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484B1 - 강체전차선 브래킷 구조 - Google Patents

강체전차선 브래킷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484B1
KR101976484B1 KR1020160118048A KR20160118048A KR101976484B1 KR 101976484 B1 KR101976484 B1 KR 101976484B1 KR 1020160118048 A KR1020160118048 A KR 1020160118048A KR 20160118048 A KR20160118048 A KR 20160118048A KR 101976484 B1 KR101976484 B1 KR 101976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racket
bottom plate
swash plate
rig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8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9670A (ko
Inventor
최준식
김낙경
박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118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484B1/ko
Publication of KR20180029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3/00Cast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2D1/00 - B22D2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8Section insulators; Section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4Clamps; Splicers; Anchor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8Manufacturing or repairing trolle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체전차선을 고정하기 위한 외팔보 형태의 강체전차선 브래킷 구조로서, 벽 또는 지면에 설치된 서포트에 고정되는 고정판(11)과, 비스듬히 기울어져 상기 고정판(11)과 일축선상에 결합되는 제1경사판(12)을 포함하는 꼬리 금구(10)와, 상기 제1경사판(12)에 일단이 결합되는 애자부(30)와, 상기 애자부(30)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경사판(41), 상기 강체전차선이 장착된 클램프(50)가 구비되는 바닥판(42)을 포함하는 머리 금구(40)를 포함하되, 상기 머리 금구(40)와 꼬리 금구(10)는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체전차선 브래킷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강체전차선 브래킷 구조{Structure of rigid bar bracket for electric train}
본 발명은 강체전차선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브래킷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50km/h급 이상의 광역고속철도에서 강체전차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강체전차선 브래킷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차선의 가선방식으로는 가공식, 제3 궤조식과, 강체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가공식은 조가선을 이용하여 가선하는 방식으로 일반 지상구간에 적용되고 있으나, 전차선과 조가선 및 보조 조가선을 함께 가선해야하기 때문에 소요 가선고가 높아 터널 구간에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가공식 전차선을 터널 구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터널 단면적이 대폭적으로 증가되어야하기 때문에 건설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며,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일상점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함과 더불어 전차선의 마모 시 전차선은 물론 조가선까지 함께 교체해야 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한편, 상기 제3 궤조식은 급전용 레일을 노면상 또는 측면에 설치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터널과 같이 협소한 공간상에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급전용 레일이 지면에 배치되는 특성 상 감전 위험이 높아 일부 특수한 구간에만 적용되고 있다.
상기 강체식은 전차선을 강체에 일체화시켜 브래킷과 같은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해 설치하는 것으로, 조가선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터널 등 조가선의 설치가 어려운 구간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강체식은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에 구비되는 브래킷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래킷은 강체 열차선이 설치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가 설치되는 머리 금구와 상기 서포트에 구비되는 꼬리 금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머리 금구와 꼬리 금구사이에는 애자부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강체식은 가공식 전차선에 비해 유연성이 부족하므로, 그 설치에 있어 한도 이상의 오차가 발생될 경우, 차량의 팬터그래프 또는 지지구조물에 무리한 하중이 반복적으로 가해져 파손이 발생될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머리 금구와 꼬리 금구는 용접을 통해 제작되는데 이러한 경우 용접부에 존재하는 잔류 응력에 의해 응력 부식 균열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고속 철도에서 사용되는 강체전차선 브래킷은 하중과 진동이 반복적으로 가해지게 되는데 용접 시 용접부는 고온의 열에 의해서 모재 일부가 용융 상태에서 접합되기 때문에 용접부와 모재 간에는 조직의 특성이 각각 다르게 변하게 되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하중과 진동에는 취약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250km/h급 이상의 광역고속철도에서 강체전차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브래킷의 휨과 비틀림 강도 등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체전차선 브래킷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체전차선을 고정하기 위한 외팔보 형태의 강체전차선 브래킷 구조로서, 벽 또는 지면에 설치된 서포트에 고정되는 고정판(11)과, 기울어져 상기 고정판(11)과 일축선상에 결합되는 제1경사판(12)을 포함하는 