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317B1 -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 Google Patents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317B1
KR100927317B1 KR1020090077661A KR20090077661A KR100927317B1 KR 100927317 B1 KR100927317 B1 KR 100927317B1 KR 1020090077661 A KR1020090077661 A KR 1020090077661A KR 20090077661 A KR20090077661 A KR 20090077661A KR 100927317 B1 KR100927317 B1 KR 100927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re
wall
glass wall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6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순모
Original Assignee
류순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순모 filed Critical 류순모
Priority to KR1020090077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3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3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6Movable elements, e.g. against sun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82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traction cable inside post or rai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PURPOSE: A safety balustrade for fire escape is provided to minimize the anxiety of people in a fire while avoiding degrading building appearance. CONSTITUTION: A safety balustrade for fire escape comprises a first frame(3), a second frame(5), and footboards(7). The first frame covers a part of a glass wall of the upper floor in the normal times, and revolves via a hinge(1) to face a glass wall or exterior wall of the lower floor in the event of fire. The second frame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glass wall of the upper floor to cover the part of the glass wall of the upper floor in the normal times, and revolves to face the glass wall or exterior wall of the lower floor along with the first frame in the event of fire. The footboards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rames on both ends, and kept in an upright position to prevent falls of residents in the upper floor in the normal times. Whe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re revolved toward the lower floor, the foot boards are open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frame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re opened to provide the space to step.

Description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본 발명은 고층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위층에 사는 거주자가 아래층으로 몸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베란다 등에 장착되어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로 사용되다가 화재가 발생 되었을 경우에는 위층과 아래층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 수단으로 구조 변경될 수 있는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handrail for fire evacuation that allows residents living on the upper floor to escape to the lower floor when a fire occurs inside a high-rise building. More specifically, it is normally used as a safety railing to prevent fall from being mounted on a veranda or the like. When a fire breaks out, it relates to a safety handrail for fire evacuation that can be restructured as a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upper floor and the lower floor.

일반적으로 현대에는 건축물 내부의 거주 공간을 확대함과 더불어 좁은 부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고층화된 건축물이 증대되고 있는바, 상기와 같은 고층화된 건축물에는 통상적으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주출입문이 갖추어지고, 상기 주출입문의 반대편으로는 베란다가 설치되며, 상기 베란다에는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가 설치된다. In general, modern buildings are increasing in order to expand the living space inside buildings and use narrow sites more effectively. Such high-rise buildings are usually equipped with main entrance doors for human acces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entrance door, a veranda is installed, and the veranda is provided with a fall guard rail.

이러한 고층화된 건축물은 좁은 부지 안에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고, 높은 빌딩 안에서 주위 경관을 내려다 볼 수 있으며, 한 건물 내부에 여러 가지 편의 시설을 갖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Such high-rise building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ccommodate a large number of people in a narrow site, overlooking the surrounding landscape in a tall building, and having the convenience of having various amenities inside a building.

하지만, 상기 제시한 고층화된 건축물은 좁은 부지 위에 치솟은 건축물 내부에 여러 사람이 거주하는 관계로 화재 발생 빈도가 높은 단점이 있었고, 한번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대형 인명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high-rise building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a high frequency of fires occur due to the inhabitation of several people inside a building soared on a narrow sit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once a fire occurs, it may lead to a large casualty accident. .

물론, 최초 화재 발생시 주출입문과 비상구가 개방되어 있다면, 상기 주출입문과 비상구를 거쳐 탈출을 시도할 수 있다. Of course, if the main entrance door and the emergency exit is open when the first fire occurs, it is possible to try to escape through the main entrance door and the emergency exit.

하지만, 비상구와 주출입문이 불길로 봉쇄되면, 고층 건물안에 갇힌 주거자는 상기 고층 건물 안에 갇힌 상태로 죽음을 기다리거나 궁여지책으로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를 뛰어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when the emergency exits and the main entrance doors are blocked with fi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ccupants trapped in the high-rise building must jump over the safety railing to prevent falling or wait for death in a state locked in the high-rise building.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베란다에 설치된 완강기를 이용하여 화재로부터 몸을 피하는 방법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완강기는 조작이 어려워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 무리가 있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하나의 로프에 사용자의 체중을 실어야 한다는 부담 때문에 화재로 인한 공포감과 아울러 완강기 사용에 따른 불안감을 떨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method to avoid the body from the fire by using a waning device installed on the veranda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was a problem such as difficult to operate because the gangling device is difficult to operate, and one rope Due to the burden of carrying the weight of the user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shake the fear of fire and anxiety due to the use of the stiffness.

