체화하여 외부환경의 조형성을 갖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쉬운 고정, 회전 가능한 모듈 및 플러그인 연결을 통해 등기구는 매우 편리하고 유연한 도구이며, 조합을 선택하고 모듈을 연결하고 커넥터를 연결하면 셔플이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다양한 조합과 쉬운 설치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등기구는 설치 계약자에게 매우 편리한 시스템이고, 모듈의 플레어 암수 부분은 부드럽게 겹치도록 설계되었으며, 패킹(가스켓)을 포함하고, 두 개의 클램프를 사용하여 각 모듈의 완벽한 조임을 보장하고, 모듈을 단일 열에 결합할 수 있고, 회전 가능한 모듈은 최종 잠금 전에 원하는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고, 모듈이 잠겨지면 전용 장식 부품이 나사를 감추어 전체 컬럼을 부드럽게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6목적은 다양한 기능을 갖는 복수개의 설비가 갖추어지므로 사용상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도록 한 것이고, 제7목적은 다양한 기능의 설비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장점이 있고, 제8목적은 다양한 기능의 설비 각 몸체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공간에 맞게 방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9목적은 복수개의 컬럼 모듈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10목적은 이로 인해 등기구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다기능 등기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멀티 폴 라이트(Multi Pole Light)인 다기능 등기구가 구비되되, 지면상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대; 지주대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며, 지주대와 컬럼을 상호 견고히 고정 설치하는 지주대연결부재; 지주대연결부재와 컬럼 또는 컬럼과 컬럼 또는 컬럼과 링라이트 또는 링라이트와 라이팅부의 사이에 조립 설치되는 연결링; 지주대연결부재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며, 상하단에 각각 상부결합부와 하부결합부가 돌출 구비되고, 내부에 전자기기를 넣어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컬럼; 및 컬럼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어 360도 방향으로 빛을 비쳐주는 라이팅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등기구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기능 등기구에 지주대연결부재와 연결링 그리고 컬럼과 링라이트 아울러 라이팅부와 뚜껑커버 및 제1,2연결부재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보행자 구역, 도시의 도로 및 거리, 주거용 거리, 기념물 및 외관, 철도역 및 대도시 원형 교차로, 교량, 공원, 자전거 경로, 주차장 및 분위기 연출 등에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CCTV, 라우드스피커, 보행자 신호등, 와이파이 시스템, 전기자동차 충전기 등 다양한 기능을 멀티 폴에 일체화하여 외부환경의 조형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쉬운 고정, 회전 가능한 모듈 및 플러그인 연결을 통해 등기구는 매우 편리하고 유연한 도구이며, 조합을 선택하고 모듈을 연결하고 커넥터를 연결하면 셔플이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양한 조합과 쉬운 설치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등기구는 설치 계약자에게 매우 편리한 시스템이고, 모듈의 플레어 암수 부분은 부드럽게 겹치도록 설계되었으며, 패킹(가스켓)을 포함하고, 두 개의 클램프를 사용하여 각 모듈의 완벽한 조임을 보장하고, 모듈을 단일 열에 결합할 수 있고, 회전 가능한 모듈은 최종 잠금 전에 원하는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고, 모듈이 잠겨지면 전용 장식 부품이 나사를 감추어 전체 컬럼을 부드럽게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갖는 복수개의 설비가 갖추어지므로 사용상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의 설비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장점이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의 설비 각 몸체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공간에 맞게 방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컬럼 모듈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등기구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의 (a)(b)는 본 발명에 적용된 다기능 등기구의 제1실시예 분해 및 결
합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다기능 등기구의 제2실시예 결합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다기능 등기구의 제3실시예 결합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다기능 등기구의 제4실시예 결합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라이팅부의 구성도.
도 6 의 (a)(b)(c)는 본 발명에 적용된 뚜껑커버의 평면, 정면 및 저면도.
도 7 의 (a)(b)(c)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1연결부재의 평면, 정면 및 저면
도.
도 8 의 (a)(b)(c)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2연결부재의 평면, 정면 및 저면
도.
도 9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링라이트의 구성도.
도 10 의 (a)(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연결링의 정면도 및 저면도.
