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366B1 - Box type carrier and evacuating system having the box type carrier - Google Patents

Box type carrier and evacuating system having the box type carr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366B1
KR102422366B1 KR1020200018435A KR20200018435A KR102422366B1 KR 102422366 B1 KR102422366 B1 KR 102422366B1 KR 1020200018435 A KR1020200018435 A KR 1020200018435A KR 20200018435 A KR20200018435 A KR 20200018435A KR 102422366 B1 KR102422366 B1 KR 102422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uilding
unit
boarding device
evacu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4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03806A (en
Inventor
이덕희
임휘영
정주영
박원희
권태순
김정엽
채승언
허영선
안재홍
안찬솔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18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366B1/en
Publication of KR20210103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8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3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Ladder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상자형 탑승장치 및 이를 포함한 대피시스템에서, 상기 탑승장치는 내부에 사용자가 탑승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건물의 외벽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상기 탑승장치는 전면에 형성되어 건물의 외측을 향하도록 개방되는 전방 출입부, 후면에 형성되어 건물의 내측을 향하도록 개방되는 후방 출입부, 및 상기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방 출입부의 양 측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부에 사용자가 오르내리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사다리부를 포함한다. In the box-type boarding device and the evacu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the boarding device forms an internal space in which a user boards, and at least one or more are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boarding device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entrance open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t least one side includes a ladder that is continuously formed so that the user climbs up and down.

Description

상자형 탑승장치 및 이를 포함한 대피시스템{BOX TYPE CARRIER AND EVACUATING SYSTEM HAVING THE BOX TYPE CARRIER}BOX TYPE CARRIER AND EVACUATING SYSTEM HAVING THE BOX TYPE CARRIER

본 발명은 상자형 탑승장치 및 이를 포함한 대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등의 비상 상황에서 고층 건물로부터 피난자가 낙상의 위험 없이 안전하게 지상까지 대피할 수 있도록 고층 건물의 외부에 형성되는 상자형 탑승장치 및 이를 포함한 대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x-type boarding device and an evacu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box formed on the outside of a high-rise building so that evacuees can safely evacuate to the ground without risk of falling from a high-rise building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It relates to a type vehicle and an evacu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에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피난자는 완강기를 통해 지상으로 대피하거나, 고가의 사다리차를 통해 지상으로 대피하는 등의 대피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occurs in a high-rise building, evacuation methods such as evacuating to the ground through an evacuation machine or evacuating to the ground through an expensive ladder truck are used.

그러나, 완강기의 경우, 사용자가 로프에만 의지한 채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고층 건물로부터 지상까지 대피하는 것으로, 평소에 훈련되지 않은 상태로 대피하는 경우 낙상의 위험이 매우 높으며, 노약자나 심약자의 경우 사용이 어려우며, 건물 외측으로 발생되는 화재 및 연기에 그대로 노출되는 등, 상당히 많은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stubbornness, the user evacuates from a high-rise building to the ground in a state of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relying only on the rope. It is difficult to use, and there are quite a number of problems, such as being exposed to fire and smoke generated outside the building.

이에, 구조물 형태의 대피 시스템을 통해, 이러한 완강기를 사용하는 대피 시스템과 대비하여 피난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6476호의 경우, 사용자가 대피할 수 있는 상자형 구조물을 개시하며, 상기 상자형 구조물이 건물의 외부에서 하강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70016호에서도, 상자형 블록을 건물의 외벽상에서 하강시키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Accordingly, through an evacuation system in the form of a structure, a technology for improving the safety of evacuees compared to an evacuation system using such a stiffener is being develop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76476, the user Disclosed is a box-shaped structure that can be used, characterized in that the box-shaped structure descends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8-0070016 also discloses a device for lowering a box-shaped block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그러나, 상기 개시된 상자형 구조물들의 경우, 1개의 구조물이 하강하는 것에 불과하여 대피 속도나 시간이 상당히 많이 소요되고, 건물의 중간층으로부터 대피하려는 피난자를 구출하는 것에 부적합한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box-shaped structures disclosed above, since only one structure descends, the evacuation speed or time is significantly requir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suitable for rescuing evacuees from the middle floor of the building.

또한, 와이어 등을 통해 상기 상자형 구조물의 하강을 수행하는데, 실제 고층 건물의 화재 상황에서 상기 와이어가 상자형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오히려 피난자들에게 큰 위험을 가져올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descent of the box-shaped structure is performed through a wire, etc.,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wire stably fixes the box-shaped structure in a fire situation of an actual high-rise building. hav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6476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97647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7001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70016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등의 비상 상황에서 고층 건물의 옥상은 물론 각 층들로부터 피난자가 개별적으로 탑승이 가능하여 피난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낙상의 위험 없이 안전하게 지상까지 대피할 수 있어, 피난자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상자형 탑승장치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this regard,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evacuation effect by allowing evacuees to board individually from each floor as well as the rooftop of a high-rise building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It relates to a box-type boarding device that can safely evacuate to the ground without the risk of evacuation,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evacuee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상자형 탑승장치를 포함한 대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cuation system including the box-type vehicl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장치는 내부에 사용자가 탑승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건물의 외벽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상기 탑승장치는 전면에 형성되어 건물의 외측을 향하도록 개방되는 전방 출입부, 후면에 형성되어 건물의 내측을 향하도록 개방되는 후방 출입부, 및 상기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방 출입부의 양 측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부에 사용자가 오르내리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사다리부를 포함한다. A boar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internal space for a user to board therein, and at least one is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boarding device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entrance open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t least one side includes a ladder that is continuously formed so that the user climbs up and down.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탑승장치는, 상기 사다리부의 중간에 위치하며, 비상시에 상기 전면의 외측으로 위치하여 상기 사다리부를 보조하는 지지유닛, 상면에 돌출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탑승장치와의 간격을 유지하는 받침유닛, 및 하면에 위치하여 탑승장치의 이동을 수행하는 바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oarding device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ladder part, and in an emergency, it is located outside the front side to assist the ladder part, and it protrudes on the upper surface to maintain a gap with the boarding device located in the upper part. 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unit, and a wheel portion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to perform movement of the vehic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방 출입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방 출입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출입부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며, 하부 출입부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어 수평하게 위치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t is located below the front entrance and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front entrance, the front entrance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entrance is fixed by the fixing portion is horizontal can be positioned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시스템은 탑승장치 및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탑승장치는, 내부에 사용자가 탑승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속적으로 배열되고, 전면에 형성되어 건물의 외측을 향하도록 개방되는 전방 출입부, 후면에 형성되어 건물의 내측을 향하도록 개방되는 후방 출입부, 및 상기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방 출입부의 양 측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부에 사용자가 오르내리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사다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탑승장치의 측면을 따라 상기 건물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탑승장치의 승하강을 가이드한다. An evac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arding device and a guide unit. The boarding device forms an internal space in which a user boards, and at least one or more is continuously arranged, a front entrance is formed in the front and open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is formed in the rear 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It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rear entrance that is opened to face, and includes a ladder that is continuously formed so that the user can go up and down o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front entrance. The guide part is continuously extend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boarding device, and guides the elevating and lowering of the boarding devi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탑승장치는,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연장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바, 및 비상시에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하는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oarding device may include a guide bar formed on a side surfac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guide part, and a gear part coupled to the guide part in an emergency and moving along the guide bar. ha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위치하는 수평홈부, 및 평상시에 상기 기어부가 위치하는 수직홈부가 형성되며, 비상시에 상기 기어부는 상기 수직홈부로부터 상기 수평홈부로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바에 결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horizontal groove portion in which the guide portion is located, and a vertical groove portion in which the gear portion is normally located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and in an emergency, the gear portion moves from the vertical groove portion to the horizontal groove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guide bar can be

