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896B1 -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 Google Patents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896B1
KR102169896B1 KR1020200029916A KR20200029916A KR102169896B1 KR 102169896 B1 KR102169896 B1 KR 102169896B1 KR 1020200029916 A KR1020200029916 A KR 1020200029916A KR 20200029916 A KR20200029916 A KR 20200029916A KR 102169896 B1 KR102169896 B1 KR 102169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evacuation
winch
handl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9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판주
Original Assignee
나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판주 filed Critical 나판주
Priority to KR1020200029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89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8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62B1/04Single parts, e.g. faste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evacuation device, which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 edge support unit (10) coupled to an emergency evacuation hole (H) supported with a ceiling slab (S1) of a building; a profile column (20) having a column body (21) of which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edge support unit (10) and the lower end is fixed to a floor slab (S2); a lifting evacuation unit (30) coupled to the column body (21) in a liftable manner, and lifted between the inside of the edge support unit (10) and the floor slab (S2); a centrifugal brake (40)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column body (21) and generating braking force depending on rotation speed; a winch unit (50) axially coupled to the centrifugal brake (40); a main weight (60) installed in a liftable manner along the column body (21); a lifting wire (70) of which one end is fixed to the winch unit (50) to be woun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ifting evacuation unit (30); a returning wire (80) of which one end is fixed to the winch unit (50) to be woun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ain weight (60); and a guide handle unit (120) installed to be overlapped with the lifting evacuation unit (30) or to be unfolded, in order to guide such that evacuees may not collide against the inside of the edge support unit (10) during lifting. Therefore, maintenance and repair can be easily enabled.

Description

안전 대피장치{An emergency escape apparatus}Safety evacuation apparatus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본 발명은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난시 건물의 윗층에서 아래층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안전 대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evacuation device that can quickly and safely evacuate from the upper floor to the lower floor in case of a disaster.

일반적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는 화재나 지진 등의 재난 상황시 대피하기 위한 완강기를 구비하고 있다. 완강기는 창문이나 베란다 등에 설치되어 운영되며, 재난 발생시 계단이나 승강기를 사용하기 곤란할 경우, 대피자는 완강기를 통하여 외부로 비상 대피한다. In general, buildings of a certain size or larger are equipped with a stubborn machine to evacuate in case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or earthquake. The stubborn machine is installed and operated on a window or veranda, and if it is difficult to use the stairs or elevator in the event of a disaster, the evacuee must evacuate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ubborn machine.

그런데 대피자는 천천히 풀어지는 완강기 로프에 매달린 상태로 대피하여야 하기 때문에 신속한 대피가 용이하지 않고, 이에 따라 짧은 시간내에 많은 사람을 대피시키기가 어려웠다. 또한 노약자, 어린이, 여성의 경우, 체력의 한계나 고소 공포감으로 인하여 완강기 사용을 거부하는 상황이 발생되고,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하여 많은 수의 재난 사망자 및 부상자가 발생되었다.However, it was difficult for evacuees to evacuate quickly because they had to evacuate while being suspended from a slow-release stubborn rope, and as a result, it was difficult to evacuate many people within a short tim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lderly, children, and women, a situation where they refused to use stubbornly due to physical limitations or fear of heights occurred, and a large number of disaster deaths and injuries occurred due to these various reason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의 윗층에서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건물의 천정슬라브에 지지되는 비상대피홀에 결합되는 테두리지지부과, 테두리지지부와 바닥슬라브 사이에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기둥과, 지지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와이어가 감겨지는 윈치와, 와이어와 연결된 상태로 지지기둥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과, 발판이 하강한 후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윈치를 역회전시키는 태엽부를 포함하는 비상탈출장치를 개발하였고, 2012. 11. 6. 자로 등록번호 10-1200375의 비상탈출장치란 명칭으로 특허등록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that enables evacuation from the upper floor to the lower floor of the building. Thus,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support unit coupled to the emergency evacuation hole supported on the ceiling slab of the building, a pair of support pillars installed between the frame support unit and the floor slab, and the wire wound as being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illar. We developed an emergency escape device including a winch, a scaffold that is connected to a wire so that it can be lifted up and down on a support post, and a spring part that rotates the winch reversely so that the scaffold returns to its initial position after descending. As a result, a patent has been registered under the name of emergency escape device with registration number 10-1200375.

이러한 비상탈출장치에 의하여, 대피자는 발판에 탑승한 상태로 윗층에서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고, 이후 태엽부는 윈치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발판을 초기 위치로 상승 복귀시킴으로서 다른 대피자가 비상 대피할 수 있게 하였다. With such a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the evacuator can evacuate from the upper floor to the lower floor while on the scaffold, and then the mainspring rotates the winch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raise the scaffold to the initial position so that other evacuees can evacuate in an emergency. I did.

그런데 상기 비상탈출장치의 경우, 태엽부에 내장된 판스프링이 시간이 지남에 부식되어 복귀 탄성력이 저하되었고, 이 경우 태엽부는 발판을 초기 위치로 원활하게 복귀시키지 못하여 비상 상황에서 정상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the leaf spring embedded in the mainspring is corroded over time and the return elasticity is lowered. In this case, the mainspring cannot smoothly return the footrest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us the mainspring does not operate normally Occurred.

또한, 발판이 테두리지지부 표면을 기준으로 하부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비상 상황에서 대피자가 대피하는 과정에서 테두리지지부에 걸려 넘어져 2 차 부상으로 이어졌다.In addition, since the scaffold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based on the surface of the rim support, the evacuee tripped over the rim support during the evacuation process in an emergency situation, leading to secondary injuries.

그리로 아래층이나 윗층에서 화재발생시, 화염이 테두리지지부와 발판 사이의 틈새를 타고 다른 장소로 전파되었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Thus, when a fire occurs on the lower or upper flo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ame spreads to other place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rame support and the scaffol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태엽부를 사용하지 않아 시간이 지나더라도 부식에 의한 고장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정상 작동할 수 있어 용이한 유지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안전 대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failure due to corrosion even after a period of time since the mainspring is not used,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perate normally even after a long time, so it is easy to maintain. Which can enable management.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afe evacuation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대피장치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afet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건물의 천정슬라브(S1)에 지지되는 비상대피홀(H)에 결합되는 테두리지지부(10); 상단이 테두리지지부(10) 내측에 고정되고 하단이 바닥슬라브(S2)에 고정되는 기둥몸체(21)를 가지는 프로파일기둥(20); 상기 기둥몸체(21)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테두리지지부(10)의 내측과 바닥슬라브(S2) 사이에서 승강되는 승강대피부(30); 상기 기둥몸체(21)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속도에 따라 브레이킹력을 발생하는 원심브레이크(40); 상기 원심브레이크(40)에 축결합된 윈치부(50)와; 상기 기둥몸체(21)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무게추(60); 상기 윈치부(50)에 일단이 고정되어 시계 방향으로 감겨지고 타단이 상기 승강대피부(30)와 연결되는 승강와이어(70); 상기 윈치부(50)에 일단이 고정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지고 타단이 상기 메인무게추(60)와 연결되는 복귀와이어(80); 상기 승강대피부(30)를 상기 테두리지지부(10) 내측에 위치 고정시키고 있다가, 상기 승강대피부(30)에서 돌출된 페달(103)을 눌렀을 때 상기 승강대피부(30)의 위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스토퍼(100); 및 상기 승강대피부(30)에 포개어지거나 펼쳐지게 설치된 것으로서 승강도중 대피자가 상기 테두리지지부(10)의 내측에 충돌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손잡이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대피부(30)는, 대피자가 탑승하는 발판(37)에 형성된 것으로서 "U" 형상을 이루는 손잡이수용홈(38)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손잡이부(120)는, 상기 승강대피부(30)에 포개어질 때 상기 손잡이수용홈(38)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발판(37)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rame support 10 coupled to the emergency evacuation hole (H) supported on the ceiling slab (S1) of the building; A profile column 20 having a column body 21 having an upper e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rim support 10 and a lower end fixed to the floor slab S2; A lifting shelter 30 that is coupled to the column body 21 so as to be able to be lifted and lower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frame support portion 10 and the floor slab S2; A centrifugal brake 40 that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lumn body 21 and generates a braking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A winch part 50 axially coupled to the centrifugal brake 40; A main weight 60 installed to be elevating along the pillar body 21; A lifting wire 7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winch 50 and wound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ifting table 30; A return wire 8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winch part 50 and wound counterclockwis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main weight 60; To release the fixed position of the lifting evacuation part 30 when the lifting evacuation part 30 is positioned inside the rim support part 10 and the pedal 103 protruding from the lifting evacuation part 30 is pressed. A stopper for 100; And a guide handle unit 120 that is installed to be superimposed or unfolded on the elevating evacuation unit 30 so that the evacuee does not collide with the inside of the rim support unit 10 during elevating. The elevating evacuation part 30 includes a handle receiving groove 38 formed in the footrest 37 on which the evacuee is boarded and forming a "U" shape; The guide handle portion 120 is accommodated in the handle receiving groove 38 when superimposed on the lifting and lowering skin portion 30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surface of the foot plate 37;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기둥(20)은, 상기 기둥몸체(21)의 전방 모서리를 따라 길게 성형되는 봉 형태의 제1,2성형체결봉(22)(23)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대피부(30)는, 상기 제1,2성형체결봉(22)(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체결공(32a)(33a)이 형성된 제1,2슬라이더(32)(33)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file column (20) includes first and second forming fastening rods (22) (23) in the form of rods that are elongated along the front edge of the column body (21); The elevating skin 30 includes first and second sliders 32 having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32a and 33a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fastening rods 22 and 23 It includes (33).

