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046B1 - 채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채혈기 - Google Patents

채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채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046B1
KR101976046B1 KR1020170023100A KR20170023100A KR101976046B1 KR 101976046 B1 KR101976046 B1 KR 101976046B1 KR 1020170023100 A KR1020170023100 A KR 1020170023100A KR 20170023100 A KR20170023100 A KR 20170023100A KR 101976046 B1 KR101976046 B1 KR 101976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laser
cap
guide tube
ca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6404A (ko
Inventor
최종석
Original Assignee
(주)라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메디텍 filed Critical (주)라메디텍
Priority to KR1020170023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0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96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61B5/1405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 A61B5/1411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by percutaneous method, e.g. by lanc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43Collection vessels for collecting blood samples from the skin surface, e.g. test tubes, cuvet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34Bladeless capillary blood sampling devices, i.e. devices for perforating the skin in order to obtain a blood sample but not using a blade, needle, canula, or lancet, e.g. by laser perforation, suction or pressurized fluids
    • A61B5/15136Bladeless capillary blood sampling devices, i.e. devices for perforating the skin in order to obtain a blood sample but not using a blade, needle, canula, or lancet, e.g. by laser perforation, suction or pressurized fluids by use of radiation, e.g. la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혈 캡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 캡은 개구부 및 개구부 주변을 따라 접촉 지점에 대하여 지지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캡 본체, 상기 캡 본체의 개구부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한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관통홀의 개구부를 막는 경계막; 및 상기 관통홀에 일단이 연결되는 관형의 혈액유도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채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채혈기{CAP FOR COLLECTING BLOOD AND LASER LANCING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채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채혈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첨단 기술들의 발달과 함께 각종 의료기기들의 발달에 따라 의료 분야에서도 예전과 달리 첨단의 레이저기기들이 각종 질병의 치료에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혈액 검사를 하기 위해 채혈을 하는 경우, 특히 소량 채혈을 할때는 바늘로 피부조절을 직접 절개하거나 구멍을 만들어 채혈하는데, 채혈하는 기구는 란셋(Lancet)이라고 불리는 바늘이다. 일반적으로 당뇨 환자의 경우, 1일 2~3회 정도의 채혈을 하는데, 채혈 시 고통과 불안감, 출혈, 세균 감염 등의 가능성이 상존한다. 특히, 만성 당뇨환자의 경우 하루 최소 5회 이상을 채혈해야 하는데, 란셋에 의한 잦은 채혈로 압통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잦은 채혈로 인한 란셋의 반복 사용은 교차 감염의 위험성도 갖고 있어, 란셋 사용의 번거러움과 채혈 후 사후 위생적 처리도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레이저를 이용한 채혈장치를 이용하여 피부를 천공함으로써 천공된 피부로부터 채혈을 하거나, 천공된 작은 구멍으로 약제를 투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51890호(발명의 명칭: 이중 안전장치를 구비한 휴대형 레이저 채혈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일회용 캡)에서는, 레이저를 생성하여 일 방향으로 조사하는 레이저 모듈과, 레이저가 피부 천공부위에 국소적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레이저 조사방향으로 구비된 피부밀착 접속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레이저 채혈기 및 레이저 채혈기에 사용하는 일회용 캡이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레이저 채혈기는 피부를 천공한 후, 채혈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혈액을 채취해야 하며, 사용자의 혈액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공기에 노출되는 부분이 많아 혈액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쉽고 안전하게 혈액을 채혈할 수 있는 레이저 채혈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채혈된 혈액을 혈액 저장부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채혈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채혈 캡은, 개구부 및 개구부 주변을 따라 접촉 지점에 대하여 지지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캡 본체, 상기 캡 본체의 개구부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한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관통홀의 개구부를 막는 경계막; 및 상기 관통홀에 일단이 연결되는 관형의 혈액유도관을 포함한다.
한편, 본원의 제2 측면에 따른 레이저 채혈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레이저 광을 발생시켜 전방으로 출력하는 레이저 발진기; 상기 레이저 발진기의 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부가 고정된 빔경통; 상기 레이저 발진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부; 및 상기 빔경통의 전방에 위치하는 청구항 1 내지 10에 따른 채혈 캡과 결합되는 홈을 포함한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레이저 채혈기에 채혈 캡을 통해 손쉽고 안전하게 혈액을 채혈할 수 있는 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채혈 캡의 혈액유도관을 절단하고, 개방된 상부에 마개부를 이용하여 보관하여 안전하게 혈액을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채혈기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혈 캡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혈 캡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혈 캡의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채혈 캡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채혈 캡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은 채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채혈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채혈기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혈 캡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혈 캡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혈 캡의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채혈 캡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채혈 캡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의 사시도이다.
