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4652A - Falling type evacu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Falling type evacu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4652A
KR20230094652A KR1020210183986A KR20210183986A KR20230094652A KR 20230094652 A KR20230094652 A KR 20230094652A KR 1020210183986 A KR1020210183986 A KR 1020210183986A KR 20210183986 A KR20210183986 A KR 20210183986A KR 20230094652 A KR20230094652 A KR 20230094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lock
transfer
fixing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9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덕희
이영걸
박원희
권태순
윤수환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83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4652A/en
Publication of KR20230094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65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03Stretchers with facilities for picking up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break-away type or using endless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8Apparatus for transporting be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62B1/04Single parts, e.g. faste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Abstract

하강식 피난 장치는 이동식 대피소, 고정블록, 이송블록 및 탄성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식 대피소는 피난자가 탑승하며 건물의 외부로 위치하고, 외부로 연장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블록은 건물의 각 층마다 고정된다. 상기 이송블록은 상기 이동식 대피소의 와이어가 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층들의 고정블록들 사이에서 이동한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이송블록에 소정의 탄성력을 인가한다. The descending type evacuation device includes a movable shelter, a fixed block, a transport block, and an elastic support. The mobile shelter i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with the evacuee boarding, and includes a wire extending to the outside and a fixing part fixed to the wire. The fixed block is fixed to each floor of the building. The transfer block is fixed to the wire of the movable shelter and moves between the fixed blocks of adjacent floor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lastic support unit applie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the transfer block.

Description

하강식 피난 장치{FALLING TYPE EVACUATING APPARATUS}Falling type evacuation device {FALLING TYPE EVACU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하강식 피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고층 건축물로부터 피난약자나 일반인들이 전력장치를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지상으로 대피할 수 있는 하강식 피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cending evacu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scending evacuation device capable of safely evacuating from a high-rise building or ordinary people to the ground without using a power device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에서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완강기를 이용하여 지상으로 피난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완강기를 이용한 피난은 노약자나 유아 등과 같은 피난약자는 사용이 어려우며 사용과정에서 다양한 낙상사고 또는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In general,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occurs in a high-rise building, it is common to evacuate to the ground using a descending device. There is a problem of exposure to safety accidents.

이에, 이러한 비상 상황에서의 피난을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04204호에서는 건물의 일 측에 고립된 형태로 안전고를 형성하여 대피가 가능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6476호의 경우, 건물의 옥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상자형 대피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Accordingly, various technologies for evacuation in such an emergency situation are being developed,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04204 discloses a technology that enables evacuation by forming a safe box in an isolated form on one side of a building, registered in Korea. In the case of Patent No. 10-1976476, a technology related to a box-type shelter that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roof of a building is disclosed.

그러나, 건물의 일 측에 고립된 상태로 대피시키는 구조의 경우, 내부에 고립된 사람들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며, 건물 옥상에서 이동되는 대피장치의 경우, 화재 발생시 발생하는 연기나 화염에 의해 대피장치 자체가 손상 또는 소실되거나 구동이 어려운 상태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However, in the case of a structure that evacuates in an isolated state on one side of a building, there is a limit to not guaranteeing the safety of people isolated inside, and in the case of an evacuation device that moves from the roof of a building, smoke or flames generated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very likely that the evacuation device itself will be damaged or lost or in a difficult state to operate.

특히, 화재 등의 비상 상황에서는 제공되던 전력이 중단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전력을 사용하지 않으며 피난 약자를 중심으로 한 안정적인 대피가 가능한 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provided power will be stopped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device capable of stably evacuating the weak without using powe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04204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10420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6476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976476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고층 건축물로부터 피난약자나 일반인들이 전력장치를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지상으로 대피할 수 있는 하강식 피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focused on this point,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scending evacuation device that can safely evacuate from high-rise buildings or ordinary people to the ground without using a power device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is to provid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하강식 피난 장치는 이동식 대피소, 고정블록, 이송블록 및 탄성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식 대피소는 피난자가 탑승하며 건물의 외부로 위치하고, 외부로 연장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블록은 건물의 각 층마다 고정된다. 상기 이송블록은 상기 이동식 대피소의 와이어가 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층들의 고정블록들 사이에서 이동한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이송블록에 소정의 탄성력을 인가한다. A descending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able shelter, a fixed block, a transfer block, and an elastic support. The mobile shelter i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with the evacuee boarding, and includes a wire extending to the outside and a fixing part fixed to the wire. The fixed block is fixed to each floor of the building. The transfer block is fixed to the wire of the movable shelter and moves between the fixed blocks of adjacent floor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lastic support unit applie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the transfer block.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식 대피소는, n층에 위치한 고정블록을 통해 n층에 위치한 이송블록에 연결되고, n층에 위치한 이송블록이 n-1층으로 하강함에 따라 동시에 하강하며, n-1층으로 이동한 이송블록을 통해 n-1층에 위치한 고정블록으로 연결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obile shelter is connected to the transport block located on the n floor through a fixed block located on the n floor, and simultaneously descends as the transport block located on the n floor descends to the n-1 floor, n-1 It can be connected to the fixed block located on the n-1 floor through the transfer block moved to the floor.

일 실시예에서, 상기 n-1층으로 이동한 이송블록은 상기 탄성지지부에 의해 다시 n층으로 이동하며, 새로운 이동식 대피소가 연결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ransport block moved to the n-1 floor is moved to the n floor again by the elastic support, and a new movable shelter may be connec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n-1층의 고정블록에 연결된 상기 이동식 대피소는, n-1층에 위치한 이송블록에 다시 연결되어 n-2층으로 하강하며, 최종적으로 상기 이동식 대피소는 지상에 위치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obile shelter connected to the fixed block on the n-1 floor is connected again to the transfer block located on the n-1 floor to descend to the n-2 floor, and finally the mobile shelter is located on the ground. can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블록들이 고정되며, 상기 이동블록들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지지부와 상기 이송블록 사이에는 연장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xed blocks are fixed, and further includes a guide fram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moving block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 extension wire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elastic support part and the transfer block.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식 대피소가 건물의 외부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식 대피소의 와이어가 상기 이송블록에 고정되기까지 상기 이동식 대피소를 지지하는 발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n a state where the mobile shelter i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a scaffolding unit supporting the mobile shelter may be further included until the wire of the mobile shelter is fixed to the transfer block.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는 고정홈부가 형성되는 고정블록부, 상기 고정블록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회전하는 고정기어, 상기 고정기어의 일 측에 고정되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랙, 및 상기 고정기어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고정피니언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xing block is fixed to one side of the fixing block portion, a fixing block portion in which a fixing groove is formed into which the fixing portion is inserted, a fixed gear located inside the fixing block portion and rotating, and extending upwardly to one side of the fixed gear. It may include a fixed rack that is, and a fixed pinion that rotates with the rotation of the fixed gea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블록은,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는 이송홈부가 형성되는 이송블록부, 상기 이송블록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회전하는 이송기어, 상기 이송기어의 일 측에 고정되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송랙, 및 상기 이송기어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이송피니언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ransfer block includes a transfer block portion in which a transfer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fixing unit is inserted is formed, a transfer gear located inside the transfer block unit and rotating,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transfer gear and extending upward. It may include a transfer rack, and a transfer pinion that rotates with the rotation of the transfer gear.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피니언은 중앙을 관통하는 고정피니언 홈부가 형성되는 11자형 피니언이며, 상기 이송 피니언은 중앙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으로 이송피니언 홈부가 형성되는 U자형 피니언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xed pinion may be an 11-shaped pinion in which a fixed pinion groove portion passes through the center, and the feed pinion may be a U-shaped pinion in which a feed pinion groove portio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cent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블록의 하부에 상기 고정블록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정랙이 상기 이송기어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기어 및 상기 이송피니언을 회전시키고, 상기 이송피니언 홈부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홈부로 이동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fixed block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block, the fixed rack is coupled to the transfer gear, rotates the transfer gear and the transfer pinion, and the fixing is located in the transfer pinion groove. The part may be moved to the fixing groove pa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블록의 상부에 상기 고정블록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이송랙이 상기 고정기어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기어 및 상기 고정 피니언을 회전시키고, 상기 고정홈부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피니언 홈부를 관통하여 상기 이송홈부로 이동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fixed block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transfer block, the transfer rack is coupled to the fixed gear, rotates the fixed gear and the fixed pinion, and the fixing unit located in the fixing groove It may pass through the fixed pinion groove and move to the transfer groo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식 대피소는 피난자가 탑승한 이동식 침대이며, 상기 이동식 침대는 건물 내부에서 건물의 외부로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ovable shelter is a movable bed on which the evacuee rides, and the movable bed may be moved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식 침대는, 평상시에는 건물의 내부에서 침대로 사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obile bed can be used as a bed inside a building at normal tim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식 대피소는 건물의 외부로 위치하며 내부에 피난자가 탑승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obile shelter i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and may form a space for evacuees to boar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이동식 대피소가 비상 상황에서 건물 외부로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블록과 이송블록을 통해 하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므로, 피난자에 대한 신속하고 안정적인 대피가 가능하며, 특히, 이동을 위한 전력공급이 필요없어, 전력이 소실된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mobile shelter i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in an emergency situation, since it is sequentially moved downward through a fixed block and a transfer block, it is possible to evacuate quickly and stably, especially , It does not require power supply for movement, enabling stable operation even when power is lost.

