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105B1 - 가로등 - Google Patents

가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105B1
KR101111105B1 KR1020100135026A KR20100135026A KR101111105B1 KR 101111105 B1 KR101111105 B1 KR 101111105B1 KR 1020100135026 A KR1020100135026 A KR 1020100135026A KR 20100135026 A KR20100135026 A KR 20100135026A KR 101111105 B1 KR101111105 B1 KR 101111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diaphragm
door
moisture
flag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원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원엘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원엘피
Priority to KR1020100135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2Flagp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등기구; 상기 등기구가 일단부에 설치되는 아암; 상기 아암이 상단부에 연결되고, 지중에 매립된 콘크리트재 기초대상에 고정되는 등주; 및 상기 등주에 마련되고, 등주의 하단부를 전선의 관통이 가능한 상태로 격리시키는 습기차단구;를 포함하고, 상기 습기차단구가 마련된 상기 등주에 내장되어 깃대가 꽂히는 깃대꽂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깃대꽂이는, 상기 등주에 형성되는 삽입구멍;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되고, 깃대가 꽂히는 꽂이구멍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등주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꽂이구멍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단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며, 상기 도어는 둘레의 함몰부에 매몰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가로등의 식별정보가 표기된 태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습기차단구가 등주의 하부측 습기를 차단하므로 습기가 등주의 상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깃대꽂이를 통해 깃대를 꽂을 수 있다.

Description

가로등 { STREETLAMP }
본 발명은 등주의 내부로 침투되는 습기를 차단할 수 있으며, 깃대를 꽂을 수 있는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등주의 상단부에 등기구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가로등은 차도나 보도 등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도로에 조명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가로등은 등주의 하단에 형성되는 플랜지가 지중에 매설되는 기초대에 볼팅되어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가로등은 볼팅되는 볼트에 볼트캡을 설치하여 볼트의 볼팅상태를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가로등은 전기가 통전되는 등주의 내부로 지면의 습기가 공급되므로 장기간 사용시 누전의 위험이 있으며, 습기에 의한 결로나 결로의 결빙 및 해빙에 의해 전선의 피복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도로의 미관과 보행자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등주의 하단부가 지중에 매설되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가로등은 더욱 많은 습기가 등주의 내부로 공급되므로 전선의 피복수명이 더욱더 단축된다.
다른 한편, 일반적인 가로등은 파이프 형태의 깃대꽂이가 등주의 상단부 외측에 돌출설치된다. 따라서, 등주는 깃대꽂이에 깃대를 꽂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가로등은 깃대꽂이가 외부로 돌출되므로 미관이 저해되고, 깃대꽂이의 하부가 지지되지 못하므로 깃대를 빈번하게 꽂을 경우 깃대꽂이가 변형되어 깃대가 잘 꽂히지 못하며, 깃대꽂이에 우수가 유입되어 등주에 녹물이 흐르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등주의 하단부를 전선의 관통이 가능한 상태로 외부와 격리시켜서 등주의 하단부로 유입되는 습기가 등주의 상부로 소통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가로등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깃대를 게양할 수 있는 부재가 등주에 매립된 상태로 마련된 가로등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명을 제공하는 등기구; 상기 등기구가 일단부에 설치되고 수평을 이루는 아암; 상기 아암이 상단부에 연결되고, 지중에 매립된 콘크리트재 기초대상에 고정되는 등주; 및 상기 등주의 하단부에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등주의 하단부를 전선의 관통이 가능한 상태로 외부와 격리시켜서 등주의 하단부로 유입되는 습기가 등주의 상부로 소통되는 것을 차단하는 습기차단구;를 포함하고, 상기 습기차단구가 마련된 상기 등주에 내장되어 깃대가 꽂히는 깃대꽂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깃대꽂이는 예컨대, 상기 등주에 형성되는 삽입구멍; 상기 삽입구멍에 부합하는 외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구멍을 통해 등주의 내부로 삽입되며, 깃대가 꽂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기울어진 꽂이구멍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등주에 형성된 삽입구멍의 외측면 연부에 걸림되어 고정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힌지 체결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상기 꽂이구멍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단부가 상기 힌지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단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여닫이 식으로 상기 삽입구멍을 개폐하며, 상기 도어와 상기 플레이트가 접촉하는 부분이 차양되도록 도어의 둘레를 따라 함몰부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가 함몰부에 매몰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등주로 이루어진 가로등의 식별정보가 표기된 태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습기차단구는 예컨대, 상기 등주의 내측에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등주의 하부를 상부와 분할상태로 격리시키고, 상기 등주에 배선되는 전선을 관통시키는 전선공을 갖는 격판; 및 상기 격판을 상기 등주의 내주면에 수평상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예컨대, 상기 등주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격판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돌출턱; 상기 돌출턱과 이격되면서 상기 등주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격판의 상부면에 걸리는 복수의 걸림돌기; 및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상태로 상기 격판의 외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노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습기차단구는 예컨대, 상기 등주의 하단부에 내장되는 인서트관; 및 상기 인서트관의 내측에 수평상태로 마련되어 인서트관의 중공을 차폐하고, 상기 등주에 배선되는 전선을 관통시키는 전선공을 갖는 격판;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습기차단구는 예컨대, 상기 등주의 하단부에서 분할되어 등주의 하부를 이루고, 상기 콘크리트재 기초대상에 볼팅으로 고정되는 플랜지 및 플랜지에 지지되는 지지리브가 하단부에 동일체로 마련된 하단등주; 상기 하단등주의 내부로 하부측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단등주의 상부로 상부측이 돌출되며, 돌출된 상부측에 하단등주에서 분할된 상기 등주의 상부측이 삽입되어 등주의 상부측과 하단등주를 연결하는 인서트관; 상기 인서트관의 상부 및 하부를 상기 등주의 상부측 및 상기 하단등주에 제각기 고정하는 패스너; 및 상기 인서트관의 내주면에 수평상태로 마련되어 인서트관을 상부 및 하부로 양분하면서 인서트관의 하부를 차폐하고, 상기 등주에 배선되는 전선을 관통시키는 전선공을 갖는 격판;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또 달리, 상기 습기차단구는 예컨대, 상기 등주의 하단부에서 분할되어 등주의 하부를 이루고, 상기 콘크리트재 기초대상에 볼팅으로 고정되는 플랜지 및 플랜지에 지지되는 지지리브가 하단부에 동일체로 마련된 하단등주; 상기 하단등주의 하단부에 