또한, 이러한 완강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출원 번호 "10-2009-0037784"호의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가 본 발명자에 의해서 출원되었는 바, 상기 "10-2009-0037784"호의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는 도면 8과 도면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소에는 고층 빌딩의 베란다에서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로 사용되다가 화재 발생시에는 건축물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디귿자 형태의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로 구조 변경될 수 있는 구조이다.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steel bar, the "fire evacuation safety railings" of the application number "10-2009-0037784" has been filed by the present inventors, the "fire evacuation safety of the" 10-2009-0037784 " As shown in FIG. 8 and FIG. 9, the handrail is normally used as a safety railing to prevent falling from the veranda of a high-rise building, and in the event of a fire, the handrail may be changed into a safety handrail for fire evacuation that protrudes outward of the building. It is a structure.

하지만,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10-2009-0037784"호의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는 도면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디귿자 형태로 변형된 안전 난간대에 고립된 상태로 구조대가 오기만을 묵묵히 기다려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fire evacuation safety railings" of the "10-2009-0037784" of this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9, when the fire occurs, the rescue team is isolated to the safety railings deformed in the form of a bench There was a problem of waiting silently for coming.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에 따른 구조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평소 건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화재 피난시 사용자의 불안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불길에 갇힌 위층 거주자가 위층 베란다에서 아래층 베란다로 몸을 피할 수 있도록 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structural problem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fire escape safety railing as described above, can minimize the user's anxiety during fire evacuation without harming the aesthetics of the usual building, and the upstairs occupant in the fire upstair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afety evacuation guardrail for evacuating the body from the veranda to the downstairs veranda.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는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상층 유리벽을 가로막고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 건물 외벽에 고정된 힌지에 의해 축 선회되어 하층 유리벽 또는 하층 외벽과 마주 접하는 제 1 프레임과,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제 1 프레임과 상층 유리벽 사이에 개재되어 상층 유리벽을 가로막고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 상기 제 1 프레임을 따라 하층 유리벽 또는 하층 외벽 방향으로 선회 되는 제 2 프레임, 및 일측 양끝단과 타측 양끝단이 각각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에 연결된 상태에서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상층 유리벽과 나란하게 세워져 상층 거주자의 추락 사고를 예방하다가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이 하층 유리벽과 하층 외벽 방향으로 선회될 때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의 직교 방향으로 펼쳐져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벌림과 동시에 발 디딤 공간을 마련하는 디딤판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에는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이 힌지에 의해 하층 유리벽 또는 하층 외벽으로 선회 되지 않도록 상기 제 2 프레임의 일측을 상층 건축 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이 갖추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는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베란다에 장착된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로 사용되다가 화재가 발생 되었을 경우 건물 바깥으로 돌출된 다음, 하층 베란다와 연결될 수 있어 화재가 발생된 상층 베란다로부터 탈출한 거주자가 화재로부터 안전한 하층 베란다로 신속히 몸을 피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afety evacuation guardrail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cepts an upper glass wall without a risk of fire and is pivoted by a hinge fixed to an outer wall of the building when a fire occurs. The first frame facing the outer wall of the lower layer and the upper glass wall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upper glass wall normally without the risk of fire, intercepting the upper glass wall, and in the event of a fire, the lower glass wall or lower outer wall along the first frame. The second frame, which is pivoted in the direction, and both ends and the other end of each other are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respectively, to stand side by side with the usual upper glass wall where there is no risk of fire, thereby preventing the fall of the upper occupant.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when the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pivoted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glass wall and the lower outer wall. It is provided with a stepping plate extending in the orthogonal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frame, while providing a stepping space at the same time as the gap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n addition, in the safety evacuation guardrail for fire evac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second frame is placed on the upper building structure so that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not pivoted to the lower glass wall or the lower outer wall by the hinge. Fixing means for fixing is provided. The fire evacuation safety rai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is used as a fall prevention safety railing mounted on a veranda without a risk of fire, and if a fire occurs, it may protrude out of the building and then be connected to a lower floor porch. Residents escaping from the generated upper veranda can quickly escape to the lower veranda, which is safe from fire.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는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베란다에 장착된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로 사용되다가 화재가 발생 되었을 경우 건물 바깥으로 돌출됨과 더불어 위층 베란다와 아래층 베란다를 연결할 수 있는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로 구조 변경될 수 있다. The fire evacuation safety rai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is used as a fall prevention safety railing mounted on a veranda without a risk of fire, and protrudes out of the building when a fire occurs and connects an upper porch and a lower veranda. May be restructured to safety evacuation guardrails.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는 화재가 발생 되었을 경우 건물 내부에 갖힌 거주자가 건물 외벽에 마련된 피난처로 몸을 피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상층 베란다로부터 하층 베란다로 몸을 피할 수 있다.Therefore, the safety handrail for fire evac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e occurs, the occupants inside the building can escape to a shelter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can avoid the body from the upper porch to the lower porch.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는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건물 외부의 미관을 해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재난 도피 수단을 구성하기 위한 별도 자재나 비용을 지불하지 않아도 되고,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safety evacuation guardrail for fire evac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does not impair the aesthetics of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normally without the risk of fire, but also does not pay extra materials or costs for constructing the disaster evacuation means, and reduces the casualty caused by fire. It has the advantage.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First, prior to entering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and the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1은 본 발명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로 사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면 2는 본 발명에 갖추어진 고정 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면 3은 본 발명에 갖추어진 지지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safety guardrail for everyday fall prevention without the risk of fire,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fixing mean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support means provided in the.