일 실시예에서, 평상시에 상기 탑승장치는 건물의 내부에 위치하며, 비상시에 상기 기어부가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탑승장치는 건물의 외부로 위치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vehicle is normally located inside the building, and in an emergency, as the gear unit moves along the guide bar, the vehicle may be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기어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홈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기어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탑승장치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승하강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guid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grooves coupled to the gear unit, and as the gear unit rotates, the vehicle may ascend and descend along the guide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부는 기 설정된 무게를 초과하는 경우 회전이 시작되며, 상기 탑승장치의 승하강시 상기 기어부의 회전 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rotation of the gear unit may be started when the weight exceeds a preset weight,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gear unit may be constantly maintained when the vehicle is raised or lowered.

일 실시예에서, 건물의 지상 1층 상부에 위치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탑승장치를 상부에 위치하는 탑승장치로부터 분리하여 외부로 제거하기 위한 분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t is located on the first floor of the building, it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the vehicle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from the vehicle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to remove to the outsi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유닛은, 평상시에는 상기 건물 내측의 수납공간에 위치하며, 비상시에는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상부에 위치하는 탑승장치를 상기 하부에 위치하는 탑승장치와 이격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paration unit is normally located in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building, and in case of an emergency, it protrudes from the storage space, and supports the vehicle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to be spaced apart from the vehicle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can do.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유닛은,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로부터 양 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회전부에 대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분리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eparation unit may include a rotating unit and a pair of separating units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from the rotating unit and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탑승장치들은, 평상시에는, 각 층마다, 짝수 또는 홀수 층마다, 또는 복수의 층들 마다 하나씩 위치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one or more vehicles may be located on each floor, on an even or odd floor, or on a plurality of floors in normal tim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탑승장치들은, 비상시에 상기 건물의 하부로 모두 하강하는 경우, 지면으로부터 적층되어 위치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all of the at least one vehicle descends to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in an emergency, they may be stacked from the groun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건물의 내측 및 외측으로 모두 개방되며 내부에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자형 탑승장치를 통해, 비상시에 사용자가 지상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afely evacuate to the ground in an emergency through the box-type boarding device that is open to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forms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user can board.

이 경우, 상기 상자형 탑승장치는 건물의 외면을 따라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어 일정한 속도를 승하강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단순히 탑승을 하는 것으로 대피가 가능하므로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box-type boarding device is guided by the guide part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to ascend and descend at a constant speed, and the us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safety can be improved, and evacuation is possible by simply boarding. Therefore, the convenience can also be improved.

한편, 상자형 탑승장치의 외면에 사다리부 또는 지지유닛이 형성되어, 사용자는 탑승장치가 운행하지 않는 등의 추가적인 비상상황에서 사다리부 또는 지지유닛을 이용하여 대피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안전성을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ladder part or the support uni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x-type boarding device, the user can evacuate using the ladder part or the support unit in an additional emergency situation such as the boarding device is not operating, so the safety of the user is additionally increased. can be improved

또한, 상자형 탑승장치의 전방 출입부의 경우, 상하방향으로 개방되며 하부 출입부는 고정부에 의해 수평하게 위치하도록 유지되므로, 사용자는 하부 출입부를 발판으로 상기 사다리부 또는 지지유닛으로 이동하거나 외부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ront entrance and exit of the box-type boarding device, it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wer entrance is maintained horizontally by the fixing unit, so the user can move the lower entrance to the ladder or the support unit using the footrest or safely to the outside. can move

또한, 상기 탑승장치는 가이드바 및 기어부의 구조를 통해, 평상시에는 건물의 내측에 위치하지만, 비상시에 건물의 외측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건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비상시에 안전한 탈출을 유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arding device is normally located inside the building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guide bar and the gear unit, but i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in an emergency, so it can induce a safe escape in an emergency without damaging the aesthetics of the building. .

또한, 기어부와 가이드부의 홈부 사이의 연속적인 기어결합에 의해 상기 탑승장치의 승하강의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필요에 따라 탑승장치의 이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내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eed of elevating and lowering of the vehicle is maintained constant by the continuous gear coupling between the gear portion and the groove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or the moving speed of the vehicle can be controlled as necessary, so the safety of the user located inside can improve

또한, 기어부는 기 설정된 무게를 초과하는 경우 회전이 시작되도록 하여, 일정한 수의 사용자가 탑승장치에 탑승하는 경우 비로소 회전을 유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효과적인 운송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gear unit starts rotation when the weight exceeds a preset weight, rotation can be induced only when a certain number of users board the vehicle, thereby enabling effective transportation of the user.

또한, 탑승장치를 분리하는 분리유닛 및 탑승장치에 구비된 바퀴부를 통해, 건물의 지상으로 위치한 탑승장치는 외부로 빠르게 제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탑승장치의 적체로 인해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빠른 대피를 가능하게 한다. In addition, through the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the vehicle and the wheel provided in the vehicle, the vehicle located on the ground of the building can be quickly removed to the outside, thereby minimizing exposure to danger due to the accumulation of the vehicle and Enables quick evacuation of users.

나아가, 상기 탑승장치는 적어도 하나가, 각 층마다 위치하거나, 짝수 또는 홀수 층들마다 위치하거나, 복수의 층들 마다 하나씩 위치함으로써, 단순히 건물의 옥상 등에 하나가 위치하는 것과 달리, 건물의 화재가 발생하는 위치와 무관하게 건물의 다양한 층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안전하게 피난시킬 수 있다. Furthermore, at least one of the boarding devices is located on each floor, on even or odd floors, or on each of a plurality of floors. Users located on various floors of a building can be safely evacuated regardless of their lo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피 시스템이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상자형 탑승장치가 일렬로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대피 시스템에서, 상자형 탑승장치가 건물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상자형 탑승장치가 건물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8은 도 5의 상자형 탑승장치가 건물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상자형 탑승장치가 건물의 외부를 따라 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상자형 탑승장치가 건물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관찰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5의 상자형 탑승장치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5의 상자형 탑승장치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5의 상자형 탑승장치의 하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a는 분리유닛이 건물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b는 도 14a의 분리유닛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a는 분리유닛이 건물로부터 돌출되어 분리를 수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분리유닛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vac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uilding.
FIG. 2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1 ,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1 .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ox-type vehicle of FIG. 1 is positioned in a line;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ox-type boarding device is located inside the building in the evacuation system of FIG. 1 .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ox-type vehicle of FIG. 5 moves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ox-type boarding device of FIG. 5 i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ox-type vehicle of FIG. 5 descends along the outside of the buildin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x-type boarding device of FIG. 5 observed from a different angle,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1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box-type vehicle of FIG. 5 , and FIG.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ox-type vehicle of FIG. 5 .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wer end of the box-type vehicle of FIG. 5 .
14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paration unit is fixed to a building, and FIG. 14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only the separation unit of FIG. 14A.
15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paration unit protrudes from a building to perform separation, and FIG. 15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only the separation unit of FIG. 15A.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ing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피 시스템이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vac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uilding. FIG. 2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1 ,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1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대피시스템(10, 20)은 건물(1)의 외벽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1)의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1 to 3, the evacuation systems 10 and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installed alo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1, and, as shown, may be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building 1, , a plurality may be installed.

