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451B1 -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451B1
KR101975451B1 KR1020160129557A KR20160129557A KR101975451B1 KR 101975451 B1 KR101975451 B1 KR 101975451B1 KR 1020160129557 A KR1020160129557 A KR 1020160129557A KR 20160129557 A KR20160129557 A KR 20160129557A KR 101975451 B1 KR101975451 B1 KR 101975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seawater
chlorine
unreacted
bubble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8658A (ko
Inventor
문원호
성왕기
윤지현
김주원
허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케이
Priority to KR1020160129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451B1/ko
Priority to PCT/KR2017/006575 priority patent/WO2018066787A1/ko
Publication of KR20180038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 E02B1/006Arresting, diverting or chasing away fish in water-courses or water intake ducts, seas or lakes, e.g. fish barrages, deterrent devices ; Devices for cleaning fish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2Water-ways
    • E02B9/04Free-flow canals or flumes; Int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발전플랜트 연돌로부터 포집하는 이산화탄소 포집기,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해수에 용해시키는 버블트랩, 버블트랩에서 미용해된 이산화탄소를 용해되는 이산화탄소 용해 탱크, 이산화탄소 용해 탱크로부터 이송된 이산화탄소 함유 순환용 해수를 공급받아 버블을 발생시키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 냉각용 해수의 pH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염소계 살균제 발생부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sticking of marine life on power station intake hole using carbon dioxide and chlorinated disinfectant}
본 발명은 발전 플랜트 연돌로부터 포집한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 생물 부착억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 생물이 발전 플랜트 열교환기에 부착되지 않도록 발전 플랜트 연돌로부터 포집한 이산화탄소와 전기분해장치로부터 생성된 염소계 살균제를 냉각용 해수에 주입하여 해양 생물의 부착을 억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전 플랜트에 있어서 열교환기의 성능은 연료와 이산화탄소가스(CO2) 배출량의 삭감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통상적으로 냉각수로서 해수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해양생물(따개비류, 홍합류 등)이 열교환기의 배관 외부 등에 부착하여 성능이 저하되므로 해양생물에 의한 오염과 부착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살균력이 강한 염소계 살균제를 주입하여 해수 취수구의 해양생물이 부착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술이 일반적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염소계 살균제는 지역에 따라서는 적용할 수 없는 발전소가 있고, 특히 잔류 염소가 너무 많으면 유익한 해양생물마저도 사멸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잔류 염소가 너무 적으면 해양 생물이 발전소 내 냉각수 냉각기에 부착하는 등 잔류 염소의 농도 조절이 매우 어려워 부착 생물에 의한 피해를 완벽하게 예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내포하고 있다.
한편, 지구 온난화의 주된 원인인 온실 효과는 이산화탄소, 수증기, 메탄, 프레온 가스, 오존 등이 주요 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이 중 온실 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석탄, 석유와 같은 화석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이다.
이산화탄소 배출을 규제하기 위한 탄소배출권, 대량의 CO2가 대기로 배출되기 전에 고농도로 모은 후 압축 수송해 저장하는 기술인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관련 기술이 전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발전소의 주요 피해 대상인 해수 중 생물의 부착이나 설비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는 슬라임을 억제하고, 갈수록 문제가 되는 이산화탄소 문제를 함께 해소하기 위한 종래 기술인 일본특허공보 제5295819호에는 해수유로에서 취수한 해수를 혼합부에 도입 감압하고, 감압된 해수에 가스유로로부터 도입한 이산화탄소 가스를 해수와의 체적혼합비(이산화탄소가스/해수) 0.1 ∼ 4/100 만큼 주입함으로써 해수 중에 직경 10 ∼ 수십 μm인 이산화탄소가스의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키고, 이 마이크로버블에서 이산화탄소가스를 해수에 용해시켜 해수의 pH를 6.4 ∼ 8.1의 범위내로 조절하면서 상기 pH 범위 내에서 해양생물의 부착 방지가 가능한 해양생물 부착 방지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 의하면, 배기가스인 이산화탄소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입한 이산화탄소가 해양 생물의 부착방지에 효과적인 pH 범위로 조절하여 해양생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해수유로에서 취수한 해수를 혼합부에 도입 감압하고, 감압된 해수에 가스유로로부터 도입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를 사용하고 있어, 도입된 이산화탄소의 전량이 용해되기 어려워 과량으로 투입하여야 한다. 