도 11 은 본 발명 연결링의 결합부위 구성도.
도 12 의 (a)(b)(c)는 본 발명의 컬럼에 다양한 제품이 설치된 상태도.
도 13 은 본 발명 지주대연결부재의 구성도.
도 14 의 (a)(b)는 본 발명 CCTV연결부재의 정면도 및 단면도.
본 발명에 적용된 다양한 솔류션을 제공하는 다기능 등기구는 도 1 내지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멀티 폴 라이트(Multi Pole Light)인 다기능 등기구(100)(제1실시예)(도1a,b) 또는 다기능 등기구(100a)(제2실시예)(도2), 또는 다기능 등기구(100b)(제3실시예)(도3), 또는 다기능 등기구(100c)(제4실시예)(도4)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다기능 등기구(100)(100a)(100b)(100c)는 지면상의 지주대(101)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지주대(101)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며, 지주대와 컬럼을 상호 견고히 고정 설치하는 지주대연결부재(11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주대연결부재(110)와 컬럼(130) 또는 컬럼(130)과 컬럼(130) 또는 컬럼(130)과 링라이트(140) 또는 링라이트(140)와 라이팅부(150)의 사이에 조립 설치되는 연결링(120)이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지주대연결부재(110)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며, 상하단에 각각 상부결합부(131)와 하부결합부(132)가 돌출 구비되고, 내부에 전자기기를 넣어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컬럼(130)이 구비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컬럼(130)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어 360도 방향으로 빛을 비쳐주는 라이팅부(150)가 포함된 다기능 등기구를 제공한다.
도면상 미 설명부호 103은 다기능 등기구(100)의 전체를 콘트롤하는 제어부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기술적 구성이 구비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컬럼(130)과 라이팅부(150)의 사이에는 간접 라이팅 기능을 갖는 링라이트(140)가 연결링(120)으로 조립된다.
이때 상기 링라이트(140)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141)와 하부몸체(142)가 볼트(143)로 연결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상부몸체(141)와 하부몸체(142)의 사이에는 커버(146)가 패킹(147)에 의해 긴밀히 조립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부몸체(141)와 하부몸체(142)의 사이에는 LED(144)램프의 빛을 외부로 퍼지도록 한 반사판(145)이 경사지게 조립 설치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지주대연결부재(110)는 하단에 지주대(101)의 내부에 긴밀히 밀착되면서 조립되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111)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내부에는 전선을 정리함과 아울러 파지해주는 전선패킹(112)이 포함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연결링(120)은 두개의 몸체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지주대연결부재(110) 또는 컬럼(130)의 상부결합부(131)와 하부결합부(132) 또는 라이팅부(15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끼움홈(121)이 형성되고, 상하단에는 다수의 리브(122)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라이팅부(15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제1연결부재(170)와 제2연결부재(180)의 사이에 조립 설치되어 간격을 유지시켜주며, 내부에는 전선이 삽입되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봉(151)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연결부재(170)와 제2연결부재(180)의 사이에 패킹으로 긴밀히 조립 설치되는 커버(152)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연결부재(170)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는 뚜껑커버(16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연결부재(170)에는 열 또는 습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어밴트(171)가 구비됨과 아울러 저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LED(172)램프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제2연결부재(180)의 외주면에는 연결링(120) 또는 컬럼(130)과 결합시 기밀을 유지시키는 패킹(181)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주대연결부재(110)와 컬럼(130) 또는 컬럼(130)과 컬럼(130) 또는 컬럼(130)과 링라이트(140) 또는 링라이트(140)와 라이팅부(150)의 