즉, 각 층마다 고정되는 고정블록들과, 서로 인접한 두 층 사이에서만 이동되는 이송블록 사이에서의 연결 및 해제를 통해 이동식 대피소가 한층씩 하강 이동되며 피난자에 대한 안정적이고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다. That is, through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between the fixed blocks fixed on each floor and the transfer block moved only between two adjacent floors, the mobile shelter is moved down one by one, and stable and rapid evacuation of the evacuated is possible.

이 경우, 고정블록 및 이송블록은 이동식 대피소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며, 고정블록과 이송블록은 랙(rack)과 기어의 결합에 따른 피니언 구동 메커니즘으로 이동식 대피소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n층의 고정블록, n층의 이송블록, n-1층의 고정블록, n-1층의 이송블록의 순서로 연속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안정적이고 신속한 대피를 구현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xed block and the transfer block are connected to the movable shelter through a wire, and the fixed block and the transfer block are a pinion drive mechanism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a rack and a gear, and the wire connected to the movable shelter is connected to the n-layer fixed block. , The stable and rapid evacuation can be implemented by successively delivering the transport block of the n-layer, the fixed block of the n-1 layer, and the transport block of the n-1 layer in order.

특히, 이동식 대피소의 경우, 비상 상황에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다수의 피난자들을 한 번에 대피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평소에는 환자용 침상으로 사용되고 비상 상황에서 그대로 환자와 함께 대피시키는 이동식 침대일 수도 있어, 피난자들의 상태나 다양한 비상 상황의 상태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피난을 유도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mobile shelter, it is possible to evacuate a large number of evacuees at once by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it can also be a movable bed that is normally used as a patient bed and evacuated with the patient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duce more effective evacuat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evacuees or various emergency situ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강식 피난장치에서, 이동식 침대가 비상상황에서 건물 외부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식 침대의 이동상태를 건물 외부에서 관찰한 모식도이다.
도 3a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3b는 도 3a를 모식화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이동식 침대가 하강 전에 건물 외부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이동식 침대의 상태를 모식화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a의 이동식 침대가 하강 전에 건물 외부에 위치한 상태를 모식화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이동식 침대가 하강을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1의 이동식 침대가 하강하는 상태에서의 이송블록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1의 이동식 침대가 n층에서 n-1층으로 1층만큼 하강하는 상태를 모식화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강식 피난장치에서, 이송블록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b는 고정블록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도 8에서와 같이 이동식 침대가 1층만큼 하강하는 상태에서, 이송블록과 고정블록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이미지들이다.
도 11은 도 10a 내지 도10e의 결합상태에 대한 이미지들을 간략하게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의 이동식 침대가 n-1층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n-2층으로 하강하기 위해 이송블록과 고정블록의 결합상태가 가변되는 것을 모식화하여 도시한 측면도들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도 12a 및 도 12b에서와 같이 이송블록과 고정블록의 결합상태가 가변되는 것을 도시한 이미지들이다.
도 14는 도 13a 내지 도 13d의 결합상태에 대한 이미지들을 간략하게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5a는 도 1의 이동식 침대가 피난이 완료되어 지상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B'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강식 피난장치에서, 이동식 대피소가 비상상황에서 건물 외부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이동식 대피소로 피난자들이 탑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1 is a model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vable bed is moved to the outside of a building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a descending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view of the moving state of the mobile bed of Figure 1 observed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FIG. 3A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2 , and FIG. 3B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FIG. 3A .
4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bed of FIG. 1 i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before descending, and FIG. 4b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the movable bed of FIG. 4a.
5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bed of FIG. 4A i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before descending.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bed of FIG. 1 starts descending.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of a transfer block in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bed of FIG. 1 descends.
FIG. 8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bed of FIG. 1 descends by one floor from the n floor to the n−1 floor.
9A is a front view showing a transfer block in a descending type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B is a front view showing a fixed block.
10A to 10E are images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transport block and the fixed block in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bed descends by one floor as shown in FIG. 8 .
FIG. 11 is a schematic diagram briefly showing images of the coupled state of FIGS. 10A to 10E.
12a and 12b are sid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coupling state of the transport block and the fixed block is varied in order to descend to the n-2 floor in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bed of FIG. 1 descends to the n-1 floor.
13A to 13D are images illustrating that the coupling state of the transfer block and the fixed block is varied as shown in FIGS. 12A and 12B.
FIG. 14 is a schematic diagram briefly showing images of the coupling state of FIGS. 13A to 13D.
15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bed of FIG. 1 is located on the ground after evacuation is completed, and FIG. 15B is an enlarged view of 'B' in FIG. 15A.
1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shelter is moved outside a building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a descending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evacuees board the mobile shelter of FIG. 16 .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with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each figure.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consisting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우선, 본 실시예에 의한 하강식 피난장치는, 후술되는 도면을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이동식 침대(20), 발판부(30), 가이드 프레임(100), 고정블록(200), 이송블록(300) 및 탄성 지지부(400)를 포함한다. First of all, the descending type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movable bed 20, a footrest unit 30, a guide frame 100, a fixing block 200, and a transfer block 300, as confirmed through the drawings to be described later. ) and an elastic support 400.

이하에서는, 피난자에 대한 피난을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에 관한 도면을 참조하며, 본 실시예에 의한 하강식 피난장치(이하, 피난장치라 함)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한다. Hereinafter, reference is made to drawings relating to a series of processes for evacuating evacuators,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escending type evacuation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give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강식 피난장치에서, 이동식 침대가 비상상황에서 건물 외부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vable bed is moved to the outside of a building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a descending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건물의 내부(11)에 위치하는 이동식 침대(20)는 이동부(22)를 통해 이동되며, 개방문(13)의 개방에 따라 건물의 외부(12)로 위치하게 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1, whe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ccurs, the movable bed 20 located inside the building 11 is moved through the moving unit 22, and the opening of the door 13 According to this, it is located outside 12 of the building.

이 경우, 상기 이동식 침대(20)는 비상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환자가 직접 누운 병상용 침대일 수 있으며, 이에 침상(21)에 누운 환자는 비상 상황에서 누운 상태 그대로 대피 보조자(14)의 도움을 얻어 건물의 외부(12)로 위치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ovable bed 20 may be a hospital bed on which the patient lies directly in normal times when an emergency does not occur, and thus the patient lying on the bed 21 is the evacuation assistant 14 as it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With assistance it can be positioned on the exterior 12 of the building.

따라서, 특히 노약자 등과 같은 피난 약자의 경우, 침상에 누운 상태에서 비상 상황에서 별도의 이동체로 이동되거나, 또는 직접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 없이 빠르고 안전하게 이동식 침대(20)와 함께 건물의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Therefore, especially in the case of evacuation weak persons such as the elderly, they can be moved to a separate mobile body in an emergency situation while lying on a bed, or can be moved to the outside of a building together with the mobile bed 20 quickly and safely without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move directly. there is.