이 외에도 연돌로부터의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배출농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 현재의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CCS : Carbon Capture & Storage)로는 고순도의 이산화탄소로 정제하기가 어려워, 해양 생물의 부착방지에 적합한 해수의 pH 조절이 곤란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일본특허공보 제5295819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2-19355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양 생물의 부착방지에 사용하고 있는 기존 염소계 살균제와 함께 지구 온난화의 원인 물질인 이산화탄소를 해수 pH 조절제로 사용함으로써, 염소계 살균제에 의한 생태계 파괴를 저감하고 나아가 이산화탄소 포집기술의 한계점을 함께 극복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부착 억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장치는, 발전플랜트 연돌(10)로부터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이산화탄소 포집기(20), 해양 생물이 발전 플랜트 열교환기에 부착되지 않도록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기(20)로부터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열교환기의 냉각용 해수에 용해시키기 위한 버블트랩(40), 상기 버블트랩(40)에서 용해되지 않은 미반응 이산화탄소를 이송하는 진공펌프(50), 상기 진공펌프(50)로부터 이송된 미반응 이산화탄소와 순환용 해수가 공급되어 액막화 현상에 따라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키는 이산화탄소 용해 탱크(60) 및 상기 이산화탄소 용해 탱크(60)로부터 이송된 이산화탄소 함유 순환용 해수가 공급되어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80), 마이크로버블 발생기(80)로부터 공급된 버블이 포함된 냉각용 해수의 pH를 측정하는 측정부(90) 및 염소계 살균제를 생산하는 염소계 살균제 발생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장치에서는, 상기 버블트랩(40)은 이산화탄소 산기장치(41) 및 미반응 이산화탄소 포집장치(43)를 포함하되, 상기 이산화탄소 산기장치(41)는 다수개의 이산화탄소 방출구멍(414)과 이산화탄소 가둠공간(413)이 형성된 메인산기관(411),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기(20)로부터 포집한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는 연결구(412), 상기 연결구(412)에 결합되는 연결부(415), 상기 연결부(415) 외주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지지관(416) 및 제1지지부(417)를 통해 상기 다수의 제1지지관(416)과 연결되는 상측 중앙부에 제1배출구(418)가 형성된 제1기체포집체(419)를 포함하고, 상기 미반응 이산화탄소 포집장치(43)는 포집장치 지지부(431, 432), 산기장치 고정부(433) 및 미반응 이산화탄소 배출관(435)을 구비한 상협하광(上狹下廣)구조의 포집장치 천정부(4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장치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산기장치(41)는 상기 제1배출구(418)와 연결되는 제2지지관(420), 상기 제2지지관(420)과 연결된 제2지지부(421), 상기 제2지지부(421)와 연결되며 상부가 폐쇄된 보조산기관(422) 및 연결수단을 통해 제1지지부(417)와 연결되며 상기 보조산기관(422) 상부에 위치하는 제2배출구(424)가 구비된 제2기체포집체(4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장치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산기장치(41)는 2개 이상 다단으로 적층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장치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용해 탱크(60)는 탱크 본체(61), 상기 탱크 본체(61) 내부에 마련된 호리병 형상의 액포 생성 용기(62), 상기 탱크 본체(61) 일측에 구비된 배출구(64) 및 상기 미반응 이산화탄소와 순환용 해수의 혼합물을 상기 액포 생성 용기(62) 내부로 공급하는 미반응 이산화탄소와 순환용 해수 혼합물 공급관(63)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방법은, 발전 플랜트 연돌(10)로부터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단계 제1단계, 상기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이송용 블로워(30)를 통해 버블트랩(40)에 공급하여 상기 이산화탄소를 열교환기의 냉각용 해수에 용해시키는 제2단계, 상기 버블트랩(40)에서 용해되지 않은 미반응 이산화탄소와 순환용 해수를 이산화탄소 용해탱크(60)에 공급하여 액막화 현상으로 이산화탄소를 순환용 해수에 용해시키는 제3단계, 상기 미반응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순환용 해수를 마이크로버블 발생기(80)로 공급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제4단계, 냉각용 해수의 pH가 설정범위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는 제5단계 및 측정한 pH 값이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염소계 살균제를 투입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방법은, 상기 제4단계 이후 해수의 pH가 6.4 내지 7.7의 범위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방법에서, 상기 버블트랩(40)에 공급하는 이산화탄소는 50 내지 140mg/L의 비율로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 억제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온실가스의 원인 물질인 이산화탄소를 해수 pH 조절제 및 해양생물의 마취제로 사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면서도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이산화탄소 주입을 통한 해수 pH의 조절이 곤란한 경우에만 염소계 살균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생태계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이산화탄소 산기장치와 미반응 이산화탄소 포집장치로 이루어진 버블트랩, 미반응 이산화탄소를 재용해하고 미세한 기포를 형성하는 이산화탄소 용해장치와 마이크로버블 발생기, 액막화 기술에 효과적인 반응구조로 인해, 해수에 투입한 이산화탄소가 완전히 용해되어 2차적인 환경오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적은 양의 이산화탄소 주입으로도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해수 pH를 조절함으로써 해양생물의 부착율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어 발전 플랜트의 열교환기 배관 등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버블트랩을 이루는 이산화탄소 산기장치의 상세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버블트랩을 이루는 미반응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a : 정면도, b : A-A’ 단면도).