꼬리 금구(10)와, 상기 제1경사판(12)에 일단이 결합되는 애자부(30)와, 상기 애자부(30)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경사판(41), 상기 강체전차선이 장착된 클램프(50)가 구비되는 바닥판(42)을 포함하는 머리 금구(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머리 금구(40)와 꼬리 금구(10)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 브래킷 구조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머리 금구(40)와 꼬리 금구(10)는 정밀주조 방식으로 제작되어 각각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정밀주조 방식은 인베스트먼트 주조법(investment casting) 또는 로스트 왁스 주조법(lost wax castin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머리 금구(40)는 상기 바닥판(42)의 일측 단면에 상기 제2경사판(41)이 접하여 고정되고, 상기 바닥판(42)과 제2경사판(41)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판(43)이 하나이상 구비되되, 상기 바닥판(42)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형상을 갖는 위치조절용 홀(42-1)과 위치조절용홀(42-1)의 양측으로 결합홈(42-2)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50)의 수평방향 변위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판(43)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42)의 상면과 제2경사판(41)의 타측면이 접하며, 상기 바닥판(42)의 타측 단부와 제2경사판(41)의 상부측 단부를 잇는 일정 곡률을 갖는 경사면(S)으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고정판(11)과 제1경사판(12)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축(21)과, 상기 고정판(11)과 제1경사판(12)이 상기 축(21)에 의해 축설되는 힌지부(20)가 형성되어 상기 축(21)을 기점으로 상기 제1경사판(12)이 회전되는 강체전차선 브래킷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 따르면, 머리 금구와 꼬리 금구가 정밀주조 방식으로 제작됨으로써 용접 연결 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접작업 시 생성되는 용착 금속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브래킷의 무게가 줄어들어 지지하중이 감소하기 때문에 안정정적으로 서포트에 브래킷을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체전차선 브래킷이 터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 브래킷의 머리 금구를 나타낸 평면도(A) 및 측면도(B),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머리 금구의 경사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 브래킷의 꼬리 금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체전차선 브래킷이 터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 브래킷의 머리 금구를 나타낸 평면도(A) 및 측면도(B),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머리 금구의 경사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 브래킷의 꼬리 금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강체전차선 브래킷은 통상적으로 팬터그래프 식 전차 집전부와 접촉되는 전차선과 상기 전차선을 고정하는 강체로 이루어진 강체전차선(60)을 고정하기 위하기 위한 것으로서, 벽 또는 지면에 가설된 서포트(2)에 외팔보 형태로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 브래킷(1)은 벽의 측면 또는 서포트(2)에 고정되는 고정판(11)과, 비스듬히 기울어져 상기 고정판(11)과 일축선상에 결합되는 제1경사판(12)을 포함하는 꼬리 금구(10)와, 상기 제1경사판(12)에 일단이 결합되는 애자부(30)와, 상기 애자부(30)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경사판(41), 상기 강체전차선이 장착된 클램프(50)가 구비되는 바닥판(42)을 포함하는 머리 금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서포트(2)는 단면이 사각 형태로 내부가 중공인 상태로 형성되며, 서포트(2)의 상부 및 하부의 외면에 U볼트가 설치되어 상기 U볼트는 너트와 함께 상기 고정판(11)은 서포트(2)의 외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머리 금구(40)와 꼬리 금구(10)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머리 금구(40)와 꼬리 금구(10)는 정밀주조 방식으로 제작되어 각각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정밀주조 방식은 인베스트먼트 주조법(investment casting) 또는 로스트 왁스 주조법(lost wax casting)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머리 금구(40)와 꼬리 금구(10)가 정밀주조 방식으로 제작됨으로써 용접 연결 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머리 금구(40)와 꼬리 금구(10)가 용접을 통해 제작되는 경우 용접부에 존재하는 잔류 응력에 의해 응력 부식 균열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취약해 지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더불어, 강체전차선 브래킷에 가해지는 반복적인 하중과 진동에 대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용접작업 시 생성되는 용착 금속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브래킷(1)의 무게가 줄어들어 지지하중이 감소하기 때문에 안정정적으로 서포트(2)에 브래킷(1)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꼬리 금구(10)는 고정판(11)과 제1경사판(1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3)가 구비되어 부착됨으로써 고정판(11)과 제1경사판(12)이 일축선상에 결합되며, 제1경사판(12)을 비스듬히 기울어져 고정시키도록 하부에 부착되는 연결부재(13)의 길이가 상부에 부착되는 연결부재(13)보다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꼬리 금구(10)의 위치는 상기 머리 금구(40)의 위치보다 높게 배치되며, 상기 바닥판(42)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바닥판(42)과 상기 제2경사판(41)이 이루는 각도 θ는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경사판(12) 및 제2경사판(41)과 결합되는 애자측 플레이트(33-1,33-2)는 서로 평행하지 않게 구비된다.
