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8132A -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 - Google Patents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8132A
KR20120108132A KR1020110025707A KR20110025707A KR20120108132A KR 20120108132 A KR20120108132 A KR 20120108132A KR 1020110025707 A KR1020110025707 A KR 1020110025707A KR 20110025707 A KR20110025707 A KR 20110025707A KR 20120108132 A KR20120108132 A KR 20120108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chanism module
detachably coupled
column
module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1144B1 (ko
Inventor
김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엠앤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엠앤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엠앤에코
Priority to KR1020110025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144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2Camera support structures, e.g. attachment means,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는 설치면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주대와, 지주대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형성된 기구체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는 도로 상의 기둥구조물 등에 형성되는 램프, 유도등, CCTV 카메라, 스피커 등의 장치가 기능별로 지주대와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별도의 기구체로 모듈화되고, 공용으로 사용되는 지주대에 모듈화된 다종(多種)의 기구체가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므로써, 시공의 규격화가 도모되어 시공작업의 편리성과 효율성이 증대되고, 지주대와 기구체의 분리 제조 및 모듈화된 기구체의 제조 등으로 생산공정 합리화가 도모되어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COLUMN ASSEMBLY WITH SELECTIVE DEVICE}
본 발명은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도로 상의 기둥구조물 등에 설치되는 램프, 유도등, CCTV 카메라, 스피커 등의 장치가 기능별로 지주대와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별도의 기구체로 모듈화되고, 공용으로 사용되는 지주대에 모듈화된 다종(多種)의 기구체가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므로써, 시공의 규격화가 도모되어 시공작업의 편리성과 효율성이 증대되고, 지주대와 기구체의 분리 제조 및 모듈화된 기구체의 제조 등으로 생산공정 합리화가 도모되어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나 보행자가 통행하게 되는 도로 상에는 어두울 시 도로를 밝히게 되는 가로등, 일정구역을 촬영하는 방범용 CCTV 카메라가 구비된 기둥 구조물, 정보를 알리거나 음악을 제공하는 스피커가 구비된 기둥 구조물, 유도등이 구비된 기둥 구조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로등을 비롯한 각종 외부시설물용 기둥 구조물은 도로 상에 설치됨에 따라, 통행하는 차량과 보행자와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 높이 이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종래의 외부시설물용 기둥 구조물은 외부시설물로서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램프, 유도등, CCTV 카메라, 스피커와 같은 장치가 지주대 상단에 형성되어 지주대와 일체를 이루는 구성임에 따라, 일정 높이 이상으로 형성되는 외부시설물용 기둥 구조물을 제조하고 설치하는데 번거로움이 많았다.
이를 개선하여 가로등과 같은 외부시설물용 기둥 구조물을 조립식으로 구성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61431호 "나사체결을 이용한 다단 조립식 가로등주", 등록번호 제10-0625018호 "조립식 가로등주", 등록번호 제10-0611553호 "가로등지주의 연결구조", 등록번호 제10-0380186호 "가로등주" 등으로 안출되었다.
이때, 상기 "나사체결을 이용한 다단 조립식 가로등주"는 가로등주가 연장지주, 상부연결관, 하부지지관 등의 다단으로 분리되어 나사체결 방식으로 조립되도록 한 기술이고, 상기 "조립식 가로등주"는 대구경의 하부 파이프와, 소구경의 상부파이프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져 미려한 외관과 설치의 용이성이 도모되도록 한 기술이며, 상기 "가로등지주의 연결구조"는 등기구가 설치조건에 따라 알맞는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되면서 설치되거나 변경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며, 상기 "가로등주"는 다단 구조의 복합재료 가로등주로 이루어져 제작, 운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기술이다.
그리고, 가로등과 같은 외부시설물용 기둥 구조물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54924호 "길이조절이 가능한 가로등주", 등록번호 제10-0337563호 "높이조절이 가능한 기둥조립체 및 상기 기둥조립체를 구비한 도로시설물 지지장치" 등이 안출되어 있는데, 상기 "길이조절이 가능한 가로등주"는 가로등주의 길이를 다단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고, 상기 "높이조절이 가능한 기둥조립체 및 상기 기둥조립체를 구비한 도로시설물 지지장치"는 이송축에 의해 승강하는 이송파이프에 의해 기둥 구조물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 기술이다.