도 2는 도 1의 이동식 침대의 이동상태를 건물 외부에서 관찰한 모식도이다. Figure 2 is a schematic view of the moving state of the mobile bed of Figure 1 observed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개방문(13)이 개방되면, 상기 이동식 침대(20)는 그대로 건물의 외부(12)로 노출되며 위치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2, when the opening door 13 is opened as in FIG. 1, the movable bed 20 is exposed to the outside 12 of the building and is located.

한편, 상기 이동식 침대(20)가 건물의 외부(12)로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이동식 침대(20)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 1차적으로 건물의 외부(12)로 상기 발판부(30) 위치하며, 이에 상기 이동식 침대(20)의 이동부(22)는 상기 발판부(30) 상에 위치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vable bed 20 i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12, in order to prevent the movable bed 20 from falling, the footrest unit 30 is primarily positioned outside the building 12. Thus, the moving part 22 of the movable bed 20 is located on the footrest part 30.

또한, 후속되는 상기 이동식 침대(20)의 낙하를 위해, 상기 이동식 침대(20)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23)가 상기 고정블록(200)을 통해 상기 이송블록(300) 상에 고정된다. In addition, for the subsequent fall of the movable bed 20, the wire 23 extending from the movable bed 20 is fixed on the transfer block 300 through the fixing block 200.

이 경우, 상기 와이어(23)는 상기 이동식 침대(20)의 양 측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이동식 침대(20)는 양 측이 상기 이송블록(300) 상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In this case, the wire 23 may be extended to both sides of the movable bed 20, respectively, and accordingly, both sides of the movable bed 20 are fixed on the transfer block 300.

이러한 고정상태에 대하여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is fixed stat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도 3a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3b는 도 3a를 모식화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FIG. 3A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2 , and FIG. 3B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FIG. 3A .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식 침대(20)의 양 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와이어(23)는 중앙에 고정부(24)가 고정되며, 대피 보조자(14)는 상기 고정부(24)를 쥔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24)를 상기 고정블록(200)을 통해 상기 이송블록(300) 상에 고정시킨다. 3A and 3B, a fixing part 24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wires 23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movable bed 20, and the evacuation assistant 14 is attached to the fixing part 24 In the holding state, the fixing part 24 is fixed on the transfer block 300 through the fixing block 200.

이 경우, 상기 고정블록(200)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고정홈부(220, 도 9b 참조)가 형성되며, 상기 이송블록(300)에도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이송홈부(320)가 형성된다. In this cas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xing block 200 is formed with a fixing groove (220, see FIG. 9B), and the transfer block 300 is also formed with a transfer groove 320 as will be described later.

이에, 상기 고정홈부(220)와 상기 이송홈부(320)가 상하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24)는 상기 고정홈부(220)를 통해 상기 이송홈부(320)로 위치하며, 이에 따라 상기 이동식 침대(20)는 양 측의 이송블록들(30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groove 220 and the transfer groove 320 are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xing portion 24 is positioned as the transfer groove 320 through the fixing groove 220, and thus Accordingly, the movable bed 20 is fixed to the transport blocks 300 on both sides.

한편, 상기 고정블록(200) 및 상기 이송블록(300)의 상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Meanwhile, detailed structures of the fixing block 200 and the transfer block 30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a는 도 1의 이동식 침대가 하강 전에 건물 외부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이동식 침대의 상태를 모식화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4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bed of FIG. 1 i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before descending, and FIG. 4b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the movable bed of FIG. 4a.

도 4a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식 침대(20)의 와이어 삽입부(25)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와이어들(23)은 상기 이동식 침대(20)의 양측이자 건물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이송블록들(300)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이동식 침대(20)는 건물의 외부(12)로 완전히 위치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4A, as described above, a pair of wires 23 extending from the wire insertion portion 25 of the movable bed 20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movable bed 20 and on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s fixed to a pair of transport blocks 300, so that the movable bed 20 is completely positioned to the outside 12 of the building.

이 경우, 도 4b를 참조하면, 건물의 외부(1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프레임(100)이 연장되며, 고정블록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100) 상에 각 층마다 한 개씩 고정된다. In this case, referring to FIG. 4B , the guide frame 100 extends vertically along the exterior 12 of the building, and one fixing block is fixed on the guide frame 100 for each floor.

즉, n층에는 제n 고정블록(200)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100) 상에 고정되고, n-1층에는 제n-1 고정블록(201)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100) 상에 고정된다. That is, the n-th fixing block 200 is fixed on the guide frame 100 in the n-layer, and the n-1-th fixing block 201 is fixed on the guide frame 100 in the n-1 layer.

한편, 이동블록들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10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n층에 위치하는 제n 이송블록(300)은 n층과 n-1층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10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n-1층에 위치하는 제n-1 이송블록(301)은 n-1층과 n-2층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10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On the other hand, the moving blocks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guide frame 100, and the n-th transport block 300 located in the n-layer follows the guide frame 100 between the n-layer and the n-1 layer. It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n-1th transfer block 301 located on the n-1 floor moves vertically along the guide frame 100 between the n-1 layer and the n-2 layer.

즉, 상기 이동식 침대(20)가 건물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제n 고정블록(200)이 n층의 중앙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제n-1 고정블록(201)이 n-1층의 중앙 부분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n 이송블록(300)은 상기 제n 고정블록(200)과 상기 제n-1 고정블록(201)의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10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That is, considering the location where the movable bed 2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e n-th fixing block 200 is fix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n-th floor, and the n−1-th fixing block 201 is n- When fixed to the central part of the first floor, the n-th conveying block 30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guide frame 100 between the n-th fixing block 200 and the n−1-th fixing block 201. is moved in the direction

마찬가지로, 상기 제n-1 이송블록(301)은 상기 제n-1 고정블록(201)과 상기 제n-2 고정블록(미도시)의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10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Similarly, the n−1 th transfer block 301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guide frame 100 between the n−1 th fixing block 201 and the n−2 th fixing block (not shown). do.

한편, 상기 탄성 지지부(400)도 각 층마다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각 층에 구비되는 상기 이송블록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Meanwhile, the elastic support part 400 is also provided for each layer, and provide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the transfer block provided for each layer.

즉, n층에 위치하는 제n 탄성 지지부(400)는 연장 와이어(410)를 통해 상기 제n 이송블록(300)에 연결되며, 상기 제n 이송블록(300)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 경우, 탄성력은 실질적으로는 상기 제n 이송블록(300)에 대하여 상부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인 것으로, 상기 제n 이송블록(300)이 상기 이동식 침대(20)의 무게에 의해 하부로 이동된 후, 상기 이동식 침대(20)가 외부로 제거되는 경우 상기 제n 이송블록(300)을 원 위치로 회복시키는 외력에 해당된다. That is, the n-th elastic support part 400 located in the n-th layer is connected to the n-th transfer block 300 through an extension wire 410, and provide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the n-th transfer block 300. In this case, the elastic force is substantially an external force acting upward on the n-th transfer block 300, and the n-th transfer block 300 is moved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movable bed 20. Then, when the movable bed 20 is removed to the outside, it corresponds to an external force that restores the n-th transfer block 300 to its original position.

다시 말하면, 후술하겠으나, 상기 제n 탄성 지지부(400)에 의한 탄성력 또는 상부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상기 제n 이송블록(300)은 상기 제n 고정블록(200)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한다. In other words,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n-th transfer block 300 is positio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n-th fixing block 20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n-th elastic support part 400 or an external force in the upward direction. do.

이 때, 상기 제n 이송블록(300)에 상기 이동식 침대(20)가 고정되면, 상기 이동식 침대(20)의 무게가 상기 탄성력 또는 상부방향으로의 외력보다 크므로, 상기 이동식 침대(20)는 하강하고 상기 제n 이송블록(300)은 상기 제n-1 고정블록(201)의 상면으로 위치하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movable bed 20 is fixed to the nth transfer block 300, the weight of the movable bed 20 is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r the external force in the upward direction, so the movable bed 20 It descends and the n-th transfer block 30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1-th fixing block 201.

