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147B1 -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 도어 - Google Patents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147B1
KR101975147B1 KR1020180087499A KR20180087499A KR101975147B1 KR 101975147 B1 KR101975147 B1 KR 101975147B1 KR 1020180087499 A KR1020180087499 A KR 1020180087499A KR 20180087499 A KR20180087499 A KR 20180087499A KR 101975147 B1 KR101975147 B1 KR 101975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caffold
footboard
fram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범
Original Assignee
조희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찬 filed Critical 조희찬
Priority to KR1020180087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고 개방 시에 자중에 의해 급속히 개폐되어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개방 시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발판 도어의 크기를 발판 프레임의 범위 내로해야 하는 제한을 제거하여 작업자 및 자재 이동을 용이하도록 한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 도어에 관한 것으로, 구조 프레임과 상기 구조 프레임에 결합되는 발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판 도어 본체, 상기 구조 프레임 일단에 결합되어 비계용 프레임에 걸림되는 후크, 상기 구조 프레임의 타단부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제1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ㄷ자형태의 관통구가 형성된 제2결합구와 클램프 목이 형성된 제1결합구, 제2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제1결합구와 상기 제2결합구의 결합력을 조절하는 제1결합 볼트와 제1결합 너트가 형성된 클램프, 상기 클램프 목에 형성되고 상기 구조 프레임을 통과하여 상기 클램프와 상기 구조 프레임의 결합력을 조절하는 제2결합 볼트와 제2결합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 도어{A scaffold's Floor door easy to move through it}
본 발명은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시공 시 사용되는 비계에 설치되는 발판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상하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시공 시에 작업자가 거푸집을 설치하거나 외벽 작업이 필요한 곳에 용이하게 위치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가설물인 비계가 설치되며, 또한, 이러한 비계에 철재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발판을 설치하고 이동의 편리를 위해 발판의 일부분에 발판 도어를 마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비계용 발판 도어의 일례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01899호(2015.3.12.공고)가 있으며, 이 발명은 작업발판 겸 도어로서 연결암과 암구동부를 설치하여 해치가 일정각도 이상 열려 있더라도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발판 도어가 발판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업자나 자재의 이동 시 공간이 좁아 이동에 불편이 야기되며, 더욱이 금속재로 이루어져 중량인 발판 도어가 자중에 의해 닫힐 경우 상당한 충격이 발생되고 이 충격에 의해 작업자의 손가락이 절단되는 등 안전에 심각한 위협 요소가 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01899호(2015.3.12.공고)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개폐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고 개방 시에 자중에 의해 급속히 개폐되어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개방 시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 도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판 도어의 크기를 발판 프레임의 범위 내로 해야 하는 제한을 제거하여 작업자 및 자재 이동을 용이하도록 한 비계용 발판 도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발판 도어의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제작 및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고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 도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 도어는,
구조 프레임과 구조 프레임에 결합되는 발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판 도어 본체 및
상기 구조 프레임 일단에 결합되어 비계용 프레임에 걸림되는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조 프레임의 타단부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제1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ㄷ자형태의 관통구가 형성된 제2결합구와 클램프 목이 형성된 제1결합구, 제2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제1결합구와 상기 제2결합구의 결합력을 조절하는 제1결합 볼트와 제1결합 너트가 형성된 클램프, 상기 클램프 목에 형성되고 상기 구조 프레임을 통과하여 상기 클램프와 상기 구조 프레임의 결합력을 조절하는 제2결합 볼트와 제2결합 너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크가 설치된 방향 상기 발판부재의 일단면에는 사용 시에는 회전하여 세우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발판부재의 면과 평행하게 눕혀 보관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구조 프레임과 구조 프레임에 결합되는 발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판 도어 본체 및
상기 구조 프레임 일측 양단부에 결합되어 비계용 프레임에 걸림되는 한 쌍의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조 프레임의 타측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ㄷ자형태의 관통구가 형성된 제2결합구와 클램프 목이 형성된 제1결합구, 제2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제1결합구와 상기 제2결합구의 결합력을 조절하는 제1결합 볼트와 제1결합 너트가 형성된 클램프, 상기 클램프 목에 형성되고 상기 구조 프레임을 통과하여 상기 클램프와 상기 구조 프레임의 결합력을 조절하는 제2결합 볼트와 제2결합 너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크가 설치된 방향 상기 발판부재의 일측 양단면에는 사용 시에는 회전하여 세우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발판부재의 면과 평행하게 눕혀 보관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인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 도어는 개폐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고 개방 시에 자중에 의해 급속히 개폐되어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개방 