또한, 도면 4는 본 발명에 갖추어진 추락 방지 와이어가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면 5는 본 발명이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로 변경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면 6은 본 발명에 갖추어진 디딤판이 가이드홀을 따라 선회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In addition,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fall prevention wire equipp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d to a safety handrail for fire evacuation, Figure 6 is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is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turning the tread provided in the guide hole along.

또, 도면 7a 내지 도면 7f는 본 발명이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에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로 구조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7A to 7F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all safety railing to the safety railing for fire evacuation.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는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상층 유리벽을 가로막고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 건물 외벽에 고정된 힌지(1)에 의해 축 선회되어 하층 유리벽 또는 하층 외벽과 마주 접하는 제 1 프레임(3)과,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제 1 프레임(3)과 상층 유리벽 사이에 개재되어 상층 유리벽을 가로막고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 상기 제 1 프레임(3)을 따라 하층 유리벽 또는 하층 외벽 방향으로 선회 되는 제 2 프레임(5), 및 일측 양끝단과 타측 양끝단이 각각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에 연결되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상층 유리벽과 나란하게 세워져 상층 거주자의 추락 사고를 예방하다가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이 하층 유리벽과 하층 외벽 방향으로 선회될 때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의 직교 방향으로 펼쳐져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 사이의 간격을 벌림과 동시에 발 디딤 공간을 마련하는 디딤판(7)을 구비한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safety handrail for evac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intercepting the glass wall of the upper layer which normally does not have a risk of fire, is pivoted by a hinge 1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when a fire occurs. The first frame 3 facing the glass wall or the lower layer outer wall, and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rame 3 and the upper glass wall which normally does not have a fire risk, intercept the upper glass wall, and when the fire occurs, the first frame 3 is interposed. A second frame 5 which is pivoted along the frame 3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glass wall or the lower outer wall, and both ends and the other end of one side are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3 and the second frame 5, respectively, When the first frame (3) and the second frame (5) is turned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glass wall and the lower outer wall while preventing the fall of the upper occupant, standing side by side with the usual upper glass wall without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frame 3 and the second frame 5, the first frame 3 and the second frame 5 extend in an orthogonal direction to separate the gap between the first frame 3 and the second frame 5. A stepping plate (7) is provided to provide a stepping space at the same time as the open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에는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상기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이 힌지(1)에 의해 하층 유리벽 또는 하층 외벽으로 선회 되지 않도록 상기 제 2 프레임(5)의 일측을 상층 건축 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9)이 갖추어진다.In addition, in the safety evacuation guardrail for fire evac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rame 3 and the second frame 5 are not pivoted to the lower glass wall or the lower outer wall by the hinge 1 without the risk of fire. The fixing means 9 which fixes one side of the two frames 5 to an upper floor building structure is provided.

상기 고정 수단(9)은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층 건축 구조물에 장착됨과 동시에 고정못(11)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13)을 구비한 고정 브라켓(15)과, 상기 관통홀(13)을 지나 제 2 프레임(5)으로 삽입될 수 있는 고정못(11)을 구 비한다. As shown in FIG. 2, the fixing means 9 includes a fixing bracket 15 having a through hole 13 through which the fixing nail 11 can be penetrated while being attached to the upper building structure, and the through hole. (13) has a fixing nail 11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frame (5).

또한, 상기 고정못(11)의 머리 부분에는 평상시 어린아이들에 의하여 고정못(11)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보호캡(19)이 씌워지는바, 상기 보호캡(19)은 사기나 유리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위급 상황 시 신속하게 제거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head of the fixing nail 11 is usually covered with a protective cap 19 so that the fixing nail 11 does not come out by the children, the protective cap 19 is made of glass or plastic material It is desirable to remove quickly in case of emergency.