이 후, 상기 이동식 침대(20)가 상기 제n-1 이송블록(301)으로 고정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제n 이송블록(300)은 상기 탄성력 또는 상부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다시 상승하여, 초기 위치인 상기 제n 고정블록(200)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Then, when the fixed state of the movable bed 20 is changed to the n−1 th transport block 301, the n th transport block 300 rises again by the elastic force or an external force in the upward direction, It is positio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n-th fixing block 200, which is the initial position.

이상과 같이, 상기 탄성 지지부(400)가 제공하는 탄성력 또는 외력에 의해 상기 이송블록(300)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100)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transfer block 300 rises along the guide frame 100 by the elastic force or external force provided by the elastic support part 400 .

이 경우, 상기 이송블록(300)은 n층과 n-1층 사이에서만 이동되므로, 상기 탄성 지지부(400)는 각 층에 위치하는 이송블록에 탄성력 또는 외력을 제공하여야 하므로, 각 층마다 한 개씩 구비되어야 한다. In this case, since the transfer block 300 moves only between the n-layer and the n-1 layer, the elastic support part 400 must provide an elastic force or an external force to the transfer block located on each layer, one for each layer. should be provided

도 5는 도 4a의 이동식 침대가 하강 전에 건물 외부에 위치한 상태를 모식화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5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bed of FIG. 4A i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before descending.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식 침대(20)를 중심으로 양 측에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들(100)이 연장되며, 각 층마다 한 쌍의 고정블록들(200)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들(100) 각각에 고정된다. Referring to FIG. 5, a pair of guide frames 100 extend on both sides of the movable bed 20, and a pair of fixing blocks 200 for each floor ) is fixed to each.

또한, 한 쌍의 이송블록들(300)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고정블록들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상기 이동식 침대(20)가 고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식 침대(20)와 함께 하부로 이동되고, 상기 이동식 침대(20)가 제거되는 경우에는 상부로 이동된다. In addition, a pair of transfer blocks 300 ar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fixed blocks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movable bed 20 is fixed, the movable bed 20 and the lower portion It moves, and when the movable bed 20 is removed, it moves upward.

이 때, 최초에 상기 이동식 침대(20)가 건물의 외부로 위치하면서 상기 이동식 침대(20)를 상기 이송블록(300)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식 침대(20)의 안정적인 위치 확보 및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발판부(30)가 각 층마다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발판부(30)가 제거되면서 상기 이동식 침대(20)의 낙하가 시작된다.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fixing the movable bed 20 to the transfer block 300 while initially positioning the movable bed 20 outside the building, securing a stable position of the movable bed 20 and preventing a fall To do this, the footrest part 30 may be located on each floor, and the falling of the movable bed 20 starts as the footrest part 30 is removed.

이하에서는, 상기 이동식 침대의 하강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lowered state of the movable bed will be described.

도 6은 도 1의 이동식 침대가 하강을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1의 이동식 침대가 하강하는 상태에서의 이송블록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bed of FIG. 1 starts descending.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of a transfer block in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bed of FIG. 1 descends.

우선, 도 6을 참조하면, 건물의 외부(12)로 위치하면서, 상기 이송블록(200)에 와이어(23)가 고정된 상기 이동식 침대(20)는, 상기 발판부(30)가 하부로 제거되면서, 상기 이송블록(200)과 함께 하부로 하강하게 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6, the movable bed 20, to which the wire 23 is fixed to the transport block 200 while being located outside 12 of the building, the scaffolding portion 30 is removed downward. As it is, it descends downward together with the transfer block 200.

이 경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식 침대(20)가 하부로 하강하는 경우, 상기 이동식 침대(20)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23)는 상기 고정부(24)에 의해 상기 이송 블록(300)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이동식 침대(20)의 안정적인 하강이 가능하다. In this case, referring to FIG. 7 , when the movable bed 20 descends downward, the wire 23 extending from the movable bed 20 is moved to the transfer block 300 by the fixing part 24. Is fixed to, whereby the stable descent of the movable bed (20) is possible.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블록(300)은 n층과 n-1층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100)을 따라 하강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식 침대(20)가 n-1층으로 완전히 이동된 후에는 상기 이송 블록(300)에 연결되는 연장 와이어(41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송 블록(300)은 다시 n층으로 복귀하게 된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transport block 300 descends along the guide frame 100 between the n-floor and the n-1 floor, and the movable bed 20 is completely moved to the n-1 floor. Afterwards, the transfer block 300 returns to the n-layer agai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xtension wire 410 connected to the transfer block 300 .

이러한 n층에 위치하는 상기 제n 이송블록(300)의 이동 상태에 대하여는 하기 도 8에 보다 상세히 모식화하였다. The movement state of the n-th transfer block 300 located in the n-layer is modeled in more detail in FIG. 8 below.

도 8은 도 1의 이동식 침대가 n층에서 n-1층으로 1층만큼 하강하는 상태를 모식화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FIG. 8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bed of FIG. 1 descends by one floor from the n floor to the n−1 floor.

즉, 도 8을 참조하면, n층에 위치하던 상기 이동식 침대(20)는 발판부(30)가 제거됨에 따라, 상기 제n 이송블록(300)과 함께 n-1층으로 하강한다. That is, referring to FIG. 8 , the movable bed 20 located on the n floor descends to the n-1 floor together with the n th transport block 300 as the footrest unit 30 is removed.

이 때, 상기 제n 이송블록(300)이 n-1층에 고정되는 제n-1 고정블록(201)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이동식 침대(20)는 상기 제n 이송블록(300)으로부터 제n-1 고정블록(201)을 통해 제n-1 이송블록(301)으로 고정되게 되며, 이 후, 상기 제n 이송블록(300)은 상기 제n 탄성 지지부(400)로부터 제공되는 탄성 회복력 또는 상부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다시 상승하여 제n 고정블록(200)의 하면에 밀착하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n-th transport block 300 is located on top of the n-1-th fixing block 201 fixed to the n-1 floor, the movable bed 20 is the n-th transport block 300 is fixed to the n−1 th transfer block 301 through the n−1 th fixing block 201, and then, the n th transfer block 300 has elasticity provided from the n th elastic support part 400. It rises again by restoring force or an external force in the upward direction,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n-th fixing block 200 .

한편, 이러한 이동식 침대의 n층에서 n-1층으로의 하강 상태는 n층에서 시작되는 것만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이동식 침대는 n-1에서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된 후 하강하기 시작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escending state of the movable bed from the nth floor to the n−1 floor has been described only starting at the nth floor, but the movable bed may start to descend after mov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t n−1. .

즉, 본 실시예에서의 이동식 침대는 건물의 각 층에서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된 후 하강될 수 있는 것이며, 복수의 층들에서 이동식 침대가 건물의 외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서로 간섭되지 않은 상태라면 순차적으로 하강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movable bed in this embodiment can be mov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n descended, and if the movable bed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on a plurality of floors and does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sequentially can be descended to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고정블록(200)과 상기 이송블록(300) 사이에서의 상기 고정부(24)의 고정상태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해, 고정블록(200) 및 이송블록(300)의 구조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following, to explain the change in the fixed state of the fixing part 24 between the fixing block 200 and the transfer block 300, the structure of the fixing block 200 and the transfer block 300 will be explained first.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강식 피난장치에서, 이송블록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b는 고정블록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9A is a front view showing a transfer block in a descending type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B is a front view showing a fixed block.

우선,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블록(300, 301)은 이송 블록부(310), 이송 피니언(330), 이송 기어(340) 및 이송랙(350)을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9A , the transfer blocks 300 and 301 include a transfer block unit 310 , a transfer pinion 330 , a transfer gear 340 and a transfer rack 350 .

상기 이송 블록부(310)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100)을 따라 이송되며 블록 형상으로 상기 이송블록의 몸체를 형성한다. The transfer block unit 310 is transferred along the guide frame 100 and forms the body of the transfer block in a block shape.