삭제dele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손잡이부(120)는, 상기 손잡이수용홈(38) 후방측의 제1,2지지프레임(35)(36)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발판브라켓(121)과, 각각의 상기 발판브라켓(121)에 회동 가능하게 한쌍의 메인봉(122)과, 각각의 상기 메인봉(122)에서 출몰되는 한쌍의 서브봉(123)과, 각각의 상기 서브봉(123)의 양단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U' 형태를 가지는 손잡이봉(124)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handle 120 includes a pair of footrest brackets 121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35 and 36 at the rear side of the handle receiving groove 38, respectively, A pair of main rods 122, a pair of sub rods 123 protruding from each of the main rods 122, and both ends of each of the sub rods 123 so as to be rotatable to the footrest bracket 121 It includes a handle bar 124 having a'U' shape as being rotatably coupled t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손잡이부(120)는, 상기 발판브라켓(121)과 메인봉(12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봉(122)이 특정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제1각도유지관절(125)과, 상기 서브봉(122)과 손잡이봉(12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봉(124)이 특정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제2각도유지관절(126)과, 상기 서브봉(123)이 메인봉(122)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돌출유지부(127)를 포함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handle part 120 is installed between the footrest bracket 121 and the main rod 122 to allow the main rod 122 to maintain a specific angle (125). ), and a second angle maintaining joint 126 installed between the sub-bar 122 and the handle bar 124 so that the handle bar 124 maintains a specific angle, and the sub-bar 123 is the main It includes a protrusion holding part 127 that maintains a protruding state from the rod 122.

본 발명에 따르면, 윈치부(50)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 감겨지는 승강와이어(70)가 승강대피부(30)에 연결되고, 윈치부(50)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지는 복귀와이어(80)가 메인무게추(60)와 연결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태엽부와 같은 스프링 구조를 채용하지 않으면서도 대피자가 탑승한 승강대피부(30)를 하강 및 상승시킬 수 있으며, 콤팩트한 구조로 구현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wire 70 wound in a clockwise direction with one end connected to the winch part 50 is connected to the lifting table 30, and the one end connected to the winch part 50 is counterclockwise. By having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main weight 60, the return wire 80 wound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weight 60, it is possible to lower and raise the lifting and descending skin 30 on which the evacuee is boarded without employing a spring structure such as a spring, It can be implemented in a compact structure.

또한 프로파일기둥(20)을 압출 성형하여 제1,2성형체결봉(22)(23)을 형성하고, 제1,2슬라이더(32)(33)를 제1,2성형체결봉(22)(23)에 끼어 조립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이나 노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조립후 꺼덕거림이 발생되지 않아 별도의 세팅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현장에서 안전 대피장치의 설치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file column 20 is extruded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molded fastening rods 22 and 23, and the first and second sliders 32 and 33 were combined with the first and second molded fastening rods 22 and 22. 23),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assembling, and there is no need to perform separate setting work since there is no flickering after assembly,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safety evacuation device at the site. It can be dramatically lowered.

또한, 제1,2성형체결봉(22)(23)과 함께 성형되는 제1,2보호커버(24)(25)에 의하여 제1,2성형체결봉(22)(23)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최대한 보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건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시멘트나 페인트가 제1,2성형체결봉(22)(23)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간이 지나더라도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로부터 제1,2성형체결봉(22)(23)을 보호하여, 비상 상황시 승강대피부(30)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fastening rods 22 and 23 are remov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by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covers 24 and 25 formed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fastening rods 22 and 23. It can protect as much as possible, and thus prevents cement or paint from adhering to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fastening rods 22 and 23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and prevents external dust or foreign matter even after time passes.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fastening rods 22 and 23 are protected so that the lifting and descending skin 30 can be supported in an emergency situation.

도 1은 건물의 천정슬라브 및 바닥슬라브 사이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안전 대피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안전 대피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승강대피부가 프로파일기둥을 타고 승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안전 대피장치의 주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은 도 4의 VI-V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프로파일기둥과 승강대피부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3의 프로파일기둥의 상단에 설치되는 윈치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의 윈치부에 연결되는 승강와이어, 복귀와이어 및 서브복귀와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복귀와이어 및 서브복귀와이어에 의하여 연결되는 메인무게추 및 서브무게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9의 윈치부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8의 비상브레이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도 5의 스토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도 4의 승강대피부를 슬림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가이드손잡이부가 끼어지는 손잡이수용홈이 발판에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도 14의 손잡이수용홈에 가이드손잡이가 완전히 끼어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가이드손잡이부의 메인봉에서 서브봉이 연장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도 15의 가이드손잡이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도 1의 천정슬라브에 위치된 승강대피부에 포개어진 방화덮개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측으로 비스듬하게 열리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도 17의 방화덮개가 열릴 때 작동되는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side view of the safety evacu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between the ceiling slab and the floor slab of a building,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afety evacuation device of Figure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lifting shelter skin of FIG. 2 is elevated by riding a profile column;
5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main part of the safety evacuation device of FIG. 3;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4;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ile column of Figure 6 and the lifting shelter,
Figure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inch portion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profile column of Figure 3;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fting wire, a return wire and a sub return wire connected to the winch of FIG. 8;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main weight and a sub weight connected by the return wire and the sub return wire of FIG. 9;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by extracting the winch of FIG. 9;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ergency brake of FIG. 8;
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opper of FIG. 5;
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a handle receiving groove into which a guide handle is inserted is formed on a foot plate in order to implement a slim lifting table of FIG. 4;
15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guide handle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handle receiving groove of FIG. 14;
1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extending the sub-bar from the main bar of the guide handle portion of FIG. 15;
17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uide handle of FIG. 15;
18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fire cover superimposed on the elevating skin located on the ceiling slab of FIG. 1 is opened obliquely to the rear side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1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witch operated when the fire cover of FIG. 17 is open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대피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safet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hat is described as "top" or "top" may include not only those directly above by contact, but also those above non-contact.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h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도 1은 건물의 천정슬라브 및 바닥슬라브 사이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안전 대피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전 대피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승강대피부가 프로파일기둥을 타고 승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안전 대피장치의 주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또, 도 6은 도 4의 VI-VI'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프로파일기둥과 승강대피부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ide view of the safety evacu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between the ceiling slab and the floor slab of a buildin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afety evacuation device of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And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elevation evacuation unit of FIG. 2 is elevated by riding the profile column, and 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main part of the safety evacuation device of FIG. 3. In addi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4, and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ile column of FIG. 6 and the lifting shelter.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대피장치는, 화재나 지진 등의 재난이 발생될 때 여러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윗층에서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건물의 천정슬라브(S1)에 형성되는 비상대피홀(H)을 통하여 바닥슬라브(S2)로 대피자의 피난을 안내한다. The safety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ergency evacuation hole (H) formed in the ceiling slab (S1) of the building so that when a disaster such as a fire or an earthquake occurs, an upper floor of a multi-story building can be evacuated to the lower floor. Guide evacuation of the evacuee to the floor slab (S2) through.

이러한 안전 대피장치는, 건물의 천정슬라브(S1)에 지지되는 비상대피홀(H)에 결합되는 테두리지지부(10)와; 상단이 테두리지지부(10) 내측에 고정되고 하단이 바닥슬라브(S2)에 고정되는 기둥몸체(21)를 가지는 프로파일기둥(20)과; 기둥몸체(21)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테두리지지부(10)의 내측과 바닥슬라브(S2) 사이에서 승강되는 승강대피부(30)와; 기둥몸체(21)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속도에 따라 브레이킹력을 발생하는 원심브레이크(40)와; 원심브레이크(40)에 축결합된 윈치부(50)와; 기둥몸체(21)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무게추(60)와; 윈치부(50)에 일단이 고정되어 시계 방향으로 감겨지고 타단이 승강대피부(30)와 연결되는 승강와이어(70)와; 윈치부(50)에 일단이 고정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지고 타단이 메인무게추(60)와 연결되는 복귀와이어(80)와; 승강와이어(70)와 승강대피부(30)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와이어(70)가 끊어질 때 승강대피부(30)가 프로파일기둥(20)에서 하강하지 못하게 위치 고정시키는 비상브레이크(90)와; 승강대피부(30)를 테두리지지부(10) 내측에 위치 고정시키고 있다가, 상기 승강대피부(30)에서 돌출된 페달(103)을 눌렀을 때 승강대피부(30)의 위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스토퍼(100)와; 하강하는 승강대피부(30)가 바닥슬라브(S2)에 안착될 때 상기 승강대피부(30)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쇽업쇼버(110)와; 승강대피부(30)에 포개어지거나 펼쳐지게 설치된 것으로서 승강도중 대피자가 테두리지지부(10)의 내측에 충돌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손잡이부(120)와; 가이드손잡이부(120)가 승강대피부(30)에 포개졌을 때 테두리지지부(10)를 덮는 방화덮개(130)와; 방화덮개(130)를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테두리지지부(10)의 반대측으로 회동되게 지지하는 덮개회동지지부(140)와; 방화덮개(130)가 회동될 때 작동하는 덮개개방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150);를 포함한다. Such a safety evacuation device includes an edge support portion 10 coupled to the emergency evacuation hole H supported by the ceiling slab S1 of the building; A profile column 20 having a column body 21 having an upper e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rim support 10 and a lower end fixed to the floor slab S2; As being coupled to the pillar body 21 to be elevating, the elevating skin 30 is elevat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frame support 10 and the floor slab S2; A centrifugal brake 40 that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lumn body 21 and generates a braking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A winch part 50 axially coupled to the centrifugal brake 40; A main weight 60 installed to be elevating along the column body 21; A lifting wire 7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winch part 50 and wound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ifting table 30; A return wire 8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winch 50 and wound counterclockwis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main weight 60; An emergency brake (90) installed between the lifting wire (70) and the lifting belt (30) to fix a position so that the lifting belt (30) is prevented from descending from the profile column (20) when the lifting wire (70) is disconnected; A stopper for releasing the fixed position of the lift skin 30 when the pedal 103 protruding from the lift skin 30 is pressed while fixing the position of the lift skin 30 inside the rim support 10 100) and; A shock absorber 110 that absorbs the impact applied to the lifting and lowering skin 30 when the descending lifting and lowering skin 30 is seated on the floor slab S2; A guide handle 120 which is installed to be superimposed or unfolded on the elevating skin 30 so that the evacuator does not collide with the inside of the rim support 10 during elevating; A fire protection cover 130 that covers the edge support 10 when the guide handle 120 is superimposed on the elevating skin 30; A cover rotation support part 140 for supporting the fire cover 130 to be rota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rame support part 10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It includes; a switch 150 for generating a cover open signal that operates when the fire cover 130 is rotated.