한편, 가로등, 방범용 CCTV 카메라 장치가 구비된 기둥 구조물, 스피커 장치가 구비된 기둥 구조물, 유도등 장치가 구비된 기둥 구조물 등은 지주대 상단에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형성되는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지나, 지주대 상단에 각 장치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이어서 현재까지는 장치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기둥 구조물이 독립적으로 제조되어 설치되었다.
또한, 현재 공원, 산책로와 같은 공공장소에서는 대중들의 편의를 위해 조명을 위한 램프 장치나 스피커 장치 등이 동시에 구비되는 기둥 구조물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도 요구되는 기능에 맞추어 일일이 기둥 구조물을 설계한 후 제조 및 설치하게 되어 번거로움이 많았으므로, 다기능의 기둥 구조물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조하고 설치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현재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외부시설물을 이루는 기둥 조립체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지주대로부터 분리되어 모듈화됨에 따라, 기둥 조립체가 공용의 지주대와 선택요소인 모듈화된 기구체로 규격화되어 생산비 절감 및 제조/설치의 용이성이 도모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용의 지주대에 모듈화된 기구체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 제공됨에 따라, 기구체에 대한 유지보수작업이나 교체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종(多種)의 모듈화된 기구체가 서로 착탈가능하게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어 다기능의 단일한 기둥 조립체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단일한 기둥 조립체에서 수행되는 기능의 조합도 간편하게 조정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설치면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형성된 기구체를 포함하고, 서로 다른 종류의 장치를 형성한 다종(多種)의 기구체 중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상기 지주대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에서 상기 기구체는 장치의 종류에 따라 구성을 달리한 정해진 크기의 배럴(barrel) 형상으로 모듈화된 것이되, 다종의 기구체는 상기 지주대의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에서 상기 기구체는 상하방향 끝단면에 통공이 형성되어 전원라인과 제어라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달리 서로 이웃하여 연결되는 상기 지주대와 기구체, 서로 이웃하여 연결되는 상기 기구체는 서로 대응하는 부위에 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접속단자 간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접속단자에 전원라인과 제어라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접속되면서 상기 기구체의 장치에 전원라인과 제어라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에서 상기 기구체는 상하부에 통공과 접속단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각각 형성되어 전원라인과 제어라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통과되도록 하고, 상하부에 착탈형 결합구가 형성된 중간 기구체 모듈과; 하부에 통공과 접속단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전원라인과 제어라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통과되도록 하고, 상부가 폐쇄되며, 하부에 착탈형 결합구가 형성된 상단 기구체 모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되, 상기 중간 기구체 모듈의 하부는 상기 지주대와 중간 기구체 모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중간 기구체 모듈의 상부는 상기 중간 기구체 모듈과 상단 기구체 모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단 기구체 모듈의 하부는 상기 지주대와 중간 기구체 모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에 착탈형 결합구가 형성되어 상기 중간 기구체 모듈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둥상단 캡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에 의하면, 공용의 지주대와 모듈화된 기구체가 서로 착탈결합되는 구성의 제공으로 구성요소 제조 및 시공작업 상의 규격화가 도모되어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제조 및 시공작업의 편리성과 효율성이 증대되며, 유지보수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종(多種)의 모듈화된 기구체가 하나 이상 선택되어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어 다기능의 단일한 기둥 조립체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단일한 기둥 조립체에서 수행되는 기능의 조합도 간편하게 조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의 기술적 사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를 이루는 기구체의 기본 구성과 모듈화된 기구체의 실시예를 (a) 내지 (h)를 통해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3의 (a) 내지 (d)는 모듈화된 기구체의 각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의 (a) 내지 (c)는 모듈화된 기구체의 제1실시예에서 전원라인과 제어라인이 장치에 접속하는 구성의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의 (a)는 모듈화된 기구체의 제1실시예를 구비한 본 발명의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가 지주대, 중간 기구체 모듈, 상단 기구체 모듈에 의해 조립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의 (b)는 모듈화된 기구체의 제1실시예를 구비한 본 발명의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가 지주대, 중간 기구체 모듈, 기둥상단 캡에 의해 조립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의 외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의 기술적 사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100)는 가로등, 방범용 CCTV 카메라가 구비된 기둥 조립체, 스피커가 구비된 기둥 조립체, 유도등이 구비된 기둥 조립체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100)는 단일의 기둥 조립체에 램프, 카메라, 스피커, 유도등을 포함하는 각종 장치가 동시에 설치되어 단일의 기둥 조립체가 다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기둥 조립체(100)는 공용으로 사용되는 지주대(10)와 기능별로 분리되어 선택적으로 지주대(10)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기구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기둥 조립체(100)는 서로 분리되는 지주대(10)와 기구체(20)로 규격화되어 제조되고 시공될 수 있다.