내장되는 인서트관; 상기 인서트관에 수평상태로 마련되어 인서트관의 중공을 차폐하고, 상기 등주에 배선되는 전선을 관통시키는 전선공을 갖는 격판; 상기 하단등주에 하부가 삽입되어 상기 격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단등주의 상부로 상부측이 돌출되며, 돌출된 상부측에 하단등주에서 분할된 상기 등주의 상부측이 삽입되어 등주의 상부측과 하단등주를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상부 및 하부를 상기 등주의 상부측 및 상기 하단등주에 제각기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격판의 전선공을 통해 침투되는 습기를 방습하는 방습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방습부재는 예컨대, 상기 격판의 전선공에 설치되고, 내부로 전선이 관통되는 중공볼트; 상기 중공볼트에 내장되어 전선을 감싸는 패킹관; 및 상기 중공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패킹관을 압축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격판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격판의 테두리를 수밀하는 수밀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수밀수단은 예컨대, 상기 격판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홈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패킹링이나, 상기 격판의 테두리가 밀착되는 상기 등주의 내주면을 접착하면서 수밀하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바와 달리, 본 발명은 조명을 제공하는 등기구; 상기 등기구가 일단부에 설치되고 수평을 이루는 아암; 상기 아암이 상단부에 연결되고, 지중에 매립된 콘크리트재 기초대상에 고정되는 등주; 및 상기 등주의 하단부에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등주의 하단부를 전선의 관통이 가능한 상태로 외부와 격리시켜서 등주의 하단부로 유입되는 습기가 등주의 상부로 소통되는 것을 차단하는 습기차단구;를 포함하고, 상기 습기차단구가 마련된 상기 등주에 내장되어 깃대가 꽂히는 깃대꽂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깃대꽂이는 예컨대, 상기 등주에 형성되는 삽입구멍; 상기 삽입구멍에 부합하는 외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구멍을 통해 등주의 내부로 삽입되며, 깃대가 꽂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기울어진 꽂이구멍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등주에 형성된 삽입구멍의 외측면 연부에 걸림되어 고정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힌지 체결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상기 꽂이구멍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도어는 하단부가 상기 힌지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하단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여닫이 식으로 상기 꽂이구멍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어의 상단부에 돌출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가압력이나 도어에 다시 가해지는 재가압력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를 로킹하거나 언로킹하는 로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커는 예컨대,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거나 도어에 다시 가해지는 재가압력에 의해 걸림돌기의 걸림을 해제하는 걸고리; 상기 걸고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 상기 토션스프링 및 걸고리가 일측에 힌지고정되고, 상기 걸림돌기에 가해지는 가압력이나 재가압력에 의해 수평상태로 슬라이딩하면서 토션스프링을 압축시키거나 압축을 해제하며, 일측에 진입구가 마련된 폐루프형태의 가이드홈이 타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캠; 상기 슬라이딩캠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 및 슬라이딩캠이 내장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일단부가 힌지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캠의 가이드홈에 타단부가 삽입되며, 슬라이딩캠의 슬라이딩에 의해 일단부를 중심으로 가이드홈을 따라 타단부가 삽입되어 가이드홈의 일부분에 걸리거나 가이드홈에서 이탈되면서 슬라이딩캠을 슬라이딩상태로 로킹하거나 로킹을 해제하는 랫치핀;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습기차단구는, 상기 등주의 내측에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등주의 하부를 상부와 분할상태로 격리시키고, 상기 등주에 배선되는 전선을 관통시키는 전선공을 갖는 격판; 및 상기 격판을 상기 등주의 내주면에 수평상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등주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격판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돌출턱; 상기 돌출턱과 이격되면서 상기 등주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격판의 상부면에 걸리는 복수의 걸림돌기; 및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상태로 상기 격판의 외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노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로등은, 습기차단구가 등주의 하단부를 전선의 관통이 가능한 상태로 외부와 격리시켜서 등주의 하단부로 유입되는 습기가 등주의 상부로 소통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등주를 습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 깃대를 꽂는 깃대꽂이가 등주에 매립된 상태로 마련됨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깃대꽂이의 본체가 등주에 내장되어 등주의 삽입구멍에 일단부가 지지되므로 깃대를 보다 안정적으로 계양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에 형성된 꽂이구멍의 입구가 힌지 체결된 도어에 의해 개폐되기 때문에 꽂이구멍에서 깃대가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꽂이구멍을 도어가 능동적으로 폐쇄하여 우천시 빗물이 꽂이구멍 내지 등주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우수한 수밀성을 갖는다.
또한, 편축회전하는 도어를 로킹하거나 언로킹하는 로커를 깃대꽂이에 마련할 경우 도어를 원터치식으로 개폐할 수 있으므로 도어를 매우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아울러, 스프링에 탄력지지되는 슬라이딩캠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걸고리가 도어의 걸림돌기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도록 깃대꽂이를 구성할 경우 로커가 기계식 구조에 의해 로킹이나 언로킹을 실시하므로 로커의 안정적인 작동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커의 반영구적인 내구성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로등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습기차단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습기차단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등주에 깃대꽂이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깃대꽂이가 등주에서 분리된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등주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깃대꽂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깃대꽂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로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로커의 슬라이딩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슬라이딩캠의 슬라이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슬라이딩캠의 복귀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로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로등은 도시된 바와 같이 등기구(10), 아암(20), 등주(50) 및 후술되는 습기차단구를 포함한다.
등기구(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등주(50)의 상단에 설치되어 도로에 조명을 제공한다. 아암(20)은 수평상태로 일단부에 등기구(10)가 설치되고, 타단부가 등주(50)의 상단에 고정된다.