사이에는, CCTV연결부재(190)가 조립 설치되되, 이 CCTV연결부재(190)는, CCTV(106)를 CCTV조립공(193)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편심지주(192)의 일측에 공간부(191)를 형성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컬럼(130)을 보행자 신호등(108)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컬럼(130)의 내부에는 스피커(105) 또는 CCTV(106) 또는 LED(107)램프 또는 그 외의 각종 전자기기를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지주대(101)의 상단에 파이프(102)를 연결한 후 파이프(102)의 상단에 라이팅부(15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다양한 솔류션을 제공하는 다기능 등기구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보행자 구역, 도시의 도로 및 거리, 주거용 거리, 기념물 및 외관, 철도역 및 대도시 원형 교차로, 교량, 공원, 자전거 경로, 주차장 및 분위기 연출 등에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1 의 (a)(b)는 다기능 등기구(100)의 제1실시예 분해 및 결합 구성도로, (a)는 연결링(120)이 다기능 등기구에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연결링(120)이 다기능 등기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도 1(a)(b)는 다수의 컬럼(130)이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컬럼(130)의 내부에는 스피커(105) 또는 CCTV(106) 또는 LED램프(107) 등이 조립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스피커(105)는 주변 보도 또는 횡단보도를 건너는 사람들에게 주변상황을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CCTV(106)는 다기능 등기구 또는 도로 주변등을 실시간 촬영하여 보관하게 되고, LED램프(107)는 다기능 등기구 주변이 어두워졌을 경우 자동을 점등되어 주변을 환하게 밝혀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2 의 (a)(b)(c)는 상기한 본 발명의 컬럼(130)에 다양한 제품이 설치된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의 도 5 내지 1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물론이고, 제2,3,4 실시예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라이팅부(150)의 구성도로, 360도 회전 모듈을 통해 주변을 환하게 밝혀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조립 설치된 지지봉(151)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라이팅부를 지지해주고, 외부의 커버(152)는 라이팅부(150)의 내부로 이물질투입 방지와 내부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이때 라이팅부(15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뚜껑거버와 제1,2연결부재가 조립 설치된다.
도 6 의 (a)(b)(c)는 본 발명에 적용된 뚜껑커버(160)의 평면, 정면 및 저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라이팅부(15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부를 마감하면서 이물질 투입 방지와 열 및 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7 의 (a)(b)(c)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1연결부재(170)의 평면, 정면 및 저면도로, 적소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어밴드(171)가 설치되어 열 또는 습기 등을 배추시키게 되고, 내부 저면의 LED(172)는 라이팅부(150)의 조명 역할을 해주게 된다.
도 8 의 (a)(b)(c)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2연결부재(180)의 평면, 정면 및 저면도로, 라이팅부(150)의 저면에 지지봉(151)으로 체결시 걸림턱이 형성되어 겉돌지 않게 되고, 외부에는 패킹(181)이 구비되어 기밀을 유지시키게 된다.
도 9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링라이트(140)의 구성도로, 상부몸체(141)와 하부몸체(142)를 볼트(143)로 긴밀히 체결함과 아울러 몸체와 커버(146)의 사이에 구비된 패킹(147)은 기밀유지, 방수 및 방습 기능을 부여해주고, 경사지게 설치된 반사판(145)은 LED(144)의 불빛을 외부로 반사시켜 밝혀주게 된다.
도 10 의 (a)(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연결링(120)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11 은 본 발명 연결링(120)의 결합부위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 연결링(120)에 형성된 다수의 리브(122)는 연렬링(120)의 구조를 보호하고, 특히 끼움홈(121)은 지주대연결부재(110)와 컬럼(130) 또는 컬럼(130)과 컬럼(130) 또는 컬럼(130)과 링라이트(140) 또는 링라이트(140)와 라이팅부(150)의 사이에 각각 긴밀히 조립 설치되도록 함과 아울러 기밀유지를 돕게 된다.
