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476B1 - Eleavting device to prevent disasters such as fire - Google Patents

Eleavting device to prevent disasters such as f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476B1
KR101976476B1 KR1020180025098A KR20180025098A KR101976476B1 KR 101976476 B1 KR101976476 B1 KR 101976476B1 KR 1020180025098 A KR1020180025098 A KR 1020180025098A KR 20180025098 A KR20180025098 A KR 20180025098A KR 101976476 B1 KR101976476 B1 KR 101976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support
rope
building
asc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0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명국
Original Assignee
백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명국 filed Critical 백명국
Priority to KR1020180025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47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4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scape lifting device to prevent a disaster such as fire, and the emergency escape lifting device allows people in a building to escape quickly and safely, while being lifted and lowered along an exterior wall from the roof of the building. The emergency escape lifting device comprises a lifting supporting body installed on the roof of the building, and a lifting body supported by the lifting supporting body. The lifting supporting body is configured to be moved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while being fixed in a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lifting body is installed to be withdrawn forward from the lifting supporting body, is separated from the lifting supporting body in case of disaster, and is configured to be lifted and lowered outside the building while being suspended on a lifting rope adjusted by a power device installed on the ground.

Description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ELEAVTING DEVICE TO PREVENT DISASTERS SUCH AS FIRE}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scape lift device for a fire disaster,

본 발명은 화재나 지진 등의 재난 발생시 사람이 건물로부터 신속히 탈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피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옥상에서 외벽면을 따라 승하강하면서 그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이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cuation device for allowing a person to quickly escape from a building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or an earthquak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cuation device for rapidly evacuating a building, To an escape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a fire disaster which enables a safe escape.

도시화와 더불어 효율적인 토지이용 등의 이유로 인하여 건물은 점차 고층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건물의 고층화는 화재나 지진 등의 재난에 취약해질 수 밖에 없게 되는 바, 재난발생시 많은 사상자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많다.Due to urbanization and efficient land use, the buildings are gradually becoming high-rise. However, the high-rise buildings of these buildings are vulnerable to disasters such as fires and earthquakes, which often causes many casualties in the event of a disaster.

예컨대 우리나라의 경우 1971년 12월 25일 발생한 7층 규모의 대연각 호텔 하재는 사망 163명 부상 63명이라는 많은 인명의 피해가 있었으며, 그 이후로도 크고 작은 화재로 인하여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였고, 최근 2017년 12월 21에도 9층 규모의 제천 스포츠 센터 화재로 인하여 29명이 사망하고 37명이 부상을 당하였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Korea, Dae Yeon Hotel Hotel Ha-jae, which is a 7-story building on December 25, 1971, suffered many casualties of 163 deaths and 63 casualties. Since then, there have been many casualties due to large and small fire. On May 21, 29 people were killed and 37 others were wounded due to a 9-story Jecheon Sports Center fire.

해외의 경우도 1980년 11월 21일 미국 라스베가스에 위치한 26층 규모의 호텔에 발생한 화재는 85명의 사망자와 680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다.In the case of overseas, there were 85 deaths and 680 casualties in a 26-story hotel in Las Vegas on November 21, 1980.

따라서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 대하여는 완강기 등의 긴급 탈출시설을 설치하도록 강제하고 있다. 완강기는 고층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몸에 밧줄을 매고 건물의 외벽을 타고 천천히 내려올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emergency escape facilities such as stiffness are forced to be installed for buildings of a certain size or more. The stiffener ties a rope to the body when a fire occurs in a high-rise building, allowing it to slowly descend through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그런데 이러한 완강기는 자력에 의한 대피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완강기의 사용법을 알고 있어야 할 뿐 아니라, 이를 이용할 수 있는 심신의 소유자이어야 한다. However, since such a robber is a self-evacuation system, the user must be aware of how to use the robber, and be the owner of the mind and body to use it.

한편 한국소비자보호원이 최근 조사한 수도권 소재 노인요양시설의 안전실태에 따르면 65%가 고층 건물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노인요양시설에 있는 노인 대다수가 심신장애로 완강기를 이용한 자력대피가 어려워 화재발생시 심각한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cent survey by the Korea Consumer Protection Board, 65% of the elderly nursing homes in the metropolitan area are located in high-rise buildings. Therefore, it can be expected that the majority of elderly people in elderly nursing homes have difficulty in evacuating their self - rescue using a robotic device due to mental and physical disorders, which can lead to serious safety accidents in case of fire.

아울러 완강기는 한명씩만 탈출이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다중이용시설의 많은 사람들의 신속한 대피는 현실적으로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ortress is able to escape only one person, the rapid evacuation of many people in the multi-use facility is difficult in reality.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층건물의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장치가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01790호로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fire suppression and lifesaving elevator apparatus for a high-rise building has been prop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0701790.

상기의 피난용 승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층건물 옥상에서 두가닥으로 길게 늘어뜨려진 일정한 굵기의 와이어(100)를 타고 구조가 필요한 건물외벽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리프팅 이동하면서 인명의 대피 또는 구조하는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장치(10)를 구성함에 있어서, 화재시 발생하는 고열이나 화염에도 상당한 내열성을 가진 불연재(21)가 내장된 내열벽체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30)와; 상기 엘리베이터(30)의 내, 외부 일정한 위치에 자체적인 구동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자체동력발생수단(40)과; 상기 엘리베이터(30)의 자체동력발생수단(40)을 통해 보관된 일정한 타 장소에서 구조가 필요한 소정의 건물아래 장소로 용이하게 주행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동력발생부터 인가된 동력과 연결된 미션, 바퀴(453), 조향장치 등의 주행수단과; 건물의 옥상에서 아래 지면으로 길게 늘어뜨려진 상기 두 가닥의 와이어(100)를 타고 상방으로 스스로 올라갈 수 있도록 정지상태의 와이어(100)가 그 와이어(100)에 주어지는 상,하방의 상당한 하중에 의해 더욱 강하게 압지 끼임되어 절대 미끄러지지 않는 태클 형태의 와이어풀리(60)와; 화재로 인한 인명구조활동 중 엘리베이터(30)에 접근하는 화염이나 화재장소의 인명구조시의 필요한 부분적인 화염의 임시소등 또는 화재자체의 진압 등을 목적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자체 소방장치;를 각각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evacuation and landing devices are lifted i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requiring a structure by taking a wire 100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which is elongated in two strands, An elevator 30 made of a heat resistant wall having a non-combustible material 21 having a considerable heat resistance even in case of fire or flame generated in a fire, in the construction of the lifesaving elevator apparatus 10 for evacuating or rescue human life while moving; Self-generated power generating means (40) capable of exerting its own driving forc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and outside of the elevator (30); The power generator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generating unit so that the elevator 30 can easily travel from the fixed place stored through the self-generated power generating unit 40 to the place under the predetermined building, 453), a traveling device such as a steering device; The stationary wire 100 is given a considerable load on the wire 100 so that the wire 100 can be lifted up by riding on the two wires 100 that are long from the roof of the building. A tackle type wire pulley (60) which is strongly urged and does not slip; An elevator fire-fighting device for the purpose of temporary extinguishing of a partial flame necessary for lifesaving of a fire or a fire place approaching the elevator 30 during lifesaving activities due to a fire or suppressing the fire itself; .

상기한 종래기술의 피난용 승강장치는 다수인을 동시에 대피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 피난용 승강장치는 엘리베이터 자체가 구동력을 발생하도록 하면서 이를 탑승자가 직접 조정해야 하기 때문에 소방관이 탑승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심신이 미약한 대피자들만에 의한 긴급대피는 현실적으로 기대할 수 없을 뿐 더러, 상기 피난용 승강장치는 평상시에도 건물의 외벽에 돌출된 상태로 매달려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않다.The above-described prior art elevator lift apparatus has an advantage that a plurality of persons can be simultaneously evacuated. However, since the elevator car itself needs to adjust the driving force of the elevator, the occupant must adjust the elevator manually.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expect emergency evacuation by only the big pizzas with weak mind and body while the firefighter is not on board, Maintenance work is not easy because the lifting and lowering equipment should be suspended and fixed in a state of being protruded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even in normal times.