이 경우, 상기 이송 블록부(310)의 중앙에는 이송 홈부(320)가 형성되며, 상기 이송홈부(320)에는 앞서 설명한 상기 고정부(24)가 삽입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transfer groove part 32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transfer block part 310, and the fixing part 24 described above may be inserted into the transfer groove part 320.

상기 이송 기어(340)는 상기 이송 블록부(3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외주면을 따라서는 기어치(齒)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 기어(340)는 상기 기어치가 후술되는 상기 고정블록의 고정랙(250, 도 9b 참조)과 맞물리는 경우, 상기 고정랙(25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The transfer gear 340 is located inside the transfer block 310, and gear teeth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ddition, the transfer gear 340 rotat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xed rack 250 when the gear teeth are engaged with the fixing rack 250 (see FIG. 9B) of the fixing block,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이송 피니언(330)은 상기 이송 기어(340)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피니언(330)은 상기 이송 기어(340)와 중첩되며 고정된다. The feed pinion 330 is fixed to the feed gear 340, and as shown, the feed pinion 330 overlaps with the feed gear 340 and is fixed.

다만, 상기 이송 기어(340)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이지만, 상기 이송 피니언(330)은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일 측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이송 피니언 홈부(331, 도 11 참조)가 형성된다. However, the feed gear 340 has a circular plate shape, but the feed pinion 330 has a 'U' shape as a whole, and the feed pinion groove 331 (see FIG. 11) is formed to open in one direction. .

그리하여, 상기 이송 기어(3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 피니언 홈부(331)가 상기 이송 홈부(320)와 서로 정렬되는 경우, 도 9a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부(24)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24)는 상기 이송 피니언(330)의 내측까지 위치할 수 있다. Thus, when the feed pinion groove part 331 is aligned with the feed groove part 32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eed gear 340, the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part 24 can be inserted is formed as shown in FIG. 9A. formed, the fixing part 24 may be located up to the inner side of the feed pinion 330.

반면, 상기 이송 기어(3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 피니언 홈부(331)가 상기 이송 홈부(320)와 서로 정렬되지 않는다면, 상기 고정부(24)는 상기 이송 피니언(330)의 내측으로는 위치하지 못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feed pinion groove part 331 is not aligned with the feed groove part 32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eed gear 340, the fixing part 24 is positioned toward the inside of the feed pinion 330. will not be able to

상기 이송랙(350)은, 상기 이송 블록부(310)의 일 측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일 표면에는 기어치(齒)가 형성된다. 상기 이송랙(350)의 경우, 후술되는 상기 고정블록의 고정기어(240, 도 9b 참조)와 기어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랙(350)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고정기어(240)는 회전하게 된다. The transfer rack 350 extends upward from one side of the transfer block unit 310, and gear teeth are formed on one surface. In the case of the transfer rack 350, it may be gear-coupled with a fixed gear 240 (see FIG. 9B) of the fixing block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fixed gear 240 rotates as the transfer rack 350 moves. do.

또한,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블록(200, 201)은 고정 블록부(210), 고정 피니언(230), 고정 기어(240) 및 고정랙(250)을 포함한다. Also, referring to FIG. 9B , the fixing blocks 200 and 201 include a fixing block part 210 , a fixing pinion 230 , a fixing gear 240 and a fixing rack 250 .

상기 고정 블록부(210)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100)상에 고정되며 블록 형상으로 상기 고정블록의 몸체를 형성한다. The fixing block part 210 is fixed on the guide frame 100 and forms the body of the fixing block in a block shape.

이 경우, 상기 고정 블록부(210)의 중앙에는 고정 홈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부(220)에는 앞서 설명한 상기 고정부(24)가 삽입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fixing groove part 22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xing block part 210, and the fixing part 24 described above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part 220.

상기 고정 기어(240)는 상기 고정 블록부(2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외주면을 따라서는 기어치(齒)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 기어(240)는 상기 기어치가 상기 이송랙(350)과 맞물리는 경우, 상기 이송랙(35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The fixed gear 240 is located inside the fixed block part 210, and gear teeth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ddition, the fixed gear 240 rotat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rack 350 when the gear teeth mesh with the transfer rack 350 .

상기 고정 피니언(230)은 상기 고정 기어(240)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피니언(230)은 상기 고정 기어(240)와 중첩되며 고정된다. The fixed pinion 230 is fixed to the fixed gear 240, and as shown, the fixed pinion 230 overlaps with the fixed gear 240 and is fixed.

다만, 상기 고정 기어(240)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이지만, 상기 고정 피니언(230)은 전체적으로 '11'자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중앙을 따라 개방되도록 고정 피니언 홈부(231, 도 11 참조)가 형성된다. However, the fixed gear 240 has a circular plate shape, but the fixed pinion 230 has an '11' shape as a whole, and a fixed pinion groove 231 (see FIG. 11) is formed along the center to open.

그리하여, 상기 고정 기어(2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 피니언 홈부(231)가 상기 고정 홈부(220)와 서로 정렬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24)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24)는 상기 고정 홈부(220) 및 상기 고정 피니언 홈부(231)를 관통하게 된다. Thus, when the fixed pinion groove part 231 is aligned with the fixed groove part 22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xed gear 240, a groove into which the fixed part 24 can be inserted is formed, and the The top 24 passes through the fixing groove 220 and the fixing pinion groove 231 .

반면, 상기 고정 기어(2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 피니언 홈부(231)가 상기 고정 홈부(220)와 서로 정렬되지 않는다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4)는 상기 고정 피니언(230)의 내측으로는 위치하지 못하며, 상기 고정 홈부(220) 상에만 위치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fixed pinion groove part 231 is not aligned with the fixed groove part 22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xed gear 240, as shown in FIG. 9B, the fixed part 24 is the fixed pinion It cannot be located inside the 230, and is located only on the fixing groove 220.

상기 고정랙(250)은, 상기 고정 블록부(210)의 일 측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일 표면에는 기어치(齒)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랙(250)이 연장되는 측부는, 앞선 상기 이송랙(350)이 연장되는 측부와 반대측이어야 한다. 이를 통해, 상기 이송랙(350)과 상기 고정랙(250)이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The fixed rack 250 extends upward from one side of the fixed block portion 210, and gear teeth are formed on one surface. In this case, the side to which the fixed rack 250 extends must be opposite to the side to which the previous transfer rack 350 extends. Through this, the transfer rack 350 and the fixed rack 250 may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상기 고정랙(250)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블록의 이송기어(340)와 기어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랙(250)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이송기어(340)는 회전하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fixed rack 250,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gear-coupled with the transfer gear 340 of the transfer block, and the transfer gear 340 rotates as the fixed rack 250 moves. .

도 10a 내지 도 10e는 도 8에서와 같이 이동식 침대가 1층만큼 하강하는 상태에서, 이송블록과 고정블록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이미지들이다. 도 11은 도 10a 내지 도10e의 결합상태에 대한 이미지들을 간략하게 도시한 모식도이다. 10A to 10E are images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transport block and the fixed block in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bed descends by one floor as shown in FIG. 8 . FIG. 11 is a schematic diagram briefly showing images of the coupled state of FIGS. 10A to 10E.

이 경우, 설명의 편의상 도 10a 내지 도 10e는 일 측(좌측)에 위치한 이송블록 및 고정블록의 결합상태를, 도 11은 타 측(우측)에 위치한 이송블록 및 고정블록의 결합상태를 도시하였다. In this cas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IGS. 10A to 10E show a coupling state of a transport block and a fixed block located on one side (left side), and FIG. 11 shows a coupling state of a transport block and a fixed block located on the other side (right side). .

앞선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0e를 참조하면, n층에 위치하던 상기 이동식 침대(20)가 상기 제n 이송블록(300)에 고정되면서 n-1층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n 이송블록(300)은 n-1층에 위치하던 제n-1 고정블록(201)을 향하여 하강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8, referring to FIG. 10E, when the movable bed 20 located on the n-th floor is fixed to the n-th transport block 300 and moves to the n-1 floor, the n-th The transfer block 300 descends toward the n-1st fixed block 201 located on the n-1 floor.