또, 상기 제 2 프레임(5)의 일측면과 건물 외벽 사이에는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프레임(5)이 건물의 하방으로 선회 되었을 때 건물 외벽이 제 2 프레임(5)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지지 수단(21)이 장착되고, 상기 지지 수단(21)은 강재 케이블이나 와이어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between one side of the second frame 5 a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s shown in FIG. 3, when the second frame 5 is turned downward of the build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s formed of the second frame 5. Support means 21 is mounted to support the load, the support means 21 is preferably a steel cable or wire is used.

또, 서로 인접한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의 둘레면에는 도면 3과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딤판(7)에 의해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 사이의 간격이 벌어졌을 경우 양끝단이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의 둘레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 사이의 간격 범위만큼 펼쳐질 수 있는 추락 방지 와이어(23)가 장착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힌지(1)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Moreover, as shown in FIG. 3 and FIG. 4,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1st frame 3 and the 2nd frame 5 which adjoined each other is made with the step 7 and the 1st frame 3 and the 2nd frame 5 In the case where the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5 is extended, the ends of the first frame 3 and the second frame 5 may be unfolded as much as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frame 3 and the second frame 5. It is preferable that the fall prevention wire 23 can be mounted, and the hinge 1 is preferably made of two or more.

또, 상기 제 1 프레임(3)의 내부는 도면 3 또는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2개 이상의 세로 부재(25a,25b)에 의해 2개 이상으로 나뉘어진다.In addition, the interior of the first frame 3 is divided into two or more by two or more vertical members 25a and 25b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s shown in FIG. 3 or FIG.

한편, 상기 제 2 프레임(5)의 내부 공간은 건물 높이 방향으로 배치된 2개 이상의 세로 부재(27a,27b)에 의해 2개 이상으로 나뉘어지고, 상기 각 세로 부 재(27a,27b)의 사이 또는 상기 세로 부재(27a,27b)와 제 2 프레임(5) 사이에는 상기 세로 부재(27a,27b)와 직교 방향으로 펼쳐진 2개 이상의 가로 부재(29a,29b)가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frame 5 is divided into two or more by two or more vertical members (27a, 27b) arranged in the building height direction, between each of the vertical members (27a, 27b) Alternatively, two or more horizontal members 29a and 29b extending in the orthogonal direction to the vertical members 27a and 27b are mounted between the vertical members 27a and 27b and the second frame 5.

또한, 상기 제 2 프레임(5)에 갖추어지면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세로 부재(27a,27b)의 둘레면 또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세로 부재(27a,27b)와 제 2 프레임(5)의 둘레면에는 세로 부재(27a,27b)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절개된 가이드홀(31)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바, 상기 서로 마주보고 있는 가이드홀(31)의 위치는 제 2 프레임(5)의 좌측 상단 모서리에서 우측 하단 모서리 또는 우측 상단 모서리에서 좌측 상단 모서리로 갈수록 점차 하강 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s 27a, 27b facing each other and the peripheral surfaces of the vertical members 27a, 27b facing each other and the second frame 5 are provided on the second frame 5, respectively. The guide holes 31 cut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members 27a and 27b face each other, and the positions of the guide holes 31 facing each other are at the upper left of the second frame 5. It is preferable to gradually descend from the lower right corner or the upper right corner to the upper left corner.

한편, 상기 디딤판(7)의 일측 양끝단은 도면 5와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3)에 갖추어지면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제 1 프레임(3)과 세로 부재(25a,25b)의 둘레면 또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세로 부재(25a)와 세로 부재(25b)의 둘레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축 선회 되고, 상기 디딤판(7)의 타측 양끝단은 제 2 프레임(5)에 갖추어지면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가이드홀(31)에 연결되어 디딤판(7)의 일측 양끝단이 축 선회 될 때마다 가이드홀(3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Meanwhile,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tread 7 are provided in the first frame 3, as shown in FIGS. 5 and 6, and the first frame 3 and the vertical members 25a and 25b facing each other. Axially pivoted in the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25a and the vertical member 25b facing each other, and both ends of the other side of the tread plate 7 are provided in the second frame 5. Whil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the guide holes 31 facing each other may be sli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hole 31 whenever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tread 7 are pivoted.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가 화재 발생시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에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로 구조 변경되는 과정을 도면 7a 내지 도면 7f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ures 7a to 7f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safety guardrail for fire evacuation from the safety guardrail for fall prevention in the event of a fire when the safety evacuation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상층 거주지에 화재가 발생 되었을 경우 상층 거주지의 거주자는 도면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캡(19)을 제거한 다음, 고정못(11)을 뽑아 고정 브라켓(15)에 고정된 제 2 프레임(5)이 고정 브라켓(15)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도록 한다. First, when a fire occurs in the upper residence, the occupant of the upper residence removes the protective cap 19, and then pulls the fixing nail 11 to fix the fixing bracket 15 as shown in FIG. 7A. Allow (5) to be free from the fixing bracket (15).