KRKR 10-070179010-0701790 B1B1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노약자들도 쉽게 이용할 수 있으면서,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건물 외부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provides an emergency escape platform for a fire disaster which can be readily used by the elderly, .

또한 본 발명은 구조위치에 대한 좌우 편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를 위한 좌우의 이동을 최소화시켜 구조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ergency escape platform for a fire disaster capable of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rescue operation by minimizing the lateral movement for the structure by absorbing lateral deviation with respect to the structural 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건물의 옥상에 놓여져 보관될 수 있게 함으로써 유지관리가 용이한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를 제공함에도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escape platform for a fire emergency which can be easily stored and maintained on the roof of a building.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건물의 옥상 바닥면에 설치되는 승강지지체와, 상기 승강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승강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지지체는 전후방향으로는 고정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승강체는 승강지지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재난발생시 승강지지체로부터 이탈하여, 지상에 설치된 동력장치에 의해 조정되는 승강로프에 현수된 상태로 건물의 외부에서 승하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re is provided an elevating support comprising a lift supporting body provided on a roof bottom surface of a building and an elevating body supported by the elevating supporting body, The elevating body is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pulled forward from the elevating support, and in a state of being suspended in the elevating rope which is separated from the elevating support body in the event of a disaster and adjusted by a power device installed on the ground Wherein the emergency escape platform for a fire disaster is constructed so as to ascend and descend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승강지지체는, 승강체를 현수시키기 위한 현수봉체와, 상기 현수봉체의 전방을 지지하기 위한 전면수직지지틀과, 상기 현수봉체의 후방을 지지하기 위한 후면수직지지틀 및, 상기 전면수직지지틀과 후면수직지지틀의 각 하단에 위치하면서 승강체가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바닥틀로 이루어지되, 상기 거치바닥틀은, 양 측면에서 전면수직지지틀과 후면수직지지틀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고정관과, 서로 대향하는 고정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구름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support comprises: a suspending barrel for suspending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a front vertical supporting frame for supporting the front of the suspending barrel; a rear vertical supporting frame for supporting the rear of the suspending barrel; A vertical vertical supporting frame and a rear vertical supporting frame, wherein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supporting frames are vertically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supporting frame, And a plurality of cloud tubes rotatably installed between mutually opposing fixing pipes. The emergency escape platform for a fire disast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mergency escape platform for a fire disaster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건물의 옥상 바닥면 또는 콘크리트 난간에 양 단부가 고정되도록 가이드고정지지관체가 설치되고, 후면수직지지틀과 거치바닥틀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가이드고정지지관체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구비한 이동지지브라켓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fixing support tube is installed so as to fix both ends to a roof bottom of a building or a concrete railing, an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rear vertical supporting frame and the mounting floor frame, There is provided an emergency escape platform for a fire emergency, characterized in that a moving support bracket having a through hole to be inserted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면수직지지틀과 후면수직지지틀의 각 상단에는 현수봉체가 삽입되는 전단지지홈과 후단지지홈이 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전단지지홈과 후단지지홈은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한 쌍의 가이드롤러가 이격 설치됨으로써 형성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vertical support frame and the rear vertical support frame are provided with a front end support groove and a rear end support recess, respectively, through which the suspending member is inserted, A lift table is provided. At this time, the front end support grooves and the rear end support grooves may be formed by spacing a pair of guide rollers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현수봉체의 선단에는 현수도르레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현수도르레의 후방에는 당김도르레가 설치되되, 상기 당김도르레는 현수봉체 상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전단지지홈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로프는 일단이 승강체에 고정된 후 현수도르레와 당김도르레를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에는 연결고리가 구비되어 동력장치에 연결된 연결로프에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ging pulley is fixedly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suspending member, and a pulling pulley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uspending pulley. The pulling pulley is provided on the hanging- And the lifting rope is detachably attached to a connecting rope connected to the power unit, the lifting rop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elevating body and then passing through the hanging pulley and the pulling pulley, An emergency escape platform for fire disasters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승강체는 바닥면과 전,후,좌,우면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전면 중앙의 상단과 하단에는 제1안내도르레와 제2안내도르레가 각 설치되고, 바닥면의 중앙 선단부에는 로프통과슬릿이 구비되며, 전면에는 상기 로프통과슬릿과 연통한 로프투척창이 형성되고, 전면과 좌,우면 중 적어도 어느 한면에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바닥면의 중앙 후단부에는 로프통과슬릿과 연결되는 로프삽입트렌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body is formed in a box shape having a bottom surface and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and an open top, A rope throwing slit is provided at the center front end of the bottom surface, a rope throwing window communicating with the rope passing slit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a door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The emergency escape platform for a fire disaster is provided. At this time, a rope insertion trench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center rear end of the bottom surface to be connected to the rope passing sli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승강체의 좌,우면에는 상부로 절첩 가능한 날개판이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날개판이 펼쳐진 상태를 지지하면서 날개판의 펼침각도를 제한하는 지지와이어가 승강체의 좌,우면과 날개판의 각 상단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wing plates that can be folded at an upper portio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fting body, and a supporting wire, which supports the wing plate in an unfolded state, Is provid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ng plate and each upper end of the wing plate.

본 발명의 승강장치는 재해발생 건물의 외부 지상에 설치된 동력장치의 조정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므로, 소방관 등의 전문가에 의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조작을 가능하게 하고, 노약자들도 쉽게 접근 및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많은 인원을 동시에 대피시킬 수 있게 한다.Since the lif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by adjustment of the power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aster-causing building, safe and efficient operation by an expert such as a fire fighter or the like is enabled and the elderly can easily access and use, It allows many people to evacuate at the same time.

또한 본 발명의 승강장치는 절접식 날개판에 의해 동시에 대피할 수 있는 면적의 규모를 확대시켜 승강장치를 좌우로 크게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넓은 범위에 위치한 대피자들을 함께 탑승시킬 수 있어 효율적인 구조작업을 가능하게 한다.Also, the lif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large the area of the area that can be simultaneously evacuated by the tie-off blade, thereby allowing large piles located in a wide range to be carried together without moving the lift device to the left and right, .

또한 본 발명의 승강장치는 화재 등 재난 발생시에만 건물의 외부에 위치시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건물의 외관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화재 등의 재난발생시 신속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lif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outside the building only in case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thereby facilitating maintenance without hindering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and enabling quick use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fire.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고층건물의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승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승강장치의 일 구성인 승강지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승강지지체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승강지지체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승강지지체에 구비된 걸림대의 작동관계에 관한 부분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승강장치의 또 다른 구성인 승강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승강체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승강체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로프거치대의 작동을 나타낸 각 상세도이다.
도 11은 상기 승강체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 드럼의 탈착방법을 설명하는 각 부분사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승강체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에 구비된 날개판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각 단면도이다.
도 14, 15는 본 발명의 승강장치가 작동하는 과정의 각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e suppression and lifesaving elevator apparatus of a high-ris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ion support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lift devic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elevation support.
6 is a side view of the elevation support.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latch provided on the lifting support.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cending / descending body, which is another constitution of the abovementioned landing gear.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10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ope rest which can be installed inside the elevating body.
1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drum that can be fixedly installed in the elevating member.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relationship of a wing plate provided in the embodiment of FIG.
14 and 1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landing gea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order to obscure or obscur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structur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above known structure will be omitted.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승강장치가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landing g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roof of a building.

본 발명의 승강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외부, 즉 옥상에 설치되어 화재나 지진 등의 재난발생으로 인하여 그 건물 내에 있던 사람들이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피난장치로서, 승강지지체(200)와 승강체(4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elev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at is, on the roof, so that people in the building can quickly escape due to a disaster such as fire or earthquake. And includes a support body 200 and an ascending / descending body 400.

도 3 내지 7은 상기 승강지지체(200)에 관한 구성을 각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승강지지체(200)의 외관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며, 도 5는 승강체(400)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6, 7은 승강지지체(200)의 구성 중 일부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며, 도 7은 또 다른 구성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는 부분사시도 및 각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lifting support 200.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and Fig. 5 is a vertical cross- 6 and 7 are sid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support 200. Fig.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another configuration, and Fig. Sectional view.