지주대(10)는 정해진 길이의 바(bar)형상으로 이루어져 설치면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지주대(10)는 설치면에 단일하게 고정설치되어 상측으로 기구체(2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일정 길이로 규격화된 다수개의 지주대(10)가 구비되고, 일정갯수의 지주대(10)가 상하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면서 기구체(20)가 고정되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지주대(10)는 기둥 조립체(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변경되는 기구체(20)의 종류나 다수개의 기구체(20) 조합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사용된다.
기구체(20)는 지주대(10)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30)를 가진다. 이를 위하여 기구체(20)는 장치(30)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가지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기구체(20)의 내부구성이나 외부구성은 설치되는 장치(30)의 종류나 장치(30)의 특성에 맞추어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기구체(20)의 장치(30)로는 램프(30a), 카메라(30b), 스피커(30c), 유도등(30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구체(20)는 가로등과 같은 종래 기둥 조립체를 이루는 지주대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장치가 지주대로부터 분리되면서 독립된 구성요소를 이룬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100)는 기구체(20)가 장치(30)의 종류에 따라 구성을 달리한 정해진 크기의 배럴(barrel) 형상으로 모듈화되도록 하는데, 이에 따라, 기구체(20)는 장치(30)의 종류에 따라 일정규격으로 제조되고, 규격화된 방식으로 설치 시공된다.
이와 같은 기구체(20)는 지주대(10)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서로 다른 종류의 장치(30)를 형성한 다종(多種)의 기구체(20) 중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지주대(10)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주대(10)의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다종의 기구체(20)가 서로 착탈가능하게 상호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종의 기구체(20)가 지주대(10) 상측에서 상호결합되므로써, 단일의 기둥 조립체(100)에 다종의 장치(30)가 동시적으로 구비되어 다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지주대(10)와 기구체(20) 간 결합이나, 다종의 기구체(20) 간 결합은 지주대(10)와 기구체(20) 각각에 형성되는 착탈형 결합구(12)(4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착탈형 결합구(12)(40)는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가로등을 포함한 일반적인 기둥 조립체, 지주대, 램프, 카메라, 스피커, 유도등, 착탈 구조의 체결요소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를 이루는 기구체의 기본 구성과 모듈화된 기구체의 실시예를 (a) 내지 (h)를 통해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고, 도 3의 (a) 내지 (d)는 모듈화된 기구체의 각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100)를 이루는 기구체(20)는 상하방향 끝단부에 착탈형 결합구(40)를 형성하고, 장치(30)의 종류에 따라 구성을 달리한 정해진 크기의 배럴 형상으로 모듈화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기구체(20)는 장치(30) 종류별로 하나 이상의 패턴으로 규격화될 수 있게 된다.
도 2의 (a) 내지 (h)는 착탈형 결합구(40)의 구성을 달리하여 모듈화된 기구체(20)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의 (a) 내지 (d)는 기구체(20)의 상하부에 착탈형 결합구(40)가 각각 형성된 기구체(20)의 실시예들이고, 도 2의 (e) 내지 (h)는 기구체(20)의 하부에 착탈형 결합구(40)가 형성된 기구체(20)의 실시예들이다. 여기서, 도 2의 (a) 내지 (h) 이외의 다양한 구성으로 모듈화된 기구체(20)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의 (a)는 기구체(20)의 상하단이 나사산 가공되면서 착탈형 결합구(40)를 이루도록 한 것으로, 기구체(20)의 하단에는 수나사 가공된 결합단(42a)이 형성되어 있고, 기구체(20)의 상단에는 암나사 가공된 결합단(42b)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결합단(42a)(42b)의 위치는 상하 반전될 수 있다.