등주(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50a) 및 폴(50b)로 구성된 2개의 강관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하나의 강관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등주(50)는 하단이 콘크리트재 기초대상(C)에 고정되는 플랜지(51)가 형성되고, 구조의 보강을 위한 지지리브(53)가 플랜지(51)에 형성된다. 이러한, 플랜지(51)는 기초대(C)상에 볼팅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등주(50)는 포스트(50a)에 의해 기초대(C)상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습기차단구는 예컨대, 확대도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격판(70) 및 격판(70)을 등주(50)의 내주면에 수평상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격판(70)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등주(50)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판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격판(70)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W)이 배선되는 전선공(71)이 형성된다. 고정수단은 확대도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주(50)의 하단부 내주면에 이격상태로 마련되는 돌출턱(91) 및 걸림돌기(93), 그리고 확대도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판(7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노치(9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격판(70)은 확대도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W)을 배선한 상태로 돌출턱(91) 및 걸림돌기(93) 사이에 수평상태로 개재되어 등주(50)의 내부를 상하로 분할한다. 따라서, 격판(70)은 전선(W)을 관통시킨 상태로 등주(50)의 하단부를 차폐하여 지면이나 지중의 습기가 등주(50)의 상부로 소통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격판(70)은 등주(50)를 상하로 분할하므로 확대도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유로 준비되는 전선(W)이 하부에 보관될 수 있다. 즉, 격판(70)은 등주(50)의 하부에 여유 전선(W)이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전술한 돌출턱(9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등주(50)의 하단부를 원형이나 엠보형태로 비딩가공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미도시된 원형링을 등주(50)의 하단부에 용접으로 고정하여 구성하거나, 등주(50)의 하단부에 미도시된 볼트를 체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걸림돌기(93)는 등주(50)를 엠보형태로 비딩가공하여 등주(5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미도시된 금속편이나 볼트를 등주(50)에 부분적으로 고정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고정수단은 도시된 바와 달리 격판(70)을 등주(50)의 하단부 내주면에 동일체로 부착하여 격판(70)이 등주(50)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격판(70)은 용접으로 등주(50)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등주(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5)에 의해 플랜지(51) 및 지지리브(53)가 차폐된 상태로 콘크리트재 기초대(C)와 함께 지중에 매립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55)는 내부가 중공되면서 콘형태로 구성되어, 플랜지(51) 및 지지리브(53)를 커버하여 매립토와 플랜지(51) 및 지지리브(53)를 이격시켜서 매립토의 접촉을 차단한다. 따라서, 플랜지(51) 및 지지리브(53)는 커버(55)에 의해 지면(G)에 노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매립토에 포함된 수분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격판(70)은 확대도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공(71)에 방습부재(8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습부재(80)는 전선공(71)을 통해 침투하는 습기를 방습한다.
또한, 격판(70)은 확대도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에 수밀수단(81)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수밀수단(81)은 격판(70)의 테두리를 수밀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방습부재(80)는 예컨대, 확대도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습캡(83)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습캡(83)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볼트(83a), 패킹관(83b) 및 너트(83c)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중공볼트(83a)는 용접이나 볼팅에 의해 전선공(71)에 설치되며, 내부로 전선(W)이 관통된다. 패킹관(83b)은 신축가능한 고무로 제조되며 중공볼트(83a)에 내장되어 전선(W)에 끼워져서 전선(W)을 감싼다. 너트(83c)는 중공볼트(83a)에 나사결합되어 패킹관(83b)을 압축한다. 이때, 패킹관(83b)은 너트(83c)의 조임에 의해 압축되면서 전선(W)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실링한다. 따라서, 격판(70)은 전선공(71)으로 유입되는 습기를 차단할 수 있다. 물론, 패킹관(83b)은 너트(83c)의 풀림에 의해 전선(W)의 가압을 해제하는 경우 전선(W)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전술한 수밀수단(81)은 확대도 "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격판(70)의 테두리에 끼워지는 패킹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수밀수단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격판(70)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홈(82)이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고무재로 구성할 수 있다. 수밀수단(81)은 격판(70)의 테두리에 끼워져서 격판(70)의 테두리를 수밀한다. 따라서, 격판(70)은 등주(50)의 하부측 습기가 등주(50)의 상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여기서, 전술한 수밀수단(81)은 전술한 바와 달리 겔상태에서 고상으로 경화되는 미도시된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리콘은 격판(70)의 테두리에 도포된 후 경화되면서 격판(70)의 테두리를 실링한다. 물론, 격판(70)은 실리콘이 테두리에 도포되어 경화된 후 등주(50)에 내장될 수도 있다.
한편, 격판(70)은 방습부재(80)의 방습캡(83)이 설치된 후 전선(W)이 방습캡(83)의 중공볼트(83a)로 관통된다. 그리고, 격판(70)은 수밀수단(81)이 고정된 상태로 등주(50)에 삽입된다. 이때, 격판(70)은 확대도 "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95)가 걸림돌기(93)와 일치하는 상태로 등주(50)에 삽입된다. 물론, 노치(95)는 격판(70)이 등주(50)에 삽입될 경우 걸림돌기(93)를 통과한다. 따라서, 격판(70)은 걸림돌기(93)를 지나서 돌출턱(91)에 안착된다. 즉, 격판(70)은 등주(50)의 내부에 고정된다.
격판(70)은 등주(50)에 고정된 후 방습캡(83)의 너트(83c)가 견고하게 체결된다. 이때, 패킹관(83b)은 전선(W)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실링한다. 따라서, 격판(70)은 방습캡(83)을 통해 전선공(71)을 방습하고, 수밀수단(81)을 통해 테두리가 수밀된다. 이로 인하여, 격판(70)은 등주(50)의 하부측 습기가 등주(50)의 상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습기차단구는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판(70) 및 인서트관(53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격판(7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판재로 구성되며, 인서트관(530)에 수평상태로 내장되어 인서트관(530)의 중공을 차폐한다. 그리고, 인서트관(530)은 등주(50)에 삽입이 가능한 크기로 구성되어 등주(50)에 삽입된다.