우선,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채혈기(200)(이하, '레이저 채혈기(200)'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레이저 채혈기(200)는 하우징(210), 레이저 발진기(220), 빔경통(230), 컨트롤부(240) 및 채혈 캡(100)을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내부에 피부에 레이저를 조사하기 위한 구성이 위치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 발진기(220)는 하우징(210)의 내부에 위치하고, 광에너지를 발생시켜 전방으로 출력한다.
예시적으로, 레이저 발진기(220)는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빛을 증폭시켜 기체 레이저, 액체 레이저, 고체 레이저 및 반도체 레이저 중 선택되는 하나의 레이저와 같은 광에너지를 발생시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상술한 레이저 발진기(220)는 레이저 채혈기(200)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빔경통(230)은 레이저 발진기(220)의 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부(231)가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렌즈부(231)는 포커싱 렌즈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빔경통(230)은 레이저 발진기(2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가 통과하여 피부로 조사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컨트롤부(240)는 레이저 채혈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컨트롤부(240)는 전원스위치, 강도 조절부, 및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스위치는 레이저의 에너지원이 되는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고, 강도 조절부는 레이저 발진기(220)에서 발진되는 레이저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표시부는 강조조절부에서 조절된 강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원스위치 및 강도조절부는 물리적 버튼 또는 터치패널이고, 표시부는 액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전원 스위치, 강도조절부, 및 표시부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터치 디스플레이를 터치함에 따라 전원 또는 레이저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컨트롤부(240)는 하우징(210)의 후면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레이저 채혈기(2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컨트롤부(240)를 조작할 수 있다.
채혈 캡(100)은 빔경통(230)의 전방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된다. 채혈 캡(100)은 피부에 접촉되고, 피부를 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냄새, 연기,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빔경통(230)이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빔경통(23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아울러, 사용자마다 채혈 캡(100)을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레이저 채혈기(200)를 함께 사용하는 환자 간의 감염이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혈 캡(1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채혈 캡(100)은 캡 본체(110), 관통홀(120), 경계막(130), 및 혈액유도관(140)을 포함한다.
캡 본체(110)는 개구부(111) 및 개구부(111) 주변을 따라 접촉 지점에 대하여 지지되는 지지면(112)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캡 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에 개구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캡 본체(110)는 캡 본체(110)의 지지면(112)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113)를 통해, 채혈 캡(110)을 레이저 채혈기(200)에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다. 개구부(111)의 면적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것이나, 레이저 채혈기(20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가 채혈 캡(110)의 관통홀(120)에 간섭되지 않도록, 레이저의 진행 경로를 확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적정한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채혈 캡(110) 주로 접촉하는 손가락 끝의 평균적인 면적보다는 작도록 설계하여, 접촉 부위에 적절한 압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지지면(112)은 채혈 캡(110)이 접촉되는 지점에 대하여 채혈 캡(110)이 밀착될 수 있도록 적정한 면적을 확보하도록 한다.
또한, 채혈 캡(100)은 캡 본체(110)에 결합되어, 레이저 채혈기(200)의 레이저 출력부에 캡 본체(110)를 결합하는 체결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체결부(180)는 캡 본체(110)의 후면의 둘레부에 위치하여,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내면에 형성된 돌기부(18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181)는 레이저 채혈기(200)의 하우징(210)의 단부 또는 빔경통(230)의 단부에 형성된 홈에 걸림결합되어, 채혈 캡(100)이 비의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관통홀(120)은 캡 본체(110)의 개구부(111)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한다. 또한, 관통홀(120)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레이저 채혈기(200)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가 외부로 조사되도록 함과 동시에, 피부의 채혈지점에서 출액된 혈액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예시적으로, 관통홀(120)은 레이저 채혈기(20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가 관통되며, 사용자의 혈액이 유입될 수 있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120)의 형상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경계막(130)은 관통홀(120)의 후방에 위치하며, 관통홀(120)의 개구부를 막는다. 이를 통해, 출액된 혈액에 의해 레이저 채혈기(20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경계막(130)은 레이저가 노이즈를 일으키지 않고, 통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투명한 재료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또한, 경계막(130)은 캡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캡 본체(110)가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고, 관통홀(120)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함몰형성됨에 따라, 경계막(130)이 형성될 수 있다.