도 2의 (b)는 기구체(20)의 상하단에 플랜지(44)가 수평하게 형성되면서 착탈형 결합구(40)를 이루도록 한 것으로, 플랜지(44) 가장자리 둘레의 정해진 위치에 볼트공(442)이 형성되어 체결볼트(8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의 (c)는 기구체(20)의 하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삽입단(46a)과 기구체(20)의 하부가 일정길이로 요입되어 형성된 삽입홈(46b)이 착탈형 결합구(40)를 이루도록 한 것으로, 삽입홈(46b)을 둘러싸는 기구체(20)의 상부 측면 부위에는 볼트공(462)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삽입단(46a)을 이루는 기구체(20)의 하부 측면 부위에는 일정깊이로 볼트공(464)이 형성되어 체결볼트(8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삽입단(46a)과 삽입홈(46b)의 위치는 상하 반전될 수 있다.
도 2의 (d)는 기구체(20)의 상하단에 체결돌기(48a)가 수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면서 착탈형 결합구(40)를 이루도록 한 것으로, 체결돌기(48a)의 정해진 위치에 볼트공(482)이 형성되어 체결볼트(8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의 (e)는 도 2의 (a)에 대응하는 것으로, 기구체(20)의 하단에만 수나사 가공된 결합단(42a)이 착탈형 결합구(40)로서 형성된 것이고, 도 2의 (f)는 도 2의 (b)에 대응하는 것으로, 기구체(20)의 하단에만 볼트공(442)을 가진 플랜지(44)가 착탈형 결합구(40)로서 형성된 것이며, 도 2의 (g)는 도 2의 (c)에 대응하는 것으로, 기구체(20)의 하단에만 볼트공(462)을 가진 삽입단(46a)이 착탈형 결합구(40)로서 형성된 것이고, 도 2의 (h)는 도 2의 (d)에 대응하는 것으로, 기구체(20)의 하단에만 볼트공(482)을 가진 체결돌기(48a)가 착탈형 결합구(40)로서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도 2의 (a) 내지 (d)는 중간 기구체 모듈(20a)로 사용되는 기구체(20)의 실시예들이고, 도 2의 (e) 내지 (h)는 상단 기구체 모듈(20b)로 사용되는 기구체(20)의 실시예들인데, 중간 기구체 모듈(20a)과 상단 기구체 모듈(20b)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의 (a) 내지 (d)는 모듈화된 기구체의 각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모듈화된 기구체(20)의 제1실시예는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는 기구체(20)의 서로 대응하는 결합단(42a)(42b)이 볼트-너트 결합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하측 기구체(20) 상단의 암나사가공된 결합단(42b)과 상측 기구체(20) 하단의 수나사가공된 결합단(42a)이 서로 맞물리면서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체결요소 없이 기구체(20)가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어 기둥 조립체(100) 시공을 위한 설치작업이나 유지보수를 위한 분해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기구체(20)의 제1실시예는 결합단(42a)(42b)이 기구체(20)의 상하면 둘레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 들어간 형상으로 기구체(20)의 수평단면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기구체(20)의 내측에서 결합단(42a)(42b)이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서로 결합되는 기구체(20)의 외주면이 단(段)을 형성시키지 않고 매끈하게 연결되어 기둥 조립체(100)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듈화된 기구체(20)의 제1실시예는 지주대(1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지주대(10)의 상단에는 암나사가공된 결합단(12a)이 착탈형 결합구(12)로서 형성된다. 이로써, 기구체(20)와 지주대(10)도 볼트-너트 결합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기둥 조립체(100) 시공을 위한 설치작업이나 유지보수를 위한 분해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모듈화된 기구체(20)의 제2실시예는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는 기구체(20)의 서로 대응하는 플랜지(44)가 서로 밀착되면서 볼트공(442)이 상하로 관통되도록 한 후, 플랜지(44)의 볼트공(442)으로 삽입되는 체결볼트(80)에 체결너트(90)가 결합되므로써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하측 기구체(20) 상단의 플랜지(44)와 상측 기구체(20) 하단의 플랜지(44)가 서로 밀착되면서 체결볼트(80)와 체결너트(90)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모듈화된 기구체(20)의 제2실시예는 지주대(1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지주대(10)의 상단에도 볼트공(122)이 형성된 플랜지(12b)가 착탈형 결합구(12)로서 형성된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모듈화된 