격판(70)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인서트관(53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용접으로 인서트관(530)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격판(70)은 전술한 방습부재(80)나 수밀수단(81)이 마련될 수 있다.
인서트관(530)은 후술되는 패스너(570)에 의해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일체의 등주(50)의 하부에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인서트관(530)은 격판(70)에 의해 등주(50)의 하부를 차폐하여 등주(50)로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습기차단구는 등주(50)의 하단부에서 분할되어 등주의 하부를 이루는 도시된 바와 같은 하단등주(5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등주(50)는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서 하단등주(50b)가 분할됨에 따라 하단등주(50b) 및 하단등주(50b)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측(50a)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인서트관(530)은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등주(50b)에 내장된다. 이때, 인서트관(530)은 하부가 하단등주(50b)에 내장되고, 상부가 하단등주(50b)의 상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인서트관(530)은 돌출된 상부가 도면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등주(50b)의 상부에 안착되는 등주(50)의 상부측(50a)에 삽입되어 상부 및 하부가 볼트로 구성된 패스너(570)에 의해 등주(50)의 상부측(50a) 및 하단등주(50b)에 제각기 고정된다. 따라서, 인서트관(530)은 등주(50)의 상부측(50a) 및 하단등주(50b)를 연결하면서 하단등주(50b)의 습기가 상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여기서, 전술한 하단등주(50b)는 콘크리트 기초대(C)상에 볼팅으로 고정되는 플랜지(51) 및 플랜지(51)에 지지되는 지지리브(53)가 마련된다.
한편, 방습부재(80)는 확대도 "사"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튜브(535)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튜브(53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관(535a) 및 환형턱(535b)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실링관(535a)은 탄성을 갖는 고무관으로 구성되어 전선(W)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관(535a)은 전선(W)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고, 전술한 전선공(71)의 내경보다 약간 큰 외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실링관(535a)은 전선(W)에 삽입된 상태로 전선공(71)에 삽입되므로, 전선(W)의 외주면과 전선공(71)의 내주면을 실링한다.
환형턱(535b)은 실링관(535a)의 양단에 원형의 콘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환형턱(535b)은 실링관(535a)의 외측으로 전선공(71)의 내경보다 약간 큰 외격으로 돌출된다. 예컨대, 환형턱(535b)은 실링관(535a)을 전선공(71)에 억지끼움할 경우 전선공(71)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후 걸린다. 따라서, 환형턱(535b)들은 전선공(71)의 양측을 제각기 실링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습기차단구는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판(70)이 수평상태로 마련되어 중공이 차폐되는 인서트관(530)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격판(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관(530)의 상부에 용접이나 볼팅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인서트관(530)은 전술한 패스너에 의해 전술한 도 1의 단일체 등주(50)에 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관(530)은 하나로 구성된 등주(50)의 하부측 습기가 등주(50)의 상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여기서, 전술한 인서트관(530)은 전술한 하단등주(50b)가 마련되어 등주(50)가 양분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관(540)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연결관(5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등주(50b)에 하부가 삽입되어 인서트관(530)의 상부에 설치된다. 즉, 연결관(540)은 격판(70)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연결관(540)은 하단등주(50b)의 상부로 상부측이 돌출되며, 돌출된 상부측에 하단등주(50b)에서 분할된 등주(50)의 상부측(50a)이 삽입된다. 따라서, 연결관(540)은 등주(50)의 상부측(50a)과 하단등주(50b)를 연결한다.
등주(50)의 상부측(50a)과 하단등주(50b)는 볼트로 구성된 전술한 패스너(570)에 의해 연결관(540)에 고정된다. 따라서, 등주(50)의 상부측(50a)과 하단등주(50b)는 일체로 고정된다.
한편, 인서트관(530)은 하단등주(50b)의 하부에서 습기를 차단하여 습기가 등주(50)의 상부측(50a)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첨부된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등주에 깃대꽂이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깃대꽂이가 등주에서 분리된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등주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깃대꽂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깃대꽂이는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멍(212), 본체(220), 플레이트(230) 및 도어(240)를 포함한다.
삽입구멍(21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주(50)에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구멍(212)은 지상으로부터 약 2.5~3m의 높이에 형성된다.
본체(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구멍(212)에 부합하는 외형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삽입구멍(212)을 통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주(50)의 내부로 삽입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깃대가 꽂히는 꽂이구멍(222)이 형성된다. 플레이트(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20)와 일체로 형성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주(50)에 형성된 삽입구멍(212)의 외측면 연부에 걸림되어 고정된다. 도어(2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20)의 일측면에 힌지(242)로 고정되어 상기 꽂이구멍(222)의 입구를 개폐한다.
상기 본체(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이 개방된 박스의 형상을 갖고 그 내부에 깃발을 매단 깃대가 꽂히는 꽂이구멍(222)이 형성되는데, 상기 꽂이구멍(222)은 깃대의 끝단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갖으며, 상기 본체(220)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향해 하향되게 기울어져 형성된다.
또한, 상기 꽂이구멍(22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20)를 중심으로 평면상으로 대칭되게 양 갈래로 나뉘어 형성되는데, 상기 꽂이구멍(222) 간의 입구가 소정의 각도로 벌어져 상기 꽂이구멍(222)에 깃발을 매단 깃대가 꽂혔을 때 상기 깃발들이 중첩되거나 간섭받지 않아 깃발의 시인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주(50)에 형성된 삽입구멍(212)의 외측면 연부에 걸림되도록 플랜지(23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230)에 형성된 플랜지(23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면이 상기 등주(50)의 외측면과 대면하게 되고, 체결용 볼트(234)에 의해 등주(50)의 외측면과 체결되면서 상기 플레이트(230) 및 본체(220)를 등주(50)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230)에 형성된 플랜지(232)의 이면과 상기 등주(50)의 외측면 사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가스켓(250)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플레이트(230)가 등주(5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230)의 이면과 등주(50)의 외측면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실링하여 상기 틈새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20)의 꽂이구멍(222)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240)가 설치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은 힌지 블록(23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어(2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힌지 블록(236)에 힌지 체결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플레이트(230)의 전방을 향해 편축회전하면서 여닫이 식으로 꽂이구멍(222)을 개방한다.