여기서, 윈치부(50)에 감겨지는 방향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이라 함은, 감겨지는 방향이 다름을 의미하는 것이다. Here,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nch part 50 is wound i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means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nch unit 50 is wound is different.

테두리지지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태를 가지며, 천정슬라브(S1)의 비상대피홀(H1)에 고정된다. The frame support 10, as shown in FIG. 1, has a generally rectangular shape, and is fixed to the emergency evacuation hole H1 of the ceiling slab S1.

프로파일기둥(20)은,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몸체(21)의 전방 모서리를 따라 길게 성형되는 봉 형태의 제1,2성형체결봉(22)(23)과, 기둥몸체(21)를 따라 길게 성형되는 것으로서 제1,2성형체결봉(22)(23)을 이격되게 감싸며 전방측으로 제1,2레일홈(24a)(25a)이 형성된 제1,2보호커버(24)(25)와, 기둥몸체(21) 내측에 성형되는 기둥홀(26)과, 기둥몸체(21)의 측부에 성형되는 가이드레일홈(27)과, 제1보호커버(24)의 측부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브레이크레일(28)을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파일기둥(20)은 알루미늄을 압출 성형함으로써 제작되고,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된다. Profile column 20,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first and second forming fastening rods 22 and 23 in the form of a rod that is formed long along the front edge of the column body 21, and the column body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covers 24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rail grooves 24a and 25a formed in the front side by covering the first and second forming fastening rods 22 and 23 as being formed long along (21). ) (25), the pillar hole 26 formed inside the pillar body 21, the guide rail groove 27 formed on the side of the pillar body 21, and the side of the first protective cover 24 It includes a brake rail 28 formed to protrude along. This profile column 20 is manufactured by extrusion molding aluminum, and is used after cutting to a required length.

제1,2성형체결봉(22)(23)은 기둥몸체(21)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봉 형태를 가진다. 제1,2성형체결봉(22)(23)은 프로파일기둥(20)을 압출 성형할 때 기둥몸체(21)의 전방 모서리 양측에 한 몸체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제1,2성형체결봉(22)(23)은 자연스럽게 동일한 간격을 가지면서 고도로 정밀한 평탄도를 가지게 형성되며, 따라서 제1,2성형체결봉(22)(23)에 결합되는 후술할 제1,2슬라이더(33)(34)는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이동 도중에 꺼덕거림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fastening rods 22 and 23 have a rod shape protruding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column body 21.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fastening rods 22 and 23 are formed as one body on both sides of the front edge of the column body 21 when the profile column 20 is extruded, and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fastening rods ( 22) (23) are naturally formed to have the same spacing and highly precise flatness, and thus the first and second sliders 33, 3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fastening rods 22 and 23. ) Enables smooth sliding movement and no flickering during movement.

제1,2보호커버(24)(25)는 제1,2레일홈(24a)(25a)을 제외하고 제1,2성형체결봉(22)(23)을 감싼다. 제1,2보호커버(24)(25)는 건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시멘트나 페인트가 제1,2성형체결봉(22)(23)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간이 지나더라도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로부터 제1,2성형체결봉(22)(23)을 보호한다. 여기서, 제1,2레일홈(24a)(25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피부의 제1,2슬라이더(32)(33)가 출입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covers 24 and 25 surround the first and second forming fastening rods 22 and 23 except for the first and second rail grooves 24a and 25a.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covers 24 and 25 prevent cement or paint from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fastening rods 22 and 23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building. It protects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fastening rods 22 and 23 from dust or foreign matter. Here, the first and second rail grooves 24a and 25a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sliders 32 and 33 of the lift evacuation portion enter and exit, as shown in FIG. 7.

가이드레일홈(27)은 기둥몸체(21)의 측부를 따라 형성되고, 후술할 메인무게추(60)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함과 동시에 승강 도중에 흔들리거나 기둥몸체(21)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한다. The guide rail groove 27 is formed along the side of the column body 21, guides the main weight 6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it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hakes during the elevation or separated from the column body 21 Prevent it from becoming.

승강대피부(3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보호커버(24)(25) 내주면과 이격된 것으로서 제1,2성형체결봉(22)(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체결공(32a)(33a)이 형성된 제1,2슬라이더(32)(33)와, 제1,2슬라이더(32)(33)와 결합되는 슬라이더지지블럭(34)과, 슬라이더지지블럭(34)에 고정되어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2지지프레임(35)(36)과, 제1,2지지프레임(35)(36)에 거치되어 지지되는 것으로서 대피자가 탑승하는 발판(37)과, 발판(38)에 형성되는 손잡이수용홈(38)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lifting skin 30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covers 24 and 25, and slides on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fastening rods 22 and 23. The first and second sliders 32 and 33 with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32a and 33a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slider support block 34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liders 32 and 33 ),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35 and 36 that are fixed to the slider support block 34 and extend to the front side, and are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35 and 36. It includes a footrest 37 to board and a handle receiving groove 38 formed in the footrest 38.

제1,2슬라이더(32)(33)는 제1,2레일홈(24a)(25a)을 통과한 후 제1,2보호커버(24)(25) 내주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제1,2성형체결봉(22)(23)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러한 제1,2슬라이더(32)(33)에는 원통형태의 제1,2체결공(32a)(33a)이 형성되어 봉 형태를 이루는 제1,2성형체결봉(23)(23)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이에 따라 승강대피부(30)는 프로파일기둥(20)을 따라 부드럽게 승강된다. 이때, 제1,2체결공(32a)(33a) 내주면에 베어링이 내장됨으로서 제1,2슬라이더(32)(33)는 제1,2성형체결봉(22)(23)을 따라 더욱 부드럽게 승강 이동될 수 있다.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ail grooves 24a and 25a, the first and second sliders 32 and 33 are separat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covers 24 and 25. It is slidably coupled to the molded fastening rods 22 and 23. These first and second sliders 32 and 33 are formed with cylindrical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32a and 33a to slide on the first and second molded fastening rods 23 and 23 forming a rod shape. It is coupled, and accordingly, the lifting table 30 is smoothly elevated along the profile column 20. At this time, as bearings are built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32a, 33a, the first and second sliders 32 and 33 are more smoothly lifted along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fastening rods 22 and 23. Can be moved.

발판(37)은 슬라이더지지블럭(34)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2지지프레임(35)(36)에 설치된다. 이때 발판(37)에는 대피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다수의 엠보싱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The footrest 37 is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35 and 36 extending to the front side of the slider support block 34. At this time, a plurality of embossing patterns are formed on the scaffold 37 to prevent the evacuee from slipping.

손잡이수용홈(38)은, 도 4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37)의 표면에서 "U" 형태로 몰입된 채널을 형성한다. 이러한 손잡이수용홈(38)에는 후술할 가이드손잡이부(120)가 발판(37)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수용된다. 이러한 손잡이수용홈(38)에 의하여 구현되는 승강대피부(30)는 슬림하게 구현될 수 있게 된다. The handle receiving groove 38 forms a channel immersed in a "U" shape on the surface of the footrest 37, as shown in FIGS. 4 and 14. In this handle receiving groove 38, the guide handle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accommodated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surface of the foot plate 37. The lifting table 30 implemented by the handle receiving groove 38 can be implemented slim.

상기 프로파일기둥(20) 및 승강대피부(30)에 있어서, 제1,2성형체결봉(22)(23)은 프로파일기둥(20)이 압출성형에 따라 성형되는 것이기 때문에 고도로 정밀한 평탄도를 가지게 되고, 이러한 제1,2성형체결봉(22)(23)에 제1,2슬라이더(32)(33)가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1,2슬라이더(32)(33)는 프로파일기둥(20)을 따라 승강될 때 부드러운 승강 이동은 물론 꺼덕거림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승강대피부(30)에 탑승한 대피자는 하강 도중에 불안함을 느끼지 않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In the profile column 20 and the lifting table 30,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fastening rods 22 and 23 have a highly precise flatness because the profile column 20 is molded according to extrusion molding. , Since the first and second sliders 32 and 33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orming fastening rods 22 and 23, the first and second sliders 32 and 33 are profile pillars 20. When ascending or descending along the path, smooth lifting movement as well as no flickering occurs. Accordingly, the evacuee boarding the elevating evacuation unit 30 can safely evacuate without feeling anxious during descent.

또한, 프로파일기둥(20)에 형성된 제1,2보호커버(24)(25)는 제1,2성형체결봉(22)(23)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상당 부분 감쌈에 따라, 건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시멘트나 페인트가 제1,2성형체결봉(22)(23)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간이 지나더라도 먼지나 이물질이 제1,2성형체결봉(22)(23)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시간이 지나더라도 제1,2성형체결봉(22)(23)의 표면은 평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언제든지 승강대피부(30)를 안전하게 승강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covers 24 and 25 formed on the profile column 20 are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building by wrapping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fastening rods 22 and 23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Prevents cement or paint from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fastening rods 22, 23, and dust or foreign matter adheres to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fastening rods 22 and 23 even after time passes. Prevent it from becoming. Accordingly, even if time elapses,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fastening rods 22 and 23 can be maintained in a flat state, so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skin 30 can be safely lifted and supported at any time.