또한, 상기 대피시스템(10, 20)이 상기 건물(1)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경우, 제1 대피시스템(10)은 제1 방향을 향해 설치되고, 제2 대피시스템(20)은 상기 제1 대피시스템(10)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evacuation systems 10 and 20 are installed at the corners of the building 1, the first evacuation system 10 is installed toward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evacuation system 20 is the first It may be install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so as to be adjacent to the evacuation system 10 .

물론, 이러한 상기 대피시스템(10, 20)의 설치 위치나 설치 개수는 건물의 형상이나 종류, 층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Of course, the installation location or number of the evacuation systems 10 and 20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r type of the building, the number of floors, and the like.

상기 대피 시스템(10, 20)이 복수개가 설치되더라도, 각각의 대피시스템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제1 대피시스템(10)을 대피시스템으로 간주하여 이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Even if a plurality of the evacuation systems 10 and 20 are installed, each evacuation system has the same structure, so that the first evacuation system 10 is regarded as an evacuation system and only this will be described.

상기 대피시스템(10)은 탑승장치(100) 및 가이드부(200)를 포함한다. The evacuation system 10 includes a vehicle 100 and a guide unit 200 .

상기 탑승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블록의 형상을 가져 상자형 탑승장치(100)라 할 수 있으며, 내부공간으로 사용자가 대피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200)에 의해 가이드되어, 건물의 하층으로 이동된다. The boarding device 100, as shown, has the shape of a square block and can be referred to as a box-type boarding device 100, and is guided by the guide unit 200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evacuated to the inner space. and moved to the lower floor of the building.

이 경우, 상기 탑승장치(100)는 건물의 하층으로 이동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건물(1)의 중앙 층에서 화재 등이 발생한 경우, 상기 화재가 난 층의 상부 층에 위치하는 상기 탑승장치(100)가 건물(1)의 하부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건물(1)의 상부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상기 탑승장치(100)는 건물(1)의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In this case, the vehicle 100 exemplifies moving to the lower floor of the building, but when a fire or the like occurs on the central floor of the building 1, the vehicle 100 is located on the upper floor of the fire floor ( If it is impossible for the 100) to move to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1 , it is also possible to move to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1 . However, hereinafter, the vehicle 100 will be described by exemplifying movement to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1 .

상기 탑승장치(100)는 적어도 1개 이상이 연속적으로 상기 건물(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이 경우, 상기 탑승장치(100)가 설치되는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At least one boarding device 100 is continuously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building 1, and in this case, the number of the boarding devices 100 installed may be variously changed.

즉, 상기 탑승장치(100)는 건물(1)의 최상층에 1개 설치될 수도 있으며, 건물(1)의 각 층마다 1개씩 설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1)의 각 층마다 교번적으로, 즉 홀수층들 또는 짝수층들마다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층들마다 1개씩 설치될 수도 있다. That is, one boarding device 10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most floor of the building 1 , or one boarding device 100 may be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1 . Furthermore, as shown in FIG. 2 , it may be installed alternately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1 , that is, on odd-numbered floors or even-numbered floors, or may be installed one by one on a plurality of floors.

다만, 상기 탑승장치(100)가 매 층마다 설치되지 않는 경우라도, 상기 탑승장치(100)는 비상시, 매 층마다 정지하여 사용자가 탑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탑승장치(100)가 정차하는 위치에는 비상문(4)이 설치된다. However, even if the boarding device 100 is not installed on every floor, in an emergency, the boarding device 100 stops on every floor to allow the user to board, and accordingly, the location where the boarding device 100 stops. The emergency door (4) is installed.

그리하여, 사용자는 상기 비상문(4)을 통해 상기 탑승장치(100)에 탑승하여 건물의 하층 또는 상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Thus, the user boards the boarding device 100 through the emergency door 4 and moves to the lower or upper floor of the building.

상기 가이드부(200)는 상기 건물(1)의 최상층으로부터 최하층, 즉 지상 1층까지 수직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탑승장치(100)가 상기 가이드부(200)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건물(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게 된다. The guide part 200 extends continuously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most floor to the lowest floor, that is, the first floor of the building 1, and the boarding device 100 is guided by the guide part 200, and the It ascends and desc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building (1).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200)는 안정적인 가이드를 위하여, 한 쌍이 상기 탑승장치(100)의 양 측면에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탑승장치(100)의 양 측이 동시에 상기 가이드부(2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된다. In this case, a pair of the guide unit 200 may be installed to be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vehicle 100 for a stable guide, and both sides of the vehicle 100 ar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guide unit 200 ) and move in a fixed state.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승장치(100)가 복수개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탑승장치(100)가 건물(1)의 최하층으로 이동하게 되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위치하게 된다. 이는 하기 도 4를 통해 상세히 도시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 when a plurality of the boarding devices 100 are installed, when the boarding devices 100 move to the lowest floor of the building 1, they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positioned. This is illustrated in detail through FIG. 4 below.

따라서, 상기 건물(1)의 최하층, 즉 지상 1층에 도착한 상기 탑승장치(100)는 순차적으로 상기 건물(1)의 외부로 제거되어야 하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Therefore, the boarding device 100 arriving at the lowest floor of the building 1, that is, the first floor above the ground, must be sequentially remov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는 도 1의 상자형 탑승장치가 일렬로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ox-type vehicle of FIG. 1 is positioned in a line;

즉,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탑승장치(100)는 전면(113)에 형성되는 전방 출입부(120), 고정부(122), 사다리부(150) 및 지지유닛(160)을 포함한다. That is, referring to FIG. 4 , the vehicle 100 includes a front entry/exit unit 120 , a fixing unit 122 , a ladder unit 150 , and a support unit 160 formed on the front side 113 .

상기 전방 출입부(120)는 상기 탑승장치(100)의 전면(113)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건물(1)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탑승장치(100)에 탑승한 사용자가 외부로 나오기 위해 사용된다. The front entrance 12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113 of the vehicle 100 , and is opened in a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1 , so that a user riding on the vehicle 100 can access the outside. used to come out.

이 경우, 상기 전방 출입부(120)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으로, 하부 출입부(121)는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고정부(122) 상에 고정된다. In this case, the front entry part 120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wer entry part 121 rotates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is fixed on the fixing part 122 .

그리하여, 상기 하부 출입부(121)는 실질적으로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하부 출입부(121)는 사용자가 지지할 수 있는 발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Thus, the lower access part 121 extend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horizontal to the ground, and thus the lower access part 121 serves as a footrest that a user can support.

한편, 상기 사다리부(150)는 한 쌍이 상기 전면(113)에 형성되되, 상기 전방 출입부(120)의 양 측에 형성되는 제1 사다리(151) 및 제2 사다리(152)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ladder part 150 includes a pair of doedo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113, the first ladder 151 and the second ladder 15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trance (120).