이와 같이, 상기 힌지 블록(236)과 힌지 핀(242)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각기 꽂이구멍(222)의 입구 상부와 도어(240)의 상부에 마련되어 체결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230)의 전방을 향해 상향 회동하여 상기 꽂이구멍(222)의 입구를 개방한 도어(240)는 상기 꽂이구멍(222)에 깃대가 꼽히지 않았을 때 도어(240)의 자중에 의해 하향 회동하여 상기 꽂이구멍(222)의 입구를 능동적으로 폐쇄하게 됨으로써, 우천시 빗물이 꽂이구멍(222)의 입구로 스며들지 않도록 수밀성을 향상시킨다.
이와 함께, 상기 꽂이구멍(222)의 입구와 대면하는 도어(2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면에 계단지는 돌출턱(244)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240)가 꽂이구멍(222)의 입구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돌출턱(244)이 꽂이구멍(222)의 내부로 인입되게 함으로써, 상기 꽂이구멍(222)의 입구를 더욱 수밀하게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턱(244)은 오일링(미도시)과 같은 실링부재가 마련될 경우 상기 꽂이구멍(222)의 입구와 도어(240)의 수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도어(240)의 정면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240)를 용이하게 파지하는 손잡이(246)가 마련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플레이트(230)의 힌지 블록(236)과 도어(240)의 힌지 핀(242)이 힌지 체결될 때 탄성력을 발휘하는 토션 스프링(미도시)이 개재되어 상기 도어(240)가 꽂이구멍(222)의 입구를 향해 하향 회동될 때 탄성력을 발휘하여 더욱 신속하고 긴밀하게 꽂이구멍(222)의 입구를 폐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어(240)와 상기 플레이트(230)의 꽂이구멍(222)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가 접촉하는 부분이 차양되어 빗물이 상기 접촉하는 틈으로 스며들지 않도록 상기 도어(240)와 접촉하는 플레이트(230)의 일부분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240)가 플레이트(230)에 매몰되는 구조를 갖는다.
부연하자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40)가 위치하는 플레이트(230) 상에 본체(220)의 내측을 향해 단차지는 함몰부(238)를 형성하고, 앞서 설명한 힌지 체결을 통해 상기 함몰부(238)에 도어(240)를 매몰상태로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플레이트(230)에 함몰부(238)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238)에 도어(240)가 매몰되게 설치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40)와 꽂이구멍(222)의 입구가 접촉하는 부분이 상기 플레이트(230)의 표면보다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차양되고 이에 따라서, 우천시 빗물이 상기 도어(240)와 꽂이구멍(222)의 입구가 접촉하는 부분으로 스며들지 않게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3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주(50)로 이루어지는 가로등의 식별정보가 표기된 태그(260)가 마련된다. 상기 태그(2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의 형상을 갖고 그 일면과 타면에 해당 등주(50)의 시공위치, 일련번호와 같은 식별정보가 표기되어 상기 등주(50)의 보수시 작업자에게 정확한 위치를 확인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의 사용을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전술한 깃대꽂이의 사용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국기나 행사를 알리는 깃발(14)을 등주(50)에 게양하기 위해 작업자는 깃발(14)을 매단 깃대(12)를 등주(50)에 매립된 본체(220)의 꽂이구멍(222)에 꽂아 넣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작업자는 상기 플레이트(230)에 설치되어 꽂이구멍(222)을 폐쇄하고 있는 도어(240)를 전방으로 상향되게 회동시켜 꽂이구멍(222)의 입구를 개방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꽂이구멍(222)이 개방되면 작업자는 깃대(12)의 끝단을 꽂이구멍(222)에 밀어 넣어 깃발(14)을 등주(50)에 게양하게 된다.
이때, 전방으로 상향되게 회동하여 꽂이구멍(222)을 개방한 도어(240)는 꽂이구멍(222)에 꽂힌 깃대(12)에 걸림된 상태를 갖게 되기 때문에 도어(240)가 스스로 꽂이구멍(222)에 닫혀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등주(50)에 게양된 깃발(14)을 내릴 때에는 깃대(12)를 상기 꽂이구멍(222)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는데, 상기 깃대(12)가 꽂이구멍(222)으로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깃대(12)에 걸쳐진 상태에 있던 도어(240)가 자중에 의해 하향되게 회동하여 꽂이구멍(222)의 입구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에 의하면, 깃대를 꽂는 깃대꽂이가 등주(50)에 매립됨으로써 일직선으로 형성된 등주(5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우수로부터 보호되어 녹물이 등주(50)에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220)의 단부 하단이 삽입구멍(212)에 지지되어 깃대(12)의 하중을 등주(50)에 전이할 수 있으므로 깃대(12)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주(50)의 외측면에 형성된 삽입구멍(212)이 꽂이구멍(222)을 형성하는 본체(220)의 외형에 부합하기 때문에 삽입구멍(212)에 따른 등주(50)의 외형적인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어 상기 등주(50)의 내구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형의 최소화로 인해 장기간의 사용에도 깃대(12)를 원활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220)에 형성된 꽂이구멍(222)의 입구가 힌지 체결된 도어(240)에 의해 개폐되기 때문에 꽂이구멍(222)에서 깃대가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꽂이구멍(222)을 도어(240)가 능동적으로 폐쇄하여 우천시 빗물이 꽂이구멍(222) 내지 등주(50)의 내부로 스며들지 않아 우수한 수밀성을 갖는다.