승강지지체(200)는 건물의 옥상 바닥면(7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승강체(400)를 보관하거나 승강체(400)의 사용시 승강체(400)의 하중을 지지하여 사람들의 안전한 대피를 가능하게 한다.The lifting support 200 is installed on the roof bottom 710 of the building and supports the lifting body 400 when the lifting body 400 is used or when the lifting body 400 is used. .

승강지지체(200)는 승강체(400)가 이동하는 전후방향에 대하여는 그 위치가 고정되나, 좌우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정확한 구조위치로 승강체(400)를 하강시킬 수 있게 한다.The elevating support 200 is fixed in its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which the lifting body 400 moves, but is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reby allowing the lifting body 400 to descend to an accurate structure position.

이러한 승강지지체(200)는, 현수봉체(250)와 전면수직지지틀(210)과 후면수직지지틀(220) 및 거치바닥틀(240)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구조체를 형성하면서 승강체(400)의 무거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elevating and lowering support 200 includes a suspension member 250 and a front vertical supporting frame 210 and a rear vertical supporting frame 220 and a mounting floor frame 240, So as to support the heavy load.

현수봉체(250)는 캔틸레버 구조 방식으로 승강체(400)를 직접 현수시키는 구성으로서, 전면수직지지틀(210)과 후면수직지지틀(220)에 의해 지지된다.The hanging rods 250 are supported by the front vertical supporting frame 210 and the rear vertical supporting frame 220 in a structure in which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400 is directly suspended in a cantilever structure manner.

승강체(4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승강로프(270)를 통해 현수봉체(250)에 현수되고 승하강 되는 것인 바, 상기 현수봉체(250)의 선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로프(270)가 감아지는 현수도르레(251)가 설치되고, 상기 현수도르레(251)의 후방에도 현수도르레(251)를 통과한 승강로프(270)가 통과하는 당김도르레(252)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4, the lifting rope 400 is suspended from the suspending rods 250 through the lifting ropes 270 as described later, and is lifted up and down. And a pulling pulley 252 through which the lifting rope 270 passing through the suspending pulley 251 passes is provided in the rear of the suspending pulley 251.

따라서 당김도르레(252)를 통과한 승강로프(270)를 당겨주게 되면 승강체(400)가 현수봉체(250)에 하중이 안전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상승하게 되고 승강로프(270)를 풀어주면 승강체(400)가 하강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lifting rope 270 passed through the lifting pulley 252 is pulled, the lifting body 400 is lifted while the load is securely supported on the lifting rod 250. When the lifting rope 270 is loosened, (400) is lowered.

전면수직지지틀(210)은 현수봉체(250)의 전방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나, 다른 한편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체(400)가 인출 및 인입되는 출입구가 된다.The front vertical supporting frame 210 is for supporting the front of the hanging rod 250, and on the other hand, it is an entrance through which the elevating member 400 is drawn and drawn as shown in FIG.

따라서 전면수직지지틀(210)은 승강체(400)가 충분히 통과할 수 있는 규모의 개구(211)가 형성되어야 하며, 그 상단에는 현수봉체(250)를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수단의 하나로 현수봉체(250)가 삽입되는 전단지지홈(212)이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the front vertical supporting frame 210 should be provided with an opening 211 having a size enough to allow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400 to pass through, and means for supporting the hanging hook 250 must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thereof. One of the above means may be provided with a front end support groove 212 into which the suspension member 250 is inserted.

후면수직지지틀(220) 역시 현수봉체(250)의 후방을 지지하여 승강체(400)의 하중이 건물의 옥상 콘크리트에 지지되게 함으로써 승강체(400)의 승하강이 안전하게 이루어지게 한다.The rear vertical supporting frame 220 also supports the rear of the suspender 250 so that the load of the elevating unit 400 is supported by the roof concrete of the building so that the ascending / descending of the elevating unit 400 can be safely performed.

따라서 후면수직지지틀(220)의 상단에도 전단지지홈(212)에 상응하는 후단지지홈(222)이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전면수직지지틀(210)과 후면수직지지틀(220)에 전단지지홈(212)과 후단지지홈(222)이 각 설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 rear end support groove 222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support groove 212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vertical support frame 220. Hereinafter, the front vertical support frame 210 and the rear vertical support frame 220 are provided with the front end support grooves 212 and the rear end support grooves 222, respectively.

현수봉체(250)는 건물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전면수직지지틀(210)과 후면수직지지틀(220)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나, 이러한 돌출 고정구조는 현행법규에 저촉될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건물의 외관을 손상시키며, 유지관리를 어렵게 한다.The hanging bar body 250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fixed to the front vertical supporting frame 210 and the rear vertical supporting frame 220 in a state of protruding forward of the building, In addition, it damages the appearance of buildings and makes maintenance difficult.

따라서 상기 현수봉체(250)는 승강체(400)의 사용 여부에 따라 전면수직지지틀(210)로부터 전방으로 출몰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spending member 250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projected forward from the front vertical supporting frame 210 depending on whether the elevating member 400 is used or not.

즉 전면수직지지틀(210)과 후면수직지지틀(220)에 각 구비된 전단지지홈(212)과 후단지지홈(222)에 삽입된 현수봉체(2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지지홈(212)과 후단지지홈(222)의 각 내부에서 슬리이딩되도록 함으로써, 재난발생으로 승강체(400)를 사용할 경우에는 현수봉체(250)가 인출되어 상기 승강체(400)가 수직으로 현수될 수 있도록 하고, 재난상황이 마무리되어 승강체(400)를 승강지지체(200)로 원위치시킬 경우에는 현수봉체(250)가 인입됨으로써 현수봉체(250)의 선단이 건물외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경우 현수봉체(250)를 최대 인출시키더라도 현수봉체(250)가 전면수직지지틀(210)과 후단수직지지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현수봉체(250)의 후단에 스토퍼(253)를 구비시키고 상기 스토퍼(253)가 후단지지홈(222)에 걸림됨으로써 전면수직지지틀(210)과 후면수직지지틀(220)에 대한 현수봉체(250)의 인출정도가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ont suspension support groove 212 provided at the front vertical support frame 210 and the rear vertical support frame 220 and the suspension member 250 inserted into the rear end support groove 222 are formed in the front The suspending member 250 is pulled out when the lifting body 400 is used due to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so that the lifting body 400 is lifted up vertically The suspending member 250 is retracted to prevent the leading end of the suspending member 250 from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when the disaster is completed and the elevator 400 is moved back to the elevating support 200 . The stopper 253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hanging bar 250 so that the hanging bar 250 may not be detached from the front vertical supporting frame 210 and the rear vertical supporting frame even if the hanging bar 250 is fully drawn out. And the stopper 253 is engaged with the rear end support groove 222 so that the pulling degree of the suspending member 250 with respect to the front vertical supporting frame 210 and the rear vertical supporting frame 220 is limited.

이때 전면수직지지틀(210)과 후면수직지지틀(220)의 상단에 한 쌍의 가이드롤러(230)를 각 설치하되,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230)는 상부와 하부에 각 위치시키면서 이들 사이가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전단지지홈(212)과 후단지지홈(222)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롤러(230)에 의해 형성되는 전단지지홈(212)과 후단지지홈(222)은 이에 삽입된 현수봉체(250)의 인출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비상시 작은 힘으로도 현수봉체(250)를 쉽게 인출시켜 승강체(400)의 신속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At this time, a pair of guide rollers 230 are installed at the upper ends of the front vertical support frame 210 and the rear vertical support frame 220, and the pair of guide rollers 230 are position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 front end support groove 212 and the rear end support groove 222 can be formed. The front end support groove 212 and the rear end support recess 222 formed by the pair of guide rollers 230 can smoothly draw out the inserted hanging rod 250, So that the suspending member 250 can be easily taken out to enable rapid use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400.