기구체(20)의 제3실시예는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는 기구체(20)의 서로 대응하는 삽입단(46a)과 삽입홈(46b)이 서로 맞물리면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하측 기구체(20) 상단의 삽입홈(46b)에 상측 기구체(20) 하단의 삽입단(46a)이 끼워지면서 삽입홈(46b)의 볼트공(462)과 삽입단(46a)의 볼트공(464)이 서로 연결되도록 한 후, 볼트(462)(464)을 통해 체결볼트(80)를 조여주므로써 서로 이웃하는 기구체(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볼트공(462)(464)은 탭핑 가공되어 체결볼트(80)만으로 서로 이웃하는 기구체(20)가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고, 볼트공(462)(464)이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볼트공(462)(464)를 관통하는 체결볼트(80)에 체결너트가 체결되므로써 서로 이웃하는 기구체(20)가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구체(20)의 제3실시예도 기구체(20)의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삽입단(46a)과 삽입홈(46b)이 기구체(20)의 상하면 둘레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 들어간 형상으로 기구체(20)의 수평단면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기구체(20)의 내측에서 삽입단(46a)과 삽입홈(46b)이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서로 결합되는 기구체(20)의 외주면이 단(段)을 형성시키지 않고 매끈하게 연결되어 기둥 조립체(100)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듈화된 기구체(20)의 제3실시예는 지주대(1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기구체(20)의 하측 삽입단(46a)에 형성된 볼트공(462)에 대응하는 볼트공(122)이 지주대(10)의 상단에 착탈형 결합구(12)로서 형성된다.
도 3의 (d)를 참조하면, 모듈화된 기구체(20)의 제4실시예는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는 기구체(20)의 서로 대응하는 체결돌기(48a) 사이에 연결구(48b)가 끼워지고, 각 체결돌기(48a)의 볼트공(482)과 연결구(48b)에 형성된 볼트공(482)이 서로 관통되게 연결된 후, 볼트공(482)을 통과하는 체결볼트(80)에 체결너트(90)가 체결되면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모듈화된 기구체(20)의 제4실시예는 볼트공(482)을 형성한 체결돌기(48a)와 이에 대응하여 볼트공(482)을 형성한 연결구(48b)이 착탈형 결합구(40)로 이루게 된다. 여기서, 기구체(20)의 체결돌기(48a)는 기구체(20)의 끝단 표면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며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기구체(20)의 끝단 표면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일정길이의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연결구(48b)도 체결돌기(48a)에 대응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체결돌기(48a)에 대응하는 일정길이의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결구(48b)는 '┤'형 수직단면 형상을 가져 측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부위가 서로 이웃하는 기구체(20)의 상하단에 끼워지도록 할 수도 있고, 수평단 없이 수직단만을 가진 '│'형 수직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모듈화된 기구체(20)의 제4실시예는 지주대(1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기구체(20)의 하측 체결돌기(48a)에 형성된 볼트공(482)에 대응하는 볼트공(122)이 지주대(10)의 상단에 착탈형 결합구(12)로서 형성되어 연결구(48b)에 의해 기구체(20)와 지주대(1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의 (a) 내지 (c)는 모듈화된 기구체의 제1실시예에서 전원라인과 제어라인이 장치에 접속하는 구성의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모듈화된 기구체(20)의 제1실시예가 적용된 본 발명의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100)는 기구체(20)의 상하방향 끝단면에 각각 하나의 통공(22)이 형성되어 전원라인(60)과 제어라인(70)이 통과하여 장치(3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장치(30)가 전원라인(60)만을 요구할 경우에는 장치(30)에 전원라인(60)만이 결합되고, 장치(30)가 제어라인(70)만을 요구할 경우에는 장치(30)에 제어라인(70)만이 결합되며, 장치(30)가 전원라인(60)과 제어라인(70)을 요구할 경우에는 장치(30)에 전원라인(60)과 제어라인(70)이 동시에 결합된다. 