한편, 상기 고정 브라켓(15)으로부터 자유로워진 제 2 프레임(5)은 도면 7b와 도면 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3)과 연결된 힌지(1)에 의하여 제 1 프레임(3) 및 제 2 프레임(5)과 함께 하층 유리벽 또는 하층 외벽 방향으로 선회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7B and 7E, the second frame 5 freed from the fixing bracket 15 may be formed by the first frame 3 and the hinge 1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3. The second frame 5 is pivoted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glass wall or the lower outer wall.

한편, 상기 디딤판(7)의 일측 양끝단은 도면 7e와 도면 7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이 하층 유리벽 또는 하층 외벽 방향으로 선회됨에 따라 제 1 프레임(3)에 연결된 상태에서 90도 방향으로 선회되고, 상기 디딤판(7)의 타측 양끝단은 제 2 프레임(5)에 갖추어진 가이드홀(31)을 따라 가이드홀(3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7E and 7F, one end of each side of the tread 7 may include a first frame 3 and a second frame 5 as the first frame 3 and the second frame 5 are pivoted toward a lower glass wall or a lower outer wall. It is pivoted in the direction of 90 degrees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rame 3, and both ends of the other side of the tread plate 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hole 31 along the guide hole 31 provided in the second frame (5) Will move.

따라서, 상기 디딤판(7)은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이 하층 유리벽 또는 하층 외벽 방향으로 선회하게 되었을 때,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의 간격을 넓혀줌과 동시에,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의 사이에서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의 직교 방향으로 펼쳐짐으로써, 상층 거주자에게 발 디딜 공간을 마련해 줄 수 있다. Therefore, the tread 7 has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frame 3 and the second frame 5 when the first frame 3 and the second frame 5 are turned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glass wall or the lower outer wall. At the same time, it spreads in the orthogonal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3 and the second frame 5 between the first frame 3 and the second frame 5 to provide a foot tread space for the upper occupant. Can give

또한, 상기 디딤판(7)은 제 2 프레임(5)의 좌측 상단 모서리에서 우측 하단 모서리 또는 우측 상단 모서리에서 좌측 상단 모서리로 갈수록 점차 하강됨으로, 상층 거주자가 마치 계단을 밟듯이 내려와 화재가 발생 되지 않은 하층 베란다로 몸을 피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read 7 is gradually lowered from the upper left corner or the upper right corner to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second frame 5, so that the upper floor occupant descends as if stepping on the stairs to prevent fire. Try to avoid the body with the lower porch.

또, 상기 제 2 프레임(5)에 갖추어진 가로 부재(29a,29b)는 디딤판(7)을 통해 하층 베란다로 몸을 피하는 상층 거주자가 제 2 프레임(5) 바깥으로 낙사함을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rizontal members 29a and 29b provided in the second frame 5 may prevent the upper occupant who escapes from the lower frame through the tread 7 to fall out of the second frame 5.

또, 하층 유리벽 또는 하층 외벽과 마주 접하는 제 1 프레임(3)에는 가로 부재(29a,29b)가 갖추어지지 않아 디딤판(7)을 통해 하층으로 이동한 상층 거주자가 하층 베란다로 몸을 피신할 수 있도록 해 준다. In addition, the first frame 3 facing the lower glass wall or the lower outer wall is not equipped with horizontal members 29a and 29b, so that the upper occupant who moved to the lower floor through the tread 7 can escape to the lower porch. To help.

한편, 상기 지지 수단(21)은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 외벽에 제 2 프레임(5)을 붙들어 고정하고 있어, 디딤판(7)으로 가해지는 제 2 프레임(5)의 하중을 건물 외벽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supporting means 21 holds and fixes the second frame 5 to the building outer wall, thereby applying the load of the second frame 5 applied to the tread 7 to the building outer wall. Can be dispersed.