이 때, 도 10b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n-1 고정블록(201)의 고정랙(250)이 상기 제n 이송블록(30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이송기어(340)와 기어결합하게 된다. At this time, referring to FIGS. 10B and 11 , while the fixing rack 250 of the n-1st fixing block 201 is inserted into the n-th conveying block 300, the transfer gear 340 and the gear will combine

그리하여, 도 10c, 도 10d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랙(250)이 상대적으로 상기 제n 이송블록(300)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이송기어(340)는 회전하게 되며, 상기 이송기어(3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 피니언(330) 역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상부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고정부(24)의 위치를 고정시켰던 상기 이송 피니언 홈부(331)는, 회전하여 하부방향으로 개방되게 된다. Thus, referring to FIGS. 10C, 10D, and 11, as the fixed rack 250 is relatively inserted into the n-th transfer block 300, the transfer gear 340 rotates, and the As the transfer gear 340 rotates, the transfer pinion 330 also rotates. Accordingly, the feed pinion groove portion 331, which is opened upward and fixed the position of the fixing portion 24, is rotated and opened downward.

그리하여, 도 10e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 피니언 홈부(331)가 하부방향으로 개방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24)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이송 피니언 홈부(331)와 일렬로 정렬된 상기 제n-1 고정블록(201)의 고정 홈부(220)의 내측으로 상기 고정부(24)가 이동하여 위치하게 된다. Thus, referring to FIGS. 10E and 11 , as the feed pinion groove part 331 opens downward, the fixing part 24 moves downward and is in line with the feed pinion groove part 331. The fixing part 24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fixing groove 220 of the aligned n−1 th fixing block 201 and positioned.

이상과 같이, 상기 고정부(24)가 상기 제n-1 고정블록(201)으로 이동하여 위치하면 상기 제n 이송블록(300)은 이동식 침대(20)에 의해 작용되는 중력이 없어짐에 따라, 상기 제n 탄성 지지부(400)로부터 인가되는 외력 또는 탄성력에 의해 다시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xing part 24 is moved to the n−1 th fixing block 201 and positioned, the n th transfer block 300 loses the gravity acted by the movable bed 20, It is moved upward again by an external force or an elastic force applied from the n-th elastic support part 400 .

이렇게 상기 상부방향으로 이동한 상기 제n 이송블록(3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n 고정블록(200)의 하면으로 밀착되도록 유도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n-th transport block 300 moved upward is guided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n-th fixing block 200 .

이와 같은, 상기 제n 이송블록(300)의 상부방향으로의 유도과정은 도 12a 및 도 12b에 모식화되어 도시되었다. This process of inducing the n-th transfer block 300 upward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S. 12A and 12B.

도 12a 및 도 12b는 도 1의 이동식 침대가 n-1층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n-2층으로 하강하기 위해 이송블록과 고정블록의 결합상태가 가변되는 것을 모식화하여 도시한 측면도들이다. 12a and 12b are sid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coupling state of the transport block and the fixed block is varied in order to descend to the n-2 floor in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bed of FIG. 1 descends to the n-1 floor.

즉, 도 12a를 참조하면, n-1층의 제n-1 고정블록(201)에 상기 고정부(24)가 고정되면, 상기 이동식 침대(20)는 우선 n-1층에 위치한 상태가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n 이송블록(300)은 상기 제n 탄성 지지부(400)로부터 연장되는 제n 연장 와이어(410)에 의한 탄성력 또는 상부방향의 외력으로 인해 상부 방향, 즉 n층으로 상승하게 된다. That is, referring to FIG. 12A, when the fixing part 24 is fixed to the n-1st fixing block 201 of the n-1 floor, the movable bed 20 is first located on the n-1 floor and At the same time, the n-th transfer block 300 rises in the upper direction, that is, to the n-layer, due to the elastic force by the n-th extension wire 410 extending from the n-th elastic support part 400 or an external force in the upward direction. .

그리하여, 도 12b를 참조하면, 상기 제n 이송블록(300)은 n층에 고정된 상기 제n 고정블록(200)의 하면까지 상승하게 된다. Thus, referring to FIG. 12B, the nth transfer block 300 rise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nth fixing block 200 fixed to the nth floor.

또한, 후술하겠으나, 상기 제n-1 고정블록(201)에 고정된 이동식 침대(20)는 제n-1 이송블록(301)과 제n-1 고정블록(201)의 결합에 따라, 상기 제n-1 이송블록(301) 상으로 고정된다. 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ovable bed 20 fixed to the n-1 th fixing block 201 is coupled with the n-1 th transport block 301 and the n-1 th fixing block 201, It is fixed onto the n-1 transfer block 301.

그리하여, 상기 이동식 침대(20)는 그 무게가 상기 제n-1 이송블록(301)에 인가되는 탄성력 또는 상부방향의 외력보다 크므로, 상기 이동식 침대(20)는 다시 하부방향, 즉 n-2층으로 하강하게 된다. Therefore, since the weight of the movable bed 20 is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applied to the n-1th transfer block 301 or the external force in the upward direction, the movable bed 20 moves downward again, that is, in the n-2 descend to the floor.

이 때, 상기 이동식 침대(20)의 고정부(24)가 상기 제n-1 고정블록(201)으로부터 상기 제n-1 이송블록(301)으로 이동되는 상태는 하기 도면에서와 같다. At this time, the state in which the fixing part 24 of the movable bed 20 is moved from the n−1 th fixing block 201 to the n−1 th transfer block 301 is as shown in the following figures.

도 13a 내지 도 13d는 도 12a 및 도 12b에서와 같이 이송블록과 고정블록의 결합상태가 가변되는 것을 도시한 이미지들이다. 도 14는 도 13a 내지 도 13d의 결합상태에 대한 이미지들을 간략하게 도시한 모식도이다. 13A to 13D are images showing that the coupling state of the transfer block and the fixed block is varied as shown in FIGS. 12A and 12B. FIG. 14 is a schematic diagram briefly showing images of the coupling state of FIGS. 13A to 13D.

이 경우, 설명의 편의상 도 13a 내지 도 13d는 일 측(좌측)에 위치한 이송블록 및 고정블록의 결합상태를, 도 14는 타 측(우측)에 위치한 이송블록 및 고정블록의 결합상태를 도시하였다. In this cas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IGS. 13A to 13D show a coupling state of a transport block and a fixed block located on one side (left side), and FIG. 14 shows a coupling state of a transport block and a fixed block located on the other side (right side). .

즉, 도 13a를 참조하면, 하부로 하강하였다가 다시 상승하는 상기 제n-1 이송블록(301)은 상기 이동식 침대(20)가 고정된 상기 제n-1 고정블록(201)의 하면으로 위치하게 된다. That is, referring to FIG. 13A, the n−1 th transfer block 301, which descends downward and rises again, is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n−1 th fixing block 201 to which the movable bed 20 is fixed. will do

물론, 도 13a에서는 상기 제n-1 이송블록(301)이 별도의 이동식 침대를 n-2층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상승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제n-1 이송블록(301)은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제n-1 고정블록(201) 상에 결합된 상태일 수도 있다. Of course, in FIG. 13a, the n−1 th transport block 301 moves the separate movable bed to the n−2 floor and then rises again, but the n−1 th transport block 301 is in an initial state. It may be in a coupled state on the n−1 th fixing block 201 .

이 후, 도 13b, 도 13c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랙(350)이 상대적으로 상기 제n-1 고정블록(201)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고정기어(240)는 회전하게 되며, 상기 고정기어(2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 피니언(230) 역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수평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고정부(24)가 상기 내측으로 위치하는 것을 방해한 상기 고정 피니언 홈부(231)는, 회전하여 상하방향으로 개방된다. Then, referring to FIGS. 13B, 13C, and 14, as the transfer rack 350 is relatively inserted into the n−1th fixing block 201, the fixed gear 240 rotates. An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xed gear 240, the fixed pinion 230 also rotates. Accordingly, the fixing pinion groove part 231, which is ope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prevents the fixing part 24 from being positioned inward, is rotated and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하여, 상기 고정 피니언 홈부(231)가 상하방향으로 개방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24)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고정 피니언 홈부(231)와 일렬로 정렬된 상기 제n-1 이송블록(301)의 이송 홈부(320) 및 이송 피니언 홈부(331)의 내측으로 상기 고정부(24)가 이동하여 위치하게 된다. Thus, as the fixed pinion groove part 231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xing part 24 moves downward, and the n-1th transfer block aligned with the fixed pinion groove part 231 in a row. The fixing part 24 moves to the inside of the feed groove part 320 and the feed pinion groove part 331 of 301 and is positioned.