이 경우, 상기 사다리부(150)는 1 개만이 상기 전방 출입부(120)의 일 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only one ladder part 150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front entry part 120 .

마찬가지로, 상기 지지유닛(160)도 상기 전면(113)에 형성되되, 상기 전방 출입부(120)를 기준으로 양 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지지부(161) 및 제2 지지부(162)를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지지유닛(160)도 1 개만이 상기 전방 출입부(120)의 일측에만 형성될 수 있다. Similarly, the support unit 160 is also formed on the front surface 113, and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161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162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front entrance 120, and , in this case, only one support unit 160 may be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front entrance/exit unit 120 .

상기 제1 사다리(151) 및 상기 제2 사다리(1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113) 상에 상하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탑승장치(100)가 건물(1)의 지상층 등에 복수개가 일렬로 적층되는 경우라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탑승장치(10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되게 된다. The first ladder 151 and the second ladder 152, as shown, are formed in a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113, the boarding device 100 of the building (1) If a plurality of pieces are stacked in a line on the ground floor or the like, they are formed in a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boarding device 100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하여,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 상하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되는, 상기 제1 사다리(151) 또는 상기 제2 사다리(152)를 이용하여, 직접 하부방향 또는 상부방향으로 피난할 수 있다. Thus, if necessary, the user can directly evacuate downward or upward using the first ladder 151 or the second ladder 152, which are formed in a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탑승장치(100)에 탑승한 상태로부터, 상기 전방 출입부(120)를 개방하고, 상기 하부 출입부(121)에 의해 형성되는 발판을 이용하여 상기 전방 출입부(120)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사다리(151) 또는 제2 사다리(152)로 이동한 상태에서, 하부방향 또는 상부방향으로 피난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ser opens the front entrance 120 from the state of boarding the vehicle 100 , and uses the footrest formed by the lower entrance 121 to the front entrance 120 . In the state of moving to the first ladder 151 or the second ladder 152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evacuation can be performed in the lower direction or the upper direction.

한편, 상기 제1 지지부(161)는 상기 제1 사다리(151)를 따라 1개의 탑승장치(100)에 2개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평상시에는 상기 전면(113)에 삽입되어 위치하지만, 비상시에는 후술되는 도 11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전면(113)으로부터 돌출되어 위치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wo of the first support parts 161 are vertically formed in one boarding device 100 along the first ladder 151, and are inserted into the front surface 113 in normal times, but in an emergency. It is position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surface 113 by rota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of FIG. 11 to be described later.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 사다리(151)를 따라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상기 제1 지지부(161)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스스로를 고정하거나, 지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성이 보다 향상된다. Therefore,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user in the upper direction or the lower direction along the first ladder 151, the user can stably fix or support himself/herself us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161 additionally, so that the safety of the user This is further improved.

이는, 상기 제2 지지부(162)도 동일하여, 상기 제1 지지부(161)와 마찬가지의 구조 및 개수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2 사다리(152)를 따라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지지부(162)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스스로를 고정하거나 지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is is a process in which the second support part 162 is also the same, installed in the same structure and number as the first support part 161 , and the user moves upward or downward along the second ladder 152 . , by stably fixing or supporting itself by using the second support part 162 , safety may be improved.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5b를 참조하여, 상기 대피시스템(1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evacuation system 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5B .

도 5는 도 1의 대피 시스템에서, 상자형 탑승장치가 건물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상자형 탑승장치가 건물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8은 도 5의 상자형 탑승장치가 건물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상자형 탑승장치가 건물의 외부를 따라 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상자형 탑승장치가 건물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관찰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5의 상자형 탑승장치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5의 상자형 탑승장치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5의 상자형 탑승장치의 하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ox-type boarding device is positioned inside a building in the evacuation system of FIG. 1 .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ox-type vehicle of FIG. 5 moves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ox-type boarding device of FIG. 5 is positioned outside a buildin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ox-type vehicle of FIG. 5 descends along the outside of the buildin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x-type boarding device of FIG. 5 observed from a different angle,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1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box-type vehicle of FIG. 5 , and FIG.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ox-type vehicle of FIG. 5 .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wer end of the box-type vehicle of FIG. 5 .

우선,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탑승장치(100)는 프레임부(110), 후방 출입부(130), 받침유닛(140), 가이드바(170), 기어부(180) 및 바퀴부(190)를 더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S. 5 to 13 , the vehicle 100 includes a frame unit 110 , a rear entrance 130 , a support unit 140 , a guide bar 170 , a gear unit 180 , and wheels. It further includes a portion 190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탑승장치(100)는 평상시에는 건물 내벽(5)의 내측에 형성되는 건물 내부공간(6)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에 따라 건물(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건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5 , the boarding device 100 is normally located in the building internal space 6 formed inside the building inner wall 5 , and accordingly, As it is not exposed, it does not spoil the aesthetics of the building.

또한, 상기 탑승장치(100)의 후면(114) 상에 형성되는 상기 후방 출입부(130)는 폐쇄된 상태로 위치한다. In addition, the rear entrance 130 formed on the rear surface 114 of the vehicle 100 is located in a closed state.

상기 탑승장치(100)의 측면(115)에는 상측 및 하측에 수평홈부(116)가 일 방향, 즉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평홈부(116)의 연장방향에 수직인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수직 홈부(117)가 형성된다. Horizontal grooves 116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ide 115 of the vehicle 100 extend in one direction, that is,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orizontal groove 116 , that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vertical groove portion 117 is formed.

상기 수평홈부(116)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바(170)가 위치하며,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170) 역시 상기 수평홈부(116)의 연장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The guide bar 170 is positioned inside the horizontal groove part 116 , and accordingly, the guide bar 170 also extends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orizontal groove part 116 .

상기 수직 홈부(117) 상에는 상기 기어부(180)가 위치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평상시, 즉 화재 등이 발생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상기 기어부(180)는 상기 가이드바(17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The gear unit 180 is positioned on the vertical groove portion 117 , and the gear unit 180 is coupled to the guide bar 170 in normal times as shown in FIG. 5 , that is, in a situation where a fire does not occur. It will be placed in a non-existent state.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200)는 상기 건물(1)의 외측에 위치한 상태이다. Meanwhile, as shown, the guide part 200 i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1 .

도 6을 참조하면,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즉, 비상시에는, 우선, 상기 탑승장치(100)는 소정 거리 건물(1) 외측으로 전진하게 되며, 상기 수직 홈부(117) 상에 위치하던 상기 기어부(180)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부(200)에 결합한다. 그리하여, 상기 기어부(180)는 상기 수평 홈부(116)로 위치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6 ,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occurs, that is, in an emergency, first, the vehicle 100 advances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1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located on the vertical groove 117 . The gear unit 180 rotates as shown by an arrow and is coupled to the guide unit 200 . Thus, the gear part 180 is positioned as the horizontal groove part 116 .