즉, 미리 정해지는 터널의 규격에 따라 애자부(3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브래킷(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강체전차선을 설치함에 있어서 시공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판(42)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형상을 갖는 위치조절용 홀(42-1)과 위치조절용홀(42-1)의 양측으로 결합홈(42-2)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50)의 수평방향 변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램프(50)는 양측으로 상기 결합홈(42-2)을 관통하는 볼트너트의 나사결합에 의해 바닥판(42)의 상면과 접하도록 결합되는 새들(53)과, 상기 새들(53)과 위치조절용홀(42-1)을 관통하는 슬리브(52)와 상기 슬리브(52)의 상부에는 탄성체가 내재된 머리부(51)와,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고, 슬리브(52)의 내부에 삽입되어 강체전차선(60)을 파지하는 홀더(53)와 결합되는 이동바(미도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클램프(50)의 변위 작용은 상기 홀더(53)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새들(53)의 볼트너트 나사결합을 푼 다음, 클램프(50)를 소망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다시 볼트너트 나사결합을 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클램프(5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52) 내에 탄성체와 연결되어 이동바가 상하부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철도차량의 주행 시 발생되는 충격을 감쇠하고, 열차가 브래킷을 통과하는 순간에 이선율을 감소시켜 접전성능이 향상된 강체전차선 브래킷(1)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머리 금구(40)는 상기 바닥판(42)의 일측 단면에 상기 제2경사판(41)이 접하여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바닥판(40)에는 강체전차선(60)이 부착된 클램프(50)가 설치되어 머리 금구(40)에는 하부측으로 작용하는 압축하중과 상부측으로 작용하는 인장하중이 동시에 작용한다.
이러한 하중으로 인해 머리 금구(40)의 설계에 오차가 발생될 경우, 머리 금구(40)에 무리한 하중이 반복적으로 가해져 변형되거나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판(42)과 제2경사판(41)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판(43)이 하나이상 구비된다.
상기 보강판(43)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42)의 상면과 제2경사판(41)의 타측면이 접하며, 상기 바닥판(42)의 타측 단부와 제2경사판(41)의 상부측 단부를 잇는 일정 곡률을 갖는 경사면(S)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일정 곡률을 갖는 경사면(S)은 상기 보강판(43)이 상기 제2경사판(41)의 상부측과 접하는 지점 P1과, 상기 바닥판(42)의 타측 단부와 접하는 지점 P2를 잇는 임의의 선 L의 중심에서 지면과 수직한 수직선 C를 그어 상기 수직선 C 상에서 임의의 선 L이 접하는 지점 P3과 바닥판(42)이 접하는 지점 P4 사이의 거리를 H라 하면 상기 H의 1/3 지점을 P5라 할 때, 상기 지점 P1, P2, P5 의 세 지점을 잇는 곡선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판(43)은 상기 보강판(43)의 내측으로 관통공(44)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44)의 상부측으로 상기 경사면(S)과 같은 일정 곡률을 갖는 제1부재(43-1)와, 상기 관통공(44)의 하부측으로 상기 바닥판(42)과 평행한 제2부재(43-2)가 구성된다.
이때, 관통홀(44)을 기준으로 압축하중과 인장하중을 구분하여 계산함으로써 하중계산을 정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부재(43-1)와 제2부재(43-2)의 두께를 계산할 수 있다.
즉, 제1부재(43-1)에는 인장하중이 가해지고, 제2부재(43-2)에는 압축하중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부재(43-1)의 두께 t₁은 상기 제2부재(43-2)의 두께 t₂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보강판(43)에 의해 고정력이 향상됨은 물론, 지지하중에 의한 휨과 비틀림 강도 등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가동형 강체전차선 브래킷을 도시하고 있다. 가동형 강체전차선 브래킷은 꼬리 금구(10), 애자부(30)와 머리 금구(40) 및 클램프(5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동형 강체전차선 브래킷은 고정형 강체전차선 브래킷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으나, 애자부(30)의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꼬리 금구(10)에 힌지부(20)가 형성되어 애자부(30)가 수평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고정형 강체전차선 브래킷과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힌지부(20) 꼬리 금구(10)는 상기 고정판(11)과 제1경사판(12)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축(21)과, 상기 고정판(11)과 제1경사판(12)이 상기 축(21)에 의해 축설되어 상기 축(21)을 기점으로 상기 제1경사판(12)이 회전된다.