도 4는 버블트랩을 이루는 미반응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미반응 이산화탄소 용해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방법의 플로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이산화탄소 주입량 변화에 따른 해양미생물의 부착방지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부착 억제 장치는 이산화탄소 포집기(20), 버블트랩(40), 흡입펌프(50), 이산화탄소 용해탱크(60), 순환수 펌프(70), 마이크로버블 발생기(80), 측정부(90) 및 염소계 살균제 발생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 구성들을 상세히 살펴보면, 이산화탄소 포집기(20)는 발전플랜트 연돌(10)로부터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장치이다.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또는 포집방법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공지된 장치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버블트랩(40)은 해양 생물이 발전 플랜트 열교환기에 부착되지 않도록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기(20)로부터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열교환기의 냉각용 해수에 용해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버블트랩(40)의 구성에 관해 도 2 내지 4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버블트랩(40)은 이산화탄소 산기장치(41)와 미반응 이산화탄소 포집장치(43)로 대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이산화탄소 산기장치(41)에 관해 살펴보면, 상기 이산화탄소 산기장치(41)는 이산화탄소 포집기(20)로부터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해수 내에서 방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기(20)로부터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송관로가 연결구(412)에 연결되어 해수 내에서 세워져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산화탄소 산기장치(41)는 상기 연결구(412)에 결합되는 메인 산기관(411), 제1지지관(416), 제1기체포집체(419), 제2지지관(420), 보조산기관(422) 그리고 제2기체포집체(423)로 이루어지며, 피처리수의 깊이와 이산화탄소 용해율을 고려하여 상기 제2기체포집체(423)의 상측에 상기 제2지지관(420)과 보조산기관(422)을 상기 제1기체포집체(419)와 제2기체포집체(4230)와 동일한 다수의 기체포집체를 적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산기장치(41)를 통해 이산화탄소가 용해되는 작용 원리를 살펴보면, 연결구(412)를 통해 유입된 이산화탄소는 메인산기관(411)의 측면으로 방출되면서 상승되므로 해수에 이산화탄소를 원활하게 용해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수와의 교반 작용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메인산기관(411)에 형성된 기체가둠공간(413)에서는 이산화탄소의 압축과 팽창이 일어나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어 별도의 진동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이산화탄소 방출구멍(414)에서 미세기포와 조대기포가 혼합 발생되어 이산화탄소의 용해 효율과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산기관(411)으로부터 방출된 이산화탄소는 제1기체포집체(419)에서 포집된 후 제1배출구(418)를 통해 상부로 이송되고, 제2지지부(421)에 의해지지 결합되는 보조산기관(422)은 메인산기관(411)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부면이 폐쇄되어 있다.
상기 제2기체포집체(423)는 상기 보조산기관(422)의 상부를 씌워서 상기 보조산기관(422)에서 방출되는 기체를 포집하고, 상기 포집된 기체는 상기 제2기체포집체(423)의 상측 중앙부에 형성된 제2배출구(424)를 통해 상부로 배출된다.