여기서, 각 기구체(20)의 하부에 형성된 통공(22)으로는 해당 기구체(20)의 장치(30)와 해당 기구체(20) 상측에 배치되는 기구체(20)의 장치(30)가 요구하는 전원라인(60)이나 제어라인(70)이 동시에 입력되어 통과되고, 각 기구체(20)의 상부에 형성된 통공(22)으로는 해당 기구체(20) 상측에 배치되는 기구체(20)의 장치(30)가 요구하는 전원라인(60)이나 제어라인(70)이 출력되어 통과된다. 서로 이웃하여 결합되는 기구체(20)에 형성되는 통공(22)은 서로 관통하여 연결되어 전원라인(60)이나 제어라인(70)이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원라인(60)과 제어라인(70)은 기구체(20) 하측의 지주대(10)의 내부를 통과하여 기구체(20)로 제공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모듈화된 기구체(20)의 제1실시예가 적용된 본 발명의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100)는 기구체(20)의 상하방향 끝단면에 각각 한쌍의 통공(22)을 형성하여 전원라인(60)과 제어라인(70)이 서로 분리되어 통공(22)을 통과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모듈화된 기구체(20)의 제1실시예가 적용된 본 발명의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100)는 기구체(20)의 상하방향 끝단면에 별도의 접속단자(24)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기구체(20)의 하면에 형성된 접속단자(24)와 해당 기구체(20)의 장치(30) 사이에 전원라인(60)이나 제어라인(70)이 형성되면서 해당 기구체(20)의 장치(30)에 전원이나 제어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서로 이웃하여 연결되는 기구체(20)는 서로 대응하는 부위의 접속단자(24)가 서로 접촉하여 연결되도록 하는데, 각 기구체(20)의 상하면에 형성된 접속단자(24)는 기구체(20)의 내부에서 접속라인(242)을 통해 서로 연결 접속된다. 이에 따라, 기구체(20)의 하면에 형성된 접속단자(24)로부터 기구체(20)의 상면에 형성된 접속단자(24)로 전원과 제어신호가 전달된다. 이로써, 상측의 기구체(20)의 접속단자(24)는 하측 기구체(20)의 접속단자(24)로부터 전원이나 제어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구체(20)의 상하방향 끝단면에 통공(22)이나 접속단자(24)가 형성됨에 따라, 지주대(10)와 기구체(20), 다종의 기구체(20)가 서로 조립되어 기둥 조립체(100)를 이루더라도 기둥 조립체(100)의 내부에서 전원라인(60)이나 제어라인(70)이 기구체(20)의 장치(30)에 안정되고 원활하게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원라인(60)이나 제어라인(70)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공(22)이나 접속단자(24)의 구성은 모듈화된 기구체(20)의 제1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모듈화된 기구체(20)의 타 실시예에 두루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의 (a)는 모듈화된 기구체의 제1실시예를 구비한 본 발명의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가 지주대, 중간 기구체 모듈, 상단 기구체 모듈에 의해 조립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모듈화된 기구체(20)의 제1실시예가 적용된 본 발명의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100)는 지주대(10)와 다종의 기구체(20)가 상하방향으로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기구체(20)는 중간 기구체 모듈(20a)과 상단 기구체 모듈(20b)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중간 기구체 모듈(20a)은 기구체(20)의 상하부에 착탈형 결합구(40)가 각각 형성된것으로, 기구체(20)의 상하면에는 통공(22)이 각각 형성되어 전원라인(60)이나 제어라인(70)이 통과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단 기구체 모듈(20b)은 기구체(20)의 하부에 착탈형 결합구(40)가 형성된 것으로, 기구체(20)의 하면에는 통공(22)이 형성되어 전원라인(60)이나 제어라인(70)이 통과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단 기구체 모듈(20b)은 상부가 폐쇄되어 기둥 조립체(100)의 상단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중간 기구체 모듈(20a)과 상단 기구체 모듈(20b)은 통공(22)을 대신하여 접속단자(24)를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중간 기구체 모듈(20a)은 하측으로 지주대(10)나 다른 종류의 중간 기구체 모듈(20a)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물론, 경우에 따라 동일 종류의 중간 기구체 모듈(20a)가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중간 기구체 모듈(20a)은 상측으로 다른 종류의 중간 기구체 모듈(20a)이나 상단 기구체 모듈(20b)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물론, 경우에 따라 동일 종류의 중간 기구체 모듈(20a)가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단 기구체 