전면수직지지틀(210)과 후면수직지지틀(220)의 각 하단에는 승강체(400)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바닥틀(240)이 설치된다.A mounting floor frame 240 is installed at each lower end of the front vertical supporting frame 210 and the rear vertical supporting frame 220 so that the elevating body 400 can be mounted.

거치바닥틀(240)은 전면수직지지틀(210)과 후면수직지지틀(220)이 일체화되도록 함과 더불어, 평상시 승강체(400)를 거치시켜 보관함으로서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재난 발생등 유사시에는 승강체(400)가 슬라이딩 되면서 건물의 외벽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게 하는 진출입 발판의 기능을 한다.The mounting floor frame 240 allows the front vertical supporting frame 210 and the rear vertical supporting frame 220 to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and also allows easy maintenance by storing the elevator 400 in a normal state, When the elevator 400 is in a state of emergency, the elevator 400 serves as an entry / exit platform that allows the elevator 400 to be slid and taken out to the front of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이러한 거치바닥틀(240)은, 양 측면에서 전면수직지지틀(210)과 후면수직지지틀(220)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고정관(241)과, 서로 대향하는 고정관(241)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구름관(242)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거치바닥틀(240)에 거치된 승강체(400)는 상기 구름관(242)의 회전에 따라 작은 힘만으로도 전후방으로 쉽게 이동하게 된다.The mounting floor frame 240 includes a fixing pipe 241 for connecting the front vertical supporting frame 210 and the rear vertical supporting frame 220 to each other and integrating the front vertical supporting frame 210 and the rear vertical supporting frame 220, And a plurality of cloud tubes 242 installed to be installed. Therefore,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400 mounted on the mounting floor frame 240 can be easily moved back and forth with only a small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loud tube 242.

이와 같이 구성된 승강지지체(200)는 승강체(400)에 작용하는 하중을 건물 구조체에 전달하면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승강체(400)가 정확한 구조위치에서 승하강되도록 좌우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바. 이를 위하여 건물의 옥상 바닥면(710) 또는 콘크리트 난간(720)에 양 단부가 고정되는 가이드고정지지관체(260)가 설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support body 20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left-right direction so that the lifting body 400 is lifted and lowered at an accurate structural position, while the load acting on the lifting body 400 is transmitted to the building structure I will. For this purpose, a guide stationary support pipe 260 is provided to which both end portions are fixed to the roof bottom 710 of the building or the concrete railings 720.

건물의 옥상 바닥면(710) 도는 콘크리트 난간(720)에 대한 가이드고정지지관체(260) 단부의 고정 설치는 앵커볼트와 고정브라켓 등의 공지수단에 의할 수 있으며, 승강체(400)의 하중과 이에 탑승한 대피자들의 모든 하중에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단단히 고정되어야 한다.Fixing and mounting of the ends of the guide fixing support tube 260 to the concrete railing 720 on the roof bottom 710 of the building can be performed by known means such as anchor bolts and fixing brackets. And all the loads of the large pizza on board.

또한 상기 가이드고정지지관체(260)는 승강지지체(200)의 좌우 이동에 대한 가이드 수단이 되는 것인 바, 바람직하게는 옥상 바닥면(71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guide fixed support tube 260 serves as a guiding means for moving the lifting support 200 to the left and right. Preferably, the guide fixed support tube 260 should be spaced apart from the roof top surface 7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다른 한편으로 승강지지체(200)의 후면(420) 하단, 즉 후면수직지지틀(220)과 거치바닥틀(240)의 연결부위에는 이동지지브라켓(243)이 설치된다. 이동지지브라켓(243)에는 가이드고정지지관체(260)가 삽입되는 관통홀(243a)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a movable support bracket 243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surface 420 of the elevation support 200, that is,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rear vertical support frame 220 and the mounting floor frame 240. The movable support bracket 243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243a through which the guide fixing support tube 260 is inserted.

따라서 이동지지브라켓(243)의 관통홀(243a)에 가이드고정지지관체(260)가 삽입되도록 설치된 승강지지체(200)는 상기 가이드고정지지관체(260)를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The lifting and supporting member 200 installed to insert the guide fixing supporting tube 260 into the through hole 243a of the moving supporting bracket 243 can be moved laterally along the guide fixing supporting tube 260. [

도 8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승강체(400)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서, 도 8은 상기 승강체(400)의 외관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승강체(400)의 내부를 설명하는 절개사시도이며, 도 10, 11은 상기 승강체(400) 내부에 놓여진 승강로프(270) 뭉치를 투하시키는 방법과 관련한 각 실시예의 상세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vator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vator 400 as a whole. FIGS. 10 and 11 are detailed views of respective embodiments related to a method of dropping a bundle of lifting ropes 270 placed in the lifting body 400. FIG.

또한 도 12,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승강체(400)의 구성 및 또 다른 작동관계를 설명하는 사시도 및 각 단면도이다. 12 and 13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400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other operating relationship.

본 발명의 승강체(400)는 재난발생시 승강지지체(200)로부터 이탈하여, 지상에 설치된 동력장치(600)에 의해 조정되는 승강로프(270)에 현수된 상태로 건물의 외부에서 승하강되면서 건물 내의 사람들을 탑승시켜 건물로부터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fted up and down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n a state suspended from the lifting rope 270 adjusted by the power unit 600 installed on the ground, To escape from the building.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승강지지체(200)로부터 이탈하여 건물의 외벽 전방에 위치하게 된 승강체(400)는 승강로프(270)의 일단에 고정되고, 승강체(400)에 일단을 고정시킨 승강로프(270)는 현수봉체(250)의 선단에 설치된 현수도르레(251)를 통과하게 하여 승강체(400)의 하중이 현수봉체(25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며, 현수도르레(251)를 통과한 승강로프(270)는 다시 현수도르레(251)의 후방에 설치된 당김도르레(252)를 통과한 후 승강체(400)와 건물 외벽 사이에서 지상으로 내려지고, 윈치 등 지상에 설치된 동력장치(600)에 연결된 연결로프(610)와 이음 연결된다. 승강로프(270)의 타단과 이에 이음 연결되는 연결로프(610)의 단부에는 서로간에 체결 및 해지가 가능한 연결고리(271,611)가 각 구비된다.More specifically,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400, which is separated from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support 200 and positioned in front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s fixed to one end of the ascending rope 270, The load 270 is transmitted through the suspender pulley 251 provided at the end of the suspending member 250 so that the load of the elevating member 400 is supported by the suspending member 250, The rope 270 is again lowered to the ground between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400 a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fter passing through the pulling pulley 252 provided behind the suspender pulley 251, and the power is transmitted to the power device 600 And connected to the connected connecting rope 610. The other end of the lifting rope 270 and the end of the connecting rope 610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lifting rope 270 is connected are provided with connection rings 271 and 611 which can be fastened and disengaged from each other.

따라서 상기 동력장치(600)를 가동시켜 승강로프(270)를 풀어주어 승강체(400)가 하강하게 하거나 승강로프(270)를 감어주어 승강체(400)가 상승할 수 있게 함으로써 건물 내의 사람들을 순차적으로 대피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ower unit 600 is operated to release the lifting rope 270 to lower the lifting body 400 or to wind the lifting rope 270 so that the lifting body 400 can be lifted, It is possible to sequentially evacuate.

한편 현수봉체(250)가 승강지지체(200)의 전면수직지지틀(210) 등으로부터 인출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현수봉체(250)가 인입된 상태에서는 현수도르레(251)와 당김도르레(252)가 전면수직지지틀(210)의 전단지지홈(212)에 밀착되면서 현수봉체(250)의 선단이 건물의 외벽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현수봉체(250)가 인출된 상태에서의 당김도르레(252)는 현수도르레(251)와 이격되어 승강체(400)와 건물 외벽의 사이에 위치하여 당김도르레(252)를 통과한 승강로프(270)가 승강체(400) 및 건물 외벽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당겨지거나 풀려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When the suspending member 250 is pulled out from the front vertical supporting frame 210 of the lifting support 200 or the like, the suspending pulley 251 and the pulling pulley 252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support groove 212 of the front vertical support frame 210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suspension member 250 does not protrude from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nd the pulling pulley 250 The elevator rope 252 is positioned between the elevator 400 and the building outer wall so that the elevator rope 270 passing through the hoistway 252 is interfered by the elevator 400 and the building outer wall So that it can be pulled or released.