원심브레이크(40)는, 브레이크드럼의 내부에 윈치부(50)와 축결합되어 원심력에 브레이크드럼 측으로 움직이는 브레이크슈 어셈블리가 내장된 구조를 가지며, 윈치부(50)의 회전속도에 연동되어 윈치부(50)가 천천히 회전되도록 브레이킹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원심브레이크(55)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centrifugal brake 40 has a structure in which a brake shoe assembly that is axially coupled with the winch part 50 inside the brake drum and moves toward the brake drum by centrifugal force is built in, and is linked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inch part 50 to (50) provides a braking force so that it rotates slowly. Since the centrifugal brake 55 is a configuration generally used in the art,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쇽업쇼버(110)는, 승강대피부(30)가 바닥슬라브(S2)까지 완전히 하강하였을 때 발판(37)으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쇽업쇼버(110)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shock absorber 110 is for absorbing a shock applied to the footrest 37 when the lifting and lowering skin 30 is completely lowered to the floor slab S2. Since the shock absorber 110 is a general configuration in the art,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윈치부(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브레이크(40)와 축결합된 제1윈치(51)와, 제1윈치(51)에서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직경을 가지는 제2윈치(52)와, 제2윈치(52)에서 연결된 제3윈치(53)를 포함한다. 즉, 윈치부(50)는 큰 직경의 제1윈치(51)와 작은 직경의 제3윈치(53) 사이에 경사면이 형성된 제2윈치(52)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1윈치(51)의 직경은 15cm 내외일 경우라고 가정할 경우, 제3윈치(53)의 직경은 10cm 내외가 될 것이다. 이러한 제1,2,3윈치(51)(52)(53)의 표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승강와이어(70) 및 복귀와이어(80)가 겹치지 않고 다수회 감겨질 수 있다. The winch part 50, as shown in FIG. 5, has a first winch 51 axially coupled with the centrifugal brake 40, and a second winch having a diameter continuously decreasing from the first winch 51 ( 52) and a third winch 53 connected by the second winch 52. That is, the winch part 50 has a structure connected by a second winch 52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med between the first winch 51 having a large diameter and the third winch 53 having a small diameter.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diameter of the first winch 51 is about 15 cm, the diameter of the third winch 53 will be about 10 cm. Spiral grooves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winches 51, 52, 53, and accordingly, the lifting wire 70 and the return wire 80 can be wound multiple times without overlapping.

메인무게추(60)는 기둥몸체(21)에 형성된 가이드레일홈(27)을 따라 승강된다. 이때 메인무게추(60)가 승강도중에 흔들리지 않고 부드럽게 승강되도록 하기 위하여, 메인무게추(60)의 측부에는 기둥몸체(21) 측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홈(27)을 따라 베어링 운동하는 가이드베어링(61)이 설치된다. The main weight 60 is elevated along the guide rail groove 27 formed in the column body 21. At this time, in order to ensure that the main weight 60 is not shaken during ascent and descends smoothly, a guide bearing 61 bearing motion along the guide rail groove 27 formed on the side of the column body 21 at the side of the main weight 60 ) Is installed.

승강와이어(70)는 윈치부(50), 엄밀하게는 큰 직경의 제1윈치(51)에 일단이 고정되고 시계 방향으로 감겨진 후 타단이 승강대피부(30)와 연결된다. 복귀와이어(80)는 윈치부(50), 엄밀하게는 제1윈치(51)에 일단이 고정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진 후 타단이 메인무게추(60)와 연결된다. 즉, 승강와이어(70)와 복귀와이어(80)의 일단은 제1윈치(51)에 고정된 상태에서 승강와이어(70)는 시계방향으로, 그리고 복귀외어어(80)는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지는 것이다. One end of the lifting wire 70 is fixed to the winch part 50, and strictly, the first winch 51 having a large diamete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ifting table 30 after being wound in a clockwise direction. One end of the return wire 80 is fixed to the winch part 50, and strictly, the first winch 51 is wound counterclockwis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ain weight 60. That is, while one end of the lifting wire 70 and the return wire 80 is fixed to the first winch 51, the lifting wire 70 is wound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the return foreign gear 80 is wound counterclockwise. It is to lose.

이러한 연결 구조에 의하여, 윈치부(50)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승강와이어(70)와 복귀와이어(80) 중 어느 하나는 상승하고 나머지는 하강한다. 이때, 승강와이어(70)와 복귀와이어(80)의 일단은 윈치부(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지므로, 윈치부(50)의 회전시 승강와이어(70) 및 복귀와이어(80)는 윈치부(50)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한다. By this connection structure,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nch part 50 is rotated, one of the lifting wire 70 and the return wire 80 rises and the other descends. At this time, since one end of the lifting wire 70 and the return wire 80 is wound in a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ile being fixed to the winch part 50, the lifting wire 70 and the The return wire 80 prevents the winch part 50 from spinning.

만약, 승강와이어(70)와 복귀와이어(80)가 한 몸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윈치부(50)에 여러번 감겨지는 형태의 경우, 윈치부(50)가 갑자기 회전하거나 승강대피부(30)에 체중이 무거운 대피자가 탑승하였을 때 윈치부(50) 표면과 승강 및 복귀와이어(70)(80) 사이에서 미끄럼 현상이 발생되어 헛돌수 있다. 따라서 헛도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와이어(70) 및 복귀와이어(80)의 일단이 윈치부(50)에 고정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If the lifting wire 70 and the return wire 80 are connected as one body and wound around the winch part 50 several times, the winch part 50 suddenly rotates or the weight of the lifting table 30 When a heavy evacuator is boarded, a slip phenomenon occurs between the surface of the winch part 50 and the lifting and return wires 70 and 80, and thus it may turn away.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hat one end of the lifting wire 70 and the return wire 80 is fixed to the winch part 50 in order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being idle.

윈치부(50)가 제1,2,3윈치(51)(52)(53)를 가짐에 따라, 윈치부(50)의 회전축에 인가되는 토크가 가변된다. 예를 들면, 복귀와이어(80)가 큰 직경의 제1윈치(51)에서 풀어질 때 윈치부(50)의 회전축에 인가되는 토크는 가장 크고, 작은 직경의 제3윈치(53)에서 풀어질 때 윈치부(50)의 회전축에 인가되는 토크는 가장 작다. 이는, 복귀와이어(80)가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위치에 따라 토크의 크기가 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As the winch part 50 has the first, second, and third winches 51, 52, and 53, the torque appli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winch part 50 is varied. For example, when the return wire 80 is released from the first winch 51 having a large diameter, the torque appli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winch unit 50 is the largest and will be released from the third winch 53 having a small diameter. At this time, the torque appli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winch 50 is the smallest. This means that the magnitude of the torque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return wire 80 is wound or unwound.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대피자가 탑승하여 승강대피부(30)가 바닥슬라브(S2)로 하강하였을 때 메인무게추(60)는 프로파일기둥(20)의 상부측으로 이동하고, 이후 메인무게추(60)의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면서 승강대피부(30)를 초기 위치로 상승시킨다. 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main weight 60 moves to the upper side of the profile column 20 when the evacuator boards and the lift evacuation part 30 descends to the floor slab S2, and then the main weight 60 ) As it descends by its own weight and raises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skin 30 to the initial position.

이때, 메인무게추(60)가 프로파일기둥(20)의 상부측에서 하강하는 초기 시점에서 복귀와이어(80)는 제1윈치(51)로부터 풀어지고, 이때 토크는 가장 크기 때문에 메인무게추(60)는 빠르게 하강하고, 이에 따라 승강대피부(30)는 빠르게 상승한다. At this time, the return wire 80 is released from the first winch 51 at the initial time when the main weight 60 descends from the upper side of the profile column 20, and at this time, since the torque is the largest, the main weight 60 ) Descends quickly, and accordingly, the elevating skin 30 rises rapidly.

이후, 메인무게추(60)가 프로파일기둥(20)의 중간측을 지나는 시점에서, 복귀와이어(80)는 경사면이 형성된 제2윈치(52)를 지나면서 풀어지고, 이 과정에서 토크가 점점 작아지기 때문에 메인무게추(60)는 점차로 천천히 하강한다. 이 경우, 승강대피부(30)의 상승 속도는 점차로 작아진다. Thereafter, when the main weight 60 passes through the middle side of the profile column 20, the return wire 80 is released passing through the second winch 52 on which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and the torque gradually decreases in this process. Because it loses, the main weight 60 gradually descends slowly. In this case, the ascending speed of the lifting table 30 gradually decreases.

그리고 메인무게추(60)가 프로파일기둥(20)의 하부측을 지나는 시점에서, 복귀와이어(80)는 제3경사윈치(53)를 지나면서 풀어지고, 이 과정에서 토크가 가장 작아지기 때문에 메인무게추(60)는 천천히 하강한다. 이 경우, 승강대피부(30)의 상승 속도를 가장 작아지게 된다. And when the main weight 60 passes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profile column 20, the return wire 80 is released as it passes through the third inclined winch 53, and the torque becomes the smallest during this process. The weight 60 slowly descends. In this case, the ascending speed of the lifting table 30 becomes the smallest.

즉, 복귀와이어(80)가 제1윈치(51)에서 제3윈치(53)로 이동하면서 풀어지는 과정에서 변화되는 토크에 의하여 메인무게추(60)의 하강속도가 점차로 작아지고, 이에 연동하여 승강대피부(30)의 상승속도는 바닥슬라브(S2)에서 상승할 때 가장 크고 천정슬라브(S1)에 접근할수록 점차로 작아지는 것이다. That is, as the return wire 80 moves from the first winch 51 to the third winch 53, the lowering speed of the main weight 60 gradually decreases due to the torque that is changed in the process of being released. The ascending speed of the lifting table skin 30 is greatest when ascending from the floor slab (S2) and gradually decreases as it approaches the ceiling slab (S1).

이러한 작동 메커니즘은 대피자가 승강대피부(30)에 탑승한 상태에서 하강할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이에 따라 승강대피부(30)에 탑승한 대피자는 초기에 빠르게 하강하다가 천천히 하강되게 되어 바닥슬라브(S2) 측에서 충격에 의하여 대피자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승강대피부(30)가 천정슬라브(S1) 측의 초기 위치로 복귀할 때 초기에 빠르게 상승하다가 천정슬라브측에서 천천히 하강하게 되어 충돌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This operating mechanism is applied in the same way when the evacuator descends from the state in which the evacuation unit 30 is mounted, and accordingly, the evacuee boarding the evacuation unit 30 descends quickly initially and then slowly descends, so that the floor slab (S2) The evacuee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due to impact from the side. On the contrary, when the lifting shelter 30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on the ceiling slab (S1) side, it rises rapidly at the beginning and then slowly descends from the ceiling slab side, so that damage due to collision can be prevented.