또, 상기 추락 방지 와이어(23)는 도면 3과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이 하층 유리벽 또는 하층 외벽 방향으로 선회될 때,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 사이의 간격만큼 벌어지게 되어 디딤판(7)을 통해 하층 베란다로 이동하는 상층 거주자가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 사이에 갖추어진 틈 바깥으로 추락사하지 않도록 하는데, 추락 방지 와이어(23)는 추락 방지 지지바로 대체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all prevention wire 23 is the first frame when the first frame 3 and the second frame 5 is turned in the lower glass wall or lower outer wall direc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Outside the gap provided between the first frame 3 and the second frame 5 by an upper occupant moving through the tread 7 to the lower porch by a gap between the third frame and the second frame 5. In order not to fall off, the fall prevention wire 23 may be replaced by a fall prevention support bar.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는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베란다에 장착된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로 사용되다가 화재가 발생 되었을 경우 건물 바깥으로 돌출되어 화재가 발생된 거주지의 거주자가 건물 바깥으로 몸을 피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afety handrail for evacuation of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is used as a fall prevention safety handrail mounted on a veranda without a risk of fire. To avoid the bod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는 하층 베란다와 연결될 수 있어, 화재가 발생된 상층 베란다로부터 탈출한 거주자가 화재로부터 안전한 하층 베란다로 신속히 몸을 피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afety evacuation guardrail for fire evac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ch, so that the occupants escaped from the upper veranda where the fire occurred can quickly avoid the body to the lower veranda safe from the fir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과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because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1은 본 발명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로 사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safety handrail for everyday fall prevention without the risk of fire,

도면 2는 본 발명에 갖추어진 고정 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fixing mean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3은 본 발명에 갖추어진 지지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upport mean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4는 본 발명에 갖추어진 추락 방지 와이어가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operating the fall prevention wire equipp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5는 본 발명이 화재 방지용 안전 난간대로 변경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chang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guardrail for preventing fire,

도면 6은 본 발명에 갖추어진 디딤판이 가이드홀을 따라 선회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turning the tread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long the guide hole,

도면 7a 내지 도면 7f는 본 발명이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에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로 구조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7A to 7F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all safety guardrail to the safety evacuation guardrail.

도면 8은 본 발명자에 의해서 기출원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가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로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fire evacuation safety railings filed by the present inventors is used as a fall prevention safety railing;

도면 9는 본 발명자에 의해서 기출원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가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에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로 구조 변경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Figure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fire evacuation safety railings filed by the present inventors changed from the fall prevention safety railing to the safety evacuation safety railin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힌지 3. 제 1 프레임1. hinge 3. first frame