모듈(20b)은 하측으로 지주대(10)나 중간 기구체 모듈(20a)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도 5의 (b)는 모듈화된 기구체의 제1실시예를 구비한 본 발명의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가 지주대, 중간 기구체 모듈, 기둥상단 캡에 의해 조립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모듈화된 기구체(20)의 제1실시예가 적용된 본 발명의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100)는 상단 기구체 모듈(20b)을 대신하는 기둥상단 캡(50)이 구비되어 기둥상단 캡(50)이 기둥 조립체(100)의 상단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둥상단 캡(50)의 상부는 폐쇄되고, 기둥상단 캡(50)의 하부에는 착탈형 결합구(52)가 형성되어 중간 기구체 모듈(20a)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중간 기구체 모듈(20a), 상단 기구체 모듈(20b), 기둥상단 캡(50)을 구비하는 구성은 모듈화된 기구체(20)의 제1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모듈화된 기구체(20)의 타 실시예에 두루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의 외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100)는 지주대(10) 상측으로 램프(30a)가 구비된 중간 기구체 모듈(20a), 스피커(30c)가 구비된 중간 기구체 모듈(20a), 방법용 CCTV 카메라(30b)가 구비된 중간 기구체 모듈(20a), 유도등(30d)이 구비된 중간 기구체 모듈(20a) 및 기둥상단 캡(50)이 순차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100)는 도 6의 (b)에서와 같이 지주대(10) 상측으로 램프(30a)가 구비된 중간 기구체 모듈(20a), 스피커(30c)가 구비된 중간 기구체 모듈(20a), 방법용 CCTV 카메라(30b)가 구비된 중간 기구체 모듈(20a), 유도등(30d)이 구비된 중간 기구체 모듈(20a) 및, 기둥상단 캡(50)이 순차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100)는 지주대(10) 상측으로 스피커(30c)가 구비된 중간 기구체 모듈(20a), 유도등(30d)이 구비된 상단 기구체 모듈(20b)이 순차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100)는 단일한 기둥 조립체(100)에 다종의 장치(30)를 가진 기구체(20) 다수개가 설치되도록 하는데, 지주대(10)와 기구체(20) 간 결합이나, 다종의 기구체(20) 간 결합이 착탈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단일한 기둥 조립체(100)에 설치되는 기구체(20)의 조합도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지주대 12, 40, 52 : 착탈형 결합구
12a, 42a, 42b : 결합단 12b, 44 : 플랜지
12c, 122, 442, 462, 464, 482 : 볼트공 20 : 기구체
20a : 중간 기구체 모듈 20b : 상단 기구체 모듈
22 : 통공 24 : 접속단자
242 : 접속라인 30 : 장치
30a : 램프 30b : 카메라
30c : 스피커 30d : 유도등
46a : 삽입단 46b : 삽입홈
48a : 체결돌기 48b : 연결구
50 : 기둥상단 캡 60 : 전원라인
70 : 제어라인 80 : 체결볼트
90 : 체결너트
100 :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

Claims (6)

  1. 설치면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형성된 기구체를 포함하고,
    서로 다른 종류의 장치를 형성한 다종(多種)의 기구체 중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상기 지주대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체는 장치의 종류에 따라 구성을 달리한 정해진 크기의 배럴(barrel) 형상으로 모듈화된 것이되,
    다종의 기구체는 상기 지주대의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체는 상하방향 끝단면에 통공이 형성되어 전원라인과 제어라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
  4. 제 2 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연결되는 상기 지주대와 기구체, 서로 이웃하여 연결되는 상기 기구체는 서로 대응하는 부위에 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접속단자 간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접속단자에 전원라인과 제어라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접속되면서 상기 기구체의 장치에 전원라인과 제어라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체는 상하부에 통공과 접속단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각각 형성되어 전원라인과 제어라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통과되도록 하고, 상하부에 착탈형 결합구가 형성된 중간 기구체 모듈과; 하부에 통공과 접속단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전원라인과 