한편, 첨부된 도 9는 도 5에 도시된 깃대꽂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로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로커의 슬라이딩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슬라이딩캠의 슬라이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슬라이딩캠의 복귀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의한 깃대꽂이는 도어(240)가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249)에 의해 플레이트(230)에 고정되어 하단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여닫이 식으로 꽂이구멍(222)을 개폐한다. 이때, 꽂이구멍(2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20)에 파이프(222a)를 내장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술한 도어(2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 걸림돌기(241)가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돌기(24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공(241a)이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등주(50)에 내장되는 로커(270)에 걸려서 로킹되거나 걸림이 해제되면서 언로킹된다. 이때, 로커(270)는 도어(24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나 도어(240)에 다시 가해지는 재가압력에 의해 걸림돌기(241)를 로킹하거나 언로킹한다. 이와 같은 로커(27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걸고리(271), 토션스프링(273), 슬라이딩캠(275), 스프링(277), 하우징(278) 및 랫치핀(279)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걸고리(271)는 도어(240)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걸림돌기(241)의 걸림공(241a)에 걸리거나 도어(240)에 다시 가해지는 재가압력에 의해 걸림이 해제된다. 걸고리(27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273a)에 의해 슬라이딩캠(275)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토션스프링(27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힌지(273a)에 와인딩된 상태로 걸고리(271) 및 슬라이딩캠(275)에 양단부가 제각기 지지된다. 따라서, 토션스프링(273)은 걸고리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슬라이딩캠(275)은 걸림돌기에 가해지는 가압력이나 재가압력에 의해 수평상태로 슬라이딩하면서 토션스프링을 압축시키거나 압축을 해제하는 부재이다. 슬라이딩캠(27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하부)에 걸고리(271)가 힌지(273a)로 고정되고, 타측면(상부면)에 후술되는 가이드홈(275a)이 형성된다.
스프링(277)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78)에 내장되어 슬라이딩캠(275)의 후방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하우징(278)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캠(275) 및 스프링(277)이 내장가능하게 형성된다. 하우징(278)은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BK)을 통해 파이프(222a)에 고정되거나 본체(220)에 고정될 수 있다.
랫치핀(27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하방으로 절곡된 핀이다. 랫치핀(279)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78)에 일단부가 힌지고정되고, 전술한 슬라이딩캠(275)의 가이드홈(275a)에 타단부가 삽입된다. 이러한 랫치핀(27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판스프링(279')으로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랫치핀(279)은 판스프링(279')의 탄성력에 의해 타단부가 가이드홈(275a)에 안정적으로 삽입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걸림돌기(24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는 도어(240)에 의해 슬라이딩캠(275)을 가압한다. 이때, 걸림돌기(241)는 도어(240)의 상단부가 가압됨에 따라 슬라이딩캠(275)을 가압한다. 따라서, 슬라이딩캠(275)은 스프링(277)을 압축하면서 수평상태로 슬라이딩한다.
걸고리(271)는 슬라이딩캠(275)과 함께 슬라이딩한다. 이때, 걸고리(27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하우징(278)의 단부에 지지되면서 힌지(273a)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걸고리(27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273)을 압축하면서 걸림돌기(241)의 걸림공(241a)에 걸려서 고정된다. 따라서, 도어(240)는 걸림돌기(241) 및 걸고리(271)의 걸림에 의해 꽂이구멍(222)의 입구를 차폐한다.
한편, 랫치핀(279)은 슬라이딩캠(275)의 슬라이딩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캠(275)의 선단측에 위치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슬라이딩캠(275)의 가이드홈(275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진입구(275a')가 마련된 폐루프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홈(275a)은 대략 하트형태의 폐루프를 형성한다. 이러한 가이드홈(275a)은 폐루프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중앙에 하트형 돌기(275h)가 형성된다. 이러한 하트형 돌기(275h)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측 모서리(뾰족한 부분)가 랫치핀(279)의 센터선(CL)과 약간 어긋나는 상태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240)의 작동을 첨부된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를 참조하면, 걸림돌기(24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240)에 의해 슬라이딩캠(275)를 가압하여 회전되는 걸고리(271)에 걸린다. 이러한 걸림돌기(241)는 도어(240)의 상부가 다시 재가압될 경우 재가압력에 의해 슬라이딩캠(275)을 다시 가압한다. 따라서, 슬라이딩캠(275)은 스프링(277)을 가압하면서 후퇴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랫치핀(279)은 슬라이딩캠(275)의 후퇴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275a)의 선단측에서 후단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랫치핀(279)은 후술되는 바와 같은 가이드홈(275a)의 구조로 인하여 가이드홈(275a)의 후단측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딩캠(275)은 랫치핀(279)의 후단측 이동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물론, 슬라이딩캠(275)은 스프링(277)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이때, 걸고리(271)는 토션스프링(273)의 탄성력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걸림돌기(241)의 걸림을 해제한다. 따라서, 도어(240)는 꽂이구멍(222)을 다시 개방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랫치핀(279)은 슬라이딩캠(275)의 미작동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279a)가 하우징(278)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고정된 상태로 타단부(279b)가 가이드홈(275a)의 진입구(275a')에 위치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랫치핀(279)은 굵은 화살표방향으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슬라이딩캠(275)이 이동할 경우 타단부(279b)가 다수의 작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트모양의 가이드홈(275a)을 따라 가이드홈(275a)의 선단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랫치핀(279)은 일단부(276a)가 힌지고정됨에 따라 타단부(279b)가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된다.
랫치핀(279)은 가압력이 해제될 경우 슬라이딩캠(275)이 스프링(277)에 의해 전방으로 다시 이동함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279b)가 하트형 돌기(275h)의 오목한 중앙에 걸린다. 물론, 슬라이딩캠(275)은 랫치핀(279)의 타단부(279b)에 의해 전방으로 더 이상 슬라이딩할 수 없다. 이때, 슬라이딩캠(275)은 전술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78)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걸고리(27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41)에 걸려서 고정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랫치핀(279)은 슬라이딩캠(275)이 재가압될 경우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트형 돌기(275h)의 오목한 중앙에서 이탈된다. 이때, 랫치핀(279)은 하트형 돌기(275h)의 구조로 인하여 화살표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275a)에 삽입된다. 즉, 랫치핀(279)은 타단부(279b)의 걸림이 해제된다. 물론, 슬라이딩캠(275)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279b)의 해제로 인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슬라이딩캠(275)은 전술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걸고리(271)를 원위치로 복귀시켜서 걸고리(271) 및 걸림돌기(241)의 결합을 해제한다.