5. 제 2 프레임 7. 디딤판5. 2nd frame 7. Tread

9. 고정 수단 11. 고정못9. Fixing means 11. Fixing nail

13. 관통홀 15. 고정 브라켓 13. Through Hole 15. Mounting Bracket

19. 보호캡 21. 지지 수단 19. Protective cap 21. Supporting means

23. 추락 방지 와이어 25a. 세로 부재 23. Fall-prevention wire 25a. Vertical member

27a. 세로 부재 29a. 가로 부재 27a. Longitudinal member 29a. Horizontal part

31. 가이드홀31.Guide hole

Claims (9)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상층 유리벽을 가로막고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 건물 외벽에 고정된 힌지(1)에 의해 축 선회되어 하층 유리벽 또는 하층 외벽과 마주 접하는 제 1 프레임(3)과;A first frame (3) which pivots by a hinge (1)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n the event of a fire while intercepting the upper upper glass wall without a risk of fire, and facing the lower glass wall or the lower outer wall;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제 1 프레임(3)과 상층 유리벽 사이에 개재되어 상층 유리벽을 가로막고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 상기 제 1 프레임(3)을 따라 하층 유리벽 또는 하층 외벽 방향으로 선회 되는 제 2 프레임(5);It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rame 3 and the upper glass wall without a risk of fire, and intercepts the upper glass wall, and when a fire occurs, it is turned along the first frame 3 toward the lower glass wall or the lower outer wall. Second frame 5; 일측 양끝단과 타측 양끝단이 각각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에 연결되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상층 유리벽과 나란하게 세워져 상층 거주자의 추락 사고를 예방하다가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이 하층 유리벽과 하층 외벽 방향으로 선회될 때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의 직교 방향으로 펼쳐져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 사이의 간격을 벌림과 동시에 발 디딤 공간을 마련하는 디딤판(7);One end of both ends and the other end of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3 and the second frame 5, respectively, to stand side by side with the usual upper glass wall without the risk of fire to prevent the fall accident of upper occupants, the first frame (3) And when the second frame 5 is pivoted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glass wall and the lower outer wall, the first frame 3 and the second frame 5 are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3 and the second frame 5. A stepping plate (7) extending in an orthogonal direction to provide a stepping space at the same time as open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frame (3) and the second frame (5);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상기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이 힌지(1)에 의해 하층 유리벽 또는 하층 외벽으로 선회 되지 않도록 상기 제 2 프레임(5)의 일측을 상층 건축 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9)으로 이루어진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One side of the second frame 5 is placed on the upper building structure so that the first frame 3 and the second frame 5 are not pivoted to the lower glass wall or the lower outer wall by the hinge 1 at all times without the risk of fire. Safety handrail for fire evacuation consisting of a fixing means (9) for fixing.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프레임(5)의 일측면과 건물 외벽 사이에는 상기 제 2 프레임(5)이 건물의 하방으로 선회 되었을 때 건물 외벽이 제 2 프레임(5)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지지 수단(21)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Support means 21 between one side of the second frame 5 a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o that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can support the load of the second frame 5 when the second frame 5 is pivoted downward of the building. Safety handrail for fire evacu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지지 수단(21)은 강재 케이블이나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The support means 21 is a fire escape safety handrail,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cable or wir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서로 인접한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의 둘레면에는 디딤판(7)에 의해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 사이의 간격이 벌어졌을 경우 양끝단이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의 둘레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 1 프레임(3)과 제 2 프레임(5) 사이의 간격범위만큼 펼쳐질 수 있는 추락 방지 와이어(23) 또는 지지바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rame 3 and the second frame 5 adjacent to each other,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rame 3 and the second frame 5 is widened by the tread 7, the first frame is at both ends. (3) and the fall prevention wire 23 or the support bar is mount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rame (5), which can be expanded by the interval range between the first frame (3) and the second frame (5) Safety handrail for fire evacua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힌지(1)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Safety hinge for fire evacu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1) consists of two or mor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프레임(3)의 내부 공간은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2개 이상의 세로 부재(25a,25b)에 의해 2개 이상으로 나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Safety space for fire evacu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frame (3) is divided into two or more by two or more vertical members (25a, 25b)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ground.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 2 프레임(5)의 내부 공간은 건물 높이 방향으로 배치된 2개 이상의 세로 부재(27a,27b)에 의해 2개 이상으로 나뉘어지고,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frame 5 is divided into two or more by two or more vertical members 27a and 27b disposed in the building height direction, 상기 각 세로 부재(27a,27b)의 사이 또는 상기 세로 부재(27a,27b)와 제 2 프레임(5) 사이에는 세로 부재(27a,27b)와 직교 방향으로 펼쳐진 2개 이상의 가로 부재(29a,29b)가 장착되며, At least two horizontal members 29a and 29b extending in the orthogonal direction with the vertical members 27a and 27b between the vertical members 27a and 27b or between the vertical members 27a and 27b and the second frame 5. ), 상기 제 2 프레임(5)에 갖추어지면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세로 부재(27a,27b)의 둘레면 또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세로 부재(27a,27b)와 제 2 프레 임(5)의 둘레면에는 세로 부재(27a,27b)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절개된 가이드홀(31)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Longitudinal members are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vertical members 27a and 27b facing each other and provided on the second frame 5 or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vertical members 27a and 27b facing each other and the second frame 5. Safety handrail for fire evacu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holes 31 cut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27a, 27b) face each other.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기 가이드홀(31)의 위치는 제 2 프레임(5)의 좌측 상단 모서리에서 우측 하단 모서리 또는 우측 상단 모서리에서 좌측 하단 모서리로 갈수록 점차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The position of the guide hole 31 facing each other gradually descends from the upper left corner or the upper right corner to the lower left corner of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second frame 5. 제 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디딤판(7)의 일측 양끝단은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제 1 프레임(3)과 세로 부재(25a,25b)의 둘레면 또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세로 부재(25a)와 세로 부재(25b)의 둘레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축 선회 되고,One end of each side of the tread 7 may be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rame 3 and the vertical members 25a and 25b facing each other or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25a and the vertical member 25b facing each other. Is pivoted while coupled to 상기 디딤판(7)의 타측 양끝단은 서로 마주보고 있는 가이드홀(31)에 연결되어 디딤판(7)의 일측 양끝단이 축 선회 될 때마다 가이드홀(3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Both ends of the other side of the tread plate 7 are connected to the guide holes 31 facing each other so that each end of one side of the tread plate 7 is sli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hole 31. Safety handrail for fire evacuation.
KR1020090077661A 2009-08-21 2009-08-21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KR1009273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661A KR100927317B1 (en) 2009-08-21 2009-08-21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661A KR100927317B1 (en) 2009-08-21 2009-08-21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7317B1 true KR100927317B1 (en) 2009-11-18