혈액유도관(140)은 관통홀(120)에 일단이 연결되고, 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혈액유도관(140)은 금속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혈액유도관(140)은 관통홀(120)과 연통되어, 관통홀(120)로 유입된 혈액이 저장되거나 후술되는 채혈관(300) 또는 혈액저장부(180)로 혈액이 이동되는 통로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채혈 캡(100)은 캡 본체(110)의 전면에 개구부(111)의 테두리를 따라 위치하며, 피부와의 밀착상태를 강화하는 실링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실링부(160)는 실리콘 테이프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실링부(160)는 캡 본체(110)의 전면에 위치하여, 채혈 시, 피부에 접촉되어 혈액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공기가 관통홀(120)의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실링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또한, 실링부(160)의 배치를 위해, 캡 본체(110)의 개구부(111)가 지지면(112)으로부터 실링부(160)의 두께만큼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혈액유도관(140)은 그 외주면에 위치하며, 혈액유도관(140)의 타단으로부터 토출되는 혈액을 저장되는 채혈관(300)에 결합되는 결합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결합부(14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 형태로 형성되어, 채혈관(300)의 상부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혈액유도관(140)의 타단은 채혈관(300)의 상부에 형성된 막을 관통하기 위해, 사선으로 절단된 형태일 수 있다.
상술한 채혈관(300)이란 혈액을 채취하고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진공채혈관(300)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내부가 진공상태인 채혈관(300)을 혈액유도관(140)에 연결함에 따라, 혈액유도관(140)의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어, 관통홀(120)로 유입된 혈액이 혈액유도관(140)을 통해 채혈관(3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채혈 캡(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채혈 캡(100)은 혈액유도관(140)의 타단에 연결되는 압축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압축부(150)는 압축함에 따라 혈액유도관(140)으로 혈액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압력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압축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바라 형태일 수 있으나 이이 한하지는 않는다.
상세하게는, 채혈 캡(100)을 레이저 채혈기(200)에 장착한 후, 압축부(150)를 압축하여 혈액유도관(140)에 위치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혈액유도관(140)의 내부에 음압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채혈 캡(100)을 피부에 밀착시킨 후, 레이저 채혈기(200)를 통해 피부를 천공하며, 이때 채혈된 혈액은 관통홀(120)을 통해 혈액유도관(14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아울러, 도 5를 참조하면, 혈액유도관(140)은 상부의 둘레부를 따라 절단홈(142)이 함몰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혈액을 채혈한 후, 절단홈(142)을 따라 혈액유도관(140)을 꺽어 캡 본체(110)로부터 혈액유도관(140)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혈액유도관(140)은 후술되는 마개부(190)에 삽입하여, 안전하게 혈액을 보관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채혈 캡(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채혈 캡(100)은 압축부(150)와 혈액유도관(140) 사이에 위치하고, 내부에 혈액이 저장되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혈액저장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혈액저장부(180)는 판형으로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혈액을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혈액저장부(180) 내에는 별도의 시료가 위치하여, 혈액과 시료가 반응하여 채혈함과 동시에 혈액을 검사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채혈 캡(100)을 레이저 채혈기(200)에 장착한 후, 압축부(150)를 압축하여 혈액유도관(140) 및 혈액저장부(180)에 위치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혈액유도관(140) 및 혈액저장부(180)의 내부에 음압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채혈 캡(100)을 피부에 밀착시킨 후, 레이저 채혈기(200)를 통해 피부를 천공하며, 이때 채혈된 혈액은 혈액유도관(140)을 통해 혈액저장부(18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혈액 저장부(180) 내에는 항원 항체 반응을 센싱할 수 있는 바이오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혈액 유도관(140)을 통해 혈액 저장부(180)로 유입된 혈액이 바이오 센서에 접촉하여 다양한 검사 또는 진단을 할 수 있는 진단키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혈액유도관(14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혈액 유도관(130)과 동일하게 상부의 둘레부에 절단홈(142)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혈액을 채혈한 후, 절단홈(142)을 따라 혈액유도관(140)을 꺽어 캡 본체(110)로부터 혈액유도관(140)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혈액유도관(140)은 후술되는 마개부(190)에 삽입하여, 안전하게 혈액을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채혈 캡(100)을 사용할 경우, 별도의 진공채혈관(300)에 연결하지 않고 혈액을 채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축부(150)을 이용하여 음압을 형성하여 손쉽게 혈액을 채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혈액유도관(140)의 절단홈(142)을 따라 절단된 부분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삽입홈(191)이 형성된 마개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마개부(190)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돌출형성된 부분이 함몰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삽입홈(19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혈액유도관(140) 또는 혈액저장부(180)에 혈액을 저장한 후, 혈액유도관(140)을 캡 본체(110)로부터 분리하고, 마개부(190)의 관삽입홈(191)에 삽입하여, 외부로부터 혈액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마개부(190)는 복수의 관삽입홈(191)을 포함할 경우, 복수의 혈액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채혈 캡
110 : 캡 본체 111 : 개구부
112 : 지지면 113 : 손잡이부
120 : 관통홀 130 : 경계막
140 : 혈액유도관 141 : 결합부
142 : 절단홈
150 : 압축부 160 : 실링부
180 : 혈액저장부 190 : 마개부
191 : 관삽입홈
180 : 체결부 181 : 돌기부
200 : 레이저 채혈기
210 : 하우징 220 : 레이저 발진기
230 : 빔경통 231 : 렌즈부
240 : 컨트롤부
300 : 채혈관

Claims (12)