즉, 상기 기어부(180)는 상기 가이드바(170)의 끝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홈부(117)에 위치하며, 비상시에 상기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평 홈부(116)로 위치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가이드부(200)에 결합된다. That is, the gear unit 180 is located in the vertical groove portion 117 in a stat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guide bar 170,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an emergency and is positioned as the horizontal groove portion 116, At the same time, it is coupled to the guide part 200 .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200)는 복수의 홈부들(210)이 균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기어부(180)는 기어치(181)를 포함하므로, 상기 기어치(181)가 상기 홈부들(210)에 삽입되면서, 상기 가이드부(200) 상에 상기 기어부(180)가 결합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guide portion 200 has a plurality of groove portions 210 are uniformly formed, and the gear portion 180 includes the gear teeth 181 , so that the gear teeth 181 are connected to the groove portions ( 210 , the gear unit 180 is coupled to the guide unit 200 .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200)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홈부(116)에 위치한 상기 기어부(180)는, 상기 탑승장치(100)가 건물(1)의 외측으로 전진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170) 상에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상기 가이드바(170)의 전방측에 위치하던 상기 기어부(180)는 상기 가이드바(170)의 후방측으로 위치하게 된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7 , the gear unit 180 coupled to the guide unit 200 and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groove unit 116 , as the vehicle 100 advances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1 , , and moves on the guide bar 170 , and accordingly, the gear unit 180 , which was relatively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guide bar 170 , is positioned on the rear side of the guide bar 170 .

그리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승장치(100)가 건물(1)의 외벽(7) 외측으로 모두 노출되는 경우, 상기 기어부(180)는 상기 가이드바(170)의 최후방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가이드부(2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us, as shown in FIG. 8 , when the vehicle 100 is all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wall 7 of the building 1 , the gear unit 180 is positioned at the rearmost side of the guide bar 170 . While positioned, the state coupled to the guide unit 200 is maintained.

이 경우, 상기 탑승장치(100)는 승하강되기 전의 상태인 것으로, 상기 전방 출입부(120)가 폐쇄된 것은 물론, 상기 지지유닛(160)도 상기 전면(113)에 접힌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boarding device 100 is in a state before being raised and lowered, and the front entrance 120 is closed, and the support unit 160 is also located in a folded state on the front surface 113 . .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탑승장치(100)는, 상기 기어부(18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200)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9 , the vehicle 100 ascends or descends along the guide unit 20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ear unit 180 .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탑승장치(100)는 하강하여 건물(1)의 최하층으로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건물(1)의 중간층에 화재가 발생하여 하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예외적으로 상승하여 건물(1)의 옥상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it is common for the vehicle 100 to descend and to be located on the lowest floor of the building 1, but if it is impossible to descend due to a fire in the middle floor of the building 1, it rises exceptionally and rises to the building 1 ) can be moved to the rooftop.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기어부(180)의 기어치(181)가 상기 홈부(210)에 맞물리며 회전하여 상기 탑승장치(100)가 승하강하는 것으로, 단순히 상기 기어부(180)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것으로, 상기 탑승장치(100)를 하강하거나 상승시킬 수 있어, 상기 탑승장치(100)의 제어가 매우 용이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ear teeth 181 of the gear unit 180 are engaged with the groove unit 210 and rotate to elevate the vehicle 100,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gear unit 180 is simply changed. By switching, the vehicle 100 can be lowered or raised, so that the control of the vehicle 100 is very easy.

또한, 상기 기어부(18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거나 회전을 중단 또는 재개함으로써, 상기 탑승장치(100)의 승하강 속도를 제어하거나, 승하강을 멈추거나, 다시 구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gear unit 180 or stopping or resuming rot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elevation speed of the vehicle 100 , stop the elevation, or drive again.

특히, 상기 기어부(180)는 별도의 센서부(미도시)의 센싱 결과를 바탕으로 구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탑승장치(100)의 총 중량이 기 설정된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기어부(180)가 구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탑승장치(100)에 소정 인원의 사용자가 탑승하는 경우에만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탑승자가 없는 상황에서 승하강하는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gear unit 180 may be driven based on a sensing result of a separate sensor unit (not shown). That is, by controlling the gear unit 180 to be driven only when the total weight of the vehicle 100 exceeds a preset weight through the sensor unit, a predetermined number of users ride the vehicle 100 . It is possible to drive only when there is no occupant, so that problems such as getting up and dow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한편,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탑승장치(100)의 보다 세부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탑승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각 블록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부(110)가 이러한 사각 블록 형상을 형성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11 and 12 , a more detailed structure of the vehicle 100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100 has a rectangular block shape, and the frame unit 110 ) forms this square block shape.

상기 프레임부(110)의 후면(114) 상에는 상기 후방 출입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 출입부(130)는, 앞서 설명한 건물(1)의 비상문(4)과 연동되어 개방될 수 있다. The rear entrance 13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114 of the frame unit 110, and the rear entrance 130 can be opened in conjunction with the emergency door 4 of the building 1 described above. have.

그리하여, 사용자는 비상시에 상기 후방 출입부(130)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공간(101)으로 탑승하게 된다. Thus, in an emergency, the user boards the internal space 101 formed inside the frame part 110 through the rear entrance 130 .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10)의 전면(113)에는, 상기 전방 출입부(120), 고정부(122), 사다리부(150) 및 지지유닛(160)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on the front surface 113 of the frame part 110, the front entrance 120, the fixing part 122, the ladder part 150 and the support unit 160 are formed.

또한,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면(111) 상에는 상기 받침유닛(140)이 형성되는데, 상기 받침유닛(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실린더형 블록이 상기 상면(11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support unit 14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frame part 110 , as shown in the support unit 140 , a pair of cylindrical blocks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111 . formed to be

이 경우, 상기 받침유닛(140)의 개수, 높이, 면적, 형상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유닛(140)은 상부 방향으로 인접하는 또 다른 탑승장치의 하면을 지지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number, height, area, shape, etc. of the support unit 140 may be variously changed, and the support unit 140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another vehicle adjacent in the upward direction.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탑승장치들이 연속하여 위치하는 경우, 상기 탑승장치의 하면(112)과 상면(111)이 서로 접하며 상부로부터 인가되는 무게가 증가하므로, 마찰력으로 인해 가장 하부에 위치한 탑승장치를 외부로 제거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렵다. That is, as shown in FIG. 4 , when a plurality of vehicles are continuously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surface 112 and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vehicle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weight applied from the upper portion increases, so the friction force Therefore, it is relatively difficult to remove the vehicle located at the bottom to the outside.

그러나, 실제 비상상황에서, 복수의 탑승장치들이 건물(1)의 하부로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가장 하측의 탑승장치를 외부로 제거하지 않는다면, 상기 탑승장치들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However, in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when a plurality of vehicles are located under the building 1 , unless the lowermost vehicle is removed to the outside, the vehicles are positioned to b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물론, 이러한 적층상태에서 사용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사다리부(150) 또는 상기 지지유닛(160)을 통해 외부로 피난할 수는 있으나,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황에 해당되므로, 사용자의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Of course, in this stacked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evacuate to the outside through the ladder part 150 or the support unit 160, but since it corresponds to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risk of the user this will increase

따라서, 가장 하측에 위치한 탑승장치를 외측으로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서로 적층되는 탑승장치들 사이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면서도 상부에 위치하는 탑승장치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받침유닛(140)이 형성된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vehicle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to the outside. Accordingly, in order to support the vehicle located at the upper part while minimiz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vehicles stacked on each other, the support unit 140 . this is formed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부(190)가 상기 프레임부(110)의 하면(112) 상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장 하측에 위치한 상기 탑승장치를 외부로 제거하는 경우, 상기 탑승장치의 이동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3 , the wheel part 19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112 of the frame part 110 , and thus, as described above, the lowermost boarding device is removed from the outside. In the case of removing it with a ,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movement of the vehicle.