도 3은 버블트랩을 이루는 미반응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미반응 이산화탄소 포집장치(43)는 포집장치 지지부(431, 432), 도 2에 도시된 산기장치가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연결되어 있는 이산화탄소 산기장치(41), 산기장치 고정부(433) 및 미반응 이산화탄소 배출관(435)을 구비한 포집장치 천정부(43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포집장치(43)는 이산화탄소 산기장치(41)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가진 소정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집장치 본체(43)는 하부면과 측면은 개방되어 있고, 상부면 즉 천정부(434)는 폐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정부(434)는 미반응 이산화탄소 배출관(435)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폐쇄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 천정부(434)는 위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상협하광(上狹下廣)구조이고 상기 단면적이 가장 작은 상부면의 꼭지점 부근에 상기 이산화탄소배출관(435)을 구비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면을 상기와 같은 구조로 제작함으로써 미반응 이산화탄소를 용기하게 포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할 이산화탄소 용해탱크(60)로 공급하는 것도 매우 용이하다.
또한 상기 미반응 이산화탄소 포집장치(43)를 해수 저면에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포집장치 지지부(431, 432)의 내부 공간부 소정위치에는 상기 이산화탄소 산기장치(41)를 해수 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키면서 고정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산기장치 고정부(433)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산화탄소 산기장치 고정부(433)는 이산화탄소 포집기(20)로부터 이송되는 이산화탄소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이산화탄소 산기장치(41)의 연결구(412)와 상호 연통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해수는 다수개의 포집장치 지지부(431, 432) 사이 측면과 하면 공간부를 통하여 자유롭게 유동이 가능하고, 산기장치(41)의 제2배출구(424)를 통해 배출되는 미반응 이산화탄소는 산기장치(41)의 상부에 위치하는 포집장치 천정부(434)에 모이게 되며, 이러한 미반응 이산화탄소는 미반응 이산화탄소 배출관(435)과 연통된 흡입펌프(50)에 의하여 흡입되어 이산화탄소 용해탱크(60)로 이송된다. 물론 미반응 이산화탄소뿐만 아니라 일부 해수도 이산화탄소 배출관(435)으로 이송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는 버블트랩을 이루는 미반응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이산화탄소 배출관(435)은 다수개의 이산화탄소 산기장치(41)의 제2배출구(424)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3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미반응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천정부(435)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반면, 이산화탄소 산기장치(41)의 제2배출구(424)를 통하여 방출되는 미반응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도록 제2배출구(424)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이산화탄소 배출관(43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이산화탄소 배출관(435)은 흡입펌프(50)와 연통되어 이산화탄소 용해탱크(60)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이산화탄소 산기장치(41)의 배열이나 개수는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음은 도 5를 참고하면서, 이산화탄소 용해 탱크(6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산화탄소 용해탱크(60)는 탱크 본체(61), 상기 탱크 본체(61) 내부에 마련된 액포생성용기(62), 미반응 이산화탄소와 순환용 해수 혼합물 공급관(63) 및 배출관(6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액포생성용기(62)는 상기 탱크 본체(61) 내부에 마련되며 목부를 갖는 호리병 형상이다. 상기와 같이 액포 생성 용기(62)가 호리병 형상인 이유는 이산화탄소의 용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포의 액막화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버블트랩(40)에서 용해되지 않은 미반응 이산화탄소와 순환수 펌프(70)에 의해 순환되는 해수가 공급관(63)을 통하여 상기 탱크 본체(61) 내부의 액포생성용기(62)로 분사된다. 분사된 이산화탄소와 해수의 혼합물은 전량 상기 액포생성용기(62) 상부에서 물방울 형태로 액막을 형성하면서 아주 얇은 막의 상태로 상기 액포생성용기(62)를 넘쳐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해수의 순환수 전량이 상기와 같은 얇은 막의 형태를 유지하므로 이산화탄소와 해수와의 접촉효율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용해율이 증대되는 이유이다.
여기서 액막화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순환용 해수는 탱크 본체(61) 일측에 구비된 배출관(64)을 통하여 후술할 마이크로버블 발생기(80)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 탱크 본체(61)의 형상이나 크기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이산화탄소와 순환수가 쉽게 유동할 수 있도록 바닥면과 측면은 부드러운 곡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해수가 유입되므로 내식성이 강한 재질이나 내식성이 강한 물질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이산화탄소 용해 탱크(60)로부터 이송된 이산화탄소 함유 순환용 해수는 미세한 기포를 형성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80)로 유입되며,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기(80)에서는 수십 μm 크기의 기포를 발생시켜 해수로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마이크로버블 발생기(80)의 종류나 방법은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이젝트방식, 산기방식 등이 적용된 공지의 발생기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기(80)로부터 발생한 기포가 함유된 냉각용 해수의 소정 위치에는 측정부(90)가 더 구비되고, 또한 냉각용 해수에 염소계 살균제를 공급하기 위한 염소계 살균제 발생부(100)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도 1 참조).