즉, 고정판(11)과 제1경사판(12)의 상면과 저면에는 관통홀이 구비된 두개의 돌출편(23,24)들이 돌출되어, 상기 축(21)이 고정판(11) 측의 돌출편(23)의 관통홀과 제1경사판(12) 측의 돌출편(24)의 관통홀로 삽입되어 힌지부(20)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축(21)은 돌출편(23,24)들의 관통홀에 고정하기 위해 축(21)의 하부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핀(22)이 삽입되어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1경사판(12)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곡선구간에서 레일의 곡률에 따라 애자부(3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머리 금구(40) 및 클램프(50)의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 꼬리 금구 11 : 고정판
12 : 제1경사판 20 : 힌지부
21 : 축 22 : 고정핀
30 : 애자부 31 : 애자축
32 : 애자 33 : 애자측 플레이트
40 : 머리 금구 41 : 제2경사판
42 : 바닥판 43 : 보강판
44 : 관통공 50 : 클램프
51 : 머리부 52 : 슬리브
53 : 새들 54 : 홀더

Claims (5)

  1. 강체전차선을 고정하기 위한 외팔보 형태의 강체전차선 브래킷 구조로서,
    벽 또는 지면에 설치된 서포트에 고정되는 고정판(11)과, 기울어져 상기 고정판(11)과 일축선상에 결합되는 제1경사판(12)을 포함하는 꼬리 금구(10); 와,
    상기 제1경사판(12)에 일단이 결합되는 애자부(30); 와,
    상기 애자부(30)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경사판(41), 상기 강체전차선이 장착된 클램프(50)가 구비되는 바닥판(42)을 포함하는 머리 금구(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머리 금구(40)와 꼬리 금구(10)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머리 금구(40)는,
    상기 바닥판(42)의 일측 단면에 상기 제2경사판(41)이 접하여 고정되고, 상기 바닥판(42)과 제2경사판(41)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판(43)이 하나이상 구비되되,
    상기 바닥판(42)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형상을 갖는 위치조절용 홀(42-1)과 위치조절용홀(42-1)의 양측으로 결합홈(42-2)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50)의 수평방향 변위를 조절하고,
    상기 보강판(43)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42)의 상면과 제2경사판(41)의 타측면이 접하며, 상기 바닥판(42)의 타측 단부와 제2경사판(41)의 상부측 단부를 잇는 일정 곡률을 갖는 경사면(S)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11)과 제1경사판(12)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축(21)과, 상기 고정판(11)과 제1경사판(12)이 상기 축(21)에 의해 축설되는 힌지부(20)가 형성되어 상기 축(21)을 기점으로 상기 제1경사판(12)이 회전되고,
    상기 바닥판(42)은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제2경사판(41)은 상기 바닥판(42)과 예각(θ)을 이루도록 결합되며,
    상기 일정 곡률을 갖는 경사면(S)은 상기 보강판(43)이 상기 제2경사판(41)의 상부측과 접하는 지점 P1과, 상기 바닥판(42)의 타측 단부와 접하는 지점 P2를 잇는 임의의 선 L의 중심에서 지면과 수직한 수직선 C를 그어 상기 수직선 C 상에서 임의의 선 L이 접하는 지점 P3과 바닥판(42)이 접하는 지점 P4 사이의 거리를 H라 하면 상기 H의 1/3 지점을 P5라 할 때, 상기 지점 P1, P2, P5 의 세 지점을 잇는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판(43)의 내측으로 관통공(44)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44)의 상부측으로 상기 경사면(S)과 같은 일정 곡률을 갖는 제1부재(43-1)와, 상기 관통공(44)의 하부측으로 상기 바닥판(42)과 평행한 제2부재(43-2)가 구성되되,
    상기 제1부재(43-1)에는 인장하중이 가해지고, 상기 제2부재(43-2)에는 압축하중이 가해지도록 설계됨에 따라 상기 제1부재(43-1)의 두께 t₁은 상기 제2부재(43-2)의 두께 t₂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머리 금구(40)와 꼬리 금구(10)는 정밀주조 방식으로 제작되어 각각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정밀주조 방식은 인베스트먼트 주조법(investment casting) 또는 로스트 왁스 주조법(lost wax cast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 브래킷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18048A 2016-09-13 2016-09-13 강체전차선 브래킷 구조 KR101976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048A KR101976484B1 (ko) 2016-09-13 2016-09-13 강체전차선 브래킷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048A KR101976484B1 (ko) 2016-09-13 2016-09-13 강체전차선 브래킷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670A KR20180029670A (ko) 2018-03-21