제어라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통과되도록 하고, 상부가 폐쇄되며, 하부에 착탈형 결합구가 형성된 상단 기구체 모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중간 기구체 모듈의 하부는 상기 지주대와 중간 기구체 모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중간 기구체 모듈의 상부는 상기 중간 기구체 모듈과 상단 기구체 모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단 기구체 모듈의 하부는 상기 지주대와 중간 기구체 모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에 착탈형 결합구가 형성되어 상기 중간 기구체 모듈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둥상단 캡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
KR1020110025707A 2011-03-23 2011-03-23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 KR101261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707A KR101261144B1 (ko) 2011-03-23 2011-03-23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707A KR101261144B1 (ko) 2011-03-23 2011-03-23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132A true KR20120108132A (ko) 2012-10-05
KR101261144B1 KR101261144B1 (ko) 2013-05-06

Family

ID=47279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707A KR101261144B1 (ko) 2011-03-23 2011-03-23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1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614A (ko) * 2014-09-03 2016-03-14 박충선 다기능 가로등
KR101971820B1 (ko) * 2018-01-05 2019-04-23 주식회사 에스앤더블유 그린에너지 기반의 하이브리드 기능 폴 구조물
KR101977098B1 (ko) * 2019-01-04 2019-05-10 염택상 다기능 등기구
KR20230133669A (ko) * 2022-03-11 2023-09-19 (주)영공조명 모듈러 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161B1 (ko) 2020-09-23 2021-11-22 주식회사 거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도로표지용 지주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3616A (ja) * 2002-03-19 2003-09-26 Shimizu Corp 通信塔
KR100728270B1 (ko) 2006-03-21 2007-06-13 김강중 행사용 장식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614A (ko) * 2014-09-03 2016-03-14 박충선 다기능 가로등
KR101971820B1 (ko) * 2018-01-05 2019-04-23 주식회사 에스앤더블유 그린에너지 기반의 하이브리드 기능 폴 구조물
KR101977098B1 (ko) * 2019-01-04 2019-05-10 염택상 다기능 등기구
KR20230133669A (ko) * 2022-03-11 2023-09-19 (주)영공조명 모듈러 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1144B1 (ko) 201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144B1 (ko) 외부시설물용 장치 조립형 열주
US10982827B2 (en) Modular assembled outdoor lighting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light pole structure
KR101396229B1 (ko) 스페이스 프레임의 연결장치
KR101589365B1 (ko) 조명등 장치
KR101605402B1 (ko) 천정매입형 등기구 프레임
US20160109101A1 (en) Lighting Fixture Mounting Post
KR101448838B1 (ko) 내부 체결식 가로등 등주
KR101882989B1 (ko) 회전방지형 가로등
CN205560506U (zh) 客厅集成吊顶塑料花格装饰灯
KR101315835B1 (ko) 조립식 가로등 주
KR101834537B1 (ko) 조명등용 천장 고정장치
CN107816706A (zh) 灯杆及路灯
CN103017051A (zh) 一种灯具
CN207217471U (zh) 固态高强度放电顶篷灯具改装组件
CN204477951U (zh) 组合式灯具接头
CN101177982A (zh) 灯饰立柱
JP6617409B2 (ja) 屋外用照明装置
CN203834849U (zh) 建筑用设备集成模块及结构
CN204026533U (zh) 用于灯具的安装支架和包括这种安装支架的安装机构
CN215808172U (zh) 一种模块化灯杆用灯杆连接装置
KR20000003802U (ko) 조경용 가로등
KR20190010263A (ko) 레일형 다기능 전주 및 체결방법
CN205560504U (zh) 便于安装的集成灯盘系统
CN103604102B (zh) 一种灯具连接器
CN103758306B (zh) 建筑用设备集成模块及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