이 경우, 상기 바퀴부(190)는, 평상시에는 상기 하면(112)의 내측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탑승장치(100)가 지상층에 도달한 경우, 상기 하면(112)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별도의 돌출 메커니즘이 적용되지 않고, 초기 상태부터 상기 하면(112)에 돌출된 상태로 위치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wheel part 190 may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112 when the vehicle 100 reaches the ground floor in a state in which it is normally located inside the lower surface 112 , and separately The protrusion mechanism of is not applied, and may be located in a protruding state from the initial state to the lower surface 112 .

도 14a는 분리유닛이 건물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b는 도 14a의 분리유닛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a는 분리유닛이 건물로부터 돌출되어 분리를 수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분리유닛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4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paration unit is fixed to a building, and FIG. 14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only the separation unit of FIG. 14A. 15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paration unit protrudes from the building to perform separation, and FIG. 15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only the separation unit of FIG. 15A.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탑승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하측에 위치한 탑승장치가 외부로 제거되지 않는 경우,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적층되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피난은 가능하지만, 사용자의 피난시의 안전성을 감소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4 , the vehicle 100 in this embodiment may be positioned such that a plurality of the vehicle devices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vehicle is not removed to the outside, and in this state, the user Evacuation is possible, but the safety of users during evacuation is reduced.

따라서, 가장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탑승장치를 외부로 빠르게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상기 대피 시스템(10)은 분리유닛(300)을 더 포함한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quickly remove the vehicle positioned at the lowermost side to the outside, and accordingly, the evacuation system 10 further includes a separation unit 300 .

즉, 도 14a 내지 도 15c를 참조하면, 상기 분리유닛(300)은 건물(1)의 외벽(7)의 지상 1층의 상측, 즉 최하층의 상측에 형성되는 수납공간(301) 상에 위치하여, 상기 탑승장치(100)의 분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That is, referring to FIGS. 14A to 15C , the separation unit 30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loor above the ground of the outer wall 7 of the building 1, that is, the storage space 301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st floor. ,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eparation of the vehicle 100 .

상기 분리유닛(300)은, 회전부(310), 및 상기 회전부(310)로부터 양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분리부들(320, 330)을 포함한다. The separation unit 300 includes a rotating unit 310 and a pair of first and second separating units 320 and 330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from the rotating unit 310 .

상기 제1 및 제2 분리부들(320, 330)은 서로 동일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지며, 상기 회전부(31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310)에 연결된다.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units 320 and 330 have the same structure and shape as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o the rotating unit 310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unit 310 .

즉, 상기 제1 분리부(320)는 상기 회전부(310)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321), 상기 제1 연장부(321)로부터 추가로 연장되는 제1 확장부(322), 및 상기 제1 확장부(322)의 끝단에 위치하여 상부의 탑승장치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323)를 포함한다. That is, the first separation part 320 includes a first extension part 321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rotation part 310 , and a first extension part 322 additionally extending from the first extension part 321 . , and a first support part 323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322 to support the upper boarding device.

이 경우, 상기 제1 지지부(323)는 상기 상부의 탑승장치를 지지함과 동시에, 하부에 위치하는 탑승장치의 상면(111)에 형성되는 상기 받침유닛(140)을 밀어 상기 상부의 탑승장치와 하부의 탑승장치를 분리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support part 323 supports the upper boarding device and simultaneously pushes the support unit 14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boarding device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to engage with the upper boarding device. The lower vehicle can be removed.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분리부(330)도 상기 회전부(310)로부터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331), 상기 제3 연장부(331)로부터 추가로 연장되는 제2 확장부(332), 및 상기 제2 확장부(332)의 끝단에 위치하여 상부의 탑승장치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333)를 포함한다. Similarly, the second separation part 330 also includes a second extension part 331 extending in another direction from the rotation part 310 and a second extension part 332 extending further from the third extension part 331 . , and a second support part 333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332 to support the upper boarding device.

이 경우, 상기 제2 지지부(333)는 상기 상부의 탑승장치를 지지함과 동시에, 하부에 위치하는 탑승장치의 상면(111)에 형성되는 상기 받침유닛(140)을 해제하여 상기 상부의 탑승장치와 하부의 탑승장치를 분리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support part 333 supports the upper vehicle and simultaneously releases the support unit 14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lower vehicle to release the upper vehicle. and the lower boarding device can be separated.

그리하여, 상기 분리유닛(300)은, 최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탑승장치를 외부로 제거하는 경우, 상부의 탑승장치를 지지함과 동시에, 하부의 탑승장치의 받침유닛(140)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여 하부의 탑승장치를 제거하게 된다. Thus, the separation unit 300, when the vehicle positioned at the bottom is removed to the outside, supports the upper vehicle and at the same time releases the coupling state of the supporting unit 140 of the lower vehicle. Thus, the lower boarding device is remov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또는 최하부에 위치하는 탑승장치의 분리가 필요 없는 경우, 상기 분리유닛(300)은 상기 수납공간(301) 상에 일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수납되어 위치한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4A and 14B , when separation of the vehicle located at the bottom or at normal times is not required, the separation unit 300 extends in one direction on the storage space 301 . It is stored and positioned.

즉, 상기 제1 분리부(320) 및 상기 제2 분리부(330)는 모두 일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수납공간(301)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건물의 외벽(7)으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That is, since both the first separation part 320 and the second separation part 330 are position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and are located inside the storage space 301 , the outer wall 7 of the building placed unexposed.

반면, 도 15a 내지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시에 최하부에 위치하는 탑승장치를 외부로 제거 또는 분리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 분리유닛(300)은 상기 수납공간(301)으로부터 전체적으로 'V'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분리유닛(3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탑승장치(100)를 지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5A to 15C , when it is necessary to remove or separate the vehicle located at the lowermost part to the outside in an emergency, the separation unit 300 forms a 'V' shape from the storage space 301 as a whole. It protrudes in a shape to support the vehicle 100 positioned above the separation unit 300 .

즉, 상기 제1 분리부(320) 및 상기 제2 분리부(330)가 상기 회전부(310)를 중심으로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소정의 각(θ)을 형성한다. That is, the first separation unit 320 and the second separation unit 330 rotate in a direction adjacent to each other around the rotation unit 310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θ.

그리하여, 상기 제1 지지부(323) 및 상기 제2 지지부(333)는 상부에 위치하는 탑승장치를 지지하는 하부 탑승장치의 받침유닛(140)을 해제하여, 하부 탑승장치를 상부 탑승장치로부터 분리한다. Thus, the first support part 323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33 release the support unit 140 of the lower vehicle that supports the vehicle positioned above, thereby separating the lower vehicle from the upper vehicle. .

이 경우, 상기 제1 지지부(323) 및 상기 제2 지지부(333)는 상기 받침유닛(140)의 해제와 동시에,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탑승장치(100)의 하면(112)에 접촉하며, 상기 탑승장치(100)를 지지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support part 323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33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112 of the boarding device 100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at the same time as the support unit 140 is released, and the The vehicle 100 may be supported.