KR101976484B1 true KR101976484B1 (ko) 2019-05-10

Family

ID=6190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8048A KR101976484B1 (ko) 2016-09-13 2016-09-13 강체전차선 브래킷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545B1 (ko) 2022-10-21 2023-09-19 (주)신우디엔시 강체전차선 브래킷 구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316Y1 (ko) 2002-02-02 2002-04-17 주식회사 대동기술단 전차선로의 가고조절용 가동브래킷
JP2003001375A (ja) * 2001-05-22 2003-01-07 Howmet Research Corp インベストメント鋳造用一過性パターン
KR200374781Y1 (ko) * 2004-06-16 2005-02-03 푸러 운트 프레이 아게 인게니오이르뷰로 파르라이퉁스바우 콘덕터레일 홀딩장치
KR100739328B1 (ko) 2006-04-04 2007-07-12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강체전차선 브래킷
KR100928464B1 (ko) 2009-05-27 2009-11-25 하나솔루션(주) 강체전차선 브래킷
KR100960093B1 (ko) * 2009-12-21 2010-05-31 주식회사 강이엠테크 강체전차선 브라켓 구조
JP2010168029A (ja) 2008-12-24 2010-08-05 Railway Technical Res Inst 剛体電車線支持装置
KR101572374B1 (ko) * 2014-06-10 2015-11-26 전찬석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1375A (ja) * 2001-05-22 2003-01-07 Howmet Research Corp インベストメント鋳造用一過性パターン
KR200272316Y1 (ko) 2002-02-02 2002-04-17 주식회사 대동기술단 전차선로의 가고조절용 가동브래킷
KR200374781Y1 (ko) * 2004-06-16 2005-02-03 푸러 운트 프레이 아게 인게니오이르뷰로 파르라이퉁스바우 콘덕터레일 홀딩장치
KR100739328B1 (ko) 2006-04-04 2007-07-12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강체전차선 브래킷
JP2010168029A (ja) 2008-12-24 2010-08-05 Railway Technical Res Inst 剛体電車線支持装置
KR100928464B1 (ko) 2009-05-27 2009-11-25 하나솔루션(주) 강체전차선 브래킷
KR100960093B1 (ko) * 2009-12-21 2010-05-31 주식회사 강이엠테크 강체전차선 브라켓 구조
KR101572374B1 (ko) * 2014-06-10 2015-11-26 전찬석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545B1 (ko) 2022-10-21 2023-09-19 (주)신우디엔시 강체전차선 브래킷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670A (ko)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775B1 (ko) 진동과 충격의 완충기능을 가진 컨덕터 레일지지 완충장치
KR200374780Y1 (ko) 콘덕터레일
CN103748285A (zh) 轨道紧固系统
KR101976484B1 (ko) 강체전차선 브래킷 구조
KR20200001023U (ko)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
KR101902361B1 (ko)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
DK2485917T3 (en) Track Holding device
KR101910230B1 (ko) 강체전차선 연결구조
US10227219B2 (en) Rail for crane boom hinge
WO2021033405A1 (ja) 軌条車両
JP6582348B2 (ja) 集電装置及び車両
US20100269728A1 (en) Flexible steel support for a switch arrangement in maglev railways
CN111851174A (zh) 一种地铁支承块短轨枕轨底坡超限改造固定装置及使用方法
KR101192660B1 (ko) 연결 장치를 구비한 모노레일용 가이드 레일
KR20170058766A (ko) 강체전차선 및 그 연결구조
JP2013507542A (ja) プレストレスコンクリート製枕木、及びプレストレスコンクリート製枕木を備えている転轍器の輸送及び据付をするための方法
US20190284765A1 (en) Tension Clamp, Guide Plate and Fastening Point for Securing a Rail to a Ground Surface
EP3647152B1 (en) A system comprising a coupler and a traction beam
CN110816437B (zh) 汽车管线束支架
JP4553747B2 (ja) 鋼製まくらぎのレール継目用絶縁締結装置
CN104085401B (zh) 一种轨道车辆牵引变压器悬挂装置以及轨道车辆
KR100440502B1 (ko) 철도 분기기의 크로싱
KR101941534B1 (ko) 프레스 방식의 밴딩장치
KR101316676B1 (ko) 전차선 보수용 클램핑장치
CN212688584U (zh) 一种地铁支承块短轨枕轨底坡超限改造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