시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발판 도어의 크기를 발판 프레임의 범위 내로해야 하는 제한을 제거하여 작업자 및 자재 이동이 용이하며, 종래의 발판 도어의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제작 및 시공이 용이한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 도어의 일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도어의 주요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도어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도어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일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 도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 도어의 일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도어의 주요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 도어는 금속재의 구조 프레임(1)과 상기 구조 프레임(1)에 결합되는 금속재 발판부재(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판 도어 본체(3)와, 상기 구조 프레임(1) 일단에 결합되어 비계용 프레임(4)에 걸림되는 걸림수단인 후크(5)와, 상기 구조 프레임(1)의 타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제1힌지(10)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ㄷ자형태의 관통구가 형성된 제2결합구(7)와 클램프 목(12)이 형성된 제1결합구(6), 제2힌지(11)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제1결합구(6)와 상기 제2결합구(7)의 결합력을 조절하는 제1결합 볼트(8)와 제1결합 너트(9)가 형성된 클램프(13), 상기 클램프 목(12)에 형성되고 상기 구조 프레임(1)을 통과하여 상기 클램프(13)와 상기 구조 프레임(1)의 결합력을 조절하는 제2결합 볼트(14)와 제2결합 너트(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조 프레임(1)은 사각 파이프 형태의 바를 사각형으로 배치하여 형성하며, 상기 후크(5)는 상기 구조 프레임(1)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시키며 상기 비계용 프레임(4)에 상부로 걸어 걸림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 도어의 작동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비계용 프레임(4)은 중심축으로 작용하고 상기 발판 도어 본체(3)는 회전하여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되는데,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제1결합 볼트(8)와 상기 제1결합 너트(9)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게 되면, 상기 제1결합구(6)와 상기 제2결합구(7), 상기 발판 도어 본체(3), 상기 비계용 프레임(4)의 상대적인 회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발판 도어 본체(3)는 회전에 제약이 되므로 자중에 의해 쉽게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각도에서 정지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후크(5)가 설치된 방향 상기 발판부재(2)의 일단면에는 손잡이(16)를 형성하여 사용 시에는 회전하여 세우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발판부재(2)의 면과 평행하게 눕혀 보관하므로써, 상기 도어 본체(3)를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같이 비계용 프레임(4)에 고정되고 별도의 프레임이 필요없는 형태이므로 종래기술에 비해 발판 도어 본체(3)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할 수 있어 작업자의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 도어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도어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도어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일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구조 프레임(1)과 구조 프레임(1)에 결합되는 발판부재(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판 도어 본체(3)와, 상기 구조 프레임(1) 일측 양단부(여기서 '일측'은 건축물과 인접한 측을 지칭하며, '타측'은 건축물과 먼 측을 지칭한다)에 결합되어 비계용 프레임(4)에 걸림되는 한 쌍의 후크(5)와, 상기 구조 프레임(1)의 타측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힌지(10)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ㄷ자형태의 관통구가 형성된 제2결합구(7)와 클램프 목(12)이 형성된 제1결합구(6), 제2힌지(11)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제1결합구(6)와 상기 제2결합구(7)의 결합력을 조절하는 제1결합 볼트(8)와 제1결합 너트(9)가 형성된 클램프(13), 상기 클램프 목(12)에 형성되고 상기 구조 프레임(1)을 통과하여 상기 클램프(13)와 상기 구조 프레임(1)의 결합력을 조절하는 제2결합 볼트(14)와 제2결합 너트(15)와, 상기 후크(5)가 설치된 방향 상기 상기 발판부재(2)의 일측 양단면에는 사용 시에는 회전하여 세우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발판부재(2)의 면과 평행하게 눕혀 보관되는 손잡이(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는 상기 제2결합 볼트(14)를 중심축으로 작용하여 상기 발판 도어 본체(3)는 회전하여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되는데,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제2결합 너트(15)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게 되면, 상기 클램프(13), 상기 발판 도어 본체(3), 상기 제2결합 볼트(14) 및 상기 너트(15)의 상대적인 회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발판 도어 본체(3)는 회전에 제약이 되므로 자중에 의해 쉽게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각도에서 정지할 수도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는 앞서 설명한 실시 작용효과가 동일하며, 다만, 이 실시 예에서는 회전축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제2결합 볼트(14)가 건축물의 외벽면과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발판 도어 본체(3)의 가로 길이가 상대적으로 많이 긴 경우에 상기 발판 도어 본체(3)를 건축물의 외측방향으로 회전시켜 개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인 비계용 발판 도어는 개폐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고 개방 시에 자중에 의해 급속히 개폐되어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개방 시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발판 도어의 크기를 발판 프레임의 범위 내로해야 하는 제한을 제거하여 작업자 및 자재 이동이 용이하며, 종래의 발판 도어의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제작 및 시공이 용이한 등의 이점이 있다.
1: 구조 프레임 2: 발판부재
3: 발판 도어 본체 4: 비계용 프레임
5: 후크 6: 제1결합구
7: 제2결합구 8: 제1결합 볼트
9: 제1결합 너트 10: 제1힌지
11: 제2힌지 12: 클램프 목
13: 클램프 14: 제2결합 볼트
15: 제2결합 너트 16: 손잡이