이 때, 상기 이송 피니언 홈부(331)는 상부방향으로만 개방된 'U'자 형상을 가지며 위치하므로, 상기 이송 피니언 홈부(331)의 내측으로 위치한 상기 고정부(24)는 추가적인 하강 없이, 상기 이송 피니언 홈부(331) 상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한다. At this time, since the feed pinion groove part 331 has a 'U' shape and is open only in the upper direction, the fixing part 24 located inside the feed pinion groove part 331 does not descend further, It is located in a fixed state on the feed pinion groove part 331.

그리하여, 도 13d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24)가 상기 제n-1 이송블록(301)으로 이동하여 위치하면, 상기 이동식 침대(20)의 중력이 상기 제n-1 이송블록(301)에 작용함에 따라, 상기 제n-1 이송블록(301)은 상기 이동식 침대(20)와 함께 하부방향, 즉 n-2층으로 하강하게 된다. Thus, referring to FIGS. 13D and 14 , when the fixing part 24 is moved to the n−1 th transport block 301, the gravity of the movable bed 20 is applied to the n−1 th transport block. By acting on 301, the n−1 th transport block 301 descends along with the movable bed 20 in the lower direction, that is, to the n−2 floor.

이와 같이, 상기 이동식 침대(20)는 이송블록과 고정블록 사이에서의 연속적인 이동을 통해, 건물의 외부에서 순차적으로 하강하게 되며, 최종적으로는 지면에 위치하게 된다. In this way, the movable bed 20 is sequentially descended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rough continuous movement between the transport block and the fixed block, and is finally located on the ground.

도 15a는 도 1의 이동식 침대가 피난이 완료되어 지상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B'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15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bed of FIG. 1 is located on the ground after evacuation is completed, and FIG. 15B is an enlarged view of 'B' in FIG. 15A.

즉, 도 15a에서와 같이, 상기 이동식 침대(20)는 앞서 설명한 과정에서와 같이 한 층씩 하강하여 최종적으로 지면에 위치하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15A, the movable bed 20 descends one floor at a time as in the process described above and is finally positioned on the ground.

이와 같이, 상기 이동식 침대(20)가 지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식 침대(20)로부터 연장된 와이어(23)에 고정된 고정부(24)는 이송블록의 이송 피니언(330)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 15b에서와 같이, 최종적으로 대피 보조자(15)가 상기 이송 피니언(330) 상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24)를 외부로 제거함으로써, 상기 이동식 침대(20)는 건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게 된다. In this way, in a state where the movable bed 20 is located on the ground, the fixing part 24 fixed to the wire 23 extending from the movable bed 20 is located on the transfer pinion 330 of the transfer block As shown in FIG. 15B, the evacuation assistant 15 finally removes the fixing part 24 located on the transfer pinion 330 to the outside, so that the movable bed 20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building. will do

이 후, 필요하다면 상기 이동시 침대(20) 그대로를, 구급차 등에 싣고 추가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n, if necessary, the bed 20 as it is during the movement can be additionally moved by loading it on an ambulance or the like.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강식 피난장치에서, 이동식 대피소가 비상상황에서 건물 외부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이동식 대피소로 피난자들이 탑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1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shelter is moved outside a building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a descending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evacuees board the mobile shelter of FIG. 16 .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상기 이동식 침대(20)를 대신하여 이동식 대피소(40)가 구비될 수도 있다. 16 and 17, a movable shelter 40 may be provided instead of the movable bed 20 described above.

즉, 이동식 대피소(40)가 각 층마다 구비되며, 화재 등의 비상 상황에서는 건물의 외부(12)로 노출되도록 조립되고, 이렇게 건물의 외부(12)로 노출된 상기 이동식 대피소(40)의 내부 공간으로 다수의 피난자들이 탑승한 후, 상기 이동식 대피소(40)를 하부로 하강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mobile shelter 40 is provided for each floor, and is assemb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12 of the building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fire, and the inside of the mobile shelter 40 exposed to the outside 12 of the building in this way. After a number of evacuees board the space, the mobile shelter 40 may descend downward.

이 때, 상기 이동식 대피소(40)를 하강시키는 메커니즘은, 앞서 설명한 상기 이동식 침대(20)를 하강시키는 메커니즘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At this time, since the mechanism for lowering the movable shelter 4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mechanism for lowering the movable bed 20 described above,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이 경우, 상기 이동식 대피소(40)의 경우도, 하부에는 이동부(4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측부로부터 와이어(43)가 연장되어 고정블록 및 이송블록과 순차적으로 고정되며 하강하게 된다.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movable shelter 40, the moving part 42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and the wire 43 extends from the side part to be sequentially fixed to the fixed block and the transfer block and descends.

또한, 상기 이동식 대피소(40)의 대피부(41)는 평상시에는 펼쳐진 상태로 위치하다 비상 상황에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조립될 수도 있으며, 평상시부터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helter 41 of the mobile shelter 40 may be positioned in an unfolded state in normal times and assembled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in an emergency situation, or may be manufactured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in normal times. .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이동식 대피소가 비상 상황에서 건물 외부로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블록과 이송블록을 통해 하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므로, 피난자에 대한 신속하고 안정적인 대피가 가능하며, 특히, 이동을 위한 전력공급이 필요없어, 전력이 소실된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where the mobile shelter i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in an emergency situation, it moves sequentially in the downward direction through the fixed block and the transport block, enabling rapid and stable evacuation of evacuators. In particular, since there is no need for power supply for movement, stable operation is possible even when power is lost.

즉, 각 층마다 고정되는 고정블록들과, 서로 인접한 두 층 사이에서만 이동되는 이송블록 사이에서의 연결 및 해제를 통해 이동식 대피소가 한층씩 하강 이동되며 피난자에 대한 안정적이고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다. That is, through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between the fixed blocks fixed on each floor and the transfer block moved only between two adjacent floors, the mobile shelter is moved down one by one, and stable and rapid evacuation of the evacuated is possible.

이 경우, 고정블록 및 이송블록은 이동식 대피소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며, 고정블록과 이송블록은 랙(rack)과 기어의 결합에 따른 피니언 구동 메커니즘으로 이동식 대피소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n층의 고정블록, n층의 이송블록, n-1층의 고정블록, n-1층의 이송블록의 순서로 연속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안정적이고 신속한 대피를 구현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xed block and the transfer block are connected to the movable shelter through a wire, and the fixed block and the transfer block are a pinion drive mechanism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a rack and a gear, and the wire connected to the movable shelter is connected to the n-layer fixed block. , The stable and rapid evacuation can be implemented by successively delivering the transport block of the n-layer, the fixed block of the n-1 layer, and the transport block of the n-1 layer in order.