이를 위해 당김도르레(252)는 현수봉체(250) 상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전단지지홈(212)의 전방에 설치된다. 예컨대 승강체(4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즉 승강체(400)가 승강지지체(200)에 놓여지고 현수봉체(250)가 안쪽으로 인입된 상태에서는 당김도르레(252)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수직지지틀(210)에 접하도록 위치하고, 승강체(400)를 사용할 때, 즉 승강체(400)가 건물 밖으로 인출되고 현수봉체(250) 역시 바깥쪽으로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의 당김도르레(25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체(400)와 건물 외벽의 사이에 위치하여 승강로프(270)가 이들 승강체(400) 및 건물에 의해 간섭되지 않아야 한다 To this end, the pulling drum 252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front end support groove 212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on the suspending barrel 250. 4, when the elevator 400 is not used, that is, when the elevator 400 is placed on the elevation support 200 and the suspender 250 is pulled inward, When the lifting body 400 is used, that is, when the lifting body 400 is pulled out of the building and the hanging hook 250 is also fully extended outward, The lifting rope 252 is positioned between the lifting body 400 a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s shown in FIG. 6 so that the lifting rope 270 is not interfered by the lifting body 400 and the building

예컨대 승강체(400)가 건물밖으로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당김도르레(252)가 지나치게 이동하여 상기 승강체(400)의 직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승강로프(270)를 당길때 승강체(400)를 흔들거리게 할 뿐 아니라 승강로프(270)와 승강체(400) 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승강장치의 안전한 운행을 저해한다.When the lifting rope 400 is completely drawn out of the building and the lifting rope 252 is excessively moved to be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lifting body 400, when the lifting rope 270 is pulled, And also inhibits safe operation of the lift device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lifting rope 270 and the lifting device 400.

따라서 당김도르레(252)가 현수도르레(251)쪽으로 지나치게 이동하지 않도록 그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n engaging means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pulling pulley 252 so as not to move excessively toward the pulling pulley 251.

상기 걸림수단은 현수봉체(250)에 돌기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수직지지틀(210)에 ㄷ자형 걸림대(213)를 설치하여 상기 걸림대(213)에 의해 당금도르레(252)의 인출 정도가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현수봉체(250)의 인입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oking means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on the hanging hook 250. It is preferable that a U-shaped hook 213 is provided on the front vertical supporting frame 210 as shown in FIG. 7, So that the pulling of the hanging bar 250 is not disturbed.

상기 걸림대(213)는 전면수직지지틀(210)에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수직지지틀(210)에 통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통공을 통해 인출입되도록 함으로써 현수봉체(250)의 인입시 함께 인입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걸림대(213)의 양 끝에는 스토퍼(213a)를 구비시켜 걸림대(213)가 전면수직지지틀(2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7 (b), the front vertical support frame 210 may have a through hole (not shown), and the front vertical support frame 210 may have a through hole And is pulled out through the through hole to be pulled together when the hanging hook 250 is pulled in. Of course, a stopper 213a should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atch 213 to prevent the latch 213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front vertical support frame 210.

이와 더불어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현수봉체(250)를 인출시켰을 때 당김도르레(252)의 위치가 승강체(400)와 건물 외벽의 사이에 자동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걸림대(213)의 양측에 스프링수단을 더 구비시킬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spring mean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taining band 213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ulling barrel 252 is automatically positioned between the elevating body 400 a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when the suspending barrel 250 is taken out .

상기의 승강체(400)는 바닥면(450)과 전,후,좌,우면(410,420,430,440)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승강체(400)에 탑승한 대피자들이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전면(410)을 제외한 나머지 면, 즉 후면(420)과 좌,우면(430,440) 중 적어도 어느 한면에는 도어(47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대피자들은 상기 도어(470)을 통해 승강체(400) 내부로 진입할 수 있을 뿐 더러, 상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도 진입할 수 있어 재해발생 현장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전,후,좌,우면(410,420,430,440)의 벽체는 승강체(400)가 하강하면서 연기나 화염이 내부로 들어오지 않도록 차단벽 구조로 구성시킬 수 있다. 승강체(400)의 하부에는 전후좌우 이동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바퀴(453)를 더 구비시킬 수 있다.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400 is composed of a bottom surface 450 and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410, 420, 430 and 440, and is shaped like a box having an open upper part, so that the large piles loaded on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400 can be safely lowered do. A door 470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rear surface 420 and the left and right surfaces 430 and 440 except for the front surface 410. Accordingly, the large pizzas can enter the inside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400 through the door 470, and can also enter through the open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so that the pizzas can cope with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disaster occurrence site. The walls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410, 420, 430, and 440) may have a blocking wall structure so that smoke or flame does not enter the inside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400. The lower portion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400 may further include a wheel 453 so as to be more easily moved back and forth.

대피작업을 완료한 승강체(400)가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하여 승강지지체(20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승강체(400)는 당김도르레(252)를 통과하여 하부로 늘어뜨려진 승강로프(270)를 물고 들어가게 되는 바, 상기 승강로프(27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1안내도르레(421)와 제2안내도르레(422)가 상기 후면(420) 중앙의 상단과 하단에 각 설치된다. 아울러 바닥면(450)의 중앙 선단부 및 전면(410)의 중앙 하단부에는 서로 연결된 하나의 로프통과슬릿(451)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410)의 로프통과슬릿(451) 상단에도 이와 연통한 로프투척창(411)이 형성된다.When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400 that has completed the evacuation operation enters the inside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support body 200 in order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body 400 passes through the pulling pulley 252, The first guide pulleys 421 and the second guide pulleys 422 are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420 to prevent the lifting rope 270 from being detached . A rope passing slit 451 connected to the center front end of the bottom surface 450 and a center bottom end of the front surface 410 and a rope passing slit 451 connected to the top of the rope passing slit 451 of the front surface 410, A throwing window 411 is formed.

따라서 승강체(400)가 승강지지체(20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승강로프(2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안내도르레(421)와 제2안내도르레(422)를 거친 후 바닥면(450)의 하부를 지나 로프통과슬릿(451)을 통과한 후, 도 9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뭉치로 감겨져 로프투척장(411)이 위치한 승강체(400) 내부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400 is positioned inside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support body 200,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rope 270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guide counters 421 and 422 as shown in FIG. 9 9-11, after passing through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450 and passing through the rope passing slit 451, the rope throwing slot 411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elevator 400 where the rope throwing field 411 is located .

이와 같이 승강로프(270)가 승강체(400)를 감싸는 방식으로 배치됨으로써 긴급사태 발생시 지상으로 투하된 승강로프(270)를 당겨줌으로써 승강체(400)가 자연스럽게 승강지지체(200)로부터 인출되게 하는 효과를 가지게 한다.The lifting rope 270 is disposed in such a manner that the lifting rope 270 surrounds the lifting body 400 so that the lifting rope 270 is pulled to the ground when the emergency occurs so that the lifting body 400 is naturally pulled out of the lifting support 200 Effect.

아울러 바닥면(450)의 중앙 후단부에 로프통과슬릿(451)과 연결되는 로프삽입트렌치(452)를 더 구비시킴으로써 승강체(400)가 승강지지체(200) 내부로 진입할 때 승강로프(270)에 의한 간섭이 없도록 하여 승강로프(270)가 손상되지 않고 승강체(400)의 진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The rope insertion trench 452 is connected to the rope passing slit 451 at the center rear end of the bottom surface 450 so that when the rope 400 enters the inside of the rope support 200, So that the ascending / descending rope 270 is not damaged and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400 can be smoothly entered.

승강체(400) 내부에 위치한 승강로프(270) 뭉치는 언제든지 로프투척창(411)을 통해 건물의 외부로의 투하될 수 있어야 한다.The bundle of lifting ropes 270 located inside the lifting body 400 must be abl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rough the rope throwing window 411 at any time.