도 8은 도 3의 프로파일기둥의 상단에 설치되는 윈치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윈치부에 연결되는 승강와이어, 복귀와이어 및 서브복귀와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복귀와이어 및 서브복귀와이어에 의하여 연결되는 메인무게추 및 서브무게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의 윈치부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a winch part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profile column of FIG. 3, and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fting wire, a return wire, and a sub return wire connected to the winch of FIG. 8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weight and the sub weight connected by the return wire and the sub return wire of FIG. 9, and 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by extracting the winch of FIG. 9.

윈치부(50)는, 원심브레이크(40)와 제1윈치(51) 사이에서 기둥홀(26) 상부측에 위치되는 서브윈치(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와이어(70)의 일단이 서브윈치(55)의 고정단(CP)에 고정된 후 시계 방향으로 감겨져 타단이 승강대피부(30)와 연결되고, 복귀와이어(80)와 별도 구성인 서브복귀와이어(85)의 일단이 고정단(CP)에 고정된 후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져 타단이 메인무게추(60)와 별도 구성인 서브무게추(65)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서브복귀와이어(85)는 일단이 서브윈치(55)에 고정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진 후 서브무게추(65)에 연결되고, 복위와이어(80)는 제1,2,3윈치(51)(52)(53)에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진 후 메인무게추(60)에 연결되는 것이다.The winch unit 50 may further include a sub-winch 55 positioned at an upper side of the column hole 26 between the centrifugal brake 40 and the first winch 51. 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10 and 11, one end of the lifting wire 70 is fixed to the fixed end CP of the sub-winch 55 and then wound in a 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ifting table 30 Then, one end of the sub return wire 85, which is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return wire 80, is fixed to the fixed end (CP) and then woun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other end is a sub weight (which is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main weight 60). 65). That is, the sub return wire 85 has one end fixed to the sub winch 55 and woun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n connected to the sub weight 65, and the return wire 80 includ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winches ( It is connected to the main weight 60 after being wound around 51) 52 and 53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서브무게추(65)는 기둥몸체(21)의 기둥홀(26) 내부에서 승강되며, 이에 따라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승강된다. The sub weight 65 is raised and lowered inside the pillar hole 26 of the pillar body 21, and thus is safely raised and lowered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이러한 구조일 경우에, 승강대피부(30)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메인무게추(60) 뿐만 아니라 서브무게추(65)를 추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층고가 5m 이상 높은 상태에서 천정슬라브(S1)와 바닥슬라브(S2) 사이에 본 발명의 안전 대피장치를 설치할 때, 메인무게추(60)에 서브무게추(65)에 무게를 추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승강대피부(30)를 높이 상승시킬 수 있다. In the case of such a structure, it is possible to add a sub weight 65 as well as the main weight 60 in order to elevate the elevating skin 30. Accordingly, when the safety evacu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ceiling slab (S1) and the floor slab (S2) in a state where the floor height is 5m or more, weight is added to the sub weight 65 to the main weight 60. It can,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aise the height of the lifting table 30.

도 12는 도 8의 비상브레이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ergency brake of FIG.

비상브레이크(90)는 승강와이어(70)가 끊어질 때 승강대피부(30)가 프로파일기둥(20)에서 하강하지 못하게 위치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비상브레이크(90)는, 승강대피부(30)의 슬라이더지지블럭(34)에 설치되는 힌지축(91)에 힌지결합된 것으로서 일측단에 제1보호커버(24) 측에 형성된 브레이크레일(28)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브레이크패드(92a)가 설치된 브레이크레버(92)와, 브레이크레버(92) 상부측의 슬라이더지지블럭(34)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부측으로 관통된 가이드공이 형성된 가이드브라켓(93)과, 가이드브라켓(93)을 관통하여 승강와이어(7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브레이크레버(92)를 지지되는 브레이크작동로드(94)와, 브레이크작동로드(94)에 끼어져 브레이크패드(92a)가 제1성형체결봉(22) 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95)을 포함한다. The emergency brake 90 is to fix the position so that the lifting surface 30 is not lowered from the profile column 20 when the lifting wire 70 is cut off. Such an emergency brake 90 is hinged to a hinge shaft 91 installed on the slider support block 34 of the lifting surface 30, and a brake rail 28 formed on the first protective cover 24 side at one end. ) And a guide bracket that is fixed to the slider support block 34 on the upper side of the brake lever 92 and has a guide hole penetrating to the upper side ( 93) and the brake operating rod 94 that penetrates the guide bracket 93 and is connected to the lifting wire 70, which supports the brake lever 92, and the brake pad ( 92a) includes a spring 95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it is moved toward the first molding fastening rod 22.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승강와이어(70)가 브레이크작동로드(94)와 연결된 상태에서는, 승강대피부(30)의 무게에 의하여 브레이크작동로드(94)가 브레이크레버(92)를 회동시켜 브레이크패드(92a)가 브레이크레일(28)에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이에 따라 승강대피부(30)는 전술한 승강 동작이 가능하다. With this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wire 70 is connected to the brake actuating rod 94, the brake actuating rod 94 rotates the brake lever 92 by the weight of the lifting table 30 so that the brake pad 92a ) Keeps the state separated from the brake rail 28, and accordingly, the elevating skin 30 is capable of the above-described elevating operation.

그러나 어떤 원인에 의하여 승강와이어(70)가 끊어질 경우, 스프링(95)의 탄성력에 의하여 브레이크레버(92)는 힌지축(91)을 축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패드(92a)가 브레이크레일(28)에 밀착되면서 승강대피부(30)는 더 이상 승강되지 않고 위치 고정된다. However, when the lifting wire 70 is broken for some reason, the brake lever 92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bout the hinge shaft 9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95, and accordingly, the brake pad 92a A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rake rail 28, the elevating skin 30 is no longer elevated and fixed in position.

도 13은 도 5의 스토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opper of FIG. 5.

스토퍼(100)는 승강대피부(30)를 테두리지지부(10) 내측에 위치 고정시키고 있다가, 상기 승강대피부(30)에서 돌출된 페달(103)을 눌렀을 때 승강대피부(30)의 위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스토퍼(100)는, 기둥몸체(21)의 상부 양측에서 돌출되게 고정되는 스토퍼홈(101)과, 승강대피부(30)에 스토퍼홈(101)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토퍼홈(101)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스토퍼걸쇄(102)와, 승강대피부(30)에 탑승한 대피자의 발에 의하여 눌려지는 페달(103)과, 페달(103)이 눌리어질 때 스토퍼걸쇄(102)를 스토퍼홈(101)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동시키는 스토퍼홈분리부(104)를 포함한다. The stopper 100 fixes the position of the elevating skin 30 to the inside of the rim support 10, and when the pedal 103 protruding from the elevating skin 30 is pressed, the position of the elevating skin 30 is fixed. To release. Such a stopper 100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toward the stopper groove 101 side of the stopper groove 101, which is fix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both sides of the column body 21, the lifting table 30, the stopper groove 101 The stopper hook 102 is selectively walked, the pedal 103 pressed by the feet of the evacuee boarding the lifting and descending skin 30, and the stopper hook 102 when the pedal 103 is pressed into the stopper groove It includes a stopper groove separating portion 104 for moving so as to be separated from 101.

이러한 스토퍼(100)에 의하여, 스토퍼걸쇄(102)가 스토퍼홈(101)에 걸치어진 상태에서는 승강대피부(30)가 테두리지지부(10) 내측에 위치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대피자가 승강대피부(30)에 탑승하여 페달(123)을 누르면 스토퍼홈분리부(104)가 스토퍼걸쇄(102)를 스토퍼홈(101)로부터 분리시키고, 이 상태에서 승강대피부(30)는 프로파일기둥(20)을 따라 하강한다. By such a stopper 100, in the state where the stopper hook 102 is hung on the stopper groove 101, the elevating skin 30 is positioned inside the rim support 10, and in this state, the evacuator is placed on the elevating skin 30 ) And press the pedal 123, the stopper groove separating unit 104 separates the stopper hook 102 from the stopper groove 101, and in this state, the lifting evacuation unit 30 descends along the profile column 20 do.

도 14는 도 4의 승강대피부를 슬림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가이드손잡이부가 끼어지는 손잡이수용홈이 발판에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손잡이수용홈에 가이드손잡이가 완전히 끼어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16은 도 15의 가이드손잡이부의 메인봉에서 서브봉이 연장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7은 도 15의 가이드손잡이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a handle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guide handle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foot plate in order to implement the lifting table of FIG. 4 slim, and FIG. 15 is a state in which the guide handle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handle receiving groove of FIG. It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nd FIG. 1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extending the sub-bar from the main rod of the guide handle of FIG. 15, and FIG. 17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uide handle of FIG. 15.

가이드손잡이부(120)는 승강대피부(30)에 포개어질 때 발판(37)에 형성된 손잡이수용홈(38)에 수용됨으로써 발판(37)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손잡이부(120)는, 손잡이수용홈(38) 후방측의 제1,2지지프레임(35)(36)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발판브라켓(121)과, 각각의 발판브라켓(121)에 회동 가능하게 한쌍의 메인봉(122)과, 각각의 메인봉(122)에서 출몰되는 한쌍의 서브봉(123)과, 각각의 서브봉(123)의 양단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U' 형태를 가지는 손잡이봉(124)과, 발판브라켓(121)과 메인봉(12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봉(122)이 특정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제1각도유지관절(125)과, 서브봉(123)과 손잡이봉(12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봉(124)이 특정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제2각도유지관절(126)과, 서브봉(123)이 메인봉(122)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돌출유지부(127)를 포함한다.The guide handle portion 120 is accommodated in the handle receiving groove 38 formed on the foot plate 37 when it is superimposed on the elevating surface portion 30 so that it does not protrude to the surface of the foot plate 37. The guide handle 120 includes a pair of footrest brackets 121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35 and 36 on the rear side of the handle receiving groove 38, and each footrest bracket 121 A pair of main rods 122, a pair of sub rods 123 protruding from each of the main rods 122, and a'U'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each sub rod 123 A handle rod 124 having a shape, a first angle holding joint 125 installed between the footrest bracket 121 and the main rod 122 to allow the main rod 122 to maintain a specific angle, and a sub rod A second angle maintaining joint 126 installed between 123 and the handle rod 124 to allow the handle rod 124 to maintain a specific angle, and the sub rod 123 protruding from the main rod 122 It includes a protrusion holding portion 127 to maintain the state.