이상과 같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깃대꽂이는 도어(240)가 매우 편리하게 원터치식으로 작동하므로 꽂이구멍(222)의 입구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등기구 20 : 아암 30 : 폴
31 : 상단폴 33 : 하단폴 50 : 등주
70 : 격판 80 : 방습부재 90 : 고정수단
220 : 본체 222 : 꽂이구멍 230 : 플레이트
232 : 플랜지 234 : 체결용 볼트
236 : 힌지 블록 238 : 함몰부 240 : 도어
242 : 힌지 핀 244 : 돌출턱 246 : 손잡이
250 : 가스켓 260 : 태그 270 : 로커
271 : 걸고리 273 : 토션스프링
275 : 슬라이딩캠 277 : 스프링 278 : 하우징
279 : 랫치핀

Claims (12)

  1. 조명을 제공하는 등기구;
    상기 등기구가 일단부에 설치되고 수평을 이루는 아암;
    상기 아암이 상단부에 연결되고, 지중에 매립된 콘크리트재 기초대상에 고정되는 등주; 및
    상기 등주의 하단부에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등주의 하단부를 전선의 관통이 가능한 상태로 외부와 격리시켜서 등주의 하단부로 유입되는 습기가 등주의 상부로 소통되는 것을 차단하는 습기차단구;를 포함하고,
    상기 습기차단구가 마련된 상기 등주에 내장되어 깃대가 꽂히는 깃대꽂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깃대꽂이는,
    상기 등주에 형성되는 삽입구멍;
    상기 삽입구멍에 부합하는 외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구멍을 통해 등주의 내부로 삽입되며, 깃대가 꽂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기울어진 꽂이구멍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등주에 형성된 삽입구멍의 외측면 연부에 걸림되어 고정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힌지 체결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상기 꽂이구멍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단부가 상기 힌지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단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여닫이 식으로 상기 삽입구멍을 개폐하며,
    상기 도어와 상기 플레이트가 접촉하는 부분이 차양되도록 도어의 둘레를 따라 함몰부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가 함몰부에 매몰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등주로 이루어진 가로등의 식별정보가 표기된 태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차단구는,
    상기 등주의 내측에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등주의 하부를 상부와 분할상태로 격리시키고, 상기 등주에 배선되는 전선을 관통시키는 전선공을 갖는 격판; 및
    상기 격판을 상기 등주의 내주면에 수평상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가로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등주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격판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돌출턱;
    상기 돌출턱과 이격되면서 상기 등주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격판의 상부면에 걸리는 복수의 걸림돌기; 및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상태로 상기 격판의 외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노치;를 포함하는 가로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차단구는,
    상기 등주의 하단부에 내장되는 인서트관; 및
    상기 인서트관의 내측에 수평상태로 마련되어 인서트관의 중공을 차폐하고, 상기 등주에 배선되는 전선을 관통시키는 전선공을 갖는 격판;을 포함하는 가로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차단구는,
    상기 등주의 하단부에서 분할되어 등주의 하부를 이루고, 상기 콘크리트재 기초대상에 볼팅으로 고정되는 플랜지 및 플랜지에 지지되는 지지리브가 하단부에 동일체로 마련된 하단등주;
    상기 하단등주의 내부로 하부측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단등주의 상부로 상부측이 돌출되며, 돌출된 상부측에 하단등주에서 분할된 상기 등주의 상부측이 삽입되어 등주의 상부측과 하단등주를 연결하는 인서트관;
    상기 인서트관의 상부 및 하부를 상기 등주의 상부측 및 상기 하단등주에 제각기 고정하는 패스너; 및
    상기 인서트관의 내주면에 수평상태로 마련되어 인서트관을 상부 및 하부로 양분하면서 인서트관의 하부를 차폐하고, 상기 등주에 배선되는 전선을 관통시키는 전선공을 갖는 격판;을 포함하는 가로등.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차단구는,
    상기 등주의 하단부에서 분할되어 등주의 하부를 이루고, 상기 콘크리트재 기초대상에 볼팅으로 고정되는 플랜지 및 플랜지에 지지되는 지지리브가 하단부에 동일체로 마련된 하단등주;
    상기 하단등주의 하단부에 내장되는 인서트관;
    상기 인서트관에 수평상태로 마련되어 인서트관의 중공을 차폐하고, 상기 등주에 배선되는 전선을 관통시키는 전선공을 갖는 격판;
    상기 하단등주에 하부가 삽입되어 상기 격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단등주의 상부로 상부측이 돌출되며, 돌출된 상부측에 하단등주에서 분할된 상기 등주의 상부측이 삽입되어 등주의 상부측과 하단등주를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상부 및 하부를 상기 등주의 상부측 및 상기 하단등주에 제각기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는 가로등.
  7.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의 전선공을 통해 침투되는 습기를 방습하는 방습부재;를 더 포함하는 가로등.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습부재는,
    상기 격판의 전선공에 설치되고, 내부로 전선이 관통되는 중공볼트;
    상기 중공볼트에 내장되어 전선을 감싸는 패킹관; 및
    상기 중공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패킹관을 압축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가로등.