Claims (2)

  1. 구조 프레임과 구조 프레임에 결합되는 발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판 도어 본체;
    상기 구조 프레임 일단에 결합되어 비계용 프레임에 걸림되는 후크;
    상기 구조 프레임의 타단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제1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ㄷ자형태의 관통구가 형성된 제2결합구와 클램프 목이 형성된 제1결합구;
    제2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제1결합구와 상기 제2결합구의 결합력을 조절하는 제1결합 볼트와 제1결합 너트가 형성된 클램프 및
    상기 클램프 목에 형성되고 상기 구조 프레임을 통과하여 상기 클램프와 상기 구조 프레임의 결합력을 조절하는 제2결합 볼트와 제2결합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2결합 볼트와 상기 제1,2결합 너트는 상기 발판 도어 본체, 상기 클램프, 상기 결합구의 상대적인 회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후크가 설치된 방향 상기 발판부재의 일단면에는 사용 시에는 회전하여 세우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발판부재의 면과 평행하게 눕혀 보관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 도어

  2. 삭제
KR1020180087499A 2018-07-27 2018-07-27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 도어 KR101975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499A KR101975147B1 (ko) 2018-07-27 2018-07-27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499A KR101975147B1 (ko) 2018-07-27 2018-07-27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147B1 true KR101975147B1 (ko) 2019-05-07

Family

ID=66656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499A KR101975147B1 (ko) 2018-07-27 2018-07-27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1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622B1 (ko) 2019-12-30 2020-10-19 한국이앤씨주식회사 달비계용 틈새막이 안전발판
KR102241793B1 (ko) 2020-07-09 2021-04-16 박상우 갱폼용 발판 도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544Y1 (ko) * 1995-07-29 1998-10-15 한준수 건축 난간용 발판
JP2000129911A (ja) * 1998-10-28 2000-05-09 Nippon Light Metal Co Ltd 足場用開閉式床付布枠
KR200394632Y1 (ko) * 2005-06-20 2005-09-02 (주)영재안전 개폐문이 마련된 공사용 발판
KR101501899B1 (ko) 2013-10-28 2015-03-12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작업발판용 해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544Y1 (ko) * 1995-07-29 1998-10-15 한준수 건축 난간용 발판
JP2000129911A (ja) * 1998-10-28 2000-05-09 Nippon Light Metal Co Ltd 足場用開閉式床付布枠
KR200394632Y1 (ko) * 2005-06-20 2005-09-02 (주)영재안전 개폐문이 마련된 공사용 발판
KR101501899B1 (ko) 2013-10-28 2015-03-12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작업발판용 해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622B1 (ko) 2019-12-30 2020-10-19 한국이앤씨주식회사 달비계용 틈새막이 안전발판
KR102241793B1 (ko) 2020-07-09 2021-04-16 박상우 갱폼용 발판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147B1 (ko) 이동이 편리한 비계용 발판 도어
US20140174852A1 (en) Step apparatus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and tree harvester having leveling system
DE102013020697A1 (de) Verfahren und Steuermittel zum Steuern eines Roboters
KR20190022006A (ko) 비계용 발판 도어
KR101501899B1 (ko) 작업발판용 해치
US94879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oor
US10370864B2 (en) Spa cover lifter system and method
US5244338A (en) Gravity-steered grapple
AU2011274648A1 (en) Mounting apparatus
JP6309671B1 (ja) マンホール防護柵
KR101876719B1 (ko) 도어 실린더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안전도어장치
EP4129886A1 (en) Metal gantry for a lifting device for transporting materials, application process and uses thereof
JP2002114478A (ja) 自動車用エンジン吊り装置
KR102370504B1 (ko) 절첩식 시스템 기둥 폼 및 그 설치와 해체 방법
JPH08120942A (ja) 養生ネットの張設装置および方法
KR102285288B1 (ko) 비계 유닛 및 이의 결합을 통한 비계 시스템
JP3023410U (ja) スイッチ・コンセントボックス支持金具
KR20150081618A (ko) 자동닫힘형 안전 게이트
JP4629212B2 (ja) 足場用簡易扉装置
JPH05256026A (ja) 建築用揚重装置
KR100962726B1 (ko) 호이스트출입문
JPH0314519Y2 (ko)
KR101666782B1 (ko) 건축물용 회전식 사다리 및 상기 건축물용 회전식 사다리를 포함하는 거푸집용 작업 발판 시스템
JPH0680359A (ja) エレベータ制御盤
KR200347317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