따라서, 상기 분리유닛(300)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탑승장치와 하부에 위치하는 탑승장치는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하부에 위치하는 탑승장치는 상부로부터 인가되는 탑승장치에 의한 무게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수월하게 외부로 제거될 수 있다. Therefore, based on the separation unit 300 , the vehicle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vehicle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ccordingly, the vehicle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is the vehicle applied from the top. It can be easily remov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weighed by the

이 경우, 상기 탑승장치(100)의 하면(112)에 상기 바퀴부(190)가 구비되므로, 상기 바퀴부(190)를 이용하여 상기 탑승장치(100)를 외부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In this case, since the wheel part 19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112 of the vehicle 100,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vehicle 100 to the outside using the wheel part 190. As already described.

나아가, 이와 같이, 가장 하부의 탑승장치가 제거되면, 상기 분리유닛(300)은 다시 일자로 펼쳐지며 상기 수납공간(301)으로 위치하였다가, 상기 분리유닛(300)의 하부로 다음 탑승장치가 위치하면, 상부의 탑승장치들로부터 하부에 위치하는 탑승장치를 해제하여 하부의 탑승장치의 제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Furthermo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wermost vehicle is removed, the separation unit 300 is unfolded again in a straight line and positioned in the storage space 301 , and then the next vehicle is positioned under the separation unit 300 . Then, the vehicle located at the lower side is released from the upper vehicle devices so that the lower vehicle can be easily removed.

그리하여, 비상시에 하부로 이송되는 탑승장치들은, 순차적으로 분리되며 외부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Thus, the vehicles transported downward in an emergency are sequentially separated and can be easily remov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건물의 내측 및 외측으로 모두 개방되며 내부에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자형 탑승장치를 통해, 비상시에 사용자가 지상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afely evacuate to the ground in an emergency through the box-type boarding device that is open to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forms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user can board.

이 경우, 상기 상자형 탑승장치는 건물의 외면을 따라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어 일정한 속도를 승하강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단순히 탑승을 하는 것으로 대피가 가능하므로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box-type boarding device is guided by the guide part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to ascend and descend at a constant speed, and the us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safety can be improved, and evacuation is possible by simply boarding. Therefore, the convenience can also be improved.

한편, 상자형 탑승장치의 외면에 사다리부 또는 지지유닛이 형성되어, 사용자는 탑승장치가 운행하지 않는 등의 추가적인 비상상황에서 사다리부 또는 지지유닛을 이용하여 대피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안전성을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ladder part or the support uni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x-type boarding device, the user can evacuate using the ladder part or the support unit in an additional emergency situation such as the boarding device is not operating, so that the safety of the user is additionally can be improved

또한, 상자형 탑승장치의 전방 출입부의 경우, 상하방향으로 개방되며 하부 출입부는 고정부에 의해 수평하게 위치하도록 유지되므로, 사용자는 하부 출입부를 발판으로 상기 사다리부 또는 지지유닛으로 이동하거나 외부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ront entrance and exit of the box-type boarding device, it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wer entrance is maintained horizontally by the fixing unit, so the user can move the lower entrance to the ladder or the support unit using the footrest or safely to the outside. can move

또한, 상기 탑승장치는 가이드바 및 기어부의 구조를 통해, 평상시에는 건물의 내측에 위치하지만, 비상시에 건물의 외측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건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비상시에 안전한 탈출을 유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arding device is normally located inside the building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guide bar and the gear unit, but i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in an emergency, so it can induce a safe escape in an emergency without damaging the aesthetics of the building. .

또한, 기어부와 가이드부의 홈부 사이의 연속적인 기어결합에 의해 상기 탑승장치의 승하강의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필요에 따라 탑승장치의 이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내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eed of elevating and lowering of the vehicle is maintained constant by the continuous gear coupling between the gear portion and the groove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or the moving speed of the vehicle can be controlled as necessary, so the safety of the user located inside can improve

또한, 기어부는 기 설정된 무게를 초과하는 경우 회전이 시작되도록 하여, 일정한 수의 사용자가 탑승장치에 탑승하는 경우 비로소 회전을 유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효과적인 운송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gear unit starts rotation when the weight exceeds a preset weight, so that rotation can be induced only when a certain number of users ride on the vehicle, thereby enabling effective transportation of the user.

또한, 탑승장치를 분리하는 분리유닛 및 탑승장치에 구비된 바퀴부를 통해, 건물의 지상으로 위치한 탑승장치는 외부로 빠르게 제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탑승장치의 적체로 인해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빠른 대피를 가능하게 한다. In addition, through the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the vehicle and the wheel part provided in the vehicle, the vehicle located on the ground of the building can be quickly removed to the outside, thereby minimizing exposure to danger due to the accumulation of the vehicle and Enables quick evacuation of users.

나아가, 상기 탑승장치는 적어도 하나가, 각 층마다 위치하거나, 짝수 또는 홀수 층들마다 위치하거나, 복수의 층들 마다 하나씩 위치함으로써, 단순히 건물의 옥상 등에 하나가 위치하는 것과 달리, 건물의 화재가 발생하는 위치와 무관하게 건물의 다양한 층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안전하게 피난시킬 수 있다. Furthermore, at least one of the boarding devices is located on each floor, on even or odd floors, or on each of a plurality of floors. Users located on various floors of a building can be safely evacuated regardless of their location.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0, 20 : 대피 시스템 100 : 탑승장치
110 : 프레임부 115 : 측면
116 : 수평홈부 117 : 수직홈부
120 : 전방 출입부 130 : 후방 출입부
140 : 받침유닛 150 : 사다리부
151 : 제1 사다리 152 : 제2 사다리
160 : 지지유닛 161 : 제1 지지부
162 : 제2 지지부 170 : 가이드바
180 : 기어부 181 : 기어치
190 : 바퀴부 200 : 가이드부
210 : 홈부 300 : 분리유닛
310 : 회전부 320 : 제1 분리부
330 : 제2 분리부
10, 20: evacuation system 100: vehicle
110: frame part 115: side
116: horizontal groove 117: vertical groove
120: front entry 130: rear entry
140: support unit 150: ladder part
151: first ladder 152: second ladder
160: support unit 161: first support part
162: second support 170: guide bar
180: gear unit 181: gear teeth
190: wheel part 200: guide part
210: groove 300: separation unit
310: rotating part 320: first separating part
330: second separation unit

Claims (14)