Family

ID=4160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661A KR100927317B1 (en) 2009-08-21 2009-08-21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317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295B1 (en) 2015-03-09 2015-08-21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Safty guardrail having refuge ability for building
KR101562205B1 (en) 2015-05-22 2015-10-23 주식회사 에스엠텍 Safety system for escaping the fire place in the high building
WO2017179855A1 (en) * 2016-04-11 2017-10-19 송남용 Handrail provided with evacuation function
KR101863901B1 (en) 2017-08-30 2018-06-01 주식회사 에스엠텍 The folding type fire and disaster escaping system combined using for balcony balustrade
JP2018533379A (en) * 2016-10-13 2018-11-15 ファイン ディーエヌシ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Fine Dnc Co. Ltd An evacuation evacuation device that is used as an integrated folding safety balustrade and an outdoor evacuation staircase.
KR101962656B1 (en) 2017-10-31 2019-03-27 류순모 Disaster Escaping System Equipped with Gate for Skyscrap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271A (en) * 2002-12-16 2004-06-23 김기종 An salvager ladder using a handrail of a veranda
KR100675090B1 (en) 2006-04-05 2007-01-29 김원구 Emergency railing for refuge
KR100845297B1 (en) 2007-06-28 2008-07-10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Ladder installed balcony parapet for escaping in case of emergency
KR100906311B1 (en) 2009-04-29 2009-07-07 류순모 Safety railing for escaping fi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271A (en) * 2002-12-16 2004-06-23 김기종 An salvager ladder using a handrail of a veranda
KR100675090B1 (en) 2006-04-05 2007-01-29 김원구 Emergency railing for refuge
KR100845297B1 (en) 2007-06-28 2008-07-10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Ladder installed balcony parapet for escaping in case of emergency
KR100906311B1 (en) 2009-04-29 2009-07-07 류순모 Safety railing for escaping fir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295B1 (en) 2015-03-09 2015-08-21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Safty guardrail having refuge ability for building
KR101562205B1 (en) 2015-05-22 2015-10-23 주식회사 에스엠텍 Safety system for escaping the fire place in the high building
CN106267594A (en) * 2015-05-22 2017-01-04 Sm科技株式会社 The fire disaster refuge system of the safety in high-rise
WO2016190488A3 (en) * 2015-05-22 2017-05-18 주식회사 에스엠텍 Safe fire escape system for high-rise building
WO2017179855A1 (en) * 2016-04-11 2017-10-19 송남용 Handrail provided with evacuation function
JP2018533379A (en) * 2016-10-13 2018-11-15 ファイン ディーエヌシ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Fine Dnc Co. Ltd An evacuation evacuation device that is used as an integrated folding safety balustrade and an outdoor evacuation staircase.
GB2561038B (en) * 2016-10-13 2021-12-15 Fine Dnc Co Ltd Intergrated folding safety handrail and outdoor escape stairs
KR101863901B1 (en) 2017-08-30 2018-06-01 주식회사 에스엠텍 The folding type fire and disaster escaping system combined using for balcony balustrade
KR101962656B1 (en) 2017-10-31 2019-03-27 류순모 Disaster Escaping System Equipped with Gate for Skyscrap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317B1 (en)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KR100640021B1 (en) Apparatus for refuge
KR100923639B1 (en) Safety railing for escaping fire
KR101030286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emergency having a boarding structure using exclusively in a balustrade of veranda
KR102021931B1 (en) Fire Escaping Apparatus for Two Neighbors
KR101099760B1 (en)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KR100937336B1 (en) A safety balustrade including a means for emergency escaping
KR20070060646A (en) Ladder structure for emergency escape from building
KR100613880B1 (en) Emergency shelter device using a handrail balcony
CN211169414U (en) Structure of house additional elevator
KR101548010B1 (en) Fence apparatus for veranda of apartment house with emergency exit
KR101099765B1 (en)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KR101161562B1 (en) A Folded Rescue Ladder installed on Veranda Which has a Protection Rear Cover
KR20160143606A (en) Escape ladder for emergency
KR100915305B1 (en) A safety railing for escaping fire having non-inflammable cloth
KR200357968Y1 (en) Rail for escape
KR101080809B1 (en)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KR100906311B1 (en) Safety railing for escaping fire
KR101111888B1 (en) Safety handrail having a foot supporting means for escaping fire
KR100905490B1 (en) Ladder apparatus for disaster escape
KR20110083820A (en) A safety guardrail on which a rotary type fire rescue ladder attached
KR101141292B1 (en) Safety railing which is transformed into rescue ladder during the event of fire
KR101111887B1 (en) Rotary ladder type safety handrail for escaping fire
KR101047147B1 (en) Escaping equipment for high-rise building
KR101080810B1 (en) A semicircle type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