여기서, 상기 측정부(90)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80)로부터 공급된 기포가 혼합된 이후의 해수 pH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와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전플랜트 연돌(10)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일정하지 않거나, 이산화탄소 포집기(20)로부터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해양생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는 pH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냉각용 해수의 pH를 측정하여 해양생물이 부착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만약 측정한 pH 값이 소정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염소계 살균제 발생부(100)로부터 생산한 염소계 살균제를 투입하여 해양생물의 부착을 제어한다. 즉, 측정부(90)는 냉각용 해수의 pH를 측정하고, pH 값이 소정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염소수 저장탱크로부터 염소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해수로부터 염소수를 생산하는 장치는 공지의 기술에 해당되므로, 전기분해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생물 부착 방법은 발전플랜트 연돌(10)로부터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제1단계, 상기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이송용 블로워(30)를 통해 버블트랩(40)에 공급하여 상기 이산화탄소를 열교환기의 냉각용 해수에 용해시키는 제2단계, 상기 버블트랩(40)에서 용해되지 않은 미반응 이산화탄소와 순환용 해수를 이산화탄소 용해탱크(60)에 공급하여 액막화 현상으로 이산화탄소를 순환용 해수에 용해시키는 제3단계, 상기 미반응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순환용 해수를 마이크로버블 발생기(80)로 공급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제4단계, 냉각용 해수의 pH가 설정범위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는 제5단계 및 냉각용 해수의 pH가 설정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염소계 살균제를 투입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해양 생물 부착 억제 방법을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화석연료를 연소함으로써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스를 발전플랜트 연돌(10)로부터 포집한다. 여기서 이산화탄소는 공지의 방법이나 장치를 사용하여 연돌(10)로부터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다.
이어서 포집된 이산화탄소는 해수의 pH를 낮추어 해양 생물이 발전 플랜트 열교환기에 부착되지 않도록 열교환기의 냉각용 해수에 용해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 포집된 이산화탄소는 이산화탄소 이송용 블로워(30)와 이송용 배관(31)을 통하여 버블트랩(40)으로 이송되며, 상기 버블트랩(40)에서 이산화탄소가 해수에 용해된다.
여기서, 상기 버블트랩(40)은 이산화탄소 산기장치(41)와 미반응 이산화탄소 포집장치(43)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이산화탄소 산기장치(41)와 미반응 이산화탄소 포집장치(43)의 구체적 구성 및 기능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상기 버블트랩(40)은 이산화탄소의 용해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으나, 일부 반응하지 못한 미용해 이산화탄소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미반응 이산화탄소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미반응 이산화탄소와 해수를 순환시켜 재용해시키는 단계가 뒤따른다.
상기 순환용 해수와 미반응 이산화탄소를 용해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이산화탄소 용해 탱크(60)는,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와 해수의 혼합물이 전량 물방울 형태로 액막을 형성하면서 아주 얇은 막의 상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목부를 갖는 호리병 형상의 액포생성용기(62)가 상기 탱크 본체(61) 내부에 마련된다.
이렇게 순환용 해수와 미반응 이산화탄소가 혼합된 이후에는, 이젝트방식, 산기방식 등이 적용된 공지의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로 공급되어 수십 μm 크기의 기포가 발생되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연돌로부터 포집된 이산화탄소의 용해율을 높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발전 플랜트 연돌(10)로부터 포집한 이산화탄소의 주입량은 계절에 따른 해수의 온도, 지역적 특성에 따른 해수의 성상 등에 따라 다소 변화할 수 있으나, 상기 제4단계 이후, 즉 상기 버블트랩(40) 및 마이크로버블 발생기(80)로부터 발생한 버블이 해수에 용해되어 최종 pH가 6.4 내지 7.7의 범위로 조절될 수 있을 정도로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해수의 최종 pH가 6.4 미만인 경우에는 해양생물이 사멸되어 생태계의 파괴를 유래할 수 있고, 상기 pH가 7.7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해양생물의 부착 억제 효과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pH 범위로 조절될 수 있도록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연돌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적거나 배출농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냉각용 해수의 pH를 상기 범위로 제어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냉각용 해수의 pH가 설정범위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는 제5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한 pH 값이 소정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염소계 살균제를 투입하지 않고도 해양생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생태계 파괴 가능성이 있는 염소계 살균제를 추가적으로 투입할 필요가 없고, 만약 측정한 pH 값이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염소계 살균제를 투입하는 제6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험 예를 제시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하기 실험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험예 1>
도 1에 도시된 장치와 유사한 실험실 규모의 장치를 제작하여 유량 30L/min로 해수를 버블트랩 반응조로 유입시키면서, 하부로부터는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버블트랩에서 이산화탄소를 용해시켰다. 또한 미반응된 이산화탄소는 펌프를 이용하여 해수와 함께 이산화탄소 용해탱크로 주입하여 재용해시킨 후 마이크로버블 발생기가 구비된 마이크로버블 반응조로 공급하였다.