도 9 내지 11은 승강로프(270) 뭉치의 용이한 투하를 위한 각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제1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투척창(411)의 하단에 접하여 그 후방에 로프거치대(461)가 설치된다.이때 상기 로프거치대(461)는 무거운 승강로프(270) 뭉치가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게 하여 투하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로프투척창(411)의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9 to 11 illustrate respective embodiments for easy dropping of the hoist ropes 270. The first embodiment of the hoist ropes 270 is disposed at the rear side of the rope throwing window 411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rope throwing window 411 The rope holder 461 is install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rope throwing window 411 so that the bundle of heavy lifting ropes 270 slides along the slope and is easily released desirable.

이 경우 로프거치대(461)의 선단에는 로프고정편(462)이 더 설치된다. 상기 로프고정편(462)은 로프거치대(461)에 놓여진 승강로프(270)가 평상시에는 투하되지 않도록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나, 재난 발생시 등 승강체(400)의 사용시에는 로프거치대(461)의 경사면으로부터 제거되어 승강로프(270)가 상기 경사면을 타고 미끄러져 내려가 건물 밖으로 투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a rope fixing piece 462 is further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rope mounting table 461. The rope fixing piece 462 prevents the lifting rope 270 placed on the rope mounting base 461 from slipping so that the lifting rope 270 is not normally released, but when the lifting body 400 is used, So that the lifting rope 270 slides down on the slope and can be dropped out of the building.

이러한 로프고정편(462)는 상기한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면 그 구성을 특별히 제한할 필요는 없으나, 단순하면서도 누구나 쉽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실시예의 하나로, 상기 로프고정편(462)을 로프거치대(461)의 선단에 경첩 등의 힌지수단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시키고, 평상시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고정편(462)이 상방향으로 위치하여 돌출턱이 형성되게 한 후 빗장걸이 등의 잠금장치(미도시)로 잠금하고, 재해 발생시 상기 잠금장치를 해지하면 승강로프(270) 뭉치의 하중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고정편(462)이 로프거치대(461)의 하부로 회전하여 로프거치대(461)상기 승강로프(270)의 투하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rope fixing piece 46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rope fixing piece 462 can be easily operated by anyone. As one of the embodiments, the rope fixing piece 46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rope holding table 461 by a hinge such as a hinge. Normally, as shown in Fig. 8, (Not shown) such as a bolt hook after the protruding jaws are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s, and when the lock device is released when a disaster occurs, the load of the lift rope 270 causes the load The rope fixing piece 462 is rota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pe holding table 461 so that the rope holding table 461 can smoothly deliver the lifting rope 270.

도 11은 승강로프(270) 뭉치의 용이한 투하를 위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a) 내지 (c)는 11 shows a second embodiment for easy release of a bundle of hoisting ropes 270, wherein (a) - (c)

상기한 제2실시예에서는 로프거치대(461)가 설치되지 아니하고, 승강포프(270)가 권취될 수 있는 드럼(28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드럼(280)은 로프투척창(411)을 통해 그에 권취된 승강로프(270)와 함께 투하되는 것으로써, 그 재질은 매우 가볍고 견고한 합성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진다.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drum 280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rope holder 461 not provided and the lifting pawl 270 being wound. The drum 280 is dropped together with the lifting rope 270 wound around the drum 280 through the rope throwing window 411. The material of the drum 280 is made of a very light and robust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드럼(280)은 중앙에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거치봉(281)은 로프투척장(411)의 양측에 구비된 잠금장치에 의해 고정 및 해제된다. 잠금장치는 거치봉(281)이 삽입된 드럼(280)을 승강체(400) 전면(410)에 고정시키거나 이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면 족하는 것으로서, 그 일 실시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410)의 로프투척창(411) 양측에 봉삽입홈(412)을 구비시키고, 상기 봉삽입홈(412)에 삽입된 거치봉(281)이 탈착 가능하도록 봉삽입홈(412) 상부에 가이드홈이 구비된 고정편(413)과,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봉삽입홈(412)을 폐쇄 및 개방시키는 이동편(414)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편(414)에는 손잡이(414a)를 더 구비시킴으로써 누구나 쉽게 승강로프(270)가 권취된 드럼(280)의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밖으로 투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ums 280 are provided with through holes at the center, and the stationary rods 281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are fixed and released by a locking devic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ope throwing field 411. The locking device is only requir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drum 280 in which the stationary rod 281 is inserted can be fixed to the front surface 410 of the ascending / descent body 400 or can be easily separated therefrom. The rod insertion slot 412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ope throwing window 411 of the front face 410 and the rod insertion slot 412 is inserted into the rod insertion slot 412, A fixing piece 413 having a guide groove on the groove 412 and a moving piece 414 for closing and opening the rod insertion groove 412 while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guide groov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ing piece 414 is further provided with a handle 414a so that anyone can easily release the fixed state of the drum 280 on which the lifting rope 270 is wound so that the lifting rope 27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승강체(400)의 좌,우면(430,440)에는 도 12,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절첩 가능한 날개판(4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left and right surfaces 430 and 440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400 may further include a wing plate 480 that can be folded upward.

상기 날개판(480)은 건물로부터 승강체(400)로 진입할 수 있는 폭의 규모를 확장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구조 및 대피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즉 승강체(400)의 위치가 구조위치와 다소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이러한 차이를 흡수하여 인근의 대피자들까지 쉽게 승강체(400)에 탑승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구조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킨다.The wing plate 480 expands the width of the width of the wing plate 480 from the building so as to allow the wing plate 480 to enter the lifting structure 400, thereby enabling a more efficient structure and evacuation operation. That is, even if the position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400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structural position, it absorbs this difference and makes it possible to easily ride on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400 to nearby pacemakers, thereb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structure.

이러한 날개판(480)은 하단이 승강체(400) 좌,우면(430,44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고, 상단은 지지와이어(481)의 일단에 고정된다.The lower end of the wing plate 480 is hinged to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surfaces 430 and 440 of the lifting body 400 and the upper end is fixed to one end of the supporting wire 481.

상기 지지와이어(481)의 타단은 승강체(400) 좌,우면(430,440)의 상단에 고정되어 날개판(480)이 펼쳐진 상태를 지지하면서 날개판(480)의 펼침각도를 제한한다.The other end of the support wire 481 is fixed to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430 and 440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400 to support the unfolded state of the wing plate 480 and restrict the unfolding angle of the wing plate 480.

승강체(400)에 대한 지지와이어(481)의 고정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지지와이어(481)의 타단을 승강체(400) 좌,우면(430,440)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시키고, 날개판(480)이 접어진 상태를 잠금하거나 해지하는 잠금고정수단(미도시)을 상기 승강체(400) 좌,우면(430,440)의 외면에 더 구비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체(400) 좌,우면(430,440)의 상단에 지지와이어(481)가 통과하는 고정홀(484)을 구비시키고, 하단에는 걸쇠(485)를 설치하며, 도 13의 (b)에서와 같이 고정홀(484)을 통과한 지지와이어(481)의 타단에 고정홀(484)의 내경보다 커서 고정홀(484)을 통과할 수 없는 규모로 형성되는 고정고리(482)를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걸쇠(485)에 걸려 고정되게 함으로써, 승강체(400) 내부에서 걸쇠(485)로부터 고정고리(482)를 단순히 이탈시키는 것만으로 날개판(480)이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고리(482)에는 날개판(480)이 펼쳐졌을 때 이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판(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fixing method of the supporting wire 481 to the lifting body 400 can be variously performed. A lock fixing means (not shown)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wire 481 integrally to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430 and 440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400 and locking or releasing the folded state of the wing plate 480 And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surfaces 430 and 440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400. 13A, a fixing hole 484 through which the support wire 481 passes is provided at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430 and 440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400, and a latch 485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supporting wire 481 passing through the fixing hole 484 as shown in FIG. 13 (b) so that it can not pass through the fixing hole 484 because the inner diameter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xing hole 484. The wing plate 480 is unfolded by merely detaching the fixing ring 482 from the latch 485 in the lifting body 400 by fixing the latch 482 by the fixing ring 482 . At this time, the fixing ring 482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not shown) for efficiently supporting the wing plate 480 when the wing plate 480 is unfolded.