도 13 은 본 발명 지주대연결부재(110)의 구성도로, 하단에 형성된 다리(111)는 지주대(101)의 내부에 긴밀히 착탈되도록 결합되는 것이며, 내부에 구비된 전선패킹(112)은 전선을 가지런히 정리함과 아울러 기밀유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다기능 등기구(100)의 제2실시예 결합 구성도로, 다기능 등기구를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통행을 통제하는 기능과, CCTV(106)가 횡단보도 주변 등을 실시간 촬영하여 보관하게 되고, 스피커(105)는 횡단보도 상의 사람들에게 주변상황을 실시간 알려주는 역할을 해주게 되고, 링라이트(140)는 조명과 반사경을 통해 다양한 솔류션을 제공하고, 라이팅부(150)는 360도 회전 모듈을 통해 주변을 환하게 밝혀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한편,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다기능 등기구(100)의 제3실시예 결합 구성도이고, 도 14 의 (a)(b)는 본 발명 CCTV연결부재(190)의 정면도 및 단면도로, 다기능 등기구에 스피커(105)와 CCTV연결부재(190) 그리고 링라이트(140)와 라이팅부(15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상기한 도 14 의 CCTV연결부재(190)는 CCTV(106)의 크기가 커서 컬럼()의 내부에 조립할 수 없을 경우 사용하는 것으로, CCTV(106)를 편심된 CCTV조립공(193)에 조립하더라도 공간부(191)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조립 설치할 수 있고, 일측의 편심지주(192)는 CCTV연결부재(190)의 몸체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해주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적용된 도 4 는 다기능 등기구(100)의 제4실시예 결합 구성도로, 지주대(101)의 상단에 파이프(102)를 연결하고, 이 파이프(102)의 상단에는 전술한 라이팅부(150)만 간단하여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은 다기능 등기구(100)의 상단에 라이팅부(150)만 연결하여 심플하면서 간단하게 등기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제조원가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은 한 개의 주된 지주대(101)에 복수개의 컬럼(130)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컬럼(130)의 간단한 조립과 고정, 회전 가능한 모듈을 제공하고, 조합을 선택하고 모듈을 연결하고 컬럼을 연결하면 셔플이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 다기능 등기구는 스마트한 디자인 덕분에 등기구는 유지 관리가 거의 필요 없는 경제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 다양한 솔류션을 제공하는 다기능 등기구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0a, 100b, 100c: 다기능 등기구
110: 지주대연결부재
120: 연결링
130: 컬럼
140: 링라이트
150: 라이팅부
160: 뚜껑커버
170: 제1연결부재
180: 제2연결부재

Claims (5)

  1. 멀티 폴 라이트(Multi Pole Light)인 다기능 등기구(100)(100a)(100b)(100c)가 구비되되,
    지면상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대(101);
    지주대(101)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며, 지주대와 컬럼을 상호 견고히 고정 설치하는 지주대연결부재(110);
    지주대연결부재(110)와 컬럼(130) 또는 컬럼(130)과 컬럼(130) 또는 컬럼(130)과 링라이트(140) 또는 링라이트(140)와 라이팅부(150)의 사이에 조립 설치되되, 두개의 몸체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지주대연결부재(110) 또는 컬럼(130)의 상부결합부(131)와 하부결합부(132) 또는 라이팅부(15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끼움홈(121)이 형성되고, 상하단에는 다수의 리브(122)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연결링(120);
    지주대연결부재(110)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며, 상하단에 각각 상부결합부(131)와 하부결합부(132)가 돌출 구비되고, 내부에 전자기기를 넣어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컬럼(130);
    컬럼(130)과 라이팅부(150)의 사이에 연결링(120)으로 조립되며, 상부몸체(141)와 하부몸체(142)가 볼트(143)로 연결되고, 상부몸체(141)와 하부몸체(142)의 사이에는 커버(146)가 패킹(147)에 의해 긴밀히 조립 설치되고, 상부몸체(141)와 하부몸체(142)의 사이에는 LED(144)램프의 빛을 외부로 퍼지도록 한 반사판(145)이 경사지게 조립 설치된 간접 라이팅 기능을 갖는 링라이트(140); 및
    컬럼(130)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어 360도 방향으로 빛을 비쳐주는 라이팅부(15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등기구.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연결부재(110)는,
    하단에 지주대(101)의 내부에 긴밀히 밀착되면서 조립되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111); 및
    내부에는 전선을 정리함과 아울러 파지해주는 전선패킹(112);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등기구.
  3. 삭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부(150)는,
    제1연결부재(170)와 제2연결부재(180)의 사이에 조립 설치되어 간격을 유지시켜주며, 내부에는 전선이 삽입되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봉(151);
    제1연결부재(170)와 제2연결부재(180)의 사이에 패킹으로 긴밀히 조립 설치되는 커버(152); 및
    제1연결부재(170)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는 뚜껑커버(16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등기구.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연결부재(110)와 컬럼(130) 또는 컬럼(130)과 컬럼(130) 또는 컬럼(130)과 링라이트(140) 또는 링라이트(140)와 라이팅부(150)의 사이에는,
    CCTV연결부재(190)가 조립 설치되되, 이 CCTV연결부재(190)는,
    CCTV(106)를 CCTV조립공(193)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편심지주(192)의 일측에 공간부(191)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등기구.