서브봉(123)은 메인봉(122)에 몰입됨으로서, 좁은 발판(37)에 형성된 손잡이수용홈(38)에 수용될 수 있도록 가이드손잡이부(120)의 크기를 축소한다. 그리고 서브봉(123)이 메인봉(122)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발판(37)에 탑승한 대피자가 일어선 상태에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가이드손잡이부(120)의 크기를 크게 한다. As the sub-bar 123 is immersed in the main bar 122, the size of the guide handle portion 120 is reduced so that it can be accommodated in the handle receiving groove 38 formed in the narrow foot plate 37. In addition, the size of the guide handle 120 is increased so that the sub-bar 123 protrudes from the main bar 122 so that the evacuee boarding the scaffold 37 can hold it by hand while standing up.

손잡이봉(124)은 'U' 형태를 가지며, 한쌍의 서브봉(123)과 연결됨으로써 대피자를 승강대피부(30)의 내측에만 위치하도록 하는 울타리를 형성한다. 이때 손잡이봉(124)에는 시각장애인에게 손잡이봉이라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점자패턴(128)이 형성되어 있다. The handle bar 124 has a'U' shape, and is connected to a pair of sub-bars 123 to form a fence that allows the evacuee to be located only inside the elevating shelter 30. At this time, a braille pattern 128 is formed on the handle bar 124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handle bar to the visually impaired.

제1각도유지관절(125)은 발판브라켓(121)과 메인봉(122) 각각에 형성된 디스크가 축결합하여 구현되고, 제2각도유지관절(126)은 서브봉(123)과 손잡이봉(124) 각각에 형성된 디스크가 축결합하여 구현된다. The first angle maintenance joint 125 is implemented by axially coupled disks formed on each of the footrest bracket 121 and the main rod 122, and the second angle maintenance joint 126 includes a sub rod 123 and a handle rod 124 ) The disks formed in each are axially coupled.

제1각도유지관절(125)의 외주면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 및 비스듬한 방향을 향하는 2 개의 제1스토퍼홈(125a)(125b)이 형성되고, 메인봉(122)에는 2 개의 제1스토퍼홈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어지는 제1스토퍼돌기(125c)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스토퍼돌기(125c)는 대피자의 조작에 의하여 메인봉(122)의 후방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제1스토퍼돌기(125c)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메인봉(122)을 회동시킨 후, 제1스토퍼돌기(125c)를 2 개중 어느 하나의 제1스토퍼홈(125a)(125b)에 결합시킴으로써 메인봉(122)을 수평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ngle maintaining joint 125, as shown in FIG. 15, two first stopper grooves 125a and 125b oriented horizontally and obliquely are formed, and the main rod 122 has 2 A first stopper protrusion 125c selectively fitted into any one of the first stopper grooves may be installed. Here, the first stopper protrusion 125c can be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rod 122 by the operation of the evacuee, and the main rod 122 is rotated while the first stopper protrusion 125c is moved to the rear side. Thereafter, by coupling the first stopper protrusion 125c to one of the two first stopper grooves 125a and 125b, the main rod 122 may be positio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an oblique direction.

또한, 제2각도유지관절(126)의 외주면에는 특정 방향을 향하는 2 개의 제2스토퍼홈(126a)(126b)이 형성되고, 손잡이봉(124)에는 2 개의 제2스토퍼홈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어지는 제2스토퍼돌기(126c)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스토퍼돌기(126c)는 대피자의 조작에 의하여 손잡이봉(124)의 후방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제2스토퍼돌기(126c)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봉(124)을 회동시킨 후, 제2스토퍼돌기(126c)를 2 개중 어느 하나의 제2스토퍼홈(126a)(126b)에 결합시킴으로서 손잡이봉(124)을 서브봉(123)을 기준으로 특정 방향으로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wo second stopper grooves 126a and 126b facing a specific direction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angle maintaining joint 126, and the handle bar 124 selectively selects any one of the two second stopper grooves. A second stopper protrusion 126c may be installed. Here, the second stopper protrusion 126c can be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handle bar 124 by the operation of the evacuee, and the handle bar 124 is rotated while the second stopper protrusion 126c is moved to the rear side. After that, by coupling the second stopper protrusion 126c to any one of the two second stopper grooves 126a and 126b, the handle bar 124 can be fixed in a specific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b-bar 123. .

돌출유지부(127)는 서브봉(123)이 메인봉(122)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으로서, 메인봉(122)의 선단측에 형성되는 제1키홈(127a)과, 서브봉(123)의 후단측에 형성되는 제2키홈(127b)과, 서브봉(123) 내측에서 제2키홈(127b)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키돌기(127c)와, 키돌기(127c)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제2키홈(127b) 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키스프링(127d)을 포함한다. The protrusion holding part 127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sub-bar 123 protrudes from the main bar 122, and includes a first key groove 127a form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main bar 122, and the sub-bar ( 123), a second key groove 127b form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sub-bar 123, a key protrusion 127c installed opposite to the second key groove 127b from the inside of the sub-bar 123, and the rear side of the key protrusion 127c It is installed and includes a key spring (127d)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ward the second key groove (127b).

한편, 돌출유지부(127)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봉(123)이 메인봉(122)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브봉(123)은 메인봉(122)에서 자연스럽게 돌출되므로, 가이드손잡이부(120)를 회동시켜 손잡이수용홈(38)에서 빠져나오게 하는 단순한 동작으로 서브봉(123)은 메인봉(122)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돌출된다. 이 경우, 대피하는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대피자가 서브봉(123)을 메인봉(122)으로부터 돌출시키기 위한 별도 조작을 하지 않아도 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6, the protrusion holding part 127 may be a spring in which the sub-rod 123 is installed between the main rods 122. In this case, since the sub-bar 123 naturally protrudes from the main bar 122, the sub-bar 123 is a simple operation of rotating the guide handle 120 to escape from the handle receiving groove 38. 122).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for the evacuee to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for protruding the sub-bar 123 from the main bar 122 in a confused situation of evacuation.

상기 구조에 의하여, 평소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봉(123)이 메인봉(122)에 몰입된 상태에서 가이드손잡이부(120)는 손잡이수용홈(38)에 끼어질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가이드손잡이부(120)는 발판(37)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대피자가 대피하는 과정에서 가이드손잡이부(120)에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가이드손잡이부(120)가 손잡이수용홈(38)에 수용됨으로써, 슬림한 발판(37)의 구현이 가능하다. Due to the above structure, as shown in FIG. 15, the guide handle part 120 can be inserted into the handle receiving groove 38 in a state in which the sub-bar 123 is immersed in the main bar 122, In this state, the guide handle 120 does not protrude to the surface of the foot plate 37.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vacuee from tripping over the guide handle 120 during the evacuation process. In particular, since the guide handle 120 is accommodated in the handle receiving groove 38, a slim footrest 37 can be implemented.

비상 대피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피자가 손잡이봉(124)을 잡고 상부측으로 잡아올려 메인봉(122) 및 서브봉(123)을 손잡이수용홈(38)으로부터 빠져나오게 하고, 이후 서브봉(123)을 메인봉(122)으로부터 잡아당긴다. In the case of emergency evacuation, as shown in FIG. 16, the evacuee grabs the handle bar 124 and pulls it up to the main bar 122 and the sub bar 123 to escape from the handle receiving groove 38, and then the sub The rod 123 is pulled out of the main rod 122.

이후, 대피자가 손잡이봉(124)을 잡고 상부측으로 잡아올리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봉(124), 서브봉(123) 및 메인봉(122)이 제1,2각도유지관절(125)(126)에 의하여 상부측으로 올라가면서 대피자가 승강대피부(30)의 내측에만 위치되도록 가이드된다. 이때, 'U' 형태인 손잡이봉(123)과 한쌍의 서브봉(123) 및 메인봉(122)은 대피자를 승강대피부(30)의 내측에만 위치하도록 하는 일종의 울타리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대피자는 하강 과정에서 테두리지지부(10)의 내주면에 부딪쳐 부상을 입는 것이 방지되고, 손잡이봉(124)을 잡고 지탱함에 따라 하강 도중 승강대피부(30)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evacuator grabs the handle bar 124 and lifts it upward, the handle bar 124, the sub-bar 123, and the main bar 122 become the first and second angle maintenance joints ( The evacuee is guided so that it is located only on the inner side of the lifting and descending skin 30 while ascending to the upper side by 125) 126. At this time, the handle bar 123 in the form of a'U' and the pair of sub-bars 123 and the main bar 122 form a kind of fence that allows the evacuee to be located only inside the elevating and evacuating portion 30. Accordingly, the evacuator is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support portion 10 during the descending process and injuries, and by holding and supporting the handle bar 124,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vacuee from falling from the elevation evacuation portion 30 during descent.

도 18은 도 1의 천정슬라브에 위치된 승강대피부에 포개어진 방화덮개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측으로 비스듬하게 열리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9는 도 17의 방화덮개가 열릴 때 작동되는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8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fire cover superimposed on the elevating surface of the ceiling slab of FIG. 1 opens obliquely to the rear side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IG. 19 is a switch operated when the fire cover of FIG. 17 is opened. It is a figure for explaining.

방화덮개(130)는 철제 재질로 되어있고, 평상시 천정슬라브(S1)에 설치되는 테두리지지부(10)를 덮음으로서 화재발생시 화염을 차단하는 방화문 역할을 하고, 대피실을 출입하는 일반인이 승강대피부(30) 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바닥 통로를 제공한다. 이때 방화덮개(130)에는 승강대피부(30)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페달(103)이 수용되는 페달커버(131)가 형성된다. The fire cover 130 is made of iron, and serves as a fire door to block flames when a fire occurs by covering the frame support 10 installed on the ceiling slab (S1). 30) Provide a floor passage so that it does not fall to the side. At this time, the fire cover 130 is formed with a pedal cover 131 accommodating the pedal 103 protru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lifting shelter 30.