특히, 이동식 대피소의 경우, 비상 상황에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다수의 피난자들을 한 번에 대피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평소에는 환자용 침상으로 사용되고 비상 상황에서 그대로 환자와 함께 대피시키는 이동식 침대일 수도 있어, 피난자들의 상태나 다양한 비상 상황의 상태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피난을 유도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mobile shelter, it is possible to evacuate a large number of evacuees at once by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it can also be a movable bed that is normally used as a patient bed and evacuated with the patient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duce more effective evacuat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evacuees or various emergency situation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20 : 이동식 침대 21 : 침상부
23, 43 : 와이어 24 : 고정부
25 : 와이어 고정부 30 : 발판부
40 : 이동식 대피소 41 : 대피부
100 : 가이드 프레임 200, 201 : 고정블록
210 : 고정 블록부 220 : 고정 홈부
230 : 고정 피니언 240 : 고정기어
250 : 고정랙 300, 301 : 이송블록
310 : 이송 블록부 320 : 이송 홈부
330 : 이송 피니언 340 : 이송기어
350 : 이송랙 400, 401 : 탄성 지지부
410, 411 : 연장 와이어
20: movable bed 21: bed
23, 43: wire 24: fixing part
25: wire fixing part 30: scaffolding part
40: mobile shelter 41: shelter
100: guide frame 200, 201: fixed block
210: fixed block portion 220: fixed groove portion
230: fixed pinion 240: fixed gear
250: fixed rack 300, 301: transfer block
310: transfer block portion 320: transfer groove portion
330: transfer pinion 340: transfer gear
350: transfer rack 400, 401: elastic support
410, 411: extension wire

Claims (14)

피난자가 탑승하며 건물의 외부로 위치하고, 외부로 연장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대피소;
건물의 각 층마다 고정되는 고정블록;
상기 이동식 대피소의 와이어가 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층들의 고정블록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이송블록; 및
상기 이송블록에 소정의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하강식 피난장치.
a mobile shelter for evacuee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and including a wire extending to the outside and a fixing part fixed to the wire;
A fixed block fixed to each floor of a building;
a transfer block to which the wire of the mobile shelter is fixed and moved between fixed blocks of adjacent floor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descending type evacuation device including an elastic support unit for apply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the transfer b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대피소는,
n층에 위치한 고정블록을 통해 n층에 위치한 이송블록에 연결되고,
n층에 위치한 이송블록이 n-1층으로 하강함에 따라 동시에 하강하며,
n-1층으로 이동한 이송블록을 통해 n-1층에 위치한 고정블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식 피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shelter,
It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block located on the nth floor through a fixed block located on the nth floor,
As the transfer block located on the n-layer descends to the n-1 layer, it descends at the same time,
A descending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a fixed block located on the n-1 floor through a transfer block moved to the n-1 flo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1층으로 이동한 이송블록은 상기 탄성지지부에 의해 다시 n층으로 이동하며, 새로운 이동식 대피소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식 피난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moving block moved to the n-1 floor is moved to the n floor again by the elastic support, and a new movable shelter is connected to the descending type evacuation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1층의 고정블록에 연결된 상기 이동식 대피소는, n-1층에 위치한 이송블록에 다시 연결되어 n-2층으로 하강하며,
최종적으로 상기 이동식 대피소는 지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식 피난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mobile shelter connected to the fixed block on the n-1 floor is connected again to the transfer block located on the n-1 floor and descends to the n-2 floor,
Finally, the movable shelter is a descending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gr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들이 고정되며, 상기 이동블록들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지지부와 상기 이송블록 사이에는 연장 와이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식 피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blocks are fixed and further include a guide fram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block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descending type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 extension wire is connected between the elastic support part and the transfer b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대피소가 건물의 외부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식 대피소의 와이어가 상기 이송블록에 고정되기까지 상기 이동식 대피소를 지지하는 발판부를 더 포함하는 하강식 피난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escending type evacu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caffolding unit supporting the mobile shelter until the wire of the mobile shelter is fixed to the transfer block in a state in which the mobile shelter i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는 고정홈부가 형성되는 고정블록부;
상기 고정블록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회전하는 고정기어;
상기 고정기어의 일 측에 고정되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랙; 및
상기 고정기어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고정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식 피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xed block,
a fixing block portion in which a fixing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fixing portion is inserted is formed;
a fixed gear located inside the fixed block and rotating;
a fixed rack fixed to one side of the fixed gear and extending upward; and
A descending type evacuation device comprising a fixed pinion that rotates with the rotation of the fixed gea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블록은,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는 이송홈부가 형성되는 이송블록부;
상기 이송블록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회전하는 이송기어;
상기 이송기어의 일 측에 고정되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송랙; 및
상기 이송기어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이송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식 피난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ransfer block,
a transfer block portion formed with a transfer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unit is inserted;
a transfer gear located inside the transfer block and rotating;
a transfer rack fixed to one side of the transfer gear and extending upward; and
A descending type evacuation device comprising a transfer pinion that rotates with the rotation of the transfer gea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피니언은 중앙을 관통하는 고정피니언 홈부가 형성되는 11자형 피니언이며,
상기 이송 피니언은 중앙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으로 이송피니언 홈부가 형성되는 U자형 피니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식 피난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fixed pinion is an 11-shaped pinion having a fixed pinion groove penetrating the center,
The descending type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fer pinion is a U-shaped pinion in which a transfer pinion groove is formed along the center by a predetermined length.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블록의 하부에 상기 고정블록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정랙이 상기 이송기어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기어 및 상기 이송피니언을 회전시키고,
상기 이송피니언 홈부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홈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식 피난장치.
According to claim 8,
When the fixing block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transfer block,
The fixed rack is coupled to the transfer gear and rotates the transfer gear and the transfer pinion,
The descending type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art located in the transfer pinion groove part is moved to the fixing groove pa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블록의 상부에 상기 고정블록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이송랙이 상기 고정기어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기어 및 상기 고정 피니언을 회전시키고,
상기 고정홈부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피니언 홈부를 관통하여 상기 이송홈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식 피난장치.
According to claim 8,
When the fixing block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transfer block,
The transfer rack is coupled to the fixed gear and rotates the fixed gear and the fixed pinion,
The descending type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art located in the fixing groove passes through the fixing pinion groove and moves to the transfer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대피소는 피난자가 탑승한 이동식 침대이며,
상기 이동식 침대는 건물 내부에서 건물의 외부로 이동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식 피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ovable shelter is a movable bed on which the evacuee rides,
The movable bed is a descending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oved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침대는, 평상시에는 건물의 내부에서 침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식 피난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movable bed is a descending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normally used as a bed inside the buil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대피소는 건물의 외부로 위치하며 내부에 피난자가 탑승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강식 피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ovable shelter is a descending type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and forming a space for evacuees inside.
KR1020210183986A 2021-12-21 2021-12-21 Falling type evacuating apparatus KR2023009465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986A KR20230094652A (en) 2021-12-21 2021-12-21 Falling type evacu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986A KR20230094652A (en) 2021-12-21 2021-12-21 Falling type evacua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652A true KR20230094652A (en) 2023-06-28

Family

ID=8699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986A KR20230094652A (en) 2021-12-21 2021-12-21 Falling type evacu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4652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476B1 (en) 2018-03-02 2019-05-10 백명국 Eleavting device to prevent disasters such as fire
KR102104204B1 (en) 2019-03-21 2020-04-23 최진택 Safety Shelter for Emergency Evacu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476B1 (en) 2018-03-02 2019-05-10 백명국 Eleavting device to prevent disasters such as fire
KR102104204B1 (en) 2019-03-21 2020-04-23 최진택 Safety Shelter for Emergency Evac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90488A2 (en) Safe fire escape system for high-rise building
WO2006111947A1 (en) Evacu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829867B1 (en) Fire Evacuation Device For High-Rise Buildings
KR101030286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emergency having a boarding structure using exclusively in a balustrade of veranda
KR101035081B1 (en) Fire escape apparatus
WO2021028096A1 (en) A safety apparatus for an elevator cabin mov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KR20230094652A (en) Falling type evacuating apparatus
US20070137928A1 (en) Multistory building fast escape and rescue device using a body that slides through a pressurized tube
US20080296088A1 (en) High rise evacuation system
KR101080808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emergency using a balustrade in veranda
KR102264809B1 (en) cantilever type building emergency escape structure
JP2005305076A (en) Elevator for fire escape
KR102264813B1 (en)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JP2711440B2 (en) Descending evacuation bed
KR102169895B1 (en)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KR102169896B1 (en)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KR102422366B1 (en) Box type carrier and evacuating system having the box type carrier
JP6987421B2 (en) Elevating shelter door
JP2004197456A (en) Emergency ladder apparatus
KR20130017592A (en) Ladder for emergency evacuation
JP2006083549A5 (en)
JP2014234274A (en) Urgent evacuation method for tenants using elevator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 or the like
US20150060198A1 (en) In house high rise evacuation system
JP7234844B2 (en) housing
KR102169898B1 (en)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