내부에 사용자가 탑승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건물의 외벽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탑승장치에서,
전면에 형성되어 건물의 외측을 향하도록 개방되는 전방 출입부;
후면에 형성되어 건물의 내측을 향하도록 개방되는 후방 출입부;
상기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방 출입부의 양 측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부에 사용자가 오르내리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사다리부;
상기 사다리부의 중간에 위치하며, 비상시에 상기 전면의 외측으로 위치하여 상기 사다리부를 보조하는 지지유닛; 및
하면에 위치하여 탑승장치의 이동을 수행하는 바퀴부를 포함하는 탑승장치.
In a boarding device that forms an internal space inside which a user boards, and wherein at least one or more are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front entrance is formed on the front and is open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e rear entrance is formed in the rear and is opened toward the inside of the building;
a ladder portion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continuously formed so that the user can ascend and descend o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front entrance;
a support unit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ladder, positioned outside the front in an emergency to assist the ladder; and
A vehicle that is located on a lower surface and includes a wheel part for moving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면에 돌출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탑승장치와의 간격을 유지하는 받침유닛을 더 포함하는 탑승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oar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unit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and maintaining a distance from the boarding devic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출입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전방 출입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출입부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며, 하부 출입부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어 수평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entrance,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front entrance,
The front entry part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wer entry part is fixed by the fixing part and positioned horizontally.
탑승장치 및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대피시스템에서,
상기 탑승장치는, 내부에 사용자가 탑승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속적으로 배열되고,
전면에 형성되어 건물의 외측을 향하도록 개방되는 전방 출입부;
후면에 형성되어 건물의 내측을 향하도록 개방되는 후방 출입부;
상기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방 출입부의 양 측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부에 사용자가 오르내리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사다리부;
상기 사다리부의 중간에 위치하며, 비상시에 상기 전면의 외측으로 위치하여 상기 사다리부를 보조하는 지지유닛; 및
하면에 위치하여 탑승장치의 이동을 수행하는 바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탑승장치의 측면을 따라 상기 건물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탑승장치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시스템.
In an evacuation system including a vehicle and a guide unit,
The boarding device forms an internal space inside which a user boards, and at least one or more are continuously arranged,
The front entrance is formed on the front and is open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e rear entrance is formed in the rear and is opened toward the inside of the building;
a ladder portion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continuously formed so that the user can ascend and descend o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front entrance;
a support unit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ladder, positioned outside the front in an emergency to assist the ladder; and
It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and includes a wheel part for perform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The guide part extends continuously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along the side of the boarding device, and evacu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guides the elevation of the boarding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장치는,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연장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바; 및
비상시에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vehicle,
a guide bar formed on a side surfac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guide part; and
The evacuation system is coupled to the guide part in an emergency, and comprises a gear part moving along the guide ba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위치하는 수평홈부, 및 평상시에 상기 기어부가 위치하는 수직홈부가 형성되며,
비상시에 상기 기어부는 상기 수직홈부로부터 상기 수평홈부로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A horizontal groove portion in which the guide portion is located, and a vertical groove portion in which the gear portion is normally located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In an emergency, the gear part moves from the vertical groove part to the horizontal groove part and is coupled to the guide bar.
제5항에 있어서,
평상시에 상기 탑승장치는 건물의 내부에 위치하며,
비상시에 상기 기어부가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탑승장치는 건물의 외부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Normally, the boarding device is located inside the building,
In an emergency, as the gear unit moves along the guide bar, the boarding device is positioned outside the build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기어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홈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기어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탑승장치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승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guid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grooves coupled to the gear unit,
Evacu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s the gear unit rotates, the boarding device ascends and descends along the guide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기 설정된 무게를 초과하는 경우 회전이 시작되며,
상기 탑승장치의 승하강시 상기 기어부의 회전 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gear unit starts to rotate when it exceeds a preset weight,
Evacu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gear unit is maintained constant when the vehicle is raised and lowered.
제4항에 있어서,
건물의 지상 1층 상부에 위치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탑승장치를 상부에 위치하는 탑승장치로부터 분리하여 외부로 제거하기 위한 분리유닛을 더 포함하는 대피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vacu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separation unit located on the first floor of the building, for separating the vehicle located at the lower part from the vehicle located at the upper part and removing it to the outsid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유닛은,
평상시에는 상기 건물 내측의 수납공간에 위치하며,
비상시에는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상부에 위치하는 탑승장치를 상기 하부에 위치하는 탑승장치와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paration unit,
It is usually located in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building,
In an emergency, the evacuation system protrudes from the storage space and supports the vehicle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to be spaced apart from the vehicle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유닛은,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로부터 양 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회전부에 대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분리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paration unit,
reel; and
The evacu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in both directions from the rotating part, and comprising a pair of separating parts that rotate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pa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탑승장치들은,
평상시에는, 각 층마다, 짝수 또는 홀수 층마다, 또는 복수의 층들 마다 하나씩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t least one vehicle comprises:
In normal use, an evacu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one is located on each floor, on every even or odd number of floors, or on each of a plurality of floor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탑승장치들은,
비상시에 상기 건물의 하부로 모두 하강하는 경우, 지면으로부터 적층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at least one vehicle comprises:
Evacu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 case of all desce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in an emergency, it is stacked from the ground.
KR1020200018435A 2020-02-14 2020-02-14 Box type carrier and evacuating system having the box type carrier KR1024223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435A KR102422366B1 (en) 2020-02-14 2020-02-14 Box type carrier and evacuating system having the box type c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435A KR102422366B1 (en) 2020-02-14 2020-02-14 Box type carrier and evacuating system having the box type carr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806A KR20210103806A (en) 2021-08-24
KR102422366B1 true KR102422366B1 (en) 2022-07-20

Family

ID=77507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435A KR102422366B1 (en) 2020-02-14 2020-02-14 Box type carrier and evacuating system having the box type carr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36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812B1 (en) * 2006-01-12 2007-07-12 김기종 An salvager ladder using a handrail of a balcony
KR101049008B1 (en) * 2008-12-19 2011-07-12 조항민 Balcony Emergency Escape Device in High Rise Building
KR101782139B1 (en) * 2017-06-16 2017-10-12 주식회사 에스엠텍 Fire and disaster escaping system in a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984B1 (en) 2016-12-16 2018-09-17 강성순 Elevators for emergency evacuation of high-rise buildings
KR101976476B1 (en) 2018-03-02 2019-05-10 백명국 Eleavting device to prevent disasters such as fi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812B1 (en) * 2006-01-12 2007-07-12 김기종 An salvager ladder using a handrail of a balcony
KR101049008B1 (en) * 2008-12-19 2011-07-12 조항민 Balcony Emergency Escape Device in High Rise Building
KR101782139B1 (en) * 2017-06-16 2017-10-12 주식회사 에스엠텍 Fire and disaster escaping system in a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806A (en) 202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867B1 (en) Fire Evacuation Device For High-Rise Buildings
EP3819249A1 (en) Elevator car
KR0128483B1 (en) Automatically high-raised parking system
JP2015135029A (en) Elevator type parking device
KR102422366B1 (en) Box type carrier and evacuating system having the box type carrier
JP6868511B2 (en) Evacuation device
CN112723084B (en) Rescue facility for handling emergency stop fault of elevator
JP6422570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6284324B2 (en) Elevator parking system
JP2017066809A (en) Vehicle jumping-in preven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6868510B2 (en) Evacuation device
JP4454765B2 (en) elevator
JP2018155029A (en) Mechanical park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968030B2 (en) Elevator car safety fence
JP6868509B2 (en) Evacuation device
KR102264813B1 (en)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JP7224532B2 (en) elevator pit ladder equipment
JP6058710B2 (en) Elevator equipment
JP2010030725A (en) Elevator system
JP3545554B2 (en) Self-propelled tandem elevator parking system
KR102555218B1 (en) Safety handrail for construction with evacuation function
JP2829751B2 (en) Parking device with tray storage device
JP5653134B2 (en) Simultaneous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KR101771709B1 (en) Fire-fighting building unattended lifesaving device
KR102360863B1 (en) Disaster escap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