이때 버블트랩 반응조로 공급한 이산화탄소는 최대 200mg/L로 설정하였으며, 버블트랩 반응조와 마이크로버블 반응조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측정하여 용해율과 pH를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CO2주입량
(mg/L)
CO2용해율(%) pH
버블트랩
반응조
마이크로버블
반응조
총 용해율 버블트랩
반응조
마이크로버블
반응조
0 0 0 0 8.1 8.1
30 92 8 100 7.4 7.3
50 91 9 100 7.0 6.9
80 89 11 100 6.8 6.7
100 87 13 100 6.7 6.5
140 84 16 100 6.7 6.4
170 81 19 100 6.6 6.3
200 77 23 100 6.6 6.2
표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이산화탄소의 주입량이 50mg/L인 경우, 버블트랩 반응조에서의 이산화탄소 용해율은 91%, 마이크로버블 반응조에서는 9%로서, 주입한 이산화탄소가 모두 용해되었다. 이 때 마이크로버블 반응조에서의 pH는 6.9로서, 이산화탄소를 주입함으로써 해수의 pH를 1.2 낮추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의 주입량이 140mg/L인 경우, 버블트랩 반응조에서는 84%, 마이크로버블 반응조에서는 16%의 용해율이 얻어졌으며, 이산화탄소를 50mg/L주입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총 용해율은 100%, 마이크로버블 반응조의 해수 pH는 6.4까지 낮추는 것이 가능하였다.
한편, 이산화탄소의 주입량을 200mg/L로 설정한 경우, 총 용해율은 100%였으며, 해수의 pH는 6.2로 조사되었다.
<실험예 2>
이산화탄소 주입량 변화에 따른 해양미생물의 부착방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산화탄소 주입량을 변화시키면서 해양미생물의 부착방지율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이산화탄소 주입율이 증가함에 따라 해양미생물의 부착방지효과 증가하였고, 특히 이산화탄소 주입량 140mg/L에서는 100%의 부착방지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 : 발전플랜트 연돌
20 : 이산화탄소 포집기
30 : 이산화탄소 이송용 블로워
31 : 이산화탄소 이송용 배관
40 : 버블트랩
41 : 이산화탄소 산기장치
411 : 메인산기관 412 : 연결구
413 : 이산화탄소 가둠공간 414 : 이산화탄소 방출구멍
415 : 연결부 416 : 제1지지관
417 : 제1지지부 418 : 제1배출구
419 : 제1기체포집체 420 : 제2지지관
421 : 제2지지부 422 : 보조산기관
423 : 제2기체포집체 424 : 제2배출구
43 : 미반응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431, 432 : 포집장치 지지부 433 : 산기장치 고정부
434 : 포집장치 천정부 435 : 미반응 이산화탄소배출관
50 : 흡입펌프
60 : 이산화탄소 용해탱크
61 : 탱크 본체 62 : 액포생성용기
63 : 공급관 64 : 배출관
70 : 순환수 펌프
80 : 마이크로버블 발생기
90 : 측정부
100 : 염소계 살균제 발생부
110 : 전기분해장치 120 : 염소수 저장탱크

Claims (9)

  1. 발전플랜트 연돌(10)로부터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이산화탄소 포집기(20);
    해양 생물이 발전 플랜트 열교환기에 부착되지 않도록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기(20)로부터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열교환기의 냉각용 해수에 용해시키기 위한 버블트랩(40);
    상기 버블트랩(40)에서 용해되지 않은 미반응 이산화탄소를 이송하는 진공펌프(50);
    상기 진공펌프(50)로부터 이송된 미반응 이산화탄소와 순환용 해수가 공급되어 액막화 현상에 따라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키는 이산화탄소 용해 탱크(60);
    상기 이산화탄소 용해 탱크(60)로부터 이송된 이산화탄소 함유 순환용 해수가 공급되어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80);
    마이크로버블 발생기(80)로부터 공급된 버블이 포함된 냉각용 해수의 pH를 측정하는 측정부(90); 및
    염소계 살균제를 생산하는 염소계 살균제 발생부(100)를 포함하면서,
    상기 버블트랩(40)은 이산화탄소 산기장치(41) 및 미반응 이산화탄소 포집장치(43)를 포함하되,