KR1020190001393A 2019-01-04 2019-01-04 다기능 등기구 KR101977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393A KR101977098B1 (ko) 2019-01-04 2019-01-04 다기능 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393A KR101977098B1 (ko) 2019-01-04 2019-01-04 다기능 등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098B1 true KR101977098B1 (ko) 2019-05-10

Family

ID=66580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393A KR101977098B1 (ko) 2019-01-04 2019-01-04 다기능 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0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3669A (ko) * 2022-03-11 2023-09-19 (주)영공조명 모듈러 폴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724A (ko) 2007-07-04 2009-01-09 오재욱 한국형 식기세척기
KR100907873B1 (ko) * 2009-05-11 2009-07-14 (주)세광산업조명 Led 조명 장치
KR101111105B1 (ko) * 2010-12-24 2012-02-13 주식회사 정원엘피 가로등
KR20120108132A (ko) * 2011-03-23 2012-10-05 주식회사 알엠앤에코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
KR101407690B1 (ko) 2013-10-10 2014-06-16 주식회사 두리계전 양개형 다기능 가로등주
KR101467908B1 (ko) 2013-05-27 2014-12-02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가로등용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감시 시스템
KR101611366B1 (ko) 2015-07-07 2016-04-12 염택상 다기능 가로등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724A (ko) 2007-07-04 2009-01-09 오재욱 한국형 식기세척기
KR100907873B1 (ko) * 2009-05-11 2009-07-14 (주)세광산업조명 Led 조명 장치
KR101111105B1 (ko) * 2010-12-24 2012-02-13 주식회사 정원엘피 가로등
KR20120108132A (ko) * 2011-03-23 2012-10-05 주식회사 알엠앤에코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
KR101467908B1 (ko) 2013-05-27 2014-12-02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가로등용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감시 시스템
KR101407690B1 (ko) 2013-10-10 2014-06-16 주식회사 두리계전 양개형 다기능 가로등주
KR101611366B1 (ko) 2015-07-07 2016-04-12 염택상 다기능 가로등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3669A (ko) * 2022-03-11 2023-09-19 (주)영공조명 모듈러 폴 장치
KR102635937B1 (ko) * 2022-03-11 2024-02-14 (주)영공조명 모듈러 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814B1 (ko) Cctv 통합 폴대
KR102146254B1 (ko) 다방향 조립구조를 가지는 다기능 스마트 폴
US9328470B2 (en) Illuminated dissuader device
US20220090749A1 (en) Lamp Post with Tubular Pole
KR101977098B1 (ko) 다기능 등기구
KR101676633B1 (ko) 다기능 지주
KR101702090B1 (ko) 다기능 가로등
WO2015147573A1 (ko) 조명 융합형 무선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2411606B1 (ko) 다기능 아이오티 가로등
US6665986B1 (en) Phosphorescent paving block
KR101157778B1 (ko) 빛의 산란을 방지하는 감시카메라가 장착된 엘이디 보안등
KR101611366B1 (ko) 다기능 가로등 및 그 제어방법
KR101761758B1 (ko) 360도 회전이 가능한 적층형태의 경관조명용 모듈형 등기구
KR102497925B1 (ko) 다기능 모듈형 지주
KR100876949B1 (ko) 가로등 등주의 연결구조
KR102413819B1 (ko) 폴 베이스 안전시스템
KR200463353Y1 (ko) Cctv 지주 및 가로등주의 하부 고정 장치
KR200484267Y1 (ko) 통합형 보안장치
JP2005309826A (ja) 多機能防犯灯、並びにそれを有する防犯灯システム
KR100848332B1 (ko) 진동교통신호기
KR101190343B1 (ko)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다기능 공간을 구비한 엘이디 보안등
KR20130101699A (ko)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CN107816706A (zh) 灯杆及路灯
KR200462052Y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102040925B1 (ko) 보안 등기구 아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