덮개회동지지부(140)는 방화덮개(130)를 회동시켜 테두리지지부(10)에 밀착시키거나, 화재등의 비상시에 테두리지지부(10)를 개방하여 승강대피부(30)를 통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덮개회동지지부(140)는, 승강대피부(30)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회동지지박스(141)와, 일단이 회동지지박스(141)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방화덮개(130)에 연결되는 한쌍의 L 레버(142)를 포함한다. The cover rotation support unit 140 rotates the fire cover 13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ame support unit 10, or i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the frame support unit 10 is opened to allow the evacuation through the lift and evacuation unit 30. . This cover rotation support unit 140 is coupled to the rotation support box 141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lifting platform 30,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rotation support box 141, and the other end is a fire cover 130 It includes a pair of L levers 142 connected to ).

회동지지박스(141)는 프로파일기둥(20)의 상단에서 비상대피홈(H)의 후방측에 위치되며, 상기 원심브레이크(40), 윈치부(50)가 내장되어 대피실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The rotating support box 141 is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emergency evacuation groove H at the top of the profile column 20, and the centrifugal brake 40 and the winch part 50 are built-in to protect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evacuation room. .

L 레버(142)는, 회동지지박스(141)의 양단 중앙에 힌지연결되는 수직레버(142a)와 방화덮개(130)와 연결되는 수평레버(142b)로 구성되고, 수직레버(142a)와 수평레버(142b)가 직교되게 연결되어 구현된다. 이에 따라, 방화덮개(130)가 테두리지지부(10)에 덮여진 상태에서, 도 2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레버(142b)는 바닥측에 수평되게 위치치되고, 수직레버(142b)는 수직방향으로 위치된다. The L lever 142 is composed of a vertical lever 142a hinged to the center of both ends of the rotation support box 141 and a horizontal lever 142b connected to the fire cover 130, and the vertical lever 142a and horizontal The lever 142b is implemented by being connected orthogonally. Accordingly, in a state where the fire cover 130 is covered with the frame support portion 10, as shown in FIGS. 2 and 18, the horizontal lever 142b is positioned horizontally on the floor side, and the vertical lever 142b ) Is l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방화덮개(130)는 테두리지지부(10)를 완전히 밀폐하게 덮어야 하고, 이에 따라 회동지지박스(141)에 근접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방화덮개(130)가 회동되기 위하여, 방화덮개(130)의 회동궤도가 회동지지박스(141)에서 벗어나야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e cover 130 must cover the frame support portion 10 to be completely sealed, and accordingly is positioned to be close to the rotation support box 141. Therefore, in order for the fire cover 130 to rotate, the rotation orbit of the fire cover 130 must deviate from the rotation support box 141.

본 발명에서는, 수평레버(142a) 및 수직레버(142b)로 구성된 L 레버(142)를 채용함으로써,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덮개(130)의 회동궤도를 회동지지박스(141)에서 벗어나게 하고 이에 따라 방화덮개(130)를 수직 방향(V)의 후방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방화덮개(130)는 수직 방향(V) 후방측으로 비스듬하게 회동됨에 따라, 승강대피부(30)에 탑승한 대피자가 하강하는 도중에 방화덮개(130)에 충돌하여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y employing the L lever 142 composed of the horizontal lever (142a) and the vertical lever (142b), as shown in Figure 18,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fire cover 130 in the rotation support box 141 The fire cover 130 can be rotated to the rear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V) accordingly. At this time, as the fire cover 130 is rotated obliquely to the rear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V),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vacuee boarding the elevating evacuation unit 30 from colliding with the fire cover 130 and being injured while descending.

이와 같이, 회동지지박스(141)에서 회동되는 L 레버(142)에 의하여 방화덮개(130)는 테두리지지부(10)를 견고하게 덮어 화재발생시 화염이 비상대피홈(H)을 통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대피실을 출입하는 일반인이 승강대피부(30) 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통로를 형성하고, L 레버(142)가 회동하면 방화덮개(130)가 회동되면서 비상대피홈(H)을 통하여 승강대피부(130) 측을 개방하여 대피자가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way, the fire cover 130 by the L lever 142 rotated in the rotation support box 141 securely covers the edge support portion 10 to prevent the flame from moving through the emergency evacuation groove (H) when a fire occurs. At the same time, a passage is formed so that the general person entering and exiting the evacuation room does not fall to the elevation evacuation skin 30 side, and when the L lever 142 rotates, the fire cover 130 is rotated and the elevation evacuation skin ( 130), so that the evacuee can evacuate.

여기서, 가이드손잡이부(120)가 발판(37)에 형성된 손잡이수용홈(38)에 수용됨으로써 발판(37)의 표면을 편평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승강대피부(30)가 천정슬라브(S1)에 상승한 상태에서 방화덮개(130)를 덮어 테두리지지부(10)에 밀착시킬 때, 대피실 표면에서 방화덮개(130)가 거의 돌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방화덮개(130)에 대피실을 여닫는 도어(미도시)가 걸리지 않게 되어 도어를 회동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고, 이에 따라 대피실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어 주위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방화덮개(130)가 대피실 표면에 거의 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동하는 사람이 방화덮개(130)에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Here, the guide handle portion 120 is accommodated in the handle receiving groove 38 formed in the footrest 37, so that the surface of the footrest 37 can be flattened, and accordingly, the elevating skin 30 is a ceiling slab (S1) When the fire cover 130 is covered in a raised stat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ame support 10, the fire cover 130 hardly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evacuation room. Therefore, the door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vacuation room is not caught in the fire cover 130, so a separate space for rotating the door is not required, and accordingly, the size of the evacuation room can be minimized, there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surrounding space. I can. In particular, since the fire cover 130 is almost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evacuation room,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erson moving from tripping over the fire cover 130.

스위치(15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지지박스(151) 내측에 설치되어 방화덮개(130)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L 레버(142)가 회동될 때 연동되어, 방화덮개(130)가 회동되었음을 의미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관리자에게 송신한다. 이에 따라, 평소 일반인이 호기심이나 부주의로 방화덮개(130)를 회동시켰을 때 관리자는 이를 인식하여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9, the switch 150 is installed inside the rotation support box 151 and interlocks when the L lever 142 is rotated to rotate the fire cover 130, and the fire cover 130 It generate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has been rotated and sends it to the manager. Accordingly, when the general public rotates the fire cover 130 due to curiosity or carelessness, the manager can recognize this and take appropriate action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윈치부(50)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 감겨지는 승강와이어(70)가 승강대피부(30)에 연결되고, 윈치부(50)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지는 복귀와이어(80)가 메인무게추(60)와 연결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태엽부와 같은 스프링 구조를 채용하지 않으면서도 대피자가 탑승한 승강대피부(30)를 하강 및 상승시킬 수 있으며, 콤팩트한 구조로 구현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wire 70 wound in a clockwise direction with one end connected to the winch part 50 is connected to the lifting table 30,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winch part 50. B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return wire 80 woun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main weight 60, it is possible to lower and raise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skin 30 on which the evacuee boarded without employing a spring structure such as a spring. Can be, and can be implemented in a compact structure.

또한 프로파일기둥(20)을 압출 성형하여 제1,2성형체결봉(22)(23)을 형성하고, 제1,2슬라이더(32)(33)를 제1,2성형체결봉(22)(23)에 끼어 조립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이나 노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조립후 꺼덕거림이 발생되지 않아 별도의 세팅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현장에서 안전 대피장치의 설치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file column 20 is extruded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molded fastening rods 22 and 23, and the first and second sliders 32 and 33 were combined with the first and second molded fastening rods 22 and 22. 23),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assembling, and there is no need to perform separate setting work since there is no flickering after assembly,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safety evacuation device at the site. It can be dramatically lowered.

또한, 제1,2성형체결봉(22)(23)과 함께 성형되는 제1,2보호커버(24)(25)에 의하여 제1,2성형체결봉(22)(23)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최대한 보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건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시멘트나 페인트가 제1,2성형체결봉(22)(23)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간이 지나더라도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로부터 제1,2성형체결봉(22)(23)을 보호하여, 비상 상황시 승강대피부(30)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fastening rods 22 and 23 are remov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by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ve covers 24 and 25 formed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fastening rods 22 and 23. It can protect as much as possible, and thus prevents cement or paint from adhering to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fastening rods 22 and 23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and prevents external dust or foreign matter even after time passes.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fastening rods 22 and 23 are protected so that the lifting and descending skin 30 can be supported in an emergency situation.