지금까지 본 발명의 승강장치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였는 바, 도 14, 도 15는 이러한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건물 내의 사람들을 대피시키는 각 과정을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Up to now, the structure of the lif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Figs. 14 and 15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eps of evacuating people in the building using the lift device.

평상시에는 도 14의 (a)에서와 같이 현수봉체(250)가 후방으로 인입되어 있고, 승강체(400) 역시 승강지지체(200)의 거치바닥틀(240)에 놓여져 있다. 이때 승강로프(270) 역시 승강체(400)의 후방을 감싼 후 도 9에서와 같이 감겨진 상태로 승강체(400) 내부의 로프거치대(461) 상면에 놓여 있거나 도 11의 (a) 내지 (c)에서와 같이 드럼(280)에 권취된 상태로 로프투척창(411)에 고정되어 있다. 물론 로프거치대(461) 상면에 놓여진 승강로프(270) 뭉치도 로프고정편(462)에 의해 하부로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된 거치상태를 유지한다.The suspending member 250 is drawn backward as shown in FIG. 14 (a), and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400 is also placed on the placing floor 240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support 200. At this time, the lifting rope 270 is also wrapped around the back of the lifting body 400 and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pe lifting base 461 inside the lifting body 400 in a state of being wound as shown in FIG. 9, and is fixed to the rope throwing window 411 in a state of being wound around the drum 280 as shown in FIG. Of course, the bundle of lifting ropes 270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pe rack 461 is not slid downward by the rope fixing pieces 462, and stays stable.

참고로 건물 옥상에는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난간(720)이 설치되는 바, 평상시 승강지지체(200)와 승강체(400)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난간(720) 전체 내지 일부가 제거되어 승강체(400)의 진출입이 가능하게 구성되어야 한다.As shown in FIG. 2, the concrete railings 720 are usually installed on the roof of the building. In a portion where the elevating support 200 and the elevator 400 are normally located, So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body 400 can be moved in and out.

이러한 승강장치의 이용은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봉체(250)를 밀어주어 전면수직지지틀(210)로부터 전방으로 최대한 인출되게 한 후, 승강체(400) 내부에서 로프투척창(411)을 통해 감겨진 승강로프(270) 뭉치를 건물 외부로 투하시킨다. 이러한 승강로프(270) 뭉치의 투하는 로프고정편(462)을 외부방향으로 개방시켜 자중에 의해 경사진 로프거치대(461) 상면에서 미끄러지게 하거나, 잠금장치로부터 승강로프(270)가 권취된 드럼(280)을 이탈시켜 이를 로프투척창(411)으로 굴려줌으로써 쉽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14 (b), the suspending member 250 is pushed so as to be pulled out from the front vertical support frame 210 to the front as much as possible, and then the rope throwing window The bundle of hoist ropes 270 wound around the hoist ropes 41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e release of the bundle of lifting ropes 270 can be performed by opening the rope fixing piece 462 in the outward direction to slip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rope holder 461 by its own weight, The rope throwing window 411, and the rope throwing window 411, respectively.

승강로프(270)의 투하가 완료되면 그 단부를 지상에 설치된 동력장치(600)에 연결된 연결로프(610)와 이음 연결함으로써, 승강로프(270)의 움직임이 동력장치(600)에 의해서만 조정될 수 있게 한다.The movement of the lifting rope 270 can be adjusted only by the power unit 600 by connecting the end of the lifting rope 270 to the connecting rope 610 connected to the power unit 600 installed on the ground Let's do it.

승강로프(270)가 동력장치(600)에 연결되면 동력장치(600)를 가동시켜 승강로프(270)를 감아줌으로써 승강체(400)의 후방을 감싼 승강로프(270)에 의해 승강체(400)가 전방의 건물 외측으로 밀려 나올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lifting rope 270 is connected to the power unit 600, the power unit 600 is operated to wind the lifting rope 270 so that the lifting rope 270 wrapping the back of the lifting unit 400 moves the lifting rope 400 ) To be pushed out of the front building.

이러한 승강체(400)의 인출작업이 완료되면 도 15에서와 같이 건물의 외벽 전방에 승강체(400)가 위치하게 되는 바, 이번에는 동력장치(60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승강로프(270)를 풀어줌으로써 승강체(400)가 점차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 상태에서 소방관 또는 대피 대기자를 통해 승강거치대를 좌우로 이동시키게 하거나 날개판(480)을 펼쳐 건물 중간층의 좌우에서 대기하고 있는 대피자들을 탑승시킬 수 있다.15, the lifting body 40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n this case, the lifting rope 270 is rotated by rotating the power unit 600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400 can be gradually lowered. Of course, in this state, it is possible to move the lifting and lowering cradle to the left and right through firefighters or waiting shelters, or to lift the wing plates 480 to ride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middle building.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hat it will be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modifications thereof.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200; 승강지지체 210; 전면수직지지틀
220; 후면수직지지틀 230; 가이드롤러
240; 거치바닥틀 250; 현수봉체
260; 가이드고정지지관체 270; 승강로프
400; 승강체 410; 전면
420; 후면 430; 좌면
440; 우면 450; 바닥면
470; 도어 480; 날개판
600; 동력장치
200; A lift support 210; Front vertical support frame
220; A rear vertical support frame 230; Guide roller
240; A mounting floor frame 250; Suspenders
260; A guide fixed support tube 270; Lifting rope
400; A lifting body 410; Front
420; Rear surface 430; Seat
440; 450 on the right; Bottom surface
470; A door 480; Wing plate
600; Power unit