    상기 이산화탄소 산기장치(41)는 다수개의 이산화탄소 방출구멍(414)과 이산화탄소 가둠공간(413)이 형성된 메인산기관(411),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기(20)로부터 포집한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는 연결구(412), 상기 연결구(412)에 결합되는 연결부(415), 상기 연결부(415) 외주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지지관(416) 및 제1지지부(417)를 통해 상기 다수의 제1지지관(416)과 연결되는 상측 중앙부에 제1배출구(418)가 형성된 제1기체포집체(419)를 포함하고,
    상기 미반응 이산화탄소 포집장치(43)는 포집장치 지지부(431, 432), 산기장치 고정부(433) 및 미반응 이산화탄소 배출관(435)을 구비한 상협하광(上狹下廣)구조의 포집장치 천정부(4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산화탄소 산기장치(41)는 상기 제1배출구(418)와 연결되는 제2지지관(420), 상기 제2지지관(420)과 연결된 제2지지부(421), 상기 제2지지부(421)와 연결되며 상부가 폐쇄된 보조산기관(422) 및 연결수단을 통해 제1지지부(417)와 연결되며 상기 보조산기관(422) 상부에 위치하는 제2배출구(424)가 구비된 제2기체포집체(4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산화탄소 용해 탱크(60)는 탱크 본체(61), 상기 탱크 본체(61) 내부에 마련된 호리병 형상의 액포 생성 용기(62), 상기 탱크 본체(61) 일측에 구비된 배출구(64) 및 상기 미반응 이산화탄소와 순환용 해수의 혼합물을 상기 액포 생성 용기(62) 내부로 공급하는 미반응 이산화탄소와 순환용 해수 혼합물 공급관(6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버블트랩(40)은 이산화탄소 산기장치(41) 및 미반응 이산화탄소 포집장치(43)를 포함하되,
    상기 이산화탄소 산기장치(41)는 다수개의 이산화탄소 방출구멍(414)과 이산화탄소 가둠공간(413)이 형성된 메인산기관(411),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기(20)로부터 포집한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는 연결구(412), 상기 연결구(412)에 결합되는 연결부(415), 상기 연결부(415) 외주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지지관(416) 및 제1지지부(417)를 통해 상기 다수의 제1지지관(416)과 연결되는 상측 중앙부에 제1배출구(418)가 형성된 제1기체포집체(419)를 포함하고,
    상기 미반응 이산화탄소 포집장치(43)는 포집장치 지지부(431, 432), 산기장치 고정부(433) 및 상기 이산화탄소 산기장치(41)의 제2배출구(424)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이산화탄소 배출관(4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장치를 이용한 부착억제 방법에서,
    발전 플랜트 연돌(10)로부터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단계 제1단계;
    상기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이송용 블로워(30)를 통해 버블트랩(40)에 공급하여 상기 이산화탄소를 열교환기의 냉각용 해수에 용해시키는 제2단계;
    상기 버블트랩(40)에서 용해되지 않은 미반응 이산화탄소와 순환용 해수를 이산화탄소 용해탱크(60)에 공급하여 액막화 현상으로 이산화탄소를 순환용 해수에 용해시키는 제3단계;
    상기 미반응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순환용 해수를 마이크로버블 발생기(80)로 공급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제4단계;
    냉각용 해수의 pH가 설정범위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는 제5단계; 및
    측정한 pH 값이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염소계 살균제를 투입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이후 해수의 pH가 6.4 내지 7.7의 범위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트랩(40)에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농도는 해수의 pH범위 조절에 따라 변동되며 50mg/L 내지 140mg/L의 비율로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방법.