  9. 제 2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격판의 테두리를 수밀하는 수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밀수단은,
    상기 격판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홈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패킹링이나, 상기 격판의 테두리가 밀착되는 상기 등주의 내주면을 접착하면서 수밀하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10. 삭제
  11. 조명을 제공하는 등기구;
    상기 등기구가 일단부에 설치되고 수평을 이루는 아암;
    상기 아암이 상단부에 연결되고, 지중에 매립된 콘크리트재 기초대상에 고정되는 등주; 및
    상기 등주의 하단부에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등주의 하단부를 전선의 관통이 가능한 상태로 외부와 격리시켜서 등주의 하단부로 유입되는 습기가 등주의 상부로 소통되는 것을 차단하는 습기차단구;를 포함하고,
    상기 습기차단구가 마련된 상기 등주에 내장되어 깃대가 꽂히는 깃대꽂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깃대꽂이는,
    상기 등주에 형성되는 삽입구멍;
    상기 삽입구멍에 부합하는 외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구멍을 통해 등주의 내부로 삽입되며, 깃대가 꽂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기울어진 꽂이구멍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등주에 형성된 삽입구멍의 외측면 연부에 걸림되어 고정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힌지 체결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상기 꽂이구멍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하단부가 상기 힌지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하단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여닫이 식으로 상기 꽂이구멍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어의 상단부에 돌출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가압력이나 도어에 다시 가해지는 재가압력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를 로킹하거나 언로킹하는 로커;를 더 포함하는 가로등.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거나 도어에 다시 가해지는 재가압력에 의해 걸림돌기의 걸림을 해제하는 걸고리;
    상기 걸고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
    상기 토션스프링 및 걸고리가 일측에 힌지고정되고, 상기 걸림돌기에 가해지는 가압력이나 재가압력에 의해 수평상태로 슬라이딩하면서 토션스프링을 압축시키거나 압축을 해제하며, 일측에 진입구가 마련된 폐루프형태의 가이드홈이 타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캠;
    상기 슬라이딩캠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 및 슬라이딩캠이 내장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일단부가 힌지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캠의 가이드홈에 타단부가 삽입되며, 슬라이딩캠의 슬라이딩에 의해 일단부를 중심으로 가이드홈을 따라 타단부가 삽입되어 가이드홈의 일부분에 걸리거나 가이드홈에서 이탈되면서 슬라이딩캠을 슬라이딩상태로 로킹하거나 로킹을 해제하는 랫치핀;을 포함하고,
    상기 습기차단구는,
    상기 등주의 내측에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등주의 하부를 상부와 분할상태로 격리시키고, 상기 등주에 배선되는 전선을 관통시키는 전선공을 갖는 격판; 및
    상기 격판을 상기 등주의 내주면에 수평상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등주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격판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돌출턱;
    상기 돌출턱과 이격되면서 상기 등주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격판의 상부면에 걸리는 복수의 걸림돌기; 및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상태로 상기 격판의 외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노치;를 포함하는 가로등.
KR1020100135026A 2010-12-24 2010-12-24 가로등 KR101111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026A KR101111105B1 (ko) 2010-12-24 2010-12-24 가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026A KR101111105B1 (ko) 2010-12-24 2010-12-24 가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1105B1 true KR101111105B1 (ko) 2012-02-13

Family

ID=4584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026A KR101111105B1 (ko) 2010-12-24 2010-12-24 가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1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122B1 (ko) * 2014-08-05 2015-07-22 주식회사 중일전기 조명기구의 결로방지 구조
KR101807991B1 (ko) * 2017-03-16 2017-12-11 오길식 가로등용 지주의 방습구조.
KR101977098B1 (ko) * 2019-01-04 2019-05-10 염택상 다기능 등기구
KR200490140Y1 (ko) * 2019-06-11 2019-11-14 신진희 가로등 설치용 아답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205A (ko) * 1998-09-24 2000-04-25 구자홍 재기록 광 디스크의 연속 재생방법
KR20040013577A (ko) * 2002-08-07 200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a/d 변환기를 위한 고속 인코더
KR20040031936A (ko) * 2002-10-08 2004-04-14 박선순 부유물분리장치
KR200413577Y1 (ko) * 2006-01-23 2006-04-07 대건환경조명 주식회사 방습부재가 구비된 등주
KR200431936Y1 (ko) * 2006-09-12 2006-11-27 미아전기 주식회사 소켓일체형 가로등헤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205A (ko) * 1998-09-24 2000-04-25 구자홍 재기록 광 디스크의 연속 재생방법
KR20040013577A (ko) * 2002-08-07 200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a/d 변환기를 위한 고속 인코더
KR20040031936A (ko) * 2002-10-08 2004-04-14 박선순 부유물분리장치
KR200413577Y1 (ko) * 2006-01-23 2006-04-07 대건환경조명 주식회사 방습부재가 구비된 등주
KR200431936Y1 (ko) * 2006-09-12 2006-11-27 미아전기 주식회사 소켓일체형 가로등헤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122B1 (ko) * 2014-08-05 2015-07-22 주식회사 중일전기 조명기구의 결로방지 구조
KR101807991B1 (ko) * 2017-03-16 2017-12-11 오길식 가로등용 지주의 방습구조.
KR101977098B1 (ko) * 2019-01-04 2019-05-10 염택상 다기능 등기구
KR200490140Y1 (ko) * 2019-06-11 2019-11-14 신진희 가로등 설치용 아답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1105B1 (ko) 가로등
KR101086336B1 (ko) 회전식 가로등
US9265162B2 (en) Manual underground laying type electric equipment container system
CN205604301U (zh) 一种市政用集照明和安全防护于一体的井盖防护装置
KR100934631B1 (ko) 조립식 가로등주
KR101807991B1 (ko) 가로등용 지주의 방습구조.
KR101919217B1 (ko) 광전지 리셉터클
KR100898004B1 (ko) Led 신호등
CN207987821U (zh) 一种升降路桩的v型密封及法兰卡扣组合防水的顶盖安装结构
KR100505738B1 (ko) 체인 고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단지 내 맨홀 뚜껑 잠금구조
KR100711835B1 (ko) 가로등의 침수시 기기보호를 위한 누전방지장치
KR100663097B1 (ko) 도로 등 토목용 터널 공동구의 댐퍼식 덮개
KR100754900B1 (ko) 가로등
KR101065124B1 (ko) 가로등 철주의 점검구 커버 개폐장치
CN209622689U (zh) 密封防水型警示排灯
KR101217932B1 (ko) 맨홀 잠금장치
KR20120096662A (ko) 지중 매립등
KR101035992B1 (ko) 태양전지 가로등
CN210888573U (zh) 高杆灯检修门
KR101008660B1 (ko) 깃대꽂이 매립형 가로등주
CN209496064U (zh) 一种新型表箱
CN208935937U (zh) 安装壳体及led路灯
KR200452159Y1 (ko) 가로등용 점검함
KR200254330Y1 (ko) 가로등 누전방지장치
KR102319166B1 (ko) 가로등 및 보안등용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