  1. 레이저 채혈기에 장착되는 채혈 캡에 있어서,
    개구부 및 개구부 주변을 따라 접촉 지점에 대하여 지지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캡 본체;
    상기 캡 본체의 개구부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한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관통홀의 개구부를 막는 경계막; 및
    상기 관통홀에 일단이 연결되는 관형의 혈액유도관을 포함하는 채혈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레이저 채혈기의 레이저 출력부에 캡 본체를 결합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채혈 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의 지지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채혈 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의 전면에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위치하며 피부와의 밀착 상태를 강화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채혈 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캡 본체의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실링부의 두께만큼 함몰되어 형성된 것인 채혈 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유도관은
    그 외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혈액유도관의 타단으로부터 토출되는 혈액을 저장하는 채혈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인 채혈 캡.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유도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혈액 유도관으로 혈액이 유입될 수 있도록 압력을 형성하는 압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채혈 캡.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와 혈액유도관 사이에 위치하고, 내부에 혈액이 저장되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혈액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채혈 캡.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유도관은 상부의 둘레부를 따라 절단홈이 함몰형성된 것인 채혈 캡.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유도관의 절단홈을 따라 절단된 부분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삽입홈이 형성된 마개부를 더 포함하는 채혈 캡.
  11. 레이저 채혈기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레이저 광을 발생시켜 전방으로 출력하는 레이저 발진기;
    상기 레이저 발진기의 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부가 고정된 빔경통;
    상기 레이저 발진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부; 및
    상기 빔경통의 전방에 위치하며,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채혈 캡과 결합되도록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레이저 채혈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을 이용해 상기 채혈 캡과 결합된 레이저 채혈기.
KR1020170023100A 2017-02-21 2017-02-21 채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채혈기 KR101976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100A KR101976046B1 (ko) 2017-02-21 2017-02-21 채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채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100A KR101976046B1 (ko) 2017-02-21 2017-02-21 채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채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404A KR20180096404A (ko) 2018-08-29
KR101976046B1 true KR101976046B1 (ko) 2019-05-08

Family

ID=63435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100A KR101976046B1 (ko) 2017-02-21 2017-02-21 채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채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0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922B1 (ko) 2018-11-02 2021-03-04 (주)라메디텍 채혈 캡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저 채혈기
KR102244869B1 (ko) 2019-03-27 2021-04-27 성연문 채혈기를 구비한 시약반응기
KR20230164807A (ko) 2022-05-25 2023-12-05 (주)라메디텍 채혈 및 혈당 측정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27609Y (zh) 2007-08-28 2008-10-08 洪峰 激光采血仪的防护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890B1 (ko) * 2011-03-31 2013-04-08 (주)아이소텍 이중 안전장치를 구비한 휴대형 레이저 채혈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일회용 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27609Y (zh) 2007-08-28 2008-10-08 洪峰 激光采血仪的防护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404A (ko)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36566B (zh) 激光采血仪
JP4536890B2 (ja) 成分測定装置用チップおよび成分測定システム
US9839386B2 (en) Body fluid sampling device with capacitive sensor
US6315738B1 (en) Assembly having lancet and means for collecting and detecting body fluid
JP4522364B2 (ja) 体液のサンプル採取装置
KR101976046B1 (ko) 채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채혈기
US20050004494A1 (en) Lancet device having capillary action
JP5395943B2 (ja) 穿刺装置及び血液分析装置
US2014014254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ancet actuation
US20040220495A1 (en) Diagnostic device
JP2004000459A (ja) 診断テスト用血液の採取方法及び装置
WO2007108513A1 (ja) バイオセンサーおよび成分濃度測定装置
KR20080095267A (ko) 혈액 검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2170348A1 (en) Integrated lancing device
WO2004002312A1 (ja) 体液採取具
JP2019537483A (ja) 一体化された吸収材料を有する採血装置
JP2021097998A (ja) ユーザーの流体のサンプルを抽出および採取するためのサンプル採取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3834185B2 (ja) 成分測定装置
JP4493172B2 (ja) 成分測定装置
JP2002058662A (ja) 成分測定装置
JP4362496B2 (ja) 成分測定装置
KR20100025086A (ko) 원 터치 레이저 혈당 측정장치,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혈당 측정방법
WO2004112613A1 (ja) 体液採取具および体液採取方法
JP2008093146A (ja) 血液検査装置
JP2009226042A (ja) 体液採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