Claims (10)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어 화재나 지진 등의 재난 발생시 사람이 그 건물로부터 신속히 탈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피난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옥상 바닥면(710)에 설치되는 승강지지체(200)와, 상기 승강지지체(200)에 의해 지지되는 승강체(40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지지체(200)는, 승강체(400)를 현수시키기 위한 현수봉체(250)와, 상기 현수봉체(250)의 전방을 지지하기 위한 전면수직지지틀(210)과, 상기 현수봉체(250)의 후방을 지지하기 위한 후면수직지지틀(220) 및, 상기 전면수직지지틀(210)과 후면수직지지틀(220)의 각 하단에 위치하면서 승강체(400)가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바닥틀(240)로 이루어지되, 상기 거치바닥틀(240)은, 양 측면에서 전면수직지지틀(210)과 후면수직지지틀(220)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고정관(241)과, 서로 대향하는 고정관(241)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구름관(242)으로 이루어져 전후방향으로는 고정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승강체(400)는 승강지지체(200)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재난발생시 승강지지체(200)로부터 이탈하여, 지상에 설치된 동력장치(600)에 의해 조정되는 승강로프(270)에 현수된 상태로 건물의 외부에서 승하강되도록 구성되며,
건물의 옥상 바닥면(710) 또는 콘크리트 난간(720)에 양 단부가 고정되도록 가이드고정지지관체(260)가 설치되고, 후면수직지지틀(220)과 거치바닥틀(240)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가이드고정지지관체(260)가 삽입되는 관통홀(243a)을 구비한 이동지지브라켓(243)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
An evacuation device installed outside a building to allow a person to quickly escape from the building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fire or earthquake,
An elevating support body 200 installed on a roof top surface 710 of the building and an elevating body 400 supported by the elevating support body 200,
The lifting support 200 includes a suspending member 250 for suspending the lifting member 400, a front vertical supporting frame 210 for supporting the front of the suspending member 250, A rear vertical support frame 220 for supporting the rear 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210 and a rear vertical support frame 220 for supporting the rear 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210; The mounting floor frame 240 includes a fixing pipe 241 for connecting the front vertical supporting frame 210 and the rear vertical supporting frame 220 to each other and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rolling tubes 242 installed to be rotatabl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241 and 241,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400 is installed so as to be pulled out from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support 200. In the event of a disaster,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ember 400 is separated from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support 200 and is lifted up and down by the lifting rope 270 adjusted by the power device 600 installed on the ground And is configured to ascend and descend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n a suspended state,
A guide fixing support tube 260 is installed to fix both end portions to the roof bottom 710 or the concrete railing 720 of the building and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rear vertical supporting frame 220 and the mounting bottom frame 240 Wherein a movable support bracket (243) having a through hole (243a) into which the guide fixed support tube (260) is inserted is provid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수직지지틀(210)과 후면수직지지틀(220)의 각 상단에는 현수봉체(250)가 삽입되는 전단지지홈(212)과 후단지지홈(222)이 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ront end support groove 212 and a rear end support recess 222 into which the suspending member 250 is inserted are provided at the upper ends of the front vertical supporting frame 210 and the rear vertical supporting frame 220, Emergency escape elevator for fire disaster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지지홈(212)과 후단지지홈(222)은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한 쌍의 가이드롤러(230)가 이격 설치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ront end support groove (212) and the rear end support groove (222) are formed by spacing a pair of guide rollers (230) locat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봉체(250)의 후단에는 스토퍼(253)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253)가 후단지지홈(222)에 걸림됨으로써 전면수직지지틀(210)과 후면수직지지틀(220)에 대한 현수봉체(250)의 인출정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stopper 253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uspending member 250 and the stopper 253 is engaged with the rear end support groove 222 to support the front vertical supporting frame 210 and the rear vertical supporting frame 220, And the degree of withdrawal of the hook body (250) is limi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봉체(250)의 선단에는 현수도르레(251)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현수도르레(251)의 후방에는 당김도르레(252)가 설치되되, 상기 당김도르레(252)는 현수봉체(250) 상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전단지지홈(212)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로프(270)는 일단이 승강체(400)에 고정된 후 현수도르레(251)와 당김도르레(252)를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에는 연결고리(271)가 구비되어 동력장치(600)에 연결된 연결로프(610)에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hanging drum 251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suspending barrel 250 and a pulling drum 252 is provided behind the hanging drum 251. The pulling drum 252 is mounted on the hanging bar 25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front end support groove (212)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rearward,
The lifting rope 270 is fixed to the lifting body 40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suspension drum 251 and the pulling drum 252. The lifting rope 27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with a coupling ring 271,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nnected connecting rope (6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400)는 바닥면(450)과 전,후,좌,우면(410,420,430,440)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후면(420) 중앙의 상단과 하단에는 제1안내도르레(421)와 제2안내도르레(422)가 각 설치되고, 바닥면(450)의 중앙 선단부에는 로프통과슬릿(451)이 구비되며, 전면(410)에는 상기 로프통과슬릿(451)과 연통한 로프투척창(411)이 형성되고, 후면(420)과 좌,우면(430,440) 중 적어도 어느 한면에는 도어(47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4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ox having an open top, which is composed of a bottom surface 450 and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410, 420, 430, and 440.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420, The rope passing slit 451 is provided at the center front end of the bottom surface 450 and the rope passing slit 451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410 of the rope passing slit 451. [ Wherein the throwing window 411 is formed and a door 470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rear surface 420 and the left and right surfaces 430 and 44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450)의 중앙 후단부에는 로프통과슬릿(451)과 연결되는 로프삽입트렌치(452)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rope inserting trench (452) connected to the rope passing slit (451) at the center rear end of the bottom surface (45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400)의 좌,우면(430,440)에는 상부로 절첩 가능한 날개판(480)이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날개판(480)이 펼쳐진 상태를 지지하면서 날개판(480)의 펼침각도를 제한하는 지지와이어(481)가 승강체(400)의 좌,우면(430,440)과 날개판(480)의 각 상단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430 and 440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body 4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wing plate 480 which can be folded upward and the wing plate 480 supports the unfolded state, Characterized in that a limiting supporting wire (481) is install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430, 440)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400, 430) and each upper end of the blade plate (480).
KR1020180025098A 2018-03-02 2018-03-02 Eleavting device to prevent disasters such as fire KR1019764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098A KR101976476B1 (en) 2018-03-02 2018-03-02 Eleavting device to prevent disasters such as f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098A KR101976476B1 (en) 2018-03-02 2018-03-02 Eleavting device to prevent disasters such as f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476B1 true KR101976476B1 (en) 2019-05-10

Family

ID=66580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098A KR101976476B1 (en) 2018-03-02 2018-03-02 Eleavting device to prevent disasters such as f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47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806A (en) 2020-02-14 2021-08-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Box type carrier and evacuating system having the box type carrier
KR20230094652A (en) 2021-12-21 2023-06-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alling type evacuating apparatus
KR102592783B1 (en) * 2022-07-29 2023-10-20 한하림 Descending Apparatus for Evacuation Facilities
KR102600417B1 (en) * 2022-07-29 2023-11-08 한하림 The Facilities to Evacuating from a Disast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9559A (en) * 1993-09-03 1995-03-14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device for construction work
JP2005305076A (en) * 2004-04-20 2005-11-04 Isao Yamashita Elevator for fire escape
KR100701790B1 (en) 2006-12-15 2007-03-30 주식회사 진영알앤에스 Fire suppression and life structure elevator system of skyscraper
JP2007524430A (en) * 2003-01-27 2007-08-30 イクステリア・エレベーター・エルエルシイ Method and apparatus for reaching the upper floors of high-rise buildings from the outside
KR101771711B1 (en) * 2017-05-19 2017-08-25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re-fighting building unattended lifesav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9559A (en) * 1993-09-03 1995-03-14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device for construction work
JP2007524430A (en) * 2003-01-27 2007-08-30 イクステリア・エレベーター・エルエルシイ Method and apparatus for reaching the upper floors of high-rise buildings from the outside
JP2005305076A (en) * 2004-04-20 2005-11-04 Isao Yamashita Elevator for fire escape
KR100701790B1 (en) 2006-12-15 2007-03-30 주식회사 진영알앤에스 Fire suppression and life structure elevator system of skyscraper
KR101771711B1 (en) * 2017-05-19 2017-08-25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re-fighting building unattended lifesaving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806A (en) 2020-02-14 2021-08-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Box type carrier and evacuating system having the box type carrier
KR20230094652A (en) 2021-12-21 2023-06-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alling type evacuating apparatus
KR102592783B1 (en) * 2022-07-29 2023-10-20 한하림 Descending Apparatus for Evacuation Facilities
KR102600417B1 (en) * 2022-07-29 2023-11-08 한하림 The Facilities to Evacuating from a Disas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476B1 (en) Eleavting device to prevent disasters such as fire
JP45115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ching the upper floors of high-rise buildings from the outside
US4386680A (en) Emergency rescue system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NL2011756C2 (en) Device for evacuating individuals.
KR100701790B1 (en) Fire suppression and life structure elevator system of skyscraper
KR101035081B1 (en) Fire escape apparatus
US4703831A (en) Fire escape apparatus for use in multi-story buildings and method of escape
KR100522151B1 (en)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KR101131484B1 (en) Escaping apparatus for emergency evacuation
CN211634944U (en) Automatic speed reduction and rapid descent device and high-rise fire smoke-avoiding and rapid descent escape system
US20040245047A1 (en) Device for rescuing persons from edifices such as buildings, drilling platforms, ships or the like
WO2022228202A1 (en) Reciprocating high-rise escape slow descending device
RU179796U1 (en) DEVICE FOR RESCUE OF PEOPLE FROM BUILDINGS IN EMERGENCIES
KR101648354B1 (en) Folding handrail having slow descending function of apartment house
RU2274481C1 (en) Device for emergency lowering from building
KR20070015237A (en) Driving gear of skyscraper fire suppression and life structure elevator
KR20100007575U (en) Emergency ladder equipment
RU2651656C1 (en) Device for people emergency evacuation from the high-rise buildings
RU2455040C2 (en) Individual rescue facility
RU2304991C1 (en) Rescue complex
KR20120122682A (en) A descending device for escape
CN215136146U (en) High-rise escape window
CN216319559U (en) Independent escape equipment for high-rise building
CN210933484U (en) High-rise fire rapid-descent self-rescu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