그리고 가이드손잡이부(120)가 발판(37)에 형성된 손잡이수용홈(38)에 수용됨으로써 슬림한 승강대피부(30)를 구현할 수 있고, 승강대피부(30)가 천정슬라브(S1)에 상승한 상태에서 방화덮개(130)를 덮을 때 방화덮개(130)는 대피실 표면에서 돌출되지 않게 되어 대피실 도어 개방시 걸리지 않게 되며, 더 나아가 이동하는 사람이 방화덮개(130)에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nd the guide handle portion 120 is accommodated in the handle receiving groove 38 formed on the foot plate 37 to implement a slim lifting and lowering skin 30, and in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and lowering skin 30 ascended to the ceiling slab (S1) When covering the fire cover 130, the fire cover 130 does not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evacuation room, so that it is not caught when the door of the evacuation room is opened,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erson moving over the fire cover 130 from tripping over the fire cover 130. hav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S1 ... 천정슬라브 S2 ... 바닥슬라브
H ... 비상대피홀
10 ... 테두리지지부 20 ... 프로파일기둥
21 ... 기둥몸체 22, 23 ... 제1,2체결봉
24, 25 ... 제1,2보호커버 24a, 25a ... 제1,2레일홈
26 ... 기둥홀 27 ... 가이드레일홈
28 ... 브레이크레일 30 ... 승강대피부
32, 33 ... 제1,2슬라이더 32a, 33a ... 제1,2체결공
34 ... 슬라이더지지블럭 35, 36 ... 제1,2지지프레임
37 ... 발판 40 ... 원심브레이크
50 ... 윈치부 51, 52, 53 ... 제1,2,3윈치
55 ... 서브윈치 60 ... 메인무게추
65 ... 서브무게추 70 ... 승강와이어
80 ... 복귀와이어 85 ... 서브복귀와이어
90 ... 비상브레이크 91 ... 힌지축
92 ... 브레이크레버 92a ... 브레이크레버
93 ... 가이드브라켓 94 ... 브레이크작동로드
95 ... 스프링 100 ...스토퍼
101 ... 스토퍼홈 102 ... 스토퍼걸쇄
103 ... 페달 104 ... 스토퍼홈분리부
110 ... 쇽업쇼버 120 ... 가이드손잡이부
121 ... 발판브라켓 122 ... 메인봉
123 ... 서브봉 124 ... 손잡이봉
125 ... 제1각도유지관절 125a, 125b ... 제1스토퍼홈
125c ... 제1스토퍼돌기 126 ... 제2각도유지관절
126a, 126b ... 제2스토퍼홈 126c ... 제2스토퍼돌기
127 ... 돌출유지부 127a ... 제1키홈
127b ... 제2키홈 127c ... 키돌기
127d ... 키스프링 128 ... 점자패턴
130 ... 방화덮개 131 ... 페달커버
140 ... 덮개회동지지부 141 ... 회동지지박스
142 ... L 레버 150 ... 스위치
S1 ... Ceiling slab S2 ... Floor slab
H ... emergency evacuation hall
10 ... Edge support 20 ... Profile column
21 ... column body 22, 23 ... 1st, 2nd fastening rod
24, 25 ... 1st, 2nd protective cover 24a, 25a ... 1st, 2nd rail groove
26 ... Column hole 27 ... Guide rail groove
28 ... brake rail 30 ... lift skin
32, 33 ... 1st and 2nd slider 32a, 33a ... 1st and 2nd fastening
34 ... Slider support block 35, 36 ... 1st, 2nd support frame
37 ... footrest 40 ... centrifugal brake
50 ... Winch part 51, 52, 53 ... 1st, 2nd, 3rd winch
55 ... sub winch 60 ... main weight
65 ... sub weight 70 ... lifting wire
80 ... return wire 85 ... sub return wire
90 ... emergency brake 91 ... hinge shaft
92 ... brake lever 92a ... brake lever
93 ... Guide bracket 94 ... Brake operating rod
95 ... spring 100 ... stopper
101 ... Stopper groove 102 ... Stopper hook
103 ... Pedal 104 ... Stopper groove separator
110 ... shock absorber 120 ... guide handle
121 ... Footrest bracket 122 ... Main rod
123 ... sub rod 124 ... handle rod
125 ... 1st angle maintenance joint 125a, 125b ... 1st stopper groove
125c ... 1st stopper protrusion 126 ... 2nd angle maintenance joint
126a, 126b ... 2nd stopper groove 126c ... 2nd stopper protrusion
127 ... protruding retaining part 127a ... 1st keyway
127b ... second keyway 127c ... key protrusion
127d ... kissspring 128 ... braille pattern
130 ... fire cover 131 ... pedal cover
140 ... cover pivoting support 141 ... pivoting support box
142 ... L lever 150 ... switch

Claims (5)

건물의 천정슬라브(S1)에 지지되는 비상대피홀(H)에 결합되는 테두리지지부(10);
상단이 테두리지지부(10) 내측에 고정되고 하단이 바닥슬라브(S2)에 고정되는 기둥몸체(21)를 가지는 프로파일기둥(20);
상기 기둥몸체(21)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테두리지지부(10)의 내측과 바닥슬라브(S2) 사이에서 승강되는 승강대피부(30);
상기 기둥몸체(21)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속도에 따라 브레이킹력을 발생하는 원심브레이크(40);
상기 원심브레이크(40)에 축결합된 윈치부(50);
상기 기둥몸체(21)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무게추(60);
상기 윈치부(50)에 일단이 고정되어 시계 방향으로 감겨지고 타단이 상기 승강대피부(30)와 연결되는 승강와이어(70);
상기 윈치부(50)에 일단이 고정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지고 타단이 상기 메인무게추(60)와 연결되는 복귀와이어(80);
상기 승강대피부(30)를 상기 테두리지지부(10) 내측에 위치 고정시키고 있다가, 상기 승강대피부(30)에서 돌출된 페달(103)을 눌렀을 때 상기 승강대피부(30)의 위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스토퍼(100); 및
상기 승강대피부(30)에 포개어지거나 펼쳐지게 설치된 것으로서 승강도중 대피자가 상기 테두리지지부(10)의 내측에 충돌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손잡이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대피부(30)는, 대피자가 탑승하는 발판(37)에 형성된 것으로서 "U" 형상을 이루는 손잡이수용홈(38)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손잡이부(120)는, 상기 승강대피부(30)에 포개어질 때 상기 손잡이수용홈(38)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발판(37)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대피장치.
The frame support 10 coupled to the emergency evacuation hole (H) supported on the ceiling slab (S1) of the building;
A profile column 20 having a column body 21 having an upper e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rim support 10 and a lower end fixed to the floor slab S2;
A lifting shelter 30 that is coupled to the column body 21 so as to be able to be lifted and lower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frame support portion 10 and the floor slab S2;
A centrifugal brake 40 that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lumn body 21 and generates a braking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A winch part 50 axially coupled to the centrifugal brake 40;
A main weight 60 installed to be elevating along the pillar body 21;
A lifting wire 7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winch 50 and wound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ifting table 30;
A return wire 8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winch part 50 and wound counterclockwis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main weight 60;
To release the fixed position of the lifting evacuation part 30 when the lifting evacuation part 30 is positioned inside the rim support part 10 and the pedal 103 protruding from the lifting evacuation part 30 is pressed. A stopper for 100; And
It is installed to be overlapped or unfolded on the elevating evacuation unit 30, and includes a guide handle 120 for guiding an evacuee so as not to collide with the inside of the rim support unit 10 during elevating;
The elevating evacuation part 30 includes a handle receiving groove 38 formed in the footrest 37 on which the evacuee is boarded and forming a "U"shape;
The guide handle 120 is accommodated in the handle receiving groove 38 when superimposed on the lifting and lowering skin 30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surface of the foot plate 37; a safety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기둥(20)은, 상기 기둥몸체(21)의 전방 모서리를 따라 길게 성형되는 봉 형태의 제1,2성형체결봉(22)(23)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대피부(30)는, 상기 제1,2성형체결봉(22)(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체결공(32a)(33a)이 형성된 제1,2슬라이더(32)(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대피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file column 20 includes first and second forming fastening rods 22 and 23 in the form of rods that are elongated along the front edge of the column body 21;
The elevating skin 30 includes first and second sliders 32 having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32a and 33a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fastening rods 22 and 23 Safe evacuation device comprising (33).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손잡이부(120)는,
상기 손잡이수용홈(38) 후방측의 제1,2지지프레임(35)(36)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발판브라켓(121)과,
각각의 상기 발판브라켓(121)에 회동 가능하게 한쌍의 메인봉(122)과,
각각의 상기 메인봉(122)에서 출몰되는 한쌍의 서브봉(123)과,
각각의 상기 서브봉(123)의 양단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U' 형태를 가지는 손잡이봉(1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대피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uide handle 120,
A pair of footrest brackets 121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35 and 36 on the rear side of the handle receiving groove 38,
A pair of main rods 122 so as to be rotatable to each of the footrest brackets 121,
A pair of sub-rods 123 appearing and protruding from each of the main rods 122,
Safety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andle bar 124 having a'U' shape as being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each of the sub-bars 12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손잡이부(120)는,
상기 발판브라켓(121)과 메인봉(12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봉(122)이 특정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제1각도유지관절(125)과,
상기 서브봉(123)과 손잡이봉(12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봉(124)이 특정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제2각도유지관절(126)과,
상기 서브봉(123)이 메인봉(122)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돌출유지부(1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대피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uide handle (120),
A first angle maintenance joint 125 installed between the footrest bracket 121 and the main rod 122 to allow the main rod 122 to maintain a specific angle,
A second angle maintenance joint 126 installed between the sub-bar 123 and the handle bar 124 to allow the handle bar 124 to maintain a specific angle,
Safety evacu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trusion holding portion (127) for maintaining the sub-bar (123) protruding from the main rod (122).
KR1020200029916A 2020-03-11 2020-03-11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KR1021698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916A KR102169896B1 (en) 2020-03-11 2020-03-11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916A KR102169896B1 (en) 2020-03-11 2020-03-11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896B1 true KR102169896B1 (en) 2020-10-26

Family

ID=7300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916A KR102169896B1 (en) 2020-03-11 2020-03-11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89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813B1 (en) * 2020-10-28 2021-06-15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7208A (en) * 2009-01-26 2010-08-05 Naka Ind Ltd Evacuation equip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7208A (en) * 2009-01-26 2010-08-05 Naka Ind Ltd Evacuation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813B1 (en) * 2020-10-28 2021-06-15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351B1 (en)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KR101117277B1 (en)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2135003B1 (en)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KR102264809B1 (en) cantilever type building emergency escape structure
KR101119886B1 (en)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inter-floor in building
KR102169896B1 (en)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KR102169895B1 (en)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KR102169897B1 (en)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KR20070060646A (en) Ladder structure for emergency escape from building
KR100977858B1 (en)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KR100927317B1 (en)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EP0218764A1 (en) Apparatus for assisting escape from a high building
KR20220046319A (en) cantilever type building emergency escape structure
KR101131484B1 (en) Escaping apparatus for emergency evacuation
KR102169898B1 (en)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WO2023229284A1 (en) Vertical movement-driving assembly for emergency exit device
CN211169414U (en) Structure of house additional elevator
KR101281182B1 (en)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KR102237673B1 (en)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KR102264813B1 (en)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KR101322422B1 (en) Railing for apartment houses with automatic descending life line
KR102178504B1 (en) Elevator door safety apparatus for construction site
US20040245047A1 (en) Device for rescuing persons from edifices such as buildings, drilling platforms, ships or the like
JP2004197456A (en) Emergency ladde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