KR1020160129557A 2016-10-07 2016-10-07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장치 및 그 방법 KR101975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557A KR101975451B1 (ko) 2016-10-07 2016-10-07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장치 및 그 방법
PCT/KR2017/006575 WO2018066787A1 (ko) 2016-10-07 2017-06-22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557A KR101975451B1 (ko) 2016-10-07 2016-10-07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658A KR20180038658A (ko) 2018-04-17
KR101975451B1 true KR101975451B1 (ko) 2019-05-08

Family

ID=61831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557A KR101975451B1 (ko) 2016-10-07 2016-10-07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5451B1 (ko)
WO (1) WO201806678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9472B2 (ja) * 2003-02-13 2007-06-13 勝之 深川 気体溶解量調整装置とそのシステム
KR101424949B1 (ko) * 2014-07-09 2014-08-01 이세한 액막 산기장치
KR101445756B1 (ko) * 2014-06-09 2014-10-07 최무웅 화력발전소의 연돌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회수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5819A (en) 1976-02-06 1977-08-11 Kokoku Rubber Ind Execution method of joint filling that use vacuum and its joint portion material
JP3605128B2 (ja) * 1993-02-19 2004-12-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海生物付着防止方法
JPH11319853A (ja) * 1998-05-12 1999-11-24 Mitsubishi Heavy Ind Ltd 海生物付着防止方法及び装置
JP5295819B2 (ja) * 2008-07-17 2013-09-18 関西電力株式会社 海生物付着防止方法
JP2012193554A (ja) 2011-03-17 2012-10-11 Mitsubishi Heavy Ind Ltd 海生物付着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9472B2 (ja) * 2003-02-13 2007-06-13 勝之 深川 気体溶解量調整装置とそのシステム
KR101445756B1 (ko) * 2014-06-09 2014-10-07 최무웅 화력발전소의 연돌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회수장치 및 방법
KR101424949B1 (ko) * 2014-07-09 2014-08-01 이세한 액막 산기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태영건설. 액막화 기체 용해기술 및 마이크로버블 부상분리 시스템을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수의 인 제거기술 -신기술인증 제309호/기술검증 제130호-. 환경신기술설계편람(2011.11.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6787A1 (ko) 2018-04-12
KR20180038658A (ko) 201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93199B (zh) 利用二氧化碳电解船舶压舱水的处理设备及处理方法
AR059253A1 (es) Sistema de desalinizacion
CA2752368C (en) Water circulation systems with air stripping arrangements for municipal water tanks, ponds, and other potable bodies of water
JP2006263563A (ja) バラスト水中の微生物等の殺減装置
KR20180045597A (ko)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및 연료 절감 장치
CN106660625B (zh) 压载水处理系统
TW201729674A (zh) 水產養殖環境控制之系統及方法
TW200938079A (en) An apparatus for culturing aquatic organisms
KR101975451B1 (ko) 이산화탄소와 염소계 살균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부착억제 장치 및 그 방법
JP4682116B2 (ja) 有機性廃水処理方法ならびに有機性廃水処理装置
KR101564244B1 (ko) 전기분해 관로처리 및 오존미세버블 탱크내 처리를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JP5881095B2 (ja) 海洋生物の遊泳を阻害する方法および海洋生物の付着を抑制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704634B2 (ja) 海洋生物の付着を抑制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および、水の塩素濃度を減少させ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871233B1 (ko) 발전 플랜트 연돌로부터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 생물 부착억제 장치 및 그 방법
JP4773211B2 (ja) 廃液処理装置
JP5800120B2 (ja) 海洋生物の付着を抑制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および、海洋生物の遊泳を阻害する方法
JP3652532B2 (ja) 次亜塩素酸ナトリウム生成装置及び次亜塩素酸ナトリウム生成方法
JP2015209567A (ja) 電解ガス発生装置および電解ガス供給システム
JP2011147870A (ja) 海洋生物の付着を抑制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および、海洋生物の遊泳を阻害する方法
KR101975452B1 (ko) 연돌발생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냉각수용 해수 가공시스템
CN210219304U (zh) 一种防泄气液储装置
KR102381423B1 (ko) 수소 생산장치 및 수소 생산방법
EP1953462A3 (en) Air filtering apparatus
CN104014260A (zh) 一种气体溶解装置及其部件
KR20150102506A (ko) 적조방제용 수중살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